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740A -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740A
KR20110017740A KR1020090075367A KR20090075367A KR20110017740A KR 20110017740 A KR20110017740 A KR 20110017740A KR 1020090075367 A KR1020090075367 A KR 1020090075367A KR 20090075367 A KR20090075367 A KR 20090075367A KR 20110017740 A KR20110017740 A KR 2011001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plastisol
weight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977B1 (ko
Inventor
이찬희
이동권
조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07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9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18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ersed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8Plastic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은,
a)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b) 중합개시제 0.01 ~ 1.0 중량부 및
c) 주계면활성제 0.2 ~ 2.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미세현탁중합시킨 후,
d)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 0.2 중량부를 첨가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상기 플라스티졸의 초기 점도가 브룩필드 점도계(#63, 6rpm)로 측정시 2500 ~ 3500 cP로서 일반적인 미세현탁중합을 통해 제조된 플라스티졸보다 점도가 낮은 효과가 현저하므로, 인조피혁, 상재, 벽지, 바닥장식재, 장갑, 카펫류의 제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미세현탁중합,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점도, PVC

Description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ymerizing Polyvinyl Chloride For Preparing Of Low-Viscosity Plastisol}
본 발명은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상기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현저히 낮춘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수지는 제조 방법에서 결정되는 회합 구조에 따라 스트레이트 염화비닐수지와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로 나누어진다. 스트레이트 염화비닐수지는 100~200㎛ 정도 크기의 분체 입자로 현탁중합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페이스트 염화 비닐수지는 0.1~2㎛ 정도 크기의 분체 입자로 미세현탁중합 또는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스트레이트 수지는 칼렌더 공법에 의해 가공되고, 페이스트 수지는 캐스팅법에 의해 가공된다.
상기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 또는 염화비닐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혼합물에 중합개시제, 계면활성제, 촉매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한 중합계에서 유화중합 또는 미세현탁중합을 통하여 라텍스(유탁액, 즉 에멀젼 상태)를 제조하고, 분무 건조를 통해 분체상의 수지를 얻게된다. 이 과정에서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의 물성변화를 위해 라텍스상에 추가로 계면활성제 및 첨가제를 교반시키거나 다른 종류의 라텍스를 혼입시킨 후 분무건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동일한 중합공정을 통해 얻어진 염화비닐수지로 다른 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는 건축용 상재류, 벽지류, 인조가죽, 직포류, 시트, 필름 등 일상 생활용품 및 산업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범용 수지의 하나이다.
미세현탁중합 또는 유화중합에 의해 제조되는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는 여러종류의 첨가제와 가소제를 혼합한 후 기계적 교반을 통해 유동성을 갖는 플라스티졸(plastisol)을 제조한 후, 가공처리를 하여 인조피혁, 상재, 벽지, 바닥장식재, 장갑, 카펫류 등의 제품생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를 플라스티졸이나 플라스티졸에 휘발성 용제가 포함된 오가노졸(organosol) 상태로 만든 후 성형을 한다.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로부터 플라스티졸을 가공하는 데에는 상기 플라스티졸의 초기 점도와 시간에 따른 점도 안정성 그리고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졸의 점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장갑, 타포린 등과 같은 플라스티졸 가공 제품은 각각 제품별로 점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점도 특성과 적절한 점도 조절이 필요하다.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 제1996-127692호에서는 콜로이달 탄산칼슘과 퓸드실리카를 함께 분산하여 점도의 경시변화가 작은 안정된 특성을 나타내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퓸드실리카가 고분자 표면에 드러나는 문제점이 남아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를 졸의 상태로 제조할 때에 점도 저하제를 첨가한다. 점도 저하제는 가소제의 양을 줄여 가공 후에 지나친 연성을 주지 않도록 하여 무기 충진제의 양을 증가시켜 염화비닐수지 제품의 경도를 높임과 동시에 염화비닐수지 사용량을 줄여 경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국제특허 제99/03912호에서는 10~50㎛ 크기의 입자를 갖는 염화비닐 수지를 혼합하여 졸의 점도를 낮추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때 졸의 점도를 낮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10~50㎛의 염화비닐 수지를 통칭하여 필러(filler)
PVC라 하며, 익스텐더 수지(extender resin) 또는 블렌드 수지(blend resin)라고도 한다. 필러 PVC은 졸 점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므로 용매나 가소제의 흡수성이 낮아야 한다. 용매나 가소제의 흡수성이 높을 경우 졸 내부의 용매, 가소제 함량이 적어지므로 졸 점도가 증가하여 졸 흐름성이 낮아져 가공성에 불리하게 되는 문제
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저점도 플라스티졸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량의 가소제 또는 점도저하효과를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나타나는 독성과 휘발성의 문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해결하여 상기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낮춘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으로서,
a)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b) 중합개시제 0.01 ~ 1.0 중량부 및
c) 주계면활성제 0.2 ~ 2.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미세현탁중합시킨 후,
d)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 0.2 중량부를 첨가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상기 플라스티졸의 초기 점도가 브룩필드 점도계(#63, 6rpm)로 측정시 2500 ~ 3500 cP로서 일반적인 미세현탁중합을 통해 제조된 플라스티졸보다 점도가 낮은 효과가 현저하므로, 인조피혁, 상재, 벽지, 바닥장식재, 장갑, 카펫류의 제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으로서,
a)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b) 중합개시제 0.01 ~ 1.0 중량부 및
c) 주계면활성제 0.2 ~ 2.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미세현탁중합시킨 후,
d)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 0.2 중량부를 첨가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은 종래의 저점도 플라스티졸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량의 가소제 또는 점도저하효과를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나타나는 독성과 휘발성의 문제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해결하였다.
이때, 상기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미세현탁중합법으로 중합된 라텍스 상태의 염화비닐수지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 교반한 후 건조함으로써 염화비닐수지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상태를 만들어 상기 염화비닐수지로 형성한 플라스티졸에서의 상기 계면활성제들과 가소제와의 상용성을 높여 상기 플라스티졸의 점도를 현저히 낮추었다.
여기서, 미세현탁중합방법은 중합열의 제거가 용이하고, 고분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크기인 0.1~2㎛ 정도 크기로 얻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미세현탁중합방법에서는 탈이온수와 염화비닐 단량체(또는 2종의 공단량체 혼합물)와 계면활성제 및 보조계면활성제와 중합개시제를 교반을 통해 혼합한 후 고압균질기를 운전하여 반응물을 반응기로 이송 후 중합반응온도까지 상승시켜 중합반응을 진행시킨다. 반응이 완료되면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를 얻는다.
이때,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혼합물로서,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는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화합물, 아크릴산류, 모노올레핀 또는 비닐리덴 할라이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단량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혼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는 주로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화합물, 아크릴산류, 모노올레핀, 비닐리덴 할라이드 등이 있으며, 상기 단량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합개시제는 3-하이드록시-1,1-디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t-아밀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중합온도, 반응시간, 중합개시제의 종류 등에 따라 사용량이 달라지고,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1.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주계면활성제로써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가 6 ~ 20개인 직쇄상 또는 가지달린 지방산, 알킬설폰산, 알킬아릴설폰산, 설포숙신산에스테르류, 알킬설페이트류, 알킬디설폰산 디페닐옥사이드류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킬디설폰산 디페닐옥사이드류의 암모늄염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주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 2.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주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1.2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보조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탄소수가 12 ~ 20개인 알코올류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에스테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 5.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알킬아민류의 금속염 또는 에톡실레이트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함량은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0.2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함량은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3 ~ 0.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염화비닐수지를 페이스트 상태에서 가소제와 혼합하여 형성한 상기 플라스티졸의 초기 점도가 브룩필드 점도계(#63, 6rpm)로 측정시 2500 ~ 3500 cP인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초기점도는 페이스트 염화비닐 중합체 100 중량부에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60 중량부를 배합하고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혼련하여 플라스티졸을 제조하고, 제조된 플라스티졸을 진공탈포기에서 30분간 탈포한 다음, 25℃ 오븐에서 1시간 동안 숙성 후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63, 6rpm)로 측정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세현탁중합으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 중합 전 고압의 균질기가 사용된다.
상기 고압균질기는 중합반응 이전 단계에서 염화비닐 단량체, 중합개시제, 계면활성제, 탈이온수 등의 혼합물을 단지 기계적인 작동을 통하여 염화비닐 단량체의 액적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화비닐 또는 염화비닐과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 중합개시제, 주계면활성제, 보조계면활성제를 강한 교반을 통해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상기 고압균질기를 통과시켜 0.05 ~ 1.5㎛의 작은 액적으로 만들어 반응기로 이송 후, 45 ~ 65℃의 온도에서 미세현탁중합시켜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를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를 중합하기 전에 사용하는 고압균질기는 GAULIN에서 제조한 2단 고압균질기로 전단과 후단의 두 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염화비닐 혼합물을 반응기로 이송하는 도중 각 단에서 압력을 가하여 염화비닐 액적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중합반응 후의 최종 라텍스 입자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압균질기의 총운전압은 1000 ~ 2000psi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총압력을 반으로 나누어 전단과 후단에 압력을 동등하게 하여 운전하며, 운전압이 높을 수록 최종 라텍스 입자크기는 작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기, 교반기 및 배플(baffle) 등의 종류와 모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미세현탁중합법에 사용되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 3Kg과 지방산알코올 9Kg을 탈이온수 300Kg에 혼합하여 만든 혼합물에 3-하이드록시-1,1-디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의 유용성 중합개시제 330g과 염화비닐 단량체 330Kg을 강한 교반을 통해 혼합하고, 고압균질기의 전체압 1400psi를 전단과 후단에 각각 50:50의 비율로 분배하여 운전하여 반응물을 1㎥의 반응기에 이송한 후 45℃로 승온하여 중합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입경크기를 측정할 라텍스를 샘플링하고 라텍스 10Kg을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5Kg을 얻었다.
실시예 1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은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반응이 완료되면 입경크기를 측정할 라텍스를 샘플링하고 라텍스 10Kg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 0.5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5Kg을 얻었다.
실시예 2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은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반응이 완료되면 입경크기를 측정할 라텍스를 샘플링하고 라텍스 10Kg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 1.5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5Kg을 얻었다.
실시예 3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은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반응이 완료되면 입경크기를 측정할 라텍스를 샘플링하고 라텍스 10Kg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 2.5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5Kg을 얻었다.
실시예 4
염화비닐의 중합방법은 비교예 1과 동일하며, 반응이 완료되면 입경크기를 측정할 라텍스를 샘플링하고 라텍스 10Kg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 5g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분무건조하여 분체상의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5Kg을 얻었다.
실험예 1
[물성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비교예 1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플라스티졸 점도
얻어진 중합체 100 중량부에 가소제인 디옥틸프탈레이트 60 중량부를 배합하고 기계식 교반기를 이용하여 10분간 혼련하여 플라스티졸을 제조하고, 제조된 플라스티졸을 진공탈포기에서 30분간 탈포하였다. 그런 다음, 25℃ 오븐에서 1시간 동안 숙성 후 브룩필드(Brookfield) 점도계(#63, 6rpm)로 초기점도를 측정하였으며 동일 조건하에서 오븐 숙성 후 1일차, 3일차에 점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함량이 다른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의 플라스티졸 물성에 대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측정항목 단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CTAB 투입비율
염화비닐 수지 대비 중량%
중량%

0

0.01

0.03

0.05

0.10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대비 중량%
중량%

0

0.017

0.05

0.083

0.167

점도
초기
cP
3530 3470 3200 3020 2960
1일차 5110 4920 4780 4710 4550
3일차 5720 5660 5420 5340 5220
상기 표 1를 보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점도가 비교예 1의 점도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TAB)인 양이온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도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과 실시예 4의 점도 저하가 크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a) 염화비닐 단량체 총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b) 중합개시제 0.01 ~ 1.0 중량부 및
    c) 주계면활성제 0.2 ~ 2.0 중량부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미세현탁중합시킨 후,
    d)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0.01 ~ 0.2 중량부를 첨가 후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탄소수가 6 ~ 20개인 직쇄상 또는 가지달린 지방산, 알킬설폰산, 알킬아릴설폰산, 설포숙신산에스테르류, 알킬설페이트류, 알킬디설폰산 디페닐옥사이드류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킬디설폰산 디페닐옥사이드류의 암모늄염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계면활성제는 보조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계면활성제는 탄소수가 12 ~ 20개인 알코올류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에 스테류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이고,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6.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베헤닐아미도프로필-2,3-디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아미도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민, 알킬아민류의 금속염 또는 에톡실레이트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는 염화비닐 단량체 단독 또는 염화비닐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의 혼합물로서,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는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화합물, 아크릴산류, 모노올레핀 또는 비닐리덴 할라이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는 3-하이드록시-1,1-디메틸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t-아밀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7. 제1항에 기재된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염화비닐수지를 페이스트 상태에서 가소제와 혼합하여 형성한 상기 플라스티졸의 초기 점도가 브룩필드 점도계(#63, 6rpm)로 측정시 2500 ~ 3500 cP인 것을 포함하는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20090075367A 2009-08-14 2009-08-14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1263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67A KR101263977B1 (ko) 2009-08-14 2009-08-14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367A KR101263977B1 (ko) 2009-08-14 2009-08-14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40A true KR20110017740A (ko) 2011-02-22
KR101263977B1 KR101263977B1 (ko) 2013-05-13

Family

ID=4377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367A KR101263977B1 (ko) 2009-08-14 2009-08-14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3346A (zh) * 2011-09-07 2013-03-27 Lg化学株式会社 糊状氯乙烯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具有优异的聚合热控制性能的制备糊状氯乙烯树脂的方法
CN115707719A (zh) * 2021-08-18 2023-02-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Pvc树脂聚合分散助剂、制备方法及树脂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7062B2 (ja) * 1998-05-19 2005-09-21 株式会社カネカ 塩化ビニル系樹脂の製造方法
JP2000219702A (ja) * 1999-01-29 2000-08-08 Shin Daiichi Enbi Kk 塩化ビニル重合体ラテックス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3346A (zh) * 2011-09-07 2013-03-27 Lg化学株式会社 糊状氯乙烯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具有优异的聚合热控制性能的制备糊状氯乙烯树脂的方法
KR101362665B1 (ko) * 2011-09-07 2014-0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중합 제열능이 개선된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의 제조방법
CN102993346B (zh) * 2011-09-07 2016-01-13 Lg化学株式会社 糊状氯乙烯树脂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的具有优异的聚合热控制性能的制备糊状氯乙烯树脂的方法
CN115707719A (zh) * 2021-08-18 2023-02-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Pvc树脂聚合分散助剂、制备方法及树脂制备方法
CN115707719B (zh) * 2021-08-18 2023-10-2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Pvc树脂聚合分散助剂、制备方法及树脂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977B1 (ko) 2013-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5029B (zh) 氯乙烯基聚合物、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氯乙烯基聚合物的热塑性树脂组合物
JP6096906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9974A (ko) 장갑용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EP3404051B1 (en)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1263977B1 (ko) 저점도 플라스티졸 형성용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1957854B1 (ko) 아크릴계 가공조제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676084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와 제조방법, 및 플라스티졸
KR101596996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블렌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90311531A1 (en) Large-sized vinyl chloride seed, method of preparing the seed, vinyl chloride resin prepared using the seed, and method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resin
KR20070112871A (ko) 페이스트화될 수 있는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362665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중합 제열능이 개선된 페이스트 염화비닐 수지의 제조방법
KR101141848B1 (ko) 입자뭉침과 반응기 벽면부착 함량이 적은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1310524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715450B1 (ko) 페이스트 pvc 중합 방법 및 발포 성형품
KR101424879B1 (ko)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용 점도저하제 및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 점도조절 방법
KR102345310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8075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KR20110008881A (ko) 투명하고 고전단 점도가 낮은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수지로 제조되는 성형품
KR101626643B1 (ko)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KR102527752B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00020277A (ko) 페이스트 염화비닐수지 제조방법
KR101869457B1 (ko) 고형분이 높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458599B1 (ko) 균일한 입도분포를 가지는 페이스트 염화비닐계 수지의제조방법
KR102065160B1 (ko) 염화비닐계 수지 플라스티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수지 성형품
KR100767961B1 (ko) 저점도 플라스티졸 가공용 염화비닐수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