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386A -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386A
KR20110017386A KR1020107028277A KR20107028277A KR20110017386A KR 20110017386 A KR20110017386 A KR 20110017386A KR 1020107028277 A KR1020107028277 A KR 1020107028277A KR 20107028277 A KR20107028277 A KR 20107028277A KR 20110017386 A KR20110017386 A KR 2011001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functional
mandrel
protective co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517B1 (ko
Inventor
베른트 한센
Original Assignee
베른트 한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른트 한센 filed Critical 베른트 한센
Publication of KR2011001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1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 B65B9/2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preformed tubular webs, or in webs formed into tubes around filling nozzles, e.g. extruded tubular webs the tubes being formed in situ by extrusion

Abstract

본 발명은 가소화된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개방 형태(17)로 압출될 수 있는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개별 기능 채널(21, 39)을 포함하는 충전 디바이스(9)는 적어도 충전 재료가 관련 형태(17)와 관련된 충전 맨드릴(11)에 의해 각각의 용기 내로 도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공간(31, 35)을 갖고 세척 및/또는 살균 및/또는 건조를 위해 충전 디바이스(9)의 각각의 관련 기능 채널(21, 39)과 그 각각의 기능 공간(31, 35) 사이의 매체 안내 접속을 설정하고, 그 기능 위치에서 용기의 제조 및 충전 중에 그 기능 위치로부터 제거되는 맨드릴 커버(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DEVICE FOR PRODUCING AND FILLING CONTAINERS}
본 발명은 가소화된(plasticized) 플라스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개방 몰드 내로 압출될 수 있고,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채널을 포함하는 충전 디바이스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재료가 적절한 몰드에 할당된 충전 맨드릴에 의해 각각의 용기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적절한 종래 기술에서, 용기의 자동화 성형(블로우 성형 또는 진공 성형), 충전 및 밀봉을 경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상표명 보틀팩(bottlepack)
Figure pct00001
으로 공지되어 있다. 지시된 용기가 예를 들어 약물과 같은 매우 민감한 제품으로 충전될 때, 무균 패키징을 위한 국제 표준이 만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공지의 해결책에서, 몰드는 충전 위치로 이동되어 있을 때, 조합된 진공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용기의 원하는 헤드 폐쇄를 수행하기 위해, 충전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가동 몰드부가 폐쇄될 때까지 살균 공기가 용기의 개방된 충전 개구를 거쳐 유동하고 세균의 침투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형성하는 소위 살균 충전 공간(ASR) 하에 있게 된다. 용기의 살균 충전을 위한 이러한 살균 충전 공간 및 이들 시스템은 예를 들어 DE 196 48 087 A1호 또는 US5,862,840호의 형태로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그 기능 채널 및 또한 그와 상호 작용하는 부분을 갖는 충전 디바이스의 주의 깊은 세척 및 살균이 회전시에 그리고 명백하게 국제 분류에 따른 클래스 100에 대응하는 제조 중의 살균성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의 척도로서 제조 기간의 시작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 및 살균 프로세스가 특히 용이하게 그리고 당 기술 분야에 대해 향상되어 있는 효율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고려 하의 유형의 디바이스를 이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그대로 갖는 디바이스에 의해 성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그 기능 위치에서 그 각각의 기능 공간과 충전 디바이스의 각각의 할당 가능한 기능 채널 사이의 세척 및/또는 살균 및/또는 건조를 위해 매체 담지 접속부(carrying connection)를 생성하고 용기 제조 및 충전 중에 그 기능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공간을 갖는 맨드릴 보호 커버가 제공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는 충전 디바이스의 각각의 기능 채널을 거쳐 세척, 살균, 냉각/건조 등에 적합한 보호 커버 내의 기능 공간 또는 공간들 내로 이들 매체를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달리 말하면, 보호 커버는 제조 간격의 시작을 위해 디바이스가 멸균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해 충전 디바이스로부터 대응 매체 공급부를 거쳐 작동될 수 있는 세척, 살균 및/또는 건조기 수단의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
효율적인 제조를 위해 설계된 디바이스의 구성에서, 적어도 하나의 충전 맨드릴이 종방향 변위에 의해 선택된 작동 위치로 설정될 수 있고, 보호 커버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 위치에서 기능 위치에 있는 보호 커버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공간 내의 종방향 섹션과 함께 수용된다. 이 방식으로, 수행될 세척, 살균 또는 건조/냉각 프로세스를 위해 의도된 매체는 각각의 충전 맨드릴 내에 또는 이 충전 맨드릴을 따라 연장하는 적절한 기능 채널을 거쳐 직접 보호 커버 내의 적절한 공간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매체가 유동하는 시스템의 기능 채널의 세척, 살균 및 건조가 성취될 뿐만 아니라, 대응 매체가 또한 보호 커버의 기능 공간 내에 위치된 충전 맨드릴의 외부면 상에 작용하여, 세척, 살균 및 건조의 프로세스가 또한 보호 커버 내에 유지되어 있는 충전 맨드릴의 각각의 섹션의 외부면 상에 작용한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는 각각의 충전 맨드릴의 종방향 변위 방향으로 서로 편위된 제 1 및 제 2 기능 공간을 갖고, 제 1 기능 공간은 충전 맨드릴 내에서 중앙으로 연장하고 충전 중에 충전 채널로서 사용되는 기능 채널의 출구에 위치된 각각의 충전 맨드릴의 단부 섹션을 수용한다. 따라서, 충전 맨드릴의 단부 섹션은 충전 재료 출구로부터 충전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매체에 의해 직접 범람되어, 충전 채널 자체의 멸균 상태의 생성과 동시에 각각의 충전 맨드릴의 단부 섹션의 외부가 처리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커버의 제 2 기능 공간은 단부 섹션에 접속된 각각의 충전 맨드릴의 종방향 섹션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대응 작동 위치에서 그리고 보호 커버의 기능 위치에서 각각의 충전 맨드릴이 그를 통해 연장하고 제 2 기능 공간과 충전 디바이스의 다른 기능 채널 사이의 접속이 설정될 수 있는 입력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채널은 예를 들어 튜브 형성의 프로세스에서 지원 공기로서 또는 냉각 매체를 위한 공급 채널로서 사용되는 살균 공기의 공급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커버의 제 2 기능 공간 내에 수용된 충전 맨드릴의 종방향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매체 공급 채널 사이의 접속이 설정되기 때문에, 세척, 살균 및 건조 매체의 공급은 매체 공급 채널의 대응 처리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이어서 보호 커버의 제 2 기능 공간 내에 유지된 적절한 충전 맨드릴의 외부측 상에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열로 배열된 튜브 형성 압출기 출구 노즐을 갖는 세장형 구성을 갖고 이 노즐들에는 충전 맨드릴의 각각의 열이 할당되어 있는 압출기 헤드를 통해 각각의 충전 맨드릴이 연장하는 디자인에서, 상기 압출기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그 기능 위치에서 보호 커버의 커버벽에 의해 편평하게 인접하는 면을 갖고, 이 벽은 각각의 제 2 기능 공간의 입구 개구를 갖는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다른 기능 채널이 압출기 헤드를 통해 충전 맨드릴의 외부측을 따라 연장하고 그 면 상에서 종료하여, 보호 커버의 인접한 커버벽 내의 입력 개구를 경유하여 특히 보호 커버의 내부 내로 입력 개구를 통해 충전 맨드릴의 외부측을 따라 계속되는 다른 기능 채널에 의해 그 제 2 기능 공간으로의 접속이 형성되도록 배열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보호 커버의 각각의 기능 공간은 예를 들어 세척 및/또는 살균 매체 및/또는 냉각 및/또는 건조 매체와 같은, 충전 디바이스의 기능 채널로의 접속에 의해 공급된 각각의 매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매체 출구를 갖는다.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호 커버는 보호 본체를 형성하고, 이 보호 본체의 각각의 입력 개구는 제 1 기능 공간 내로 충전 재료를 위한 출구를 형성하는 충전 맨드릴의 충전 니들형 단부 섹션의 입구용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밀봉 인서트에 의해 동축으로 이어지는 제 1 기능 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제 2 기능 공간에 인접하도록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커버는 압출기 헤드의 면을 따라 기능 위치 내외로 그 커버벽을 변위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고, 이는 필요한 보호 커버의 변위 운동을 위한 단지 하나의 선형 드라이브에 의해 간단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콤팩트한 구조에 의해 특징화되는 실시예에서, 충전 디바이스는, 각각의 충전 재료의 중앙 충전 재료 채널에 할당된 투여 시스템에 추가하여, 또한 공급 디바이스를 갖고, 이 공급 디바이스에 의해 충전 재료 채널 및 또한 다른 기능 채널이 교대로 예를 들어 세척 매체, 살균 매체, 건조 매체 또는 냉각 매체와 같은 원하는 처리 및/또는 작동 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외부측을 따라 충전 맨드릴의 외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채널은 살균 기체 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 살균 기체 매체는 튜브를 형성하는 압출 프로세스 중에 압출기 헤드의 면 상에 배출될 수 있고 튜브의 내부에서 튜브를 안정화하는 지원 공기로서 사용된다. 이 방식으로, 용기의 성형 프로세스에 앞서 튜브의 붕괴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살균 공기가 튜브의 내부 내에 살균 공간을 형성한다. 더 정확하게는, 튜브 및 몰드의 내부는, 충전 위치로 이동될 때, 살균 공기가 각각의 용기의 개방 충전 개구를 거쳐 유동하고 조합된 진공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용기의 원하는 헤드 폐쇄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 프로세스의 완료 후에 몰드의 가동 헤드 조가 폐쇄될 때까지 세균의 침투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를 형성하는 소위 살균 충전 공간(ASR)에 있다.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일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디바이스의 일 예시적인 실시예의 매우 개략적으로 단순화되고 부분적으로 절결된 전체 도면으로서, 그 충전 니들형 단부를 갖는 단일의 가시적인 충전 맨드릴이 가동 몰드부를 갖는 몰드 내로 연장하는 제조 프로세스 내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2는 도 1과 비교하여 약간 확대되고 부분적으로 수직 섹션으로 적절한 충전 디바이스를 갖는 충전 맨드릴 및 압출기 헤드만의 도면으로서, 충전 맨드릴은 압출기 헤드의 면 상에서 그 기능 위치에 있는 보호 커버 내의 종방향 섹션 내에 유지되는 작동 위치에 도시되어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대응하지만, 충전 맨드릴이 압출기 헤드 내로 작동 위치 내로 후퇴되어 있고, 보호 커버가 그 기능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는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비교하여 매우 확대되고 부분 절결되어 있는 수직 부분 단면도로서, 도 2의 작동 및 기능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 수직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에서 단일의 가시적인 충전 맨드릴의 충전 위치가 도시되고 압출기 헤드와 몰드 사이의 그 외부측을 따라 튜브 내로 연장하는 살균 공간이 도시되어 있는 개략적으로 단순화된 수직 단면도.
도 1에는, 디바이스 프레임은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로서 지정된다. 그 기부 프레임(3) 상에서,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종래의 압출기 헤드(5)가 설치되는데, 상기 압출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압출 노즐(50, 도 4 및 도 5)을 갖고, 이 노즐로부터 압출기 헤드(5)의 면(7) 상에서 압출기 헤드(5)에 공급되는 가소화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튜브(52, 도 5)가 작동시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보틀팩
Figure pct00002
프로세스에 따라 작동되는 이러한 압출기 디바이스는 본래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압출기 헤드(5)의 상세의 추가의 설명은 불필요하다. 종방향으로 압출기 헤드(5) 내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전 맨드릴(11)을 갖는 충전 디바이스(9)가 존재한다는 것을 간단히 주목하자. 도면에는 충전 맨드릴(11)을 갖는 단지 하나의 충전 디바이스(9)가 도시되어 있지만, 압출기 헤드(5)는 바람직하게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충전 맨드릴(11)을 갖는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열에 위치된 복수의 충전 디바이스(9)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디바이스에 대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각각의 충전 맨드릴(11)은 예를 들어 그 충전 디바이스(9)와 함께 프레임 캐리어(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다양한 선택된 작동 위치로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충전 맨드릴(11)은 제조 및 충전 프로세스를 위해 그리고 세척, 살균 및 건조를 위해 필요한 작동 위치로 클럭 제어되어 설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는 충전 프로세스를 위한 전진된 작동 위치에서의 충전 맨드릴(11)을 도시하고, 충전 니들의 형상으로 테이퍼진 단부 섹션(15)은 헤드측에서 아직 폐쇄되지 않은 몰드(17) 내로 전진하고 있다. 리볼버(revolver) 배열의 방식으로, 개별 몰드부(19)는 폐쇄된 제조 몰드를 형성하기 위해 가상 원호 경로 상에서 서로를 향해 짝 형성되어 이동하고, 몰드의 개방을 위해 재차 이격하여 이동한다. 단부 섹션(15)으로부터 충전 재료의 투여된 전달을 위해, 각각의 충전 맨드릴(11)은 도 4 및 도 5에 도면 부호 21로서 나타낸 충전 채널의 형태의 중앙에 위치된 기능 채널을 갖는다. 중앙 충전 맨드릴 라인(23)으로부터, 각각의 충전 디바이스(9)의 제어 가능한 투여 유닛(25)이 첨가될 제품이 전달될 수 있다. 투여 유닛(25)은 적절한 충전 채널(21)로 각각 클럭 제어된 충전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투여량을 전달한다.
도 1 및 도 5와는 대조적으로, 도 2 내지 도 4는 준비 수단이 제조가 시작되기 전에 수행되고 있는 동안 적절한 충전 맨드릴(11)이 점유하고 있는 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및 도 4는 몰드(17)의 영역으로부터 후퇴되어 있는 충전 맨드릴(11)이 보호 커버(27) 내의 종방향 영역으로 유지되어 있는 일 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도 4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충전 재료 출구 및 그에 접속된 종방향 섹션(29)(도 4)을 갖는 충전 니들형 단부 섹션(15)이다. 단부 섹션(15)은 보호 커버(27) 내의 제 1 기능 공간(31) 내에 있고, 출력 채널(33)이 공간(31)으로부터 매체 출구를 형성한다. 단부 섹션(15)에 접속되어 있는 종방향 섹션(29)은 마찬가지로 출력 채널(미도시)이 외부로의 매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기능 공간(35) 내의 보호 커버(27)에 유지된다. 공간(31, 35)은 충전 맨드릴(11)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작동 위치를 점유할 때 충전 니들형 단부 섹션(15)이 제 1 공간(31) 내로 연장하는 밀봉 인서트(37)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중앙 충전 채널(21)과 같은 이러한 디바이스 내의 충전 맨드릴(11)에서 통상적으로 연장하는 기능 채널 이외에, 도 4 및 도 5에만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용 공급 채널로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능 채널이 존재하고, 이 채널은 도면 부호 39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다른 기능 채널(39)은 도 4 및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유입 공급 접속부(41)(도 5)로부터 진행하여, 압출기 헤드(5)의 면(7) 상의 출구 마우스(40)까지 계속되는 적절한 충전 맨드릴(11)의 외부측을 따라 연장한다. 예를 들어 맨드릴 냉각 입력 및 맨드릴 냉각 출력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추가의 기능 채널을 위해 의도된 접속부가 도 5에 도면 부호 42 및 44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커버벽(47)을 갖는 보호 커버(27)의 커버 본체(45)는 압출기 헤드(5)의 면(7)에 편평하게 인접한다. 여기서, 커버 본체(45)의 커버벽(47) 내의 입력 개구(51)의 에지는 기능 채널(39)의 마우스(40)에 정렬되어 기능 채널(39)이 입력 개구(51)를 거쳐 제 2 기능 공간(35)의 내부 내로 계속되게 된다. 동시에, 보호 커버(27)의 제 1 기능 공간(31)은 단부 섹션(15) 상의 충전 재료 개구를 경유하여 충전 채널(21)에 접속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그 커버벽(47)을 갖는 보호 커버(27)의 커버 본체(45)는 적절한 압출 노즐 개구(50)의 에지 내에서 편평하게 압출기 헤드(5)의 면(7)에 인접하고, 이 노즐 개구에 대해 커버벽(47) 내에 유지되어 있는 밀봉 장치(49)에 의해 밀봉된다. 밀봉 장치(49) 내에서, 본체(45)의 커버벽(47)은 충전 맨드릴(11)의 종방향 섹션(29)이 보호 커버(27) 내로 연장하는 입력 개구(51)를 갖는다. 입구 개구(51)의 크기는, 입구 개구(51)의 에지 상의 매체 공급 채널(39)의 마우스(40)가 보호 커버(27)의 제 2 기능 공간(35)에 접속되도록 치수 설정된다. 동시에, 보호 커버(27)의 제 1 기능 공간(31)은 충전 재료 개구를 경유하여 단부 섹션(15) 상의 충전 채널(21)에 접속된다.
이 작동 상태에서, 세척 및 살균과 관련된 모든 수단이 보호 커버(27)의 공간(31, 35)과 충전 맨드릴(11)의 채널(21, 39) 사이의 접속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과 유동 상태로 스위칭된 공급 접속부(23)와 투여 시스템(25)을 경유하여, 충전 채널(21)을 세척하는 세척액이 액체가 채널(33)을 거쳐 나오는 기능 공간(31) 내로 전달되도록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체 공급 채널(39)과 제 2 기능 공간(35) 사이의 접속을 경유하여, 충전 디바이스(9)의 공급 접속부(41)로부터 매체의 추가의 공급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서 충전 맨드릴(11)의 종방향 섹션(29)이 주연측에서 세척되거나 살균된다. 충전 맨드릴(11)의 동일한 작동 위치에서 보호 커버(27)가 기능 위치에 있을 때, 충전 채널(21)의 세척 후에, 충전 맨드릴(21)을 거쳐 충전 디바이스(9)를 경유하여 유입되어 충전 채널(21)의 내부 뿐만 아니라 보호 커버(27)의 공간 내의 단부 섹션(15)의 외부측을 살균하는 적어도 121℃의 과열 증기에 의해 살균 프로세스가 시작될 수 있다. 대응 방식으로, 살균 과열 증기가 매체 공급 채널(39)을 거쳐 보호 커버(27)의 공간(35) 내로 전달될 수 있어 섹션(29)의 외부가 마찬가지로 살균되게 된다.
세척 및 살균 프로세스에서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응 건조/냉각 프로세스가 이어서 동일한 매체 접속을 거쳐 수행될 수 있고, 이전의 살균 스트림의 응축물이 살균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송풍된다.
건조 후에, 적절한 충전 맨드릴(11)은 도 3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 후퇴되어, 보호 커버(27)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능 위치로부터 이동하고, 보호 커버(27)는 예를 들어 압출기 헤드(5)의 면(7) 상에서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압박된다.
기능 위치로부터 보호 커버(27)를 이동한 후에, 디바이스는 제조 간격의 시작을 위한 준비가 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제조 단계 중에 충전 맨드릴(11)의 외부를 따라 연장하는 기능 채널(39)의 마우스(40)는 압출 노즐 개구(50)로부터 나오는 튜브(52)(도 5)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기능 채널(39)을 거쳐 공급되는 매체는 튜브(52)의 내부 내로 유동한다. 따라서, 튜브는 압출기 헤드(5)로부터 몰드(17) 내로의 그 경로에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한다. 살균 공기가 기능 채널(39)을 거쳐 유동할 때, 전체 제조 프로세스, 즉 충전된 용기 상의 헤드 덮개의 형성까지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살균 충전 공간(53)이 형성되고, 이는 몰드(17)의 적절한 헤드 조를 폐쇄함으로써 수행된다. 몰드의 대응 기구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에서 전체로서 도면 부호 17로 나타내고 있는 몰드는 따라서 주 몰드부 및 헤드 몰드부의 개별적인 도시 없이 개략적으로 간단화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행은 출구 마우스(40)를 거친 공급된 지원 공기에 의한 튜브의 살균, 뿐만 아니라 송풍되고 있는 살균 공기에 의해 디바이스가 특정 정도로의 무균에 대한 국제 표준(클래스 100)을 만족시키도록 살균 구역의 형성을 제공한다.
5: 압출기 헤드 7: 면
9: 충전 디바이스 11: 충전 맨드릴
15: 단부 섹션 17: 몰드
19: 개별 몰드부 21: 충전 채널
23: 중앙 충전 맨드릴 라인 25: 투여 유닛
27: 보호 커버 29: 종방향 섹션
31: 제 1 기능 공간 35: 제 2 기능 공간
37: 밀봉 인서트 39: 다른 기능 채널
45: 커버 본체 47: 커버벽
49: 밀봉 장치 51: 입구 개구
52: 튜브 53: 살균 충전 공간

Claims (10)

  1. 가소화된 플라스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튜브가 개방 몰드(17) 내로 압출될 수 있고,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채널들(21, 39)을 포함하는 충전 디바이스(9)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충전 재료가 적절한 몰드(17)에 할당된 충전 맨드릴(11)에 의해 각각의 용기들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용기들의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공간(31, 35)을 갖고,
    - 그 기능 위치에서, 그 각각의 상기 기능 공간(31, 35)과 상기 충전 디바이스(9)의 각각의 할당 가능한 상기 기능 채널(21, 39) 사이의 세척 및/또는 살균 및/또는 건조를 위해 매체-담지(media-carrying) 접속부를 생성하고,
    - 용기 제조 및 충전 중에 그 기능 위치 밖으로 이동되는 맨드릴 보호 커버(2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은 종방향 변위에 의해 선택된 작동 위치들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보호 커버(27)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기능 위치에 있는 상기 보호 커버(27)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공간(31, 35) 내의 종방향 섹션(15, 29)과 함께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27)는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종방향 변위 방향에서 서로 편위된(offset) 제 1 기능 공간(31) 및 제 2 기능 공간(35)을 갖고, 상기 제 1 기능 공간(31)은 상기 충전 맨드릴(11) 내에서 중앙으로 연장하고 충전 중에 충전 채널(21)로서 사용되는 상기 기능 채널의 출구에 위치된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단부 섹션(15)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27)의 제 2 기능 공간(35)은 상기 단부 섹션(15)에 접속된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종방향 섹션(29)을 수용하도록 설계되고, 입력 개구(51)를 가지며, 대응 작동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27)의 기능 위치에서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이 상기 입력 개구(51)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입력 개구(51)를 통해서 상기 제 2 기능 공간(35)과 상기 충전 디바이스(9)의 다른 기능 채널(39) 사이의 접속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11)은 그 기능 위치에서 상기 보호 커버(27)의 커버벽(47)에 의해 편평하게 인접하는 면(7)을 갖는 압출기 헤드(5)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벽은 각각의 상기 제 2 기능 공간(35)의 입력 개구(51)를 갖고, 다른 기능 채널(39)은 상기 보호 커버(27)의 인접하는 커버벽(47) 내의 입력 개구(51)를 경유하여 그 제 2 기능 공간(35)으로의 접속이 형성되도록 상기 압출기 헤드(5)를 통해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외부측을 따라 연장하여 그 면(7) 상에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27)의 각각의 기능 공간(31, 35)은 매체 출구(33)를 가지며 예를 들어 세척 및/또는 살균 매체 및/또는 냉각 및/또는 건조 매체와 같은, 상기 충전 디바이스(9)의 기능 채널들(21, 39)로의 접속에 의해 공급된 각각의 매체가 상기 매체 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27)는 보호 본체(45)를 형성하고, 이 보호 본체의 각각의 입력 개구(51)는 상기 제 2 기능 공간(35)에 인접하며, 상기 제 1 기능 공간(31) 내로 상기 충전 재료를 위한 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충전 니들형 단부 섹션(15)의 입구용 중앙 통로를 형성하는 밀봉 인서트(37)에 의해 동축으로 이어지는 상기 제 1 기능 공간(31)으로부터 상기 제 2 기능 공간(35)이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27)는 상기 압출기 헤드(5)의 면(7)을 따라 기능 위치 내외로 그 커버 벽(47)을 변위시킴으로써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디바이스(9)는, 각각의 상기 충전 맨드릴의 중앙 충전 재료 채널에 할당된 투여 시스템(25)에 추가하여, 또한 공급 디바이스들(23, 41)을 갖고, 이 공급 디바이스들에 의해 충전 재료 채널(21) 및 또한 다른 기능 채널들(39)이 교대로 세척 매체, 살균 매체, 건조 매체 또는 냉각 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충전 맨드릴(11)의 외부측을 따라 안내되는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채널(39)은 살균 기체 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이 살균 기체 매체는 튜브(52)를 형성하는 압출 프로세스 중에 상기 압출기 헤드(5)의 면(7) 상에 배출될 수 있고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상기 튜브(52)를 안정화하고 또한 그 내부에 살균 구역을 형성하는 지원 공기(support air)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07028277A 2008-06-17 2009-06-10 용기를 형성하여 충전하는 디바이스 KR1014985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8754.7 2008-06-17
DE102008028754A DE102008028754A1 (de) 2008-06-17 2008-06-17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PCT/EP2009/004151 WO2009152979A1 (de) 2008-06-17 2009-06-10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386A true KR20110017386A (ko) 2011-02-21
KR101498517B1 KR101498517B1 (ko) 2015-03-04

Family

ID=4098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277A KR101498517B1 (ko) 2008-06-17 2009-06-10 용기를 형성하여 충전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480390B2 (ko)
EP (1) EP2285685B1 (ko)
JP (1) JP5432248B2 (ko)
KR (1) KR101498517B1 (ko)
CN (1) CN102066199B (ko)
AU (1) AU2009259653B2 (ko)
BR (1) BRPI0915322B1 (ko)
CA (1) CA2725907C (ko)
DE (1) DE102008028754A1 (ko)
ES (1) ES2425376T3 (ko)
HK (1) HK1154374A1 (ko)
MX (1) MX2010013376A (ko)
PL (1) PL2285685T3 (ko)
PT (1) PT2285685E (ko)
RU (1) RU2503595C2 (ko)
WO (1) WO20091529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003A (ko) * 2012-10-16 2015-06-22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이루어진 용기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8219A4 (en) * 2004-11-17 2008-07-23 Protiva Biotherapeutics Inc ARNSI SILENCE OF APOLIPOPROTEIN B
CA2628300C (en) * 2005-11-02 2018-04-17 Protiva Biotherapeutics, Inc. Modified sirna molecules and uses thereof
DE102011008132A1 (de) * 2011-01-04 2012-07-05 Khs Corpoplas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lasformung von sterilen Behältern
CN103717494B (zh) * 2011-08-08 2015-11-25 帝斯克玛股份有限公司 填充有碳酸饮料的容器的脱气方法
US9963254B2 (en) * 2011-08-08 2018-05-08 Discma Ag Rotary system for simultaneously blowing and filling plastic containers
DE102015007690A1 (de) * 2015-06-11 2016-12-15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üllten und geschlossenen Behälter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nd ein danach hergestellter Behälter
DE102017008802A1 (de) 2017-09-20 2019-03-21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DE102017008803A1 (de) 2017-09-20 2019-03-21 Kocher-Plasti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erzeugnissen
CN109204946B (zh) * 2018-10-08 2023-12-15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灌装分配器及灌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4597A (ko) * 1964-07-10
FR2091884B1 (ko) * 1970-03-27 1974-05-03 Raffinage Cie Francaise
JPS618595U (ja) * 1984-06-20 1986-01-18 澁谷工業株式会社 充填バルブの洗滌装置
JP2668398B2 (ja) * 1988-07-09 1997-10-27 株式会社南陽製作所 練状化粧剤用多色充填機
DE3834184C1 (ko) * 1988-10-07 1989-12-28 Bernd 7166 Sulzbach-Laufen De Hansen
JP2698929B2 (ja) * 1989-04-10 1998-01-19 四国化工機株式会社 包装機械の充填装置における洗浄装置
DE4205655C2 (de) * 1992-02-25 1999-12-1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terilisieren einer Verpackungsmaschine und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JP3359351B2 (ja) * 1992-05-11 2002-12-24 日立造船株式会社 自己洗浄機能付充填ノズル
IT1262305B (it) * 1993-02-23 1996-06-19 Procedimento e impianto per confezionare prodotti fluidi o semifluidi entro contenitori in resina sintetica termoformabile.
US5862840A (en) 1994-03-21 1999-01-26 Hansen; Bernd Device for sterile filling of containers
DE4409617A1 (de) * 1994-03-21 1995-09-28 Bernd Hansen Einrichtung zum sterilen Befüllen von Behältnissen
DE4411629A1 (de) * 1994-04-02 1995-11-0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Ventil zum Abfüllen von Flüssigkeiten in Verpackungen
DE4422713B4 (de) * 1994-06-29 2004-04-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Sterilisieren von Teilen einer Verpackungsmaschine sowie ein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IT1281670B1 (it) * 1996-01-16 1998-02-26 Gruppo Bertolaso Spa Metodo ed apparato di sanificazione per macchine ed impianti di riempimento in particolare di prodotti alimentari
DE19904131C2 (de) * 1999-02-03 2001-01-04 Hassia Verpackung Ag Füllstation für eine Aseptik-FFS-Verpackungsmaschine
DE10063282C2 (de) * 2000-12-19 2003-06-18 Bernd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DE50103428D1 (de) * 2001-11-07 2004-09-30 Hassia Verpackung Ag Verfahren zum vorsterilisieren einer schlauchbeutel-verpackungsmaschine
CN2576608Y (zh) * 2002-09-17 2003-10-01 哈尔滨赛德技术发展有限公司 立式袋加盖全自动液体包装机
DE10323335A1 (de) * 2003-05-23 2004-12-16 Hansen, Bernd, Dipl.-Ing. Herstellvorrichtung
ITBO20030411A1 (it) * 2003-07-03 2005-01-04 Stk Stocchi Progetti S R L Rubinetto per il riempimento sterile di liquidi alimentari.
DE102004004755A1 (de) * 2004-01-30 2005-08-25 Bernd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und Befüllen von Behält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003A (ko) * 2012-10-16 2015-06-22 코허-플라스틱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이루어진 용기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517B1 (ko) 2015-03-04
MX2010013376A (es) 2010-12-21
PT2285685E (pt) 2013-07-24
AU2009259653B2 (en) 2013-09-05
AU2009259653A1 (en) 2009-12-23
EP2285685B1 (de) 2013-07-10
DE102008028754A1 (de) 2009-12-24
BRPI0915322A2 (pt) 2015-10-27
CA2725907C (en) 2015-01-06
WO2009152979A1 (de) 2009-12-23
EP2285685A1 (de) 2011-02-23
BRPI0915322B1 (pt) 2019-08-06
HK1154374A1 (en) 2012-04-20
US20110076355A1 (en) 2011-03-31
RU2010153051A (ru) 2012-07-27
PL2285685T3 (pl) 2013-12-31
JP2011524840A (ja) 2011-09-08
JP5432248B2 (ja) 2014-03-05
CN102066199A (zh) 2011-05-18
CA2725907A1 (en) 2009-12-23
RU2503595C2 (ru) 2014-01-10
US8480390B2 (en) 2013-07-09
CN102066199B (zh) 2013-04-03
ES2425376T3 (es)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386A (ko) 용기 제조 및 충전용 디바이스
CN105829065B (zh) 吹塑成型机及其杀菌方法
EP3838551B1 (en) Blow-molding machine and method of sterilizing the same
JP5291082B2 (ja) 酸素含有量を最小限に抑える装置
EP3805114B1 (en) Drink filling system
JP5994840B2 (ja) プリフォーム内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6072431B2 (ja) 滅菌状態でエア除去する無菌ブロー成形機械
CN102459007B (zh) 用于消毒包装的方法和设备
KR101204280B1 (ko) 컨테이너 제조 및 충전 방법과 장치
JP6222312B2 (ja) ブロー成形機及びその殺菌方法
KR102557523B1 (ko) 용기 제품을 제조 및 충전하기 위한 디바이스
CN115666901A (zh) 包括无菌转移区的容器制造设备
JP6323509B2 (ja) プリフォーム内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CN117597224A (zh) 用于制造由塑料材料制成的成型、填充和封闭的容器产品的设备和方法
SE524626C2 (sv) Tubfyllningsmaskin och förfarande för förslutning i en såd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