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2010B1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Google Patents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2010B1 KR101742010B1 KR1020150079658A KR20150079658A KR101742010B1 KR 101742010 B1 KR101742010 B1 KR 101742010B1 KR 1020150079658 A KR1020150079658 A KR 1020150079658A KR 20150079658 A KR20150079658 A KR 20150079658A KR 101742010 B1 KR101742010 B1 KR 1017420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nutes
- tea beverage
- hot
- tea
- dri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3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33
- 244000271246 Cedrela sinensis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1783 Cedrela sinensi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6976 Quercus macrolep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0712 soy bean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3527 bean cur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3660 Reticulu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4058 juice drink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1
- 229930003935 flavon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5000021285 flavo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5158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WVRJTMFETXNAD-FWCWNIRPSA-N 3-O-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FWCWNIRPSA-N 0.000 description 3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074393 Chlorog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CWVRJTMFETXNAD-JUHZACGLSA-N Chloroge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JUHZACGLSA-N 0.000 description 3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3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368 chlorog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40100626 Catechin Drugs 0.000 description 2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6253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7 Amygdal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54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451 Canav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049 Canavalia gl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518 Canavalia gl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SBIGDSBMBYOPN-VKHMYHEASA-N Canavan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ONC(N)=N FSBIGDSBMBYOPN-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801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749 Cataract diabet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7 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79 Ecz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28 Fag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XJSUTBDMIRVGQ-UHFFFAOYSA-N GA20 m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12CCC(C3)(O)C(=C)CC32C(C(=O)OC)C2C11CCCC2(C)C(=O)O1 SXJSUTBDMIRV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665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039 Hiccup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05 Musa ABB Gro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83 Origanum major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297 Origanum major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31 Plantago majo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66 Plantago maj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10043164 Segment-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XMKYRQZQXVKGB-CWWHNZPOSA-N Tannin Chemical compound O([C@H]1[C@H]([C@@H]2OC(=O)C3=CC(O)=C(O)C(O)=C3C3=C(O)C(O)=C(O)C=C3C(=O)O[C@H]([C@H]2O)O1)O)C(=O)C1=CC(O)=C(O)C(O)=C1 VXMKYRQZQXVKGB-CWWHNZPO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371 Tooth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46334 Ure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700038759 VP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877 Whooping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866 Ziziphus numm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4 acute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64 analytical calib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29 anti-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46 anticoagul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56 capillary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025 diabetic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003 eczema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200 f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542 function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00005460 he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85 hemaggluti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39 hemo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0000000018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17 insec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01 meth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702 pertus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OXGUCUVFOIWWQJ-HQBVPOQASA-M quercitrin-7-olat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1=C(C=2C=C(O)C(O)=CC=2)OC2=CC([O-])=CC(O)=C2C1=O OXGUCUVFOIWWQJ-HQBVPOQASA-M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7 saturat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980 schizophre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9890 sinus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2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5 tes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4 tradi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열풍 건조한 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죽 새순 차 음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열풍 건조한 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죽 새순 차 음료에 관한 것이다.
참죽나무(Cedrela sinensis)는 분류학적으로 멀구슬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독특한 향 때문에 향춘수라고도 불린다. 참죽나무의 잎에는 단백질, 당질, 지질, 섬유소, 철분, 인 등의 무기질과 그 밖의 특이 성분인 퀘르시트린(quercitrin) 외에도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 중 칼슘이 잎의 건조중량 100 g 당 946 mg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고칼슘 식품인 다시마와 견주어도 손색없는 높은 칼슘 함량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근피에는 탄닌(tannin)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비타민 A, B, E 등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만성위장질환, 지혈작용 등에도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는 참죽나무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병충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농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완전한 무공해 식품이다. 중국이 원산지인 참죽은 예로부터 주로 새순을 식품으로 이용해 왔으며 특히 사찰에서 차나 나물 등으로 즐겨먹던 고급 전통식품 중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이른 봄에 참죽나무 순이 돋아날 때 붉은 색을 띠고 매우 아름다우며 맛과 향과 색이 조화를 이루어 식용으로 귀한 산채로 이용하기도 한다. 약용으로는 참죽나무의 잎을 소염, 해독, 살충의 효능으로 장염, 이질 등의 치료에 이용하기도 하며, 뿌리의 껍질을 대하, 적백리 등의 치료에, 열매는 대변 하혈, 관절통 등에 사용된다. 이 식물의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 성분의 약리작용으로는 모세혈관 투과성 억제, 항바이러스, 항 혈액 응고 및 급성간염 억제, 고혈압 및 당뇨변성 백내장 등의 예방, 항산화, 항염, 진경, 혈압강하 등의 많은 활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작두콩(Canavalia gladiata)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서 6~7월에 꽃이 피며 8~10월에 열매인 꼬투리를 맺고 늦가을에 열매가 익는다. 동남아시아 열대지방 원산으로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이 재배에 알맞으며, 특히 작두콩에는 우레아제(urease), 혈구응집소(hemagglutinin), 카나바닌(canavanine), CG-I(canavalia gibberellin I)과 II를 함유하고 있다. 민간요법에서 작두콩은 딸꾹질, 축농증, 비염, 백일해, 신허 요통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서는 비염, 치통, 치조농루, 습진, 종기, 혹 및 화농성염증성 질환에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서 작두콩을 발효시켜 음료를 개발하여 건강보조제로 국내에 소개된 적이 있고, 일본에서는 작두콩에 질경이, 율무, 산치자, 예덕나무를 배합해 만든 건강차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공지된 차 음료의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143호에는 연잎, 산사자, 율무, 진피가 함유된 차 음료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467269호에는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참죽의 가공과정을 통하여 참죽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쓴맛을 최소화하고, 맛의 조화를 위해 작두콩을 첨가하여 기능성은 물론 구수하고 온화함을 추가시키고 유효성분의 물질인 페놀화합물 함량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 등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참죽을 주원료로 이용한 기능성 차 음료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열풍 건조한 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죽 새순 차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된 참죽 차 음료는 물에 장시간 우려내는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가공과정에서 증기 처리함으로써 쓴맛을 최소화시키는 동시에 구수하고 온화한 맛과 다양한 기능성을 지닌 작두콩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과 기능성을 증가시켜 다량의 페놀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하여 노화를 최소화시키고 인체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주재료인 참죽과 부재료인 작두콩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차 음료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2는 참죽의 새순(좌), 수피(중), 근피(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참죽의 새순(좌), 수피(중), 근피(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열풍 건조한 후 볶고,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90~110℃에서 30~90초 동안 1~3회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세척한 참죽 새순을 증열기로 100℃에서 30초 동안 2회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참죽 새순을 섭취하는 데는 쓴맛과 강한 특성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방법인 소금물에 24~48시간 우려 사용하는 방법은 참죽 새순의 약성과 물성을 나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상업적으로 가공제품을 제조할 때 참죽 새순이 수분을 다량 함유하여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용성분이 유실될 수 있어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참죽 새순의 제조과정에서 이용되는 증열기를 이용하여 증기로 쪄 쓴맛을 최소화함으로써 다량의 원료를 기계적으로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가공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참죽 새순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참죽 새순의 증기 처리 온도, 시간 및 횟수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쓴맛이 남아 있어 기호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유효성분의 함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용 상승과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증기 처리 후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열풍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볶음 공정에 알맞은 수분 함량을 지니는 참죽 새순으로 준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는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참죽 새순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참죽 새순을 150~170℃에서 3분 동안 볶고, 물을 1:400~8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70℃에서 5분간 추출할 수 있다. 볶는 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볶는 시간이 길어지고 고소한 맛이 잘 살아나지 않으며, 볶는 온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원료가 부분적으로 탄화되어 차 음료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온도 상승에 따른 비용만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볶는 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폴리페놀 함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고소한 맛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탄맛이 나서 차 음료의 향미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쓴맛이 남아있어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차 음료의 맛과 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c)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50~170℃에서 3분 동안 볶고, 물을 1:400~8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70℃에서 5분간 추출할 수 있다. 추출 시 상기 온도 및 시간 미만일 경우 추출되는 폴리페놀량 적고 맛과 향이 약하며, 추출하는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추출되는 폴리페놀량에는 큰 차이가 없어 비효율적이고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d)단계의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참죽 새순 추출물과 작두콩 추출물 7~9:1~3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2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로 배합하여 제조된 차 음료는 참죽 새순과 작두콩의 맛과 향미가 잘 조합되어 기호도가 높아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차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90~110℃에서 30~90초 동안 1~3회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90~110℃에서 30~90초 동안 1~3회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 7~9:1~3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100℃에서 30초 동안 2회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150℃에서 3분 동안 볶고, 물을 1:400~8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70℃에서 5분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50℃에서 3분 동안 볶고, 물을 1:400~8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70℃에서 5분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 8:2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참죽 새순 차 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참죽
새순 차 음료
(1)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청정 재배지역에서 채취한 참죽 새순을 준비하고 이를 세척하였다. 세척된 참죽 새순의 물기를 제거한 후 30초 동안 2회 증기 처리하였다. 상기 증기 처리한 참죽 새순을 열풍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참죽 새순을 가향기에서 150℃에서 3분간 볶아준 다음, 이어 70℃에서 5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참죽 새순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2) 한편, 상기의 참죽 새순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된 작두콩을 가향기에서 150℃에서 3분간 볶아준 다음, 이어 70℃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작두콩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3) 참죽 새순 열수 추출물과 작두콩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율을 80:20으로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작두콩이 가미된 구수하고 온화한 참죽 새순 차 음료를 얻었다.
제조예
2:
참죽
수피 차 음료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참죽 새순을 사용하지 않고, 참죽 수피(줄기껍질)를 이용하여 작두콩이 가미된 참죽 수피 차 음료를 얻었다.
제조예
3:
참죽
근피
차 음료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하되 참죽 새순을 사용하지 않고, 참죽 근피(뿌리껍질)를 이용하여 작두콩이 가미된 참죽 근피 차 음료를 얻었다.
비교예
1: 작두콩 차 음료
세척한 후 건조된 작두콩을 가향기에서 150℃에서 3분간 볶아준 다음, 이어 70℃에서 5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작두콩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참죽
새순 차 음료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청정 재배지역에서 채취한 참죽 새순을 준비하고 이를 세척하였다. 세척된 참죽 새순의 물기를 제거한 후 30초 동안 2회 증기 처리하였다. 상기 증기 처리한 참죽 새순을 열풍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참죽 새순을 볶는 과정을 생략하고, 이어 70℃에서 5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참죽 새순 차 음료를 얻었다.
제조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차 음료를 이용하여 총 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차 음료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의 시료를 1 ㎎/㎖로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 ㎖에 증류수 3 ㎖를 넣고 Folin & Ciocalteu's 페놀 시약 1 ㎖를 첨가한 후 27℃ 쉐이킹배스(shaking bath)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CO3 포화용액 1 ㎖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 nm에서 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카테킨(catechin),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탄닌산(tann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시료 | 총 페놀 함량(ppm) | ||
카테킨 | 클로로겐산 | 탄닌산 | |
제조예 1 | 246.1±8.7 | 378.7±13.0 | 258.1±8.7 |
제조예 2 | 452.6±12.4 | 688.3±18.6 | 464.6±12.4 |
제조예 3 | 436.0±5.0 | 663.5±7.5 | 448.0±5.0 |
비교예 1 | 49.6±3.4 | 72.7±3.6 | 49.4±3.0 |
비교예 2 | 177.9±4.1 | 276.3±6.1 | 189.9±4.1 |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2의 총 페놀 함량은 클로로겐산의 경우 688.3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이 제조예 3과 1이 663.5와 378.7 ppm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1과 2의 함량은 72.7와 276.3 ppm으로 가장 낮은 페놀 화합물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참죽 새순, 수피 또는 근피를 삶고 볶은 후 작두콩을 첨가하여 만든 차 음료가 비교예의 차 음료에 비해 높은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카테킨과 탄닌산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차 음료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 시료 0.1 g에 75% 메탄올을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추출한 다음 이 검액 1.0 ㎖를 시험관에 취하고 10 ㎖의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 ㎖를 잘 혼합시켜 37℃의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메탄올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나린진(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시료 |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ppm) |
제조예 1 | 10.5±0.4 |
제조예 2 | 3.4±0.2 |
제조예 3 | 3.2±0.1 |
비교예 1 | 6.0±3.1 |
비교예 2 | 6.7±0.3 |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상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0.5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이 비교예 2로 6.7 ppm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예 3은 3.2 ppm으로 가장 낮게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죽 새순+작두콩 차 음료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차 음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를 메탄올(또는 DMSO) 용매로 용해하여, 900 ㎕의 DPPH 용액(100 uM)과 각 시료 100 ㎕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대조구에 대한 흡광도의 감소 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An = (A0-A)/A0 × 100
An: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A0: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A: 반응용액 중의 DPPH와 시료의 반응한 흡광도
시료 | DPPH 라디컬 소거능 (%) | ||||
125 ppm | 250 ppm | 500 ppm | 1000 ppm | RC50 | |
제조예 1 | 50.6±0.7 | 85.1±0.5 | 88.6±0.4 | 91.5±0.8 | 138.0 |
제조예 2 | 92.7±0.2 | 92.9±0.2 | 92.9±0.5 | 93.3±0.3 | 19.7 |
제조예 3 | 89.8±0.3 | 90.6±0.3 | 91.8±0.3 | 92.0±0.4 | 25.7 |
비교예 1 | 22.8±0.2 | 38.4±0.4 | 50.1±0.6 | 66.7±0.3 | 492.3 |
비교예 2 | 70.3±0.4 | 87.9±0.4 | 90.9±0.2 | 91.9±0.4 | 112.4 |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는 상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추출물 125 ppm에서 제조예 2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92.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이 제조예 3의 활성이 89.8%로 나타났고 비교예 1이 22.8%로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참죽 수피로 만든 차 음료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50%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이는 데 필요한 추출물 양, 즉 IC50 값은 역시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2 순으로 낮게 나타나 앞의 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차 음료의 관능검사
어린이 10명(8~13세, 남녀 5명씩), 청소년 10명(14~18세, 남녀 5명씩), 여성(19~64세) 10명, 남성(19~64세) 10명, 65세 이상 여성 5명, 65세 이상 남성 5명, 총 5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를 시식하게 하고 색, 향, 맛 및 기호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5점 척도법(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매우 좋음)으로 점수를 매겨 평균값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 색 | 향 | 맛 | 종합 기호도 |
제조예 1 | 4.5 | 4.4 | 4.8 | 4.6 |
제조예 2 | 4.4 | 4.1 | 4.3 | 4.1 |
제조예 3 | 4.5 | 4.2 | 4.4 | 4.3 |
비교예 1 | 3.3 | 3.2 | 4.4 | 4.0 |
비교예 2 | 4.0 | 4.2 | 4.5 | 4.3 |
상기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예 1, 2, 3과 비교예 1, 2 시료로 제조된 차 음료 중에서 색,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실시예 1이 가장 높게 나타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참죽 새순의 차 음료가 기호성과 상품성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 (a) 세척한 참죽 새순을 90~110℃에서 30~90초씩 1~3회 증열기로 증기 처리한 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건조된 참죽 새순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c) 작두콩을 50~60℃에서 24~48시간 동안 열풍 건조한 후, 140~200℃에서 2~5분 동안 볶고, 물을 1:300~1500 중량비율로 첨가한 후 60~80℃에서 3~7분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의 추출한 참죽 새순 추출물과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작두콩 추출물 7~9:1~3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죽 새순 차 음료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658A KR101742010B1 (ko) | 2015-06-05 | 2015-06-05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658A KR101742010B1 (ko) | 2015-06-05 | 2015-06-05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3238A KR20160143238A (ko) | 2016-12-14 |
KR101742010B1 true KR101742010B1 (ko) | 2017-05-31 |
Family
ID=5757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9658A KR101742010B1 (ko) | 2015-06-05 | 2015-06-05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20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9001B1 (ko) * | 2017-02-27 | 2019-05-20 |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 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상승 억제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269B1 (ko) * | 2013-07-09 | 2014-12-01 | 배준모 |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
-
2015
- 2015-06-05 KR KR1020150079658A patent/KR1017420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269B1 (ko) * | 2013-07-09 | 2014-12-01 | 배준모 |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3238A (ko) | 2016-12-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0591B1 (ko) |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93361B1 (ko) |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240859B1 (ko) | 약용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증포 도라지의 제조방법 | |
KR101845388B1 (ko) | 흑양파 추출물 및 산양삼 열매 농축액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 | |
KR101742010B1 (ko) | 참죽 새순을 이용한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KR20140080470A (ko) | 차가버섯으로 발효한 고기능성 커피의 제조방법 | |
KR100859324B1 (ko) |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2036522B1 (ko) | 시나몬오매를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 |
KR20170133554A (ko) | 쑥을 함유하는 쑥-커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67269B1 (ko) | 개똥쑥잎을 이용한 차 음료 제조방법 | |
KR102104175B1 (ko) |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 |
KR101971857B1 (ko) | 약용식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양배추즙의 제조방법 | |
KR102144104B1 (ko) | 와송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07251B1 (ko) | 발아 팥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팥 앙금의 제조 방법 | |
KR20170073124A (ko) | 증숙조건에 따른 도라지의 항산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674403B1 (ko) | 패션프루츠 과육과 잎을 함유하는 차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차 음료 | |
KR20160068014A (ko) | 꾸지뽕 추출물을 함유하는 꾸지뽕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23687B1 (ko) | 은행 견과와 도라지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앙금의 제조 방법 | |
KR102358421B1 (ko) | 청주를 이용한 작두콩 발효 가루차 제조방법 | |
KR102489041B1 (ko) | 기능성 양념을 사용한 저염 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348644B1 (ko) | 관능성과 기능성을 개선한 더덕차의 제조방법 | |
KR102261865B1 (ko) | 메밀싹을 이용한 기능성 분말제품의 제조방법 | |
KR102299517B1 (ko) | 귀리를 함유하는 기능성 곡물차 제조방법 | |
KR102285301B1 (ko) | 꾸지뽕 및 약용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고추장 굴비 소스의 제조방법 | |
KR102474046B1 (ko) | 숙취해소 및 혈행 개선을 위한 헛개 음료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