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713A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6713A KR20100136713A KR1020090054949A KR20090054949A KR20100136713A KR 20100136713 A KR20100136713 A KR 20100136713A KR 1020090054949 A KR1020090054949 A KR 1020090054949A KR 20090054949 A KR20090054949 A KR 20090054949A KR 20100136713 A KR20100136713 A KR 20100136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dementia
- composition
- mulberry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s 10 and 13 by a chain having at least one carbon atom, e.g. androstanes, e.g. testoster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yc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치매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억제 작용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APPα 생성 촉진을 유도하는 작용이 우수하여 알츠하이머병 같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천련자, 고련피, 투센다닌, 치매, 베타아밀로이드, 알츠하이머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dementia) 신경세포의 손상 및 손실로 기억력, 집중력, 언어 및 인지 등에 심한 장애가 오랜 시간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궁극적으로 정신능력과 사회적 활동 능력의 소실에 이르게 하는 증후군으로서 대표적인 원인 질환은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이다. 알츠하이머병은 원인에 따라 산발성(sporadic type)과 가족성(familial type)으로 구별 되며 80~90% 이상이 아직 원인을 알 수 없는 산발성으로 65세의 고령인구에서 주로 나타나며 나머지는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이하 APP라 함), 프리세닐린(presenilin; PS) 1형 및 2형 등 유전자의 변이가 주원인으로 65세 이하의 인구에서 100% 증상이 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의 증상은 뇌 조직의 신경세포 밖에서 노인반(senile plaque)을 형성하는 베타아밀로이드(이하 Aβ라 함)와 신경세포 내에서 과인산화 되어 이중나선 섬유(paired helical filament)를 형성하는 타우(tau) 단백질이 주요 원인 물질로 인정되고 있다. Aβ는 APP가 β- 및 γ-세크레타아제라는 단백 분해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 서열 특이적으로 대사되어 형성되는 40~4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로 자체적으로 응집되어 신경세포 독성, 시냅스 손실 및 염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Cappari et al, Neurochem Res, 2008, 33:526-532) 타우 단백질은 미세소관(microtubule)과 결합하여 세포의 형태 및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과인산화로 미세소관에서 분리되어 미세소관의 파괴 및 신경섬유 매듭(neurofibrillary tangles)을 형성하여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Iqbal et al, Acta Neuropathol, 2009, in print)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2008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600만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령인구의 증가로 2050년에는 약 1억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Carlsson, J Alz Dis, 2008, 15:327-338) 되고 있으나 아직 근본적인 치료제 개발은 매우 더딘 실정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약물은 기억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 esterase) 활성 저해제들(Aricept, Exelon, Reminyl등)과 Ca2+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NMDA 수용체 길항제(Memantine)가 있으나 이들은 증상의 진전을 완화하는 목적으로 사용되 고 있어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멀구슬나무(Melia azedarach, Melia toosendan)는 멀구슬나무(Melia)과 멀구슬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 근피 또는 수피를 고련피라고 하며 과실은 천련자로 고대 중국에서부터 주로 구충제로 사용해 왔고 이외에 항균, 이뇨 및 해열 작용이 있으며 동의보감에는 생식기와 고환이 붓고 아프며 대소변이 막히는 산증 치료에도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멀구슬나무의 고련피 또는 천련자의 구충 작용은 트리터페노이드 계열인 투센다닌(toosendanin 또는 azedarachin, C30H38O11, 분자량 574, Wang and Yen, J Tradit Chin Med 1959, 262:46-49)이 곤충의 섭취 및 분화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Zhang et al, Acta Northwe Uni Agricult Sin, 1993, 21:1-5). 멀구슬나무 이외에 투센다닌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로는 같은 멀구슬나무과에 속하는 참죽나무(Cedrela sinensis)가 있으며 이의 뿌리 또는 줄기의 껍질인 춘백피는 구충제나 이질, 대하증, 설사를 멎게 하는 지사제로 사용되고 있다.
투센다닌은 이 외에도 신경세포의 분화(Tang et al, Neurosci Res, 2003, 45:225-231) 및 암세포의 세포사멸(Shi and Tang, Chin J Neurosci, 2004, 20:461-465)을 유도한다고 보고되었다. 멀구슬나무나 투센다닌 관련 국내외 용도 특허로는 암세포독성(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112032호), 미백 및 주름 제거 효과(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345226호,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06,866,856호), 살충작용(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112657호, 미국 특허 등록번호 제06,372,239호) 및 알레르기 예방 효과(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50879호) 등이 있으나 투센다닌의 치매에 대한 효력연구는 전무하다.
본 발명자들은 치매 치료를 위한 새로운 물질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투센다닌을 포함한 멀구슬나무의 열매인 천련자 추출물 및 여기서 분리한 활성성분인 투센다닌이 APP의 대사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이는 APPα의 생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Aβ의 생성을 억제하며 치매 동물 모델에서 기억력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투센다닌은 살충작용, 암세포독성, 미백 및 주름제거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매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 상기 투센다닌의 치매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본 발명에 의해 최초로 알려진 효과이다.
C
30
H
38
O
11
(분자량 574.62)
치매란 성장기에는 정상적인 지적 수준을 유지하다가 후천적으로 인지기능의 손상 및 인격의 변화가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뇌신경이 파괴됨으로써 기억력장애, 언어능력 장애, 변뇨실금, 편집증적 사고, 실어증 과 같은 정신기능의 전반적인 장애가 나타나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우울증이나 인격장애, 공격성 등의 정신의학적 증세가 동반되기도 한다. 의학계에서는 노화와 유전에 의한 원인성에 주목하고 있지만, 아직 정확한 발병원인과 치료법은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치매로 분류되는 질환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나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노인성 치매 및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추출물은 어떤 것이든 본 발명의 조성물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참죽나무 추출물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멀구슬나무의 추출물 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천련자(멀구슬나무의 열매) 또는 고련피(멀구슬나무의 근피 또는 수피)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구슬나무 추출물은 멀구슬나무의 열매, 잎, 줄기, 뿌리 등의 모든 부위로부터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열매,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용매 추출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핵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법에 의해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은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추출시의 멀구슬나무와 메탄올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멀구슬나무에 메탄올을 3배∼15배(중량기준)로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멀구슬나무에 대하여 5배∼10배(중량기준)로 첨가할 수 있다. 추출시 온도는 상압 하의 10~30℃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시간은 추출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48시간 내지 96시간, 바람직하게는 72시간 동안 추출한다. 추출시간에 있어서, 추출시간이 적으면 멀구슬나무 성분의 추출이 미비하게 되고 너무 장시간 추출하는 경우 증발에 의한 추출수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추출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멀구슬나무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사용하고 메탄올 추출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잔여 성분을 추가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메탄올에 의해 추출된 추출물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활성성분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 공지의 방법으로 분획 할 수 있다. 분획의 효율을 위하여 추출물을 감압 농축 할 수 있으며, 분획을 위한 용매로는 에탄올 및 메탄올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개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n-핵산, 디에틸에테르, 아세톤, 벤젠과 같은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할 수 있다.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재분획 할 수 있으며 재분획 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n-헥산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잘게 분쇄한 천련자를 중량 대비 5배 부피의 메탄올에 3일간 추출하기를 2회 반복하고 추출액을 여과 및 감압 농축 한 후 물에 현탁하여 동일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처리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분획물을 90~95% 메탄올과 동일 부피의 n-헥산을 첨가하여 교반 한 후 메탄올 분획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여 최종 추출물을 획득하였다(실시예 1 참조).
본 발명의 투센다닌(toosendanin)은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 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투센다닌은 천연으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멀구슬나무(Melia toosendan)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멀구슬나무의 열매인 천련자 또는 뿌리나 줄기의 껍질인 고련피로부터 분리 정제될 수 있다. 멀구슬나무에서 투센다닌이 함유된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으며 추출물에서 투센다닌을 분리하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방법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리카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column chromatography)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분취를 통해 활성성분을 순수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60mesh 실리카레진에서 100% 디클로로메탄, 0% 메탄올에서 시작하여 점차 메탄올의 혼합비율을 높여 마지막에는 0% 디클로로메탄, 100% 메탄올을 사용하여 8개 분획으로 나누어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가장 활성이 높은 분획(디클로로메탄:메탄올=25:1)을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레진을 사용하여 메탄올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분획하여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확보하고, 이를 동일한 조건에서 메탄올 농도를 달리하여 재차 분획하여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을 확보한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취로 투센다닌을 순수분리 하였다(실시예 2 참조). 분취물이 투센다닌임은 핵자기공명(NMR spectroscopy) 분석 및 분자량 결정(mass spectroscopy)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인 투센다닌은 β-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며, α-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는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며 이러한 점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알츠하이머병은 Aβ와 타우 단백질이 주요 원인 물질로 노인반 및 신경섬유를 각각 신경세포 외부 및 내부에서 형성시켜 뇌조직의 위축과 기억 장애 등을 유발한다. Aβ와 타우 중 직접적인 신경세포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Aβ로 알츠하이머병은 어떤 원인에 의해 APP에서 Aβ가 생성되는 경로의 활성화가 초기 증상을 유도하고 이후 병의 가속화에 타우 단백질이 관련되는 것으로 예상 (Small and Duff, Neuron, 2008, 5:591-598)되고 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서는 우선 Aβ 생성 경로의 차단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Aβ는 β-세크레타아제에 의해 APP가 APPβ와 Aβ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C-말단 절편β(C-terminal fragment β; CTFβ)로 잘라진 다음 CTFβ에 γ-세크레타아제가 작용하여 ACID(APP intracellular domain)와 Aβ가 형성되므로 β-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의 한 방법이 된다. 또한 α-세크레타아제는 β-세크레타아제와 경쟁적으로 APP를 분해하여 Aβ의 생성을 억제하고 α-세크레타아제에 의하여 분해된 산물 중 하나인 APP는 APPα생성을 유도하므로 α-세크레타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또는 치료의 또다른 한 방법이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인 투센다닌은 Aβ 생성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이는 APPα생성을 촉진하는 상기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 목적과 부합되는 Aβ 생성 차단제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이 APPα의 생성을 촉진하며, APPβ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세포실험을 통하여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으며(실시예 5-1 참조),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세포실험을 통하여 베타아밀로이드 정량 키트로 확인하였다(실시예 5-2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이 치매 동물 모델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을 동물 실험을 통하여 베타아밀로이드 정량 키트로 확인하였다(실시예 8 참조).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조성물 내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이 치매 동물 모델에서 치매의 주 증상 중 하나인 기억 및 인지기능 저하를 치료 하는 것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한 치매 유도 쥐를 대상으로 한 Y자형 미로 시험, 수중 미로 시험 및 수동 회피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실시예 7 참조).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Aβ 생성 경로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이는 APPα생성을 촉진하며 치매 예방 또는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펩티드 제제에 대한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 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 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바람직한 전체 용량은 1일당 환자 체중 1㎏ 당 약 0.01㎍ 내지 500mg,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용량은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제로서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치매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Aβ 생성 억제 작용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APPα 생성 촉진을 유도하는 작용이 우수하여 알츠하이머병 같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매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하기 쉬운 연령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련자 및 고련피의 추출 및 분획
잘게 분쇄한 천련자(건조 중량 10kg)를 50L의 메탄올에 3일 동안 넣어두는 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반복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여 여과 및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물에 10L의 물을 가하여 현탁한 다음 동일 부피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교반 후 정치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분획을 회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농축물을 더욱 분획하기 위해 90~95% 메탄올(5~10% 물) 10L와 n-핵산 10L를 첨가하여 교반 후 정치 한 다음 90~95% 메탄올 분획을 회수하여 감압 농축하였다. 추출 및 분획 과정에서 얻은 각 분획은 활성 분석에 사용되었고 활성성분의 분리 전까지 4℃에 보관하였다. 고련피도 동일 방법으로 추출하여 용매별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실시예 2>
천련자 세부 분획물에서 활성성분 분리
상기 실시예 1에서 확보한 90~95% 메탄올 분획 농축물에서 활성성분 분리를 실시하였다. 농축물은 실리카 레진(60 mesh)에서 100% 디클로로메탄으로부터 시작하여 메탄올을 점진적으로 증량하면서 마지막에 100% 메탄올을 사용하여 8개의 세부 분획으로 분획하였고 이들 중 활성이 있는 3개의 분획(다이클로롤메탄: 메탄올 = 25:1, 10:1. 5:1)을 확보하였다. 활성이 가장 높은 25:1 분획의 농축물을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레진(Biotage FLASH+TM system, C18HS 25+M, 60Å, 40-63㎛, FPK0-1107-16046, 10ml/min)에서 MeOH의 농도를 15%에서 100% 로 단계별 증량 시키며 분획하여 활성 조사 결과 활성을 나타내는 분획인 35% 및 50% 분획을 확보하였다. 이 활성분획을 MeOH의 농도(30~100%)만 달리하여 동일 조건에서 재 분획하여 활성분획(40~60%)을 확보하였고 이를 농축하여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과 물의 혼합용매를 분리 용매(acetonitrile 48%)로 하고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레진 (YMC-pack, ODS-A,150×10 mm i.d., 120Å, S-5㎛, AA12S05-1510WT)을 사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서 분당 4ml의 유속으로 활성성분을 순수 분리하였다(도 1 참조).
순수 분리된 활성성분은 핵자기공명분광법(NMR spectroscopy) 및 질량분석 법(mass spectroscopy)으로 구조분석 및 분자량 결정을 통해 화학식 1의 투센다닌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천련자 주정 추출물 내 투센다닌 함량 측정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대상으로 효능 시험을 진행하고자 지표 및 활성성분으로 천련자 주정 추출물 내 투센다닌의 함유량을 확인하였다. 분석조건으로 0.05% TFA(trifluoroaceticacid)를 함유하는 30%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였고 컬럼은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레진(YMC-pack, ODS-A, 150×10 mm I.d., S-5㎛)을 이용한 HPLC에서 분당 1ml의 유속 및 214nm 파장에서 투센다닌을 분석 하였다. 구입한 투센다닌 표준품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농도별 면적 값을 측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표준품의 크로마토그램을 면적 대 농도 비의 절대 검량 선을 그어서 직선성이 0.999가 됨을 확인하고 정량에 이용하였다. 투센다닌은 자연계 내에서 이성질체로 섞여 존재하고 있어 상기의 분석 조건에서 각각 15.7 및 20.6분에서 검출되었다. 더욱 정확한 정량을 위해서 천련자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하여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매 분획한 후 이를 농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 검량 선에 대입하여 정량한 결과 천련자 주정 추출물 내 투센다닌은 약 1.15%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세포독성 측정
세포 독성은 MTT법으로 측정하였다. 세포주는 APPβ 생성 억제 시험에 사용하고자 하는 HEK293 유래 BA-3세포주(Yeon et al, Peptides, 2007, 28:838-844)와 인간 혈액암 세포주인 HL60 및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사용하였다. 96-well plate에 1 × 104/90ul/well의 농도로 세포를 분주하여 1일 동안 배양 후 DMSO에 용해한 각 물질을 최종농도가 1%가 되도록 배양액으로 희석하고 각 세포주에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으로 세포의 상태를 관찰 한 다음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5mg/ml in PBS] 용액을 각 well당 15ul씩 첨가하여 4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키고 well당 100ul의 lysis buffer(0.01N HCl, 10% SDS)를 처리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이 완전히 용해되도록 37℃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570/65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천련자 주정 추출물은 BA-3에 처리 최고 농도인 100ug/ml에서도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약간의 세포 성장 억제효과를 유도하였다.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처리한 HepG2와 HL60은 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 독성은 보이지 않았지만 세포 성장을 억제하였다. 천련자 추출물이 각 세포의 성장을 50% 억제하는 농도는 각각 3.2ug/ml 및 34ug/ml이었다.
<실시예 5>
세포에서 천련자 추출물 및 투센다닌의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APP) 대사 억제 효과 분석
<5-1> APPβ 생성 억제 효과
BACE1(β-secretase) 및 APP695가 과발현되는 HEK293 유래 BA-3 세포주가 6-well plate의 각 well 당 80%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도록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 serum, FBS)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여 분주하고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다음 우태아혈청이 없는 free DMEM을 37℃로 가온하여 각 well에 0.9ml 넣은 후 0.1ml free DMEM에 투센다닌 또는 각 용매로 추출한 천련자 분획을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시료가 처리된 배지 0.2ml을 회수하여 8% SDS-PAG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에 전기영동한 후 APPα 및 APPβ의 항체인 AB1560(monoclonal) 및 Rb53(polyclonal) 항체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으로 배양액 내의 APPα 및 β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천련자 메탄올, 주정,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APPβ의 생성은 억제하였고 APPα의 생성은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정 추출물의 희석 농도별 APPβ의 생성억제 및 APPα의 생성 촉진 효과 시험 결과 6.25ug/ml농도로 처리한 경우 비처리군(Control, 100%) 대비 APPβ의 생성은 27.7%로 감소하였고, APPα의 생성은 131.3%로 증가하는 등 APPβ의 경우 처리 최저 농도인 0.05㎍/ml 이하에서도 농도 의존적인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와 반대로 APPα의 생성은 촉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순수 분리한 투센다닌도 12.5nM 이하에서도 APPβ의 생성을 억제하는 반면 APPα의 생성은 촉진(0.8uM에서 비처리군 대비 APPβ은 17.8%로 감소, APPα는 141.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Aβ생성을 촉진하는 APP 대사를 매우 강력하게 억제하는 물질임을 알 수 있다(도 2 참조).
멀구슬나무의 수피인 고련피 추출물도 천련자에서와 동일한 유기 용매 추출조건으로 주정,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90% 메탄올 추출물을 확보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APPβ 생성 감소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천련자 추출물 보다 약하지만 추출물 모두 12.5 ~ 6.25㎍/ml에서 APPβ 생성 감소 효과를 보였다 (도 3 참조).
<5-2> 천련자 추출물의 Aβ 생성 억제 효과
BACE1(GenBank accession No; AF190725) 및 스웨덴 돌연변이(Swedish mutation) APP695(GenBank accession No; MIM: 104760.008) 유전자를 각각 pcDNA3.1/myc-His(Invitrogen, USA)와 pcDNA3.1/Hygro(Invitrogen, USA) 벡터에 넣고 CHO 세포주에 도입하여 BACE1 및 스웨덴 돌연변이 APP695 단백질을 과발현하는 세포주를 이용하여 천련자 추출물이 Aβ40의 생성을 억제하는지 시험하였다. 상기 CHO 세포주를 6-well plate의 각 well 당 적절한 수로 10% 우태아혈청이 포함된 DMEM을 사용하여 분주하고 1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다음 우태아혈청이 없는 free DMEM을 37℃로 가온하여 각 well에 0.9ml 넣은 후 0.1ml free DMEM에 투센다닌 함유 천련자 추출물을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 후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분리하여 BioSource사(CA, USA)의 Aβ40 정량 키트(Human β Amyloid (1-40) colorimetric ELISA kit, BioSource, CA)로 정량하였다.
그 결과 10ug/ml 이하 천련자 주정 추출물에서 50% 이상의 Aβ40 생성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도 4 참조).
<실시예 6>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독성 시험
투센다닌을 함유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경구 투여 시 독성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 회 독성 및 4주 반복 투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단 회 독성은 6주령 웅성 ICR 생쥐 각 5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경구로 750~3,000mg/kg로 단 회 투여 후 2주간 생존 여부를 살피고 실험동물을 안락사 후 부검을 통해 장기 이상 소견을 관찰하였다. 1,500mg/kg 이상 투여 시 일부 생쥐가 사망하여 독성이 있었으나 1,000mg/kg이하에서는 사망하지 않았고 장기 이상 소견도 발견되지 않아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복 투여 독성은 6주령 웅성 ICR 생쥐 각 6마리를 한 군으로 하여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경구로 125~1,000mg/kg로 매일 1회씩 26일간 반복 투여하면서 체중변화, 일반 증상 및 생존 여부를 살피고 실험동물을 안락사 후 부검을 통해 장기이상 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내성 용량(MTD)은 750~1,000mg/kg, 무독성량(NOAEL)은 500mg/kg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7>
치매 동물 모델에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
천련자 주정 추출물을 10% 라브라솔에 현탁하여 스웨덴변이(Swedish mutation)가 일어난 변이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을 갖는 생산하도록 형질전환된 치매 쥐에 300mg/kg(경구 투여, 주 5회, 6마리)로 3개월 반복 투여 후 Y 미로(Y maze), 수중 미로(water maze) 및 수동회피(passive avoidance) 시험을 실시하여 비히클 군 (10% labrasol 투여군, 5마리)과 비교하여 기억개선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7-1> Y자형 미로 시험
시험은 3개의 통로(arm)를 뻗어 알파벳 Y자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각 가지의 길이 25 cm, 높이 14 cm, 폭 5 cm 이고 동일한 각도로 위치한 Y자형 미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Y자형 미로의 한 통로의 끝에 실험동물의 머리 부분이 향하도록 두고 8 분 동안 자유롭게 통로를 돌아다니도록 하였다. 치매 쥐의 뒷발까지 통로로 들어간 경우를 통과한 것(arm entry)으로 인정하는 방법으로 움직임을 교차횟수(alternation)로 기록하였으며 연속적으로 3개의 통로를 통과하였을 때를 실제 교차횟수(actual alternation)로 하여 1점을 부여하였고 실제 교차 회수를 최대 가능한 교차횟수(즉, 총 교차횟수에서 2를 뺀 값)의 백분비로 산출한 자발적인 교차행동량(alternation behavior, %)을 구하였다.
그 결과 투센다닌이 함유된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 군의 자발적 교차행동량은 62.6± 3.1%이었고 비히클(vehicle, 10% labrasol) 투여군은 53.9± 3.4%로 측정되어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 시 95% 이상의 신뢰도 (p<0.05)로 약 16.1%의 기억 개선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7-2> 수중 미로 시험
수중미로시험 중 참조기억(reference memory) 시험은 시험 시작 하루 전에 플랫폼이 없는 수조에서 60초 동한 자유롭게 수영하게 하여 적응시킨 후 실시하였다. 시험은 5일 동안 매일 4~5회 물에 잠겨 있는 플랫폼을 찾아 올라갈 때까지의 시간 (escape latency, 단위: 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고 최대 허용 시간은 60초로 제한하였다. 시험 2일 차 까지는 플랫폼의 위치를 찾지 못하면 제한 시간인 60초 이내에 플랫폼을 찾도록 인도하였으며 플랫폼에 올라가면 10초간 머무르게 하였다.
참조기억 시험이 종료되고 24시간 후 수조 내 플랫폼을 치우고 60초 동안 자유롭게 수영하게 하여 플랫폼이 있던 위치에 머무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탐침 검사(probe test)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참조기억 시험에서는 비히클 투여군은 시험기간 동안 수조를 찾는 시간의 개선이 없었으나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군은 시험 2일 차부터 비히클 투여군 보다 플랫폼을 빠른 시간에 찾았으며 시험 4일 차에 최대 차이를 보였다(도 6 참조). 탐침검사에서는 천련자 투여 군의 플랫폼이 있던 자리에 머무른 비율이 33.0± 3.2%로 비히클 투여 군의 14.0± 5.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2.35배 (p<0.05) 이상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7-3> 수동회피 시험
수동회피 시험은 실험장치는 칸막이 문(guillotine door)으로 2개의 구획으로 구분된 셔틀박스(shuttle box)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한쪽 구획은 조명을 비추어 밝게 하고 다른 구획은 조명이 없고 검은 천으로 감싸 어둡게 하였다. 첫날, 치매 쥐를 밝은 방에 놓고 30초의 탐색시간을 준 후 칸막이 문을 열어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한 후 어두운 방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acquisition latency time)을 측정하고 어두운 방에 들어가면 칸막이 문을 닫고 격자 바닥을 통해 0.5mA의 전기 충격을 3초간 가해 쥐가 전기 자극을 기억하게 하였다. 24시간 후 치매 쥐를 밝은 방에 두고 30초의 탐색시간을 준 후 칸막이 문을 열어 어두운 방으로 쥐의 모든 발이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retention latency time)을 최대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Retention latency time이 클수록 학습을 통한 수동 회피에 대한 기억이 잘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전기 자극 학습 후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 시간(retention latency time) 측정 결과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군은 288.8± 9.2초이었고 비히클 투여군은 131.8± 59.6초로 천련자 투여 군이 95%이상의 신뢰도로 220% 이상 수동회피에 대한 기억 개선 효과를 보였다(도 7 참조).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매에 의한 기억력 및 인지기능 저하 치료에 탁월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천련자 주정 추출물 및 투센다닌의 생체 내 Aβ 억제 효과
<8-1> 형질전환 치매 쥐에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Aβ 억제 효과
기억 시험이 종료된 후 형질 전환 쥐의 뇌를 적출 및 추출하여 뇌 조직 내 Aβ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적출한 뇌의 무게를 측정하여 중량 대비 냉각한 8배 부피의 용액 A(5M guanidine HCl, 50mM Tris HCl)를 첨가하고 호모게나이저로 뇌조직을 갈아 균질화 한 다음 실온에서 3~4시간 방치한 후 원심분리(16,000× g, 20분, 4℃)하여 상층액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뇌 조직을 추출하였다. 회수한 상층액을 용액 B(Phsophate buffered saline, 5% BSA, 0.03% Tween-20, pH7.4, protease inhibitor cocktail)로 3,200배 희석하여 BioSource사(CA, USA)의 Aβ40 정량 키트를 이용하여 Aβ40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3,200배로 희석하여 측정한 뇌 조직 무게 대비 Aβ40의 측정값이 비히클 투여 군에서는 362.5± 20.7pg/ml인 반면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 군에서는 111.9± 84.6pg/ml으로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에 의해 약 69% 정도 Aβ40이 감소하였다(도 8 참조).
<8-2> Rat을 이용한 투센다닌의 Aβ 억제 효과
투센다닌 투여 전에 혈액을 확보하고 이후 5 및 50mg/kg 용량으로 투센다닌을 20% 주정에 현탁하여 경구 투여한 다음 2시간 후 혈액을 얻어 투여 전 후의 혈액 내의 Aβ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회수된 혈액을 원심분리(16,000× g, 20분, 4℃)하여 회수된 혈장 내 Aβ40을 Aβ40 정량 키트(Mouse/Rat Amyloidβ(1-40)High Specific Assay Kit, IBL, Japan)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 결과 비히클 투여군은 투여 전과 비교하여 투여 후 약 40%정도 Aβ40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 투센다닌 5mg/kg 투여 시 투여 전과 비교하여 Aβ40이 85% 이상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더욱 낮은 용량 투여 시에도 Aβ40의 생성이 억제될 것으로 예상된다(도 9 참조). 이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Aβ의 생성을 억제하여 치매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천련자 추출물 2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천련자 추출물 1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고련피 추출물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 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투센다닌 추출물 1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793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투센다닌 추출물 2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치매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Aβ 생성 억제 작용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APPα 생성 촉진을 유도하는 작용이 우수하여 알츠하이머병 같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멀구슬나무 추출물 또는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매가 발생하였거나 발생하기 쉬운 연령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 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센다닌 및 이를 함유한 천련자 추출물 및 분획을 얻는 과정을 나타낸 도식이다.
도 2는 투센다닌 및 이를 함유한 각 유기용매 천련자 추출물들의 APP대사물인 APPα와 APPβ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블롯으로 측정한 결과이다(control, c: 추출물 미처리 대조군; MeOH: 천련자 메탄올추출물 처리군).
도 3은 고련피 추출물들의 APP 대사물인 APPβ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블롯으로 측정한 결과이다(EtOH: 고련피 에탄올추출물 처리군; MeOH: 고련피 메탄올추출물 처리군; EA: 고련피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 처리군; Hexane: 고련피 n-핵산 추출물 처리군; C: 추출물 미처리 대조군).
도 4는 BACE1 및 스위덴 돌연변이(Swedish mutation)된 APP695를 과발현하는 CHO 세포주에서 천련자 주정추출물을 처리 시 Aβ40의 생성 억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Aβ40정량 키트로 Aβ40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치매 쥐의 Y자형 미로 시험에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발적교차행동량(alternation behavior, %)을 비교 측정한 그래프이다(% Alternation: 교차행동량 (%); Vehicle: 추출물 없이 10% 라브라솔만 투여한 대조군; 천련자: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 군).
도 6은 치매 쥐의 수중 미로 시험에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플랫폼을 찾는 시간을 비교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탈출시간(Escape latency time) (s): 플랫폼을 찾아가는데 걸린 시간(초); Vehicle: 추출 물 없이 10% 라브라솔만 투여한 대조군; 천련자: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군).
도 7은 치매 쥐의 수동 회피 시험에서 천련자 주정 추출물의 기억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대기 시간(Retention Latency time) (s): 어두운 방으로 들어가는데 걸린 시간(초); Vehicle: 추출물 없이 10% 라브라솔만 투여한 대조군; 천련자: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군).
도 8은 천련자 주정 추출물 투여에 의하여 치매 쥐의 뇌 조직에서 Aβ40의 생성이 억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Aβ40정량 키트로 쥐의 뇌 조직에서의 Aβ40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9는 투센다닌을 투여한 랫트의 혈액에서 Aβ40의 생성이 억제되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Aβ40정량 키트로 랫트의 혈장에서의 Aβ40의 양을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Vehicle: 투센다닌 없이 20%주정만 투여한 대조군; 5mg/kg, 50mg/kg: 투센다닌을 각각 5mg/kg, 50mg/kg로 투여한 시험군.
Claims (5)
- 투센다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구슬나무는 멀구슬나무의 근피 또는 수피(고련피), 또는 열매(천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매는 알츠하이머형 치매증, 뇌혈관성 치매증, 노인성 치매 및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4949A KR101226660B1 (ko) | 2009-06-19 | 2009-06-19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ES10789761.3T ES2483736T3 (es) | 2009-06-19 | 2010-06-18 | Uso de toosendanina o extractos de melia azedarach para la prevención o tratamiento de la demencia |
JP2012515994A JP5650731B2 (ja) | 2009-06-19 | 2010-06-18 | ツーセンダニン又はセンダン(栴檀)抽出物の痴呆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の使用 |
EP10789761.3A EP2444091B1 (en) | 2009-06-19 | 2010-06-18 | Use of toosendanin or melia azedarach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
CN201080027324.4A CN102458414B (zh) | 2009-06-19 | 2010-06-18 | 川楝素或楝树提取物在痴呆预防和治疗上的用途 |
PCT/KR2010/003971 WO2010147434A2 (ko) | 2009-06-19 | 2010-06-18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의 치매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4949A KR101226660B1 (ko) | 2009-06-19 | 2009-06-19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6713A true KR20100136713A (ko) | 2010-12-29 |
KR101226660B1 KR101226660B1 (ko) | 2013-01-25 |
Family
ID=43356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4949A KR101226660B1 (ko) | 2009-06-19 | 2009-06-19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EP (1) | EP2444091B1 (ko) |
JP (1) | JP5650731B2 (ko) |
KR (1) | KR101226660B1 (ko) |
CN (1) | CN102458414B (ko) |
ES (1) | ES2483736T3 (ko) |
WO (1) | WO2010147434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720A (ko) * | 2016-12-08 | 2018-06-18 | 이성현 | 멀구슬음료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75191B (zh) * | 2013-12-24 | 2014-12-10 | 江西南昌制药有限公司 | 一种道地药材川楝子的检测方法 |
CN106243184B (zh) * | 2016-07-28 | 2018-10-16 | 福建医科大学 | 一种楝苦素类四降三萜化合物和该化合物的提取分离方法以及应用 |
CN107028957B (zh) * | 2017-05-08 | 2020-09-01 | 上海市第一人民医院 | 中药单体川楝素作为stat3抑制剂及其在制备抗骨肉瘤药物中的应用 |
CN107703294B (zh) * | 2017-10-12 | 2019-06-04 | 华派生物工程集团有限公司 | 一种用于检测鸡血清中cLHRH抗体效价的ELISA方法 |
KR102594706B1 (ko) * | 2022-04-14 | 2023-10-27 | 한국 한의학 연구원 |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N115177745B (zh) * | 2022-08-11 | 2024-08-09 | 福建医科大学附属口腔医院 | 一种川楝素及其纳米材料复合物的制备方法和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305047A1 (de) * | 1982-02-19 | 1983-09-22 | Terumo Kabushiki Kaisha trading as Terumo Corp., Tokyo | Polysaccharide, ihre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therapeutische zusammensetzungen |
JPS58144320A (ja) * | 1982-02-19 | 1983-08-27 | Terumo Corp | 抗腫瘍性多糖体およびその製造法 |
CN1306750A (zh) | 2000-01-28 | 2001-08-08 | 武长安 | 草本植物杀虫剂 |
KR100345226B1 (ko) * | 2001-08-29 | 2002-07-25 | 주식회사 태평양 |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US6866856B2 (en) | 2002-12-31 | 2005-03-15 | Avon Products, Inc. | Compositions and delivery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wrinkles, fine lines and hyperhidrosis |
CN1476829A (zh) * | 2003-07-16 | 2004-02-25 |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 川楝素作为抗肿瘤药物的应用 |
KR100750879B1 (ko) * | 2005-07-22 | 2007-08-22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련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
KR20100011453A (ko) * | 2008-07-25 | 2010-02-03 |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2009
- 2009-06-19 KR KR1020090054949A patent/KR10122666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6-18 WO PCT/KR2010/003971 patent/WO2010147434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18 EP EP10789761.3A patent/EP2444091B1/en active Active
- 2010-06-18 ES ES10789761.3T patent/ES2483736T3/es active Active
- 2010-06-18 JP JP2012515994A patent/JP5650731B2/ja active Active
- 2010-06-18 CN CN201080027324.4A patent/CN102458414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5720A (ko) * | 2016-12-08 | 2018-06-18 | 이성현 | 멀구슬음료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530698A (ja) | 2012-12-06 |
KR101226660B1 (ko) | 2013-01-25 |
EP2444091A4 (en) | 2013-02-20 |
ES2483736T3 (es) | 2014-08-07 |
JP5650731B2 (ja) | 2015-01-07 |
WO2010147434A3 (ko) | 2011-08-25 |
EP2444091A2 (en) | 2012-04-25 |
WO2010147434A2 (ko) | 2010-12-23 |
CN102458414B (zh) | 2014-01-08 |
CN102458414A (zh) | 2012-05-16 |
EP2444091B1 (en) | 2014-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Hofrichter et al. | Reduced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by St. John's Wort treatment is independent of hyperforin and facilitated by ABCC1 and microglia activation in mice | |
KR101226660B1 (ko) | 투센다닌 또는 멀구슬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449448B2 (ja) | ボタンの根皮、アンジェリカ・ダフリカの根、及びミシマサイコの根又はそれらの画分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神経変性障害の治療及び予防のための医薬組成物 | |
KR101643737B1 (ko) | 뉴그린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46818B1 (ko) | 기억력 개선, 인지기능장애 및 뇌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77860B1 (ko) | 참빗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008542254A (ja) | 肝細胞癌の処置に有用な医薬組成物 | |
RU2559088C2 (ru) | Растительные экстраты для лечения нейро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 |
KR101330850B1 (ko) | 들쭉 추출물 또는 들쭉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황반 변성증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
Barbosa et al. | Protective effects of Hydrocotyle umbellata var. bonariensis Lam.(Araliaceae) on memory in sleep-impaired female mice | |
CN109641023B (zh) | 用于延缓衰老,预防和治疗老年神经退行性疾病、焦虑和睡眠障碍症的中草药有效组合 | |
US11207363B2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mountain-cultivated ginseng extract | |
Mardi et al. | Antioxidant properties of Trifolium resupinatum and its therapeutic potential for Alzheimer’s disease | |
US20170209510A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gioedema, containing extract of peony root or mixture of peony root and licorice as active ingredient | |
KR100889806B1 (ko) | 사가퀴노익산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및 피부암의 예방 또는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Sajjad et al. |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Gentiana kurroo plant extracts against Alzheimer’s disease | |
JP2007302661A (ja) | 覆盆子抽出物を含む不安、鬱病及び痴呆の予防及び治療と記憶力増進用薬学組成物 | |
KR100965305B1 (ko) | Hsp 27의 과발현에 의해 매개되는 질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
KR20200093976A (ko) | 조구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밀로이드 베타 침착 억제용 약학 조성물 | |
US20100151059A1 (en) | Use of vitex agnus castus extracts for preparing a medicament | |
KR101142838B1 (ko) | 향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및 폐경기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009498B2 (ja) | アルツハイマー病予防薬 | |
KR20050023711A (ko) | 치매치료 효과를 갖는 백두옹 추출물 | |
JP2013053076A (ja) | アルツハイマー病予防薬 | |
KR20030071035A (ko) | 신경보호활성을 가지는 천마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치매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