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432B1 -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432B1
KR100825432B1 KR1020050050831A KR20050050831A KR100825432B1 KR 100825432 B1 KR100825432 B1 KR 100825432B1 KR 1020050050831 A KR1020050050831 A KR 1020050050831A KR 20050050831 A KR20050050831 A KR 20050050831A KR 100825432 B1 KR100825432 B1 KR 10082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llergic
inflammatory
composition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1016A (ko
Inventor
장현욱
강삼식
배기환
김현표
손건호
성용경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50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432B1/ko
Publication of KR2006013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독활 (Aralia cordata Thunb) 추출물은 알러지 및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류코트리엔 C4 (LTC4) 생성을 억제하며, 또한 크로톤 오일 (croton oil) 및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phorbol myristate acetate, TPA)로 유도한 염증동물모델에서 그 효능이 인정되어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독활, 항염증, 항알러지

Description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allergic disease}
도 1은 독활 추출물의 기관지 천식 및 알러지반응을 일으키는 류코트리엔 C4 (leukotriene C4, LTC4)의 합성에 관여하는 5-리폭시게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면역글로불린 E (IgE)/ 항-면역글로불린 (anti-IgE)로 유도한 알러지 모델에서 독활 추출물에 의한 생체의 항알러지 능력향상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독활 (Aralia cordat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및 알러지성 질환을 유도하는 핵심적인 매개물질은 프로스타글란딘류 (prostaglandines), 류코트리엔류 (leukotriens), 혈소판활성화인자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등이며 이들은 포스포리파아제 A2 (phospholipase A2), 시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 및 리폭시게나제 (lipoxygenase)에 의하여 전구체인 아라키돈산 (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다.
프로스타글란딘류 (prostaglandines)는 특이한 세포표면 수용체와 결합하여 환식 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경우에 따라서는 환식 구아노신모노포스페이트, cGMP)의 세포내 농도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환식 아데노신모노포스페이트의 증가에 의한 효과는 세포 종류에 따라 다르며 프로스타글란딘 A2 (Prostaglandin A2, PGA2), 프로스타글란딘 B2 (Prostaglandin B2, PGB2), 프로스타글란딘 C2 (Prostaglandin C2, PGC2)는 혈압을 강하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 D2 (Prostaglandin D2, PGD2), 프로스타글란딘 E1 (Prostaglandin E1, PGE1)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동통, 발열 등의 염증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프로스타글란딘 D2는 특히 기관지 천식환자의 평활근을 수축하여 천식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알려져있다.
류코트리엔은 아라키돈산 (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체에서 생성되는 국소 작용성 호르몬 그룹을 구성하며, 중요한 류코트리엔으로는 류코트리엔 B4 (LTB4), 류코트리엔 C4 (LTC4), 류코트리엔 D4 (LTD4) 및 류코트리엔 E4 (LTE4)가 있다. 이들 류코트리엔의 생합성은 효소 5-리폭시게나제가 아라키돈산에 대하여 작용하여 류코트리엔 A4로서 알려진 에폭시드 (epoxide)를 생성시킴으로써 시작되며, 이 것은 연속적인 효소 반응 단계에 의해 다른 류코트리엔 (LTB4, LTC4, LTD4, LTE4)으로 전환된다. 류코트리엔은 폐동맥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알러지성 비염, 접촉성 피부염, 알러지성 결막염 등의 알러지 및 알러지 반응,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등의 염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알러지성 천식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약물들은 히스타민 유리억제, 류코트리엔 C4 생성억제, 혈소판 활성화인자 생성억제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약물들이다.
최근에는 독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천연물 유래의 물질로부터 활성 성분을 찾으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데, 그 예로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1999-0039985호에는 전호에서 분리한 리그난 계통의 신규 화합물 안젤로일 포도필로톡신 (Angeloyl podophyllotoxin)의 항종양 효과 및 그의 추출방법이 공개되었으며, 한국특허공개번호 제 2003-0078565호에는 감초, 소자, 오미자, 천문동 및 전호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만성 기관지 천식 및 심장질환 치료용 조성물이 공개되었다.
독활은 독활의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신선한 뿌리에는 정유 (essential oil) 0.07%가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에는 리모넨 (limonen), 사비넨 (sabinene), 알파-피넨 (α-pinene), 감마-테르피넨 (γ-terpinene), 미르센 (myrcene), 후물렌 (humulene, α-caryophyllene), 시스 (cis) 및 트랜스 (trans) 포수 사비넨, 알파 코패인 (α-copaene), 테르피넨-4-올 (terpenene-4-ol)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로부터 독활의 뿌리는 거풍, 화혈, 감기, 두통, 류머티즘 신경통에 효과 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860-862, 1998). 또한 독활의 성분 중 디테르펜 (diterpene)성분은 진통 및 항염증작용 (Han BH et al., Arch. Pharm. Res., 6, pp17-23, 1983 ; Okuyama E et al., Chem. Pharm. Bull., 39, pp405-407, 1991) 및 시클로옥시게나제 (cyclooxygenases ; COX) - 1, 2의 저해작용 (Bae KH et al. Arch. Pharm. Res., 28(1), pp28-33, 2005)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어디에도 독활 추출물이 염증 및 알러지 질환에 효과가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교시되거나 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독활 추출물이 5-리폭시게나제 의존적인 류코트리엔 C4 생성을 억제하며, 크로톤 오일 및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로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염증 억제효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독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독활 (Aralia cordata Thunb)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극성용매 및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은 급, 만성 염증질환, 알러지성 천식 및 알러지성 피부염 등을 포함한다.
이하, 독활나무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독활 추출물은, 건조된 독활의 전초, 뿌리 또는 지상부 (잎, 줄기)를 세절하여 무게 (㎏)의 약 1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배 내지 10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80 ℃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상기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독활 추출물은 알러지 및 천식에 관여하는 류코트리엔 C4 생성을 탁월하게 억제하며, 크로톤 오일 및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로 유도한 염증모델에서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독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증 및 알러지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 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독활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또는 알러지성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독활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독활의 전초 및 뿌리 2 kg을 세절하여 에탄올에 침지시킨 후 실온에서 추출액을 수득하고, 다시 에탄올을 가하여 1회 더 추출하였고, 상기 각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 회전농축기 (Vacuum rotary evaporator; 일본 Nihon Seiko사, VR-205c)로 용매를 증발시켜 독활 추출물 150 g을 수득하였다.
참고예 1. 실험용 세포 배양
쥐 골수 유래 비만세포 (BMMC, mouse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를 실험용 흰 마우스 (BALB/C mouse)로부터 무라카미 등의 방법 (Murakami et al. J. Biol. Chem., 269, pp22269-22275, 1994)으로 골수에서 분리하여, 인터루킨-3 (IL-3) 생산 세포인 WEHI-3 세포 (일본 쇼와(Showa) 대학 약학부 쿠도 이치로 교수 제공)의 배양 상등액을 함유한 50% WEHI-3 배지 (conditioned medium, 10% 우태아혈청 (FBS ; fetal bovine serum) 함유)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1. 류코트리엔 생성에 대한 영향 분석 실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독활 추출물의 류코트리엔 C4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Chang HW et al. Planta. Medica., 70(5), pp474-476, 2004).
참고예 1의 쥐 골수 유래 비만세포 배양 3주 후 비만세포에 줄기세포인자/지질다당류 혼합자극제 (SCF/LPS ; Stem cell factor/lipopolysaccharide, Sigma)를 30분 처리하였다. 세포 자극 후의 상층액의 류코트리엔 C4 정량은 류코트리엔 C4 분석 키트 (Cayman 사)를 이용하여 효소면역측정법 (Enzyme linked immuno assay, EIA)으로 측정하였다. 독활 추출물은 미리 15분간 전처리 한 후 자극제를 가하여 생성되는 류코트리엔 C4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독활 추출물이 류코트리엔 C4 생성을 용량 의존적으로 저해 하였으며, 50% 저 해농도 (IC50)는 52.3 ㎍/㎖ 이었다.
실험예 2. 동물모델에서의 항 알러지 효과 측정
실시예 1의 추출물에 대한 생체 (in vivo)의 항알러지 능력을 알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 당 10마리씩 웅성 스프라그-다우리 쥐 (Splague-Dawley rat, 효창사이언스)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Ⅰ형 알러지 모델인 쥐에 대한 수동 피부 감작 아나필락시스 (passive cutaenous anaphylaxis)법으로 검정하였다 (Katayama S, et al., Microbiol Immunol., 22, pp89-101, 1978).
스프라그-다우리 쥐에 단일클론 항 디니트로페놀 마우스 면역글로불린 E (Monoclonal anti DNP mouse IgE, Sigma 사, (100㎕, 1000 배 희석한 용액)를 48시간 전에 투여한 후, 항원 디니트로페놀-우혈청알부민 (2,4-DNP-BSA, DNP ; 2,4-dinitrophenol, BSA ; bovine serum albumin, Sigma 사) 투여 1시간 전에 0.1 %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CMC ; carboxymethyl cellulose)에 녹인 독활 추출물을 100-400 ㎎/㎏/100㎕를 경구로 3일간 매일 1회씩 투여하였다. 이 때 양성대조군으로써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Sigma 사)을 10 ㎎/㎏/100㎕를 복강으로 투여하였다. 그 다음 1 mg 디니트로페놀-우혈청알부민 (DNP-BSA ; 항원용액)/1 % 에반스 블루 (Evans blue) 용액을 꼬리 정맥으로 주사하였다. 30분 후 피부에 유출된 색소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면역글로불린 E (IgE)/항-면역글로불린 (anti-IgE)로 유도한 알러지 모델에서 독활 추출물의 용량 의존적으로 피부로 유출되는 색소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독활 추출물은 생체내의 알러지 모델에서도 유의성 있는 항알러지 작용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ICR 마우스를 이용한 크로톤 오일 유도 (croton oil-induced) 귀 부종 억제효과 측정
실험군 당 5마리씩 웅성의 에스피에프 아이씨알 (SPF ICR) 마우스 (주식회사 오리엔트, 한국)에 귀 부종을 일으키기 위하여, 김 등의 방법으로 (Kim et al., Arch. Pharm. Res., 16, pp18-24, 1993) 크로톤 오일 (2.5 %)를 25 ul/ear의 용량으로 귀에 처리하였다. 이때 시료는 0.1 %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용액에 녹여, 1시간 전에 경구투여 하였다. 크로톤 오일 처리 후 5시간 경과 후에 귀 두께를 측정하여 항염증력을 확립하였고,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독활 추출물 처리군 (250 mg/kg)과 양성대조군인 프레드니솔론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귀 부종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독활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용량 의존적으로 크로톤 오일 처리에 의한 염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독활 추출물의 크로톤 오일-유도 귀 부종 억제효과
Group Dose (mg/kg) Ear thickness increased (mm) % inhibition
크로톤 오일 0.192 ± 0.021 -
독활 추출물 10 0.201 ± 0.044 -
독활 추출물 50 0.181 ± 0.036 0.5
독활 추출물 250 0.130 ± 0.022* 32.3
프레드니솔론 10 0.105 ± 0.014* 45.3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 : P <0.05에서 크로톤 오일 처리군과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
실험예 4. ICR 마우스를 이용한 TPA 유도 귀 부종 억제효과 측정
실험군 당 5마리씩 웅성의 에스피에프 아이씨알 (SPF ICR) 마우스 (주식회사 오리엔트, 한국)에 독활 추출물을 경구처리 한 후, 1시간 경과 후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3 ug/ear)를 귀에 발랐다.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처리 5시간 경과 후에 마우스의 귀 부종을 두께측정기 (engineering gauge)로 측정하여 항염증력을 확립하였고,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독활 추출물 처리군 (250 mg/kg)과 양성대조군인 프레드니솔론 처리군에서 유의성 있는 귀 부종 억제효과가 관찰되었다. 표 2의 결과로부터, 독활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용량 의존적으로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처리에 의한 염증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독활 추출물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유도 귀부종 억제효과
Group Dose (mg/kg) Ear thickness increased (mm) % inhibition
TPA 0.155 ± 0.020 -
독활 추출물 10 0.148 ± 0.032 4.5
독활 추출물 50 0.120 ± 0.022 22.6
독활 추출물 250 0.098 ± 0.024* 36.3
프레드니솔론 10 0.087 ± 0.019* 43.7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 : P <0.05에서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처리군과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 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독활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독활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독활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독활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독활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독활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독활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독활 추출물은 류코트리엔 C4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독활(Aralia cordata Thunb)의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 천식,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천식 또는 알러지성 피부염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050831A 2005-06-14 2005-06-14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082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31A KR100825432B1 (ko) 2005-06-14 2005-06-14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0831A KR100825432B1 (ko) 2005-06-14 2005-06-14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611A Division KR100818363B1 (ko) 2007-06-04 2007-06-04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6A KR20060131016A (ko) 2006-12-20
KR100825432B1 true KR100825432B1 (ko) 2008-04-25

Family

ID=37811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831A KR100825432B1 (ko) 2005-06-14 2005-06-14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553B1 (ko) * 2006-12-08 2008-05-21 Sk케미칼 주식회사 독활 및 승마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00343B1 (ko) * 2007-07-05 2009-06-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독활 추출물을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3133A (ko) 2011-05-30 2012-12-10 한국 한의학 연구원 생약 추출물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013B1 (ko) 2015-11-30 2023-02-06 (주)아모레퍼시픽 아랄로시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09883B1 (ko) * 2020-06-12 2021-02-02 (주)오성내츄럴바이오 비염 완화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016A (ko)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643B1 (ko) 선복화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070101441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75618B1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79853B1 (ko) 가죽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818363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0830553B1 (ko) 독활 및 승마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1567B1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80023570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65419B1 (ko) 삼백초 추출물에서 분리된 사우세르네올 b 화합물을함유하는 염증, 알러지 및 천식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건강기능식품
KR20050084725A (ko) 전호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KR20120073797A (ko) 지실, 금은화 및 백지 혼합물로부터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637264B1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101483121B1 (ko)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37263B1 (ko) 정공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0905387B1 (ko) 항염증 및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는 매자나무 유래 용매 추출물의 조성물
KR102379574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084724A (ko) 전호로부터 분리된 안스리신을 포함하는 염증 또는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