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125Y1 -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 Google Patents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125Y1
KR200470125Y1 KR2020130007215U KR20130007215U KR200470125Y1 KR 200470125 Y1 KR200470125 Y1 KR 200470125Y1 KR 2020130007215 U KR2020130007215 U KR 2020130007215U KR 20130007215 U KR20130007215 U KR 20130007215U KR 200470125 Y1 KR200470125 Y1 KR 200470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aicin
gum
taste
plane portion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선 김
Original Assignee
용선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선 김 filed Critical 용선 김
Priority to KR2020130007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1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6Taste affect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껌의 말단부에 캡사이신이 함량별로 상이하게 포함되어 있어 매운맛이 조절가능한 캡사이신 함유 껌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캡사이신 함유 껌은 캡사이신을 함유함으로써 졸음 예방, 스트레스 해소, 소화 기능 향상, 다이어트 효과 및 입맛을 돋우어 주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소비자가 임의대로 캡사이신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Capsacin-containing gum capable of controlling the strength of hot taste}
본 고안은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세는 껌의 말단부에 캡사이신이 함량별로 상이하게 포함되어 있어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에 관한 것이다.
껌은 천연 또는 합성수지 등을 주원료로 한 껌 베이스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것을 말한다. 껌은 300년경에 중앙아메리카에 살고 있던 마야족 중에 사포딜라의 수액의 고체화된 치클을 씹으며 즐기는 습관이 있었는데 이것이 츄잉껌의 시초이며, 그 후 1860년경부터 멕시코와 미국에서 연구 및 개량되어 현재와 같은 껌이 생산되었다. 동양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처음 수입되었고, 현재 생산 및 소비량이 가장 많은 곳은 미국이다.
과거, 껌은 가벼운 군것질거리로만 여겨져 왔으나, 최근에는 씹기가 신경자극을 통한 감각기관의 조절, 장기 활동의 촉진을 도와 건강과 장수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껌 씹기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껌을 씹는 것과 같은 활동이 뇌활동에도 도움을 줘 치매를 예방하고 기억력을 높여준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에 의해 밝혀지기도 했으며 세계적으로 장수 노인들의 공통점 중 하나가 씹는 능력을 잘 유지해 영양을 고루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껌의 대표적인 효과는 저작기능강화, 타액분비촉진, 소화액 분비 촉진, 장폐색증 감소, 이닦기와 프라그 제거 효과, 불안감 해소, 뇌기능 활성, 역류성 식도염 예방, 집중력 향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일리톨이라는 당알콜 감미료를 사용한 껌이 출시되면서, 껌의 충치예방 효과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껌은 여러 기능성이 있고, 남녀노소 불문하고 간편하게 씹을 수 있어 시장 확대 가능성은 무궁하다 할 것이다.
고추는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즐겨왔고 지금도 세계 어느 민족보다도 가까이 하며 즐기고 있다. 고추의 원산지는 중부 아메리카이며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즈음에 전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의 성분으로는 수분,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질, 회분,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레티놀, 비타민B1, B2, C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은 기름의 산패를 막고 젖산균의 발육을 도우며 뇌의 엔도르핀 생성을 촉진시켜 기분을 좋게 한다. 또한 캡사이신과 같은 매운맛은 우리 혀의 미뢰와 위를 자극하여 체액 분비촉진, 식욕증진, 혈액 순환 촉진, 졸음 방지 등 여러 유익한 기능을 한다.
상기 고추의 유익한 성분을 껌에 적용한 종래 기술로서, 국내공개 2006-0027008호는 캡사이신 또는 가공처리된 올레오레린 캡시컴이 첨가된 졸음방지용 츄잉껌을 개시하고 있으며, 국내특허 제10-1133473호는 캡사이신, 진저론, 유화아릴, 알리신, 시니그린, 캐비신, 화화아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매운 분말을 포함하는 매운껌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기술은 단순한 캡사이신 등의 매운맛 성분을 포함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마다 매운맛에 대한 취향(선호도), 반응 정도나 거부감이 다르기 때문에, 다수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매운맛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던 중, 껌의 말단부에 캡사이신을 상이한 함량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캡사이신의 함량, 즉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순차적으로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는 순차적으로 높은 함량부터 낮은 함량으로 캡사이신을 함유하며,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인접하는 부위에 절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껌은 캡사이신을 함유함으로써 졸음 예방, 스트레스 해소, 소화 기능 향상, 다이어트 효과 및 입맛을 돋우어 주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소비자가 임의대로 캡사이신 함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된 용어 '껌'은 천연 또는 합성수지 등을 주원료로 한 껌 베이스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가공한 것을 지칭한다.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순차적으로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는 순차적으로 높은 함량부터 낮은 함량으로 캡사이신을 함유하며,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인접하는 부위에 절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껌'은 통상적인 판껌을 지칭한다. 다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판껌을 기초로 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풍선껌, 당의껌, 무설탕껌, 캔디껌, 센터 필링껌(center filling gum) 등도 본 고안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캡사이신 함유 껌은 본체,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로 구성되며, 본체는 껌의 바디(body)로서 통상적인 배합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본체의 일측은 3가지 구획으로 나뉘어 제일 바깥 구획에는 가장 높은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하도록 배합되고, 중간 구획에는 중간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하도록 배합되며, 안쪽 구획에는 가장 낮은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하도록 배합됨으로써,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캡사이신의 함량, 즉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캡사이신 함유 껌은 통상적인 껌의 본체의 일측에 3가지 구획이 있고, 말단부터 안쪽으로 캡사이신 함량이 높은 함량에서 낮은 함량으로 순차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강한 매운맛을 원하는 소비자라면 상기 통상적인 본체 부분과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3가지 구획을 다 취식함으로써(저작함으로써) 강한 매운맛을 느낄 수 있으며, 중간 정도의 매운맛을 원하는 소비자라면 제일 바깥 구획의 껌을 절단하여 통상적인 본체 부분과 안쪽 구획 및 중간 구획을 취식함으로써(저작함으로써) 중간 정도의 매운맛을 느낄 수 있고, 약한 매운맛을 원하는 소비자라면, 바깥 구획 및 중간 구획의 껌을 절단한 후 취식함으로써(저작함으로써) 약한 정도의 매운맛을 느낄 수 있으며, 매운맛을 원하지 않는 소비자라면, 상기 3가지 구획의 껌을 절단한 후 통상적인 본체 부분만을 취식함으로써(저작함으로써) 매운맛을 배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3개의 구획을, 각각 바깥부터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라 지칭한다. 상기 제1평면부(200)는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하며, 제2평면부(300)는 상대적으로 중간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하고, 제3평면부(400)는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의 캡사이신을 함유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캡사이신 함유 껌은 소비자가 원하는 강도의 매운맛을 얻을 수 있도록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또는 제3평면부(400)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50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선(500)은 본체 및 각 평면부가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절단선(500)은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100)-제3평면부(400)-제2평면부(300)-제1평면부(200)가 연결되어 유지되고, 힘이 가해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절단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절단선(500)은 칼날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두께의 홈을 만듦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상기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는 껌의 전체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3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의 길이는 소비자의 취향, 제품의 개발 의도, 원료의 배합비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는 껌의 전체 가로 길이를 기준으로 각각 5 내지 10%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의 면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면적이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껌은 통상적인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는 적절한 함량의 캡사이신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인 껌에 사용되는 원료의 예로는, 껌베이스, 당류, 향료, 당류시럽, 안정제, 색소, 광택제 등을 들 수 있다.
껌베이스는 천연치클 등의 식물성수지, 초산비닐수지(Poly Vinyl Acetate), 에스테르 검(Ester Gum), 이소부틸렌중합체(Iso-Butylene Polymer) 등의 열연화성 수지를 기초로 하며, 여기에 왁스, 유화제, 트리아세틴 등과 탄산칼슘 또는 탈크를 소정량 배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껌베이스는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 8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당류는 자일리톨, 이소말트, 락티톨,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톨, 말티톨, 설탕류 등을 포함하며, 상기 두 종 이상의 당류를 조합하여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 8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당류 시럽은 껌의 물성을 부드럽게 하고 껌이 잘 뭉쳐지게 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서, 솔티톨 80과 같은 환원물엿, 말티톨 시럽 또는 솔비톨 시럽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중량% 이하의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안정제로서, 아라비아검, 젤라틴, 말토데스트린 또는 곤약카라기난과 같은 안정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이는 츄잉껌의 점착성 및 유화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가공할 때의 가열이나 보존 대해서 신선도 유지와 형태 보존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안정제는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1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당류 코팅시 점착성이 증가하여 완성된 껌의 품질에 좋지않다.
색소로서, 식품 첨가물로서 허용된 색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광택제로서,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왁스(Candelilla wax), 미네랄오일(Mineral oil), 레시틴(Lecithin), 비스왁스(Bees wax), 스펌오일(Sperm oil), 코코아오일(Cocoa oil), 올리브 오일(Olive oil), 파라핀용액(Liquid paraffin), 탈쿰(Talcum), 벤조인검(Gum benzoin), 쉘락(Shellac),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 glycol), 트리아세틴(Triaceti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 껌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가 좋다.
본 고안의 껌에서, 제1평면부(200), 제2평면부(300) 및 제3평면부(400)는 적절한 함량의 캡사이신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사용된 캡사이신은 졸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어서, 운전자나 수험생에게 유용하다. 또한, 매운 성분이 지방을 분해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 나아가, 껌을 씹으면 턱관절을 움직일 때의 자극으로 대뇌피질로부터 β 엔도르핀이 많이 분비돼 긴장을 완화시켜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되는데, 추가된 캡사이신 역시 뇌신경을 자극해 엔도르핀을 분비시키게 하므로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캡사이신 성분은 신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혈류량을 증가시켜주어 소화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매운 성분이 입맛을 돋우어 준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제1평면부는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50~7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하고, 제2평면부는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20~4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며, 제3평면부는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1~2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제1평면부는 제1평면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캡사이신을 15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제2평면부는 제2평면부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캡사이신을 10 내지 14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고, 제3평면부는 제3평면부이 총 중량을 기준으로 캡사이신을 3 내지 9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사이신을 추가한 만큼, 이에 해당하는 껌 원료의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에서, 캡사이신 함유 껌은 4종의 껌 배합을 제조하고, 이를 하나의 시트로 압출한 다음, 적당한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배합물은 통상적인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들을 배합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껌베이스 5 ~ 82중량%, 당류 5 ~ 82중량% 등을 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배합물은 제1평면부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으로서, 통상적인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물, 예를 들어, 제1배합물에 15 내지 20 중량%의 캡사이신을 첨가하여 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배합물은 제2평면부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으로서, 통상적인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물, 예를 들어, 제1배합물에 10 내지 14 중량%의 캡사이신을 첨가하여 배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4배합물은 제3평면부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으로서, 통상적인 껌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합물, 예를 들어, 제1배합물에 3 내지 9 중량%의 캡사이신을 첨가하여 배합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껌베이스는 온도를 조정하고 소정시간 교반하여 가열용융한 상태로 둔다. 이때 온도는 통상 80℃ ~ 150℃, 바람직하게는 110℃ ~ 130℃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소정시간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통상 30분 ~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 3시간 범위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교반도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교반 날개를 갖는 믹서, 블랜더 등의 각종 교반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효율적으로 가열용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원료를 혼합하는 소정시간 및 혼합방법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혼합시의 가열온도는 통상 50℃ ~ 150℃, 바람직하게는 80℃ ~ 12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교반방법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교반날개를 갖는 믹서, 블랜더 등의 각종 교반장치를 사용하므로써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냉각 시간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통상 30분간 2일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 1일간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냉각방법도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냉장고, 냉각 컨베이어 등의 각종 냉각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껌은 압출기(extruder), 충진기, 카터(재단기), 몰드 등의 성형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4개의 배합물을 동시에 압출시키고 시트로 압연한 후, 통상적인 껌 제조과정처럼 절단 및 포장할 수 있다. 이때, 4개의 배합물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평면부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각 평면부가 인접하는 선을 직선인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배합물이 서로 혼합됨으로써 직선을 이루지 않을 수 있으며,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제조 과정에서, 절단 과정 전 또는 이후에 통상적인 껌 부분,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의 사이에 홈을 부여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칼이 장착된 장치를 사용하여 절단선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매운맛의 껌 제조
껌베이스 27 중량%, 설탕 60 중량%, 물엿 2.3 중량%, 포도당 9 중량%, 비타민 C 0.1 중량%, 구연산 0.07 중량% 및 솔비톨 0.01 중량%를 65℃로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고 혼합한 후, 향료로서 딸기향을 1.53 중량% 첨가하여 제1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1배합물 제조시 캡사이신을 제1배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8 중량%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시켜 제2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1배합물 제조시 캡사이신을 제1배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12 중량%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시켜 제3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제1배합물 제조시 캡사이신을 제1배합물의 총 중량에 대해 6 중량%의 비율로 추가로 포함시켜 제4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4종의 배합물을 4개의 토출구를 갖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압출하고, 이를 압연하여 본체-제3평면부-제2평면부-제1평면부를 갖는 시트를 생성하였다. 이후, 상기 각 배합물로부터 형성된 시트 간의 사이에 칼날을 이용하여 압착하여 절단선을 생성시켰다. 상기 생성된 시트를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본 고안의 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껌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껌에 대해 전문관능요원 20명에게 매운맛을 평가하게 하였다.
시료로서, (1) 본체-제3평면부-제2평면부-제1평면부를 갖는 껌; (2) 본체-제3평면부-제2평면부를 갖는 껌; (3) 본체-제3평면부를 갖는 껌; 및 (4) 본체만을 갖는 껌을 사용하여 매운맛의 강도를 5점(매우 맵다)부터 1점(전혀 맵지 않다)까지 평가하게 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매운맛 강도
본체-제3평면부-제2평면부-제1평면부를 갖는 껌 4.7
본체-제3평면부-제2평면부를 갖는 껌 3.6
본체-제3평면부를 갖는 껌 2.3
본체만을 갖는 껌 1.1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껌은 3개의 구획을 절단하여 취식함으로써 소비자가 매운맛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 본체 200: 제1평면부
300: 제2평면부 400: 제3평면부
500: 절단선

Claims (4)

  1.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순차적으로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는 순차적으로 높은 함량부터 낮은 함량으로 캡사이신을 함유하며, 상기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가 인접하는 부위에 절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2. 제1항에 있어서,
    제1평면부가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50~7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하고, 제2평면부가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20~4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며, 제3평면부가 전체 캡사이신의 함량 중 1~20 중량%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3. 제1항에 있어서,
    제1평면부, 제2평면부 및 제3평면부의 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운맛의 조절이 가능한 캡사이신 함유 껌이 졸음 예방, 스트레스 해소, 소화 기능 향상, 다이어트 효과 및 입맛을 돋우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KR2020130007215U 2013-08-28 2013-08-28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KR200470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15U KR200470125Y1 (ko) 2013-08-28 2013-08-28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15U KR200470125Y1 (ko) 2013-08-28 2013-08-28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125Y1 true KR200470125Y1 (ko) 2013-11-29

Family

ID=5074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15U KR200470125Y1 (ko) 2013-08-28 2013-08-28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1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87B1 (ko) 2014-12-30 2017-11-29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소스 및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73B1 (ko) 2011-09-23 2012-04-06 석민철 매운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473B1 (ko) 2011-09-23 2012-04-06 석민철 매운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087B1 (ko) 2014-12-30 2017-11-29 한국식품연구원 김치소스 및 김치소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3404B2 (ja) 粉末チョコレート
RU2463798C2 (ru)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с низким содержанием насыщенных и транс-изомерных ненасыщенных жиров,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жировой фазы для него
JP3555597B2 (ja) ソフトキャンディー
JP2007028951A (ja) 新規な菓子およびその製法
JPS639821B2 (ko)
Bent et al. The technology of cake making
EP3170399B1 (en) Baked confectionery that substantially includes no flour
JP2986379B2 (ja) 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法
KR200470125Y1 (ko) 매운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캡사이신 함유 껌
KR101415579B1 (ko) 츄러스 과자 제조방법
US20110288182A1 (en) Health characteristic dulce de leche confection compositions and flavored milk
KR20170037353A (ko) 초콜릿빵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초콜릿빵
EP2745701A1 (en) Filling sweet (varia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RU2602286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асты кондитерской
KR101453415B1 (ko) 대추 화이트 초콜릿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대추 화이트 초콜릿
RU2520647C1 (ru) Конфеты двухслойные с медом
RU2380946C1 (ru) Жевательная конфет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JP2004041016A (ja) ソフトキャン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7101336A4 (en) Nutritional paste
RU2537904C2 (ru) Шербет медовый
KR101133473B1 (ko) 매운껌
JP5225032B2 (ja) 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30460A (ja) ソフトキャンディの製造方法
TW201608989A (zh) 軟糖及其製造方法
WO2007116819A1 (ja) 蛋白含有油性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