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6292A -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6292A
KR20100116292A KR1020090034928A KR20090034928A KR20100116292A KR 20100116292 A KR20100116292 A KR 20100116292A KR 1020090034928 A KR1020090034928 A KR 1020090034928A KR 20090034928 A KR20090034928 A KR 20090034928A KR 20100116292 A KR20100116292 A KR 2010011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ion
dandelion
extract
effec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희돈
박용곤
최인욱
석호문
김윤숙
성기승
고윤정
차동수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3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6292A/ko
Publication of KR2010011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잎에 효소를 처리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ⅰ) 민들레 잎과 물을 1:10 내지 1:30의 비율(w/v)로 혼합하고, pH 3.5 내지 4.5가 되도록 적정한 다음, 셀룰라제를 가하여 50 내지 70℃에서 8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키는 단계; (ⅱ) 상기 반응물과 합쳐진 최종 부피의 40 내지 60%가 되도록 아세톤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보다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장복할 수 있으면서도,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를 대신하여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민들레 잎, 셀룰라제, 아세톤, 염증 치료효과

Description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Foodstuff Comprising Dandelion Leaf Extract}
본 발명은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민들레 잎에 효소를 처리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증은 생체의 세포나 조직에 어떠한 기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침습이 가해질 때, 그 손상부위를 수복 재생하려고 하는 생체의 방어 반응과정을 일컫는다. 이러한 염증이 유발되는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관절염은 조직의 노화에 의해 발병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20% 정도가 관절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관절염의 세부 종류는 100여개에 이르지만, 전체 관절염 환자의 95% 이상이 골관절염(osteoarthritis) 환자이다. 상기 골관절염은 과거에 퇴행성 관절 염(degenerative joint disease)이라고 알려진, 관절 질환으로서, 외상에 의한 관절의 손상으로 인하여 발병하거나 또는 노화에 의하여 관절의 연골이 재생되지 않아 발병한다.
이러한 골관절염의 치료제로는,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저해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코르티존(hydrocortisone) 및 베타메타손(betamethasone) 등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유형의 소염물질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치료제는 공통적으로 체내에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의 활성을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골관절염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골관절염 치료제는 위장관 혈류 증가, 위 점액 분비, 혈소판 응집 등에 관여하는 COX-1과, 통증, 중추의 체온상승 및 염증반응 등에 관여하는 COX-2의 두가지 동종효소(insoform)의 활성을 모두 억제하여, 간기능 장애, 위장관기능 장애, 소화성 궤양, 심장 또는 신장의 기능장애 등 부작용을 유발시킨다고 보고되어 있다(참조: Vane, J. R., Nature: New Biology, 231(25):232-235, 1971).
이에, 보다 안전하게 장복할 수 있으면서도 골관절염을 비롯한 염증성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다면, 상기 골관절염 치료제를 대신하는 하나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아직까지는 별다른 연구성과가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질인 민들레의 잎을 효소로 처리하고,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민들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이 염증성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고, 염증성 질환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은 보다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장복할 수 있으면서도,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를 대신하여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되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염증 개선효과 가 우수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민들레의 잎에 주목하게 되었다.
민들레(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산 초본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뿌리, 잎, 꽃 등 식물체 모두를 식용할 수 있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민들레의 잎이 해열 및 항염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여, 열과 염증이 수반되는 방광염, 질염,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십이지장염, 관절염 등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서 민들레의 잎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민들레 잎으로부터 열수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종래의 염증치료제와 비교한 결과, 매우 낮은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는 바, 민들레 잎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향상시키고자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정제하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우선, 민들레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부터 추출온도에 의하여 추출율이 변화된다는 실험결과에 근거하여(참조: 특허등록 제 787823호), 30 내지 90℃의 온도에서 각각 민들레 잎의 열수추출물을 수득하고, 이의 염증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60℃까지의 온도조건에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고, 60℃의 온도에서 수득한 민들레의 열수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60℃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5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염증 개선효과가 급격히 증가하고, 8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염증 개선효과가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는 바, 염증 개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민들레 잎을 50 내지 70℃에서 열수추출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이어, 민들레 잎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민들레 잎의 세포로부터 유래된 항염증 성분의 농도를 증가시키고자, 민들레 잎의 세포벽을 파괴시킬 수 있는 적절한 효소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민들레 잎의 세포벽을 파괴할 수 있는 셀룰라제, 펙티나제, 라이소자임 등의 효소를 민들레 잎에 처리하고, 이로부터 수득한 각각의 열수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열수추출물의 수율은 급격히 증가되었으나, 염증 개선효과는 특별히 향상되지 않았는데, 셀룰라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유사한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라이소자임 또는 펙티나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낮은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이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셀룰라제를 민들레 잎에 처리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민들레 잎에 상기 셀룰라제를 처리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는 바, 셀룰라제의 처리농도는 20 내지 40ppm이고, 처리시간은 80 내지 120분이며, 처리온도는 50 내지 70℃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효소를 처리함과 동시에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 이라는 가정아래, 셀룰라제 처리후 추출에 적합한 추출용매를 선별한 결과, 셀룰라제를 처리하고 40 내지 60% 아세톤으로 처리하는 경우,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제조된 민들레 잎 추출물을 관절염이 유발된 실험동물에 경구투여한 결과, 종래의 관절염 치료제의 약 49% 정도의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을 장복하는 경우, 관절염 등의 염증성 질환이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ⅰ) 민들레 잎과 물을 1:10 내지 1:30의 비율(w/v)로 혼합하고, pH 3.5 내지 4.5가 되도록 적정한 다음, 셀룰라제를 가하여 50 내지 70℃에서 8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키는 단계; (ⅱ) 상기 반응물과 합쳐진 최종 부피의 40 내지 60%가 되도록 아세톤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pH 범위는 통상적으로 셀룰라제가 최적의 활성을 나타낸다고 공지된 범위이다.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은, 다양한 식품에 첨가되어 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은 당류(예,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 스파르탐 등), 영양제, 분말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의 식품첨가물과 함께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되어 염증성 질환 개선용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형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식품에 첨가되는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민들레 잎 추출물의 추출조건 결정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온도, 처리효소, 효소의 처리조건 및 추출용매의 측면에서 민들레 잎으로부터 유래된 항염증 성분을 추출하는 최적 조건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1: 민들레 잎 추출물의 추출온도 조건 결정
민들레 잎 추출물의 추출온도 조건을 결정하기 위하여, 추출온도를 변화시키면서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0g의 민들레의 잎에 2L의 물을 가하고, 30, 40, 50, 60, 70, 80 또는 90℃의 각 온도조건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다음, 각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이들의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유래의 RAW 264.7 대식구 세포(macrophage cell)에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상기 세포에 각 민들레 추출물을 100ppm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염증반응시 세포에서 생성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의 생성량을 측정하고, 민들레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는 마우스 유래의 RAW 264.7 대식구 세포에서 측정된 NO와 PGE2 생성량과 비교하여 감소된 비율을 NO와 PGE2의 생성 억제율로 보고, 이를 근거로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1).
추출온도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
추출온도(℃)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30
40
50
60
70
80
90
5.8
10.1
15.6
19.9
14.7
4.1
1.0
10.5
15.7
23.8
26.9
19.0
10.3
7.2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60℃까지는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어, 60℃의 온도에서 수득한 민들레의 열수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60℃ 이상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5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염증 개선효과가 급격히 증가하고, 8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염증 개선효과가 급격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는 바, 염증 개선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민들레 잎을 50 내지 70℃에서 열수추출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2: 민들레 잎의 세포벽 파괴용 효소의 결정
민들레 잎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민들레 잎의 세포로부터 유래된 항염증 성분의 수준을 증가시키고자, 민들레 잎의 세포벽을 파괴시킬 수 있는 적절한 효소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100g의 민들레의 잎에 2L의 물을 가하고, 식물의 세포벽을 파괴시킬 수 있는 효소로 알려진 라이소자임, 셀룰라제 또는 펙티나제를 20ppm의 농도로 처리하고, 상기 각 효소가 최대한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최적 pH로 적정한 다음, 60℃에서 80분 동안 추출하였다. 이어, 각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동결건조한 후, 동결건조한 민들레 추출물의 수율을 최초 사용된 민들레 잎의 중량에 대한 동결건조분말의 중량비로 측정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2). 이때, 대조군으로는 효소를 전혀 처리하지 않고 추출한 민들레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효소의 종류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효소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대조군
라이소자임
셀룰라제
펙티나제
39.2
47.6
60.8
52.2
19.9
13.5
18.2
15.9
26.9
18.2
27.5
25.6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효소를 처리한 경우에 모두 수율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셀룰라제를 처리한 경우, 월등히 향상된 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 효소를 처리한 경우에 특별히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지는 않았다. 구체적으로, 셀룰라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라이소자임 또는 펙티나제를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 보다도 낮은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유지하면서도, 이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셀룰라제를 민들레 잎에 처리하여 추출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셀룰라제 처리조건의 결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시 셀룰라제를 처리함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는 바, 적절한 셀룰라제의 처리농도, 처리시간 및 처리온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3-1: 셀룰라제 처리농도의 결정
셀룰라제를 0, 10, 20, 30 또는 40ppm의 농도로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3).
셀룰라제 처리농도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셀룰라제
처리농도(ppm)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0
10
20
30
40
39.2
46.2
60.8
60.1
60.4
19.9
15.5
18.2
19.0
18.5
26.9
23.1
27.5
27.8
26.7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10ppm을 처리한 경우에는 수율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으나, 20ppm 이상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수율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 10ppm을 처리한 경우에는 대조군 보다도 낮은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20ppm 이상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어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를 종합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시 적절한 셀룰라제 처리농도를 20 내지 40ppm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3-2: 셀룰라제 처리시간의 결정
30ppm의 셀룰라제를 처리하고, 0, 20, 40, 60, 80, 100 또는 120분동안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4).
셀룰라제 처리시간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처리시간(분)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0
20
40
60
80
100
120
39.2
42.8
50.1
56.3
60.1
60.5
60.4
19.9
15.2
18.3
19.0
19.0
19.2
18.8
26.9
20.8
26.2
27.7
27.8
27.1
28.1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율이 향상되었고, 80분 이상의 시간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약 50% 이상으로 수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60분 이상의 시간으로 처리할 경우에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를 종합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시 적절한 셀룰라제 처리시간을 80 내지 120분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3-3: 셀룰라제 처리온도의 결정
30ppm의 셀룰라제를 처리하고, 30, 40, 50, 60, 70 또는 80℃에서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5).
추출온도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추출온도(℃)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30
40
50
60
70
80
31.9
40.6
62.3
60.1
51.7
41.4
4.8
9.2
14.2
19.0
12.4
7.3
10.3
15.8
21.5
27.8
18.8
11.3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60℃까지는 처리온도가 증가할수록 수율이 향상되었고, 60℃의 온도에서 셀룰라제를 처리한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수율을 나타내었으나, 70℃ 이상의 온도에서는 수율이 점차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도, 수율과 마찬가지로, 60℃까지는 처리온도가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었고, 60℃의 온도에서 셀룰라제를 처리한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70℃ 이상의 온도에서는 염증 개선효과가 점차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를 종합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시 적절한 셀룰라제 처리온도를 50 내지 70℃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4: 셀룰라제 처리후 추출용매 결정
셀룰라제만을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 보다, 셀룰라제로 전처리하고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항염증 활성물질을 추출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정하에, 100g의 민들레의 잎에 2L의 물을 가하고, 이에 30ppm의 셀룰라제를 60℃에서 80분간 반응시킨 다음,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톤을 상기 반응물과 용매가 합쳐진 최종 부피의 70%가 되도록 가하고 추출한 후,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6). 이때, 대조군으로는 유기용매를 가하지 않고 추출한 민들레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셀룰라제 처리후 추출용매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추출용매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대조군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60.1
29.9
27.7
32.6
19.0
37.4
40.6
55.3
27.8
51.8
55.4
70.5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셀룰라제를 처리한 후에 유기용매를 가하여 추출할 경우, 단순히 셀룰라제를 처리하여 추출한 경우보다는 불용성 성분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율은 감소하였으나, 염증 개선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셀룰라제를 처리한 후에 아세톤을 가하여 추출할 경우,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대조군보다는 낮았으나 에탄올 및 메탄올을 가하여 추출할 경우보다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를 종합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을 셀룰라제로 전처리한 후에 사용할 용매를 아세톤으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5: 아세톤의 처리비율 결정
상기 실시예 1-4에서 민들레 잎 추출물을 셀룰라제로 전처리한 후에 사용할 용매를 아세톤으로 결정하였는 바, 셀룰라제를 가하고 반응시킨 후, 처리하는 아세톤의 비율에 따라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여, 상기 반응물과 합쳐진 최종부피의 30, 40, 50, 60, 70 또는 80%가 되도록 아세톤을 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각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한 후,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7). 이때, 대조군으로는 아세톤을 가하지 않고 추출한 민들레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셀룰라제 반응후 아세톤의 처리비율에 따른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아세톤의 처리비율(%)*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대조군
30
40
50
60
70
80
60.1
53.3
47.6
45.5
40.1
32.6
28.2
19.0
52.8
66.1
70.2
65.4
55.3
42.2
27.8
65.7
83.8
88.0
78.5
70.5
53.9
*아세톤의 처리비율은 효소처리 반응물과 합쳐진 최종부피에 대하여 가해지는 아세톤의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증가할 수록 수율이 감소하고, 특히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70% 이상인 경우에는 수율이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50%까지는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증가할수록 염증 개선효과가 향상되었고,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50%인 경우에 가장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아세톤의 처리비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는 염증 개선효과가 점차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수율과 염증 개선효과를 종합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시 적절한 아세톤의 처리비율을 40 내지 60%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1-6: 민들레 잎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의 결과를 반영한 최적의 조건을 수행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00g의 민들레의 잎에 2L의 물을 가하고, 30ppm의 셀룰라제를 가한 후, 60℃에서 100분동안 반응시킨 다음, 50%의 처리비율로 아세톤을 가하여 추출하여, 민들레 잎 추출물("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2 및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들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를, 60℃ 열수추출물(실시예 1-1), 셀룰라제 추출물(실시예 1-2), 그리고 70% 에탄올, 70% 메탄올 또는 70% 아세톤 추출물의 것과 각각 비교하였다(참조: 표 8).
각 민들레 잎 추출물의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
추출방법 수율(%) 염증 개선효과
NO 생성 억제율(%) PGE2 생성 억제율(%)
60℃ 열수추출물
셀룰라제 추출물
본 발명의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
70% 메탄올 추출물
70% 아세톤 추출물
39.2
60.1
45.5
28.5
28.0
26.0
19.9
19.0
70.2
50.3
46.2
57.6
26.9
27.8
88.0
67.5
63.3
75.1
상기 표 8에서 보듯이, 수율의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추출물은 수율의 측면에서 셀룰라제 추출물보다는 낮았으나, 60℃ 열수추출물은 물론, 일반적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서도 훨씬 우수한 수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추출물은 60℃ 열수추출물과 셀룰라제 추출물은 물론, 일반적인 유기용매 추출물에 비해서도 훨씬 우수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1-1 내지 1-5의 결과를 반영한 최적의 조건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민들레 잎 추출물이 수율 및 염증 개선효과의 측면에서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민들레 잎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
관절염을 유발시킨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염증 개선효과를 종래의 관절염 치료제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랫트(Sprague-Dawley rat)의 오른쪽 뒷다리의 부피를 용적법으로 측정하고, 염증 유발물질인 생리식염수에 용해된 3% 카라기난 용액 100μl를 랫트의 오른쪽 뒷다리 관절에 주사하여 관절염을 유발시켰다.
상기 관절염이 유발된 랫트에, 민들레 잎 추출물을 10 및 50m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씩 9일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으로는 어떠한 치료제도 경구투여하지 않은 랫트를 사용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종래의 관절염 치료제인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JAPAN)을 10m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씩 9일동안 경구투여한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는 민들레 잎의 60℃ 열수추출물을 50mg/kg의 투여량으로 1일 1회씩 9일동안 경구투여한 랫트를 각각 사용하였다.
경구투여가 종료된 후, 각 랫트의 오른쪽 뒷다리의 부피를 용적법으로 측정하고, 하기 식 (I) 및 (II)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 또는 치료제의 염증 개선효과를 산출하고, 이를 하기 표 9에 정리하였다.
부종율(edema rate, %) = (B-A)/A x 100................(I)
염증 개선효과(%) = (C-D)/C x 100.....................(II)
상기 식에서,
A는 카라기난 주사 이전에 측정한 부피;
B는 경구투여가 종료된 후에 측정한 부피;
C는 음성 대조군의 부종율; 및,
D는 각 실험군의 부종율을 각각 나타낸다.
민들레 잎 추출물의 관절염 유발 실험동물에서의 염증 개선효과
투여량(mg/kg) 염증 개선효과 (%)
음성 대조군 - -
양성 대조군 10 69.9
비교군 100 8.6
민들레 잎 추출물
20 31.3
100 62.7
상기 표 9에서 보듯이, 민들레 잎 추출물의 관절염 개선효과는 종래의 관절염 치료제인 프레드니솔론의 관절염 치료효과의 약 45%에 불과하지만,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민들레 열수추출물에 비하여는 약 7.3배 증가되었고, 이러한 관절염 개선효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민들레 잎 추출물을 상식할 경우, 관절염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제조
전기 실시예 2를 통하여, 실시예 1-6에서 제조한 민들레 잎 추출물을 상식할 경우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민들레 잎 추출물을, 식품의 제조시 통상의 식품 첨가물과 함께 첨가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염증 치료용 국수의 제조
민들레 잎 추출물 20g, 소맥분 700g, 계란 80g 및 물 20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에 의하여 면대를 제조하여,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염증 치료용 비스킷의 제조
민들레 잎 추출물 20g, 소맥분 700g, 우유 200g 및 계란 8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비스킷 제조방법에 의하여,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염증 치료용 선식의 제조
민들레 잎 추출물 20g, 보리분말 20g, 현미분말 20g, 검정콩분말 20g, 팥분말 20g, 고구마분말 20g, 아몬드분말 20g, 밤분말 20g 및 시금치분말 20g을 혼합하여,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선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4: 염증 치료용 음료의 제조
민들레 잎 추출물 20g,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염증 치료용 콩나물 무침의 제조
민들레 잎 추출물 20g, 고추가루 15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콩나물 무침용 양념을 제조하고, 전기 제조된 양념 200g과 콩나물 5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염증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콩나물 무침을 제조하였다.

Claims (2)

  1. (ⅰ) 민들레 잎과 물을 1:10 내지 1:30의 비율(w/v)로 혼합하고, pH 3.5 내지 4.5가 되도록 적정한 다음, 셀룰라제를 가하여 50 내지 70℃에서 80 내지 120분간 반응시키는 단계;
    (ⅱ) 상기 반응물과 합쳐진 최종 부피의 40 내지 60%가 되도록 아세톤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수득하고, 이를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민들레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KR1020090034928A 2009-04-22 2009-04-22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20100116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28A KR20100116292A (ko) 2009-04-22 2009-04-22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28A KR20100116292A (ko) 2009-04-22 2009-04-22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92A true KR20100116292A (ko) 2010-11-01

Family

ID=43403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28A KR20100116292A (ko) 2009-04-22 2009-04-22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6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60B1 (ko) * 2013-09-17 2014-03-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들레를 이용한 전병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60B1 (ko) * 2013-09-17 2014-03-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민들레를 이용한 전병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781B1 (ko) 숫누에번데기를 주원료로 한 환(丸) 제품의 제조방법
KR100715653B1 (ko) 성장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KR20170068901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제 조성물
KR101020481B1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조청의 제조방법
KR101149136B1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20100116292A (ko) 민들레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KR101337395B1 (ko) 알레르기성 비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7239B1 (ko) 천문동 추출물로부터 제조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4565A (ko) 엉겅퀴 및 민들레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20504144A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72517B1 (ko) 토란분말과 쑥갓분말을 포함하는 고혈압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KR101337392B1 (ko) 돈지 및 죽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N105533644A (zh) 一种清热泻火的火锅蘸料酱及其制备方法
CN106974285B (zh) 一种中药组合物及其应用
KR101890495B1 (ko) 민들레 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72260A (zh) 一种含肉桂油的低糖栗子夹心饼及其制作方法
KR1017759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536659A (zh) 一种调整气血功能障碍的中药及其配制方法
KR20200014567A (ko)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664204A (zh) 一种生姜多糖口服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