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961A - 지엽류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961A
KR20100130961A KR1020100052207A KR20100052207A KR20100130961A KR 20100130961 A KR20100130961 A KR 20100130961A KR 1020100052207 A KR1020100052207 A KR 1020100052207A KR 20100052207 A KR20100052207 A KR 20100052207A KR 20100130961 A KR20100130961 A KR 20100130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ressure chamber
air
opening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6160B1 (ko
Inventor
도루 도도리끼
유스께 미쯔야
요시히꼬 나루오까
유끼오 아사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13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65H3/124Suction bands or belts
    • B65H3/128Suction bands or belt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40Fluid power drive; Fluid supply elements
    • B65H2406/41Valves
    • B65H2406/412Rotar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6Envelopes and articles of 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지엽류(복수)를 순서대로 취출 위치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급 기구가 설치된다.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는 취출 벨트는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한다. 부압 챔버의 개구부는 상기 취출 벨트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장치는 상기 개구부 및 흡착 구멍(복수)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흡인에 의해,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이 작용되어,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이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에 흡착된다. 이 흡인 장치는 상기 부압 챔버 내에 공기를 송입하기 위한 송기구를 갖는다. 이 송기구는 송기구를 통하여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지엽류 취출 장치{PAPER SHEET TAKEOUT DEVICE}
본 출원은, 2009년 6월 4일에 출원한 선행하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35255호에 의한 우선권의 이익에 기초를 두고, 또한 그 이익을 추구하고 있고, 그 내용 전체가 인용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복수형)는, 전반적으로,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순차 집적 방향의 취출 위치로 이동시켜 흡착하여 반송로 상으로 취출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엽류 취출 장치는 우편물, 지폐, ID 카드와 같은 다양한 지엽류의 처리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09229호 공보에는, 흡착 벨트, 부압 챔버 및 블로어를 구비한 지엽류 취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흡착 벨트는 취출 위치의 지엽류를 따라 주행한다. 부압 챔버는 흡착 벨트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블로어는 부압 챔버를 진공화한다. 흡착 벨트에는, 길이 방향의 일부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부압 챔버에는 흡착 벨트의 이면에 대향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엽류를 취출하기 위해, 블로어에 의해 부압 챔버가 진공화되어, 부압 챔버의 개구부 및 흡착 벨트의 복수의 구멍을 통하여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진공화에 의해, 취출 위치로 이동한 지엽류에 부압을 작용시켜 지엽류를 흡착 벨트에 흡착한다. 이 상태에서, 흡착 벨트를 주행시켜 흡착한 지엽류를 반송로 상에 취출한다.
또한, 취출한 지엽류가 반송로의 하류측의 반송부에 전달된다. 이 전달이 완료되면, 부압 챔버와 블로어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의 도중에 설치한 전자기 밸브를 폐쇄하여 부압 챔버를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고, 지엽류의 흡착 동작을 종료한다.
이러한 지엽류 취출 장치는 복수매의 지엽류를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급 기구, 취출 벨트, 부압 챔버, 및 송기구를 갖는 흡인 장치를 구비한 지엽류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공급 기구는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한다. 취출 벨트는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한다. 부압 챔버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장치는 이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흡인에 의해,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이 작용되어,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이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된다. 이 흡인 장치는 송기구를 통해 상기 부압 챔버 내에 공기를 송입하여 상기 부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킨다. 이 송기구는 송기구를 통하여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급 기구, 취출 벨트, 부압 챔버, 및 흡기구 및 송기구를 갖는 흡인 장치를 구비한 지엽류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공급 기구는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한다. 취출 벨트는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한다. 부압 챔버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장치는 흡기구를 통하여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흡인에 의해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이 작용되어,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이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된다.
이 흡인 장치의 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흡인 장치는 송기구를 통하여 상기 부압 챔버 내에 공기를 송입하여 상기 부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킨다. 상기 송기구는 송기구를 통하여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 및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급 기구, 취출 벨트, 부압 챔버, 및 흡기구를 갖는 흡인 장치를 구비한 지엽류 취출 장치가 제공된다. 공급 기구는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한다. 취출 벨트는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한다. 부압 챔버는 개구부를 갖는다. 이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흡인 장치는 흡기구를 통하여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흡인에 의해,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이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된다. 이 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취출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취출 장치에 조립된 취출 벨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취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취출 장치에 조립된 밸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밸브 장치를 화살표 V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6은 도 4의 밸브 장치에 조립된 차폐판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도 1의 취출 장치에 조립된 부압 챔버에의 흡기관 및 송기관의 접속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부압 챔버에 대한 우편물의 경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은 비교예에 있어서의 부압 챔버에의 흡기관 및 송기관의 접속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에, 실시 형태(복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취출 장치(이하, 단순히,「취출 장치」라 칭함)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취출 장치를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이 취출 장치에 조립된 취출 벨트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취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계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출 장치(1)는 취출 벨트(2), 공급 기구(3), 직육면체 형상의 부압 챔버(4), 흡인 챔버(5), 분리 블록(6), 반송 기구(7), 센서(8), 및 도 3에 도시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이 취출 장치(1)는 우편물, 지폐, ID 카드와 같은 다양한 지엽류의 처리 장치로서 적용 가능하다. 이후에는, 지엽류로서, 예를 들어 크기가 다른 복수통의 우편물(M)을 취급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취출 벨트(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흡착 구멍(2a)을 갖는 무단 형상의 벨트이며, 복수의 풀리(11)에 감겨 걸쳐져 있다. 복수의 흡착 구멍(2a)은 벨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취출 벨트(2)는 모터(12)의 회전축에 설치된 풀리(12a)에도 걸려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취출 위치(S)를 따라 도시 화살표 R 방향으로 무단 주행한다.
모터(1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속해서 일정 속도로 회전하지만, 우편물(M)의 취출 간격에 맞추어 간헐적으로 회전해도 된다.
취출 벨트(2)의 복수의 흡착 구멍(2a)은 취출 벨트(2)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취출 위치(S)를 통과한다.
부압 챔버(4)가 부압으로 되었을 때,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이 취출 벨트(2)에 흡착된다. 부압 챔버(4)가 대기압으로 복귀되면,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에 대한 흡착력이 없어져, 우편물(M1)은 취출되지 않게 된다.
공급 기구(3)는 집적 상태에서 세운 자세로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M)을 그 집적 방향 일단부측(도시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집적 방향 일단부에 있는 우편물(M1)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S)로 이동시킨다.
공급 기구(3)는 복수통의 우편물(M)을 순차적으로 취출 벨트(2)에 공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취출 위치(S)에 공급된 다음에 취출 예정인 우편물(M)을,「우편물(M1)」이라 한다.
공급 기구(3)는 2개의 플로어 벨트(3a, 3b), 백업 플레이트(3c) 및 고정된 사이드 플레이트(3d)를 갖는다.
플로어 벨트(3a, 3b)는 세운 자세로 투입된 복수통의 우편물(M)의 하단부변을, 그것들과 접촉한 상태에서 적재한다. 플로어 벨트(3a, 3b)는 복수통의 우편물(M)의 하단부변을 화살표 F 방향으로 보낸다. 백업 플레이트(3c)의 일단부는 사이드 플레이트(3d)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백업 플레이트(3c)는 사이드 플레이트(3d)에 접촉한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3c)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우편물(M)(복수)을 취출 위치(S) 방향으로 가압한다. 복수의 우편물(M)의 단부변은 사이드 플레이트(3d)에 접촉함으로써 정렬시킬 수 있다.
플로어 벨트(3a, 3b)는, 도 3에 도시하는 모터(13)에 의해 구동되고, 이 구동에 의해 플로어 벨트(3a, 3b)에 접촉한 복수통의 우편물(M)의 하단부변이 도시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된다. 백업 플레이트(3c)도 플로어 벨트(3b) 및 우편물(M)(복수)의 이동과 함께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되고, 집적 방향 타단부의 우편물에 접촉하여 이 우편물을 화살표 F 방향으로 가압한다. 공급 기구(3)는 모터(13)에 의해 구동되고,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이 취출될 때마다 동작된다.
부압 챔버(4)는 취출 위치(S), 즉 위치를 나타내는 면을 따라 주행하는 취출 벨트(2)의 이면측(내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부압 챔버(4)는 취출 벨트(2)를 사이에 두고 취출 위치(S)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부압 챔버(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한 취출 벨트(2)의 이면에 대향하는 개구부(4a, 4b)를 갖고, 도 1, 도 7에 도시한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을 통하여 흡인 장치인 도 1에 도시하 펌프(16)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은 부압 챔버(4)에 형성한 흡기구(141) 및 송기구(151)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흡기관(14)과 송기관(15)의 도중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밸브 장치(17)가 설치되어 있다.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의 부압 챔버(4)에 대한 최적의 설치 위치나 방향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흡기관(14)과 송기관(15)이 단순히 나열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1의 반송 기구(7)는 우편물(M)의 취출 방향 T를 따라 분리 블록(6)의 더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기구(7)에는 취출 위치(S)의 라인의 하류측에 반송로(9)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기구(7)는 반송로(9)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촉하도록 걸쳐진 무단 형상의 2개의 반송 벨트(7a, 7b)를 갖는다. 2개의 반송 벨트(7a, 7b)는, 도 3의 모터(7c)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한다. 반송로(9) 상에 취출된 우편물(M)은 2개의 반송 벨트(7a, 7b)의 사이에서 협지되어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도 1에 있어서, 취출 벨트(2)에 우편물(M1)을 흡착시키기 위해, 펌프(16)로 부압 챔버(4)를 진공화한다. 또한, 밸브 장치(17)에 의해 흡기관(14)을 개방하고, 도 7의 부압 챔버(4)의 개구부(4a, 4b) 및 도 2의 취출 벨트(2)의 복수의 흡착 구멍(2a)을 통하여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한다. 이 흡인에 의해, 취출 벨트(2)의 취출 위치(S)의 면에 대향한 벨트(2)의 흡착면측에 부압이 발생하고,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이 취출 벨트(2)의 흡착면에 흡착된다. 흡착된 우편물(M1)은 취출 벨트(2)의 주행에 의해 화살표 T 방향으로 취출된다.
취출 벨트(2)에 의한 우편물(M1)의 흡착을 멈추기 위해서는, 밸브 장치(17)에 의해 흡기관(14)을 폐쇄함과 함께 송기관(15)을 개방하여, 펌프(16)에 의한 배기를 부압 챔버(4) 내에 강제적으로 송입한다. 이에 의해,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이 빠르게 대기압으로 복귀되어, 취출 벨트(2)의 흡착면측에 발생하고 있던 부압이 해소된다. 부압의 해소는 센서(8)로 우편물(M1)의 선단 통과를 검지하였을 때 우편물(M1)이 반송 기구(7)에 전달된 것이라고 판단하여, 행해진다.
흡인 챔버(5)는 우편물(M)의 취출 위치(S)의 면을 따라 부압 챔버(4)의 상류측에서 또한 취출 벨트(2)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 챔버(5)도 취출 위치(S)의 면을 사이에 두고 우편물(M1)에 대향하는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흡인 챔버(5)에는, 흡기관(18)을 통하여 블로어(19)가 접속되어 있다. 블로어(19)가 동작되면, 흡인 챔버(5)의 개구부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취출 위치(S)에 공기류가 발생한다. 이 공기류는 다음에 흡착하는 우편물(M1)을 취출 위치(S)에 빠르게 흡인하도록 기능한다.
분리 블록(6)은 취출 방향 T를 따라 취출 위치(S)의 면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분리 블록(6)에는 취출 위치(S)로부터 취출되는 우편물(M1)에 겹친 상태로 인출되어 버린 2통째 이후의 우편물[이후, 이와 같은 우편물을「중복 이송 우편물(Mw)」이라 칭함]의 취출 방향 선단이 닿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중복 이송 우편물(Mw)이 우편물(M1)과 함께 취출되어 버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송 기구(7)에 의한 우편물(M)의 반송 속도, 즉 2개의 반송 벨트(7a, 7b)의 주행 속도는 취출 벨트(2)에 의한 우편물(M)의 취출 속도보다 약간 빠른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편물(M)의 선단이 2개의 반송 벨트(7a, 7b)의 닙(nip)(7c)에 돌입한 직후에, 우편물(M)이 인발되게 된다. 이때, 취출 벨트(2)에 의한 우편물(M)에 대한 흡착력도 반송 기구(7)에 의한 우편물(M)의 구속력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센서(8)는 반송로(9)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 발광부(8a) 및 수광부(8b)를 갖는다. 발광부(8a) 및 수광부(8b)는 양자간의 광로가 반송 기구(7)의 닙(7c) 부근을 지나도록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센서(8)는 반송로(9) 상에 취출된 우편물(M)에 의해 광로가 차단됨으로써, 우편물(M)의 선단의 통과를 검지한다. 도 3에 도시한 제어부(10)는 수광부(8b)의 출력, 즉,「명(明)」또는「암(暗)」을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밸브 장치(17)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 상기 구조의 취출 장치(1)에 의해 복수통의 우편물(M)을 반송로(9) 상에 1통씩 취출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통의 우편물(M)은 플로어 벨트(3a, 3b) 상에 세워진 자세로 투입되고, 플로어 벨트(3a, 3b)가 도 3의 모터(13)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집적 방향 단부의 우편물(M1)이 취출 위치(S)에 공급된다. 공급 기구(3)는 단부의 우편물(M1)이 취출 위치(S)로부터 취출될 때마다 나머지 복수통의 우편물을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의 제어부(10)는 도 3의 모터(12)에 의해 도 1의 취출 벨트(2)를 주행시켜,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을 반송로(9) 상에 취출한다. 이때, 부압 챔버(4)는, 펌프(16)에 의해 진공화되어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압력에 의해 취출 벨트(2)의 표면에 부압이 발생된다. 이 부압에 의해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이 취출 벨트(2)에 흡착되어 취출된다.
취출 위치(S)에 가장 가까운 우편물(M1)에는, 흡인 챔버(5)에 의해 취출 위치(S)에 발생하는 공기류가 항상 작용된다. 그 결과, 흡인 챔버(5)에 의해 집적 방향 일단부의 우편물(M1)이 빠르게 취출 위치(S)에 끌어 당겨져 취출 벨트(2)에 흡착된다.
취출 위치(S)로부터 취출된 우편물은 반송 벨트(7a, 7b)의 닙(7c)에 돌입하고, 그 취출 방향의 선단이 닙(7c)에 의해 협지되어, 다시 하류로 반송된다. 취출된 우편물(M)이 닙(7c)에 도달한 것은, 센서(8)의 출력이 명으로부터 암으로 된 것을 기초로 검지된다.
취출 위치(S)로부터 취출된 우편물(M1)에 겹친 상태에서 중복 이송 우편물(Mw)이 인출된 경우, 중복 이송 우편물(Mw)은 분리 블록(6)에 의해 분리된다.
취출 위치(S)로부터 취출된 우편물(M1)이 반송 기구(7)에 전달되면, 도 3의 제어부(10)는, 도 1의 밸브 장치(17)를 전환하여, 펌프(16)의 배기를 부압 챔버(4) 내로 송입한다. 이 배기에 의해, 부압 챔버(4) 내의 기압이 순식간에 대기압으로 복귀되고, 취출 벨트(2) 표면의 부압이 해소되어, 우편물(M1)의 흡착이 해제된다.
도 4는 상술한 밸브 장치(17)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밸브 장치(17)를 화살표 V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밸브 장치(17)에 조립된 차폐판(25)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밸브 장치(17)에는, 상류측 흡기관(14a), 하류측 흡기관(14b), 상류측 송기관(15a), 및 하류측 송기관(15b)이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흡기관(14a, 14b)은 도 1의 흡기관(14)을 구성하고, 다른 2개의 송기관(15a, 15b)은 도 1의 송기관(15)을 구성한다. 밸브 장치(17)는 이들 흡기관(14)과 송기관(15)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밸브 장치(17)는 대략 직사각형의 제1 블록(21), 이 제1 블록에 대향한 제2 블록(23), 이들 제1 및 제2 블록(21, 23) 사이에 형성된 간극(S)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대략 원형의 차폐판(25), 및 이 차폐판(25)을 회전시키는 모터(27)를 갖는다.
모터(27)의 회전축(27a)에는 커플링(28)을 통하여 차폐판(25)의 구동축(29)이 동축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축(29)은 제1 블록(21)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또한 복수의 베어링(26)을 통하여 제1 블록(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폐판(25)은 나사(29a)를 사용하여 구동축(29)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차폐판(25)의 구동축(29)에는 기준 위상 검출판(31)이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30)에는 검출 센서(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 위상 검출판(31)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절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 센서(32)는 기준 위상 검출판(31)의 절결부를 회전 도중에 검출한다. 베이스(30)에는, 이 밖에 상술한 제1 블록(21)이 고정되어 있음과 함께, 상술한 모터(27)가 브래킷(33)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기준 위상 검출판(31)의 복수의 절결부는, 도 6에 도시하는 차폐판(25)에 형성한 6개의 연통 구멍(25a) 및 6개의 연통 구멍(25b)의 위치에 대응하고, 또한 각각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기준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제어부(10)가 도 4의 검출 센서(32)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모터(27)를 회전 및 정지시켜, 차폐판(25)을 원하는 위상에 배치한다.
하류측 흡기관(14b)과 상류측 송기관(15a)은 각각 배관 조인트(22e)를 통하여 제1 블록(21)의 모터(27)측으로부터 접속된다. 상류측 흡기관(14a)과 하류측 송기관(15b)은 각각 배관 조인트(22e)를 통하여 제2 블록(23)의 모터(27)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류측 흡기관(14a)과 하류측 흡기관(14b)이 대략 동축의 위치 관계에서 대향하고, 상류측 송기관(15a)과 하류측 송기관(15b)이 대략 동축의 위치 관계에서 대향하도록, 4개의 배관(14a, 14b, 15a, 15b)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블록(23)은 복수의 볼트(34)에 의해 제1 블록(21)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블록(21)은 제2 블록(23)에 대향한 대향면(21a)을 갖고, 제2 블록(23)은 제1 블록(21)에 대향한 대향면(23a)을 갖는다. 이들 대향면(21a, 23a)은 상술한 차폐판(25)보다 한 단계 큰 원형으로 형성되고, 서로 평행하게 대향한다.
제1 블록(21)의 대향면(21a)에는 차폐판(25)과 대략 동일 직경의 실드 부재(35)가 부착되어 있고, 제2 블록(23)의 대향면(23a)에도 차폐판(25)과 거의 동일 직경의 실드 부재(36)가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간극(S)에 있어서, 차폐판(25)이 실드 부재(35, 36) 사이에 끼워지도록, 또한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차폐판(25)은 이 간극(S) 내에서 회전한다.
제1 블록(21)에는, 일단부를 하류측 흡기관(14b)에 연통한 긴 구멍(37a), 및 일단부를 상류측 송기관(15a)에 연통한 긴 구멍(37b)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긴 구멍(37a, 37b)은 각각 실드 부재(35)를 관통하고, 그 타단부가 간극(S)에 노출되어 있다.
제2 블록(23)에도, 일단부를 상류측 흡기관(14a)에 연통한 긴 구멍(37c), 및 일단부를 하류측 송기관(15b)에 연통한 긴 구멍(37d)이 형성되어 있다. 각 긴 구멍(37c, 37d)은 각각 실드 부재(36)를 관통하고, 그 타단부가 간극(S)에 노출되어 있다. 긴 구멍(37a)과 긴 구멍(37c)이 대략 동축에 대향하고, 긴 구멍(37b)과 긴 구멍(37d)이 대략 동축에 대향하고 있다.
긴 구멍(37a, 37b)은 긴 구멍(37b)과 긴 구멍(37d)보다도 구동축(29)에 가까운 내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실드 부재(35, 36)의 대향면(35a, 36a) 사이의 거리는, 차폐판(25)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지만, 긴 구멍(37a 내지 37d)의 타단부가 노출된 부분에서는, 보다 근접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긴 구멍(37a 내지 37d)의 타단부가 차폐판(25)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간극(S)으로부터 누설되는 공기를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각 실드 부재(35, 36)에 있어서의 각 긴 구멍의 타단부의 주연부가 간극(S)을 향하여 약간 원환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간극(S)으로부터 누설되는 공기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지만, 차폐판(25)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 차폐판(25)과 2개의 실드 부재(35, 36)는 밀착해서는 안 된다. 밸브 장치(17)는 공기가 빠지지 않도록 유로를 밀폐시킬 필요는 없고, 공기가 다소 누설되어도 동작상 문제는 없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판(25)의 모든 연통 구멍(25a, 25b)이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통 구멍(25a, 25b)의 형상은 원형에 제한하지 않지만, 흡기관(14)이나 송기관(15)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가능한 한 작게 하기 위해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차폐판(25)에 있어서, 차폐판(25)의 중심에 가까운 비교적 작은 원주 상에 연통 구멍(25a)이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비교적 큰 원주 상에 연통 구멍(25b)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의 연통 구멍(25a)과 외측의 연통 구멍(25b)이 같은 반경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30°씩 어긋나게 되어 있다.
내측의 6개의 연통 구멍(25a)은 각각 차폐판(25)의 회전 도중에, 제1 블록(21)의 긴 구멍(37a) 및 제2 블록(23)의 긴 구멍(37c)에 겹쳐, 상류측 흡기관(14a)과 하류측 흡기관(14b)을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의 연통 구멍(25b)은 각각 차폐판(25)의 회전 도중에 제2 블록(21)의 긴 구멍(37b) 및 제2 블록(23)의 긴 구멍(37d)에 겹쳐 상류측 송기관(15a)과 하류측 송기관(15b)을 연통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도 4의 모터(27)를 구동시켜, 내측의 연통 구멍(25a)의 1개가 내측의 긴 구멍(37a, 37c)에 겹치는 위치까지 차폐판(25)을 회전시켜 정지시키면, 긴 구멍(37b, 37d)이 차폐판(25)에 의해 폐색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도 1의 흡기관(14)이 개방으로 되고, 송기관(15)이 폐쇄로 된다.
흡기관(14)을 개방한 상태로부터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차폐판(25)을 30° 회전시켜, 차폐판(25)을 외측의 연통 구멍(25b)의 1개가 외측의 긴 구멍(37b, 37d)에 겹치는 위치에서 정지시키면, 내측의 긴 구멍(37a, 37c)이 차폐판(25)에 의해 폐색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도 1의 흡기관(14)이 폐쇄로 되고, 송기관(15)이 개방으로 된다.
상술한 개폐 상태는 차폐판(25)을 30°회전시킬 때마다 나타나고, 차폐판(25)의 1회전 중에 6회 흡기관(14)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차폐판(25)의 1회전 중에 6회 송기관(15)을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밸브 장치(17)는 차폐판(25)을 30°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의 개폐를 교대로 반복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밸브 장치(17)를 사용함으로써, 도 1의 부압 챔버(4)로부터 다량의 공기를 일제히 흡인할 수 있음과 함께, 부압 챔버(4)에 다량의 공기를 일제히 송입할 수 있고, 우편물(M)의 흡착 및 흡착 해제를 원하는 타이밍에 순식간에 전환할 수 있다. 밸브 장치(17)는 모터(27)를 30°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흡기/송기를 전환할 수 있고, 밸브 장치(17) 자체의 응답 속도도 고속이다. 이로 인해, 취출 장치(1)는 복수통의 우편물(M)을 반송로(9) 상에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우편물(M)을 고속으로 취출하기 위해, 부압 챔버(4) 내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 컨트롤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미 설명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 바와 같이, 부압 챔버(4)에 대한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방향)가 설정되어 있다. 송기관(15)은 부압 챔버(4)의 하부의 송기구(151)에 설치되어 대략 중력 방향으로 연장되고, 개구부(4a, 4b)를 향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흡기관(14)은 부압 챔버(4)에 있어서의 취출 벨트(2)측과는 반대측에 있는 배면의 상부의 흡기구(141)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 및 방향으로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을 설치함으로써, 우편물(M)을 취출 벨트(2)에 흡착시킬 때에, 취출 벨트(2)의 흡착면측에 부압을 보다 순식간에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흡착을 해제할 때에는,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을 보다 빠르게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낸 비교예에서는, 부압 챔버(40) 내에 공기를 송입하는 송기관(150)의 송기구(1510)를 부압 챔버(40)의 개구부(40a 또는 40b)를 향하고 있다. 펌프로부터 부압 챔버(40) 내로 송입된 공기가 직접 개구부(40a)를 통하여 배출되어 버린다. 이 경우, 부압 챔버(40) 내의 압력을 대기압에 근접시키기 위한 공기가 누설되어 버린다. 따라서, 개구부(40a)로부터 누설된 공기만큼 부압 챔버(40)를 대기압으로 복귀시키는 시간이 길어져, 부압을 해소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도 1의 공급 기구(3)에 의해 취출 위치(S)에 공급되는 우편물(M1)은, 통상,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쓰러진 상태에서 공급된다. 우편물(M)은 플로어 벨트(3a, 3b)에 의해 하단부를 취출 위치(S)를 향해 보내진다. 우편물(M)의 집적 방향의 타단부의 우편물은 백업 플레이트(3c)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우편물(M)의 하단부측이 선행하여 취출 위치(S)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140)을 부압 챔버(40)의 하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한 경우, 하방의 개구부(40b)로부터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있는 반면, 상방의 개구부(40a)로부터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인할 수 없으므로, 쓰러진 우편물(M1)을 다시 세워 취출 벨트(2)에 흡착시키기 위해서는 불리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송기관(15)을 통하여 부압 챔버(4) 내에 송입된 공기가 직접 개구부(4a, 4b)로부터 배출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공기를 불필요하게 배출하는 일이 없어, 부압 챔버(4)를 효과적으로 또한 순식간에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송기관(15)을 통하여 부압 챔버(4) 내에 송입된 공기가 그 단면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확산되지 않고 흐르는 것이라고 가정한 경우, 그 공기가 확산되지 않는 가상의 곧은 유로가 개구부(4a, 4b)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 및 각도가 되도록, 송기관(15)을 부압 챔버(4)에 접속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송기관(15)의 내벽을 그대로 곧게 부압 챔버(4) 내로 연장시켜 얻어지는 가상의 통 형상체 혹은 연장 부분이 개구부(4a, 4b)와 교차하지 않는 위치 및 각도로 송기관(15)을 부압 챔버(4)에 접속하면 된다.
특히, 감압된 상태의 부압 챔버(4)를 단시간에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상술한 송기관(15)의 접속 조건을 충족시킨 후에, 부압 챔버(4)의 중심을 향해서 공기를 송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송기관(15)을 그 중심의 연장선이 부압 챔버(4)의 중심을 지나는 위치 및 방향으로 부압 챔버(4)에 설치하고 있다. 부압 챔버(4)의 중심을 향하여 공기를 송입함으로써, 부압 챔버(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공기를 확산하여 부압 챔버(4)를 효과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단시간에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흡기관(14)을 통하여 부압 챔버(4)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기구(141)가 부압 챔버(4)의 상방의 개구부(4a)에 마주보는 위치 및 각도(방향)가 되도록, 흡기관(14)을 부압 챔버(4)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접속함으로써, 개구부(4a) 부근의 공기를 우선하여 흡인할 수 있고,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이 충분히 감압되기 전에, 취출 벨트(2)의 흡착면측에 충분한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우편물(M1)을 취출 벨트(2)에 흡착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흡기관(14)을 통하여 흡인하는 공기가 흡기관(14)의 내측 단면을 투영한 가상의 유로를 흐르는 것이라고 가정한 경우, 그 가상의 곧은 유로가 개구부(4a) 또는 개구부(4b)와 교차하는 위치 및 각도가 되도록 흡기관(14)을 부압 챔버(4)에 접속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흡기관(14)의 내벽을 그대로 곧게 부압 챔버(4) 내로 연장한 가상의 통 형상체가 개구부(4a, 4b)와 교차하는 위치 및 각도가 되도록, 흡기관(14)을 부압 챔버(4)에 접속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상의 통 형상체(가상의 유로)가 부압 챔버(4)의 상방의 개구부(4a)의 중심을 지나도록, 흡기관(14)을 부압 챔버(4)의 배면에 대략 수직의 방향으로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개구부(4a)를 통해 취출 벨트(2)의 흡착면측에 부압을 순식간에 생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있어서, 취출 위치(S)의 우편물(M1)을 보다 빠른 타이밍에서 취출 벨트(2)에 흡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14)을 부압 챔버(4)의 상방의 개구부(4a)에 대향하도록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쓰러진 상태의 취출 위치 우편물(M1)을 충분히 다시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우편물(M1)의 상부를 취출 벨트(2)에 확실하게 흡착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취출 장치(1)에 따르면, 우편물(M)의 흡착 및 흡착 해제를 보다 고속으로 할 수 있고, 복수통의 우편물(M)을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하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취출 장치(1)에 조립되는 부압 챔버에의 흡기관 및 송기관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기관(15)은 부압 챔버(4)의 측면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경사진 자세로 접속되어 있다. 송기구(151)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부압 챔버(4)의 중심을 향하고 있다. 이 송기구(151)를 통하여 부압 챔버(4) 내에 송입되는 상술한 곧은 가상의 유로는 개구부(4a, 4b)와 교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우편물(M)의 흡착을 해제할 때에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을 순식간에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복수통의 우편물(M)을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부압 챔버에의 흡기관 및 송기관의 접속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하에,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취출 장치(1)에 조립되는 부압 챔버에의 흡기관 및 송기관의 접속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 도시한 바와 같이, 송기관(15)은 부압 챔버(4)의 배면에 대략 수직인 자세로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접속되고, 송기구(151)는 부압 챔버(4)의 개구부(4a, 4b)에는 대향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이 송기구(151)를 통하여 부압 챔버(4) 내에 송입되는 공기의 상술한 곧은 가상의 유로는 부압 챔버(4)가 취출 위치(S)에 대향하는 전방면과 교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우편물(M)의 흡착을 해제할 때에 부압 챔버(4) 내의 압력을 순식간에 대기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복수통의 우편물(M)을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복수)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압 챔버(4)에 대한 흡기관(14) 및 송기관(15)의 접속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부압 챔버(4)는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부압 챔버(4)를 구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 송기관(15)의 송기구(151)는 반드시 중심을 마주보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적어도 개구부(4a, 4b)에 대향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복수)에서는 부압 챔버(4)를 진공화하는 흡인 장치로서 펌프(16)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흡인 장치로서 블로어와 같은 기기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복수)에서는, 흡기관(14)이나 송기관(15)을 부압 챔버(4)의 벽면에 형성한 흡기구(141) 및 송기구(151)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흡기관(14)이나 송기관(15)의 단부가 부압 챔버(4)의 내부에 오도록, 흡기관(14)이나 송기관(15)을 늘려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부압 챔버(4) 내에서 흡기관(14) 또는 송기관(15)을 절곡하여 흡기구(141)나 송기구(151)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지향시켜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복수)에서는, 부압 챔버(4)의 2개의 개구부(4a, 4b)를 상하에 배열하고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부압 챔버에 3개 이상의 개구부를 형성해도 된다. 개구부(복수)를 메쉬 형상의 부재로 막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복수) 및 변형예에 따르면, 복수매의 지엽류를 연속해서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다.
이상에 있어서 몇 가지의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 형태 및 변형예는, 간단하게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실제로, 여기에 있어서 설명한 신규 장치는, 다양한 다른 형태에 구체화되어도 되고, 또한 본 발명의 주지 또는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여기에 있어서 설명한 장치의 형태에 있어서의 다양한 생략, 치환 및 변경을 행해도 된다. 부수되는 청구항 및 그것들의 균등물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주지 또는 사상에 들어가도록 그러한 형태 혹은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Claims (11)

  1. 지엽류 취출 장치로서,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하는 취출 벨트와,
    개구부를 갖는 부압 챔버 - 상기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 - 와,
    이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시키는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이 흡인 장치는 상기 부압 챔버 내에 공기를 송입하여 상기 부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송기구를 갖고, 이 송기구는 송기구를 통하여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기구에 접속되는 송기관을 더 갖고, 이 송기관은 그 내벽을 가상적으로 연장한 부분이 상기 개구부와 대략 교차하지 않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기관은 그 중심의 연장선이 상기 부압 챔버의 대략 중심을 지나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4. 지엽류 취출 장치로서,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하는 취출 벨트와,
    개구부를 갖는 부압 챔버 - 상기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 - 와,
    이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시키는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이 흡인 장치는 흡기구 및 송기구를 갖고,
    이 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부압 챔버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 내에 공기를 송입하여 상기 부압을 대기압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기구를 통하여 송입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부와는 다른 위치 및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기구에 접속되는 송기관을 더 갖고, 이 송기관은 그 내벽을 가상적으로 연장한 부분이 상기 개구부와 거의 교차하지 않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기관은 그 중심의 연장선이 상기 부압 챔버의 대략 중심을 지나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 접속되는 흡기관을 더 갖고,
    이 흡기관은 그 내벽을 가상적으로 연장한 부분이 상기 개구부와 교차하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엽류 취출 장치.
  9. 지엽류 취출 장치이며,
    집적된 복수매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으로 이동시켜 집적 방향 단부의 지엽류부터 순서대로 취출 위치에 공급하는 공급 기구와,
    복수의 흡착 구멍을 갖고, 상기 취출 위치의 면을 따라 주행하는 취출 벨트와,
    개구부를 갖는 부압 챔버 - 상기 개구부는 상기 취출 위치에 대향하는 상기 취출 벨트의 흡착면과는 반대의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 - 와,
    이 부압 챔버를 진공화하여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복수의 흡착 구멍을 통하여 상기 취출 위치의 공기를 흡인하고, 상기 취출 위치에 순서대로 공급되는 상기 지엽류(복수)의 각각에 부압을 작용시켜 상기 취출 벨트의 상기 흡착면에 흡착시키도록 하는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이 흡인 장치는 상기 부압 챔버의 개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부압 챔버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기구를 갖는, 지엽류 취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에 접속되는 흡기관을 더 갖고,
    이 흡기관은 그 내벽을 가상적으로 연장한 부분이 상기 개구부와 교차하는 위치 및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부압 챔버 내에 있어서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엽류 취출 장치.
KR20100052207A 2009-06-04 2010-06-03 지엽류 취출 장치 KR101196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35255A JP5367463B2 (ja) 2009-06-04 2009-06-04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JP-P-2009-135255 2009-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961A true KR20100130961A (ko) 2010-12-14
KR101196160B1 KR101196160B1 (ko) 2012-11-01

Family

ID=4275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52207A KR101196160B1 (ko) 2009-06-04 2010-06-03 지엽류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76102B2 (ko)
EP (1) EP2258641B1 (ko)
JP (1) JP5367463B2 (ko)
KR (1) KR101196160B1 (ko)
CN (1) CN1019058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82B1 (ko) * 2011-01-27 2013-06-07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진공흡입방식으로 우편물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3702B (zh) * 2012-03-06 2016-01-20 株式会社东芝 纸张取出装置及纸张取出方法
SG11201503376TA (en) * 2012-11-02 2015-06-29 Murata Machinery Lt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9016682B2 (en) * 2013-01-24 2015-04-28 Ncr Corporation Item location
JP6026317B2 (ja) * 2013-02-27 2016-11-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の取出し装置
CN106966099B (zh) * 2017-04-21 2019-02-15 上海理工大学 自动取货和运输的装置
US10870548B2 (en) * 2019-03-26 2020-12-22 Riso Kagaku Corporation Medium supply apparatus
CN112938558B (zh) * 2021-01-29 2023-04-07 贵阳天海数码科技有限公司 基于扫描的图像自动纠正系统
CN112919165B (zh) * 2021-01-29 2023-04-07 贵阳天海数码科技有限公司 打印机吸纸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3464A (en) * 1963-11-07 1967-04-11 Western Electric Co Thermocompression bonding apparatus
DE1204242B (de) 1963-12-13 1965-11-04 Telefunken Patent Einrichtung zum gesteuerten Vereinzeln von flachem Foerdergut, wie insbesondere Belegen
JPS5011272U (ko) * 1973-05-30 1975-02-05
JPS57189941A (en) 1981-05-19 1982-11-22 Tenchi Kikai Kk Feeding device of dried laver
JPH02300033A (ja) 1989-05-12 1990-12-12 Sharp Corp 給紙装置
JPH05338849A (ja) * 1992-06-12 1993-12-21 Sharp Corp 原稿給送装置
JPH10120212A (ja) 1996-10-18 1998-05-1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
JP4252642B2 (ja) 1997-06-26 2009-04-08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ロータリーバルブ
JP2990185B1 (ja) 1998-10-02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紙葉類の供給装置
JP2002145470A (ja) 2000-11-13 2002-05-22 Konica Corp 用紙搬送装置
JP2004128234A (ja) 2002-10-03 2004-04-22 Shinko Electric Ind Co Ltd ワークの取り揃え装置
JP3977720B2 (ja) * 2002-10-18 2007-09-1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JP2008001458A (ja) * 2006-06-21 2008-01-10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273666A (ja) 2007-04-26 2008-11-13 Toshiba Corp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4979515B2 (ja) * 2007-08-28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09735B2 (ja) 2007-10-15 2012-08-2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ラベルの搬送方法およびインモールド成形システム
JP5658868B2 (ja) * 2009-02-19 2015-01-28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182B1 (ko) * 2011-01-27 2013-06-07 대성엘앤에이 주식회사 진공흡입방식으로 우편물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05814B (zh) 2013-06-26
US20100308530A1 (en) 2010-12-09
KR101196160B1 (ko) 2012-11-01
JP5367463B2 (ja) 2013-12-11
EP2258641B1 (en) 2015-12-23
US8876102B2 (en) 2014-11-04
CN101905814A (zh) 2010-12-08
JP2010280477A (ja) 2010-12-16
EP2258641A2 (en) 2010-12-08
EP2258641A3 (en)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160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EP1857388B1 (en) Paper sheet separating and take-out device
US8459634B2 (en) Paper sheet pickup device
US8201819B2 (en) Valve device and paper sheet pickup apparatus
KR101110473B1 (ko) 밸브 유닛 및 용지 취출 장치
KR101343769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KR20110104426A (ko) 유로 개폐 기구 및 시트 취급 장치
JP6026317B2 (ja) 紙葉類の取出し装置
US6702275B2 (en) Paper-leaves separating/supply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109266B1 (ko) 지엽류 공급 장치
JP2009298514A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H1045309A (ja) 紙葉のずれ重なった流れを紙葉処理機械へ搬送する装置
JP5547327B2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2007326683A (ja) 給紙装置
JP2013063859A (ja)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H01285562A (ja) 枚葉紙取扱い装置
JP2004099256A (ja) 給紙装置
JPH03166159A (ja) 紙葉類反転装置
JP2015147662A (ja) 紙葉類取出分離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2003237939A (ja) 振分装置
JP2004012232A (ja) 透明部分を有するワークの検出センサ
JPS6360826A (ja) 紙葉類の取出装置
JP2002087612A (ja) 前吸着送出式物品輸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