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453A -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453A
KR20100011453A KR1020080072680A KR20080072680A KR20100011453A KR 20100011453 A KR20100011453 A KR 20100011453A KR 1020080072680 A KR1020080072680 A KR 1020080072680A KR 20080072680 A KR20080072680 A KR 20080072680A KR 20100011453 A KR20100011453 A KR 20100011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xidative stres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동
허숙경
이효승
윤현정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453A/ko
Publication of KR20100011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8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Azadirachta (ne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련자(Melia toosendan Sied. et Zuc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superoxide anions) 또는 NO (Nitric oxide) 소거활성 및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PGE2, iNOS 발현, COX-2 발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천련자, DPP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superoxide anions), NO (Nitric oxide), PGE₂, iNOS, COX-2,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염증성 질환

Description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elia toosendan Sied. et Zucc.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oxidative stress-induced diseases and inflammatory disease}
천련자(Melia toosendan Sied. et Zuc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Delanty N et al., Oxidative injury in the nervous system. Acta. Neurol . Scand ., 98, pp145-153, 1998
[문헌 2] Brune B et al.,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 Suppl ., 84, pp22-24, 2003
[문헌 3] Chung IM et al.,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 . J. Med . Sci., 6, pp311-322, 1998
[문헌 4] Kunsch C et al., Oxidative stress as a regulator of gene expression in the vasculature. Circ . Res ., 85(8), pp753-766, 1999
[문헌 5] Azad N et al., Inflammation and lung cancer: roles of reactive oxygen/nitrogen species. J. Toxicol . Environ . Health . B. Crit Rev ., 11(1), pp11-15, 2008
[문헌 6] Lee TH et al.,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kappa 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Mol . Cells., 30;23(3), pp398-404, 2007
[문헌 7] Nishida T et al., Geranylgeranylacetone indu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cultured rat gastric epithelial cells through NF-kappaB. Dig . Dis . Sci ., 52(8), pp1890-1896, 2007
[문헌 8] Chung HY et al., Dietary modulation of prostanoid synthesis in the aging process: role of cyclooxygenase-2. Mech . Ageing . Dev., 111(2-3), pp97-106, 1999
[문헌 9] Lin YL et al., (-)-Epigallocatechin-3-gallate blocks the induc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by down-regulat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B. Mol . Pharmacol., 52(3), pp465-472, 1997
[문헌 10] Tsai SH et al., Sup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the down-regulation of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macrophages by resveratrol. Br. J. Pharmacol ., 126(3), pp673-680, 1999
[문헌 11] Liang YC et al., Suppress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apigenin and related flavonoids in mouse macrophages. Carcinogenesis, 20(10), pp1945-1952, 1999
[문헌 12] Shi YL et al., Cell death and apoptosis-induced effect of toosendanin. Chi . J. Neurosci ., 20, pp461-465, 2004
[문헌 13] Kim HM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adriamycin and 28-deacetyl sendanin on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Arch. Pharm . Res ., 17(2), pp100-103, 1994
[문헌 14] Shi YL et al., Cure of experimental botulism and antibotulismic effect of toosendanin. Acta . Pharmacol . Sin ., 25, pp839-848, 2004
[문헌 15] Lirussi D et al., Inhibition of Trypanosoma cruzi by plant extracts used in chinese medicine. Fitoteria., 75, pp718-23, 2004
[문헌 16] Shi YL et al.,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on the presynaptic blocking effects of toosendanin on neuromuscular transmission. Acta. Physiol ., 33, pp259-265, 1981
[문헌 17] Kim BS et al., Effect of Melia toosendan fructus on liver function (Ⅰ) - Effect of each fractions from meliae toosendan fructus on drug metabolism enzyme system and bile secretion. Kor . J. Pharmacogn ., 24(1), pp63-68, 1993
[문헌 18] Ryu MY et al., Effect of Melia toosendan fructus on liver function (Ⅱ) - Effect of se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Kor . J. Pharmacogn., 25(3), pp272-277, 1994
[문헌 19] Gyamfi MA et al., Free-radical scavenging action of medicinal herbs from Ghana. Gen . Pharmacol ., 32, pp661-667, 1999
[문헌 20] Gotoh N et al., Rates of interactions of superoxide with vitamin E, vitamin C and related compounds as measured by chemiluminescence. Biochim. Biophys . Acta ., 1115, pp201-207, 1992
[문헌 21] Sutherland H et al., A fluorescence-based method for measuring nitric oxide in extracts of skeletal muscle. Nitric . Oxide ., 5, pp475-481, 2001
[문헌 22] Desai A et al., Cytotoxicity and apopotosis enhancement in brain tumor cells upon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ceramide in nanoemulsion formulations. J. Pharm . Sci ., [Epub ahead of print], 2007
[문헌 23] Wang H et al.,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r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 Radic . Biol . Med ., 27, pp612-616, 1999
[문헌 24] Rong Y et al., Ginko biloba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 macrophages and endothelial cells. Free . Radic . Biol . Med ., 20, pp121-127, 1996
[문헌 25] Wang S et al., J. Ethnopharmacol ., 114(3), pp458-462, 2007
[문헌 26] Heo et al., J. Immunol ., 179(9), pp6305-6310, 2007
[문헌 27] Heo et al., J. Leukoc . Biol ., 79(2), pp330-338, 2006
세포 내에 존재하는 미토콘드리아, 퍼옥시좀, xanthine oxidase (XOD), NADPH oxidase 및 cyclooxygenase (COX) 등의 효소들은 O2 -, H2O2, OH와 같은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생성하는데, 이 ROS는 산화손상을 일으키는 주범이 된다. 또한 NO, HNO2, ONOO-와 같은 활성 질소종 (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은 염증반응 시 대식세포, 호중구 및 다른 면역 세포들의 면역반응으로 인해 다량 생성되며, 이때 ROS도 같이 생성된다 (Delanty N et al., Oxidative injury in the nervous system. Acta . Neurol . Scand ., 98, pp145-153, 1998; Brune B et al.,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 Suppl., 84, pp22-24, 2003).
우리 몸은 항상성 유지를 위해 산화촉진물 (prooxidant)과 산화억제물질 (antioxidant)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만약 이 균형이 깨져서 산화 촉진 쪽으로 기울게 되면 세포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를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한다. 이런 산화적 스트레스는 기본적으로 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체내 DNA 손상, 지질의 과산화로 인한 세포막의 손상, 단백질과 지질의 산화 등을 가져와 동맥경화나 암, 백내장, 노인성 치매, 파킨슨씨병과 같은 질환 등을 유발시킨다 (Chung IM et al.,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 . J. Med . Sci., 6, pp311-322, 1998).
최근 당뇨병 환자의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동반된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심혈관계 질환에 의한 사망률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치료되지 않은 만성 당뇨병 합병증으로는 신경이나 신장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 중에서도 특히 고혈압, 동맥경화증, 뇌경색, 뇌혈전,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다. 이러한 동맥경화증을 비롯한 심혈관성 장애가 빈발하는 주된 요인의 하나로, 당뇨병 환자의 조직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유리기 (Free radical)의 생성 증가로 지질 과산화가 촉진된다고 알려진 바 있다. 그리하여 조직을 과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생체의 항산화 방어계 강화에 관련된 연구가 진전되고 있다.
특히 동맥경화의 경우에 Kunsch와 Medford 등의 연구에 의하면 (Kunsch C et al., Oxidative stress as a regulator of gene expression in the vasculature. Circ. Res ., 85(8), pp753-766, 1999) 여러 가지 죽상동맥경화의 위험 인자들이 공통적으로 혈관세포 내 산화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2차적으로 산화화원 반응 기전 (redox-sensitive signaling pathway)과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를 활성화함으로써 혈관세포와 면역세포의 상호작용에 의한 염증을 유발하고, 혈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여 죽상동맥경화를 유발한다고 알려진 바 있다.
염증반응의 조절은 대단히 복잡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생체 내 복구체계의 증강 및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일련의 활성기전이며, 모든 조직에서 잘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복되는 조직의 손상이나 재생에 의해 염증반응이 지속되면, 염증관련 세포에서 ROS와 RNS가 과다 생성되고, 그 결과로 영구적인 유전자의 변형이 야기된다 (Azad N et al., Inflammation and lung cancer: roles of reactive oxygen/nitrogen species. J. Toxicol . Environ . Health . B. Crit. Rev ., 11(1), pp11-15, 2008). 이처럼 ROS와 RNS는 생체 내 여러 가지 세포의 작용을 조절하는 염증반응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 (pro-inflammatory mediators) 이 만들어지는데, 염증인자에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nitric oxide (NO)와 cyclooxygenase-2 (COX-2)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prostagrandin E2 (PGE2) 등이 있다. 이러한 염증 인자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ㅎ핵내 전사 인자-κB (NF-κB)를 활성화시키며, 그 결과 과량의 NO와 PGE2를 생성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Lee TH et al., Methanol extracts of Stewartia koreana inhibit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gene expression by blocking NF-kappa B transactivation in LPS-activated RAW 264.7 cells. Mol . Cells., 30;23(3), pp398-404, 2007; Nishida T et al., Geranylgeranylacetone induces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cultured rat gastric epithelial cells through NF-kappaB. Dig . Dis . Sci ., 52(8), pp1890-1896, 2007). 포유동물 세포의 nitric oxide synthase (NOS)의 경우, 유사형태가 3가지 존재하는데 neuronal NOS (nNOS), endothelial NOS (eNOS) 그리고 inducible NOS (iNOS)이다. 그 중에서 특히 iNOS가 염증반응에 관여하는데, iNOS의 경우 Interferon-γ, lipopolysaccharide (LPS), 그리고 여러 가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자극이 있을 때 발현된다. PGE2는 cyclooxygenase (COX)에 의해서 Arachidonic acid로부터 생산된다. COX에 대해서는 1990년대 초반에 주로 연구되었는데, 이 또한 유사형태가 2가지 존재한다. COX-1은 거의 모든 조직에 발현되어 있고, prostaglandin을 생산하여 신장의 혈액 흐름을 조절하거나 위장의 세포를 보호하는 등의 생리적인 기능을 조절한다. 반대로, COX-2의 경우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손상 혹은 여러 요인의 스트레스에 반응한 대식세포 (Macrophage)에서 발현된다. 즉 iNOS와 COX-2의 발현과, 이에 따른 NO, PGE2의 생산은 면역세포의 대표적인 염증인자이다. 또한 염증인자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 인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terleukin-1β (IL-1β) 등이 포함된다.
염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사이토카인 (cytokines), PGE2, 리소좀효소 (lysosomal enzyme), 유리기 (free radicals) 등 다양한 매개물질이 관여하고 있다. 염증반응이 시작되면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가 활성화되는데, NF-κB의 활성화는 먼저 IL-1β, IL-6, IL-8과 TNF-α를 포함하는 일부 주요 염증촉진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며, 또 COX-2와 iNOS의 활성화를 조절하여 염증반응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Chung HY et al., Dietary modulation of prostanoid synthesis in the aging process: role of cyclooxygenase-2. Mech . Ageing. Dev., 111(2-3), pp97-106, 1999). 동맥경화증의 경우도 지속적인 NF-κB의 활성화에 의한 염증 및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과정으로 인해 일어나는 것으로, 동맥경화 병변부위에서 평활근세포, 대식세포 및 혈관내피세포의 NF-κB의 활성이 증가되어 있으며, 잠정적 병인인자인 oxidased LDL 또한 NF-κB의 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Kranzhofer R et al., Angiotensin induces inflammatory activation of huma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Arterioscler . Thromb . Vasc . Biol., 19(7), pp1623-1629, 1999). lipopolysaccharide (LPS)와 같이 NF-κB 활성화에 관여하는 인자는 대부분 ROS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 NF-κB 활성화는 화학적으로 광범위한 항산화제에 의해 저해됨이 연구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는 NF-κB 활성화가 대부분 산화반응에 의해 촉진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산화와 염증의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를 동반한 천연물은 동맥경화와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 (chronic inflammatory disease)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합성 항산화제의 부작용들이 밝혀지면서 천연자원으로부터 항산화제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뛰어난 항산화 효과를 지닌 물질들이 뛰어난 항염증 작용을 수반하고 있다고 알려진 경우도 많다 (Lin YL et al., (-)-Epigallocatechin-3-gallate blocks the induc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by down-regulat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activity of transcription factor nuclear factor-kappaB. Mol . Pharmacol ., 52(3), pp465-472, 1997; Tsai SH et al., Sup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and the down-regulation of the activation of NFkappaB in macrophages by resveratrol. Br . J. Pharmacol ., 126(3), pp673-680, 1999; Liang YC et al., Suppression of inducible cyclooxygenase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apigenin and related flavonoids in mouse macrophages. Carcinogenesis , 20(10), pp1945-1952, 1999). 동맥경화를 비롯한 고혈압, 당뇨, 암이나 관절염 등은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질환 (chronic inflammatory disease)으로 현재 임상에서 이러한 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막대하다. 한방에서는 오랜 역사에 걸쳐서 다양한 천연 자원을 치료제로서 이용해 왔다. 그러므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지닌 천연물을 찾아서, 만성 염증성 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물질로 개발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천련자는 먹구슬나무과의 천련(Melia toosendan Sied. et Zucc.)의 열매를 말하는 것으로 투센다닌(toosendanin)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천련자의 생리활성과 치료학에 대한 실험연구는 주성분으로 알려진 투센다닌으로 진행된 것이 주를 이루는데, 암세포에 대한 아포토시스 효과 및 성장억제 효과, 항보튤리누스 효과, 항균 효과, 아세틸콜린 분비억제 효과, 간의 약물대사효소 및 담즙 분비활성 효과, 항고지혈증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Shi YL et al., Cell death and apoptosis-induced effect of toosendanin. Chi . J. Neurosci., 20, pp461-5, 2004; Kim HM et al., Comparative studies of adriamycin and 28-deacetyl sendanin on in vitro growth inhibition of human cancer cell lines. Arch . Pharm . Res ., 17(2), pp100-103, 1994; Shi YL et al., Cure of experimental botulism and antibotulismic effect of toosendanin. Acta . Pharmacol ., 25, pp839-48, 2004; Lirussi D et al., Inhibition of Trypanosoma cruzi by plant extracts used in chinese medicine. Fitoteria ., 75, pp718-23, 2004; Shi YL et al., Electrophysiological analysis on the presynaptic blocking effects of toosendanin on neuromuscular transmission. Acta . Physiol ., 33, pp259-265, 1981; Kim BS et al., Effect of Melia toosendan fructus on liver function (Ⅰ) - Effect of each fractions from meliae toosendan fructus on drug metabolism enzyme system and bile secretion. Kor . J. Pharmacogn ., 24(1), pp63-68, 1993; Ryu MY et al., Effect of Melia toosendan fructus on liver function (Ⅱ) - Effect of se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Kor . J. Pharmacogn ., 25(3, pp272-277, 1994). 그러나 천련자의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천련자의 획분층별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의 연관관계 및 그 기전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련자를 메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네 가지 유기용매로 분획하여 각각의 항산화 활성을 시험관 내 실험 (in vitro)상에서 비교한 다음, 그 중에서 뛰어난 활성을 지닌 유기 용매 층을 선택하여, DPP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또는 NO의 소거활성을 확인함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NO 생성량, PGE2 생성량, iNOS와 COX-2의 발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천련자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50~100% 메탄올로부터 선택된 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메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부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바람직하게는 헥산,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은 암, 골수염, 후천성 면역결핍증, 심맥관계 질환, 대장직장암, 방광암, 관상동맥질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만성 신장병, 알콜성 간질환, 폐쇄성 폐질환, 인슐린저항 증후군 또는 당뇨병 바람직하게는 관상동맥질환 또는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염증성 질환은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비염,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염증성 장질환,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비만, 당뇨,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또는 췌장염 바람직하게는 동맥경화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50~100% 메탄올에 1 내지 30배 부피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 부피량을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에서 1 내지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 추출법으로 1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회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천련자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에서 얻은 천련자의 조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천련자의 메탄올 조추출물 중량의 1 내지 10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배 부피의 물을 분산시킨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을 순차적으로 물의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배의 부피를 가하여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회 분획하여 본 발명의 천련자의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련자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고혈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macrogol),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천련자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100 ml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 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련자 추출물이 DPP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superoxide anions) 또는 NO (Nitric oxide) 소거활성 및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LPS유도된 NO, PGE2, iNOS 발현, COX-2 발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실험재료의 준비
세포 배양액인 Dulbecco's Modifided Eagle Medium (DMEM, 11995), fetal bovine serum (FBS, 16000-044), streptomycin-penicillin (15140-122)등의 세포배양용 시약들은 Gibco BRL사 (NY,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약 중 Sodium Dodesyl Sulfate (SDS, 161-0302), Acrylamide (161-0100), Bis (161-0201) 는 Bio-Rad사 (CA, USA)에서 구입하였고, L -ascorbic acid (A4544), 1,1-diphenyl- 2- picrylhydrazyl (DPPH, D9132), EDTA (ED4SS), hydrogen peroxide (H2O2, 216763), hypoxanthine (H9377), nitro blue tetrazolium (NBT, N6639), xanthine oxidase (X1875),sodium nitroprusside (SNP, 228710), 4,5-diaminofluorecein (DAF-2, D2938), 6-carboxy-2',7'-dichlorofluorescein diacetate (DCFH-DA, D6883), CAPS (C2632), tween 20 (P5927) 등은 Sigma사 (St. Louis,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1차 항체인 iNOS monoclonal antibody (mAb, sc-651)는 Santa Cruz Biotechnology사 (CA, USA)에서, COX-2 mAb (4842)와 β-actin mAb (4967)는 Cell Signaling Technology사 (MA, USA)에서 구입하였다. 2차 항체인 anti-rabbit IgG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 antibody (sc-2004) 는 Santa Cruz Biotechnology사 (Santa Cruz, USA)에서 구입하였다. Aqueous One Solution Cell Proliferation Assay (MTS, G3580) kit와 Griess Reagent System (G2930) 은 Promega사 (WI, USA)에서 구입하였고, 각종 cytokine 측정을 위한 ELISA kit (IL-1β, EMIL1B5; IL-6, EM2IL6; TNF-α, EMTNFA5)는 Pierce Biotechnology사 (IL, USA)에서 구입하였으며, PGE2 assay kit (KGE004)는 R&D사 (MN, USA)에서 구입하였다. Protein assay reagent (80-6147-45)는 Amersham Bioscience (CA, USA)에서 구입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분석용 등급이상으로 사용하였다.
참고예 2. 세포배양
마우스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 (한국세포주은행 (KCLB))를 10% 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penicillin-streptomycin)을 포함하는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에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여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결과는 평균과 표준 편차로 표시하고 유의성 검증은 시그마 플롯 (Sigma Plot, Window용 version 7.0)을 이용하여 student's t-test (p<0.001)를 실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또는 실험군과 LPS 시험군(*)간의 유의성을 표기하였다.
실시예 1. 천련자 메탄올 조추출물의 제조
천련자는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 교실에서 선별된 것을 정선하여 800g을 8000ml의 100% 메탄올을 가한 다음, 8시간 동안 70℃에서 추출하여,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고 동결 건조를 통해 본 발명의 천련자 메탄올 조추출물(이하 "M"이라 명명함) 123.5 g (수율 15.44%)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헥산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천련자 메탄올 조추출물 50g에 물 500ml에 현탁한 후에 헥산 500ml를 가하여 분획을 3회 수행함으로써 헥산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헥산 가용성 분획층을 농축, 감압여과하여 헥산 가용성 추출물(이하 "H"라 명명함) 2.1g (수율 : 4.2%)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에 디클로로메탄 500ml을 가하여 분획을 3회 수행함으로써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분획층을 농축, 감압여과하여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이하 "DCM"라 명명함) 6.3g (수율 : 12.6%)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500ml을 가하여 분획을 3회 수행함으로써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분획층을 농축, 감압여과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이하 "EA"라 명명함) 5.3g (수율 : 10.6%)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얻은 수가용성 분획물에 부탄올 500ml을 가하여 분획을 3회 수행함으로써 부탄올 가용성 분획물 및 수가용성 분획물을 얻고, 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농축, 감압여과하여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이하 "B"라 명명함) 13.7g (수율 : 27.4%)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수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에서 부탄올 가용성 분획층을 제외한 나머지 수가용성 분획물을 농축, 감압여과하여 수가용성 추출물(이하 "A"라 명명함) 17.9g (수율 : 35.8%)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
1-1. DPPH 라디칼 ( radical ) 소거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천련자 추출물들의 DPPH 라디칼의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문헌 (Gyamfi MA et al., Free-radical scavenging action of medicinal herbs from Ghana. Gen . Pharmacol ., 32, pp661-667, 1999)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시료 50 μl에 0.1 mM DPPH 용액 1 ml 및 50 mM Tris-HCl buffer (pH 7.4) 450 μl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간 정치한 다음, micro plate reader (VersaMax,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파장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의 소거활성은 50%의 소거능을 보이는 농도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1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련자의 메탄올 조추출물(M)의 경우 147.20 μg/ml의 농도에서 50%의 DPPH radical을 소거하였고, 헥산 가용성 추출물(H)은 431.69 μg/ml,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은 70.82 μg/ml,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은 66.99 μg/ml,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B)은 94.05 μ g/ml, 수가용성 추출물(A)은 249.80 μg/ml의 농도에서 50%의 라디칼을 소거하였다. 따라서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이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1-2.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 Superoxide anions ) 소거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천련자 추출물들의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문헌 (Gotoh N et al., Rates of interactions of superoxide with vitamin E, vitamin C and related compounds as measured by chemiluminescence. Biochim . Biophys . Acta., 1115, pp201-207, 1992)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시료 30 μl에 30 mM EDTA (pH 7.4) 100 μl, 30 mM hypoxanthine 10 μl, 1.42 mM NBT 200 μl를 가한 다음 실온에서 3분 반응시킨 후에, 0.5 U/ml xanthine oxidase l00 μl를 첨가하고 50 mM phosphate buffer (pH 7.4)로 총 용량을 3 ml로 맞췄다.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20분간 배양시킨 후, 56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결과는 슈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에 의한 NBT reduction의 IC50 값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1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탄올 조추출물(M)의 경우 107.90 μg/ml의 농도에서 50%의 소거활성을 보였고, 헥산 가용성 추출물(H)은 152.84 μg/ml,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은 77.49 μg/ml,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은 14.22 μg/ml,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B)은 94.49 μg/ml, 수가용성 추출물(A)은 304.54 μg/ml의 농도에서 50%의 소거능을 보였다. 따라서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이 DPPH 라디칼의 소거활성 결과와 같이 우수한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1-3. NO ( Nitric Oxide ) 소거활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천련자 추출물들의 NO 소거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문헌 (Sutherland H et al., A fluorescence-based method for measuring nitric oxide in extracts of skeletal muscle. Nitric Oxide, 5, pp475-481, 2001)에 기재된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1 mg의 DAF-2를 0.55 ml의 DMSO에 용해시키고, 이를 다시 50 mM phosphate buffer를 사용하여 400배 (v/v)로 희석해서 DAF-2 용액을 준비해 놓았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 수득한 시료 10 μl를 50 mM phosphate buffer (pH 7.4) 130 μl와 혼합한 다음, 40 mM SIN-1 10 μl 및 DAF-2 용액 50 μl를 첨가하였다. 반응용액을 실온에서 10분간 배양한 다음, DAF-2와 NO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triazolofluorescein의 형광강도를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GENios- basic, TECAN, Austria)를 사용하여, excitation 파장 495 nm 및 emission 파장 515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탄올 조추출물(M)의 경우 1.78 μg/ml의 농도에서, 헥산 가용성 추출물(H)은 5.50 μg/ml,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은 1.44 μg/ml,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은 1.21 μg/ml,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B)은 5.29 μg/ml, 수가용성 추출물(A)은 11.02 μg/ml의 농도에서 50%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디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DCM)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EA)이 우수한 NO 소거활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 1-1 내지 1-3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DPPH 라디칼,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및 NO 소거활성이 모두 뛰어난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선별하여 하기의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2. MTS 분석방법
상기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문헌 (Desai A et al., Cytotoxicity and apopotosis enhancement in brain tumor cells upon coadministration of paclitaxel and ceramide in nanoemulsion formulations. J. Pharm . Sci ., [Epub ahead of print], 2007)에 기재된 MTS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참고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4cells/well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 수득한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들을 각각 농도별 (0, 10, 50, 100, 200, 300, 500, 1000 μg/ml)로 18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well당 20 ㎕의 MTS 용액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 DYNEX, Opsys MR,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각 농도별 약재가 갖는 흡광도를 보정하기 위하여 세포를 뺀 배지를 같이 배양하여 대조군과 실험군의 흡광도를 비교 보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백분율 (평균값± 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 (0, 10, 50, 100, 200, 300, 500, 1000 μg/ml)로 18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300 μg/ml의 농도까지는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으나, 3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의 생존율을 10% 이상 감소시켜 천련자의 추출물이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300 μg/ml의 농도를 선택하여 하기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3. DCF - DA 분석방법
상기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들의 H2O2와 LPS에 의한 RAW 264.7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문헌 (Wang H et al., Quantifying cellular oxidative stress by dichlorofluorescein assay using microplate reader. Free . Radic . Biol . Med ., 27, pp612-616, 1999; Rong Y et al., Ginko biloba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 macrophages and endothelial cells. Free . Radic . Biol . Med ., 20, pp121-127, 1996)에 기재된 DCF-DA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참고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1×104 cells/well로 분주하고,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각각의 농도별 (100, 200, 300 μg/ml)로 처리하고 37℃, 5% CO2의 조건에서 1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 buffer로 희석된 10 μM DCFH-DA를 가하고, 45분간 배양하였다. PBS buffer로 2회 washing한 다음 4 mM H202를 가하고, 30분 배양한 뒤에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excitation 파장 485nm와 emission 파장 535nm에서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DCF 형광강도의 증가율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배수 (fold)로 계산하였다. LPS 처리군의 경우는 약재를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에, 100 ng/ml의 LPS를 가한 다음, 18시간을 배양해서 DCF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H2O2 단독 처리군의 경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3.25배 정도로 형광강도가 증가한 반면, 300 μg/ml의 DCM 추출물 처리군과 EA 추출물 처리군은 각각 1.48배, 1.86배 증가하여 산화적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도 3A 및 도 3B 참조).
또한, LPS 단독 처리군의 경우,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2.05배 정도로 형광강도가 증가한 반면, 300 μg/ml의 DCM 추출물 처리군과 EA 추출물 처리군은 각각 1.07배, 1.16배 증가하여 역시 효과적으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3C 및 도 3D 참조).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산화적 손상을 거의 대조군 수준으로 억 제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NO 의 생성량 측정
NO의 생성량을 측정하기 위해 문헌 (Wang S et al., J. Ethnopharmacol ., 114(3), pp458-462, 2007)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상기 참고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300/ml로 전처리 하고 1시간 후 100 ng/ml의 LPS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 50 ㎕와 같은 양의 그리스 반응액 (Griess Reagent)을 넣어주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 시킨 후 Automatic ELISA reader (precision microplate reader, Molecular Devices, BIO-TEX EL800uv-PC,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 나트륨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은 LPS-유도된 NO의 생성감소율이 약 93.54% 및 93.27% 로 뚜렷한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PGE 2 의 생성량 측정
PGE2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상용 경쟁적 효소 면역분석 킷트 (commercial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kit, R&D systems, Minneapolis)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참고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 300 ㎍/ml을 1시간 동안 전 처리한 후 100 ng/ml의 LPS를 처리하였다. 18 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goat anti-mouse로 코팅 (coating)된 96 well plate에 각각의 배양액을 100 ㎕씩 주입 (loading)한다. 여기에 1차 항체 용액(primary antibody solution) 50 ㎕와 PGE2 conjugate 50 ㎕씩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방치시켰다. 세척 완충용액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하고 기질용액 (substrate solution)을 200 ㎕씩 처리하여 5-20분간 반응시킨 후, 50 ㎕의 반응정지 용액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 처리한 실험군은 LPS-유도된 PGE2의 생성감소율이 각각 약 25.53% 및 73.09%로 뚜렷한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웨스턴 블롯 분석법 ( Western blot analysis )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측정을 하기 위해 문헌(Heo et al., J. Immunol., 179(9), pp6305-6310, 2007)의 방법을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법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을 300 ㎍/ml로 전처리 한 후 100 ng/ml의 LPS를 18 시간 참고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세포에 ice-cold Tris buffered saline (TBS: 20 mM Tris-HCl, pH 8.0, 137 mM NaCl)으로 3회 세척한 후, 용해 완충액 (lysis buffer: TBS, 1% NP-40, 1 mM sodium orthovanadata, 10 ㎍/㎖ aprotinin, 10 ㎍/㎖ leupeptin 및 1 mM PMSF)을 넣어 4℃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12,000×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모았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7.5%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로 분리시킨 후,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 (nitrocellulose membrane, Whatman, Germany)에 전이 (transfer)하였다. 이 멤브레인을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차단하기 위하여 블로킹 용액 (blocking buffer: 5% non-fat milk와 0.1% Tween20을 함유한 TBS 용액)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각 단백질에 대한 항체 (anti-iNOS 및 anti-COX2)를 가하여 1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어서 0.1% Tween20을 함유한 TBST 용액으로 40분간 세척한 다음, 2차 항체 (anti-rabbit IgG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body)로 반응시켰다. 이어서 ECL system으로 반응 시킨 후에 X-ray film (AGFA, Belgium) 상에서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각 시료의 단백질 정량은 Bradford protein assay kit를 사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 100 ng/ml를 처리했을 때, iNOS와 COX-2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 300 μg/㎖의 농도를 1시간 동안 전 처리했을 때, LPS 100 ng/ml에 의해 유도되는 iNOS와 COX-2의 발현이 현저한 감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세포 배양액 내의 사이토카인 ( cytokines ) 측정
염증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세포 배양액 내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proinflammatory cytokines)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허 등의 방법 (Heo et al., J. Leukoc. Biol ., 79(2), pp330-338, 2006)을 이용하여 ELISA 분석법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상기 참조예 2의 방법으로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들 300 μg/㎖의 농도로 1시간 처리한 후 LPS 100 ng/ml를 처리하여 18 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후, 사이토카인으로 코팅된 96 well plate에 50 ㎕씩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방치시켰다. 워싱 완충액 (washing buffer)으로 3회 세척하고 100 ㎕의 비오티닐화 항체 반응액 (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각각의 웰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3회 세척한 다음, 100 ㎕의 스트렙타비딘-HRP 용액 (streptavidine-HRP solution)을 각각의 웰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 완충용액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di(2-ethylhexyl)-2,4,5-trimethoxybenzalmalonate (TMB) 기질을 100 ㎕씩 처리하여 5-30분간 반응시킨 후 100 ㎕의 반응 정지용액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LPS에 의해 유도되는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들의 TNF-α의 생성량은 각각 92.00% 및 86.24% (도 6-A), IL-1β의 생성량 은 각각 74.55% 및 73.90% (도 6-B), IL-6의 생성량은 각각 97.24% 및 97.26% (도 6-C)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 천련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조제
DCM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조제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EA 1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DCM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EA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DCM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정량
통상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EA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DCM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 사업]
[과제고유번호]
R13-2005-013-01000-0
[부처명]
과학기술부(한국과학재단)
[연구사업명]
기초의과학연구센터 육성사업
[연구과제명]
in vivo 모델을 이용한 심혈관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 천연물질의 작용기전 해명
[주관기관]
한국과학재단, 동국대학교, 경상북도
[연구기간]
2005. 6. 1 ~ 2010. 2. 28
도 1은 천련자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도이며,
(A: DPPH 라디칼, B: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C: NO)
도 2는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3은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H2O2 및 LPS-유도된 산화적 손상 보호효과를 측정한 도이며,
도 4는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LPS-유도된 NO (A) 및 PEG2 (B)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5는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LPS-유도된 iNOS (A) 및 COX-2 (B) 발현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도이고,
도 6은 DCM 추출물 및 EA 추출물의 LPS-유도된 TNF-α (A), IL-1β (B) 및 IL-6 (C)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한 도이다.

Claims (10)

  1. 천련자(Melia toosendan Sied. et Zucc.)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천련자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메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은 암, 골수염, 후천성 면역결핍증, 심맥관계 질환, 대장직장암, 방광암, 관상동맥질환,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만성 신장병, 알콜성 간질환, 폐쇄성 폐질환, 인슐린저항 증후군 또는 당뇨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질환은 동맥경화증, 알러지 질환, 비염, 천식, 급성통증, 만성통증, 치주염, 치은염, 염증성 장질환, 통풍, 심근경색,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협심증, 위궤양, 뇌경색, 다운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비만, 당뇨, 치매, 우울증, 정신분열증, 결핵, 수면장애, 패혈증, 화상 또는 췌장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천련자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9.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0. 제 9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80072680A 2008-07-25 2008-07-25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11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80A KR20100011453A (ko) 2008-07-25 2008-07-25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680A KR20100011453A (ko) 2008-07-25 2008-07-25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453A true KR20100011453A (ko) 2010-02-03

Family

ID=4208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680A KR20100011453A (ko) 2008-07-25 2008-07-25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45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4091A2 (en) * 2009-06-19 2012-04-25 Ildong Pharm Co., Ltd. Use of toosendanin or melia azedarach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KR20130032720A (ko) 2011-09-23 2013-04-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갖는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N104306742A (zh) * 2014-10-20 2015-01-28 中山百鸥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帕金森综合征的药物
CN104436000A (zh) * 2013-09-16 2015-03-25 罗兴富 一种治疗精神分裂症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491520A (zh) * 2014-12-09 2015-04-08 郑志保 一种治疗小儿感冒的中药制剂
CN104721746A (zh) * 2015-03-24 2015-06-24 青岛申达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肾衰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4873783A (zh) * 2015-06-09 2015-09-02 侯媛 内镜下治疗非静脉曲张上消化道出血的中药制剂
CN105055905A (zh) * 2015-08-24 2015-11-18 臧兰恕 一种治疗肺阴亏虚型肺痨的中药组合物
CN105125980A (zh) * 2015-10-23 2015-12-09 青岛大学附属医院 促育生精颗粒
CN107913308A (zh) * 2018-01-08 2018-04-17 陈世伟 一种以大戟烷型三萜为活性成分的川楝子提取物和生物医药用途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44091A2 (en) * 2009-06-19 2012-04-25 Ildong Pharm Co., Ltd. Use of toosendanin or melia azedarach extracts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EP2444091A4 (en) * 2009-06-19 2013-02-20 Ildong Pharm Co Ltd USE OF TOOSENDANINE OR MELIA AZEDARACH EXTRACTS TO PREVENT OR TREAT DEMENTIA
KR20130032720A (ko) 2011-09-23 2013-04-0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위암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갖는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N104436000A (zh) * 2013-09-16 2015-03-25 罗兴富 一种治疗精神分裂症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306742A (zh) * 2014-10-20 2015-01-28 中山百鸥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帕金森综合征的药物
CN104491520A (zh) * 2014-12-09 2015-04-08 郑志保 一种治疗小儿感冒的中药制剂
CN104721746A (zh) * 2015-03-24 2015-06-24 青岛申达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治疗慢性肾衰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4873783A (zh) * 2015-06-09 2015-09-02 侯媛 内镜下治疗非静脉曲张上消化道出血的中药制剂
CN105055905A (zh) * 2015-08-24 2015-11-18 臧兰恕 一种治疗肺阴亏虚型肺痨的中药组合物
CN105125980A (zh) * 2015-10-23 2015-12-09 青岛大学附属医院 促育生精颗粒
CN107913308A (zh) * 2018-01-08 2018-04-17 陈世伟 一种以大戟烷型三萜为活性成分的川楝子提取物和生物医药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1453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s et al. Everlasting flower (Helichrysum stoechas Moench) as a potential source of bioactive molecules with antiproliferative,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Chakroun et al. Evaluation of anti-diabetic and anti-tumoral activities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hoenix dactylifera L’s leaf: In vitro and in vivo approach
KR10101074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krj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Husain et al. 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ons of delphinidin, a dietary purple pigment in anthocyanidin and anthocyanin forms
Nguyen et al. Screening of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Vietnamese Medicinal Plants: Isolation of Active Principles from Oroxylum indicum
KR20080027539A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González-Gallego et al. Anti-inflammatory, immunomodulatory, and prebiotic properties of dietary flavonoids
Moussavi et al. Immunomodulating polyphenols from Sideritis scardica
KR10053027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901050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im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6547A (ko)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90716A (ko) 와송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110180A (ko) 혈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의한 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33983A (ko) 항염증 및 항침해수용 활성을 갖는 리리오덴드린을 함유한가시오가피 수피의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696647B1 (ko) 플라티코딘 d 프로사포제닌 메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 질환 및 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제
KR102191279B1 (ko) 헛개나무 뿌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090114022A (ko) 이묘산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동맥경화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2858A (ko) 진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뇌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1468288B1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10741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142638A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2231424B1 (ko) 아로니아 추출물 및 머위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