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539A -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539A
KR20080027539A KR1020060092694A KR20060092694A KR20080027539A KR 20080027539 A KR20080027539 A KR 20080027539A KR 1020060092694 A KR1020060092694 A KR 1020060092694A KR 20060092694 A KR20060092694 A KR 20060092694A KR 20080027539 A KR20080027539 A KR 2008002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extract
grape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850B1 (ko
Inventor
정종문
이승숙
김경범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스랩
Priority to KR102006009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850B1/ko
Priority to JP2009530236A priority patent/JP2010504370A/ja
Priority to US12/441,689 priority patent/US20090285917A1/en
Priority to PCT/KR2006/003856 priority patent/WO2008038846A1/en
Publication of KR2008002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은 우수한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인체에 안정하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항만성천식, 약학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Description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crude drug extract showing anti-allergic rhinitis, anti-atopic dermatitis and anti-asthma a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기능성 조성물의 다양한 농도에서 흰쥐 복강 비만세포에 대한 독성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화합물 48/80(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의해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되는 히스타민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기능성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화합물 48/80에 의한 비만세포 탈과립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의기능성 조성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치료에 흔히 사용되던 종래의 소염진통제는 아라키돈산을 대사하여 기관지 수축, 기관지 과민반응, 기도의 염증을 유발시키는 류코트라이인류(leukotrienes)의 형성을 촉매 하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이하 LO)라는 효소와 세포의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이하 COX)라는 효소를 통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류 생성 대사를 억제함으로써 소염진통 효과를 나타낸다. COX는 2종류의 아이소폼(isoform)을 가지고 있는데, COX-1은 염증 부위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인체 여러 장기와 조직, 즉 위장관 또는 신장 등에서 프로스타글란딘류 물질을 생성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그러나 COX-2는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만 작용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비스테로이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이하 NSAIDs)는 COX-1과 COX-2를 동시에 억제하거나 주로 COX-1을 억제하기 때문에 염증이 있는 조직뿐만 아니라, 장기간 복용 시 간, 위장관 또는 신장 등의 기능유지에 필수적인 프로스타글란딘류의 생성을 동시에 억제하여 많은 부작용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sselbcher et al.,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 th ed), 2, pp1543-1711, 1994). 최근 개발되고 있는 선택적 COX-2 억제제(selective COX-2 inhibitor)들은 기존의 소염진통제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어 현재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LO 저해 활성과 선택적인 COX-2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은 부작용이 적은 알레르기성 비염, 만성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생체내 결합조직에 널리 퍼져있는 비만세포(mast cell)는 자극이 가해질 때 세포내 함유하고 있는 물질을 분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세포는 탈과립 유발 인자들과 억제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등 여러 가지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적합한 약물을 개발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비만세포 및 기타 다른 세포의 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유발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치료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히스타민은 알레르기성 질환들의 증상을 유발하는 주된 매개물질로 사람에서 비만세포와 호염기성세포(basophil)에 많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비만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효능 유무와 그 약리기전을 밝힐 수 있다.
또한 실제 동물실험과 동물 독성실험을 통해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천식 치료제로서의 효능 유무를 밝힌다.
약 쑥(애엽, Artemisia .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은 다년생 초본으로 황해쑥 및 동속 근록식물의 잎을 말린 것이다. 황해쑥은 정유를 함유하며 정유 중 가장 함유량이 많은 성분은 시네올(cineole)로 25~30 %를 차지한다. 이 밖에 β-카로필렌(β-carophyllene), 리날로올(linalool), 캠퍼(camphor), 보르네올(borne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잎은 테트라코사놀(tetracosanol),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l-쉐불라키톨(l-chebulachitol), l-이노시톨(l-inositol)을 함유한다. 뿌리 및 줄기는 이눌린(inulin)과 비슷한 다당 아르테모즈(artemose)를 함유한다. 뿌리는 다종의 폴린(polyin) 화합물을 함유하며 이것에는 헵타덱-1, 7, 9,-트리엔-11, 13, 15-트린(heptadec-1, 7, 9,-trien-11, 13, 15-triyne), 테트라데카-8, 10, 12,-트린-6-엔-3-원(tetradeca-8, 10, 12,-trine-6-ene-3-one) 및 메틸 2-데칸-4, 6, 8-트리네이트(methyl 2-decen-4, 6, 8-triynate)가 있다. 또 작은 가지는 옥시톡신(oxytoxin)과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애속의 수많은 식물 속에서는 세스퀘테르펜 락톤(sesquiterpene lactone)의 리덴틴(ridentin)이 포함되고 있다. 또한 기혈을 다스리고 한습을 몰아내며 온경, 지혈, 안태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정 보섭 및 신 민교 저, 향약대사전, 영림사, pp1014~1016, 1998).
상엽(Morus alba Linn)은 뽕나무의 잎을 말하며 루틴(rutin), 퀘르세틴(quercetin), 이소퀘르세틴(isoquercetin), 몰라세틴(moracetin), 미량의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루페올(lupeol), 인코스테론(inkosterone), 미오인노시톨(myoinositol), 헤모리신(hemolys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정유 성분 중에는 초산, 프로피온산(propion acid), 길초산, 카프론산(capron acid)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고협압 치료와 항당뇨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박종희,이정희 공저, 약용식물도감, 신일상사, 2000).
구아바잎(Psidium guajava L.)은 탄닌의 함량이 높으며, 탄닌은 정장, 위장 기능의 강화, 노화 방지,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 성분으로는지방유, 정유, 휘발유, 인슐린 성분, 비타민 B군, 비타민 C, 마그네슘, 칼륨 등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안덕균 저,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1999).
포도씨는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포도는 힘줄과 뼈의 습비를 다스리고 기를 높여 힘을 세게 해주며, 의지를 굳게 해주고 건강하게 해주며, 또한 허기를 참을 수 있는 인내력을 주며 감기에 강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포도를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아 오래 살 수 있다고 하였다.
상기와 같이 포도씨의 추출물은 생리학적 효능이 우수하여 기능성 식품 또는 치료제 등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바, 한국 공개특허 제 98-51189호에서 티로시나제 저해제로서의 포도씨 추출물, 한국 등록특허 제 00-18117호에서 포도씨 추출 천연 항충치제, 한국 공개특허 제 01-12238호에서 포도씨 추출물로 코팅된 쌀 등의 상기 포도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개시한 바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 00-63265호에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된 포도씨 기름과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 01-04553호에서 항산화 효과가 향상된 포도제품의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 99-28877호에서 프로시아니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효제 등 포도씨추출물의 주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용도에 관하여 개시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오랜 옛날부터 한방과 민간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온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등에 대해서는 그 동안 과학적으로도 각각의 효능 및 독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용 기능성 조성물에 대해서는 어떠한 연구 문헌이나 기타 자 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연구 자체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물 유래의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의 식품연구에 주력한 결과,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갖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로 이루어진 복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그 구성배합비가 쑥: 상엽: 포도씨 : 구아바잎 (1~3: 1~2 : 1~2: 2~4)의 중량비(w/w)로 배합됨이 바람직 하고,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쑥 수용성 추출물 5-50 중량 %, 구아바잎 수용성 추출물 10-100중량 %, 상엽 수용성 추출물 5-50 중량 % 및 포도씨 수용성 추출물 5-70중량 %, 바람직하게는 쑥 수용성 추출물 10-40 중량 %, 구아바잎 수용성 추출물 20-70 중량 %, 상엽 수용성 추출물 10-40 중량 % 및 포도씨 수용성 추출물 10-50 중량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는,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를 세척 후,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세절하거나 분쇄한 다음, 무게(㎏)의 약 1배 내지 30배의 물, 에탄올과 같은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80내지 100 ℃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반복적으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에서 1 내지 5시간 열수 추출 방법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수득한 후, 이를 여과하여, 감압농축 또는 진공 농축하여 추출농축액을 수득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동결 건조시켜 분말형태로 수득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알레르기성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에 효 과적인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들은 오랫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염증을 유발하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및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효소의 억제효능, 비만세포 활성 억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항알레르기성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에 대한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 천식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 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 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상기 생약 추출물을 분쇄물, 추출물 또는 분말엑스의 형태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일 식물 추출물 제조
(주)농림생약(충남 아산시 배방면 세출리 산29-1 호서대학교 T.B.I 114호)에서 구입한 쑥, 상엽, 포도씨 및 (주)진용네츄럴(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135-1 벨로시티 913호 )서 구입한 구아바잎을 각각 1 kg씩 물 5 L에 넣고 100 ℃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여 이를 진공농축기(Buchi R-114, Buchi사, Switzerland)로 고형분이 30 %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그 농축물을 동결건조기(FD 5512, Ilsin사, Korea)로 동결 건조하여 쑥, 상엽, 포도씨 및 구아바잎에서 각각 82.5 g, 92.4 g, 102.3 g 및 33.0g의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복합생약 조성물의 제조
2-1.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의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 수용성 추출물을 고형분 함량 무게 기준으로 각각 9 g, 25 g, 8 g 및 8 g의 배합비로 배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2-2.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 수용성 추출물을 고형분 함량 무게 기준으로 각각 15 g, 20 g, 8 g 및 7 g의 배합비로 배합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개개의 식물 추출물의 리폭시게나제 ( Lipoxygenase ) 효소 저해효과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및 알레르기 유발 효소인 리폭시게나제 저해효능을 문헌에 기재된 방법(Hyo-Jin Kim et al., J. Food Sci . Nutr ., 3(3). pp216-220, 1998)을 변형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0.1 M 트리스 완충용액(Tris buffer, pH 8.5) 1 mL에 각각의 식물 추출물 20 ㎕ 및 200 단위(Units) 효소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 type Ⅴ, L-6632, Sigma, USA) 10 ㎕를 혼합하고 실온에서 5분간 전반응 시킨 후, 리놀산(linoleic acid, 50 ㎍) 30 ㎕를 첨가하여 234 nm에서 초기반응속도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를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LO 저해 활성 (%)
= ((A대조군-B대조군) - (A시료-B시료)) / (A대조군-B대조군)) × 100
A대조군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초기반응속도
A시료 : 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초기반응속도
B대조군 : 리놀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초기반응속도
B시료 : 리놀산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군의 초기반응속도
상기 실험 결과, 각각의 추출분말에 의한 LO의 IC50 값은 52.1 ppm, 14.1 ppm, 56.4 ppm 및 49.1 ppm으로 나타났다(표 1참조).
시료 리폭시게나제 IC50 (ppm)
쑥 추출분말 52.1ppm
구아바잎 추출분말 14.1 ppm
상엽 추출분말 56.4 ppm
포도씨 추출분말 49.1 ppm
실험예 2. 기능성 조성물의 리폭시게나제 ( Lipoxygenase ) 효소 저해효과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LO 저해 활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녹차의 대표적인 유효성분인 EGCG((-)-epigallocatechine-3-gallate)(E4143, Sigma사, USA)와 함께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LO에 대한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의 저해활성 IC50 값은 11.2 ppm을 나타내었고, 32 ppm에서는 LO를 완전히 90% 이상 저해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된 EGCG와 비교시, 7.6배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표 2참조).
시료 리폭시게나제 IC50 (ppm)
기능성 조성물 11.2
EGCG 85.4
실험예 3. COX-1, COX-2 효소 저해효과 측정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의 염증 및 알레르기 유발 효소인 COX-1, COX-2 효소에 대한 저해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문헌에 기재된 방법(Chintakunta et al., Eur . J. Med . Chem ., 37. pp339-347, 2002)을 변형하여 실험하였으며, 사이클로옥시게나제 저해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 G2(PG G2)에서 프로스타글란딘 H2(PG H2)로 환원되는 동안 N,N,N',N'-테트라메틸-p-페닐렌디아민(N,N,N',N'-tetramethyl-p-phenylene-diamine, 이하 TMPD라 함)의 산화율을 측정하였다.
1 mL 속에 100 mM 트리스 완충용액(Tris buffer, pH 8.0), 3 μM EDTA, 15 μM 헤마틴(hematin), 150 단위(units) 효소 (COX-1 or COX-2, Sigma사, USA, 각각 C-0733, C-0858),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및 양성대조군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혼합하고 25 ℃에서 15분간 전반응 시킨 후, TMPD 및 100 μM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를 첨가하여 603 nm에서 25초 동안 TMPD가 산화되는 초기속도를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IC50 값으로 나타내었다.
COX-1 또는 COX-2 저해 활성 (%)
= ((A대조군-B대조군) - (A시료-B시료)) / (A대조군-B대조군)× 100
A대조군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초기반응속도
A시료 : 시료를 첨가한 반응군의 초기반응속도
B대조군 : 아라키돈산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초기반응속도
B시료 : 아라키돈산을 첨가하지 않은 반응군의 초기반응속도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의 염증관여 효소 저해효과는 COX-2에서 NSAIDs계열인 인도메타신의 효과보다 2배(5.57/2.79) 활성이 떨어진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COX-1에서는 인도메타신과 비교시, 약 730배(14.6/0.02) 활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NSAIDs계열의 문제점인 높은 COX-1의 저해로 인한 위장관 및 신장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제로 COX-2 IC50/COX-1 IC50 비가 인도메타신과 비교시, 367배(139.5/0.38)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내어,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이 인도메타신보다 더 선택적으로 COX-2를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참조).
Figure 112006069063149-PAT00001
실험예 4. 비만 세포의 활성 억제 실험
4-1. 비만세포의 분리 방법
채옥희 등의 방법(상백피가 사람정장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1997)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 흰쥐(6주령, 수컷, (주)오리엔트 바이오, 경기 가평군 북면 목동 699-13)를 에테르로 마취시켜 희생시킨 후, 10 mL의 헤페스-티로이드 완충용액(HEPES-Tyrode buffer)을 흰쥐의 복강내에 주입하고 90초간 복벽을 가볍게 맛사지 하였다. 복벽 중앙선을 절개하고, 복강 세척액을 스포이드로 채취하여 200× g로 10분간 원침시킨 후, 상층 부유액을 버리고, 10 mL의 헤페스-티로이드 완충용액으로 비만세포 수가 1× 106 세포/mL 되도록 재부유시켜 실험에 사용하였다. 복강 비만세포 부유액으로부터 비만세포의 순수분리는 하치수카(Hachisuka) 등(Hachisuka et al., Clinica Chimica Acta , 171, pp 247-256, 1988)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리하였다. 이소토닉 페콜(isotonic percoll) 용액(10× Hank's solution 1 mL + percoll 9 mL) 위에 세포 부유액을 올려놓고, 10 mL의 헤페스-티로이드 완충용액을 채운 다음, 10분간 정치시킨 후, 125× g로 15분간 원침시켜 상층액을 버리고 10 mL의 헤페스-티로이드 완충용액으로 2번 세척하여 순수 비만세포 부유액을 만들었다.
4-2. 세포독성 실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복강비만세포(2× 105 cells in 0.2 mL)를 수확한 후, 10 mL의 헤페스-티로이드 완충용액(25 ㎕)만을 처리하거나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100, 10 또는 1 ㎎/mL) 25 ㎕을 처리한 후, 37 ℃에서 배양하면서 4시간에 세포 생존 여부를 트립판 블루(trypan blue)를 이용한 텝킨(Temkin)과 레비-샤퍼(Levi-Schaffer)의 방법(Temkin and Levi-Schaffer, Cytokine,15(1), pp 20-26, 2001)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복강 비만세포를 수확했을 때의 생존을 100으로 놓고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비만세포로부터 히스타민 유리 측정
상기에서 기술한 비만세포 분리 방법으로 순수 분리한 비만세포 부유액(106 cells/ml) 180 ㎕에 록커(locker)용액, 화합물 48/80(Compound 48/80) 또는 다양한 농도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용액 20 ㎕를 첨가하여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되는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화합물 48/80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를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의 억제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 용액으로 전처리한 후, 화합물 48/80를 첨가하여 히스타민 양을 측정하였다. 히스타민 정량은 방사선동위원소 효소분석(radioisotope enzymatic assay)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Harvima et al., Clin . Chim . Acta, 171, pp247-256, 1988).
상기 실험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48/80용액에 의한 흰쥐 복강 비만세포로부터 유리되는 히스타민은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0.1 mg/mL 농도에서부터 전처리함으로 억제되었다.
4-4. 비만세포 탈과립 관찰과 탈과립율 산출
비만세포의 형태 및 탈과립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반응이 끝난 비만세포가 들어 있는 복강 부유액 20 ㎕를 슬라이드글라스(slide glass)위에 올려 놓은 후, 비만세포가 침전될 수 있도록 실온에서 10분간 정치시켰다. 광학현미경으로 1,000배의 배율하에서 비만세포를 다음과 같이 관찰하여 정상형과 탈과립형으로 구분하였다. 대부분 복강 비만세포들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세포질 안에 많은 과립들로 충만되어 있고, 세포윤곽이 뚜렷하였다. 세포의 모양이 원형이나 타원형으로 세포윤곽이 분명하고, 세포질 내에 광굴절율이 높은 과립들로 충만된 상태를 정상형 비만세포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세포윤곽이 불분명하고 세포질내 과립들이 세포표면으로 돌출되어 있거나 세포주위에 흩어져 있는 경우를 탈과립형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 당 임의로 선택한 10시야에서 관찰된 비만세포의 수를 세어, 하기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탈과립율을 계산하였다.
탈과립율(%)=(탈과립된 비만세포 수/비만세포 총수)× 100
상기 실험 결과, 도 3 및 도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흰쥐 복강 비만세포 탈과립은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0.1 mg/mL의 농도에서부터 억제되었다.
실험예 5. 수동 피부 과민증(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 ) 실험
실험관내 실험으로 검증된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하여 실제 동물(마우스)내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켜 기능성 조성물이 이에 대하여 개선 효능을 지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수컷 마우스 양 이각에 항체-디니트로페닐(anti-DNP(anti-Dinitrophenyl), 1.2μg/mL, D8406, Sigma)를 10 ㎕씩 주사하고, 항체-디니트로페닐 주사 47시간 경과 후, 시료를 경구 투여한다. 한시간 뒤(즉 항체-디니트로페닐 주사 48시간 경과 후), 디니트로페닐-알부민(DNP-albumin, A6661, Sigma) 0.25 mg 및 에반스 블루(evans blue, E2129, Sigma) 1.25 mg을 용해한 생리식염수 0.25 mL을 꼬리정맥에 주사하여 반응을 일으켰다. 30분 후, 경추탈골하여 치사시킨 뒤, 양이각에 누출된 에반스 블루 색소량을 측정하였 다. 양성 대조군으로 프로메타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Promethazine hydrochloride, P4651, Sigma)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5 mg/kg 경구 투여한 군부터 알레르기 반응 개선 효능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69063149-PAT00002
실험예 6. 동물 실험을 통한 독성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독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샘타코(경기 오산시 서랑동, Korea)에서 공급받은 8 주령 SD 랫트 (수컷(250 g, 5마리), 암컷(210 g, 5마리) 10마리를 각 대조군 2마리, 실험군 8마리로 하여 5 g/kg 농도로 1회 경구투여 하고 2주간 생존여부, 몸무게, 털의 윤기, 곤두선 상태, 배변상태 및 전체적인 움직임 등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을 경구투여한 실험군 8마리 모두 생존하였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였으며 특이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표 5참조).
Figure 112006069063149-PAT00003
실험예 7. 임상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에 대한 인체의 알러지성 비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곳의 병원에서 알러지성 비염 증상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하루 약 400 mg (1회 2정, 1일 2회)씩 복용하게 하여 간이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표 6참조).
상기 실험 결과, 39명의 환자들 중에서 32명이 부작용 없이 개선효과를 보였고, 증상이 매우 심한 3명의 환자를 포함하여 7명에게는 개선 효과가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06069063149-PAT00004
본 발명의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2-2의 기능성 조성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2의 기능성 조성물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2-1의 기능성 조성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2-2의 기능성 조성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조성물은 뛰어난 아토피성 피부염, 항알레르기성 비염 및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므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 추출물의 구성배합비가 쑥: 상엽: 포도씨 : 구아바잎 (1~3: 1~2 : 1~2: 2~4)의 중량비(w/w)인 약학 조성물.
  4.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천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쑥, 구아바잎, 상엽 및 포도씨의 복합생약 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기능 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생약 구성배합비가 쑥: 상엽: 포도씨 : 구아바잎 (1~3: 1~2 : 1~2: 2~4) 중량비(w/w)인 건강 기능 식품.
  7. 제 4항에 있어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60092694A 2006-09-25 2006-09-25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KR100834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694A KR100834850B1 (ko) 2006-09-25 2006-09-25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JP2009530236A JP2010504370A (ja) 2006-09-25 2006-09-27 抗アレルギー性鼻炎作用、抗アトピー性皮膚炎作用及び抗喘息活性を示す複合生薬抽出物からなる組成物
US12/441,689 US20090285917A1 (en) 2006-09-25 2006-09-27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crude drug extracts showing anti-allergic rhinitis, anti-atopic dermatitis and anti-asthma activity
PCT/KR2006/003856 WO2008038846A1 (en) 2006-09-25 2006-09-27 A composition comprising complex crude drug extracts showing anti-allergic rhinitis, anti-atopic dermatitis and anti-asthma a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2694A KR100834850B1 (ko) 2006-09-25 2006-09-25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539A true KR20080027539A (ko) 2008-03-28
KR100834850B1 KR100834850B1 (ko) 2008-06-03

Family

ID=3923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694A KR100834850B1 (ko) 2006-09-25 2006-09-25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285917A1 (ko)
JP (1) JP2010504370A (ko)
KR (1) KR100834850B1 (ko)
WO (1) WO20080388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677A1 (ko) * 2016-07-21 2018-01-25 주식회사 벤스랩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9439B2 (ja) * 2010-02-26 2014-02-05 チュンヤン ペーパ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CN103458908B (zh) 2010-12-28 2015-07-01 玫琳凯有限公司 皮脂控制和抗痤疮组合物
CN103458872A (zh) 2010-12-30 2013-12-18 玫琳凯有限公司 多功能化妆品组合物
US8877259B2 (en) 2012-02-09 2014-11-04 Mary Kay Inc. Cosmetic formulation
CN105166926A (zh) * 2015-08-10 2015-12-23 云南师范大学 一种野生番石榴降糖抗氧化口服片及制备方法
CN105106829A (zh) * 2015-08-21 2015-12-02 李广臣 用于治疗鼻炎的外用药
JP6905728B2 (ja) * 2016-09-29 2021-07-21 株式会社東洋新薬 抗アレルギー剤、腸管免疫増強剤、乳酸菌の腸管接着性向上剤
KR20190045887A (ko) 2018-12-31 2019-05-03 류형준 만성 비염 개선 식품조성물
KR102225446B1 (ko) 2019-06-04 2021-03-09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염 조성물
JP7401863B2 (ja) * 2020-10-08 2023-12-20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血管攣縮抑制剤、血管攣縮予防剤、血管攣縮予防用経口組成物及び血管攣縮抑制用経口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3333B1 (fr) * 1989-10-23 1992-02-07 Isnard Camille Produit a base de jus de feuilles d'aloes, procede de preparation et application.
JPH0418025A (ja) * 1990-05-09 1992-01-22 Rooman Kogyo:Kk 外用剤
JPH092969A (ja) * 1995-06-20 1997-01-07 O S Kogyo Kk アレルギー疾患治療剤
JPH10287580A (ja) * 1997-04-10 1998-10-27 Motoo Nishimura 外用剤
US20030091665A1 (en) * 2001-11-09 2003-05-15 Avon Products, Inc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with skin rejuvenation benefi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6677A1 (ko) * 2016-07-21 2018-01-25 주식회사 벤스랩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또는 만성천식 개선 효과를 지니는 식물복합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38846A1 (en) 2008-04-03
JP2010504370A (ja) 2010-02-12
US20090285917A1 (en) 2009-11-19
KR100834850B1 (ko) 200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850B1 (ko) 항알레르기성 비염, 항아토피성 피부염 또는 항만성천식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KR101952416B1 (ko) 관절 건강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Vyawahare et al. Phoenix dactylifera: An update of its indegenous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CN103479963A (zh)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0675618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75135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Tripathi et 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overview on celosia cristata linn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47560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4755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해동피, 갈화, 옻나무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818363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20080023570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20050084725A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20140072625A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60385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 연골 손상 및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053243A (ko) 해방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