KR20110018419A - 태핑용 어댑터, 태핑 금형, 탭 다이 및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태핑용 어댑터, 태핑 금형, 탭 다이 및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419A
KR20110018419A KR1020117000442A KR20117000442A KR20110018419A KR 20110018419 A KR20110018419 A KR 20110018419A KR 1020117000442 A KR1020117000442 A KR 1020117000442A KR 20117000442 A KR20117000442 A KR 20117000442A KR 20110018419 A KR20110018419 A KR 2011001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tab
tapping
turret
r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7249B1 (ko
Inventor
노부히사 소노다
신고 아라이
준이치 아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802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350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8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37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38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8557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마다
Publication of KR2011001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3/00Arrangements or accessories for enabling machine tools not specially designed only for thread cutting to be used for this purpose, e.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working spindle
    • B23G3/005Arrangements or accessories for enabling machine tools not specially designed only for thread cutting to be used for this purpose, e.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working spindle for enabling presses to be used for thread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using rotatable work or tool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02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on an external or internal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 e.g. on recesses
    • B23G1/08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3/00Arrangements or accessories for enabling machine tools not specially designed only for thread cutting to be used for this purpose, e.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8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 means for adjustment
    • B23G5/10Die-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40/00Details of equipment for threading other than threading tools, details of the threading process
    • B23G2240/52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03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65Means to drive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47Parallel axes or shafts
    • Y10T74/19651Exter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릿 펀칭 프레스(turret punch press)에 사용되는 태핑(tapping)용 어댑터(21)에 있어서, 태핑 금형(25)을 장착 가능한 링 기어(29)와, 링 기어(29)를 설치하고, 터릿 펀칭 프레스의 터릿(9)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33)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링 기어(29)가 위치하도록, 터릿(9)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기어 홀더(3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핑용 어댑터, 태핑 금형, 탭 다이 및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ADAPTER FOR TAPPING, TAPPING METAL MOLD, TAP DIE, AND METHOD OF DETECTING OVER-STROKE OF TAP}
본 발명은, 태핑(tapping) 장치, 탭 다이(tap die), 및 탭의 오버 스트로크(over-stroke)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터릿 펀칭 프레스(turret punch press)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태핑용 어댑터, 태핑 금형, 태핑 가공 시에 생긴 절삭칩(chip)의 배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탭 다이, 및 탭이 소정 스트로크 길이 이상으로 스트로크했을 때 탭의 오버 스트로크로서 검출하는 방법, 및 동일 방법에 사용하는 탭 다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릿 펀칭 프레스에서는, 펀치와 다이를 사용하여, 펀칭 가공이나 프레스 가공을 행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공작물의 형상의 다양화나 복잡화에 따라 1대의 터릿 펀칭 프레스에 의해, 공작물에 각종 펀칭 가공뿐아니라, 각종 탭 가공도 행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릿 펀칭 프레스에서는, 터릿에 설치되어 있는 각 장착부(금형의 장착부)를, 펀치 전용의 장착부 또는 태핑 금형 전용의 장착부로 하고 있고, 각종 장착부에 펀칭용 금형이나 태핑 금형을 장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태핑 금형의 장착부는, 태핑 금형 전용으로 되어, 태핑 금형을 사용하지 않는 가공의 경우라도, 펀칭용 금형을 상기 태핑 금형의 장착부에 장착할 수 없다. 이로써, 터릿에 탑재되는 금형의 종류가 적어져, 1대의 터릿 펀칭 프레스로 다양한 가공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판형의 공작물에 대한 구체적인 태핑 가공은, 공작물에 직경이 작은 아래쪽 구멍을 펀칭 가공하고, 이 아래쪽 구멍에 직접 또는 버링(burring) 가공을 행한 후에 태핑 가공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펀칭 프레스에는, 태핑 가공을 행하기 위한 탭을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탭 금형이 구비되어 있고, 이 탭 금형의 하방 위치에는, 상기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탭 다이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이다. 즉, 터릿 펀칭 프레스에서의 상부 터릿 등과 같은 펀치 홀더(501)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503)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505)는, 펀칭 프레스에서의 하부 터릿 등과 같은 다이 홀더(507)에 장착 및 분리 교환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탭 다이(505)는, 통형의 다이 본체(509)를 구비하고 있고, 이 다이 본체(509) 내에는, 상기 탭 금형(103)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511)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押壓)되는 탭 접촉 부재(513)를 상부에 구비한 내통(515)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내통(515)은 코일 스프링(517)에 의해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고, 이 내통(515)의 상면은, 상기 다이 본체(509)의 상부에 구비한 내측 플랜지(509F)의 하면과 맞닿아 있다. 또한, 상기 내통(515)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이 본체(509)에 구비한 에어 공급구(519)와 연통 차단 가능한 주위홈(5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주위홈(521)은 상기 내통(515)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다이 본체(509)의 상기 에어 공급구(519)와 에어 소스(523)는 접속로(525)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로(525)에는, 상기 에어 공급구(519)와 주위홈(521)이 연통 상태에 있는지, 또는 차단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527)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탭 다이(505)에서의 다이 본체(509) 상에 공작물 W에 가공한 아래쪽 구멍 WH를 위치 결정한 후, 펀칭 프레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램(스트라이커)에 의해 탭 금형(503)을 하강시키고, 공작물 W를 상기 다이 본체(509)에 압압 고정하고, 또한 탭(511)을 상대적으로 하강시키고,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 W의 아래쪽 구멍 WH에 태핑 가공이 행해진다.
그리고, 탭(511)의 하단부(선단부)가 탭 접촉 부재(513)와 맞닿고, 코일 스프링(51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내통(515)을 하강시키면, 상기 에어 공급구(519)와 상기 주위홈(521)이 접속된다. 따라서, 차단 상태에 있었던 에어 공급구(519)가 주위홈(521)과 접속됨으로써, 접속로(525) 내의 에어압은 고압에서 저압으로 변화하므로, 이 에어압의 변화를 압력 스위치(527)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탭(511)이 상승 위치로부터 최하강 위치까지 하강한 후에 다시 상승할 때, 상기 압력 스위치(527)가 ON-OFF-ON의 동작을 반복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예를 들면, 탭(511)의 파손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펀칭 프레스에서의 펀치 홀더(501)에 장착되어 있는 탭 금형(503)이, 직경이 작은 탭(511)을 구비한 탭 금형(503) 대신에 대경(大徑)의 탭을 구비한 탭 금형을 잘못하여 장착한 경우에는, 탭의 회전수가 동일해도 나사 피치가 큰 대경의 탭의 스트로크 길이가 커지므로, 예를 들면, 내통(515)이 하강단에 도달한 후에, 탭은 다시 내통(515)을 하강하는 경향이 있어, 탭의 파손이 생기거나, 탭 금형에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태핑 가공 시에 생긴 긴 절삭칩이 탭 접촉 부재에 감기거나, 또한 절삭칩의 일부가 내통(515)의 상면과 다이 본체(509)의 내측 플랜지(509F)와의 사이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일본공개특허 2007-75889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4-53626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2004-268247호 공보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그 제1 목적은, 1대의 터릿 펀칭 프레스로 다양한 가공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한 태핑용 어댑터, 및 이 태핑용 어댑터에 사용되는 태핑 금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탭 다이의 탭 접촉 부재에 대한 절삭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다이 본체와 탭 다이의 내통과의 사이로의 절삭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탭 다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탭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함으로써, 탭의 파손 및 탭 금형에 대한 손상을 회피할 수 있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동일 방법에 사용하는 탭 다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터릿 펀칭 프레스에 사용되는 태핑용 어댑터로서, 태핑 금형을 장착 가능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터릿 펀칭 프레스의 터릿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설치된 링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릿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기어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상기 태핑용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가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톱니부는,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회전 중심축의 연신(延伸) 방향으로는 서로가 이격되어 있고, 한편,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회전 중심축의 연신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각각의 링 기어 중 1개의 링 기어의 톱니부의 일부와, 상기 각각의 링 기어 중 다른 1개의 링 기어의 톱니부의 일부는 서로 겹쳐져 있고, 상기 기어 홀더에는, 상기 각각의 링 기어와 서로 맞물려 있는 중간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태핑 금형을 장착 가능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설치하고, 터릿 펀칭 프레스의 터릿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설치된 링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릿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기어 홀더를 포함하는 태핑용 어댑터에 장착 가능한 태핑 금형으로서, 내주에 마스터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 기어의 관통공과 상기 터릿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통형체와, 탭을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체의 마스터 나사와 나사결합되는 마스터 나사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나사가 상기 통형체의 마스터 나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통형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링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 중심축의 연신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3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상기 태핑 금형으로서, 상기 터릿으로부터 분리해 냈을 때, 상기 통형체에 대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태양 또는 상기 제4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5 태양은, 상기 태핑 금형에 있어서, 상기 태핑 금형은, 상기 링 기어의 관통공과 상기 터릿의 장착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태핑용 어댑터 및 상기 터릿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태양은,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로서, 통형의 다이 본체와, 상기 다이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내통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상 시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단부는 상기 다이 본체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 높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는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는, 상기 탭 접촉 부재의 판두께 치수보다 상하 방향의 폭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6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7 태양은, 상기 탭 다이에 있어서, 상기 탭 접촉 부재의 상면은, 상기 내통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내통에 구비된 에어 분출공보다 위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6 태양 또는 제7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8 태양은, 상기 탭 다이에 있어서, 상기 탭 접촉 부재의 상면은, 상기 탭 접촉 부재의 두께 방향의 양쪽이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9 태양은,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의 통형의 다이 본체 내에,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를 구비한 내통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 본체에 구비한 에어 공급구와 연통 차단 가능한 연통부를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상하 복수단에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연통부와의 연통 차단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유체(流體) 센서를, 에어 소스와 상기 에어 공급구를 접속한 접속로에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탭 금형에 구비한 탭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체 센서가 ON, OFF, ON의 동작을 했을 때 탭의 오버 스트로크인 것으로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은,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로서, 통형의 다이 본체와;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의 다이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 본체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내통과; 상기 다이 본체에 구비된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에어 공급구와 연통 차단 가능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상하 복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통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0 태양에 종속되는 본 발명의 제11 태양은, 상기 탭 다이에 있어서, 상기 상하 복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통부는,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제1 태양 내지 제5 태양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1대의 터릿 펀칭 프레스로 다양한 가공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태양 내지 제8 태양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탭 접촉 부재에 대한 절삭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다이 본체와 내통과의 사이로의 절삭칩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9 태양 내지 제11 태양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탭 금형에 구비한 탭의 하강 시에 유체 센서가 ON-OFF-ON의 동작을 행하게 되어, 탭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탭 금형, 탭 다이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터릿 펀칭 프레스(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부 터릿(9)에, 태핑용 어댑터(21)와, 태핑 유닛 회전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다.
도 5는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도 4와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태핑용 어댑터(2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투시 사시도이다.
도 7은 다이(27)와, 태핑용 어댑터(21)에 설치되는 태핑 금형(25)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태핑 금형(25)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태핑용 어댑터(21) 등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XI-XI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터릿 펀칭 프레스(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터릿 펀칭 프레스(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 및 (b)는, 터릿 펀칭 프레스(1)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탭 다이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16은 상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17의 (a)는, 도 16에서의 XVIIa-XVIIa선에 따른 단면 설명도이며, 도 17의 (b)는, 도 16에서의 XVIIb-XVIIb선에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18의 (a)는, 도 16에서의 XVIIIa-XVIIIa선에 따른 단면 설명도이며, 도 18의 (b)는, 도 16에서의 XVIIIb-XVIIIb에 따른 단면 설명도이다.
도 19의 (a), (b) 및 (c)는, 탭 다이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의 (a), (b) 및 (c)는, 탭 다이의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핑용 어댑터, 태핑 금형, 태핑 가공 시에 생긴 절삭칩의 배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탭 다이 등이 장착되고,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방법이 실시되는 터릿 펀칭 프레스(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터릿 펀칭 프레스(1)는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터릿 펀칭 프레스(1)에는, 판형의 공작물 W를 지지하는 테이블(5)과, 공작물 W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공작물 위치 결정 장치(7)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복수 개의 펀치(도시하지 않음) 또는 태핑 유닛(태핑 금형)을 설치 가능한 원판형의 상부 터릿(9)(회전 중심축 CL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위치 결정 가능한 상부 터릿)과, 펀치나 태핑 유닛에 대응하는 하부 위치에, 복수 개의 다이(도시하지 않음) 또는 구멍이 형성된 다이를 설치 가능한 원판형의 하부 터릿(11)을 구비한 터릿 장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에는, 상부 터릿(9)의 태핑 유닛이나 펀치를 타격하는(하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트라이커(15)와 램 본체(17)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터릿(9)의 반경 방향으로 배열된 펀치 또는 태핑 유닛을 선택적으로 타격하기 위해, 스트라이커(15)와 램 본체(17)와의 사이에는, 스트라이커 이동 기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3)의 상부에는, 태핑 유닛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태핑 유닛 회전 구동 수단(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태핑용 어댑터(21)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태핑용 어댑터(21)는, 터릿 펀칭 프레스(1)의 상부 터릿(9)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링 기어(29)와 기어 홀더(3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링 기어(29)는, 이 내부에 태핑 금형(25)이 장착 가능(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 홀더(31)는, 상부 터릿(9)에 장착 가능(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어 홀더(31)를 상부 터릿(9)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기어 홀더(31)에 설치되어 있는 링 기어(29)가, 터릿 펀칭 프레스(1)의 상부 터릿(9)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33)에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링 기어(29)는, 1개의 기어 홀더(31)에 대하여 적어도 2개(복수 개; 도 6이나 도 10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링 기어(29)의 톱니부는, 각각의 링 기어(29)의 회전 중심축 CL2의 연신 방향에서는 서로가 이격되어 있다(도 11 참조). 한편, 링 기어(29)의 회전 중심축 CL2의 연신 방향으로부터 보면, 2개의 링 기어(29) 중 1개의 링 기어(29)[예를 들면, 링 기어(29A)]의 톱니부의 선단부 측의 일부와 2개의 링 기어(29) 중 다른 1개의 링 기어(29)[예를 들면, 링 기어(29D)]의 톱니부의 선단부 측의 일부가, 서로 겹쳐져 있다(도 10 참조). 기어 홀더(31)에는, 각각의 링 기어(29)와 서로 맞물려 있는 1개의 중간 기어(35)가 설치되어 있다.
태핑 금형(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태핑용 어댑터(21)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통형체(37)와 회전체(3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통형체(37)의 내주에는, 마스터 나사(암나사)(41)가 형성되어 있다. 통형체(37)는, 태핑용 어댑터(21)가 상부 터릿(9)에 설치되었을 때,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에,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체(39)는, 탭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탭(43)을 장착 가능(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회전체(39)의 외주에는, 통형체(37)의 마스터 나사(41)와 나사결합되는 마스터 나사(수나사)(4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39)는, 이 마스터 나사(45)가 통형체(37)의 마스터 나사(41)와 나사 결합되어 통형체(37)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태핑용 어댑터(21)가 상부 터릿(9)에 설치되고 태핑 금형(25)[통형체(37)]가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체(39)가 링 기어(29)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회전체(39)[탭(43)]가 이 회전 중심축 CL2의 연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마스터 나사(41, 45)의 나사 결합에 의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태핑 금형(25)에는, 회전 규제 수단(47)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규제 수단(47)은, 상부 터릿(9)과 태핑용 어댑터(21)[상부 터릿(9)에 설치되어 있는 태핑용 어댑터]로부터 태핑 금형(25)을 분리해 냈을 때, 통형체(37)에 대한 회전체(39)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태핑용 어댑터(21)가 상부 터릿(9)에 설치된 상태에서, 태핑 금형(25)을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에 설치하면, 회전 규제 수단(47)이 동작하지 않게 되어, 통형체(37)에 대하여 회전체(39)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태핑 금형(25)에서는, 태핑용 어댑터(21)가 상부 터릿(9)에 설치되고 태핑 금형(25)이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에 설치되었을 때, 태핑용 어댑터(21) 및 상부 터릿(9)에 대하여, 회전체(39)와 이 회전체(39)에 설치되어 있는 탭(43)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태핑 금형(25) 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링 기어(29)는, 중앙부에 태핑 금형(25)이 장착되는 원기둥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주에 예를 들면, 평(平) 기어의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터릿(9)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터릿(9)의 펀치 장착부(33)는, 상부 터릿(9)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고 있는, 예를 들면, 원기둥형의 관통공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링 기어(29)가 설치되어 있는 기어 홀더(31)를 상부 터릿(9)에 장착한 경우, 링 기어(29)의 회전 중심축 CL2가 상부 터릿(9)의 두께 방향으로 연신되고,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의 관통공과 링 기어(29)의 관통공이, 상부 터릿(9)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서로 거의 겹쳐져 있다. 그리고, 상부 터릿(9)의 관통공의 중심축과 링 기어(29)의 관통공의 중심축 CL2가 서로 일치하고 있다. 또한, 링 기어(29)를 지지하고 있는 기어 홀더(31)에 설치되어 있는 관통공(21A)도, 상부 터릿(9)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의 관통공과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거의 겹쳐져 있다(도 11 참조).
각각의 링 기어(29)는, 기어 홀더(31)에 대한 장착 위치가 상이하게 되어 있을뿐 거의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링 기어(29)의 톱니폭은, 기어 홀더(31)의 높이의 절반의 값보다 작게 되어 있고, 예를 들면, 1/3 ~ 1/5 정도로 되어 있다. 중간 기어(35)의 치수는, 예를 들면, 링 기어(29)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중간 기어(35)의 톱니폭은, 링 기어(29)의 톱니폭의 2배보다 크고, 기어 홀더(31)의 높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링 기어(29)와 중간 기어(35)를 기어 홀더(31)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하 방향[각 기어(29, 35)의 회전 중심축 CL2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 가장 위쪽에 존재하고 있는 1개의 링 기어(29)의 톱니부의 상단이, 중간 기어(35)의 톱니부의 상단과 같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가장 아래쪽에 존재하고 있는 다른 1개의 링 기어(29)의 톱니부의 하단이, 중간 기어(35)의 톱니부의 하단과 같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중간 기어(35)의 톱니부의 상단은, 기어 홀더(31)의 상단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중간 기어(35)의 톱니부의 하단은, 기어 홀더(31)의 하단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원판형의 상부 터릿(9)은, 예를 들면, 이 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축 CL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인덱스 위치 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를 구성하는 원기둥형의 복수 개의 관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부 터릿(9)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관통공은, 상부 터릿(9)의 직경 방향으로 1열 또는 다열(多列)로 되어 있고, 상부 터릿(9)의 주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태핑용 어댑터(21)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펀칭 가공을 행하는 펀치 등을 장착부(33)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터릿(9)이 이 두께 방향이,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를 구성하는 관통공의 중심축 CL2나 링 기어(29)의 회전 중심축 CL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태핑용 어댑터(21)는, 예를 들면, 4개의 링 기어(29)[29A, 29B, 29C, 29D]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터릿(9)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장착부(33)를 구성하는 각각의 관통공; 상부 터릿(9)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가 인접하고 또한 상부 터릿(9)의 주위 방향으로 서로가 인접하고 있는 각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개소에서, 상기 각각의 관통공 덮도록 하여 상부 터릿(9)의 위쪽에 일체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링 기어(29) 등의 수가 4개 이외의 복수 개라도 된다.
기어 홀더(31)는, 하부 프레임(49)과 상부 프레임(5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링 기어(29)는, 베어링(53)을 통하여 기어 홀더(31)에 회전 가능하게(축 CL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링 기어(29)가 설치된 기어 홀더(31)[태핑용 어댑터(21)]를 상부 터릿(9)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사용하여 일체로 설치한 상태에서는, 상부 터릿(9)의 4개의 각각의 관통공의 중심축과 4개의 링 기어(29)의 각각의 중심축 CL2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태핑 금형(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체(37)와 회전체(3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형체(37)는, 원통형의 아우터 홀더(55)와 원통형의 게이지 너트(5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태핑 금형(25)이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나 태핑용 어댑터(21)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아우터 홀더(55)는, 리프터 스프링(59)에 의해 상부 터릿(9)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부 터릿(9)의 관통공의 하부에 설치된 키(61)와 아우터 홀더(55)의 외주 하부에 설치된 키홈(63)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아우터 홀더(55)는, 축 CL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아우터 홀더(55)는, 상부 터릿(9)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우터 홀더(55)의 내측으로서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마스터 나사(41)가 형성되어 있는 게이지 너트(57)가 설치되어 있다. 게이지 너트(57)는, 리프터 스프링(65)에 의해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게이지 너트(57)의 외주에는 키홈(6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키홈(67)이 아우터 홀더(55)에 설치되어 있는 키(69)와 결합됨으로써, 게이지 너트(57)는, 축 CL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게이지 너트(57)는,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체(39)는, 아래쪽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위쪽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램)(71)와, 탭(43)을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탭 유지 기구[탭 유지 기구는, 원기둥형의 탭 유지체(7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음]와, 아래쪽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위쪽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지지체(75)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위쪽 압압체 지지체(79)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압압체(81)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너 홀더(83)와,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동 블록(8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71)의 하부에는, 커버 부재(74)가 나사부(7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탭 유지체(73)마다 탭(43)을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너 홀더(83)와 구동 블록(85)은, 서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너 홀더(83)와 구동 블록(85)은, 이너 홀더(83)가 아우터 홀더(55)의 상부 내측에 진입하여 구동 블록(85)이 아우터 홀더(55)의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베어링(87)을 통하여 아우터 홀더(55)에 회전 가능하게(축 CL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 블록(85)의 외주에는, 홈(89)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89) 내에는, 릴리스 레버(91)가 축(9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태핑 금형(25)이, 상부 터릿(9)이나 태핑용 어댑터(21)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릴리스 레버(91)가 압축 코일 스프링(95) 등의 탄성체로 가압되어, 릴리스 레버(91)의 일부가, 아우터 홀더(55)의 상단에 형성된 홈(97)에 진입하여,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이너 홀더(83)와 구동 블록(85)이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과 태핑용 어댑터(21)에 설치하면, 릴리스 레버(91)의 다른 일부가, 기어 홀더(31)나 링 기어(29)의 내벽에 가압되어 회동하고, 릴리스 레버(91)의 상기 일부가, 아우터 홀더(55)의 상단에 형성된 홈(97)으로부터 나와,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이너 홀더(83)와 구동 블록(85)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71)의 내부 아래쪽에는, 탭 유지 기구[탭 유지체(73)]가 설치되어 있다. 탭 유지체(73)는, 이 탭 유지체(73)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99)이, 샤프트(71)에 설치되어 있는 키(101)에 결합됨으로써, 샤프트(71)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있고, 탭 유지체(73)가 상하 방향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탭 유지체(73)는, 압축 코일 스프링(103) 등의 탄성체로 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상태는, 샤프트(71)에 대하여 탭 유지체(73)[탭(43)]이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샤프트(71)는, 아래쪽에서 베어링(107)을 통하여 아우터 홀더(55)에 지지되어 있고,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축 CL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상태는,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샤프트(71)가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샤프트(71)의 하단에는, 링형의 칼라부(collar portion)(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부(109)의 상하 방향의 치수(두께)는 작게 되어 있다. 칼라부(109)에는 홈[절결(切缺)](1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111)이, 아우터 홀더(55)에 설치되어 있는 키(핀)[113]에 결합됨으로써,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샤프트(71)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샤프트(71)가 약간 하강하면, 칼라부(109)의 홈(111)이 아우터 홀더(55)의 키(113)로부터 벗어나, 샤프트(71)가 아우터 홀더(5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71)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의 외주에는, 마스터 나사(4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마스터 나사(45)가 게이지 너트(57)의 마스터 나사(41)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게이지 너트(57)에 대하여 샤프트(71)가 회전하면, 샤프트(71)[탭(43)]이 회전하면서 게이지 너트(5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71)의 위쪽의 부위는, 샤프트 지지체(75)의 내부에 진입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71)의 상부에는, 키(1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키(115)가, 샤프트 지지체(75)에 설치된 키홈(117)에 결합됨으로써, 샤프트 지지체(75)에 대하여 샤프트(71)가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샤프트 지지체(75)에 대하여 샤프트(7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체(75)의 하단은, 스러스트 베어링(120) 등의 베어링을 통하여, 게이지 너트(5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압압체(81)에 하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이 가해진 힘은, 베어링(119),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 샤프트 지지체(75), 베어링(120)을 거쳐, 게이지 너트(57)에 전달되고, 리프터 스프링(65)이 축소되어, 게이지 너트(57)[샤프트(71)]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체(75)는, 아래쪽이 이너 홀더(83)의 내부에 진입되어 있고, 샤프트 지지체(75)는, 이너 홀더(8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115)가, 이너 홀더(83)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121)에도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샤프트(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115)가, 이너 홀더(83)의 키홈(121)의 상부에서 이 키홈(121)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지만,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압압체(81)에 하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이너 홀더(83)에 대하여 샤프트 지지체(75)나 샤프트(71)가 하강하여, 샤프트(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115)가, 이너 홀더(83)의 키홈(121)에 결합되고, 샤프트(71) 하부의 키홈(111)이 아우터 홀더(55)의 키(113)로부터 이격되고, 이너 홀더(83)[구동 블록(85)]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71)[샤프트 지지체(75)나 탭(4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나사(41, 45)가 나사 결합되어 있으므로, 샤프트(71)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71)[탭(43)]가 하강하도록 되어 있다.
샤프트 지지체(75)의 상단에는,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의 위쪽에, 압압체(81)가 전술한 스러스트 베어링(119) 등의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의 상부 주변에는, 링형의 위쪽 압압체 지지체(7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위쪽 압압체 지지체(79)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압압체(81)가 아래쪽 압압체 지지체(77)로부터 위쪽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압압체 지지체(77, 79)의 외경은, 링 기어(29)의 내경이나 기어 홀더(31)의 관통공(21A)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나 태핑용 어댑터(21)에 설치한 상태에서, 스트라이커(15)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해, 각각의 압압체 지지체(77, 79)나 압압체(81)가, 링 기어(29)의 내측이나 기어 홀더(31)의 관통공(21A)의 내측으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구동 블록(85)이나 아우터 홀더(55)의 외경은,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의 관통공의 내경이나 링 기어(29)의 내경이나 기어 홀더(31)의 관통공(21A)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있고,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나 태핑용 어댑터(21)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동 블록(85)의 외주에는, 키(핀)(123)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키(123)가, 링 기어(29)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125)에 진입하여 결합되고(도 10 참조), 링 기어(29)가 회전하면, 구동 블록(85)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 홀더(31)의 관통공(21A)의 내측에도, 구동 블록(85)의 키(123)가 들어갈 수 있는 홈(127)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태핑 금형(25)의 구동 블록(85)의 키(123)는, 기어 홀더(31)의 관통공(21A)에 형성되어 있는 홈(127)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1의 좌측의 링 기어(29)가 회전해도 구동 블록(85)은 회전하지 않지만, 압압체(81)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 11의 좌측의 구동 블록(85)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이 키(123)가 링 기어(29)의 키홈(125)에 결합되고, 링 기어(29)의 회전에 의해 구동 블록(85)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의 우측에 나타낸 태핑 금형(25)에서는, 구동 블록(85)의 키(123)가 링 기어(29)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키홈(125)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11에 나타낸 상태인 채라도, 링 기어(29)의 회전에 의해 구동 블록(85)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1의 우측에 나타낸 태핑 금형(25)에서는, 압압체(81)가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구동 블록(85)이 아래쪽으로 이동해도, 구동 블록(85)의 키(123)는 링 기어(29)의 키홈(125)에 계속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압압체(81)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샤프트 지지체(75)나 샤프트(71)도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샤프트(71)의 하부의 키홈(111)이 아우터 홀더(55)의 키(113)로부터 벗어나, 샤프트(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키(115)가 이너 홀더(83)의 키홈(121)과 결합되고, 링 기어(29)[구동 블록(85)나 이너 홀더(83)]의 회전력이 샤프트(71)[탭(43)]에 전달되고, 샤프트(71)가 회전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태핑용 어댑터(21)에 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4개의 링 기어(29) 중에서, 대각선 상에 있는 한쌍의 링 기어[도 10에 나타낸 좌측 아래의 링 기어(29A)와 도 10에 나타낸 우측 위의 링 기어(29C)]의 각 톱니부는, 도 11의 우측에 나타낸 링 기어(29A)와 같이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4개의 링 기어(29) 중에서, 다른 대각선 상에 있는 한쌍의 링 기어[도 10에 나타낸 좌측 위의 링 기어(29B)와 도 10에 나타낸 우측 아래의 링 기어(29D)]의 각 톱니부는, 도 11의 좌측의 링 기어(29D)와 같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중간 기어(35)는, 평면에서 볼 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링 기어(29)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부 터릿(9)의 상부로서, 태핑용 어댑터(21)의 내측[상부 터릿(9)의 주위 방향으로 내측] 근방에는,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용 어댑터(23)에는, 예를 들면, 복수 개의(예를 들면, 2개의) 회전 입력축(129)[129A, 129B]이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회전 입력축(129)은, 기어열(131)을 사이에 두고 출력 기어(133)와 연동(連動)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입력축(129) 중 한쪽의 입력 축에, 터릿 펀칭 프레스(1)에 설치되어 있는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회전력이 입력됨으로써, 출력 기어(13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출력 기어(133)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링 기어(29) 중 1개의 링 기어(29C)와 맞물려 있다.
이로써, 회전 입력축(129)에 회전력이 입력되면, 각각의 링 기어(29)가, 예를 들면, 서로가 같은 회전각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홀더(55), 구동 블록(85), 릴리스 레버(91), 키(123), 각각의 압압체 지지체(77, 79)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아우터 홀더(55), 구동 블록(85), 릴리스 레버(91), 키(123), 각각의 압압체 지지체(77, 79)의 표면이 절연성의 피막으로 덮혀져 있다. 그리고, 태핑 금형(25)이, 기어 홀더(31)의 관통공과 링 기어(29)의 관통공과 상부 터릿(9)의 장착부(33)에 설치되었을 때, 태핑용 어댑터(21) 및 상부 터릿(9)에 대하여 회전체(39)[탭(43)]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터릿 펀칭 프레스(1)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 ~ 도 14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초기 상태로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터릿(9)이나 스트라이커(15)나 아래쪽 구멍 가공이 되어 있는 공작물 W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태핑 금형(25)의 회전체(39)는 상승단에 위치하고 있고,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로의 회전력이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상기 초기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의 제어 하에, 터릿 펀칭 프레스(1)의 스트라이커(15)가 하강하여, 도 12의 우측에 나타낸 태핑 금형(25)의 회전체(39)를 아래쪽에 누르면, 각 리프터 스프링(59, 65)이 축소되어, 우측의 태핑 금형(25)의 회전체(39)가 하강한다.
이어서,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를 통하여 회전체(39)를 회전시키면, 리프터 스프링(65)이 축소되어, 도 13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43)으로 공작물 W에 태핑 가공을 행한다.
이 후, 태핑 유닛 회전 구동용 어댑터(23)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39)를 역회전시키고,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 하여, 다음의 탭 가공을 위해 공작물 W를 이동 위치결정하고, 이 이동 위치 결정 후에 상기 다음의 탭 가공을 행한다.
전술한 동작을 타임 차트로 나타내면 도 14의 (a)와 같이 된다.
그리고, 도 14의 (a) 및 도 14의 (b)에 있어서, PL은 공작물 W가 이동하는 패스 라인, 도면 중의 세로축 방향 TH는 탭 높이, 도면 중의 가로축 방향 T는 시각(時刻), RS는 램 스트로크(ram stroke), TR은 탭 회전, XM은 축 이동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1개의 탭 가공을 행한 후, 회전체(39)를 역회전시키고, 도 12에 나타낸 상태로 하고, 이 후, 터릿 펀칭 프레스(1)의 스트라이커(15)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 하고 나서 다음의 탭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도 14의 (b) 참조)].
그리고, 상기 동작의 설명에서는, 4개의 태핑 금형 중에서 링 기어(29A)에 설치되어 있는 태핑 금형을 이용하여 탭 가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링 기어(29D)에 설치되어 있는 태핑 금형 등 다른 태핑 금형(25)을 사용하여 공작물 W에 탭 가공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터릿 펀칭 프레스(1)에 의하면, 상부 터릿(9)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태핑용 어댑터(21)를, 상부 터릿(9)에 설치하면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편, 태핑용 어댑터(21)가 상부 터릿(9)으로부터 분리되어져 있으면 상부 터릿(9)에 펀칭 금형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1대의 터릿 펀칭 프레스(1)로 다양한 가공에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태핑용 어댑터(21)에 의하면, 각각의 링 기어(29)가 서로 겹쳐져 있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 겹쳐져 있는 부분을 따라 태핑용 어댑터(21)를 소형화할 수 있어,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태핑용 어댑터(21)는, 태핑 금형 전용의 어댑터가 아니고 펀칭 금형의 어댑터로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태핑용 어댑터(21)를 분리해 내고, 상부 터릿(9)에 직접 펀칭 금형을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가공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만, 이외에 태핑용 어댑터(21)를 분리해 내지 않고 태핑 금형(25) 대신에 펀칭 금형을 태핑용 어댑터(21)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태핑 금형(25) 대신에 펀칭 금형을 이 태핑용 어댑터(21)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에는, 펀칭 금형에는 링 기어(29)의 내주에 형성되는 키홈(125)에 결합되는 핀(123)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링 기어(29)를 회전시켜도 펀칭 금형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회전시키지 않고, 소정 각도에서의 소정의 금형 형상의 펀칭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태핑용 어댑터(21)의 4개의 스테이션중 2개에 태핑 금형을, 다른 2개에 펀칭 금형을 삽입하도록 한 탭과 펀칭의 겸용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가공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태핑용 어댑터(21)의 복수 개의 스테이션 중 몇 개의 스테이션에 태핑 금형을 설치하고, 다른 몇 개의 스테이션에 펀칭 금형을 삽입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으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일 때 태핑 금형(25)의 회전체(39)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에 설치할 때, 태핑 금형(25)의 통형체(37)에 대한 회전체(39)의 회전 각도(위상)를 맞출 필요가 없어져, 상부 터릿(9)에 대한 태핑 금형(25)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태핑 금형(25)을 상부 터릿(9)에 장착했을 때, 상부 터릿(9)에 대하여 태핑 금형(25)의 회전체(39)와 이 회전체(39)에 설치되어 있는 탭(43)이, 상부 터릿(9)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므로, 예를 들면, 공작물 W에 대한 탭 가공을 행할 때, 터치 센서를 사용하여, 공작물 W에 탭(43)이 접촉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탭 다이로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태핑 금형과 협동하는 탭 다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5 ~ 도 18의 (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탭 다이(301)는, 일반적인 탭 다이와 마찬가지로, 펀칭 프레스에서의 다이 홀더(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다이 본체(30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다이 본체(3) 내에는, 탭 금형(25)(도 11 참조)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43)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305)를 구비한 내통(307)이 상하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이 본체(303)는 상기 다이 홀더에 구비한 다이 장착공(도시하지 않음) 내에, 미소 간극을 지지하여 장착 및 분리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며, 이 다이 본체(303)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이 장착공과 연통 개구된 연통구(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주위홈(309)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다이 본체(303)의 복수 개소에는, 상기 주위홈(309)과 연통되고, 또한 내측으로 관통된 에어 공급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구는 접속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에어 소스(도시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고, 이 접속로에는, 에어의 흐름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유체 센서의 일례로서의 플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로 스위치는, 상기 접속로 내에 대량의 에어가 흐르고 있을 때는 ON 동작하고, 상기 접속로 내에 대량의 에어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는 OFF 동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이 장착공과 다이 본체(3)와의 사이의 미소 간극으로부터 유출되는 소량의 에어의 흐름에 의해서는 ON 동작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플로 스위치의 ON 동작, OFF 동작에 의해 상기 접속로에 대량의 에어가 흐르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플로 스위치는 공지의 구성의 것이면 되므로, 플로 스위치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이 본체(303)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내통(7)의 외경은, 다이 본체(303)와 내통(307)과의 사이로의 절삭칩의 침입(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다이 본체(303) 및 다이 본체(303)의 상부에 볼트 등의 고정구(313)를 통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한 가압링(315)의 내경과 거의 같게 형성하고 있다. 즉, 다이 본체(303), 가압링(315)과 내통(307)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절삭칩이 침입할 수 없는 미소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상 시에 있어서의 내통(307)의 상단부[상면(30)](7U)는 상기 가압링(315)의 상단부(상면)[315U]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다이 본체(303)에 대하여 상기 내통(307)을 항상 상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내통(307)의 복수 개소에 구비한 회전 방지 키(317)와 상기 다이 본체(3)의 저부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319)[도 18의 (b) 참조]가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방지 키(317)가 상기 가압링(315)의 하면과 맞닿음으로써 상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고 있다.
상기 탭 접촉 부재(305)는, 상기 내통(307)의 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직경 방향)으로 긴 판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상기 내통(307)의 상단부 측에 장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탭 접촉 부재(305)는 상기 내통(307)의 상부에 형성한 직경 방향의 결합홈(321)에 양단의 돌출부를 결합한 상태에 있고, 상기 내통(307)에 직경 방향으로 나사 결합한 멈춤 나사(323)에 의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탭 접촉 부재(305)의 상면(305U)은 상기 내통(307)의 상단부(307U)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상면(305U)은, 절삭칩이 떨어지지 쉽게 하기 위해, 탭 접촉 부재(305)의 두께 방향의 양쪽이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탭 접촉 부재(305)의 상하 방향의 폭 치수는, 절삭칩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두께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탭 금형에 구비한 탭에 의한 태핑 가공에 의해 긴 나선형으로 생기는 절삭칩이 감기거나 엉켜 붙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탭 접촉 부재(305)의 상하 방향의 폭 치수는 두께 치수의 수배로부터 수십배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내통(307)의 외주면에는, 상기 다이 본체(303)에 구비한 상기 에어 공급구(311)와 연통 차단 가능한 연통부(325A, 325B)를 상하 복수단에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통(7)이 상기 에어 공급구(311)와 대응한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오목부(32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325)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볼록부로서의 설형(舌形)의 랜드부(325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오목부(325)의 일측부를 위쪽의 상기 연통부(325A)와 아래쪽의 상기 연통부(325B)에 구획한 태양의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내통(7)의 내주면에 하방향으로 지향(指向)하여 형성된 에어 분출공(327)[도 18의 (a) 참조]이 상기 오목부(325)와 연통되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연통부(325A, 325B)가 상하로 구획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오목부(325)의 일측부에 구비한 구성인 것에 의해, 에어 분출구(327)는 공통이며,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탭 다이(301)를, 펀칭 프레스에 구비한 다이 홀더의 다이 장착공 내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7의 (a) ~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319)의 가압력에 의해 내통(7)은 가장 상승된 상태에 있고, 내통(307)의 상단부(상면)(307U)는 다이 본체(303)의 상단부 즉 가압링(315)의 상단부(상면)(315U)와 거의 일치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 본체(3)에 구비된 에어 공급구(311)는, 도 17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통(307)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325)의 아래쪽의 연통부(325B)와 연통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에어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는, 내통(307)에 구비한 에어 분출공(27)으로부터 내통(307) 내의 하방향으로 지향하여 분사되어 내통(307)의 상부로부터 내통(307) 내로 에어를 흡인하는 작용이 생기게 된다. 또한, 에어 소스와 접속된 접속로에 구비한 유체 센서로서의 플로 스위치는 ON 동작 상태에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307)이 가장 상승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탭 다이(301) 상에 공작물의 아래쪽 구멍을 위치결정하고, 이 아래쪽 구멍에 태핑 가공을 행하기 위해, 펀칭 프레스에 구비한 램(스트라이커)에 의해 탭 금형을 소정의 높이 위치로 하강시키고, 이 탭 금형에 의해 공작물을 탭 다이(301)에서의 상기 가압링(315)의 상면에 압압 고정한 후, 또는 탭 금형을 공작물로부터 약간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여, 탭 금형에 구비한 탭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하강시킴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탭 금형과 마찬가지로, 상기 탭에 의해 공작물의 아래쪽 구멍에 태핑 가공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물의 아래쪽 구멍에 태핑 가공을 행할 때, 탭(343)의 하단부가 탭 접촉 부재(305)와 맞닿으면, 도 19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그리고, 도 19의 (a) ~ 도 20의 (b)에 있어서는, 공작물을 도시하지 않음), 내통(307)은 탄성 부재(319)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점차로 하강된다. 그리고, 내통(307)의 외주면에 형성한 아래쪽의 연통부(325B)와 다이 본체(303)에 구비한 에어 공급구(311)와의 연통 상태가 점차로 차단되게 된다. 즉, 상기 에어 공급구(311)는 랜드부(325C)와 대응하여 연통이 차단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 본체(303)에 설치한 에어 공급구(311)가 내통(307)의 랜드부(325C)와 대응한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에어 공급구(311)가 상기 랜드부(325C)와 대응하여 연통이 차단된 상태에 있을 때는, 펀칭 프레스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한 램이 미리 설정된 하강 위치로 하강한 상태에 있고, 또한 태핑 금형에 구비되어 있는 탭이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고, 이 회전수와 탭의 피치와의 관계에 있어서 소정의 높이 위치로부터 규정의 스트로크 길이만큼 하강한 상태에 있을 때이다. 즉, 미리 규정된 스트로크 길이를 가지고 탭(43) 및 내통(307)이 가장 하강되었을 때이다. 이와 같이 탭(43)이 가장 아래로 하강된 후, 탭(43)을 역회전하는 동시에 상기 램을 상승시킴으로써, 공작물의 아래쪽 구멍에 대한 태핑 가공이 종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탭(43)이 정회전으로부터 역회전으로 변화되어, 최하강 위치로부터 상승할 때, 유체 센서로서의 플로 스위치가 ON-OFF-ON의 동작을 행할 때는, 정상적인 태핑 가공이 행해진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탭(43)이 정회전하여 하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플로 스위치가 OFF 상태로 되지 않고 ON 상태가 계속되고 있을 때는, 탭이 탭 접촉 부재(305)와 맞닿아 있지 않은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어, 탭이 파손되어 있거나, 또는 탭 금형에 탭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 혹은 탭이 규정 길이보다 짧은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43)의 정회전, 역회전의 동작 시에, 플로 스위치가 ON, OFF, OFF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시에는, 탭은 하강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탭이 공작물로부터 상방향으로 빠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탭(43)의 정회전, 역회전의 동작 시에, OFF, OFF, OFF 상태에 있을 때는, 내통(307)이 이미 하강한 상태에 있어, 슬라이드 이동 불량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탭(43)이 정회전하여 하강 시에, 플로 스위치 상태가 ON, OFF, ON 상태로 변화되었을 때는, 탭 금형에 구비한 탭이, 규정된 탭보다 대경의 탭인 것, 또는 탭의 길이가 규정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서 검지할 수 있다. 즉, 도 19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탭(43)이 하강되어 탭 접촉 부재(305)를 내리누르면, 도 19의 (c), 도 20의 (a)의 상태에 있어서는, 다이 본체(303)에 설치한 에어 공급구(311)는 내통(307)의 랜드부(325C)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 있고, 플로 스위치는 OFF 동작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탭(43)이 최하강 위치로 다시 하강하는 경우, 내통(7)은 탭(43)에 의해 다시 하강하고, 내통(307)의 외주면에 형성한 오목부(25)에서의 위쪽의 연통부(325A)가 다이 본체(303)에 설치한 에어 공급구(311)와 연통되게 되어, 플로 스위치는 ON 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탭의 하강 동작 시에, 플로 스위치가 ON, OFF, ON의 동작을 행한 경우에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로서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탭 금형을, 규정의 탭을 구비한 탭 금형, 또는 탭을 규정 길이의 탭으로 교체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작물의 아래쪽 구멍에 대하여 태핑 가공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생긴 절삭칩은, 내통(307) 내로 낙하하는 것이다. 이 때, 절삭칩의 일부는 탭 접촉 부재(305)의 상면(305U)에 잔류하는 경향이 있지만, 상기 상면(305U)은 탭 접촉 부재(305)의 두께 방향의 양쪽이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면(305U)에 잔류하지 않고 낙하되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긴 나선형의 절삭칩은, 상기 탭 접촉 부재(305)에 감기거나, 엉키는 경향이 있지만, 탭 접촉 부재(305)의 상하 방향의 폭 치수는, 절삭칩이 감기거나, 엉킬 수 없는 큰 폭 치수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탭 접촉 부재(305)에 대한 절삭칩이 감기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통(307)의 외경은, 탭 본체(303)의 내경과 거의 같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통상 시에 있어서는, 내통(307)의 상단부(상면)(307U)은 탭 본체(303)의 상단부, 즉 가압링(15)의 상단부(상면)(315U)와 거의 일치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므로, 탭 본체(303)와 내통(307)과의 사이에 절삭칩이 침입하지 않아, 탭 본체(303)에 대한 내통(307)의 상하 이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탭 다이(301)에 의하면, 태핑 가공 시에 생긴 절삭칩의 배출성이 향상되어, 다이 본체(303)에 대한 내통(307)의 원활한 상하 이동이 저해되지 않게 된다. 또한, 탭 다이(301)에서의 내통(307) 내로의 에어의 공급 상태를 유체 센서에 의해 검지할 수 있고, 또한 내통(307)이 펀칭 프레스에서의 탭에 의해 하강되어 있을 때, 상기 유체 센서에 ON, OFF, ON의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어,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체 센서가 접속로 내의 에어의 흐름을 검지하는 플로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압력 스위치와는 상이하고, 압력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에어의 흐름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어, 다이 본체(303)에 구비한 에어 공급구(311)의 연통, 차단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일본특허출원 제2008-178029호(2008년 7월 8일 출원), 일본특허출원 제2008-238289호(2008년 9월 17일 출원) 및 일본특허출원 제2008-238293호(2008년 9월 17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경을 행함으로써, 그 외에 각종 태양으로 실시 가능하다.

Claims (13)

  1. 터릿 펀칭 프레스(turret punch press)에 사용되는 태핑(tapping)용 어댑터로서,
    태핑 금형을 장착 가능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설치하고, 상기 터릿 펀칭 프레스의 터릿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상기 설치된 링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릿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기어 홀더
    를 포함하는, 태핑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가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톱니부는,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회전 중심축의 연신(延伸) 방향으로는 서로가 이격되어 있고,
    한편, 상기 각각의 링 기어의 회전 중심축의 연신 방향으로부터 보면, 상기 각각의 링 기어 중 1개의 링 기어의 톱니부의 일부와, 상기 각각의 링 기어 중 다른 1개의 링 기어의 톱니부의 일부가 서로 겹쳐져 있고,
    상기 기어 홀더에는, 상기 각각의 링 기어와 서로 맞물려 있는 중간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태핑용 어댑터.
  3. 태핑 금형을 장착 가능한 링 기어와, 상기 링 기어를 설치하고, 터릿 펀칭 프레스의 터릿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펀치 장착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상기 링 기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릿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기어 홀더를 포함하는 태핑용 어댑터에 장착 가능한 태핑 금형으로서,
    내주에 마스터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링 기어의 관통공과 상기 터릿의 장착부에 설치되는 통형체와,
    탭을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통형체의 마스터 나사와 나사결합되는 마스터 나사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스터 나사가 상기 통형체의 마스터 나사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통형체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링 기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이 회전 중심축의 연신 방향으로 이동하는 회전체
    를 포함하는, 태핑 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릿으로부터 분리해 냈을 때, 상기 통형체에 대한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을 더 포함하는, 태핑 금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 금형은, 상기 링 기어의 관통공과 상기 터릿의 장착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태핑용 어댑터 및 상기 터릿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태핑 금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태핑 금형은, 상기 링 기어의 관통공과 상기 터릿의 장착부에 설치되었을 때, 상기 태핑용 어댑터 및 상기 터릿에 대하여, 상기 회전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태핑 금형.
  7.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로서,
    통형의 다이 본체와,
    상기 다이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押壓)되는 탭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내통
    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상 시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단부는 상기 다이 본체의 상단부와 거의 동일 높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는 판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는, 상기 탭 접촉 부재의 판두께 치수보다 상하 방향의 폭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탭 다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촉 부재의 상면은, 상기 내통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탭 접촉 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내통에 구비된 에어 분출공보다 위쪽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탭 다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촉 부재의 상면은, 상기 탭 접촉 부재의 두께 방향의 양쪽이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탭 다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탭 접촉 부재의 상면은, 상기 탭 접촉 부재의 두께 방향의 양쪽이 낮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탭 다이.
  11.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에 장착되어 있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의 통형의 다이 본체 내에,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를 구비한 내통을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 본체에 구비한 에어 공급구와 연통 차단 가능한 연통부를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상하 복수단에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연통부와의 연통 차단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유체(流體) 센서를, 에어 소스와 상기 에어 공급구를 접속한 접속로에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탭 금형에 구비한 탭의 하강 동작 시에, 상기 유체 센서가 ON, OFF, ON의 동작을 했을 때 탭의 오버 스트로크인 것으로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탭의 오버 스트로크를 검출 방법.
  12. 펀칭 프레스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탭 금형과 협동하여 사용되는 탭 다이로서,
    통형의 다이 본체와,
    상기 탭 금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탭에 의해 하방향으로 압압되는 탭 접촉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통형의 다이 본체 내에 설치되고, 상기 다이 본체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내통과,
    상기 다이 본체에 구비된 에어 공급구와,
    상기 에어 공급구와 연통 차단 가능하고,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상하 복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통부
    를 포함하는, 탭 다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복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통부는,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의 일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탭 다이.
KR1020117000442A 2008-07-08 2009-07-07 태핑용 어댑터 및 태핑 금형 KR101257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8029 2008-07-08
JP2008178029A JP5135090B2 (ja) 2008-07-08 2008-07-08 タッピング用アダプタおよびタッピング金型
JP2008238293A JP5193767B2 (ja) 2008-09-17 2008-09-17 タップのオーバーストローク検出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タップダイ
JPJP-P-2008-238293 2008-09-17
JP2008238289A JP5385573B2 (ja) 2008-09-17 2008-09-17 タップダイ
JPJP-P-2008-238289 2008-09-17
PCT/JP2009/062347 WO2010004980A1 (ja) 2008-07-08 2009-07-07 タッピング用アダプタ、タッピング金型、タップダイ及びタップのオーバーストローク検出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20A Division KR101325003B1 (ko) 2008-07-08 2009-07-07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탭 다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419A true KR20110018419A (ko) 2011-02-23
KR101257249B1 KR101257249B1 (ko) 2013-04-23

Family

ID=415070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20A KR101325003B1 (ko) 2008-07-08 2009-07-07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탭 다이
KR1020117000442A KR101257249B1 (ko) 2008-07-08 2009-07-07 태핑용 어댑터 및 태핑 금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620A KR101325003B1 (ko) 2008-07-08 2009-07-07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탭 다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283632B2 (ko)
EP (3) EP2492039B1 (ko)
KR (2) KR101325003B1 (ko)
CN (2) CN102089109B (ko)
TW (1) TWI380865B (ko)
WO (1) WO20100049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8057A1 (en) * 2011-09-16 2013-03-21 Hamilon Sundstrand Corporation Idler gear assembly for a generator
JP5836099B2 (ja) * 2011-12-12 2015-12-24 株式会社アマダホールディングス タップ加工装置及び加工異常判定方法
CN106573287B (zh) * 2014-08-12 2019-12-06 帕斯斯坦兹特奇尼克股份有限公司 复式工具
DE102014215951A1 (de) * 2014-08-12 2016-02-18 Pass Stanztechnik Ag Mehrfachwerkzeug
DE102015005486A1 (de) * 2014-10-21 2016-04-21 Ehrt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Ausbildung eines Gewindes in einem Werkstück
KR101686995B1 (ko) 2015-07-08 2016-12-16 주식회사 케이티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를 이용하는 IPSec VPN 장치, IPSec VPN 시스템 및 IPSec VPN 방법
DE102015219416B3 (de) * 2015-10-07 2017-03-02 Pass Stanztechnik Ag Mehrfachwerkzeug für eine Stanzvorrichtung und Stanzvorrichtung mit einem entsprechenden Mehrfachwerkzeug
DE102017210463A1 (de) 2017-06-22 2018-12-27 Pass Stanztechnik Ag Bohrwerkzeug
CN112077397B (zh) * 2020-09-10 2021-10-22 嘉兴博睿创业服务有限公司 具有超行程检测机构的防丝锥折断攻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5233A (en) * 1950-04-12 1955-08-16 Clark Kendall Punch press operated screw cutting tool
US3193859A (en) * 1962-07-13 1965-07-13 Pfister William Henry Thread tapping device rotatable by reciprocating press
BE788734A (fr) * 1971-09-13 1973-01-02 Amada Ltd Us Tete de taraudage pour perceuse
JPS6150705A (ja) * 1984-08-11 1986-03-13 Nissan Motor Co Ltd タレツト型切削加工ユニツトのクラツチ機構
FR2577155B1 (fr) * 1985-02-12 1987-10-30 Ademva Dispositif automatique de taraudage sur presse
US4658688A (en) * 1985-09-13 1987-04-21 Strippit/Di-Acro - Houdaille, Inc. Rotary punch and die holders for turret punches
FR2587637B1 (fr) * 1985-09-20 1990-01-19 Telemecanique Electrique Procede de taraudage sur presse et appareil pour sa mise en oeuvre
US4692072A (en) * 1986-07-25 1987-09-08 Automated Tapping Systems Inc. Tapping device for reciprocative press
SU1430196A1 (ru) * 1986-07-25 1988-10-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8071 Дыропробивной револьверный пресс
JPH0450984Y2 (ko) * 1987-12-25 1992-12-01
JPH0829371B2 (ja) * 1990-05-14 1996-03-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複合加工機械
JPH0453626A (ja) 1990-06-20 1992-02-21 Amada Co Ltd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タッピング装置
JPH06126533A (ja) * 1992-10-20 1994-05-10 Murata Mach Ltd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JPH06126532A (ja) * 1992-10-20 1994-05-10 Murata Mach Ltd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JPH06218625A (ja) * 1993-01-21 1994-08-09 Murata Mach Ltd タレットパンチのタップ装置
IT1264302B1 (it) * 1993-12-24 1996-09-23 Rainer Srl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una lamiera.
JP2981138B2 (ja) * 1994-02-02 1999-11-22 株式会社アマダメトレックス 直線運動を回転運動に変換する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プレス機械用回転工具装置
CN1127689A (zh) * 1995-01-26 1996-07-31 大昭和精机株式会社 攻丝机构
JP3703893B2 (ja) * 1995-06-02 2005-10-05 株式会社アマダ 板材加工機におけるタッピング装置
JP3696660B2 (ja) * 1995-07-19 2005-09-21 株式会社アマダ パンチプレス
JPH09108942A (ja) * 1995-10-19 1997-04-28 Amada Co Ltd タッピング装置
JP2792503B2 (ja) * 1996-03-29 1998-09-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用タッピングユニット
JP3201286B2 (ja) * 1996-10-03 2001-08-20 村田機械株式会社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JPH10244327A (ja) 1997-02-28 1998-09-14 Mate Precision Tooling Inc パンチユニット
JP4053626B2 (ja) * 1997-03-11 2008-02-2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面光源装置並びに非対称プリズムシート
US6047621A (en) * 1998-02-27 2000-04-11 Elba Electronetics, Inc. Quick change adjustable punch tool assembly and method of adjustment
JP2000288835A (ja) * 1999-03-31 2000-10-17 Amada Co Ltd 板材加工機におけるタッピング装置
JP2001232518A (ja) * 2000-02-21 2001-08-28 Amada Co Ltd マルチタッピ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340923A (ja) * 2000-05-30 2001-12-11 Nisshinbo Ind Inc パンチプレス機におけるストリップミス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JP4516733B2 (ja) 2002-10-28 2010-08-04 株式会社アマダ タッピング方法及びタッピング装置並びにパンチプレス
DE10393603B4 (de) * 2002-10-28 2017-11-23 Amada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ewindeschneiden und Stanzpresse
CN1708375A (zh) * 2002-10-28 2005-12-14 株式会社阿玛达 攻丝方法和攻丝装置以及冲床
JP4390476B2 (ja) * 2003-05-15 2009-12-24 株式会社アマダ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工具判別方法及び装置
US6916310B2 (en) 2003-05-30 2005-07-12 Codman & Shurtleff, Inc. Percutaneous access device
CN2792676Y (zh) * 2005-06-14 2006-07-05 远瞻动力科技有限公司 可同步攻制不同孔径的攻牙装置
US7802506B2 (en) * 2005-07-04 2010-09-28 Amada Company, Limited Upper tool device and punch therefor
JP2007075889A (ja) 2005-09-16 2007-03-29 Amada Co Ltd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
JP5034378B2 (ja) * 2006-08-29 2012-09-26 村田機械株式会社 タッピング機能装備パンチプレス
CN201023194Y (zh) * 2006-11-18 2008-02-20 斯瑜彪 一种用于双头攻丝机的进给机构
JP5018101B2 (ja) 2007-01-22 2012-09-05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通信同期方法および通信端末
JP2008238293A (ja) 2007-03-26 2008-10-09 Hitachi Koki Co Ltd 打込機
JP5099413B2 (ja) 2007-03-26 2012-12-19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
JP2010017797A (ja) * 2008-07-09 2010-01-28 Amada Co Ltd タッピング用金型およびタッピング用金型設置機構
JP5374101B2 (ja) * 2008-09-17 2013-12-25 株式会社アマダ タッピング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2039A1 (en) 2012-08-29
US9283632B2 (en) 2016-03-15
KR20130004595A (ko) 2013-01-11
WO2010004980A1 (ja) 2010-01-14
EP2492039B1 (en) 2013-09-18
US20110116881A1 (en) 2011-05-19
EP2311592A4 (en) 2011-11-16
TWI380865B (zh) 2013-01-01
US20150056035A1 (en) 2015-02-26
EP2311592A1 (en) 2011-04-20
CN103084465B (zh) 2015-02-18
EP2492040A1 (en) 2012-08-29
EP2311592B1 (en) 2013-10-23
CN102089109A (zh) 2011-06-08
US9533364B2 (en) 2017-01-03
EP2492040B1 (en) 2013-09-18
CN103084465A (zh) 2013-05-08
TW201006594A (en) 2010-02-16
KR101257249B1 (ko) 2013-04-23
KR101325003B1 (ko) 2013-11-04
CN102089109B (zh)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5003B1 (ko)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탭 다이
CN110935785A (zh) 一种多工位门板冲孔机
CN102091938B (zh) 攻丝方法和攻丝装置以及冲床
CN201664734U (zh) 工件的定位装置
KR20110071868A (ko) 공작기계의 어태치먼트
KR102183303B1 (ko)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JP6734257B2 (ja) 複合工具
CN211938623U (zh) 一种多工位门板冲孔机
JP5374101B2 (ja) タッピング金型
CN113369557B (zh) 一种数控机床加工用方便更换的切削刀具
JP4516733B2 (ja) タッピング方法及びタッピング装置並びにパンチプレス
JP6047821B2 (ja) パンチ金型
JP3773505B2 (ja) ストリップ形状ブランクパンチプレス機への断続的供給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101343108B1 (ko) 머시닝 센터의 2축 스핀들 구조
CN107052857B (zh) 自动卸料与清理的分度夹具
JPH0214901Y2 (ko)
JP5385573B2 (ja) タップダイ
JP2010017780A (ja) タッピング用アダプタおよびタッピング金型
CN102527826A (zh) 一种多孔模的上模
JP5193767B2 (ja) タップのオーバーストローク検出方法及び同方法に使用するタップダイ
EP0850708A1 (en) Sheet metal punching machine
CN116213546A (zh) 一种适配不同孔径以及孔距的冲切装置
KR20050008899A (ko) 멀티 피어싱 장치
JP2007038300A (ja) パンチプレ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