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1411A -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1411A
KR20110001411A KR1020090058933A KR20090058933A KR20110001411A KR 20110001411 A KR20110001411 A KR 20110001411A KR 1020090058933 A KR1020090058933 A KR 1020090058933A KR 20090058933 A KR20090058933 A KR 20090058933A KR 20110001411 A KR20110001411 A KR 20110001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inverter
line
control sig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525B1 (ko
Inventor
문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9005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525B1/ko
Priority to US12/648,340 priority patent/US8233343B2/en
Priority to CN2010101008657A priority patent/CN101937701A/zh
Priority to JP2010046941A priority patent/JP2011014222A/ja
Publication of KR2011000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4Bit-line management or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2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with means for avoiding parasitic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2Bit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equalising circuits, for bi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감지 증폭기는 어느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라인(Bit Line)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바 라인(/Bit Line)과 연결된 인버터 쌍, 및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상기 인버터 쌍의 오프셋에 상응하는 레벨로 프리차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출력단을 상기 비트 라인 쌍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감지 증폭기, 프리차지

Description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SENSE AMPLIFI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회로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라인(Bit Line: BL), 비트 바 라인(/Bit Line: BLB), 워드 라인(Word Line: WL), 메모리 셀(11),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12) 및 프리차지 회로(Precharge Circuit)(13, 14)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 증폭기(12)는 상기 메모리 셀(11)에 기록된 데이터를 감지 및 증폭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 사이에 연결되며, 복수개의 트랜지스터(M1 ~ M6)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 증폭기(12)는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 형태로서, 트랜지스터들(M1, M2)과 트랜지스터들(M3, M4)로 이루어진 인버터 쌍(Inverter Pair)을 구비한다.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와 전원단(VCORE) 사이에 트랜지스터(M5)가 연결된 다. 상기 트랜지스터(M5)는 제어신호(SAP)를 게이트에 입력받는다. 상기 크로스 커플드 래치와 접지단(VSS) 사이에 트랜지스터(M6)가 연결된다. 상기 트랜지스터(M6)는 제어신호(SAN)를 게이트에 입력받는다. 상기 제어신호들(SAP, SAN)은 감지 증폭기(12)에 전원을 공급하는 타이밍을 결정하는 신호이다.
상기 프리차지 회로(13, 14)는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BLEQ)에 따라 상기 비트 라인 쌍을 비트 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레벨로 프리차지 시킨다. 상기 프리차지 회로(13, 14)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M7 ~ M1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소자 또는 공정상의 문제로 감지 증폭기(12)의 인버터 쌍을 이루는 트랜지스터들 간에 미스매치(mismatch)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미스매치로 인하여 인버터 쌍들을 이루는 트랜지스터들 간의 오프셋(offset) 즉, 회로 설계시와 다른 문턱전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들(M5, M6) 및 프리차지 회로(13, 1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M7 ~ M12)은 전원 공급에 관련된 구성이므로 감지 증폭기(12)의 인버터 쌍을 이루는 트랜지스터들(M1 ~ M4)에 비해 큰 사이즈로 설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워드 라인(WL)이 활성화 되기 이전에 상기 프리차지 회로(13, 14)에 의해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이 비트 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레벨로 프리차지 되어 있다.
이후, 리드 또는 리프레시 동작을 위해 워드 라인(WL)이 활성화됨에 따라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차지 쉐어링(Charge Sharing)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지 쉐어링에 의해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가 원하는 수준 이상이 될 정도의 시간 경과 후 상기 제어신호들(SAP, SAN)이 활성화된다.
상기 제어신호들(SAP, SAN)이 활성화됨에 따라 감지 증폭기(12)가 동작하여 메모리 셀(11)에 기록된 데이터의 감지 및 증폭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이 동일한 전압 레벨 즉, 비트 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 레벨로 프리차지된 상태이다. 그러나 인버터 쌍들의 오프셋으로 인하여 감지 증폭기가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를 반영하지 못하고 오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셀(11)에 "1"이 기록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워드 라인(WL)이 활성화되면 비트 라인(BL)의 전압 레벨은 비트 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에 비해 높아지고,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 레벨은 비트 라인 프리차지 전압(VBLP)을 유지할 것이다. 이때 트랜지스터(M2)의 문턱전압은 설계시에 비해 낮아진 상태이고, 트랜지스터(M4)의 문턱전압은 설계시에 비해 높아진 상태라면, 트랜지스터(M2)에 의해 비트 라인(BL)의 전압이 트랜지스터(M6)를 통해 방전되어 메모리 셀(11)의 데이터를 "0"으로 잘못 감지하게 된다.
둘째, 전원 공급을 위한 트랜지스터들(M5, M6), 프리차지 동작을 위한 트랜지스터들(M7 ~ M12)이 필요하므로 이들을 형성하기 위해 회로 면적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안정적인 데이터 감지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감지 증폭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이아웃 마진(Layout Margin)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는 어느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라인(Bit Line)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바 라인(/Bit Line)과 연결된 인버터 쌍, 및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상기 인버터 쌍의 오프셋에 상응하는 레벨로 프리차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출력단을 상기 비트 라인 쌍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는 비트 라인과 비트 바 라인 사이에 연결되고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를 이루는 제 1 인버터 및 제 2 인버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2 트랜지스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 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과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비트 라인과 비트 바 라인으로 이루어진 비트 라인 쌍; 및 상기 비트 라인 쌍 사이에 연결된 인버터 쌍을 구비하고,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오프셋 전압에 상응하는 레벨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프리차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출력단을 상기 비트 라인 쌍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폭 감지기를 구비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 증폭기는 프리차지 레벨 조정을 통해 인버터 쌍의 오프셋 보상이 가능하므로 데이터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비트 라인 쌍의 프리차지를 위한 별도의 전원 및 감지 증폭기에 구동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트랜지스터가 필요 없으므로 레이아웃 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100)는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으로 이루어진 비트 라인 쌍, 메모리 셀(11) 및 감지 증폭기(110)를 구비한다.
상기 감지 증폭기(110)는 상기 비트 라인(BL)과 상기 비트 바 라인(BLB) 사이에 연결되며, 전원 전압(VCORE)과 접지 전압(VSS)을 인가 받는다.
상기 감지 증폭기(110)는 상기 비트 라인 쌍의 프리차지와 상기 비트 라인 쌍의 전압차 감지(메모리 셀에 기록된 데이터 감지)를 위해 공통적으로 상기 전원 전압(VCORE)을 사용한다.
상기 감지 증폭기(110)는 제 1 인버터(111), 제 2 인버터(112) 및 제어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인버터(111)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M21, M22)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M21)의 소오스에 전원 전압(VCORE)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M22)의 드레인에 접지 전압(VSS)이 인가된다.
상기 제 2 인버터(112)는 제 3 및 제 4 트랜지스터(M23, M24)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M23)의 소오스에 전원 전압(VCORE)이 인가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M24)의 드레인에 접지 전압(VSS)이 인가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트랜지스터(M21 ~ M24)가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 구조를 이룬다.
상기 제어부(113)는 제 1 제어신호(S1)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BL)과 상기 비트 바 라인(BLB)을 인버터 쌍(111, 112)의 오프셋에 상응하는 레벨로 프리차 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111, 112)의 출력단을 비트 라인 쌍(BL, BLB)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111, 112)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BL)과 상기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제어신호(S1)는 워드 라인 구동 신호 즉, 워드 라인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신호의 활성화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전에 발생되는 펄스 신호이다. 상기 제 1 제어신호(S1)로서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어신호(S2)는 상기 워드 라인 구동신호를 설정시간만큼 지연시킨 신호이다. 사기 제 2 제어신호(S2)로서 워드 라인 구동신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13)는 제 5 내지 제 8 트랜지스터(M25 ~ M28)를 구비한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M25)는 상기 제 1 제어신호(S1)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111)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6 트랜지스터(M26)는 상기 제 1 제어신호(S1)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112)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7 트랜지스터(M27)는 상기 제 2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111)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라인(BL)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8 트랜지스터(M28)는 상기 제 2 제어신호(S2)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112)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바 라인(BLB)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워드 라인 구동신호의 활성화 시점 이전에 제 1 제어신호(S1)가 발생된다. 이때 제 2 제어신호(S2)는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상기 제 1 제어신호(S1)의 하이 레벨 구간 동안 제 5 및 제 6 트랜지스터(M25, M26)가 턴 온 되고,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M27, M28)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인버터(111)의 출력단과 비트 라인(BL)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반면, 제 1 인버터(111)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단락(Short)되고, 제 1 인버터(111)의 입력단은 비트 바 라인(BLB)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 1 인버터(111)의 오프셋 즉, 목표 문턱전압과 실제 문턱전압의 차이가 반영된 전압 레벨이 비트 바 라인(BLB)의 유효 커패시터에 저장됨으로써 비트 바 라인(BLB)의 프리차지가 이루어진다.
이때 유효 커패시터는 실제 회로 구성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비트 바 라인(BLB)과 연결된 모든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커패시턴스 등을 포함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인버터(112)의 출력단과 비트 바 라인(BLB)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반면, 제 2 인버터(112)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단락(Short)되고, 제 2 인버터(112)의 입력단은 비트 라인(BL)과 연결된 상태이므로 제 2 인버터(112)의 오프셋 즉, 목표 문턱전압과 실제 문턱전압의 차이가 반영된 전압 레벨이 비트 라인(BL)의 유효 커패시터에 저장됨으로써 비트 라인(BL)의 프리차지가 이루어진다.
이때 비트 라인(BL)의 프리차지 전압 레벨과 비트 바 라인(BLB)의 프리차지 전압 레벨은 제 1 인버터(111)와 제 2 인버터(112)의 오프셋 만큼의 차이가 존재하게 된다. 즉, 오프셋을 보상한 레벨로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을 프리차지시킴으로써 이후의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 감지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워드 라인 구동 신호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워드 라인(WL)이 활성화됨에 따라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차지 쉐어링(Charge Sharing)이 이루어진다.
상기 차지 쉐어링에 의해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가 원하는 수준 이상이 될 정도의 시간 경과 후 제 2 제어신호(S2)가 활성화된다. 이때 제 1 제어신호(S1)는 펄스 형태로서, 상기 워드 라인 구동 신호의 활성화 시점 이전에 이미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 5 및 제 6 트랜지스터(M25, M26)는 턴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M27, M28)는 턴 온 된다.
상기 제 7 및 제 8 트랜지스터(M27, M28)가 턴 온 됨에 따라 제 1 인버터(111)의 출력단이 비트 라인(BL)과 연결되고, 제 2 인버터(112)의 출력단이 비트 바 라인(BLB)과 연결되어 메모리 셀(11)에 기록된 데이터를 감지하는 동작 즉, 비트 라인(BL)과 비트 바 라인(BLB)의 전압차 감지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120: 인버터 130: 제어부

Claims (13)

  1. 어느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라인(Bit Line)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이 비트 바 라인(/Bit Line)과 연결된 인버터 쌍; 및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상기 인버터 쌍의 오프셋에 상응하는 레벨로 프리차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출력단을 상기 비트 라인 쌍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감지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쌍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프리차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감지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워드 라인 구동 신호의 활성화 이전에 발생되는 펄스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워드 라인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워드 라인 구동신호를 설정시간 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7. 비트 라인과 비트 바 라인 사이에 연결되고 크로스 커플드 래치(Cross Coupled Latch)를 이루는 제 1 인버터 및 제 2 인버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1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2 트랜지스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 4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감지 증폭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워드 라인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증폭기.
  10. 메모리 셀;
    상기 메모리 셀과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비트 라인과 비트 바 라인으로 이루어진 비트 라인 쌍; 및
    상기 비트 라인 쌍 사이에 연결된 인버터 쌍을 구비하고, 제 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오프셋 전압에 상응하는 레벨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을 프리차지(Precharge) 시키고,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버터 쌍의 출력단을 상기 비트 라인 쌍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인버터 쌍에 의한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전압차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폭 감지기를 구비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쌍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비트 라인과 상기 비트 바 라인의 프리차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반도체 집적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비트 라인 이퀄라이즈 신호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워드 라인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20090058933A 2009-06-30 2009-06-30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KR10105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33A KR101053525B1 (ko) 2009-06-30 2009-06-30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US12/648,340 US8233343B2 (en) 2009-06-30 2009-12-29 Sense amplifi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ing the same
CN2010101008657A CN101937701A (zh) 2009-06-30 2010-01-26 感测放大器和使用感测放大器的半导体集成电路
JP2010046941A JP2011014222A (ja) 2009-06-30 2010-03-03 センスアンプ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集積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33A KR101053525B1 (ko) 2009-06-30 2009-06-30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411A true KR20110001411A (ko) 2011-01-06
KR101053525B1 KR101053525B1 (ko) 2011-08-03

Family

ID=4338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8933A KR101053525B1 (ko) 2009-06-30 2009-06-30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33343B2 (ko)
JP (1) JP2011014222A (ko)
KR (1) KR101053525B1 (ko)
CN (1) CN1019377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071B2 (en) 2014-07-09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line sense amplifier capable of compensating mismatch between transistor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01769A (ko) * 2017-06-28 2019-0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기 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1331A (zh) * 2011-07-15 2013-01-16 复旦大学 灵敏放大器的控制电路及包括其的dram
US9230615B2 (en) * 2011-10-24 2016-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9036405B1 (en) * 2013-11-27 2015-05-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mory sense amplifier with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9691462B2 (en) * 2014-09-27 2017-06-27 Qualcomm Incorporated Latch offset cancelation for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CN105070310B (zh) * 2015-08-11 2018-03-09 深圳芯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失调校正的灵敏放大器
US10082964B2 (en) * 2016-04-27 2018-09-25 Micron Technology, Inc Data caching for ferroelectric memory
KR102562312B1 (ko) 2016-08-24 2023-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트라인 센스 앰프
US11164621B2 (en) * 2017-08-24 2021-11-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nse amplifier, semiconductor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CN109065090B (zh) * 2018-07-11 2023-09-08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灵敏放大器及应用其的存储装置和时序控制方法
KR20200014509A (ko) * 2018-08-01 2020-02-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11145358B2 (en) * 2018-08-31 2021-10-12 Micron Technology, Inc. Offsetting capacitance of a digit line coupled to storage memory cells coupled to a sense amplifier using offset memory cells
CN112447208A (zh) * 2019-08-30 2021-03-0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灵敏放大器及其驱动方法、存储器
EP4042422A4 (en) * 2020-02-06 2022-11-02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SENSING AMPLIFIER CIRCUIT,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11380371B2 (en) * 2020-11-13 2022-07-0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nse amplifier and operating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with reduced need on adjusting offset to compensate the mismatch
CN112712837B (zh) * 2021-01-05 2022-04-1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灵敏放大器、灵敏放大器的控制方法及存储器
CN112992202B (zh) * 2021-03-24 2022-08-05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灵敏放大器、存储器以及控制方法
CN116434794B (zh) * 2023-04-18 2023-09-29 安徽大学 基于下交叉耦合的自适应关断型sram灵敏放大器电路、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9180B2 (ja) * 1978-11-28 1985-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ンスアンプ
JP3279615B2 (ja) * 1991-04-15 2002-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KR0167673B1 (ko) * 1995-07-21 1999-02-01 김주용 오프셋 보상기능을 갖는 비트라인 감지 증폭기 및 그 제어방법
US5754488A (en) * 1996-11-06 1998-05-19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it line sense amplifier having offset compensation
JP2995230B2 (ja) * 1996-11-21 1999-12-27 現代電子産業株式会社 ビットライン感知増幅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3551858B2 (ja) * 1999-09-14 2004-08-11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メモリ装置
US6304505B1 (en) * 2000-05-22 2001-10-16 Micron Technology Inc. Differential correlated double sampling DRAM sense amplifier
JP4109842B2 (ja) * 2000-06-28 2008-07-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集積回路
KR100811375B1 (ko) 2001-12-28 2008-03-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비트 라인 센스앰프
KR100542710B1 (ko) * 2003-10-02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차동 증폭기 및 이를 채용한 비트라인 센스 증폭기
JP2005285291A (ja) * 2004-03-31 2005-10-13 Nec Corp センスアンプ回路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KR100546417B1 (ko) 2004-07-13 2006-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차지 및 감지 증폭 스킴을 개선한 집적회로 메모리장치의 비트라인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0602188B1 (ko) * 2004-07-27 2006-07-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비트라인 센스앰프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100641704B1 (ko) * 2004-10-30 2006-11-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비트라인 센스앰프 옵셋전압측정방법
US7642815B2 (en) * 2007-09-14 2010-01-05 Atmel Corporation Sense amplifier
US7738306B2 (en) * 2007-12-07 2010-06-15 Etron Technology, Inc. Method to improve the write speed for memory produc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071B2 (en) 2014-07-09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it-line sense amplifier capable of compensating mismatch between transistors,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01769A (ko) * 2017-06-28 2019-01-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기 회로
KR20210127686A (ko) * 2017-06-28 2021-10-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증폭기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33343B2 (en) 2012-07-31
JP2011014222A (ja) 2011-01-20
KR101053525B1 (ko) 2011-08-03
CN101937701A (zh) 2011-01-05
US20100329056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525B1 (ko) 감지 증폭기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집적회로
KR102408427B1 (ko) 증폭기 회로
US10566036B2 (en) Apparatuses and method for reducing sense amplifier leakage current during active power-down
US9627033B2 (en) Sense amplifier and semiconductor device for securing operation margin of sense amplifier
US2011014183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965773B1 (ko) 메모리소자의 센스앰프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JP5127435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2010005288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WO2018208445A1 (en) Sense amplifier signal boost
JPH1116354A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889311B1 (ko) 비트라인 감지증폭기를 포함하는 반도체메모리소자
US9947385B1 (en) Data sense amplific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49501B1 (ko)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위한 데이터 출력 회로
US1158103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of power supply control for temperature compensated sense amplifiers
KR20100053827A (ko) 미스매치 셀을 이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4578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센스 앰프 제어 신호 생성 회로
KR2014000628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테스트 방법
KR2014006068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오버 드라이브 펄스 및 컬럼 선택 펄스 생성 회로
US20150371717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130070344A (ko) 데이터 센싱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130081865A (ko) 반도체 장치
US2023041088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nse amplifier operation
KR101035409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KR20090098173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11006041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