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798A -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 Google Patents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798A
KR20160048798A KR1020167005410A KR20167005410A KR20160048798A KR 20160048798 A KR20160048798 A KR 20160048798A KR 1020167005410 A KR1020167005410 A KR 1020167005410A KR 20167005410 A KR20167005410 A KR 20167005410A KR 20160048798 A KR20160048798 A KR 2016004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itol
composition
caking agent
chewing gum
dr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454B1 (ko
Inventor
올리비에 오르티즈 드 자라트
조세 리
귈롬 리바도-뒤마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2016004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4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f the chewing gum b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비표면적 BET가 적어도 200 m2/g인 적어도 1 종의 케이킹 방지제를 조성물에 도입함으로써, 말티톨의 분말 조성물을 함유하는 추잉껌 조성물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렇게 얻어진 추잉껌의 경도는 증가되며,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어 당의 터빈에서 당의될 중심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또는 스틱 포장 속도를 개선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케이킹 방지제는 분말 말티톨 조성물과 유사한 방식으로 직접 첨가제로서 추잉껌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상기 분말 말티톨 조성물과 사전에 혼합된다. 후자의 변형에서, 본 발명은 또한 케이킹 방지제와 분말 말티톨 조성물의 혼합물로부터 생성되는 조합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USE OF AN ANTI-CAKING AGENT FOR IMPROVING THE HARDNESS OF CHEWING-GUM CONTAINING MALTITOL IN A POWDERY FORM}
본 발명은 추잉껑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특이적 기능을 지니는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증가는, 예를 들어 당의(sugar-coating) 팬에서 당의될 중심의 변형을 회피하거나 또는 스틱 포장 속도를 개선시키는 데 바람직하다. 케이킹 방지제는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직접 첨가제로서 추잉껌 내로 도입되거나 또는 이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과 사전에 혼합된다.
본 특허 출원 전체에 걸쳐, 표현 "분말 형태의 말티톨" 또는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은, 고체 함량이 조성물의 총 충량의 적어도 97%,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 매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티톨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나타내며(미세 분말 특징), 상기 고체는 말티톨(말티톨 조성물)의 85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초과, 매우 바람직하게는 91 중량% 초과로 표시된다.
풍선껌 형태이든 아니든 선택적으로 당의된, 당을 포함하여 또는 당 없이 제형화된 현재의 추잉껌 조성물은 적어도 1 종의 비수용성 껌 베이스, 분말 또는 액체 형태의 적어도 1 종의 당장제 및 적어도 1 종의 향미제를 함유한다. 추잉껌 조성물은 또한 총망라한 것은 아니지만 착색제, 유화제, 가소제, 고강도 감미료, 식품 윤활제, 약제학적 성분, 물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추잉껌 조성물이 당 없이 생산될 때, 추잉껌 조성물은 대부분 당장제로서 말티톨을 함유한다. 말티톨은 말토스의 수소화에 의해 산업적으로 얻어지는 폴리올이다. 이는 수크로스에 매우 근접한 감각수용성 특성을 유리하게 가지면서, 이러한 당보다 화학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열량이 더 적으며 혈당지수가 더 낮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매우 유리하다. 게다가, 말티톨은 카리에스(caries)를 야기하지 않는 특정 특성을 가진다.
여러 해 동안, 말티톨은 US 4 408 041에 처음 기재된 바와 같은 시럽 형태로 사용되었다. 사실, 분말 형태의 말티톨은 그것으로부터 생기는 심각한 취급상의 어려움(이송 및 포장풀기, 분쇄 및 재현탁 등)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이들 작업의 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침으로써 수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케이킹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문헌 FR 2 929 512에서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해결책에 의해서만 이것이 제한될 수 있었고, 심지어 이들 결점을 완전히 없앨 수 있었다. 이 해결책은 말티톨 분말과 조합하여, 우수한 물 흡수 능력을 지니고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입자 크기를 지니는 매우 드물게 수용성인 케이킹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존한다. 이 제제는 특히 건식 실리카, 알루미노규산나트륨, 무수 인산삼석회, 탈수 감자 전분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관습적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문헌["Chewing gum sans sucre
Figure pct00001
base de maltitol" [Sugar-free chewing gum based on maltitol] ( Maruyama T., Terasawa M., Takiguchi T., Shokuhin
Figure pct00002
, 1984, 27, no. 24, pp. 73-80)]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추잉껌 조성물은, 고온 조건 하에서, Z암(Z-arm) 믹서 내 다양한 구성성분을 일반적으로 45℃ 내지 80℃에서 유지한 재킷과 혼합함으로써 생산된다. 이어서, 생산물은 압출, 롤링, 절삭 및 냉각에 의해 성형된 다음, 포장되고, 소비될 때까지 그것이 보유되는 그것의 시판 장소로 수송된다. 그러므로 생산물의 제조 시와 그것의 소비 일 사이에는 며칠 또는 몇 주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조성물의 경도는 (당의 팬에서의 변형을 회피하기 위해 또는 스틱 포장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전체 저장 기간 내내 만큼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내내 최대한 높게 유지되어야 하는 중요한 특징이다.
경도는 있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기계적 특징으로서, 이는 관입계 또는 식품물성 시험기로서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동일한 명칭의 시험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실험 원칙은 샘플의 면이 팁 또는 볼과 같은 더 경질인 몸체에 의한 관통에 저항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추잉껌의 경우에, 이 경도는 소비 동안 인식되는 감각 특징, 즉 처음 씹을 때의 경도 및 구강 촉감에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처음 씹을 때의 과도한 경도는 불쾌하다. 양호한 구강 촉감은 너무 연성인 페이스트의 존재 하에서 인식되는 감각에 특히 모순된다.
일반적으로, 매우 가요성/연성인 씹기(chew)를 제공하는 껌 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요망되거나, 추잉껌 내로 다수의 액체 향미제를 도입하는 것이 요망되거나, 또는 그 밖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량의 액체상(예를 들어, 글리세롤 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는 Lycasin® 85/55 또는 Lycasin® 80/55 말티톨)을 도입하는 것이 추구된다면 추잉껌의 경도를 증가시키도록 추구될 것이다.
추잉껌 조성물의 경도를 조정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수단은 추잉껌 조성물에 함유된 글리세롤의 양 및/또는 액체 형태 및 분말 형태로 도입된 당장제의 비를 변화시키는 것이며; 이는 특히 WO 2011/109376에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특성에 의해, 이들 기법은 사용되는 생성물의 양에 있어서 조성물의 제형에 대한 상당한 변형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변형은 반드시 제조자(formulator)에 의해 요망되지는 않는다.
결과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의 양에 있어서 상당한 변형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실행이 단순하고, 최종적으로 시간에 따라 보유되는 상당히 개선된 경도를 지니는 제품을 초래하는, 분말 형태의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가질 큰 필요가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연구하여,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방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특히 추잉껌 조성물 내로 케이킹 방지제의 도입에 기반하며, 상기 제제는 추잉껌 조성물 내로 직접 첨가제로서(즉, 기타 다른 성분과 혼합됨) 도입되거나 또는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과 조합하여(즉, 분말 형태의 말티톨과 사전 혼합됨) 도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대상은 본 추잉껌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개선제로서, 분말 형태의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 조성물에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로 이루어진다.
용어 "케이킹 방지"는 분말 케이킹의 문제, 즉 상기 분말을 구성하는 개개 입자의 응집 형상을 회피/감소시키기 위한 화합물의 능력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현상은 특히 수분의 존재와 관련된다.
전적으로 예상치 못하게, 케이킹 방지제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 방법으로 생산되지만 케이킹 방지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의 경도에 비해 상당히 개선된 경도를 지니는 추잉껌을 초래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이 경도가 제조 시 45℃, 35℃ 및 20℃에서 경도를 측정함으로써 추잉껌을 제조하는 방법 동안 강화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경도의 이러한 수준이 50% 상대 습도 및 20℃에서, 15 일에 이를 수 있는 저장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으로 입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권장되는 케이킹 방지제 중에서, 비제한적으로 실리카, 바람직하게는 건식, 콜로이드, 침전 및 비정질 실리카, 산화규소, 규산알루미늄나트륨, 탈크,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인산삼석회, 탈수 감자 전분(바람직하게는 잔여 물이 12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6 중량%로 탈수된 감자 전분), 페로시안화나트륨, 페로시안화칼륨 및 헥사시아노망간산철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킹 방지제는 미분화, 건식, 콜로이드, 침전 및 비정질 실리카로부터 선택되고,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이며, 가장 바람직한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이다.
본 특허 출원을 설명하는 예는 BET 비표면적이 높은 케이킹 방지제를 갖는 모든 이점을 입증한다. 본 특허 출원의 나머지 전체에 걸쳐, 어구 "BET 비표면적이 높은 화합물"은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화합물"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 용도에서, 추잉껌 조성물은(이 때 백분율은 상기 추잉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주어진 것임),
- 4.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적어도 1 종의 껌 베이스,
- 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의 적어도 1 종의 향미제, 및
-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0.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의 적어도 1 종의 케이킹 방지제
를 함유한다.
사용되는 껌 베이스는 제조되는 추잉껌의 유형에 적합할 수 있다. 이는 합성 및/또는 천연 탄성중합체, 예컨대 폴리이소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라텍스, 수지, 예컨대 테르펜 수지, 폴리비닐 에스테르 및 알코올, 지방 물질 또는 왁스, 예컨대, 라놀린,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지방산, 글리세롤 부분적 에스테르, 파라핀 또는 미정질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미세 분말의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말티톨은 바람직하게 BET 비표면적이 0.1 m2/g 내지 10 m2/g이다.
이 용도와 관련하여, 추잉껌 조성물은 또한 상기 추잉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5 중량%의 양으로, 착색제, 고강도 감미료, 예컨대 아스파탐, 아세설팜-K, 알리탐, 네오탐, 수크랄로스, 사카린, 네오헤스페리딘 DC, 스테비오사이드, 브라제인, 약제학적 활성제, 무기염류, 식물 추출물, 항산화제, 소화되지 않는 섬유, 예를 들어 올리고당, 예컨대 프럭토-올리고당, 소화되지 않는 섬유, 예컨대 Matsutani사에 의해 시판되는 Fibersol™, 또는 그 밖에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는 NUTRIOSE™ FB, 유화제, 예컨대 레시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구성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제1 변형에서, 케이킹 방지제는 3 가지의 상기 언급한 화합물(껌 베이스, 향미제 및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및 선택적으로 상기 설명한 기타 다른 화합물과의 혼합물로서 추잉껌 조성물 내로 직접 도입된다.
제2 변형에서, 케이킹 방지제는 껌 베이스와 혼합하기 전에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향미제 및 선택적으로 이하에 추가로 설명하는 기타 다른 화합물과 사전 혼합됨으로써 도입된다. 이 경우에, 케이킹 방지제/미세 분말의 말티톨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분말을 혼합하기 위한 임의의 방법(특히, 배취 방식 또는 연속 방식)을 사용하여 사전에 혼합된다. 사용될 수 있는 배취 믹서의 방법으로서, 특히 Turbula, Lodige, Forberg 및 Gericke사에 의해 시판되는 믹서가 언급될 수 있으며; 연속 믹서에 관해서, Lodige, Forberg 및 Gericke사에 의해 시판되는 장치가 언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추잉껌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화합물의 혼합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이며, 상기 혼합물은 후속적으로 압출, 롤링, 절삭, 냉각되고, 이어서 포장 작업을 거치는데, 이는 완성된 추잉껌을 초래한다. 이 혼합 단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제2 변형에 따라 케이킹 방지제와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의 혼합 단계로부터 매우 분명하게 분리되는데, 이때 케이킹 방지제는 직접적 첨가제로서 사용되지 않지만, 추잉껌 조성물 내에 미세 분말의 말티톨에 의해 운반된다.
그러므로 추잉껌 조성물은 상기 언급한 화합물의 적어도 1 단계의 혼합으로부터 얻어진다:
- 제1 변형에서 껌,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향미제 및 케이킹 방지제,
- 제2 변형에서 껌, 사전에 첨가된 케이킹 방지제를 포함하는 미세 분말의 조성물, 및 향미제.
이 혼합 단계의 특징이 이제 언급될 것이다(이미 나타낸 바와 같은 단계는 케이킹 방지제 및 미세 분말의 말티톨의 혼합 단계와 별개임). 본 출원인은 45℃ 내지 8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자켓이 있는 Z-암 믹서에서 이 혼합을 수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바람직하게,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4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의 온도까지 사전에 껌 베이스를 가열할 것을 권장한다. 예로서, 그것을 마이크로파 오븐 또는 오븐에서 가열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화합물의 혼합은 또한 분말 또는 액체 형태로 당장제로서 다른 폴리올, 예를 들어 만니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에리트리톨, 락티톨, 이소말트 또는 수소화 글루코스 시럽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폴리올은 생산되는 추잉껌의 총 중량에 대해 최대 2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사용되는 껌 베이스는 제조되는 추잉껌의 유형에 적합할 수 있다. 이는 합성 및/또는 천연 탄성중합체, 예컨대 폴리이소프렌,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이소부틸렌, 라텍스, 수지, 예컨대 테르펜 수지, 폴리비닐 에스테르 및 알코올, 지방 물질 또는 왁스, 예를 들어 라놀린, 선택적으로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식물성 오일, 지방산, 글리세롤 부분적 에스테르, 파라핀 또는 미정질 왁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추잉껌 조성물의 제조에서, 상기 언급한 성분의 혼합 단계 후에 압출, 롤링, 절삭, 냉각, 이어서 포장 단계들이 이어지며, 이는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따라 수행된다. 이는 본 특허 출원을 설명하는 실험 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한 문헌["Chewing gum sans sucre a base de maltitol " [Sugar-free chewing gum based on maltitol]]을 참조할 수 있다. 결국, 추잉껌은 스틱, 볼, 당의 알약, 큐브 또는 그 밖의 정제와 같은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형태 중 하나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 케이킹 방지제의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2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건조 중량% 내지 5 건조 중량%을 함유하는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이며,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이고, 가장 바람직한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대상은(이 때 백분율은 하기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주어진 것임),
- 4.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및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적어도 1 종의 껌 베이스,
- 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의 적어도 1 종의 향미제
및 0.1 건조 중량% 내지 2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건조 중량% 내지 5 건조 중량%의 적어도 1 종의 케이킹 방지제(이 양은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 것임)를 함유하는 추잉껌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이다.
이 조성물에서, 가장 바람직한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이다.
다음의 실시예를 읽을 때 본 발명의 더 양호한 이해가 얻어질 것이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임의의 방법으로 제한할 수 없다.
실시예
실시예에서, 원통형 펀치(이것의 관통 속도는 50 mm/분임)를 구비한 식품물성 시험기(Instron) 상에서 경도를 측정한다. 경도는 관찰한 최대 힘에 대응하는 한편, 펀치는 샘플을 완전히 통과한다(직육면체: 30 x 17 x 5 mm).
본 특허 출원에서, BET 비표면적을 Beckman-Coulter SA3100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말티톨의 경우에, 상기 방법은 처음에 841 마이크론 내지 250 마이크론의 입자 크기 분획 대략 3 그램을 회수할 수 있게 하는 체를 거쳐서 충분한 양의 샘플을 체질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케이킹 방지제의 경우에, 이 체질 단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샘플을 사전에 건조시킨 측정 셀 내로 도입하고, 0.001 g 이내로 칭량하였고, 샘플은 셀 저장소의 3/4을 채우기에 충분하다. 이어서, 셀을 탈기 스테이션에 위치시킨다. 탈기를 수행하고 나서, 셀을 0.001 g 이내로 재칭량하고, 측정 스테이션에 위치시킨다. 상기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를 m2/g로 제공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분말 형태의 말티톨을 선택적으로 실리카와의 혼합물로 함유하는 다양한 추잉껌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조성물에 대해, 가열 조건 하에서 다양한 구성성분들을 혼합하는 단계 후에 제조 동안 이의 냉각 동안 경도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제1 유형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이의 구성성분 각각의 건조 중량(%로 표현됨)으로 구성된다:
- 껌 베이스 Suncom T: 35.00%
-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SweetPearl® P35 Roquette
Figure pct00003
): 61.00%
- 글리세롤: 0.50%
- 말티톨 시럽, Lycasin® 85/55: 2.50%
- 민트/바닐라향(액체): 1.00%.
다음의 프로토콜에 따라 추잉껌을 생산한다:
- 껌 베이스를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가열하고 나서, 믹서 내로 도입한다.
-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의 절반을 첨가하고 나서, 혼합을 3 분 동안 수행한다.
- 말티톨 시럽 Lycasin® 85/55를 첨가하고 나서, 혼합을 2 분 동안 수행한다.
-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의 두 번째 절반과 액체 향미제를 첨가하고 나서, 혼합을 3 분 동안 수행한다.
- 글리세롤을 첨가하고 나서, 혼합을 2 분 동안 수행한다.
- 액체 향미제를 첨가하고 나서, 혼합을 2 분 동안 수행한다.
- 생성물을 믹서로부터 방출시키고 나서, 성형하고, 5 mm의 두께로 롤링한다.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이 BET 비표면적이 높은 케이킹 방지 화합물 또는 케이킹 방지제를 함유할 때,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을 실온에서 두 구성성분의 혼합에 의해 사전에 생성하였다.
이 제형은 사용하는 소르비톨에 따라서, 그리고 비표면적이 높은 화합물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서 다양한 조성물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ixosil® 331은 BET 비표면적이 약 250 m2/g인 Rhodia 그룹에 의해 시판되는 미분화 실리카이다. 최종적으로, 표에서 나타내는 %는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해 사용되는 실리카의 건조 중량%에 대응한다.
완성한 제품의 경도에 대한 케이킹 방지제의 긍정적 영향은 추잉껌 조성물을 냉각시키는 공정 동안 말티톨 분말의 유형에 대해 명확하게 입증된다.
시험번호 Tixosil® 331 인산 삼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감자 전분 경도
45℃(N)
경도
35℃(N)
경도
20℃(N)
1 0 0 0 0 1.5 2.7 9.8
2 0.50% 0 0 0 1.7 2.8 10.6
3 0 0.50% 0 0 1.3 2.85 10
4 0 0 5% 0 1.8 3.45 10.5
5 0 0 0% 0.5% 1.3 2.85 10
6 2.50% 0 0 0 2.4 3.7 13.1
7 5.00% 0 0 0 3.2 5.2 16.9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 1 내지 7을 다시 취하고 나서, 그들의 경도를 실온에서 t=0 일, 1 일 및 15 일 시점에 시간 경과에 따라 모니터링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이하의 표 2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도의 강화가 시간에 따라 계속되고 경도의 이러한 수준이 50% 상대 습도 및 20℃에서, 15 일에 이를 수 있는 저장 기간에 걸쳐 유지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입증하였다.
시험 번호 Tixosil 331 인산 삼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감자 전분 경도
0 일(N)
경도
1 일(N)
경도
15 일 (N)
1 0 0 0 0 9.8 11.2 10.4
2 0.50% 0 0 0 10.6 14.6 11.8
3 0 0.50% 0 0 10 10.8 10
4 0 0 5% 0% 10.5 11.4 12.9
5 0 0 0% 0.5% 10 11.1 10.1
6 2.50% 0 0 0 13.1 17.9 16.9
7 5.00% 0 0 0 16.9 22.8 24.6

Claims (8)

  1. 추잉껌 조성물의 경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말 형태의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 조성물에서 케이킹 방지제(anti-caking agent)의 용도로서,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잉껌 조성물은(이 때 백분율은 상기 추잉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주어진 것임),
    - 4.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적어도 1 종의 껌 베이스,
    - 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의 적어도 1 종의 향미제, 및
    -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2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건조 중량% 내지 5 건조 중량%의 적어도 1 종의 케이킹 방지제
    를 함유하고,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상기 말티톨은 BET 비표면적이 0.1 m2/g 내지 10 m2/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5.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로서,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해 0.1 건조 중량% 내지 2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건조 중량% 내지 5 건조 중량%의 케이킹 방지제를 함유하며,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7. 추잉껌 조성물로서(이 때 백분율은 하기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주어진 것임),
    - 4.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95%,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적어도 1 종의 껌 베이스,
    - 1%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의 미세 분말의 말티톨 조성물,
    - 0.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의 적어도 1 종의 향미제,
    및 0.1 건조 중량% 내지 20 건조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건조 중량% 내지 5 건조 중량%의 적어도 1 종의 케이킹 방지제(이 양은 말티톨의 건조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으로 표현된 것임)를 함유하고,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BET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추잉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킹 방지제는 비표면적이 적어도 200 m2/g인 미분화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잉껌 조성물.
KR1020167005410A 2013-09-02 2014-09-02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KR102366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381A FR3009926B1 (fr) 2013-09-02 2013-09-02 Utilisation d'un agent anti mottant pour ameliorer la durete de chewing-gum contenant du maltitol sous forme pulverulente
FR1358381 2013-09-02
PCT/FR2014/052160 WO2015028763A1 (fr) 2013-09-02 2014-09-02 Utilisation d'un agent anti mottant pour ameliorer la durete de chewing-gum contenant du maltitol sous forme pulverul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98A true KR20160048798A (ko) 2016-05-04
KR102366454B1 KR102366454B1 (ko) 2022-02-25

Family

ID=4991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410A KR102366454B1 (ko) 2013-09-02 2014-09-02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60213023A1 (ko)
EP (1) EP3041364B1 (ko)
JP (1) JP6427577B2 (ko)
KR (1) KR102366454B1 (ko)
AU (1) AU2014313987B2 (ko)
CA (1) CA2922131C (ko)
ES (1) ES2841332T3 (ko)
FR (1) FR3009926B1 (ko)
MX (1) MX2016002724A (ko)
PL (1) PL3041364T3 (ko)
WO (1) WO2015028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7702A (zh) * 2016-02-17 2017-08-25 罗盖特公司 增强的风味释放口香糖组合物
MX2020006254A (es) * 2017-12-18 2020-09-07 Gaba Int Holding Gmbh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bucal.
JP7030728B2 (ja) 2019-01-23 2022-03-07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US11883511B2 (en) * 2019-12-12 2024-01-30 Gaba International Holding Gmbh Thickening silica as fluoride carrier for tailored delivery and slow rel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744B1 (en) * 2001-06-21 2002-07-09 Colgate Palmolive Company Tooth whitening chewing gum
US20050008747A1 (en) * 2003-07-11 2005-01-13 Barkalow David G. Method of forming a sugarless coating on chewing gum
JP2011518549A (ja) * 2008-04-08 2011-06-30 ロケット・フルーレ 高流動性および耐ケーキング性を有する粉末状結晶マルチトール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4498A (en) 1981-02-12 1982-08-19 Hayashibara Biochem Lab Inc Anhydrous crystalline maltitol and its preparation and use
US4976972A (en) * 1988-02-24 1990-12-11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with improved sweetness employing xylitol rolling compound
JP3089514B2 (ja) * 1992-08-06 2000-09-18 東和化成工業株式会社 噛み心地の改善された無糖チューインガム及びその製法
US5338809A (en) * 1993-01-19 1994-08-16 Nabisco, Inc. Chewing gum or confection containing flavorant adsorbed on silica
FR2715538B1 (fr) * 1994-02-01 1996-04-26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chewing-gum présentant une qualité organoleptique améliorée et procédé permettant de préparer un tel chewing-gum.
US6572900B1 (en) * 2000-06-09 2003-06-03 Wm. Wrigley, Jr. Company Method for making coated chewing gum products including a high-intensity sweetener
US9198448B2 (en) * 2005-02-07 2015-12-01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Stable tooth whitening gum with reactive ingredients
EP1865790A1 (en) * 2005-02-25 2007-12-19 Cadbury Adams USA LLC Edible compositions containing gelling silicates
US20070184149A1 (en) * 2005-12-16 2007-08-09 Barkalow David G Coated chewing gum
PL1983840T5 (pl) * 2006-02-15 2017-09-29 Wrigley W M Jun Co Niekrystalizujące syropy zawierające sorbitol i ich zastosowanie w gumie do żucia
CN105724719A (zh) 2010-03-01 2016-07-06 Wm.雷格利Jr.公司 无定形口香糖增量材料
US20130177668A1 (en) * 2010-09-07 2013-07-11 Cargill ,Incorporated Solidified sugar alcohol mix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6744B1 (en) * 2001-06-21 2002-07-09 Colgate Palmolive Company Tooth whitening chewing gum
US20050008747A1 (en) * 2003-07-11 2005-01-13 Barkalow David G. Method of forming a sugarless coating on chewing gum
JP2011518549A (ja) * 2008-04-08 2011-06-30 ロケット・フルーレ 高流動性および耐ケーキング性を有する粉末状結晶マルチトー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041364T3 (pl) 2021-04-19
CA2922131A1 (fr) 2015-03-05
ES2841332T3 (es) 2021-07-08
EP3041364B1 (fr) 2020-10-07
JP2016530885A (ja) 2016-10-06
EP3041364A1 (fr) 2016-07-13
AU2014313987B2 (en) 2018-08-16
MX2016002724A (es) 2016-09-21
US20160213023A1 (en) 2016-07-28
AU2014313987A1 (en) 2016-03-17
CA2922131C (fr) 2022-03-01
FR3009926B1 (fr) 2017-08-11
JP6427577B2 (ja) 2018-11-21
FR3009926A1 (fr) 2015-03-06
WO2015028763A1 (fr) 2015-03-05
KR102366454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9011B1 (en) Medical chewing gum
AU2003219129B2 (en) Chewing gum in powder form and a method of preparation
EP3277095B1 (en) Chewing gum composition comprising crystalline allulose particles
CN103732075A (zh) 烟草口香糖制剂
KR102366454B1 (ko) 분말 형태로 말티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의 경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케이킹 방지제의 용도
JP6578307B2 (ja) 菓子製品の新規組成物
US20090035227A1 (en) Confectionery products comprising a tooth-friendly sweetener
KR20090067100A (ko) 직접 압착을 위한 그래뉼화 말티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138774A (ko) 고형화된 당 알코올 혼합물
WO2009071148A1 (en) Confectionery products promoting dental health
JP2007289129A (ja) シュガーレスチューイングソフトキャンディおよびその製法
CN107920571A (zh) 长效清凉制剂
KR20160048799A (ko) 케이킹 방지제를 사용하여 경도가 개선된, 자일리톨을 함유하는 추잉껌을 생산하는 방법, 및 이렇게 얻은 추잉껌
KR101608545B1 (ko) 조대 입자 크기를 가진 결정화 말티톨 분말, 그 제조 방법 및, 특히 초콜릿에서의 그 용도
US2015031325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hewing gum with improved hardness by implementing an anti-caking agent and chewing gum thereby obtained
JP6166346B2 (ja) チューインガムコア材料の表面に塗布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圧延化合物粉末
JP5206639B2 (ja) 水感を有するハードキャンディ
JP2011102279A (ja) 口腔用組成物
EP3416496B1 (en) Enhanced flavor release chewing gum composition
EP2931056A1 (en) Process for reducing the stickiness of a chewing gum core composition to a surface of a processing machinery using isoma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