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829A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829A
KR20100114829A KR1020100031719A KR20100031719A KR20100114829A KR 20100114829 A KR20100114829 A KR 20100114829A KR 1020100031719 A KR1020100031719 A KR 1020100031719A KR 20100031719 A KR20100031719 A KR 20100031719A KR 20100114829 A KR20100114829 A KR 20100114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otrusion
lock
groove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912B1 (ko
Inventor
히로카즈 우메하라
타케시 구마자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케이블 커넥터의 케이블이 뜻하지 않은 힘을 받아도,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케이블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한쪽이, 후방의 위치에서 측벽면에 로크 돌기부(21)를 갖고, 다른 한쪽이 로크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로크 홈부(57)를 갖고, 양(兩)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嵌合) 종료의 자세로 끼워맞춤 방향으로 근접했을 때에는 로크 돌기부(21)와 로크 홈부(57)가 간섭하여,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이 상향 경사져 근접했을 때에 로크 돌기부의 홈 내로의 진입을 허용하여, 로크 돌기부(21)가 로크 홈부(57) 홈 안쪽부 위치까지 진입한 후에 상향 경사가 해제되어 케이블 커넥터(10)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가 된 후는, 케이블 커넥터(10)가 이 자세를 유지하여 끼워맞춤 방향과는 반대의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했을 때, 로크 돌기부(21)가 로크 홈부(57)의 돌출부(59)에 맞닿아 케이블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하우징의 둘레면(周面)에 형성된 끼워맞춤면에서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끼워맞춤면이 측벽면과 이에 직각인 단벽면(端壁面)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가 후방의 단벽면을 케이블의 연출(extension)측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내측을 향하는 측벽면에 끼워맞춤 돌기부를 가져 케이블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상기 끼워맞춤 돌기부가 걸리도록 하여 커넥터의 이탈을 도모하는 로크 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당해 로크 수단은, 케이블의 연출측이 되는 후방부의 위치에서, 상기 측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측벽면에는 전방부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캠면이 양(兩)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 케이블을 후방으로 당기면, 그 힘이 상기 양 커넥터의 캠면에서 상방향, 즉, 커넥터 빠짐(拔出) 방향의 힘의 성분을 생기도록 되어 있어, 이 힘에 의해 상기 로크 수단에서의 로크 힘에 저항하여, 커넥터의 빠짐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033150호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케이블 커넥터의 케이블을 후방으로 당기는 힘이, 의도적으로 가해지는 경우는 물론, 뜻하지 않게 가해졌을 때라도, 상기 캠면에서의 빠짐 방향의 힘의 발생에 의해, 로크 수단이 해제되어 커넥터가 빠져어 버리는, 즉 의도하지 않은 이탈을 일으켜 버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는 케이블에 뜻하지 않은 힘, 게다가, 빠짐 방향 성분을 갖는 힘이 가해져 버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뜻하지 않은 힘이 케이블에 작용하면,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단순한 케이블 연출 방향의 힘이라도, 상기 캠면의 작동에 의해 상방향의 성분의 힘이 발생하여 커넥터가 빠져 버린다. 또한, 케이블에 작용하는 뜻하지 않은 힘에, 원래 상향 성분을 수반하고 있으면, 상기 빠짐 경향은 더욱 강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케이블에 뜻하지 않은 힘이 작용해도, 그리고, 그 힘이 상향 방향의 성분을 수반해도, 케이블 커넥터를 의도적으로 빼내지 않는 한, 이탈하지 않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하우징의 둘레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면에서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고, 끼워맞춤면이 측벽면과 이에 직각인 단벽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가 후방에 위치하는 단벽면을 케이블의 연출측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쪽이, 전후 방향에서 후방의 단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측벽면에 돌기부 전방둘레부(前緣)와 돌기부 후방둘레부(後緣)가 형성된 로크 돌기부를 갖고, 다른 한쪽이 전후 방향에서 당해 로크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측벽면에 홈부 전방둘레부와 홈부 후방둘레부가 형성된 로크 홈부를 갖고, 당해 로크 홈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의 입구측에 홈 입구부가 형성되고, 홈부 전방둘레부 또는 홈부 후방둘레부에 홈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의 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당해 로크 홈부의 홈부 전방둘레부의 최후방 위치와 홈부 후방둘레부의 최전방 위치의 거리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돌기부의 돌기부 전방둘레부의 최전방 위치와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최후방 위치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에 있어서의 자세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했을 때에는 상기 로크 돌기부와 로크 홈부가 간섭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후단보다도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이간(離間)하도록 상향 경사져 근접했을 때에 당해 로크 돌기부의 홈부 안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여, 당해 로크 돌기부가 로크 홈부 홈 안쪽부 위치까지 진입한 후에 상기 상향 경사가 해제되어 케이블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가 된 후는, 당해 케이블 커넥터가 이 자세를 유지하여 끼워맞춤 방향과는 반대의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고 혹은 후단측이 들어올라가도록 하여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했을 때, 상기 로크 돌기부가 상기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맞닿아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는, 케이블 커넥터는, 반(反)케이블 연출측인 전단이 상향 경사 자세가 되어, 로크 돌기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홈부 내로 진입하고, 그런 후,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강하하여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를 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끼워맞춤된 후, 케이블 커넥터는, 이 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인 채로 빠짐 방향으로 들어올려져도, 혹은, 케이블 연출측인 후단이 들어올려지도록 하여 케이블이 후방으로 당겨져도, 로크 돌기부가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맞닿아 이 케이블 커넥터의 빠짐이 저지된다. 뜻하지 않게 작용하는 힘은,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에 작용하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의 후단이 상향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뜻하지 않은 힘에 의한 커넥터의 이탈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의도적으로 케이블 커넥터를 빼낼 때는,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을 상향 자세로 하고 나서 들어올리면, 커넥터 끼워맞춤시와 반대의 요령으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커넥터 끼워맞춤 후에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을 상향 자세로 하는 것은, 뜻하지 않은 힘이 작용했을 때와는 반대의 자세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빼낼 때밖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크 돌기부가 케이블 커넥터에 형성되고, 로크 홈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도, 혹은, 로크 돌기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되고, 로크 홈부가 케이블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상향 경사 자세인 상태에서,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로크 돌기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로크 홈부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려면, 로크 돌기부의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적어도 한쪽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의 앞쪽을 향하여 후단측으로 기울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로 하면,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상향 경사로 하는 각도만큼, 상기 경사시키는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적어도 한쪽은 끼워맞춤 방향에 근접하기 때문에, 로크 홈부의 홈 입구부로 진입 가능해진다. 그때, 상기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가 평행하다면, 모두 끼워맞춤 방향에 근접하기 때문에, 홈 입구부로의 진입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는, 커넥터의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에서, 로크 홈부의 돌출부와의 근접 대향부가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부를 가짐으로써, 로크 돌기부는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 위치의 자세가 된다. 따라서 끼워맞춤시에 이 끼워맞춤 종료 위치의 자세로 용이하게 이동하고, 그리고 뜻하지 않은 들어올림시에는, 곧바로 돌출부에 맞닿아, 케이블 커넥터의 이탈 방지에 곧바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의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시에, 전단측에서 서로 걸리는(engaging) 걸림부와 피(被)걸림부를 각각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드문 일이지만, 케이블 커넥터가 전단측에서 뜻하지 않게 들어올려지려고 하는 힘을 받아도, 상기 걸림부와 피걸림부와의 걸림에 의해, 케이블 커넥터는 전단이 상향 자세가 되는 일은 없고,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저벽부(底壁部)에, 상향 경사시의 케이블 커넥터의 후방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절결부(cut-away)가 후방에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벽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케이블 커넥터의 후방부가 상기 절결부에 있어서의 공간에 들어가도록 하여 전방부가 상향 자세를 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쪽이 그 측벽면에 로크 돌기부, 그리고 다른 한쪽이 그 측벽면의 대응 위치에 로크 홈부를 갖고,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후단보다도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이간하도록 상향 경사져 근접했을 때에 당해 로크 돌기부의 홈 내로의 진입을 허용하여, 당해 로크 돌기부가 로크 홈부 홈 안쪽부 위치까지 진입한 후에 상기 상향 경사가 해제되어 케이블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가 된 후는, 당해 케이블 커넥터가 이 자세를 유지하여 끼워맞춤 방향과는 반대의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고 혹은 후단측이 들어올라가도록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부가 상기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맞닿아 당해 케이블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의 후단으로부터 연출하고 있는 케이블을 뜻하지 않게 당겨도, 그리고 그 당기는 힘이 설령 상향 성분을 수반하고 있어도, 로크 돌기부가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맞닿아, 케이블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이탈하는 일은 없다. 케이블을 당기는 뜻하지 않은 힘은, 대부분의 경우, 상기의 상향 성분을 수반하고 있어, 이러한 힘에 대하여, 본 발명은 확실하게 대처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Ⅱ―Ⅱ선에서의 케이블 커넥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그리고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Ⅲ―Ⅲ선에서의 케이블 커넥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그리고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Ⅳ―Ⅳ선에서의 케이블 커넥터 및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그리고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그리고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그리고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10)는 케이블 커넥터로서, 당해 케이블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리셉터클 커넥터(50)에 끼워맞춰져,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 커넥터(10)는,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 체를 이루는 전기 절연재의 하우징(11)을 갖고, 케이블(C)이 결선(結線)된 단자(端子)를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1)의 내부에는 2개의 단자가 지지되어 있어, 하우징(11)의 후방의 단벽면(12)에 형성된 2개의 개구부(13)로부터, 각 단자에 결선된 케이블(C)이 각각 후방으로 연출하고 있다.
도 2(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단자(30)는 압착 단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압착 단자에 한정하지 않고, 압접 결선, 납땜 결선 등의 다른 방법으로 결선되는 단자라도 좋다. 상기 단자(30)는, 금속판을 성형하고 그리고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띠 형상의 평판부(31)와, 당해 평판부(31)의 양측 둘레부로부터 쌍을 이루어 연장되는 지지편(32), 압착편(33), 걸림편(34) 그리고 접촉편(35)을 순서대로 갖고 있다. 이러한 단자(30)에 결선되는 케이블(C)은 선단부에서 외피(外皮; C1)가 제거되어 있어, 심선(core wire; C2)이 노출되어 있다. 상기 단자(30)의 지지편(32)은 케이블(C)의 외피(C1)를 꽉 조이도록 구부러져 케이블(C)을 지지하고, 압착편(33)은 심선(C2)을 꽉 조이도록 구부러져 당해 심선(C2)과 압착 결선되어 있다. 걸림편(34)은, 심선(C2)보다도 전방(도 2에서 우측)에 있으며, 후술하는 하우징이 대응시키는 걸림단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걸려져 케이블 장착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한 쌍의 접촉편(35)은 연출 방향(도 2에서 하방향) 중간 위치에서, 잘록해진 목구멍 형상부(35A)를 갖고, 한 쌍의 접촉편(35)의 사이에 하방으로부터 진입하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판 형상의 단자를 끼워 눌러 당해 단자와의 접촉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1)은, 도 2(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C)이 결선된 단자(30)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1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단자구멍(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단자구멍(14)은 전방의 단벽면(15)에 관통 개구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11)의 전방부에서 저벽(16)으로도 하방에 개구하고 있어 상기 전방의 단벽면(15) 쪽 부분에 단자 진입 슬릿(17)을 형성하고, 그 후방에 걸림구멍(1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단자 진입 슬릿(17)은, 상기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판 형상의 단자의 진입을 위해 그 판두께보다 약간 큰 폭(도 2(A)에서 지면(紙面)에 직각 방향의 슬릿 폭)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단자 진입 슬릿(17)의 후방에서 당해 단자 진입 슬릿(17)에 인접하는 걸림구멍(18)은, 당해 단자 진입 슬릿(17)보다도,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큰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단자(30)의 한 쌍의 걸림편(34)이 상방으로부터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걸림구멍(18)의 후단을 이루는 하우징(11)의 저벽(16)의 끝둘레부는 걸림단(16A)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34)의 후퇴를 저지한다. 당해 걸림편(34)은, 단자(30)를 단자구멍(14)으로의 삽입시, 당해 걸림편(34)과 저벽(16)과의 사이의 상대적 탄성 변위에 의해 전진하여 걸림구멍(18)의 위치에까지 달하여 상기 걸림단(16A)과의 걸림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하우징(11)은, 전단에 상벽의 연장부로서, 당해 전단을 집어 들어올리기 위한 들어올림편(19)을 갖고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후방 그리고 전방의 단벽면(12,15)과 함께 측벽면(20)이 둘레면을 이루고,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50)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면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측벽면(20)에는, 그 후방부 위치에 로크 돌기부(21)가 그리고 전방부 하부둘레부 위치에 걸림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로크 돌기부(21)는, 도 1 그리고 도 3(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돌기부 전방둘레부(21A), 돌기부 후방둘레부(21B)를 갖고, 양자(21A,21B)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즉 도 1에서 하방을 향하여 커넥터의 후단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의 상방에는 경사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돌기부(21)의 하부둘레부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부(21D)가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한편, 걸림부(22)는, 하우징(11)의 하부둘레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걸림부(22)에는, 그 상부둘레부 그리고 하부둘레부에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시의 상대방인 후술하는 피걸림부와의 걸림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부(22A,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22)는 하우징(11)의 측벽부(20)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10)를 받아들이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하우징(51)은, 그 받아들임을 위한 공간으로서 둘레벽과 저벽으로 형성되는 오목부(52)를 형성하고 있다(도 1 참조). 하우징(51)의 둘레벽은, 한 쌍의 평행한 측벽(53), 전단벽(54) 그리고 후단벽(55)을 갖고 있다. 그리고, 둘레벽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저벽(56)은, 그 후방부에, 후방으로 개방된 절결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53)은, 오목부(52)의 안쪽을 향하는 측벽면(53A)의 후방부 위치에 로크 홈부(57) 그리고, 전방부 위치에는 걸림 홈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로크 홈부(57)는, 홈부 전방둘레부(57A)와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 전방둘레부(57A)의 상부에는, 후방으로 향하여 홈부 내로 돌출하는 돌출부(59)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돌출부(59)는, 로크 홈부(57)의 입구측 즉 상부둘레부에, 테이퍼부(59A)를 갖고 있다. 당해 돌출부(59)는, 이 테이퍼부(59A)보다도 아래의 부분이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9B)를 이루고 있지만, 이 형태는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테이퍼부(59A)를 갖는 돌출부(59)로 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홈부 전방둘레부(57A)는 돌출부(59)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방을 향하는 수직 전방둘레부를 이루고 있지만, 이 수직 전방둘레부도 그 형태는 자유로워, 상기 돌출부(59)의 하방에 앞서 기술한 로크 돌기부(21)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면 좋다. 상기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는, 로크 홈부(57)의 입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안내 경사부(57B―1)와 그 하방에 위치하는 수직부(57B―2)를 갖고 있다. 상기 안내 경사부(57B―1)는, 상하 방향에서, 상기 돌출부(59)보다도 하방 위치로까지 미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로크 돌기부(21)와 로크 홈부(57)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치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로크 돌기부(21)는, 케이블 커넥터(10)가, 도 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 즉 케이블 커넥터(10)의 상면, 하면 그리고 케이블이 모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전단이 들어올라가 있지 않은 자세일 때에,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의 최전방 위치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최후방 위치와의 거리(A)가 당해 로크 돌기부(21)의 전후 방향 폭으로서 최대치를 취한다. 이에 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홈부 폭으로서는, 돌출부(59)의 후단 위치와 수직부(57B―2)의 위치와의 사이의 전후 방향에서의 거리(B)가 최소치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리(B)<거리(A)로 되어 있다. 즉, 도 3(A)의 자세로 상기 케이블 커넥터(10)를 그대로 강하시켜도, 로크 돌기부(21)는 로크 홈부(57)의 안쪽부까지는 진입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할 수 없다. 그러나, 도 3(A)에도 보여지는 바와 같이, 로크 돌기부(21)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는 모두 끼워맞춤 방향 앞쪽을 향하여 후단측으로 기울여져 있고, 게다가 양자는 평행하기 때문에, 이 기울여져 있는 각도의 크기 만큼을, 전단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상향 경사시킨 자세로 하면, 그때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거리(A') 그리고 상기 거리(B)와의 관계는, 거리(A')<거리(B)<거리(A)라는 관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 거리(A')는, 리셉터클 커넥터(50)에 있어서의 거리(B)에 대하여, 거리(A')<거리(B)의 관계에 있으며, 따라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측이 들어올라가 있는 상향 경사의 자세로는, 상기 로크 돌기부(21)는 로크 홈부(57)의 안쪽부까지 진입 가능해진다. 또한, 당해 로크 홈부(57)는 돌출부(59)보다도 하방 부분이 상기 로크 돌기부(21)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로크 돌기부(21)는, 수평 상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자세로 돌아가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이 수평 상태의 자세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21)는, 케이블 커넥터가 끼워맞춤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빠질려고 해도, 거리(B)<거리(A)의 관계에서, 상기 돌출부(59)와 간섭하여, 빠질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50)는, 전방 위치에 형성된 걸림 홈부(58) 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projection)로서 피걸림부(60)가 형성되어 있다(도 4도 참조). 상기 걸림 홈부(58)는,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가 진입 가능하게 하는 전후 방향에서의 홈 폭을 갖고 있으며, 상기 피걸림부(60)도 당해 걸림부(22)의 전후 방향 치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되어 있다. 상기 피걸림부(60)는, 걸림부(22)와 동일하게, 상부둘레부 그리고 하부둘레부에, 당해 걸림부(22)와의 걸림과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60A)와 테이퍼부(60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50)에는, 도 1 그리고 도 2(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전단벽(54)의 내면측에 2개의 단자(6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자(61)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과 끼워맞춤 방향의 양자를 포함하는 면으로 퍼지는 판 형상을 이루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하우징(51)의 성형시에 일체적으로, 당해 하우징(51)의 저벽(56)과 전단벽(54)으로 지지되어 있지만, 하우징(51)으로 압입되어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당해 단자(61)는 케이블 커넥터(10)의 단자(20)에 형성된 한 쌍의 접촉편(35)간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부둘레부가 테이퍼부(61A)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저벽(56)에는, 앞서 서술한 대로, 절결부(56A)가 후방으로 해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절결부(56A)는, 전후 방향에서는, 상기 로크 홈부(57)의 홈부 전방둘레부(57A)보다도 후방에 형성되고, 폭 방향, 즉 양측의 측벽(53)의 대향 방향으로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10)의 같은 방향 폭에 걸치는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0)는, 끼워맞춤 과정에서, 이 절결부(56A)에 케이블 커넥터(10)의 후방부(케이블 연출측 부분)가 들어가도록 하여, 커넥터의 전단측이 들어올라가는 상향 자세를 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끼워맞춤 접속의 요령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축선의 위치인 Ⅱ―Ⅱ 위치에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단면과 이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로크 홈부(57)의 범위 내의 위치인 Ⅲ―Ⅲ 위치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50)와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양단자(61)를 통과하는 Ⅳ―Ⅳ 위치에서의 단면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내지 도 4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A)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는 끼워맞춤 도중, (C)는 끼워맞춤 종료시를 나타내고 있다.
(1) 우선, 단자(30)에 케이블(C)이 결선된 케이블 커넥터(10)를, 도 2(A), 도 3(A), 도 4(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 즉, 케이블 커넥터(10)가 수평 자세로 케이블(C)이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상방 위치로 가져온다.
(2) 그런 후, 케이블 커넥터(10)를 그대로의 자세에서 강하된다. 이 자세에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거리(A)는, 도 3(A)에 보여지는 것 같이, 같은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의 폭(거리(B))보다도 크기 때문에, 상기 자세인 채로는, 로크 돌기부(21)가 이 로크 홈부(57)의 안쪽부까지는 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당해 로크 돌기부(21)는 로크 홈부(57)의 홈부 전방둘레부(57A)와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적어도 한쪽에 맞닿는다(도 3(B)에 있어서의 2점 쇄선의 자세).
케이블 커넥터(10)는, (1)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상방 위치로 가져오게 될 때, 도 3(A)의 수평 자세를 취하지 않고, 상향 자세를 취하여 그대로 강하하여 도 3(B)의 실선의 자세가 되도록 강하해도 좋다.
(3) 다음으로,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측을 들어올리도록, 당해 케이블 커넥터(10)를 상향 자세로 한다. 이 상향 자세로는, 로크 돌기부(21)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사이의 거리(A')는 거리(A)보다도 작아, 당해 로크 돌기부(21)는 그 돌기부 후방둘레부(21B)가 상기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안내 경사부(57B―1)로 안내되어 로크 홈부(57) 내로의 진입이 진행하여, 로크 홈부(57)의 안쪽부까지 도달한다(도 3(B)에 있어서의 실선의 위치 및 자세). 이때, 로크 돌기부(21)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부(21C)의 하단은, 도 3(B)에 있어서의 실선으로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돌출부(59)의 하부둘레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4) 그런 후, 케이블 커넥터(10)를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 즉, 도 3(A)에 있어서의 자세와 동일해지도록,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측을 강하시킨다. 당해 케이블 커넥터(10)는, 로크 돌기부(21)측을 중심으로 하여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최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수직부(57B―2)에 맞닿으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향 자세가 해제되어, 수평이 되어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를 취한다(도 3(C) 참조). 상기 회전시, 경사부(21C)는, 돌출부(59)의 하부둘레부에 근접한 상태에서, 홈부 전방둘레부(57A)에 가까워져, 상하 방향에서는 돌출부(59)와 간섭하는 위치, 즉, 로크 위치에 와 있다.
(5) 한편, 케이블(10)이 그 전단측이 강하하도록 회전할 때,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피걸림부(60)를 넘어 당해 피걸림부(60)의 하측에 위치하고, 피걸림부(60)에 대하여 걸려진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10)의 단자(30)의 한 쌍의 접촉편(35)간에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단자(61)가 진입하여, 양자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6) 이와 같이 끼워맞춤이 종료되어 리셉터클 커넥터(50)에 대하여 접속된 케이블 커넥터(10)는, 끼워맞춤 후에 뜻하지 않은 후방으로의 힘이 케이블(C)에 작용해도, 게다가 그 뜻하지 않은 힘이 상향 성분을 수반하고 있어도, 로크 돌기부(21)가 로크 홈부(57)의 돌출부(59)와 맞닿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10)는 끼워맞춤 종료시의 수평 자세를 유지하고, 혹은 전단측이 하방을 향하는 하향 자세를 취할 뿐으로, 케이블 커넥터(10)가 빠져 버릴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의 전단측에서,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피걸림부(60)가 서로 걸려 있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10)에 전단측을 들어올리려고 하는 다소의 힘이 작용해도, 전단측이 상향 자세를 취하는 일이 없고, 따라서 로크 돌기부(21)와 돌출부(59)와의 간섭과도 서로 작용하여, 케이블 커넥터(10)의 빠짐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7) 케이블 커넥터(10)를 의도적으로 빼낼 때에는,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에 형성된 들어올림편(19)에 비교적 큰 힘을 상방향을 향하여 작용시킨다. 이 힘은,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와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피걸림부(60)와의 사이의 걸림력에 저항하여, 이 걸림을 해제하고, 케이블 커넥터(10)를 전단측이 들어올라가는 상향 자세에 가져온다. 이 자세는, 도 3(B)에 있어서의 실선의 자세와 동일하며, 로크 돌기부(21)는 돌출부(59)와 간섭하는 일이 없이 로크 홈부(57)의 외부로 상승할 수 있어, 케이블 커넥터(10)의 빼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형태 이외에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상부인 안내 경사부(57B―1)가 당해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상하 방향 중앙 위치를 약간 넘은 범위까지에서, 그 하방에 수직부(57B―2)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5의 형태에서는 상기 안내 경사부(57B―1)가 거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돌기부(21)는, 그 돌기부 후방둘레부(21B)가 상기 안내 경사부(57B―1)에 면접촉된 경사 상태에서, 즉 케이블 커넥터(10)의 전단이 상향 상태에서, 슬라이드하도록 로크 홈부(57) 내로 진입한다. 그때, 로크 돌기부(21)의 전후 방향(케이블 연출 방향)에서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거리(A)와, 상기 안내 경사부(57B―1)에 직각인 방향에서 측정한 당해 안내 경사부(57B―1)에서 돌출부(59)까지의 최소의 거리(B')와, 전후 방향에서 측정한 상기 안내 경사부(57B)에서 돌출부(59)까지의 최소의 거리(B)와의 관계가, 거리(B)<거리(A)<거리(B')로 되어 있어, 상기 상향 상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진입 후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최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안내 경사부(57B―1)에 맞닿으면서, 이 상향 자세가 해제됨으로써 수평 자세로 된 케이블 커넥터(10)는 그 자세로 들어올려져도 로크 돌기부(21)가 상기 돌출부(59)와 간섭하여, 그 자세로는 케이블 커넥터(10)가 빠질 수 없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케이블 커넥터(10)의 측벽면(20)에 형성되어 있던 걸림부(22)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측벽면(53A)에 형성되어 있던 피걸림부(60)를 전단벽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예에서는,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는 들어올림부(19)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아암체(22'A)의 선단에 형성된 갈고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피걸림부(60')는 전단벽의 외면(外面)에, 커넥터 폭 방향(도 5에서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형태에서는, 상기 걸림부(22')는, 도 5(A)의 끼워맞춤 전, 도 5(B)의 끼워맞춤 도중의 상태를 거쳐, 도 5(C)의 끼워맞춤 종료의 상태에서, 피걸림부(60')에 걸린다. 이 도 5의 형태는, 상기 걸림부(22')와 피걸림부(60') 이외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형태와 동일하다.
도 1 내지 도 5의 형태에서는, 로크 돌기부가 케이블 커넥터에, 그리고 로크 홈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도 6의 형태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케이블 커넥터(10)에 로크 홈부(57)이,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50)에 로크 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서는 케이블 커넥터(10)라도, 로크 홈부(57)에 관해서는 도 1과의 대응의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하게 50번대의 부호를,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50)라도 로크 돌기부(21)에 관하여 20번대의 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홈부(57)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를 상하 반전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도 6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돌기부는 도 1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를 상하 반전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나는 로크 돌기부(21)와 로크 홈부(57)의 위치 및 자세는, 이 도 6을 상하 반전하여 지면의 반대쪽으로부터 보면, 도 3(C)의 위치 및 자세와 동일해진다. 따라서, 도 6(A)에 있어서의 끼워맞춤의 상태는, 리셉터클 커넥터(50)가 하방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10)로 끼워맞춤된다고 생각하면, 상대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와 동일하며, 따라서, 같은 부호로 나타나는 각 부위의 위치 관계도 동일해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나타나는 형태에 있어서는, 로크 돌기부(21')가 케이블 커넥터(10)에 형성되고 그리고 로크 홈부(57')가 리셉터클 커넥터(50)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형태와 동일하지만, 로크 돌기부(21')의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형태가 상이하고, 로크 홈부(57')의 돌출부(59')가 홈부 후방둘레부(57'B)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로크 돌기부(21')는, 도 3(B)에 있어서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경사부(21C)와 동일한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경사부(21'C)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돌기부 후방둘레부(21'B)는, 케이블 연출 방향(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수직부(21'B―1)와, 그 하방 위치에 하방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경사부(21'B―2)를 갖고 있다.
한편, 로크 홈부(57')는 전방둘레부 돌출부(59'A)와 후방둘레부 돌출부(59'B)가 각각 홈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둘레부 돌출부(59'A)는, 도 3의 홈부 전방둘레부에 있어서의 돌출부(59)보다도 돌출량은 작다. 또한, 상기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안내 경사부(57'B―1)와 수직부(57'B―2)의 사이에는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둘레부 돌출부(59'B)는 안내 경사부(57'B―1)가 수직부(57'B―2)보다도 홈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둘레부 돌출부(59'B)의 돌출량, 즉 계단부의 크기는, 상기 전방둘레부 돌출부(59'A)의 돌출량보다도 크다.
도 7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21')의 수평 자세시의 전후 방향 거리(A) 그리고 상향 경사시의 전후 방향 거리(A'), 그리고 로크 홈부(57')의 전후 방향의 최소 홈 폭의 거리(B)의 관계는, 도 3(A)에 있어서의 거리(A), 거리(A') 그리고 거리(B)와 각각 동일하게, 거리(A')<거리(B)<거리(A)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커넥터 전단측에 있어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피걸림부(60')는, 도 3에 있어서의 걸림부(22) 그리고 피걸림부(60)와 동일하다.
이러한 형태의 케이블 커넥터(10)는, 도 7의 실선으로 나타나는 전단이 상향 자세로 리셉터클 커넥터(50)의 상방 위치로부터 강하하여, 2점 쇄선의 위치로 가져오게 되고, 그런 후, 전단의 상향 자세가 해제되어 수평 자세가 되어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가 된다. 이 끼워맞춤의 과정에 있어서, 전단이 상향 자세인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의 거리(A')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의 홈 폭인 거리(B')보다도 작기 때문에, 상기 상향 자세인 채 로크 돌기부(21')는 로크 홈부(57')의 안내 경사부(57'B―1)에서 안내되면서 로크 홈부(57') 내로 진입한다. 로크 돌기부(21')의 하부 경사부(21'B―2)가, 로크 홈부(57')의 후방둘레부 돌출부(59'B)의 위치까지 달하면, 당해 후방둘레부 돌출부(59'B)에 대하여 하부 경사부(21'B―2)가 당해 후방둘레부 돌출부(59'B)의 하방을 향하여 미끄럼 운동하면서 케이블 커넥터(10)는 그 전단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 자세가 되어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에 이른다. 이 끼워맞춤 종료시에는, 상기 하부 경사부(21'B―2)가 후방둘레부 돌출부(59'B)와 상방향에서 간섭하여, 상기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 혹은 케이블(C)이 들어올려지는 전단의 하향 자세에서의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전단측에서의 걸림부(22')가 피걸림부(60')에 걸려지며, 이 걸림을 해제하는 의도적인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다소의 뜻하지 않은 힘이 전단을 들어올리려고 하도록 작용해도 이 걸림은 해제될 수 없어, 커넥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50)와의 끼워맞춤 과정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추가로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에 나타난 형태는 도 3에 나타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끼워맞춤 과정을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로크 돌기부와 로크 홈부의 돌출부의 대향 부분을 연속한 곡선으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도 8(A)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는, 경사부(21C)가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의 상단과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상단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볼록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 전방둘레부(21A)과 돌기부 후방둘레부(21B)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즉 도 8에서 하방을 향하여 커넥터의 후단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그때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와의 거리(A')와, 로크 돌기부(21)의 전후 방향(케이블 연출 방향)에서의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와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거리(A)와, 상기 안내 돌기부(57B―1)에 직각인 방향에서 측정한 당해 안내 경사부(57B―1)에서 돌출부(59)까지의 최소의 거리(B')와, 전후 방향에서 측정한 상기 안내 경사부(57B-1)에서 돌출부(59)까지의 최소의 거리(B)와의 관계가 거리(B)<거리(A')<거리(B')<거리(A)로 되어 있어, 상기 상향 상태의 케이블 커넥터(10)의 로크 돌기부(21)의 진입을 가능하게 하고, 그 하부둘레부의 전방둘레부 그리고 후방둘레부로 비스듬히 절취된 전방둘레 경사부(21F)와 후방둘레 경사부(2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전방둘레 경사부(21F)와 후방둘레 경사부(21E)는,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로의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로크 돌기부(21)의 진입 후,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최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수직부(57B―2)에 맞닿으면서 회전하여, 상향 자세가 해제된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50)의 로크 홈부(57)에 형성된 돌출부(59)는, 그 하부둘레부(59C)가 상기 케이블 커넥터(10)의 경사부(21C)에 적합한 오목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50)에 대하여 정규 상태로 끼워맞춤한 후에, 상방으로 당겨진 경우, 상기 로크 돌기부(21)의 경사부(21C)와 돌출부(59)의 하부둘레부(59C)가 그들 면에서 맞닿게 되어, 서로의 부하가 경감하여 손상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덜거덕거림도 없이 위치가 안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볼록 곡선 그리고 오목 곡선은, 이에 근사하는 1개의 직선에 의해 치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추가로, 리셉터클 커넥터(50)에 형성된 피걸림부(60)에 걸려지는 케이블 커넥터(10)의 걸림부(22)가 상기 피걸림부(60)를 향하여 회전할 때에, 당해 걸림부(22)의 하부둘레부 후단(22C)을 안내하기 위해 안내부(62)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50)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안내부(62)는, 높이 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50)의 하우징(51)의 상부둘레부에서 하부둘레부까지 볼록 곡선을 이루는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8의 형태에서는, 케이블 커넥터(10)는 도 8(A)의 위치로부터 강하하여, 로크 돌기부(21)가 전방둘레 경사부(21F)와 후방둘레 경사부(21E)에서 로크 홈부(57) 내로 도입되고, 그런 후, 도 8(B)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22)의 하부둘레부 후단이 상기 안내부(62)에서 안내되어 경사 상태로부터 수평 상태로 회전하여 당해 걸림부(22)가 상기 피걸림부(60)에 걸려, 도 8(C)와 같이 로크 상태가 된다.
이때, 로크 돌기부(21)는 하방을 향하여 커넥터의 후단측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의 최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전방둘레부(57A)의 수직 전방둘레부에 근접한다.
따라서, 로크 돌기부(21)와 돌출부(59)의 간섭이 보다 깊어지게 되어, 케이블 커넥터(10)의 빠짐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부 후방둘레부(21B)의 최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후방둘레부(57B)의 수직부(57B―2)에 맞닿아, 돌기부 전방둘레부(21A)의 최전방 위치가 로크 홈부(57)의 홈부 전방둘레부(57A)의 수직 전방둘레부에 근접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 덜거덕거림도 없어진다.
본 발명은,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로크 돌기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복수의 로크 돌기부의 돌기부 전방둘레부끼리, 그리고 돌기부 후방둘레부끼리가 실질적으로 연락되는 위치 관계를 갖도록 한다.
또한, 로크 홈부는, 도시한 형태와 같이 측벽의 일면측에 오목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측벽의 벽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10 : 케이블 커넥터
11 : 하우징
21 : 로크 돌기부
21' : 로크 돌기부
21A : 돌기부 전방둘레부
21'A : 돌기부 전방둘레부
21B : 돌기부 후방둘레부
21'B : 돌기부 후방둘레부
21C : 경사부
21'C : 경사부
22 : 걸림부
22' : 걸림부
50 : 리셉터클 커넥터
56A : 절결부
57 : 로크 홈부
57' : 로크 홈부
57A : 홈부 전방둘레부
57'A : 홈부 전방둘레부
57B : 홈부 후방둘레부
57'B : 홈부 후방둘레부
59 : 돌출부
60 : 피걸림부
60' : 피걸림부

Claims (9)

  1. 하우징의 둘레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면에서 서로 끼워맞춤 접속되는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갖고, 끼워맞춤면이 측벽면과 이에 직각인 단벽면(端壁面)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가 후방에 위치하는 단벽면을 케이블의 연출(extension)측으로 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한쪽이, 전후 방향에서 후방의 단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측벽면에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가이 형성된 로크 돌기부를 갖고, 다른 한쪽이 전후 방향에서 상기 로크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측벽면에 홈부 전방둘레부와 홈부 후방둘레부가 형성된 로크 홈부를 갖고, 상기 로크 홈부는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에서의 입구측에 홈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 전방둘레부 또는 홈부 후방둘레부에 홈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커넥터의 끼워맞춤 종료시의 자세에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로크 홈부의 홈부 전방둘레부의 최후방 위치와 홈부 후방둘레부의 최전방 위치의 거리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돌기부의 돌기부 전방둘레부의 최전방 위치와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최후방 위치의 거리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에 있어서의 자세로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하여 근접했을 때에는 상기 로크 돌기부와 로크 홈부가 간섭하여, 케이블 커넥터의 전단이 후단보다도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하여 이간하도록 상향 경사져 근접했을 때에 상기 로크 돌기부의 홈 안으로의 진입을 허용하여, 상기 로크 돌기부가 로크 홈부 홈 안쪽부 위치까지 진입한 후에 상기 상향 경사가 해제되어 케이블 커넥터가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가 된 후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가 이 자세를 유지하여 끼워맞춤 방향과는 반대의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고 혹은 후단측이 들어올라가도록 하여 빠짐 방향으로 이동되려고 했을 때, 상기 로크 돌기부가 상기 로크 홈부의 돌출부에 맞닿아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빠짐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가 케이블 커넥터에 형성되고, 로크 홈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되고, 로크 홈부가 케이블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의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적어도 한쪽은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의 앞쪽을 향하여 후단측으로 기울여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의 경사시키는 돌기부 전방둘레부와 돌기부 후방둘레부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크 돌기부는, 커넥터의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의 자세에서, 로크 홈부의 돌출부와의 근접 대향부가 경사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돌기부 전방둘레부의 상단과 돌기부 후방둘레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속한 볼록 곡선 혹은 직선으로 형성되고, 로크 홈부의 돌출부가 이와 적합한 곡선 혹은 직선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의 정규의 끼워맞춤 종료시에, 전단측에서 서로 걸리는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각각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 제2항, 제3항 그리고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저벽부에, 상향 경사시의 케이블 커넥터의 후방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절결부가 후방에 개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100031719A 2009-04-16 2010-04-07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1168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9978 2009-04-16
JP2009099978 2009-04-16
JPJP-P-2010-011225 2010-01-21
JP2010011225A JP4972174B2 (ja) 2009-04-16 2010-01-21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829A true KR20100114829A (ko) 2010-10-26
KR101168912B1 KR101168912B1 (ko) 2012-08-02

Family

ID=4227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719A KR101168912B1 (ko) 2009-04-16 2010-04-07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1944B2 (ko)
EP (1) EP2242148B1 (ko)
JP (1) JP4972174B2 (ko)
KR (1) KR101168912B1 (ko)
CN (1) CN101867113B (ko)
TW (2) TWI4402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7904B2 (ja) * 2009-04-16 2013-07-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385022B2 (ja) * 2009-06-16 2014-01-0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5312528B2 (ja) * 2011-06-15 2013-10-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774402B2 (ja) * 2011-07-25 2015-09-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一対の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JP5654505B2 (ja) * 2012-01-25 2015-01-14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9240653B2 (en) * 2012-03-27 2016-01-1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Wire-to-board connector
JP6058355B2 (ja) * 2012-07-19 2017-0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12100B2 (ja) * 2012-09-14 2016-10-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5688059B2 (ja) * 2012-10-05 2015-03-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48526B2 (ja) * 2013-04-26 2017-06-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6251500B2 (ja) 2013-06-27 2017-12-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500900B (zh) * 2013-10-18 2015-10-07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扣合式电连接器组合
JP6254542B2 (ja) * 2015-02-10 2017-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6584887B2 (ja) * 2015-02-26 2019-10-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6534829B2 (ja) * 2015-02-26 2019-06-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6483038B2 (ja) * 2016-01-22 2019-03-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と実装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コネクタ
JP6594248B2 (ja) * 2016-04-04 2019-10-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源コネクタ装置
JP2018057124A (ja) * 2016-09-28 2018-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保持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477660B2 (ja) * 2016-10-20 2019-03-06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6813724B2 (ja) * 2016-10-31 2021-01-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EP3588679B1 (en) * 2018-06-29 2023-09-2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rimp and method for producing a crimp
CN116014507A (zh) 2018-07-12 2023-04-25 申泰公司 缆线连接器系统
JP2020107507A (ja) * 2018-12-27 2020-07-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US11374358B2 (en) 2019-07-01 2022-06-28 Amphenol Fci Asia Pte. Ltd. Wire to board connector with low height
CN211295428U (zh) * 2020-02-28 2020-08-18 厦门广泓工贸有限公司 一种贴片连接器
CN113451808B (zh) * 2020-03-26 2024-01-30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装置及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2616A (en) * 1976-08-19 1977-12-13 Amp Incorporated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insulation piercing contacts
US4341430A (en) * 1980-11-05 1982-07-27 Amp Incorporated Flat cable connector
JPS6444580A (en) 1987-08-12 1989-02-16 Hitachi Ltd Method for forming photograph in cad/cam
JPH0528698Y2 (ko) * 1987-09-14 1993-07-23
DE69320019T2 (de) * 1993-01-15 1998-12-17 Whitaker Corp Abgeschirmter elektrischer Verbinder
JPH08148228A (ja) * 1994-11-21 1996-06-07 Amp Japan Ltd 雌型コネクタ
JP3386783B2 (ja) * 2000-07-14 2003-03-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3595940B1 (ja) * 2003-10-23 2004-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WO2005057729A1 (de) * 2003-12-15 2005-06-23 Woertz Ag Kabelverbinder
JP4215265B2 (ja) * 2006-04-28 2009-01-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及び平型導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2009099978A (ja) 2007-09-28 2009-05-07 Nippon Chemicon Corp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分極性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JP2010011225A (ja) 2008-06-27 2010-01-14 Asahi Glass Co Ltd 防爆アンテナ、この防爆アンテナを有する無線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29069A (zh) 2014-07-16
TW201039510A (en) 2010-11-01
CN101867113A (zh) 2010-10-20
KR101168912B1 (ko) 2012-08-02
JP4972174B2 (ja) 2012-07-11
JP2010267604A (ja) 2010-11-25
US8011944B2 (en) 2011-09-06
US20100267269A1 (en) 2010-10-21
EP2242148A1 (en) 2010-10-20
TWI581521B (zh) 2017-05-01
EP2242148B1 (en) 2015-03-04
CN101867113B (zh) 2013-04-10
TWI440262B (zh) 201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912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EP2530787B1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7267562B2 (en) Connector
EP084845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KR20060103203A (ko) 전기 커넥터
JP5312528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EP1378968B1 (en) A connector
JP4062250B2 (ja) コネクタ
KR10154785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21891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US11128090B2 (en) Connector with lock arm having a forwardly open entrance space that receives tip of mating connector to shorten front-rear dimension after connection
JP512979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220231456A1 (en) Connector
JP2001176594A (ja) コネクタ
JP2005190966A (ja) コネクタ
JPS62160673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H08106937A (ja) コネクタ
JP2004103283A (ja) 端子金具、バルブソケット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