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03B1 -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 Google Patents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303B1
KR102183303B1 KR1020200086514A KR20200086514A KR102183303B1 KR 102183303 B1 KR102183303 B1 KR 102183303B1 KR 1020200086514 A KR1020200086514 A KR 1020200086514A KR 20200086514 A KR20200086514 A KR 20200086514A KR 102183303 B1 KR102183303 B1 KR 10218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apping
rack
base material
shape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규
배국진
김상영
노홍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102020008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20Deep-dra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앤피니언 모듈(110)을 포함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판형모재(P)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판형모재(P)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가이드부(122)를 포함하는, 하형홀더(120); 하형홀더(120)와 마주보되, 하형홀더(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형홀더(130)로서, 하형홀더(120)로부터 승하강 운동하며, 랙앤피니언 모듈(110)과 연결되는, 상형홀더(130);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로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랙(111) 및 랙(111)과 맞물려 랙(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112)을 포함하고, 랙(111)은 상형홀더(130)와 결합됨으로써, 상형홀더(130)와 일체로 승하강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 및 하형홀더(120) 측에 위치되며,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된 태핑유닛(140)로서, 판형모재(P)의 하측에서 구비되어 판형모재(P)의 일 측에 태핑홀을 타공하는, 태핑유닛(140); 를 포함하며, 랙앤피니언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부를 포함하며, 기어부는 태핑유닛(140)과 연동되어 피니언(11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태핑유닛(140)으로 전달하며,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하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태핑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Progressive mold system with rack and pinion modules}
본 발명은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으로서, 랙의 상하운동 및 피니언의 회전 운동을 이용하되, 다수의 기어를 이용하여 상형홀더의 승하강과 태핑과정을 연동시킨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프로그레시브 금형은 하나의 제품에 다수의 공정이 필요할 때에 다수의 금형과 다수의 프레스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금형 내부에 일정한 피치(pitch)로 다이와 펀치를 배열해서 피치가 이송이 될 때마다, 하나의 공정이 이루어져 최종 스테이지가 끝났을 때 하나의 제품이 나오는 금형을 의미한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에 의해서 각각의 공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패널 등에 장착하기 위한 작업대상물 등이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금형 프레스는, 크게 하형이 장착되는 다이와 상형이 장착되어 승강운동을 하는 해머로 이루어지며, 해머의 움직임과 상형 및 하형의 구성에 따라 모따기, 천공, 절곡, 절단 등의 작업을 수행하여 여러 가지 모양의 판재와 같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이다.
각종 부속을 금형 프레스로 제작할 때 이들 간의 결합을 위해서, 나사산을 형성하는 태핑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러한 태핑 작업을 별도의 작업으로 구분하여 수행하는 실정인 바, 시간 및 인력의 손실이 매우 큰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의 한국등록특허 제10-1520925호인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태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형홀더의 승강을 감지하고, 감지된 승강정보를 통해, 구동모터를 동작시켜 태핑 공구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개시한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은 센서와 관련된 특유의 문제가 있다. 센서의 센싱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 구동모터 및 태핑 공구의 동작 에러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태핑 공구를 별도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동작시키는 바, 소비에너지를 절감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520925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488884호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1266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태핑 작업을 별도의 작업으로 구분하여 수행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모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드로잉 과정 및 태핑 작업이 함께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태핑 작업에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드로잉 과정에서 수행되는 상형홀더 또는 하형홀더의 상하 운동과 연동시킴으로써, 소비 에너지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동력원 사용에 따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태핑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시키고, 태핑 작업의 정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랙앤피니언 모듈(110)을 포함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판형모재(P)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판형모재(P)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가이드부(122)를 포함하는, 하형홀더(120); 상기 하형홀더(120)와 마주보되, 상기 하형홀더(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형홀더(130)로서, 상기 하형홀더(120)로부터 승하강 운동하며, 상기 랙앤피니언 모듈(110)과 연결되는, 상형홀더(130); 상기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로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랙(111) 및 상기 랙(111)과 맞물려 상기 랙(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112)을 포함하고, 상기 랙(111)은 상기 상형홀더(1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형홀더(130)와 일체로 승하강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 및 상기 하형홀더(120) 측에 위치되며,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된 태핑유닛(140)로서, 상기 판형모재(P)의 하측에서 구비되어 상기 판형모재(P)의 일 측에 태핑홀을 타공하는, 태핑유닛(140); 를 포함하며, 상기 랙앤피니언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태핑유닛(140)과 연동되어 상기 피니언(11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태핑유닛(140)으로 전달하며, 상기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상기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기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하며, 상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상기 태핑유닛(140)은 상기 제1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태핑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피니언(11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기어(113); 상기 제1 기어(113)와 맞물리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베벨기어 방식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제2 기어(114);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기어(114)의 회전축인 베벨샤프트(115)로서, 상기 제2 기어(114)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11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베벨샤프트(115); 및 상기 베벨샤프트(115)를 회전축으로 하며, 상기 베벨샤프트(115)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114)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 기어(116); 를 포함하고, 상기 태핑유닛(140)은,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탭샤프트(142)를 포함하고, 상기 탭샤프트(142)의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되며, 상기 태핑팁(141)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탭샤프트(14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탭샤프트(142)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에 위치되는 제4 기어(117)로서, 일 측은 상기 제3 기어(116)와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탭샤프트(142)에 구비된 탭기어(143)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상기 탭기어(143)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4 기어(11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기어(117)는, 상기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샤프트(142)는, 상기 제4 기어(117)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17)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탭샤프트(142)는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형홀더(13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17)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탭샤프트(142)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기어(143) 및 탭샤프트(142)는, 결합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탭기어(14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탭샤프트(142)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탭기어(143)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탭샤프트(142)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판형모재(P)의 이송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판형모재(P)의 일 측이 안착되는 안착슬릿(122a)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모재(P)의 양 가장자리 측은 상기 안착슬릿(122a)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형홀더(120) 상부에는, 기설정된 형상의 드로잉부(123)가 장착된 다이모듈(121)이 더 구비되며, 상기 드로잉부(123)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위 또는 하방을 향해 만입되는 만입부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위의 최고 높이는 상기 안착슬릿(122a)의 높이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모듈(121)에 형성된 드로잉부(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펀칭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잉부(123) 및 상기 펀칭부(131)는 상호 계합(契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형홀더(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1);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은, 상기 하형홀더(12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형홀더(120) 및 베이스프레임(101) 사이의 공간(S)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S)의 수직거리는, 상기 랙(111)의 하방 최대거리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형모재(P)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모듈(15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모듈(150)은, 한 쌍의 공급롤러(152)를 이용하여 상기 판형모재(P)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공급롤러(152)는 공급기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상기 공급기어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상기 공급기어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상기 판형모재(P)를 전진시키는 이송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상기 공급모듈(150) 및 상기 상형홀더(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6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부면 중 상기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판형모재(P)에 타공된 태핑홀의 태핑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135); 및 상기 태핑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송풍하는 블로잉부(13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센서부(135)로부터 태핑홀의 태핑상태의 이상유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태핑홀의 태핑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급모듈(150)의 동작을 중지시켜 상기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을 다시 반복시키고, 상기 블로잉부(137)는, 상기 상형홀더(130)가 승강 운동할 때, 기 타공된 태핑홀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형홀더(130) 중 상기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부위에는, 상기 태핑팁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입된 태핑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핑유닛(140)의 하부에는 탄성수단(144)이 구비되며, 상기 상형홀더(130)는, 하강시 상기 판형모재(P)를 가압한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상기 판형모재(P)의 하부는 상기 태핑유닛(140)으로부터 지지되되, 상기 탄성수단(144)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본 발명은 태핑 작업을 별도의 작업으로 구분하여 수행하던 종래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모재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드로잉 과정 및 태핑 작업이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태핑 작업에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드로잉 과정에서 수행되는 상형홀더 또는 하형홀더의 상하 운동과 연동시킴으로써, 소비 에너지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동력원 사용에 따른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제어모듈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을 제어함으로써, 태핑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최소화시키고, 태핑 작업의 정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에 적용된 랙앤피니언모듈 및 태핑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랙앤피니언모듈 및 태핑유닛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태에서 상형홀더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형홀더가 하강할 때, 태핑유닛이 상승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의 전면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상형홀더가 승강된 상태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상형홀더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에 적용된 랙앤피니언모듈 및 태핑유닛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센서부 및 블로잉부가 상형홀더에 구비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판형모재(P)의 수평방향으로의 이송을 바라보는 방향을 '정면' 또는 '전방'으로 정의하며, 상기 전방과 수직인 방향을 '측면'으로 정의한다.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의 구성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크게 베이스프레임(101), 하형홀더(120), 랙앤피니언 모듈(110), 태핑유닛(140) 및 상형홀더(130)로 구성된다. 물론, 판형모재(P)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모듈(150)을 더 포함하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베이스프레임(101)은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부에 위치된 하형홀더(120)의 하부를 지지한다. 베이스프레임(101)은 하형홀더(12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102)가 구비된다. 이 때, 지지부(102)는 베이스프레임(101) 및 하형홀더(120) 사이에 벽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0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1)의 바닥면과 하형홀더(12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빈 공간은 지지부(102)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때, 빈 공간은 후술하는 랙(111)이 상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빈 공간의 수직거리는 랙(111)의 하방 최대거리에 의존하는 바, 작업 대상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형홀더(120)는 전술한 지지부(102) 상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배치된다. 하형홀더(120) 상부에는 기설정된 형상의 드로잉부(123)(도 8을 참조)가 장착된 다이모듈(12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드로잉부(123)의 형상은 작업 대상물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모듈(121)은 하형홀더(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먼저 참조하면, 하형홀더(120) 상부에 다이모듈(121)이 구비되며, 다이모듈(121)에는 작업 대상물에 따라 설계된 드로잉부(123)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드로잉부(123)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위 또는 하방을 향해 만입되는 만입부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드로잉부(123) 상측에 판형모재(P)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형홀더(130)가 하강하여 프레스함에 따라, 판형모재(P)는 드로잉부(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다이모듈(121)은 하형홀더(120) 상에서 피치 단위로 다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 대상물의 사이즈와 하형홀더(120) 및 상형홀더(130)의 사이즈에 따라, 장착되는 다이모듈(121)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1에는 공급 측부터 제1 다이모듈(121a), 제2 다이모듈(121b), 제3 다이모듈(121c), 태핑유닛(140) 및 제4 다이모듈(121d)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하형홀더(120)에는 수평방향 중 일 방향으로 판형모재(P)를 이송하기 위한 가이드부(122)가 구비된다. 가이드부(122)는, 전술한 다이모듈(121) 각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송되는 판형모재(P)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가이드부(122)는 판형모재(P)의 이송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됨으로써, 판형모재(P)의 이송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판형모재(P)를 사이에 두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122)는 각각의 내측에 안착슬릿(122a)이 형성되며, 이들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 안착슬릿(122a)에는 판형모재(P)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이송된다.
변형된 예로써, 가이드부(122) 각각의 하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형홀더(130)가 하강할 때, 상형홀더(130)에 의해 가압되어 상형홀더(130)와 함께 하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형홀더(130)가 하강하게 되면, 가이드부(122)와의 접촉 이후부터는 가이드부(122)를 가압하며, 가이드부(122)는 안착슬릿(122a)이 형성된 높이만큼 다이모듈(121)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형모재(P)의 하부면은 다이모듈(121)의 기준면과 접한 상태에서, 드로잉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형홀더(130)가 하강 이후, 다시 승강하면,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122)는 역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다이모듈(121)에는 가이드부 수용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부 수용홈에는 상기의 탄성부재가 내장될 수 있다.
랙앤피니언 모듈(1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랙(111) 및 랙(111)과 맞물려 랙(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112)을 포함한다. 이 때, 랙(111)은 상형홀더(130)와 결합됨으로써, 상형홀더(130)와 일체로 승하강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형홀더(130)가 승강하면, 랙(111) 역시 동일한 높이만큼 승강하고, 상형홀더(130)가 하강하면, 랙(111) 역시 동일한 높이만큼 하강한다. 랙앤피니언 모듈(1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별도로 후술한다.
태핑유닛(140)은 하형홀더(120) 측에 위치되며,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된다. 태핑유닛(140)은 판형모재(P)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판형모재(P)의 하부면에 태핑홀을 타공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태핑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는 바, 태핑팁(141)은 상기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태핑팁(141)은 작업 대상물,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핑팁(141)은 태핑홀을 타공하는 과정에서 마모될 가능성이 있는 바, 태핑팁(141)의 사용 횟수는 후술하는 제어모듈(160)에 의해 카운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설정된 사용 횟수를 초과할 경우, 제어모듈(160)은 관리자에게 교체 알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형홀더(130)는 하형홀더(12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되, 하형홀더(120)의 상측에 위치되며, 하형홀더(120)로부터 승하강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하형홀더(120)는 정지된 상태에서 상형홀더(130)가 승하강 운동하는 구조를 전제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형홀더(130)는 랙앤피니언 모듈(110) 중 랙(111)과 연결된다. 물론, 랙(111)은 상형홀더(13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으며, 특히, 작업 대상물이 태핑 과정이 필요없을 경우, 랙(111)은 상형홀더(130)로부터 분리되어 불필요한 동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형홀더(130)는 승하강 운동을 위해 동력수단(미도시)과 결합된다. 여기서 동력수단은 모터, 유압실린더 등과 같이 공지된 모든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형홀더(130) 중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부위에는, 태핑팁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입된 태핑팁 수용부가 형성된다. 이는 태핑팁(141)이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한 이후에, 태핑팁(14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형홀더(130)의 하부면(저면)에는 다이모듈(121)에 형성된 드로잉부(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펀칭부(131)(도 4 참조)가 형성되며, 드로잉부(123) 및 펀칭부(131)는 상호 계합(契合)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판형모재(P)를 대상으로 드로잉 과정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형홀더(130)의 저면에는 별도로 장착되는 펀칭모듈(139)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다이모듈(121)의 피치와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펀칭모듈(139)의 저면에 펀칭부(1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펀칭모듈(139)은 작업 대상물에 따라, 분리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펀칭모듈(139)은 상형홀더(130)와 구동축으로 연결됨으로써, 상형홀더(130)가 하강하여 판형모재(P)와 접한 이후에, 펀칭모듈(139)만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1차적인 하강은 상형홀더(130)와 일체로 하되, 하강한 이후에, 2차적으로 펀칭모듈(139)만 하강함으로써, 판형모재(P)를 가압하여 성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랙앤피니언 모듈 및 태핑유닛의 동작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랙앤피니언 모듈 및 태핑유닛의 동작과 결합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및 3에서는, 피니언(112), 제1 내지 제4 기어(113, 114, 116, 117) 및 탭기어(143) 각각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날의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112)은 제1 기어(113)와 맞물려 회전하며, 제1 기어(113)는 제2 기어(114)와 맞물려 회전하고, 제2 기어(114)와 제3 기어(116)는 후술하는 베벨샤프트(115)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제3 기어(116)는 제4 기어(117)와 맞물려 회전하고, 제4 기어(117)는 탭기어(143)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들의 각각이 맞물리는 기어날의 피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회전을 통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기어날의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 가능함을 명시한다.
랙앤피니언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어부는 복수의 기어가 상호 맞물려 구성된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기어부는 태핑유닛(140)과 연동되어 피니언(11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태핑유닛(140)으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하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태핑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태핑 과정은 태핑팁(141)을 이용하여 판형모재(P)에 나사산이 형성된 태핑홀을 생성시키는 것인 바,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나사산을 형성할 경우, 제1 회전방향의 역방향은 상기 나사산을 따라 다시 판형모재(P)로부터 손상없이 이탈될 수 있다.
기어부는, 제1 내지 제4 기어(117)로 구성된다. 피니언(112)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순서로 설명한다.
제1 기어(113)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피니언(11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1 기어(113)는 피니언(112)과 동일하게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기어(114)는 제1 기어(113)와 맞물리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베벨기어 방식으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킨다. 베벨기어 방식인 제2 기어(114)의 중심에는 회전축인 베벨샤프트(115)가 구비된다. 베벨샤프트(115)는 제2 기어(11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3 기어(116)는 베벨샤프트(115)를 회전축으로 하되, 베벨샤프트(115)의 하부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제3 기어(116)는 베벨샤프트(115)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바, 결국, 제2 기어(114) 및 베벨샤프트(115)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3 기어(116)의 직경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후술하는 탭샤프트(142)와 수평방향으로의 거리가 멀 경우, 제3 기어(116) 자체로 탭샤프트(142)에 동력을 전달하기에는 비효율적이다. 이에 따라,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의 동작을 연동하기 위해, 제4 기어(117)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기어(117)는 전술한 이유로,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제4 기어(117)의 일 측은 제3 기어(116)와 맞물리며, 타측은 탭샤프트(142)에 구비된 탭기어(14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2, 3 및 6을 참조하면, 제4 기어(117) 중 전방 측은 제3 기어(116)와 접하고, 후방 측은 탭기어(143)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탭기어(143)는 탭샤프트(142)를 회전축으로 하여 탭샤프트(142)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3에서는 제4 기어(117)가 1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다만,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4 기어(117)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 경우, 직경이 큰 단일의 제4 기어(117)를 사용하는 것보다, 직경이 다소 작더라도 복수의 제4 기어(117)를 직렬 방식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제4 기어(117)가 회전함에 따라, 탭기어(143)가 회전하고, 탭기어(143)에 결합된 탭샤프트(14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탭샤프트(142)의 상단부에는 태핑팁(141)이 위치하는 바, 태핑팁(141) 역시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상형홀더가 하강할 때, 태핑유닛이 상승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탭샤프트(142)가 상하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탭샤프트(142)는, 제4 기어(117)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형홀더(130)의 하강에 의해, 제4 기어(117)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탭샤프트(142)는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형홀더(130)의 상승에 의해, 제4 기어(117)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탭샤프트(142)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태핑팁 수용부가 큰 의미를 갖는다. 탭샤프트(142)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상형홀더(130)의 하부면(또는 펀칭모듈)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탭샤프트(142)는 상형홀더(130)와 반대방향으로 운동함을 알 수 있다. 즉, 상형홀더(130)가 상승하면, 탭샤프트(142)는 하강하고, 상형홀더(130)가 하강하면, 탭샤프트(142)는 상승한다. 이를 위해, 탭기어(143) 및 탭샤프트(142)는 결합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탭샤프트(142)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탭기어(143)의 회전에 의해, 탭샤프트(142)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즉, 탭기어(14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탭샤프트(142)가 나사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탭기어(143)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탭샤프트(142)가 나사산을 따라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된 공급모듈(150) 및 제어모듈(160)과 관련된 제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공급모듈(150)을 포함한다.
공급모듈(150)은 판형모재(P)를 일 방향(수평방향을 의미함)으로 공급한다. 한 쌍의 공급롤러(152)를 이용하여 판형모재(P)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공급롤러(152) 사이에서 판형모재(P)가 공급된다. 이 때, 한 쌍의 공급롤러(152)는 연속적으로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피치 단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로잉 및 태핑 과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판형모재(P)가 정지된 상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공급롤러(152)는 공급기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공급기어는 전술한 피니언(112), 제1 내지 제3 기어(116) 중 어느 하나와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급기어는 전술한 기어들과는 달리,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공급기어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에만, 공급기어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판형모재(P)를 전진시키는 이송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공급기어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만을 허용하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상형홀더(130), 랙앤피니언 모듈(110) 및 태핑유닛(140) 사이의 동작만을 연동할 뿐만 아니라, 공급롤러(152)의 동작까지 연동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이 사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공급모듈(150) 및 상형홀더(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60) 을 더 포함한다. 제어모듈(160)에 의해, 공급모듈(150)을 통한 판형모재(P)의 공급이 제어되고, 상형홀더(130)의 승하강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모듈(160)은 보다 태핑 과정의 정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부(135) 및 블로잉부(1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센서부(135) 및 블로잉부(137)는 모두 상형홀더(130)의 하부면 중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35)는 판형모재(P)에 타공된 태핑홀의 태핑상태를 센싱한다. 광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적외선이나 영상 촬영을 통한 실시간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태핑홀의 태핑상태가 체크된다. 이 때, 이러한 연산처리는 제어모듈(160)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160)은, 센서부(135)로부터 태핑홀의 태핑상태의 이상유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되, 태핑홀의 태핑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공급모듈(150)의 동작을 중지시켜 상기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에서,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을 다시 반복시킬 수 있다. 즉, 동일한 태핑홀에 대해 다시 태핑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블로잉부(137)는 태핑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송풍하는 구성이다. 팬 수단이 내장되거나, 외부의 팬 수단으로부터 소정의 공기압을 갖는 공기를 도입할 수 있다. 블로잉부(137)는 태핑홀의 태핑상태와는 무관하게 동작될 수 있으며, 상형홀더(130)가 승강 운동할 때 또는 승강 운동하기 직전에, 기 타공된 태핑홀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킴으로써, 태핑홀에 형성된 나사산에 잔류할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매우 정밀한 전자장치나 정밀기기에 사용되는 판형모재(P)일수록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베이스프레임 102: 지지부
110: 랙앤피니언 모듈 111: 랙
112: 피니언 113: 제1 기어
114: 제2 기어 115: 베벨샤프트
116: 제3 기어 117: 제4 기어
120: 하형홀더 121: 다이모듈
122: 가이드부 123: 다이모듈
130: 상형홀더 131: 펀칭부
135: 센서부 137: 블로잉부
140: 태핑유닛 141: 태핑팁
142: 탭샤프트 143: 탭기어
144: 탄성수단
150: 공급모듈 152: 공급롤러
154: 공급기어
160: 제어모듈

Claims (12)

  1. 랙앤피니언 모듈(110)을 포함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으로서,
    수평방향으로 이송되는 판형모재(P)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판형모재(P)를 사이에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된 가이드부(122)를 포함하는, 하형홀더(120);
    상기 하형홀더(120)와 마주보되, 상기 하형홀더(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형홀더(130)로서, 상기 하형홀더(120)로부터 승하강 운동하며, 상기 랙앤피니언 모듈(110)과 연결되는, 상형홀더(130);
    상기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과 연동되어 동작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로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랙(111) 및 상기 랙(111)과 맞물려 상기 랙(111)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피니언(112)을 포함하고, 상기 랙(111)은 상기 상형홀더(130)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형홀더(130)와 일체로 승하강되는, 랙앤피니언 모듈(110); 및
    상기 하형홀더(120) 측에 위치되며,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된 태핑유닛(140)으로서, 상기 판형모재(P)의 하측에서 구비되어 상기 판형모재(P)의 일 측에 태핑홀을 타공하는, 태핑유닛(140);
    을 포함하며,
    상기 랙앤피니언 모듈(1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부는 상기 태핑유닛(140)과 연동되어 상기 피니언(11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태핑유닛(140)으로 전달하고,
    상기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상기 태핑유닛(140)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상기 판형모재(P)에 태핑홀을 타공하며,
    상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상기 태핑유닛(140)은 상기 제1 회전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상기 태핑홀로부터 이탈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기어부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피니언(11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기어(113);
    상기 제1 기어(113)와 맞물리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베벨기어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113)의 회전에 의한 수직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수평방향으로의 회전력으로 전환시키는, 제2 기어(114);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기어(114)의 회전축인 베벨샤프트(115)로서, 상기 제2 기어(114)와 결합되어 상기 제2 기어(11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베벨샤프트(115); 및
    상기 베벨샤프트(115)를 회전축으로 하며, 상기 베벨샤프트(115)와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기어(114)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제3 기어(116);
    를 포함하고,
    상기 태핑유닛(140)은,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는 탭샤프트(142)를 포함하고, 상기 탭샤프트(142)의 상단에 태핑팁(141)이 구비되며,
    상기 태핑팁(141)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탭샤프트(142)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탭샤프트(142)와 일체로 회전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에 위치되는 제4 기어(117)로서, 일 측은 상기 제3 기어(116)와 맞물리고, 타 측은 상기 탭샤프트(142)에 구비된 탭기어(143)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3 기어(116)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상기 탭기어(143)로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제4 기어(11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기어(117)는,
    상기 제3 기어(116) 및 탭샤프트(14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탭샤프트(142)는,
    상기 제4 기어(117)의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17)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탭샤프트(142)는 승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형홀더(130)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4 기어(117)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탭샤프트(142)는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탭기어(143) 및 탭샤프트(142)는,
    결합 부위에 수직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탭기어(14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탭샤프트(142)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탭기어(143)가 상기 일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탭샤프트(142)가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판형모재(P)의 이송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판형모재(P)의 일 측이 안착되는 안착슬릿(122a)이 형성되고,
    상기 판형모재(P)의 양 가장자리 측은 상기 안착슬릿(122a)에 삽입된 상태로 이송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홀더(120) 상부에는,
    기설정된 형상의 드로잉부(123)가 장착된 다이모듈(121)이 더 구비되며,
    상기 드로잉부(123)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위 또는 하방을 향해 만입되는 만입부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위의 최고 높이는 상기 안착슬릿(122a)의 높이보다 더 낮게 위치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부에는,
    상기 다이모듈(121)에 형성된 드로잉부(123)의 형상과 대응되는 펀칭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잉부(123) 및 상기 펀칭부(131)는 상호 계합(契合)되도록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홀더(12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01);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1)은,
    상기 하형홀더(120)로부터 하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형홀더(120) 및 베이스프레임(101) 사이의 공간(S)을 제공하고,
    상기 공간(S)의 수직거리는, 상기 랙(111)의 하방 최대거리에 의존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모재(P)를 일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모듈(150);
    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급모듈(150)은,
    한 쌍의 공급롤러(152)를 이용하여 상기 판형모재(P)를 상기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공급롤러(152)는 공급기어의 회전과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랙(111)이 하강 운동할 때, 상기 공급기어의 회전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랙(111)이 상승 운동할 때, 상기 공급기어의 회전이 허용됨으로써, 상기 판형모재(P)를 전진시키는 이송상태로 전환되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은,
    상기 공급모듈(150) 및 상기 상형홀더(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6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형홀더(130)의 하부면 중 상기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판형모재(P)에 타공된 태핑홀의 태핑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135); 및
    상기 태핑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송풍하는 블로잉부(137);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160)은,
    상기 센서부(135)로부터 태핑홀의 태핑상태의 이상유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태핑홀의 태핑상태가 이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급모듈(150)의 동작을 중지시켜 상기 판형모재(P)의 정지상태에서, 상기 상형홀더(130)의 승하강 운동을 다시 반복시키고,
    상기 블로잉부(137)는,
    상기 상형홀더(130)가 승강 운동할 때, 기 타공된 태핑홀을 향해 공기를 토출시키는,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홀더(130) 중 상기 태핑팁(141)과 대면하는 부위에는, 상기 태핑팁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만입된 태핑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태핑유닛(140)의 하부에는 탄성수단(144)이 구비되며,
    상기 상형홀더(130)는, 하강시 상기 판형모재(P)를 가압한 상태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며,
    상기 판형모재(P)의 하부는 상기 태핑유닛(140)으로부터 지지되되, 상기 탄성수단(144)으로부터 복원력을 제공받도록 형성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KR1020200086514A 2020-07-14 2020-07-14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KR10218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4A KR102183303B1 (ko) 2020-07-14 2020-07-14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514A KR102183303B1 (ko) 2020-07-14 2020-07-14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303B1 true KR102183303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514A KR102183303B1 (ko) 2020-07-14 2020-07-14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702B1 (ko) 2021-11-25 2022-05-23 디케이프리텍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KR102544253B1 (ko) * 2023-01-03 2023-06-19 주식회사 해남한국판넬 절곡 가공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건축물용 판넬 절곡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97A (ko) * 1997-11-05 1999-06-05 김무수 데크 플레이트 단부절곡장치
KR20030080138A (ko) * 2002-04-04 2003-10-11 정남식 금형프레스 태핑장치
KR100741833B1 (ko) * 2006-04-20 2007-07-26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용 텝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차량 혼 바디 성형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JP2017019026A (ja) * 2015-07-08 2017-01-26 健治 倉持 タッピ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497A (ko) * 1997-11-05 1999-06-05 김무수 데크 플레이트 단부절곡장치
KR20030080138A (ko) * 2002-04-04 2003-10-11 정남식 금형프레스 태핑장치
KR100741833B1 (ko) * 2006-04-20 2007-07-26 에스아이티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용 텝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차량 혼 바디 성형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JP2017019026A (ja) * 2015-07-08 2017-01-26 健治 倉持 タッピ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702B1 (ko) 2021-11-25 2022-05-23 디케이프리텍 주식회사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KR102544253B1 (ko) * 2023-01-03 2023-06-19 주식회사 해남한국판넬 절곡 가공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건축물용 판넬 절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303B1 (ko) 랙앤피니언모듈이 구비된 프로그레시브 금형 시스템
KR101325003B1 (ko) 탭의 오버 스트로크 검출 방법 및 탭 다이
CN114714433A (zh) 一种裁断机刀模自动更换装置及更换方法
CN201720378U (zh) 用于加工齿圈坯件的模具
CN210754647U (zh) 一种碱性电池壳体加工生产线
KR100752690B1 (ko) 연속 프레스기
CN213440066U (zh) 一种pcb板用辊式打孔机
CN202290991U (zh) 冲孔切换装置
CN211708013U (zh) 一种具有定位机构的机械锻压装置
CN217290025U (zh) 钣金冲压件的落料机构及具有其的侧冲机构模具
KR100952716B1 (ko) 파인 블랭킹 프레스 나사 스톱퍼장치
CN112719808A (zh) 一种配电开关柜制作方法
KR101918041B1 (ko) 금형 승강장치를 구비한 전단금형장치
CN213890208U (zh) 冲切机
JP2009022975A (ja) パンチプレスおよび長孔加工方法
CN213915705U (zh) 一种用于倾斜平面冲孔的装置
CN218109528U (zh) 一种高精度自动化数控剪切机
CN214919652U (zh) 侧切冲头侧边穿销结构
KR102461703B1 (ko) 프레스 벤딩장치
CN218083116U (zh) 钻孔装置及使用该装置的装订机
CN216911718U (zh) 焊板冲裁工装
CN218134394U (zh) 一种冲孔机用冲孔辅助装置
CN220092844U (zh) 一种便于取料的冲裁模具
CN214871749U (zh) 一种基于玻璃生产的全自动玻璃钻孔设备
CN210851454U (zh) 一种高效半自动冲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