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936A -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936A
KR20100116936A KR1020090035607A KR20090035607A KR20100116936A KR 20100116936 A KR20100116936 A KR 20100116936A KR 1020090035607 A KR1020090035607 A KR 1020090035607A KR 20090035607 A KR20090035607 A KR 20090035607A KR 20100116936 A KR20100116936 A KR 2010011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rysanthemum
tea
excipient
flow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125B1 (ko
Inventor
정헌상
이상훈
황인국
이철희
장영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25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23F3/26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by lyoph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8Extraction of water soluble tea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단순한 국화과 식물의 단순한 가공분야를 확대시켜 국화과 식물을 이용하여 분말차를 제조시 적용하여 기능성과 관능성이 증가된 국화 분말차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채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와 상기단계 후 가용성 고형분을 농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에 부형제를 첨가한 후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므로서 그 목적이 달성된다.

Description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e for functional powdered tea using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 boreale Makino and C.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본 발명은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차에 있어서, 감국, 산국 및 구절초의 꽃 부위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농축시킨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농축액을 부형제와 혼합한 후 이 혼합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분말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은 국화과(Compositae)의 Chrysanthemum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산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야생국화로 예로부터 국화주로 제조하여 궁중에서는 국화주로 마셔왔고 민가에서는 고혈압 환자들이 약술로 애용하여 왔다(Hong. 2002.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2):108-113). 감국은 한방이나 민간처방으로서 강심, 중추신경 억제, 혈압강하, 빈혈, 현기증 및 두통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Jang et al., 1999.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137-142), 이외에도 감국 과 산국에서 분리한 성분들의 항암효과(Nam et al., 1997.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44-147), aldose reductase 저해효과(Yoshikawa et al., 1999. Chem. Pharm. Res. 18:65-68),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효과(Yoshikawa et al., 2002. Chem. Pharm. Bull. 48:651-656)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방에서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의 꽃은 중추신경 진정작용, 혈압강하작용, 결핵균 및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며(DanBensky & Andrew, 1986, Estland Press, 59), 주요 약리성분으로는 chrysanthemine, camphor 등이 밝혀져 있다(송주택, 1984, 미도출판사, 1048). 또한 화학적 성분에 대한 연구로는 apigenin, luteolin, acacetin 및 그의 flavonoid 배당체들(Ryu, Choi, Lee & Zee, 1994, Arch Pharm Res, 17, 42)과 lactone 류(Chen & Peijuan, 1987, Chem Abstr. 106, 135326), essential oil(Uchio et al., 1981, 20, 2691) 및 sesquiterpene(Mladenova, Tsankova, and Hung, 1988, Planta Med., 54, 553) 등이 알려져 있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는 꽃이 단아하고 아름다워 경관 조성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생약의 전초는 구절초의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을 말하며 예로부터 월경불순, 자궁냉증, 불임증, 위냉 등의 부인병과 치풍, 위장병 등에 사용되어왔으며(Woo and Lee. 2008. Korean J. Plant Res. 21(2):128-133), 또한 최근에는 구절초의 ethylacetate, water 분획물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었고(Son, Park, Hur, Bang and Baek . 2000. Kor. J. Med. Crop. Sci. 8:94-101), 물 추출물에서도 비듬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알려져 있 다(Lee SH and Lee JS. 2007.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5:220-225).
약용 및 기호성 식물체로부터 유용성분을 섭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추출액, 분말, 과립, 캡슐, 환, 타블렛 등과 같은 섭취 편리성이 강조된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들 중 분말 형태는 휴대가 간편하고 용해성이 우수하며, 물에 용해시키면 전통적 차 형태의 식미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원료의 제품이 제조되고 있다(Chung, Hong and Youn. 2005. Food Preserv. 12(3):247-251). 액상식품을 분말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열풍건조 방법, 분무건조 방법과 동결건조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열풍건조와 분무건조 방법은 가장 일반적이고 경제적이므로 산업화에 유리하지만 열에 의한 향기 및 유용 성분의 손실이 우려되며, 동결건조 방법은 낮은 온도에서의 건조로 열에 의한 조직의 손상 및 휘발성 물질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Tan, Chan and Heng. 2005. J. Microencapsul. 22:253-259).
분말제조시 사용되는 부형제로는 전분,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유당, 포도당, 맥아당, 젤라틴, 아라비아검,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이 있다(Rhee and Cho. 1991. Korean J. Food Sci. Technol. 23:241-247). 이들 중 덱스트린 류(類)는 포도당과 맥아당을 제외한 전분의 가수분해 생성물을 말하며 분해정도를 나타내는 덱스트로스당량(DE)에 따라 각기 다른 성질을 가지나 일반적으로 흡습성이 낮고 용해분산성이 우수하고 조직감 개선효과가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Kim and Ku . 1994.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7-43).
상기와 같은 식물들을 이용한 주요 종래기술로 국화차 조성물(공개번호 10-2005-0087580)에서는 감국, 칠채국화 및 야국 세 종류의 국화를 혼합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고 있으며, 감국화를 주재로 하는 녹국향차 제조방법(공개번호 10-2001-0025482)에서는 감국화와 녹차잎을 가공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감국화를 함유하는 차의 제조방법(등록번호 10-0371697)에서는 혼합 원료의 증숙공정, 건조공정, 분말공정 및 살균공정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등록번호 10-0758266) 등이 소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국화과 식물을 이용한 분말차 제조방법은 시도된 바가 없다. 또한 유사한 특허로 감국의 꽃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공개번호 2008-0011898)에서는 감초, 황기, 당귀, 대추, 오미자, 구기자, 갈근, 산수유, 생강, 오가피, 계피를 넣고 가열 추출한 물에 감국꽃을 1차로 침지시키고 다시 감초, 대추, 오미자, 산수유를 가열 추출한 물에 2차로 침지시킨 후 덖음 및 건조하여 한약재의 냄새를 포함하게 하는 감국꽃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과정에서 한약재 특유의 향이 포함되어 기호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감국꽃 고유의 향이 한약재 특유의 향에 묻혀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분말차 제조에 관한 특허를 살펴보면 녹차 분말차의 제조방법(출원번호 특 1997-009599)에서는 녹차 분말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부형제로 유당과 전분을 8:2로 혼합하여 동결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머루 분말차 및 이의 제조방법(출원번호 10-2005-0058430)에서는 머루 착즙액을 분말화 함에 있어서 덱스트린을 10-50% 혼합하여 분무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솔송차 분말 및 그 제조방법(출원번호 특1990-0018322)에서는 솔순 및 솔잎 착즙액을 분말화하기 위하여 말토데스트린(9-95%)과 유화제를 혼합하여 분무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양파를 이용한 분말 차의 제조방법 및 양파분말차(출원번호 10-2000-0034739)에서는 양파추출물에 대추추출물, 정제포도당(85-95%)을 혼합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하는 등 여러 특허가 소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국화 분말차를 제조하는 방법은 시도된 바가 없다.
종래 국화차 제조 방법은 채취한 국화과 식물을 끓는 물에 데친 다음 일광 또는 건조기에서 속성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국화차는 장기간 보존할 경우 눅지는 등 변질의 우려가 있고, 음용하기 위해 물에 넣었을 때 국화 특유의 성분이 우러나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서 인스턴트차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고, 특히 국화 특유의 향이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상 추출 및 농축된 국화과 식물을 이용하여 분말차를 제조하여 종래 국화차의 저장 및 음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아울러 국화과 식물의 유효성분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결건조에 의해 분말화하였으며, 페놀성 화합물들의 용출을 용이하게 하여 항산화 활성이 강화된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화과 식물인 감국, 산국 또는 구절초의 꽃 부위를 채취한 후 세척 및 동결건조하는 전처리공정, 상기 전처리공정으로 처리된 원료를 90내지 100℃에서 1~3시 간 1~3회 교반추출한 후 여과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5~20브릭스(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추출 및 농축공정, 상기 추출 및 농축공정에서 얻은 추출물에 일정량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동결건조하는 분말화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국화과 식물을 열수 추출하여 얻은 국화 추출액을 농축시킨 국화 농축액과 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을 혼합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한 국화 분말을 분말차 제조시 첨가하여 국화 추출물이 함유된 국화 분말차를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가 본 발명의 국화 분말차를 복용시 국화의 기능성과 관능성을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원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국화차나 발효하여 제조한 국화주와 같이 단순한 국화과 식물의 단순한 가공분야를 확대시켜 국화과 식물을 이용하여 분말차를 제조시 적용하여 기능성과 관능성이 증가된 국화 분말차를 제조함으로서 국화의 소비처를 확대할 수 있어 국화재배농가와 가공업체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국화 분말차 제조의 최적배합비율 결정
국화 분말차 제조를 위하여 부형제의 종류 및 최적배합조건을 먼저 결정한다. 냉동보관중인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꽃 부위를 분쇄기(Micro hammer cutter mill type-3, Culatti AG, Swiss)를 이용하여 60 mesh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분쇄시료 50 g에 증류수 1,000 mL을 첨가하여 90℃의 수욕상에서 2시간, 2회 교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여과 한 후 회전진공농축기(EYELA N-1000,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10 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국화 추출물에 분말 형성을 위하여 부형제로 무수결정포도당(G), 덱스트린(D), 말토덱스트린(MD), 사이클로덱스트린(CD)을 사용하여 동결건조한 후 분말화하여 국화 분말차를 제조하였다.
부형제의 종류와 첨가 농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된 분말차에 대하여 분말화, 용해도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1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말화의 경우 부형제로 CD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D와 MD 단독 사용시 분말화 정도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용해도의 경우 부형제로 G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하였으며, D는 양호, MD는 보통이었으나, CD 사용시 분말 입자의 크기가 작아 표면부양현상과 거품이 형성되어 용해도는 불량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부형제로 CD를 사용하였을 때 강한 향기성분 포집능력으로 인하여 국화 특유의 향보다는 불쾌취가 발생하였으며, G와 D는 양호하였고, MD는 보통이었다.
분말화, 용해도, 관능평가 결과 및 부형제의 가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추출액과 부형제의 첨가비율을 60:40으로 결정하고, 용해도와 관능적 특성이 우수했던 D와 MD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국화 분말차 제조의 최적혼합조건으로 선정하였다.
<실시예 2> 최적배합비율에 따른 국화 분말차 제조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분말차의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선정한 최적조건에 준하여 제조하였다. 즉, 60 mesh의 크기로 분쇄한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 및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꽃 부위 분쇄시료 50 g에 증류수 1,000 mL을 첨가하여 90℃의 수욕상에서 2시간, 2회 교반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여과 한 후 회전진공농축기(EYELA N-1000,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10 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분말 형성을 위하여 부형제로 덱스트린(dextrin; D)과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MD)을 사용하여 표 2와 같이 혼합하였다. 이를 동결건조한 후 100 mesh로 사별하여 국화 분말차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2
<실시예 3> 국화 분말의 품질특성
감국, 산국 및 구절초 꽃으로 제조된 분말차의 용해 전 품질특성으로 수분함량, 흡습성 및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수분 함량은 적외선 수분 측정기(MX-60, Precisa Instrument Ltd., Swis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흡습성은 분말 시료 0.5 g을 포화상태로 조절된 디시케이터(desicator)내에 1시간 방치한 뒤 흡습된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흡습성으로 표시하였으며(Hwang, Hong, Jeong and Youn. 2002.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9(2):189-193),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3
용해도는 분말 시료 0.5 g에 증류수 10 mL을 가한 후 각 시간별(1, 3, 6, 9, 12 및 15분)로 실온에 방치한 뒤 0.2 mL씩 취한 후 디지털 당도계(PAL-1,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당도의 변화로 용해도를 표시하였으며(Nam and Hyun. 2003. Korean J. Food & Nutr. 16(4):334-339),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국화 품종과 부형제의 종류에 따른 분말의 수분함량은 감국이 4.14-5.19% 범위로 산국의 3.47-3.917%와 구절초의 3.30-4.49%보다 다소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덱스트린 단독처리구(D)와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처리구(DMD91)에서 높게 나타났다. 분말의 흡습성은 감국이 5.37-9.08%, 산국이 8.23-9.40%, 구절초가 7.71-8.19% 범위로 국화 품종과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흡습의 크기는 D, DMD91, DMD82, MD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국화 분말의 수분함량이 높게 나타난 처리구에서 흡습성도 높게 나타났다. 분말의 용해도를 나타낸 그림 1을 보면 감국과 구절초 분말의 당도는 측정초기부터 9분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후 15분까지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산국 분말은 측정초기부터 12분까지 증하였으며, 이후에 감국 및 구절초 분말의 당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5.9-6.2 oBrix).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DMD82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말토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성으로 인하여 낮은 용해도를 나타냈으나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실시예 4> 국화 분말차의 이화학적 특성
제조된 분말차의 품질특성 분석을 위하여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차 2 g을 95℃ 100 mL의 물에 용해시킨 후 원심분리기(KR/Union-55R, Hanil Science Industrial, Seoul, Korea)를 이용하여 3,500 rpm의 속도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Park, Hong, Youn and Choi. 2006. Korean J. Food Preserv. 13(5):569-573). 색도는 색차계(Color and color difference meter, CR-300, Minolta Co., Japan)를 이용하여 명암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 그리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으로 측정하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0 P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각각 420 nm와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pH는 pH meter(Thermo Orion, Beverly,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DNS(3,5-dinitrosalicylic acid)법(Miller. 1959. Anal. Chem. 31:426-428)으로 분석하였다. 즉, 시료 0.2 mL에 DNS 시약 0.4 mL을 가하여 100℃에서 5분 가열한 후 급속히 냉각시킨 후 증류수 1.8 mL을 첨가한 다음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glucose(Sigma Chemical Co. USA)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환원당 함량은 시료 g중의 mg glucose로 나타내었다.
국화 분말차의 품질특성으로 색도, 갈변도, 탁도 및 환원당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4
국화 추출물의 L값은 23.76-24.99 범위이었지만 분말차의 L 값은 48.24-49.45 범위로 부형제의 첨가로 인하여 L값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DE 값이 낮은 덱스트린을 사용할 경우 다소 높은 L 값을 보였다. a값은 국화 추출물이 1.56-3.80 범위이었지만 부형제의 첨가로 인하여 -0.11-0.41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b값은 국화 추출물이 15.35-18.45 범위이었지만 a값과 유사한 경향으로 감소하여 -0.45-1.54 범위로 나타났다. 국화 추출물의 pH는 감국이 5.54, 산국이 5.56 그리고 구절초가 5.53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분말차의 pH는 구절초가 5.33-5.45 범위로 감국의 5.50-5.62와 산국의 5.52-5.63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났지만,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말차의 갈변도는 0.60-0.69 범위로 DMD91에서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분말차가 각각 0.69, 0.67 및 0.62으로 다른 부형제 첨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탁도는 구절초 분말차가 0.24-0.25 범위로 나타나 감국 및 산국 분말차의 0.319-0.38과 0.29-0.33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은 각각 269.50, 282.63 및 273.52 mg/g이었지만, 분말차의 환원당 함량은 감국이 365.47-409.98, 산국이 370.86-395.01 그리고 구절초 354.49-393.21 mg/g 범위이었으며, 감국 분말차의 CIDMD91에서 409.82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5> 국화 분말차의 항산화 물질 함량 및 항산화 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은 Dewanto 등(Dewanto, Xianzhong and Liu. 2002.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의 방법에 따라 Folin-Ciocalteu reagent가 추물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된 결과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하는 것을 원리로 분석하였다. 즉, 각 추출물 100 μL에 2% Na2CO3 용액 2 mL를 가한 후 3분간 방치하고 50% Folin-Ciocalteu reagent 100 μL를 가한 후 30분 반응한 다음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750 nm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rlic acid(Sigma Chemical Co. USA)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시료 g중의 mg garlic acid로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hoi 등(Choi et al., 2003.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723-727)의 방법에 따라 추출물 250 μL에 증류수 1 mL과 5% NaNO₂75 μL를 가한 다음 5분 후 10% AlCl₃6H2O 150 μL를 가하여 6분간 방치하고 1N NaOH 500 μL를 가하였다. 11분 후,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510 nm에서 측정하였고, 표준물질로 (+)-catechin hydrate(Sigma Chemical Co. USA)를 사용하여 구한 검량선으로부터 시료 g중의 mg catechin으로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Blois(Blois. 1958. Nature 26: 1199-1203)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분말차 0.2 mL에 0.2 mM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용액 0.8 mL를 가하고 잘 혼합한 후 실온에서 30 분간 방치한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분말차의 전자공여능은 시료첨가구와 비첨가구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여 전자공여능(EDA, %)으로 나타내었다. 총 항산화력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방법(Dewanto, Xianzhong and Liu. 2002.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ABTS,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7.4 mM과 potassium persulphate 2.6 mM을 하루 동안 암소에 방치하여 ABTS??+ 이온을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1.4-1.5가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 ㅧ 104 M-1cm-1)를 이용하여 증류수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용액 1 mL에 추출액 50 μL를 가하여 흡광도의 변화를 정확히 90분 후에 측정하였으며, 표준물질로서 L-ascorbic acid(Sigma-Aldrich, St Louis, Mo. USA)를 동량 첨가하였고, 총 항산화력은 AEAC(L-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mg AA eq/g)로 표현하였다.
국화 분말차의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5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결과 각각 24.84, 42.44 및 34.94 mg/g이었지만 분말차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산국이 6.47-6.75 mg/g 범위로 감국의 4.32-4.51 mg/g과 구절의 5.17-5.90 mg/g 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형 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서는 DMD91, D, DMD82, MD 처리구 순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국화 종류별로 각각 11.16, 29.53 및 34.94 mg/g으로 나타났으며, 분말차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국이 3.18-3.29 mg/g 범위로 감국의 1.02-1.05 mg/g과 구절초의 1.95-1.99 mg/g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의 전자공여능(EDA, %)을 1 mg/mL의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59.01, 61.94 및 78.98%로 구절초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국화꽃 분말차의 EDA을 10 mg/mL의 농도에서 측정한 결과 감국은 24.85-27.93%, 산국은 29.89-40.40%, 구절초는 38.69-43.85%로 추출물의 EDA 결과와 마찬가지로 구절초 분말차의 EDA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은 각각 8.80, 31.74 및 18.74 mg AA eq/g이었는데 분말차의 총 항산화력은 감국이 2.51-2.63, 산국이 4.37-4.55 그리고 구절초가 3.44-3.52 mg AA eq/g으로 나타났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추출물과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를 다르게 하여 제조한 분말차의 항산화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부형제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6>국화 분말차의 관능적 특성
감국, 산국 및 구절초 꽃으로 제조된 분말차에 대한 관능검사는 본 실험에 흥미가 있고 차이식별능력이 있는 관능검사요원 8명을 선정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시료의 조제는 분말시료 2 g에 95℃ 100 mL의 열수 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색, 향, 단맛, 신맛, 쓴맛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하여 7점 기호척도법(아주 싫다: 1점, 보통으로 싫다: 2점, 약간 싫다: 3점, 보통이다: 4점, 약간 좋다: 5점, 보통으로 좋다: 6점, 아주 좋다: 7점)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Figure 112009024752733-PAT00006
색은 감국, 산국 및 구절초 분말차가 각각 4.63-5.75, 4.50-5.75 및 4.88-5.38 범위로 나타났으며, 국화품종과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차계를 이용한 측정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관능검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색도가 평가요원이 인지하지 못할 정도의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은 CID의 4.88과 CBMD의 3.22를 제외한 시료에서 3.25-4.75 범위로 나타나 국화품종과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맛에 대한 평가에서 단맛은 산국보다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신맛과 쓴맛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색과 향 그리고 맛에 대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가 각각 3.75-4.75 및 4.25-4.63 범위로 산국 분말차의 2.13-3.50 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산국을 제외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는 품종과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추출물과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분말차의 관능적 특성에 대한 부형제의 영향은 미미하며, 단맛, 신맛 및 쓴맛에 대한 평가가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도1a,b,c는 감국(A), 산국(B) 및 구절초(B)추출물을 이용한 국화 분말의 용해도에 따른 당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서 D : 덱스트린(dextrin), MD :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DMD91 : dextrin 36%, maltodextrin 4%, DMD82 : dextrin 32%, maltodextrin 8%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국화 분말차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Claims (8)

  1.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채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S1);
    상기단계(S1) 후 가용성 고형분을 농축하는 단계(S2);
    그리고 상기단계(S2)에서 얻어진 농축물에 부형제를 첨가한 후 건조하는 단계(S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단계(S1)에서의 전처리는 냉동건조된 꽃부위를 50~70메시로 분쇄한 후 분쇄시료 40~60g당 증류수 900~1100mL를 첨가하여 80~90℃의 수욕상에서 1~3시간 1~3회 교반추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단계(S2)에서의 농축은 회전진공농축기로 고형분 함량이 5~20브릭스가 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덱스트린 또는 말토덱스트린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단계(S3)에서의 부형제 첨가는 단계(S2)에서의 농축액과 부형제가 5~7:3~5(w/w)의 비율로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단계(S3)에서의 부형제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의 첨가는 단계(S2)에서의 농축액:덱스트린:말토덱스트린이 5.5~6.8:3~4:0.2~1.5(w/w)의 비율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국화과 식물은 감국, 산국 또는 구절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국화과 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KR1020090035607A 2009-04-23 2009-04-23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KR101125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607A KR101125125B1 (ko) 2009-04-23 2009-04-23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607A KR101125125B1 (ko) 2009-04-23 2009-04-23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936A true KR20100116936A (ko) 2010-11-02
KR101125125B1 KR101125125B1 (ko) 2012-03-16

Family

ID=4340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607A KR101125125B1 (ko) 2009-04-23 2009-04-23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2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72B1 (ko) * 2011-11-04 2013-10-22 김재현 향미가 강화된 국화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493940A (zh) * 2013-10-16 2014-01-08 四川好医生攀西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雪菊苦荞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286308A (zh) * 2014-10-23 2015-01-21 安徽协和成药业饮片有限公司 一种谷精草明目茶冲剂
KR20190038011A (ko) * 2017-09-2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아나덤 주식회사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90047353A (ko) * 2017-10-27 2019-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향기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115B1 (ko) * 2019-06-26 2020-05-15 (주)녹십자웰빙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690B1 (ko) 2017-11-13 2019-06-14 조영만 이온물엿을 이용한 과립 제조방법
KR20220089976A (ko) 2020-12-22 2022-06-29 이연희 금을 함유한 금잔화차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5961A (ja) * 2002-11-07 2004-06-03 Nippon Yakuyo Shokuhin Kenkyusho:Kk 抗酸化剤
KR100532663B1 (ko) * 2003-06-11 2005-12-01 (주)세계물산 쌍화엑기스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43074B1 (ko) * 2003-11-28 2006-01-2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항알레르기 효과를 가지는 구절초 추출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172B1 (ko) * 2011-11-04 2013-10-22 김재현 향미가 강화된 국화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493940A (zh) * 2013-10-16 2014-01-08 四川好医生攀西药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雪菊苦荞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286308A (zh) * 2014-10-23 2015-01-21 安徽协和成药业饮片有限公司 一种谷精草明目茶冲剂
KR20190038011A (ko) * 2017-09-29 2019-04-08 농업회사법인 아나덤 주식회사 구절초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90047353A (ko) * 2017-10-27 2019-05-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미자 향기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115B1 (ko) * 2019-06-26 2020-05-15 (주)녹십자웰빙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WO2020262838A1 (ko) * 2019-06-26 2020-12-30 (주)녹십자웰빙 천연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약제학적 조성물
CN114727961A (zh) * 2019-06-26 2022-07-08 绿十字生命健康有限公司 包含天然产物提取物的具有改善的稳定性的药物组合物
EP3991723A4 (en) * 2019-06-26 2023-05-10 Green Cross WellBe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WITH A NATURAL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125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125B1 (ko) 국화과식물의 꽃부위를 이용한 기능성 분말차의 제조방법
Lachowicz et al. Comparison of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capacity of bear garlic (Allium ursinum L.) in different maturity stages
CN1889967A (zh) 营养山竹果茶
KR102005790B1 (ko)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KR20140103622A (ko) 양파껍질을 이용한 기능성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차
KR20200004942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AB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status, global research and potentialities
JP6029546B2 (ja) 飲料
KR101673202B1 (ko) 황금, 오미자, 금은화, 사상자 및 산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45388B1 (ko)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KR102012872B1 (ko) 복분자, 차전자, 오미자, 구기자, 토사자 및 사상자로 이루어지는 음료용 고농축액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료용 고농축액
KR101928430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제조 방법
KR102003410B1 (ko) 당코팅 가압증숙 산수유를 이용한 스틱형 음료의 제조방법
KR20140019076A (ko) 대추잎과 녹차잎을 이용한 혼합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3124A (ko) 증숙조건에 따른 도라지의 항산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Tokusoglu Aronia Berry Tea as Antioxidant Functional Drink: Bioactive Phenolics By HPLC-DAD and LC-ESIQTOFF-Mass Spectrometry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567620B1 (ko) 기능성 동백엽차의 제조방법
KR20140001521A (ko) 민들레 커피
KR101646516B1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1467269B1 (ko)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JP2006070261A (ja) 葛花を含有する香料
KR101742010B1 (ko)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KR0182592B1 (ko) 메밀엽을 주원료로 한 기호성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46505B1 (ko)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생대추 혼합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