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2954A - 추잉껌 - Google Patents

추잉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2954A
KR20100132954A KR1020107020651A KR20107020651A KR20100132954A KR 20100132954 A KR20100132954 A KR 20100132954A KR 1020107020651 A KR1020107020651 A KR 1020107020651A KR 20107020651 A KR20107020651 A KR 20107020651A KR 20100132954 A KR20100132954 A KR 2010013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wing gum
crystal
erythritol
suga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430B1 (ko
Inventor
아야 다케야마
마코토 사토
마사히로 다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ublication of KR2010013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20Composite products, e.g. centre-filled, multi-layer, la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23L29/37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강한 냉량감을 가지며 식감이 좋은 추잉껌을 제공한다. 추잉껌 중에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결정을 그 전체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

Description

추잉껌{CHEWING GUM}
본 발명은 추잉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에리트리톨의 높은 항우식성을 이용하여, 이것을 항충치제로서 식료품, 치약, 구강 세정액 등에 함유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일본 특허 제 3459334호, 일본 특허공보 소56-18180호).
에리트리톨은 식품 중의 감미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312028호는, 70 중량% 의 에리트리톨과 액당 또는 다른 당 알코올의 혼합물을 감미제로서 함유하는, 항우식성이 우수한 추잉껌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평7-28671호에는, 입경이 큰 분당을 함유한 추잉껌의 모래를 씹는 듯한 지금거리는 식감을 방지하기 위해서, 메소ㆍ에리트리톨의 결정의 입경을 50 ㎛ 이하로 하여 함유시킨 추잉껌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추잉껌에 냉량감을 부여하기 위해, 용해 열이 큰 당 알코올을 추잉껌에 혼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추잉껌에서는 입경 O.1 ㎜ 미만인 당 알코올 분말을 사용하기 때문에, 흡열 반응에 의한 강한 냉량감을 부여하기는 어렵고, 얼마나 그 흡열을 추잉껌에서 나타낼 수 있을지가 과제였다.
본 발명은 강한 냉량감을 부여하면서 식감이 좋은 추잉껌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추잉껌 중에,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물질의 결정 (이하, 「결정」이라고 한다.) 을 추잉껌 전체의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배합하여 이루어진 추잉껌이다. 결정의 입경은 0.1 ㎜ ∼ 2 ㎜ 이어도 된다. 또, 추잉껌 본체는 당의 (糖衣)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결정을 배합하여 이루어지므로, 씹을 때에 강한 냉량감을 가져오며, 또한 식감이 좋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추잉껌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결정을 추잉껌 전체의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이다. 배합량을 5 중량% 미만으로 하면, 종래의 분말을 배합한 추잉껌에 비해 현저히 강한 냉량감을 부여할 수 없다. 70 중량%를 초과하면, 추잉껌 전체의 결착성이 나빠져 제조 도중에 분말상이 되어, 추잉껌으로서 부적절한 제품이 되거나 씹을 때에 입 안에서 추잉껌 조직이 산산이 해리되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결정은 입경이 0.1 ㎜ ∼ 2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0.1 ㎜ 보다 작은 경우, 부여되는 차가운 느낌이 분말을 사용한 경우와 거의 동일해져 버린다. 한편, 2 ㎜ 보다 큰 경우, 추잉껌의 결착성이 나빠지고, 또, 추잉껌을 씹었을 때에 결정이 너무 단단해서 이물질감ㆍ불쾌감을 준다. 게다가 2 ㎜ 의 결정이란, 시판되는 굵은 설탕에 상당하는 크기이다.
추잉껌에 배합되는 결정 이외의 감미료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그 예로는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당알코올류, 고감미도 감미료를 들 수 있다. 이들 감미료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 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껌 베이스는, 통상적인 추잉껌에 사용되는 원료이면 어떤 것이어도 되고, 각종 껌 베이스 원료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 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되는 향료ㆍ착색료로서는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는 것이어도 된다. 향료는 조성물이어도 되고 단체 (單體) 이어도 되고, 그들 향료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료는 천연 색소, 합성 색소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첨가율이나 조합에도 제한은 없다.
그 밖의 첨가물로서 산미료 등을 정미성 (呈味性) 부여를 위해 첨가하여도 된다. 사용되는 산미료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고, 각종 산미료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증점제나 연화제 등의 각종 첨가물에 대해서도 통상적인 추잉껌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잉껌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익스트루더, 충전기, 재단기 (커터), 몰드 등의 성형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여러가지 형상을 얻을 수 있다. 각종 성형 장치는 1 종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되고, 또 2 종 이상을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의를 실시하는 것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당히 당의를 실시하여도 된다. 당의 방법에 대해서도 특수한 방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고, 일반적인 당의 추잉껌 제조에 이용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른다. 당의율에 관해서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기호성 등의 면에서 센터 껌 중량에 대해서 10 ∼ 100 중량% 가 바람직하고, 20 ∼ 60 중량% 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하의 시험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기에 기재된 처방에서의 중량 비율의 단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추잉껌 전체에 대한 중량%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결정은 16 메시의 체 (눈금 간격 1 ㎜) 로 체질한 것을 사용하고, 껌 베이스는 모든 예에서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평가는 [냉량감] 과 [식감] 에 대해 하였다. 냉량감은, 시료를 먹었을 때에 지각되는 냉량감이, 컨트롤로서 사용된 추잉껌 A 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업되어 있는지로 판단하고, A : 현저히 업되어 있음, B : 업되어 있음, C : 약간 업되어 있음, D : 변함없음의 4 가지 평가로 나타냈다.
또, 식감은 시료를 먹었을 때에 지각되는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이, 컨트롤로서 사용된 추잉껌 A 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강하게 느껴지는지로 판단하고, A : 아삭거림이 현저히 느껴져 매우 좋은 식감, B : 아삭거림이 느껴짐, C : 아삭거림이 약간 느껴짐, D : 느껴지지 않음의 4 가지 평가로 나타냈다.
(시험예 1)
이 시험은 추잉껌 중에 배합된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의 결정에 따라, 그들 분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강한 냉량감과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을 얻을 수 있음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제조
자일리톨 분말 26, 당질 결정 40, 껌 베이스 30, 향료 2, 연화제 2 를 추잉껌용 믹서로 15 ∼ 30 분 충분히 혼련하였다. 이것을 롤러로 압연, 1 매 3 g 의 판상으로 성형하고, 12 시간 ∼ 1 일간 방치한 후 관능 평가를 하였다.
또한, 사용된 당질 결정을 표 1 과 같이 변경하여, 시료 1 내지 5 를 제조하였다. 또, 대조 시료로서 동일한 순서로 추잉껌 A 를 제조하였다.
2. 시험 방법
훈련된 전문 패널에 의해, 추잉껌 A 와 비교하여 시료 1 내지 5 의 관능 평가를 하였다. 표 1 에 평가를 나타냈다.
Figure pct00001
3. 시험 결과
표 1 의 평가와 같이, 에리트리톨의 결정을 사용한 시료가 냉량감,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 모두 평가가 높아,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또, 자일리톨 및 소르비톨에 대해서는 냉량감의 평가는 에리트리톨보다는 좋지 않지만,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을 얻을 수 있어 사용하는 데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이 시험은, 추잉껌 중에 배합된 당질 결정의 배합량 차이에 따라 먹을 때의 냉량감과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에 어떠한 차이가 얻어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자일리톨 분말 0 ∼ 70, 에리트리톨 결정 5 ∼ 75, 껌 베이스 21, 향료 2, 연화제 2 를 추잉껌용 믹서로 15 ∼ 30 분 충분히 혼련하였다. 이것을 롤러로 압연하여, 1 매 3 g 의 판상으로 성형하고, 12 시간 ∼ 1 일간 방치한 후 관능 평가를 하였다.
또한, 사용된 에리트리톨 결정의 양을 표 2 와 같이 변경하여, 시료 6 내지 11 을 조정하였다.
2. 시험 방법
훈련된 전문 패널에 의해, 시험예 1 의 추잉껌 A 와 비교하여 시료 6 내지 11 의 관능 평가를 하였다. 표 2 에 평가를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3. 시험 결과
표 2 의 결과와 같이, 추잉껌에 배합되는 에리트리톨 결정의 양이 5 ∼ 70 일 때에 강한 냉량감과 아삭거리는 식감을 얻을 수 있었다. 에리트리톨의 결정이 5 미만이면 지각되는 냉량감과 아삭거리는 식감이 매우 약하고, 에리트리톨의 결정이 70 을 초과하면, 추잉껌의 결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분말상이 되어 한 덩어리로 되지 않는다는 결과로 되었다. 또, 추잉껌으로 제조할 수 있는 범위의 결정의 배합률이어도, 결정이 많은 경우에는 결정을 그대로 씹고 있는 듯한 지금거리는 식감으로 되어 좋은 평가는 얻을 수 없었다. 이러한 경향으로, 에리트리톨 결정의 양은 5 ∼ 70 이 가장 적합하고, 나아가서는 10 ∼ 50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이 시험은, 추잉껌 중에 혼련되는 결정의 크기 차이에 따라 얻어지는 냉량감과 아삭거리는 식감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시료의 조제
자일리톨 분말 35, 에리트리톨 결정 40, 껌 베이스 21, 향료 2, 연화제 2 를 추잉껌용 믹서로 15 ∼ 30 분 충분히 혼련하였다. 이것을 롤러로 압연하여, 1 매 3 g 의 판상으로 성형하고, 12 시간 ∼ 1 일간 방치한 후 관능 평가를 하였다.
또한, 사용되는 에리트리톨 결정의 입경을 표 3 과 같이 변경하여 시료 12 ∼ 16 을 제조하였다.
2. 시험 방법
훈련된 전문 패널에 의해, 시험예 1 의 추잉껌 A 와 비교하여 시료 12 내지 16 의 관능 평가를 하였다. 표 3에 평가를 나타냈다.
Figure pct00003
3. 시험 결과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잉껌에 배합되는 에리트리톨 결정의 입경이 0.1 ㎜ 미만이면 냉량감이나 아삭거림을 얻을 수 없다. 반대로 입경 2 ㎜ 보다 크면 냉량감을 얻을 수 있지만 2 ㎜ 이하인 것에 비해 약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식감에 대해서는 이물질적인 으득으득거리는 감촉이 되어 평가는 낮았다. 이상과 같은 점에서, 현저한 냉량감과 양호한 아삭거림을 얻기 위해서는 혼련하는 결정의 입경이 0.1 ∼ 2 ㎜, 나아가서는 1 ㎜ 전후의 입경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이상 3 가지 시험예에 근거한, 본 발명에서의 최적의 조건 하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결정은 에리트리톨을 사용하고, 그 입경은 1 ㎜, 배합률은 17 로 하였다.
본 실시예의 추잉껌 배합을 표 4 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추잉껌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특수한 제법은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추잉껌의 제조 방법에 따랐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순서에 따라 제조되었다. (1) 추잉껌 원료 투입 (결정도 다른 원료와 동시에 투입), (2) 믹서에서의 혼련, (3) 익스트루더 (압출기), (4) 압연, (5) 성형, (6) 당의. 추잉껌을 혼련 후, 1 변이 약 11 ㎜인 입방체가 되도록 압연ㆍ성형하고, 그 후 당의를 실시하였다. 당의는 일반적인 추잉껌의 당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당의 배합은 멀티톨을 주성분으로 하고, 광택제 등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의 추잉껌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낸 사시도를 도 1 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추잉껌 배합
껌 베이스 23
당질 (에리트리톨 결정 이외) 56
에리트리톨 결정 17
착색료 0.1
향료 2.1
기타 첨가물 1.8
합계 100.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추잉껌은, 추잉껌 중에, 입경이 1 ㎜ 인 에리트리톨 결정을 추잉껌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7 중량% 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추잉껌과 같이 당 알코올의 분말만 혼련한 경우와 비교하면, 먹을 때에 강한 냉량감을 느끼게 하고, 또, 종래의 추잉껌에는 없었던 아삭거리는 좋은 식감을 준다. 또한, 추잉껌의 전체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범위로 결정의 배합량을 조정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에서의 에리트리톨 결정 대신에 자일리톨 결정을 사용한 경우, 또는 소르비톨의 결정을 혼련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화된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그 기술 사상, 또는 그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8 년 2 월 25 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08-043584호로부터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내용을 인용하여 이 출원의 일부로 하는 것이다.

Claims (3)

  1. 에리트리톨, 자일리톨 또는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물질의 결정을 전체 중량에 대해 5 ∼ 70 중량%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의 입경이 0.1 ㎜ ∼ 2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잉껌 본체를 당의 (糖衣)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
KR1020107020651A 2008-02-25 2009-02-17 추잉껌 KR101763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43584A JP5285927B2 (ja) 2008-02-25 2008-02-25 チューインガム
JPJP-P-2008-043584 2008-02-25
PCT/JP2009/053121 WO2009107569A1 (ja) 2008-02-25 2009-02-17 チューインガ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954A true KR20100132954A (ko) 2010-12-20
KR101763430B1 KR101763430B1 (ko) 2017-07-31

Family

ID=4101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651A KR101763430B1 (ko) 2008-02-25 2009-02-17 추잉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020417A1 (ko)
JP (1) JP5285927B2 (ko)
KR (1) KR101763430B1 (ko)
CN (1) CN101951785B (ko)
HK (1) HK1151199A1 (ko)
TW (1) TWI471098B (ko)
WO (1) WO2009107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4410A1 (en) * 2010-08-18 2012-02-23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Mouth-moistening gum compositions an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JP5843567B2 (ja) * 2011-10-26 2016-01-13 株式会社ロッテ キシリトールガム咀嚼力判定用カラースケール
FR3004071B1 (fr) 2013-04-04 2015-09-04 Roquette Freres Nouvelle confiserie a la croustillance amelioree
EA033518B1 (ru) * 2013-10-31 2019-10-31 Suedzucker Ag Mannheim/Ochsenfurt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20150078710A (ko) * 2013-12-31 2015-07-08 롯데제과주식회사 저칼로리 무설탕 캔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324A (en) * 1987-06-23 1988-10-25 Warner-Lambert Company Chewing gum with long lasting softness
MY106919A (en) * 1990-08-31 1995-08-30 Kao Corp Composition for use in oral cavity.
GB9514893D0 (en) * 1995-07-20 1995-09-20 Cerestar Holding Bv Chewing gum composition containing erythritol
FI110095B (fi) * 1998-05-18 2002-11-29 Xyrofin Oy Ksylitolin kiteyttäminen, kiteinen ksylitolituote ja sen käyttö
JP3444874B1 (ja) * 2002-12-02 2003-09-08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顆粒状香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40180110A1 (en) * 2003-03-14 2004-09-16 Atul Mistry Chewing gum and confectionery compositions containing an endothermic agent
US20070148284A1 (en) * 2004-08-25 2007-06-28 Cadbury Adams Usa Llc. Liquid-filled chewing gum
JP4840884B2 (ja) * 2006-02-24 2011-12-21 クラフト・フーズ・グローバル・ブランズ・エルエルシー 液体充填チューインガ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1199A1 (en) 2012-01-27
JP5285927B2 (ja) 2013-09-11
CN101951785A (zh) 2011-01-19
KR101763430B1 (ko) 2017-07-31
JP2009195214A (ja) 2009-09-03
US20110020417A1 (en) 2011-01-27
WO2009107569A1 (ja) 2009-09-03
TW200939970A (en) 2009-10-01
CN101951785B (zh) 2013-11-06
TWI471098B (zh) 201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79207B2 (ja) 軟キャンデーの製法
CN102573518B (zh) 含有木糖醇的可食用产品
KR20100132954A (ko) 추잉껌
JP2007159584A (ja) キシリトールまたはエリスリトールを含む清涼効果を持たない無糖菓子
CA2057530A1 (en) Directly compressible pulverul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 same
JP2007028951A (ja) 新規な菓子およびその製法
EP1504675A4 (en) POWDER COMPOSITION
JP3747190B2 (ja) 凍結乾燥冷菓
KR20160048798A (ko)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JP4380619B2 (ja) ソフトキャンディ
RU2656250C2 (ru)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с длительной свежестью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40052897A1 (en) Powder containing crystalline particles of maltitol
ES2538814T3 (es) Polvo de maltitol cristalizado de granulometría gruesa, su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y sus aplicaciones, en particular en el chocolate
JPH08256695A (ja) 低カロリー性錠菓用顆粒、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顆粒を使用した錠菓
JP2006280214A (ja) 新規キャンディ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新規キャンディ
KR20170027195A (ko) 코코아향 고풍미 음료용 파우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104243A (ja) 冷感を有する固形チョコレート
JP2004041016A (ja) 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7116819A1 (ja) 蛋白含有油性食品
KR200470125Y1 (ko)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JP3660522B2 (ja) チューインガム
JP5206639B2 (ja) 水感を有するハードキャンディ
JP5823156B2 (ja) アーモンド風味を強くさせるアーモンドバター組成物
JPS59135841A (ja) チヨコレ−ト類
JP2007252237A (ja) 油性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