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6566A - 그로밋 - Google Patents

그로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6566A
KR20100136566A KR1020107026973A KR20107026973A KR20100136566A KR 20100136566 A KR20100136566 A KR 20100136566A KR 1020107026973 A KR1020107026973 A KR 1020107026973A KR 20107026973 A KR20107026973 A KR 20107026973A KR 20100136566 A KR20100136566 A KR 20100136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grommet
inclined wall
annular connecting
sid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798B1 (ko
Inventor
다카시 오쿠하라
츠토무 사카타
사토시 우지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6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60R16/0222Gromm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68Corrugat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그로밋을 통과하는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하게 구부러지는 경우라도, 그로밋의 차체 걸림 홈이 변형되지 않아서, 시일성이 개선된다. 그로밋(1)은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의 내측관(5); 내측관(5)의 양단에 있는 압입측(P1)과 인출측(P2)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6);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에 연속하고 공간을 사이에 두고 내측관(5)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대직경의 외측관(8)을 포함한다. 외측관(8)은, 환형 연결부(6)와의 연결 위치의 후육부(9)로부터 인출측(P2)으로 직경이 축소하는 경사벽부(11)를 구비한다. 후육부(9)와 경사벽부(11)의 사이에 환상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내측관(5)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내측관(5)의 양단은 인출측(P1) 및 압입측(P2)에서 외측관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그로밋{GROMMET}
본 발명은 그로밋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에 배선될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부착되어 이 관통 구멍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 부분의 보호, 방수 및 방진을 도모하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자동차의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에 그로밋을 장착하고, 이 그로밋을, 자동차의 차체를 엔진룸과 객실로 분할하는 차체 패널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부착하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고, 엔진룸측으로부터 객실측으로 물, 먼지 및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있다.
본원의 출원인은, 그로밋을 일측으로부터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외주면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소위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을 제안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4호(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 상에 장착되고, 이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를 관통 구멍(3)에 압입하는 것만으로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부착되고, 와이어 하네스(W/H)는 엔진룸(X)으로부터 객실(Y)로 인출되어 있다. 즉,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엔진룸(X)측을 와이어 하네스(W/H)의 압입측(P1)으로 규정하고, 차체 패널(2)을 사이에 두고 객실(Y)측을 와이어 하네스(W/H)의 인출측(P2)으로 규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그로밋(100)은, 와이어 하네스(W/H)가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 관부(103)와 소직경 관부(103)의 압입측에 마련된 확대직경 관부(104)를 구비한다. 확대직경 관부(104)의 소직경 단부(104a)는 소직경 관부(103)의 압입측에 이어진다. 확대직경 관부(104)의 대직경 단부(104b)의 외주면에 차체 걸림 홈(101)이 마련되어 있다. 그로밋(100)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하고 부착할 때에는, 소직경 관부(103)를 관통 구멍(3) 내로 삽입하고, 와이어 하네스(W/H)를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측(P2)으로 압박한다. 그 후, 확대직경 관부(104)가 내측으로 휘어지고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101)에 체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그로밋(100)이 차체 패널(2)과 결합한다.
이 때에,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그로밋(100)을 삽입하는 삽입력을 저감하기 위하여, 그로밋(100)의 외주면에는 돌출 리브(105)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 리브는 그로밋(100)과 관통 구멍(3)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은 그로밋(100)을 엔진룸측으로부터 압박하는 것만으로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확대직경 관부(104)의 외주면에 돌출 리브(10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로밋(100)의 삽입력이 저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장품의 급증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배선 공간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을 관통하는 와이어 하네스는 직선형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전장품(D)과 간섭한다. 특히, 객실측에서는 와이어 하네스가 인출되는 계기 패널 내에 탑재되는 전장품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에,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마찬가지로, 엔진룸에서도 와이어 하네스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질 가능성이 있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지면,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밀착된 소직경 관부(103)도 구부러진다. 소직경 관부(103)에 이어지는 확대직경 관부(104)는 구부림 방향으로 인장되고, 확대직경 관부(104)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101)도 인장된다. 따라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1)의 경사벽 측면(101a)이 부상(浮上)하도록 변형된다. 이 때문에, 관통 구멍(3)의 내주면과 차체 걸림 홈(101) 사이의 시일성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에서는 확대직경 관부(104)가 관통 구멍(3)에 삽입될 때에 내측으로 휘어지기 쉽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확대직경 관부(104)가 구부림 방향의 인장 작용을 따르게 된다.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1644호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을 통과한 후의 와이어 하네스가 구부러져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시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그로밋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의 관통 구멍에 결합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로밋에 관한 것이다. 이 그로밋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의 내측관; 상기 내측관의 양단에 있는 압입측과 인출측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주면에 이어지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관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대직경의 외측관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관은, 상기 환형 연결부와의 연결 위치의 후육부(厚肉部)로부터 상기 인출측으로 직경이 축소하는 경사벽부를 구비한다. 상기 후육부와 경사벽부의 사이에 환상의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내측관의 양단은 인출측 및 압입측에서 상기 외측관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로밋에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가 밀착하여 관통하는 내측관과,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된 외측관은 와이어 하네스의 인출측에서 큰 간극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그로밋으로부터 인출되어 객실측에 배치된 와이어 하네스가 대략 90도의 각도로 급격히 굴곡되고 내측관이 굴곡된 경우라도, 내측관의 변형이 외측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내측관은 그 인출측에서 거리를 두고 있는 내측관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로부터 환형 연결부를 통해 외측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관의 변형이 환형 연결부에서도 흡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변형이 외측관의 대직경 단부측에 마련된 차체 걸림 홈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히 구부러지더라도 차체 걸림 홈이 변형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 걸림 홈과 관통 구멍의 내주면 사이의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상기 내측관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가 마련되어, 이 인출 선단측 관부의 내주면과 내측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인출 선단측 관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관의 형상 유지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내측관이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에, 인출 선단측 관부와 접촉하여, 경사벽부에 끼치는 변형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경사벽부에 인출 선단측 관부를 마련하지 않고서,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을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분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극의 반경 방향의 치수는 내측관의 반경의 1/2 내지 3/2로 설정된다. 내측관의 인출측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90도 미만의 각도로 구부러진 때에, 경사벽부는 변형되지 않도록 내측관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간극의 길이는 내측관의 외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간극의 길이를 5 ㎜ 내지 1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상기 내측관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를 마련하여, 이 인출 선단측 관부의 내주면과 내측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벽부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돌출 리브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의 내주면과 경사벽부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그로밋의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리브의 각각을 상부에 평면을 갖는 단차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삽입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리브의 수는 4개 내지 8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개이다.
상기 각 돌출 리브의 대경측 선단은 차체 걸림 홈의 측면 선단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돌출 리브의 소직경 단부는 상기 인출 선단측 관부에 연속되어 있다. 또한, 차체 걸림 홈의 측면 선단에 연속되는 각 돌출 리브의 선단이 상면 및 양 측면이 3면에서 컷트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에 들어가 체결될 때에, 돌출 리브가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고 차체 걸림 홈에 부드럽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관 및 외측관의 두께보다 얇다. 환형 연결부는 내측관과의 연결점을 지나서 상기 경사벽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경사벽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압박 리브가 돌출한다.
그로밋을 차체 패널의 관통 구멍에 삽입할 때, 작업자는 와이어 하네스를 내측관의 압입측을 잡고 관통 구멍에 압입한다. 외측관이 환형 연결부를 통하여 내측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관의 인출측의 경사벽부에는 압입력이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환형 연결부에 압박 리브를 마련하고, 이 압박 리브를 경사벽부의 인출측의 내주면에 대하여 압박하며, 압박 리브를 통해 경사벽부에 압박력을 전달한다. 이로 인하여, 그로밋의 삽입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환형 연결부가 작은 두께를 가지며 반경 방향으로 바로 돌출하지 않고 경사지게 돌출하기 때문에, 내측관이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의해 변형될 때에, 환형 연결부에서 내측관의 변형을 흡수하여, 외측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가 엔진룸에서 급격히 구부러지는 경우에도, 환형 연결부에서 변형을 흡수하여, 외측관의 차체 걸림 홈이 변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연결부는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서 V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V 형상으로 인하여, 내측관이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에 의하여 변형될 때에 환형 연결부에서의 변형 흡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박 리브는 환형 연결부의 주위 방향으로 환형 연결부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경사벽부에 압박력을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오프너 케이블(opener cable) 및 급수 호스 등의 선재를 그로밋에 삽입할 경우에, 이들 선재의 삽입 위치에는 압박 리브가 주위 방향으로 분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박 리브의 두께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두께의 2배 내지 4배이며, 상기 경사벽부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와 같이, 압박 리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경사벽부에 전달되는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압박 리브의 돌출 단부는 그로밋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벽부의 내면에 접촉한다. 압박 리브, 외측관, 내측관 및 환형 연결부가 그로밋의 내부를 둘러싸서 차음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압박 리브를 이용하여 차음 공간을 마련하면, 엔진룸에서 초래된 소음이 객실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객실을 조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압박 리브를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상 구조로 형성하면, 상기 차음공간을 밀폐 공간으로 할 수 있어, 차음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부의 중간부가 경사벽부를 향하여 굴곡되어, 압박 리브가 굴곡된 중간부로부터 돌출한다.
이와 같이, 압박 리브가 경사벽부의 내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압박력이 내측관으로부터 압박 리브를 통하여 환형 연결부에 원활하게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박 리브에 대향하는 상기 외측관의 내주면에 스토퍼용 돌기가 마련되고, 이 스토퍼용 돌기는 상기 압박 리브가 압박 위치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외측관에 스토퍼용 돌기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벽부의 내주면에 압박되는 돌출 단부가 경사벽부의 경사면에서 미끄러져, 그 돌출 단부가 경사벽부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밋에 상기 오프너 케이블이나 급수 호스 등의 선재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경사벽부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고, 이 관통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가이드용 외측관을 설치하고, 그로밋의 내부에 가이드용 내측관을 설치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용 외측관 및 내측관에 각각 소직경부를 마련하여 선재를 2 위치에서 시일 및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로밋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가 급격하게 구부러진 경우에, 본 발명의 그로밋은 차체 걸림 홈이 변형되지 않는 구성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차체 걸림 홈이 마련된 외측관이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변형되기 쉬운 내측관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떨어져 있으므로, 내측관의 변형이 외측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체 걸림 홈의 부상을 방지하여,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는 인출측에서 취한 본 발명의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압입측에서 취한 본 발명의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출측에서 취한 도 1a의 그로밋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Ⅲ-Ⅲ을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선 Ⅴ-Ⅴ를 따라 취한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Ⅵ-Ⅵ을 따라 취한 그로밋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와이어 하네스가 삽입되어 있고 차체에 부착되어 있는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인출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의 그로밋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와이어 하네스가 그로밋의 압입측에서 구부러져 있는 경우의 그로밋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그로밋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그로밋의 종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종래의 그로밋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그로밋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 내지 도 11b에 도시된 종래의 그로밋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엔진룸(X)으로부터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을 거쳐 객실(Y)까지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W/H)에, 그로밋(1)이 장착되어 있다.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와 맞물려 차체에 부착된다. 그로밋(1)은,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차체에 부착되는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이다. 그로밋(1)의 일단부가 압입측(P1)이 되고, 타단부가 인출측(P2)이 된다.
그로밋(1)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성형된다. 그로밋(1)은, 와이어 하네스(W/H)의 전기 케이블 세트를 통과시키는 소직경의 내측관(5)과, 내측관(5)의 압입측(P1)의 압입 단부(5P1)와 인출측(P2)의 인출 단부(5P2) 사이에 있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외주면(5a)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6), 그리고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에 연속하는 대직경의 외측관(8)을 포함한다.
외측관(8)은 내측관(5)과 동축 관계이고, 내측관(5)의 그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내측관(5)은 압입측(P1)과 인출측(P2)에서 외측관(8)의 양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다.
외측관(8)은, 환형 연결부(6)의 외주면과 외측관(8) 사이의 접속부에서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접속부에 형성된 후육부(9)의 외주면에는 환형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후육부(9)에 경사벽부(11)가 연속해 있고, 이 경사벽부(11)는 축선 방향으로 그 직경이 줄어들도록 인출측(P2)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선단에는, 내측관(5)의 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내주면과 내측관(5)의 외주면(5a) 사이에는 환형 간극(S)(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내측관(5)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외측관(8)의 소직경 단부가 환형 간극(S)을 두고서 내측관(5)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인출 단부(5P2)가 외측관(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간극(S)의 반경 방향 거리(d1)(도 3)가 내측관(5)의 반경(d2)(도 3)의 1/2 내지 3/2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경 방향 거리(d1)가 반경(d2)의 3/4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간극(S)을 두고서 내측관(5)의 외주면(5a)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길이(L1)(도 3)는 그로밋(1)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L1)가 5 mm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의 후육부(9)는 환형 연결부(6)의 외주 단부(6a)와 후육부(9) 사이의 접속부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하여 약간 돌출한다. 압입측 선단면(9a)은 축선(0)에 대한 수직면을 형성한다. 후육부(9)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차체 걸림 홈(10)이 마련되어 있다.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10a)으로부터 기립된 인출측면(10b)의 선단은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11a)에 이어진다.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11b)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이어진다. 대직경 단부(11a)와 소직경 단부(11b)의 사이에 굴곡부(11c)가 마련되어 경사벽부(11)의 외주면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고 있다.
경사 각도를 변경한 상기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는,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면(10b)의 선단의 대직경 단부(11a)로부터 소직경 단부(11b)로 연장되는 축선 방향의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단차형 돌출 리브(15)를 상기 굴곡부(11c)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게 함으로써 생기는 가상 외경은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의 내경과 동등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수는 6개이고, 그 피치는 60도이다. 6개의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상면(15a)(도 2)의 총 주위 길이는 굴곡부(11c)에서의 외주면의 20% 내지 40%로 설정된다.
상기 단차형 돌출 리브(15)는 소직경측 단부면(15b)을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외주면에 연결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의 인출측면(10b)의 선단에 위치하는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대직경 단부측에는,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상면(15a)을 인출측면(10b)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경사면(15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양 측면(15d, 15e)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5c)을 사이에 두고 있는 선단측은 서로 근접하는 경사면(15f, 15g)을 형성한다. 즉,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대직경 단부측에는 3면 컷트의 경사면(15c, 15f, 15g)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선단면이 3면에서 컷트되어 에지를 없애고 있기 때문에,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가 차체 걸림 홈(10) 내에 들어갈 때에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에 의해 걸리지 않게 되어 있다.
외측관(8)의 내주면은, 차체 걸림 홈(10)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에 이르기까지 축선 방향(O)에 평행하다. 외측관(8)의 두께(t1)(도 3)는 굴곡부(11c)로부터 인출 선단측 관부(12)까지 얇게 설정된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두께(t2)는 상기 두께 t1보다 크게 설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벽부(11)의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는 홈(15h)이 마련되어,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강성을 저하시키며, 이로써 단차형 돌출 리브(15)는 관통 구멍(3)의 내주면에 대하여 가압될 때에 내측으로 쉽게 휘어진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돌출 리브(15) 사이의 경사벽부(11)의 외면에는, 각 돌출 리브(15)의 근원 부분과 각 중앙 부분에 축선 방향의 홈(15k, 15i)이 마련되어, 경사벽부(11)가 쉽게 휘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8)과 내측관(5)을 서로 연결하는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외주면(5a)에 연속하는 내주 단부(6b)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V자형으로 돌출한다. 환형 연결부(6)의 외주 단부(6a)는 내주 단부(6b)보다 압입측(P1)에 배치되고, 외측관(8)의 후육부(9)에 연속한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종래의 원 모션 타입의 그로밋(100)에서는 확대직경 관부의 소직경측이 소직경 관부에 이어져 있지만, 본 발명의 그로밋(1)에서는 (확대직경 관부에 대응하는) 외측관(8)의 대직경측이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이어져 있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 연결부(6)는, 직교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 위치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선재(20)의 삽입구(31, 32)를 형성하는 평면(6e, 6f)을 갖는다. 환형 연결부(6)는 2 위치에서 V자형으로 굴곡되어 있지 않다.
환형 연결부(6)는 휠 수 있도록, 그 두께(t3)(도 3 참조)가 실질적으로 내측관(5)의 두께(t4)(도 3 참조) 이하로 설정된다. 내측관(5)의 외주면에 경사 연결되는 환형 연결부(6)의 각도(θ)는 20도 내지 30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은 반경 방향으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V자형의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W/H)가 구부러짐에 따라 내측관(5)이 변형될 때,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하며, 그 결과 내측관(5)의 변형이 외측관(8)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로써, 릴리프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환형 연결부(6)는 내주 단부(6b)와 V자형 돌출 단부(6c) 사이의 경사부에, 경사벽부(11)를 향해 구부러져 있는 굴곡부(6d)가 마련되어 있다. 두꺼운 압박 리브(18)가 굴곡부(6d)로부터 경사벽부(11)를 향해 돌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 있지만, 후술하는 선재(20)의 가이드용 내측관(28, 29)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분할되어 있다.
압박 리브(18)의 두께(t5)(도 3 참조)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의 2배 내지 4배가 되도록 충분히 크고, 경사벽부(11)의 두께(t1)보다 크며, 실질적으로 후육부(9)의 두께와 동일하다.
압박 리브(18)가 두꺼운 이유는, 그로밋(1)을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삽입할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압박력이 외측관(8)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부착되어 있을 때,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는 경사벽부(11)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 압박 리브의 돌출 단부와 경사벽부는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리브(18), 내측관(5), 환형 연결부(6) 및 외측관(8)의 사이에 차음 공간(B)(도 3 참조)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 리브(18)는 외경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 돌출한다. 돌출 단부(18a)는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연속하는 경사벽부(11)의 소직경 단부에 대향한다. 압박 리브(18)가 접촉하는 경사벽부(11)측에는, 경사벽부(11)로부터 안쪽으로 돌출하는 스토퍼용 돌기(12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마련되어 있다.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스토퍼용 돌기(12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 안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압박 리브(18)를 경사벽부(11)에 확실히 접촉시켜 압박력을 경사벽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경사벽부(11)에는,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접촉하는 부분의 외경측으로부터 굴곡부(11c)에 이르기까지의 내면에 환형의 얕은 홈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벽부(11)에는 얇은 두께(t6)의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다.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의 소직경측에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하네스의 구부러짐으로 인하여 인출 선단측 관부(12)가 변형될 때, 박육부(19)가 응력 흡수부의 역할을 한다. 즉, 굽힘 응력이 박육부(19)에 집중되어, 인출 선단측 관부(12)는 그 변형을 차체 걸림 홈(10)에 전달하기가 어렵게 된다. 박육부(19)의 두께(t6)는 환형 연결부(6)의 두께(t3)보다 작다.
보닛 개방용의 오프너 케이블(21)과 세탁기용의 급수 호스(22)를 포함한 2개의 선재(20)가 그로밋(1)을 관통하고, 엔진룸(X)으로부터 객실(Y)에 이르기까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선재(20)는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측(P2)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너 케이블(21)을 그로밋(1)에 관통시키기 위해서 경사벽부(11)에 관통 구멍(24)이 마련되어 있고, 급수 호스(22)를 그로밋(1)에 관통시키기 위해서 관통 구멍(25)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24, 25)은 직교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24, 25)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가이드용 외측관(26, 27)이 돌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용 외측관(26, 27)은 그 선단에 폐쇄 단부(26a, 27a)가 마련되어 있다. 선재(20)가 그로밋(1)을 관통할 때에, 폐쇄 단부(26a, 27a)는 절단되어 가이드용 외측관(26, 27)을 개방한다. 선재(20)가 그로밋(1)을 관통하지 않을 때는, 폐쇄 단부(26a, 27a)가 가이드용 외측관(26, 27)에 남아 있다. 가이드용 내측관(28, 29)이 관통 구멍(24, 25)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그로밋(1)의 내부로 돌출한다.
상기 오프너 케이블(21)의 가이드용 외측관(26)은 돌출측에, 오프너 케이블(21)의 외경과 동등한 내경을 갖는 소직경부(26c)를 갖는다. 소직경부(26c)의 선단측에 절단 라인(26b)이 마련되어 있다. 소직경부(26c)의 선단이 가이드용 외측관(26)으로부터 절결되면, 소직경부(26c)는 오프너 케이블(21)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오프너 케이블(21)을 시일 상태로 가이드한다.
가이드용 내측관(28)의 내경(d4)(도 5)은 오프너 케이블(21)의 외경(d3)보다 크게 설정된다. 가이드용 내측관(28)의 내주면에는 내경(d3)(도 5)을 갖는 관통 구멍(28a)이 있는 시일벽(28)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프너 케이블(21)은 그로밋(1)의 내부에서 시일벽(28b)에 의해 시일되고 지지된다. 또한, 오프너 케이블(21)은 그로밋(1)의 가이드용 외측관(26)의 소직경부(26c)에 의해 시일되고 지지된다.
한편, 급수 호스(22)에서, 가이드용 외측관(27)은 소직경부(27c)와 선단측의 절단 라인(27b)을 갖는다. 소직경부(27c)는 급수 호스(22)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시일을 행한다. 가이드용 내측관(29)의 내주면에는 2개의 소직경부(29a, 29b)가 마련되어 있다. 소직경부(29a, 29b)의 내주면은 급수 호스(22)의 외주면에 밀착하여 시일을 행한다.
환형 연결부(6)는 직경 방향으로 엔진룸측면에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용의 삽입구(31, 32)가 마련되어 있다. 환형 연결부(6)는 삽입구(31, 32)에서 V자형으로 구부러지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6e, 6f)을 형성한다.
와이어 하네스(W/H)가 관통하는 소직경의 내측관(5)은, 외측관(8)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내측관(5)은, 외측관(8)보다 돌출한 각 단부의 내주면에 3개의 방수 립(lip)(33)이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로밋(1)을 수용하는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은 관통 구멍(3)의 둘레 가장자리(3a)로부터 압입측(P1)을 향해 돌출하는 버어(3b; burr)를 갖는 개구이므로,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은 버어(3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의 바닥면(10a)의 중앙에 버어(3b)와 접촉하는 시일 립(10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경사벽부(11)측의 인출측면(10b)은 그 선단이 차체 걸림 홈(10)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인출측면(10b)에 대향하는 측면(10d)에는 바닥면(10a)에 연속하는 오목부(10e)가 마련되어 버어(3b)의 선단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10e)로부터 상단부가 인출측면(10b)을 넘어서 위로 돌출하도록 수직면(10f)이 기립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W/H)를 그로밋(1)에 부착하는 공정은, 지그(도시 생략)에 의해 내측관(5)의 내주면을 확장하면서, 와이어 하네스(W/H)의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실시된다. 와이어 하네스(W/H)를 내측관(5)에 삽입한 후, 내측관(5)의 양단부(5P1, 5P2)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와이어 하네스(W/H)와 상기 양단부(5P1, 5P2)는, 그 둘레에 접착 테이프(40)를 권취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와이어 하네스(W/H)의 직경의 증감이 환형 연결부(6)에서 흡수되므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내측관(5)에 연결된 외측관(8)은, 상기 직경의 증감에 기인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관의 외경을 설계 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즉, 환형 연결부(6)는 변형될 수 있을 정도로 얇고 V자형으로 형성되므로, 환형 연결부(6)는 굴곡 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직경의 증감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W/H)에 장착된 그로밋(1)은, 차체를 엔진룸(X)과 객실(Y)로 구획하는 차체 패널(2)의 버어(3b)를 갖는 관통 구멍(3)에 삽입되어 부착된다.
그로밋(1)을 관통 구멍(3)에 삽입하는 삽입 작업은, 내측관(5)의 인출 단부(5P2)를 엔진룸(X)으로부터 관통 구멍(3)에 삽입한 후, 엔진룸(X)에서 작업자가 와이어 하네스(W/H)와 그로밋(1)을 붙잡고서, 그로밋(1)을 관통 구멍에 압입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압입 동작이 일측에서 한번에 행해지는 한 동작 작업을 통해, 그로밋(1)이 관통 구멍(3)에 걸린다.
구체적으로,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의 소직경측은 관통 구멍(3)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그로밋(1)은 관통 구멍(3)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경사벽부(11)의 굴곡부(11c)가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하면, 경사벽부(11)의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내주면(3a)과 접촉하여, 삽입 저항이 발생한다. 그 후로는, 내주면(3a)으로 인해 외측관(8)이 관통 구멍(3)에 쉽게 더 압입되지 못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내측관(5)의 압입측(P1)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를 잡고서 밀면, 와이어 하네스(W/H)와 밀착해 있는 내측관(5)이 인출측(P2)을 향해 인출 방향으로 전진한다. 또한, 이러한 내측관(5)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의 압박 리브(18)도 외측관(8)의 경사벽부(11)의 내면을 향해 전진하고,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부딪친다. 따라서, 경사벽부(11)가 압박 리브(18)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 이동하므로, 경사벽부(11)를 구비한 외측관(8)은 관통 구멍(3)을 통과하여 객실(Y)에 이른다.
상기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가압할 때, 상기 스토퍼용 돌기(12a)는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가 인출 선단측 관부(12)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박 리브(18)의 돌출 단부(18a)를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확실하게 유지하여, 압박 리브(18)로부터 경사벽부(11)로 압박력을 전달할 수 있다.
경사벽부(11)의 외주면에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 리브(18)를 관통 구멍(3)에 삽입할 때, 단차형 돌출 리브의 상면(15a)만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 및 버어(3b)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삽입력이 저감된다.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내주면에 홈(15h)이 마련되어,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게 한다. 인접 단차형 돌출 리브(15) 사이의 박육부는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양측 근원에 마련된 홈(15k)과 박육부의 중앙 홈(15i)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다. 압박 리브(18)를 경사벽부(11)의 내주면에 압입함으로써 외측관(8)의 경사벽부(11)를 관통 구멍(3)에 압입할 수 있어, 압박력을 저감할 수 있다.
압박 리브(18)가 경사벽부(11)를 압박하고, 단차형 돌출 리브(15)의 선단이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에 도달한다. 각 단차형 돌출 리브(15)는 선단부에 3면 컷트 형태의 경사면(15c, 15f, 15g)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차형 돌출 리브(15)가 관통 구멍(3)에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과 버어(3b)가 차체 걸림 홈(10)에 들어가고, 그로밋(1)은 차체 패널(2)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로밋(1)이 차체 패널(2)에 고정된 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실(Y) 안으로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는 90도 하향(또는 상향, 우향, 좌향)으로 급격히 구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 하향으로 구부러지는 경우, 종래의 그로밋은 상부가 하향 인장되고, 차체 걸림 홈은 선단측에서 부상하여, 시일성을 확복하기가 어렵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그로밋(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 걸림 홈(10)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W/H)는 관통 구멍(3)을 밀착하여 관통할 수 있고, 접착 테이프(40)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W/H)에 고정된 내측관(5)은 와이어 하네스(W/H)의 굴곡 각도에 순응하며, 내측관(5)은 인출 단부(5P2)에서 하향 굴곡된다.
그러나, 인출 단부(5P2)가 하향으로 구부러져 있더라도, 외측관(8)은 인출 단부(5P2)에서 내측관(5)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외측관(8)의 인출 선단측 관부(12)와 내측관(5)의 사이에는 큰 간극(S)이 존재한다. 따라서, 내측관(5)과 외측관(8) 사이의 간극(S)에서 내측관(5)만이 구부러지므로, 외측관(8)은 인출측(P2)에서 구부러지지 않는다.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내측관(5)이 크게 구부러진 경우에, 이러한 구부러짐은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를 통해 외측관(8)에 전달될 것이다. 이 경우에도, V자형의 얇은 환형 연결부(6)가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하고, 외측관(8)은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이 변형되지 않아 관통 구멍(3)의 내주면(3a) 또는 버어(3b)의 내주면으로부터 부상하지 않으므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와이어 하네스(W/H)가 많이 구부러지고 내측관(5)이 외측관(8)의 인출 선단측 관부(12)에 접촉하여 외측관(9)을 변형시킬 경우에도, 경사벽부(11)의 소직경측에 박육부(19)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 시에 박육부(19)에 응력이 집중된다. 따라서 단지 박육부(19)만 변형되고, 경사벽부(11)의 대직경 단부측의 차체 걸림 홈(10)은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그로밋(1)으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하네스(W/H)가 수직으로 구부러질 경우라도, 내측관(5)과 외측관(8)이 인출측(P2)에서 서로 큰 간극(S)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내측관(5)의 중간부가 V자형의 얇은 환형 연결부(6)를 통하여 외측관(8)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관(5)의 변형이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룸(X)측에서 그로밋(1)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W/H)가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도, 내측관(5)은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에 따라 굴곡되지만, 내측관(5)에 연결된 환형 연결부(6)가 V자형으로 형성되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환형 연결부(6)는 내측관(5)의 변형을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와이어 하네스(W/H)의 구부러짐의 영향이 외측관(8)의 차체 걸림 홈(10)에 미치지 않게 되어,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패널(2)의 관통 구멍(3)에 장착된 그로밋(1)에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를 관통시키면, 가이드용 외측관(26, 27)의 폐쇄 단부가 절제된다. 그 후,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가 환형 연결부(6)의 삽입구(31, 32)를 통하여 가이드용 내측관(28, 29)에 삽입되고, 관통 구멍(24, 25)에 삽입되며, 또한 가이드용 외측관(26, 27)에 삽입되어 이들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가 직선 형태를 유지한다.
이 때,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는 외측관(5)으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용 내측관(28, 29)과 가이드용 외측관(26, 27)에 의해 시일되고 지지된다. 따라서, 내측관(5)이 구부러지더라도, 외측관(8)에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가 외측관(8)에 삽입되고 가이드용 내측관(28, 29)과 외측관(26, 27)에 의해 확실히 지지되기 때문에, 내측관(5)의 구부러짐의 영향이 오프너 케이블(21) 및 급수 호스(22)에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그로밋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점에 주의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걸림 홈(10)의 수직측면(10d)의 선단에 차체 패널(2)에 접촉하는 방수 리브(50)를 마련할 수도 있다.
종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관의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인출 선단측 관부를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종단의 내주면을 외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큰 간극을 두고 이격시킬 수도 있다.
또한, 오프너 케이블이나 급수 호스가 그로밋을 관통하지 않을 경우에는, 압박 리브를 주위 방향으로 분할하지 않고서, 연속된 고리 형상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벽부에 8개의 단차형 돌출 리브를 마련할 수도 있다. 압박 리브가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에 굴곡부를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1 : 그로밋
2 : 차체 패널
3 : 관통 구멍
5 : 내측관
6 : 환형 연결부
8 : 외측관
9 : 후육부
10 : 차체 걸림 홈
11 : 경사벽부
12 : 인출 선단측 관부
12a : 스토퍼용 리브
18 : 압박 리브
19 : 박육부

Claims (11)

  1. 와이어 하네스에 장착되고, 차체의 관통 구멍에 결합하며,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로밋으로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이 밀착하여 관통하는 소직경의 내측관;
    상기 내측관의 양단에 있는 압입측과 인출측 사이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형 연결부;
    상기 환형 연결부의 외주면에 연속하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내측관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대직경의 외측관
    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관은, 상기 환형 연결부와의 연결 위치의 후육부(厚肉部)로부터 상기 인출측으로 직경이 축소하는 경사벽부를 갖고, 상기 후육부와 상기 경사벽부의 사이에 차체 걸림 홈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측의 내주면은 상기 내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내측관의 상기 양단은 상기 인출측 및 상기 압입측에서 상기 외측관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인 그로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의 상기 경사벽부의 소직경 단부에 상기 내측관의 축선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출 선단측 관부가 마련되어, 상기 간극은 상기 인출 선단측 관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관의 상기 외주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인 그로밋.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반경 방향의 치수는 상기 내측관의 반경의 1/2 내지 3/2로 설정되고, 상기 내측관의 인출측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90도 미만의 각도로 구부러진 때에, 상기 경사벽부는 변형되지 않도록 상기 내측관으로부터 상기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벽부의 상기 소직경 단부로부터 상기 차체 걸림 홈에 연속하는 대직경 단부에 걸쳐서, 주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돌출 리브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관 및 외측관의 두께보다 얇고,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의 연결점을 지나서 상기 경사벽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하며, 상기 환형 연결부의 경사부로부터 상기 경사벽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압박 리브가 돌출하는 것인 그로밋.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연결부는 상기 내측관과 외측관 사이에서 V자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리브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전체 둘레에 마련되어 있거나 상기 환형 연결부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인 그로밋.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리브의 두께는 상기 환형 연결부의 두께의 2배 내지 4배이며, 상기 경사벽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인 그로밋.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리브의 돌출 단부는 상기 그로밋이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벽부의 내면에 접촉하고, 상기 압박 리브, 상기 외측관, 상기 내측관 및 상기 환형 연결부가 상기 그로밋의 내부를 둘러싸서 차음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그로밋.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연결부의 중간부가 상기 경사벽부를 향하여 굴곡되어 있고, 상기 압박 리브는 상기 굴곡된 중간부로부터 돌출하는 것인 그로밋.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리브에 대향하는 상기 외측관의 내주면에 스토퍼용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용 돌기는 상기 압박 리브가 압박 위치로부터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 그로밋.
KR1020107026973A 2008-06-03 2008-12-17 그로밋 KR101092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6294 2008-06-03
JP2008146294A JP5098826B2 (ja) 2008-06-03 2008-06-03 グロ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566A true KR20100136566A (ko) 2010-12-28
KR101092798B1 KR101092798B1 (ko) 2011-12-12

Family

ID=4139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973A KR101092798B1 (ko) 2008-06-03 2008-12-17 그로밋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73350A1 (ko)
EP (1) EP2278675A4 (ko)
JP (1) JP5098826B2 (ko)
KR (1) KR101092798B1 (ko)
CN (1) CN102084563A (ko)
AU (1) AU2008357390B2 (ko)
WO (1) WO200914776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63B1 (ko) * 2016-08-16 2017-02-06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차량용 그로밋
KR102109417B1 (ko) 2018-11-28 2020-05-13 (주)티에이치엔 수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8547A1 (en) * 2010-01-22 2011-07-28 Long Phi Tran Casino-style game incorporating multiple wagering options at multiple intervals during the game
JP5408043B2 (ja) 2010-06-0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5891961B2 (ja) * 2012-06-11 2016-03-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CN104654180B (zh) * 2013-11-25 2019-01-11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灯具及其过线密封结构
CN104810769A (zh) * 2015-03-30 2015-07-29 桐城信邦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电机线束
CN106931241B (zh) * 2015-12-31 2020-07-10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过孔密封隔音结构
JP6512136B2 (ja) * 2016-03-01 2019-05-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SG10201912363TA (en) 2016-12-02 2020-02-27 Carver Scientific Inc Memory device and capacitive energy storage device
DE102018213483A1 (de) * 2018-08-10 2020-02-13 Icotek Project Gmbh & Co. Kg Tülle
JP6998915B2 (ja) * 2019-05-09 2022-01-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21061679A (ja) * 2019-10-07 2021-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626716B2 (en) * 2019-12-20 2023-04-11 Raymond & Lae Engineering, Inc. Floor grommet
JP7117337B2 (ja) * 2020-02-03 2022-08-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077347B2 (ja) * 2020-02-17 2022-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174019B2 (ja) * 2020-07-28 2022-1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20004934A1 (de) * 2020-08-13 2022-02-17 Auto-Kabel Management Gmbh Dichtung für ein elektrisches Kabel
JP7133596B2 (ja) * 2020-09-10 2022-09-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102021118919A1 (de) * 2020-09-23 2022-03-24 Illinois Tool Works Inc. Tüllen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173A (en) * 1986-07-07 1987-08-11 Chrysler Motors Corporation Grommet with angularly positionable tubular portion
DE29807815U1 (de) * 1998-04-30 1998-08-27 Kromberg & Schubert, 42389 Wuppertal Elastomertülle zum Abdichten eines als Durchführung eines Strangs dienenden Wanddurchbruchs, insbesondere von Kabeldurchführungen in Fahrzeugen
JP3940229B2 (ja) * 1998-09-30 2007-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ーネスグロメット
JP2001231134A (ja) * 2000-02-16 2001-08-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グロメット
JP3765220B2 (ja) * 2000-03-15 2006-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3480422B2 (ja) * 2000-05-23 2003-12-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US6495767B2 (en) * 2000-09-22 2002-12-1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Grommet
DE60107345T8 (de) * 2000-09-22 2005-08-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Durchgangstülle
JP4049537B2 (ja) * 2000-09-22 2008-02-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3825278B2 (ja) * 2001-05-29 2006-09-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JP2003032854A (ja) * 2001-07-18 2003-01-31 Yazaki Corp グロメット
JP4056727B2 (ja) * 2001-10-29 2008-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DE10358002B4 (de) * 2003-12-11 2011-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Mich. Dichtungstülle
JP4851830B2 (ja) * 2006-04-04 2012-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63B1 (ko) * 2016-08-16 2017-02-06 주식회사 대성하이테크 차량용 그로밋
KR102109417B1 (ko) 2018-11-28 2020-05-13 (주)티에이치엔 수밀 구조를 갖는 차량용 그로밋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96736A (ja) 2009-12-17
CN102084563A (zh) 2011-06-01
WO2009147761A1 (ja) 2009-12-10
JP5098826B2 (ja) 2012-12-12
AU2008357390A1 (en) 2009-12-10
KR101092798B1 (ko) 2011-12-12
US20110073350A1 (en) 2011-03-31
EP2278675A1 (en) 2011-01-26
AU2008357390B2 (en) 2012-12-06
EP2278675A4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98B1 (ko) 그로밋
KR101118392B1 (ko) 그로밋
KR101118771B1 (ko) 그로밋
KR101089468B1 (ko) 그로밋
KR101078482B1 (ko) 그로밋
KR101354219B1 (ko) 그로밋
JP5136222B2 (ja) グロメット
JP2011172390A (ja) グロメット
JP2013150509A (ja) グロメットの取付構造
WO2016104241A1 (ja) 多芯ケーブルのシール構造
JP5136223B2 (ja) グロメット
JP5193790B2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