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23A - 렌즈 아답터 - Google Patents

렌즈 아답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23A
KR20110007423A KR1020090064940A KR20090064940A KR20110007423A KR 20110007423 A KR20110007423 A KR 20110007423A KR 1020090064940 A KR1020090064940 A KR 1020090064940A KR 20090064940 A KR20090064940 A KR 20090064940A KR 20110007423 A KR20110007423 A KR 20110007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perture
opening
mou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816B1 (ko
Inventor
김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816B1/ko
Priority to US12/820,281 priority patent/US8414204B2/en
Priority to CN201010232180.8A priority patent/CN101957541B/zh
Publication of KR2011000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제조사의 렌즈들을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렌즈들의 성능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렌즈 아답터를 위하여, (i) 일측에 형성된,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에 체결될 수 있는 제1마운트와, (ii) 타측에 형성된,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체결될 수 있는 제2마운트와, (iii)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에 컨택하는 조리개 레버와, (iv)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해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을 움직일 수 있는 조리개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렌즈 아답터{Lens adapter}
본 발명은 렌즈 아답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제조사의 렌즈들을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렌즈들의 성능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렌즈 아답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는 사용자가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영장치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물을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렌즈들의 상이한 효과를 고려하여 렌즈를 선택하고 이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체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경우 렌즈의 제어가 전자방식이 아닌 수동방식이었기에, 렌즈에 장착된 초점 조절을 위한 초점링 및/또는 조리개 제어를 위한 조리개링 등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돌려가며 렌즈를 제어하였다. 그러나 최근 디지털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가 사용되면서, 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개발되는 렌즈의 경우 렌즈의 조리개 제어를 위한 조리개링을 갖고 있지 않게 되었다. 즉, 렌즈에 조리개링을 장착하지 않은 채, 디지털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가 직접 렌즈의 조리개 수치 등을 제어하게 되었다. 물론 사용자는 디지털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구비된 버튼 등을 통해 렌즈의 조리개 수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다양한 제조사의 렌즈를 모두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렌즈가 장착될 부위인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의 스펙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에 체결될 렌즈의 렌즈마운트의 스펙이 상호 대응하지 않는다면, 해당 렌즈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장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렌즈 아답터를 이용해야만 한다. 즉 일측에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에 장착될 수 있는 마운트를 가지며, 타측에는 장착하고자 하는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장착될 수 있는 마운트를 갖는 렌즈 아답터를 이용해야만, 호환되지 않는 렌즈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렌즈 아답터를 이용할 경우, 조리개 제어를 위한 조리개링을 갖지 않은 렌즈의 경우 언제나 조리개가 최소개방이 된 상태로 장착되어 작동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리개링을 갖지 않은 렌즈의 경우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바디)에서 렌즈의 조리개 수치를 제어하는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와 렌즈의 체결을 렌즈 아답터가 매개할 경우에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가 렌즈의 조리개 수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언제나 렌즈의 조리개가 최소개방된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렌즈 조리개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현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제조사의 렌즈들을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렌즈들의 성능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렌즈 아답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i) 형성된,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에 체결될 수 있는 제1마운트와, (ii) 타측에 형성된,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체결될 수 있는 제2마운트와, (iii)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에 컨택하는 조리개 레버와, (iv)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해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을 움직일 수 있는 조리개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제1개구부를 갖는 아답터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마운트는 제2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개구부가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답터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운트는 제3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3개구부가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답터 홀더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부와,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이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 중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개구가 변경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 중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개구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와,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제1홈 및 제2홈 이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홈 또는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홈 또는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들과,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제1개구 및 제2개구가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개구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개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개구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개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개구 또는 제2개구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개구 또는 제2개구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마운트, 상기 제2마운트 및 상기 아답터 홀더가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렌즈 아답터에 따르면, 다양한 제조사의 렌즈들을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할 수 있으면서도 렌즈들의 성능 활용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렌즈 아답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가 체결될 수 있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에 체결될 수 있는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는 일측에 형성된 제1마운트(32), 타측에 형성된 제2마운트(33), 조리개 레버(34) 및 조리개링(35)을 구비한다.
제1마운트(3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10)의 바디마운트(14)에 체결될 수 있다. 렌즈 아답터(30)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10)에 체결한 후 이를 다시 분리할 시에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10)의 바디마운트(14) 근방의 분리버튼(16)을 누르는 등의 방식으로 렌즈 아답터(30)를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제2마운트(33)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렌즈(20)의 렌즈마운트(22)가 체결될 수 있다. 렌즈 아답터(30)에 렌즈(20)를 체결한 후 이를 다시 분리할 시에는, 아답터 홀더(31)의 일측의 렌즈분리버튼(31b)을 누르고 렌즈(20)를 돌리는 등의 방식으로 렌즈 아답터(30)로부터 렌즈(20)를 분리할 수 있다. 물론 아답터 홀더(31)에는 렌즈분리버튼(31b)이 구비되지 않고 단순히 렌즈(20)를 돌리는 방식으로 렌즈 아답터(30)로부터 렌즈(20)를 분리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조리개 레버(34)는 렌즈(20)의 렌즈마운트(22)가 렌즈 아답터(30)의 제2마운트(33)에 체결될 시, 렌즈(20)의 조리개핀(24)에 컨택하게 된다. 이 조리개 레버(34)는 조리개링(35)의 회전에 의해 움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택하는 조리개핀(24)을 움직이게 된다.
물론 렌즈 아답터(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마운트(32)와 제2마운트(33) 사이에 개재되는 아답터 홀더(31)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아답터 홀더(31)는 장착된 렌즈(20)로부터 입사한 광이 렌즈 아답터(30)를 통과하여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10)의 필름 및/또는 촬상소자에 입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1개구부(31a)를 갖는다. 그리고 제1마운트(32)는 제2개구부(32a)를 가지며, 제1마운트(32)는 제2개구부(32a)가 아답터 홀더(31)의 제1개구부(31a)에 대응하도록 아답터 홀더(31)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된 렌즈(20)로부터 입사한 광은 아답터 홀더(31)의 제1개구부(31a)와 제1마운트(32)의 제2개구부(32a)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2마운트(33)는 제3개구부(33a)를 가지며, 제2마운트(33)는 제3개구부(33a)가 아답터 홀더(31)의 제1개구부(31a)에 대응하도록 아답터 홀더(31)의 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장착된 렌즈(20)로부터 입사한 광은 제2마운트(33)의 제3개구부(33a), 아답터 홀더(31)의 제1개구부(31a) 및 제1마운트(32)의 제2개구부(32a)를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아답터 홀더(31), 제1마운트(32) 및 제2마운트(33)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체(一體, 한 개의 부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아답터 홀더(31), 제1마운트(32) 및 제2마운트(33)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렌즈 아답터를 이용할 경우, 조리개 제어를 위한 조리개링을 갖지 않은 렌즈의 경우 언제나 조리개가 최소개방이 된 상태로 장착되어 작동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리개링을 갖지 않은 렌즈의 경우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바디)에서 렌즈의 조리개 수치를 제어하는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와 렌즈의 체결을 렌즈 아답터가 매개할 경우에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가 렌즈의 조리개 수치를 제어할 수 없게 되어, 언제나 렌즈의 조리개가 최소개방된 상태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렌즈 조리개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현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30)를 이용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20)에 줌 조절용 줌링(26)과 초점 조절용 초점링(28)만 구비되어 있고 조리개 조절용 조리개링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렌즈 아답터(30)에 구비된 조리개링(35)을 사용자가 움직여 렌즈(20)의 조리개 수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렌즈 조리개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4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b는 도 4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30)는 도 3에 도시 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와 달리 조리개 플레이트(36), 제1돌출부(311) 및 제2돌출부(312)를 더 구비한다.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조리개링(35) 내측에 체결되며, 복수개의 개구들(36a, 36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도면들에서는 조리개 플레이트(36)에 복수개의 개구들(36a, 36b)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개구들(36a, 36b)이 아닌 홈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개구들(36a, 36b)이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시된 것과 달리 조리개링(35)과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일체일 수도 있다. 조리개링(35)과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일체일 경우, 결과적으로 조리개링(35) 내측면에 복수개의 홈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제1돌출부(311) 및 제2돌출부(312)는 아답터 홀더(31)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돌출부(311) 및 제2돌출부(312)는 스틸 볼이고 그 하부에 클릭 스프링(311a, 312a)에 의해 지지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30)의 경우, 제1돌출부(311)와 제2돌출부(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 36b)에 삽입된다. 따라서 조리개링(35)이 회전하여 조리개 플레이트(36)가 회전함에 따라, 제1돌출부(311) 및/또는 제2돌출부(312)가 삽입되는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가 변경되게 된다. 조리개 플레이트(36)의 복수개의 개구들(36a, 36b) 중 제1돌출부(311) 또는 제2돌출부(312)가 삽입되는 개구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20)의 렌즈마운트(22)가 제2마운트(33)에 체결될 시, 조리개 레버(34)를 통한, 체결된 렌즈(20)의 조리개핀(24)의 움직임 량이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렌즈(20)의 조리개의 개방 정도가 변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리개링(35)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돌출부(311) 및/또는 제2돌출부(312)가 삽입되는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가 바뀔 시, 사용자는 조리개링(35)을 통해 "딸깍"과 같은 소리 및/또는 진동을 느끼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개링(35)을 돌릴 시 조리개링(35)이 얼마나 회전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아답터 홀더(31)는 슬릿(31c)을 가지고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절곡부(36c)를 가져, 이 절곡부(36c)가 아답터 홀더(31)의 슬릿(31c)을 통해 조리개 레버(34)와 컨택함으로써, 조리개링(35)이 회전할 시 조리개 레버(34) 역시 그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돌출부(311)가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 36b)에 삽입될 시에는 제2돌출부(312)는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 36b)에 삽입되지 않으며, 제2돌출부(312)가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 36b)에 삽입될 시에는 제1돌출부(311)는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 36b)에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돌출부(311)가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a)에 삽입될 시 제2돌출부(312)도 조리개 플레이트(36)의 개구(36b)에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보다, 동일한 조리개링(35)의 회전각도 내에서도 클릭 수(조리개링(35)을 회전시킬 시 조리개링(35)의 개구(36a, 36b) 내에 돌출부(311, 312)가 삽입되는 회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20)가 렌즈 아답터(30)에 체결될 시 렌즈(20)의 조리개 개방 정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 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30)는 도 3에 도시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와 달리 조리개 플레이트(36) 및 복수개의 돌출부들(313a, 313b)을 더 구비한다.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조리개링(35) 내측에 체결되며, 제1개구(361)와 제2개구(36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도면들에서는 조리개 플레이트(36)에 제1개구(361)와 제2개구(362)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1개구(361)와 제2개구(362)가 아닌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개구(361)와 제2개구(362)가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하의 설명은 조리개 플레이트(36)에 제1개구(361)와 제2개구(362)가 아닌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것과 달리 조리개링(35)과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일체일 수도 있다. 조리개링(35)과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일체일 경우, 결과적으로 조리개링(35) 내측면에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복수개의 돌출부들(313a, 313b)은 아답터 홀더(31)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30)의 경우, 제1개구(36a)와 제2개구(3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돌출부(313a, 313b)가 삽입된다. 따라서 조리개링(35)이 회전하여 조리개 플레이트(36)가 회전함에 따라, 제1개구(36a) 및/또는 제2개구(36b)에 삽입되는 돌출부(313a, 313b)가 변경되게 된다. 조리개 플레이트(36)의 제1개구(36a) 및/또는 제2개구(36b)에 삽입되는 돌출부(313a, 313b)가 변 경됨에 따라, 렌즈(20)의 렌즈마운트(22)가 제2마운트(33)에 체결될 시, 조리개 레버(34)를 통한, 체결된 렌즈(20)의 조리개핀(24)의 움직임 량이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렌즈(20)의 조리개의 개방 정도가 변하게 된다.
사용자가 조리개링(35)을 회전시킴에 따라 제1개구(36a) 및/또는 제2개구(36b)에 삽입되는 돌출부(313a, 313b)가 바뀔 시, 사용자는 조리개링(35)을 통해 "딸깍"과 같은 소리 및/또는 진동을 느끼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조리개링(35)을 돌릴 시 조리개링(35)이 얼마나 회전하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아답터 홀더(31)는 슬릿(31c)을 가지고 조리개 플레이트(36)는 절곡부(36c)를 가져, 이 절곡부(36c)가 아답터 홀더(31)의 슬릿(31c)을 통해 조리개 레버(34)와 컨택함으로써, 조리개링(35)이 회전할 시 조리개 레버(34) 역시 그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제1개구(361)에 돌출부(313a)가 삽입될 시에는 제2개구(362)에는 돌출부(313b)가 삽입되지 않으며, 제2개구(362)에 돌출부(313b)가 삽입될 시에는 제1개구(361)에는 돌출부(313a)가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개구(361)에 돌출부(313a)가 삽입될 시 제2개구(362)에도 돌출부(313b)가 삽입되도록 하는 경우보다, 동일한 조리개링(35)의 회전각도 내에서도 클릭 수(조리개링(35)을 회전시킬 시 조리개링(35)의 개구(361, 362) 내에 돌출부(313a, 313b)가 삽입되는 회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20)가 렌즈 아답터(30)에 체결될 시 렌즈(20)의 조리개 개방 정도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가 체결될 수 있는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에 체결될 수 있는 렌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4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4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렌즈 아답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렌즈 아답터 31: 아답터 홀더
31a: 제1개구부 31b: 렌즈분리버튼
32: 제1마운트 32a: 제2개구부
33: 제2마운트 33a: 제3개구부
34: 조리개 레버 35: 조리개링
36: 조리개 플레이트

Claims (18)

  1. 일측에 형성된, 렌즈 교환용 촬영장치의 바디마운트에 체결될 수 있는 제1마운트;
    타측에 형성된,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체결될 수 있는 제2마운트;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에 컨택하는 조리개 레버; 및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회전에 의해,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해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을 움직일 수 있는 조리개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개구부를 갖는 아답터 홀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마운트는 제2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2개구부가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답터 홀더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마운트는 제3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3개구부가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아답터 홀더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제1돌출부 및 제2돌출 부; 및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이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가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돌출부가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홈 또는 개구에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 중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제2돌출부 가 삽입되는 홈 또는 개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복수개의 홈들 또는 개구들 중 상기 제1돌출부 또는 상기 제2돌출부가 삽입되는 홈 또는 개구가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들; 및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제1홈 및 제2홈이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홈과 상기 제2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홈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홈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홈 또는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홈 또는 제2홈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홀더의 외주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개의 돌출부들; 및
    상기 조리개링 내측에 체결되며, 제1개구 및 제2개구가 형성된 조리개 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개구와 상기 제2개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2개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으며, 상기 제2개구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될 시에는 상기 제1개구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링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개구 또는 제2개구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들 중 상기 조리개 플레이트의 제1개구 또는 제2개구에 삽입되는 것이 변경됨에 따라, 렌즈의 렌즈마운트가 상기 제2마운트에 체결될 시, 상기 조리개 레버를 통한, 체결된 렌즈의 조리개핀의 움직임 량이 변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18. 제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터 홀더, 상기 제1마운트 및 상기 제2마운트는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아답터.
KR1020090064940A 2009-07-16 2009-07-16 렌즈 아답터 KR101567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0A KR101567816B1 (ko) 2009-07-16 2009-07-16 렌즈 아답터
US12/820,281 US8414204B2 (en) 2009-07-16 2010-06-22 Lens adaptor
CN201010232180.8A CN101957541B (zh) 2009-07-16 2010-07-15 镜头适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0A KR101567816B1 (ko) 2009-07-16 2009-07-16 렌즈 아답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23A true KR20110007423A (ko) 2011-01-24
KR101567816B1 KR101567816B1 (ko) 2015-11-11

Family

ID=4346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940A KR101567816B1 (ko) 2009-07-16 2009-07-16 렌즈 아답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14204B2 (ko)
KR (1) KR101567816B1 (ko)
CN (1) CN1019575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414A (zh) * 2012-09-10 2014-03-26 理光映像有限公司 接口适配器及相机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8552B2 (ja) * 2011-07-22 2014-02-19 株式会社ニコン アダプター、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アダプター制御プログラム
USD698843S1 (en) * 2011-08-10 2014-02-04 Nikon Corporation Intermediate adapter for a camera
JP5896662B2 (ja) * 2011-09-15 2016-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アクセサリ
ITMI20120150A1 (it) * 2012-02-06 2013-08-07 Dante Cecchin Dispositivo adattatore per modificare l'angolo di fissaggio di un'ottica al corpo di fotocamere digitali
USD729862S1 (en) * 2012-07-03 2015-05-19 Fujifilm Corporation Lens for camera
GB2515807B (en) * 2013-07-05 2017-09-13 Global Boom Int Ltd A lens adapter
DE102013022013B4 (de) * 2013-12-20 2017-08-17 Carl Zeiss Ag Kamerawechselobjektiv und Verfahren zum Aktivieren und Deaktivieren einer Rastvorrichtung einer Blende eines Kamerawechselobjektivs
JP6598484B2 (ja) 2015-03-31 2019-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気通信ユニット、及びレンズアダプタ
USD799578S1 (en) * 2016-03-11 2017-10-10 Breakthrough Photography, LLC Camera lens filter with traction frame
CN107404603B (zh) * 2016-05-19 2021-05-04 环球兴国际有限公司 镜头适配器及其背锁式镜头固定装置
DE102016220370A1 (de) * 2016-10-18 2018-04-19 Carl Zeiss Ag Adaptereinrichtung und Kameraobjektiv
DE102016121646B3 (de) * 2016-11-11 2018-04-26 Jos. Schneider Optische Werke Gmbh Adapter zum Verschwenken eines Objektivs
CN116699786A (zh) * 2018-08-20 2023-09-05 株式会社尼康 透镜镜筒及摄像装置
JP7374628B2 (ja) 2018-09-21 2023-1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光学機器、およびアクセサリ装置
JP7130511B2 (ja) * 2018-09-21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7277185B2 (ja) * 2019-03-07 2023-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中間アダプタを装着可能なレンズ装置
CN112470072A (zh) * 2020-01-20 2021-03-09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转接装置、相机、转接镜头和相机组件
CN111239994B (zh) * 2020-03-20 2020-10-27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手术显微镜防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8206A (en) * 1956-07-07 1960-08-09 Voigtlaender Ag Photographic reflex camera
DE1287435B (de) * 1965-11-20 1969-01-16 Leitz Ernst Gmbh Balgengeraet fuer einaeugige Spiegelreflexkameras
DE7107072U (de) * 1971-02-25 1971-08-05 Leitz E Gmbh Objektiv mit zwischenring
JPS6343453Y2 (ko) * 1979-01-19 1988-11-14
JPS5910910A (ja) * 1982-07-09 1984-01-20 Minolta Camera Co Ltd 変倍光学鏡胴
JPS59223418A (ja) * 1983-06-02 1984-12-15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中間アダプタ装置
JPS6173131U (ko) * 1984-10-19 1986-05-17
JP2008175897A (ja) 2007-01-16 2008-07-31 Ricoh Co Ltd 光学レンズ検出構造、着脱構造及びこれらを備えた撮影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76414A (zh) * 2012-09-10 2014-03-26 理光映像有限公司 接口适配器及相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816B1 (ko) 2015-11-11
US8414204B2 (en) 2013-04-09
US20110013902A1 (en) 2011-01-20
CN101957541B (zh) 2014-12-24
CN101957541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7423A (ko) 렌즈 아답터
US8757903B2 (en) Diaphragm device of lens
JP4572964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4697587B2 (ja) レンズ鏡胴
JPWO2014203724A1 (ja) 電気接点装置、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
JPH02111175A (ja) テレビカメラのレンズマウント切換機構
JP4798178B2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7190534B2 (en) Image pick up apparatus
WO2017115465A1 (ja) レンズ鏡筒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
JP2011081331A (ja) レンズアダプタ
JP2013218149A (ja) レンズマウント及び撮像装置
JP2006039480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0573576B1 (ko) 매크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용 렌즈 조립체
JP2013137505A (ja) レンズの絞り装置
US20120314125A1 (en) Digital camera
CN112416056B (zh) 具有旋转摄像结构的显示器
US9563039B2 (en) Lens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JP4901562B2 (ja) レンズ繰出し装置
JP2006039051A (ja) 切換機能を備えたマクロ撮影用レンズ
JP2010186085A (ja) レンズアダプタ及び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
JP200713325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4707554B2 (ja) カメラ装置
JP4916972B2 (ja) レンズの絞り調節装置
JP4779268B2 (ja) レンズフード
KR20230149956A (ko) 모바일 기기용 매크로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