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4822A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4822A
KR20100114822A KR1020100023672A KR20100023672A KR20100114822A KR 20100114822 A KR20100114822 A KR 20100114822A KR 1020100023672 A KR1020100023672 A KR 1020100023672A KR 20100023672 A KR20100023672 A KR 20100023672A KR 20100114822 A KR20100114822 A KR 2010011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acker
banknote
guid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706B1 (ko
Inventor
쇼우 미즈노
히데유키 사와야마
류이치 오노모토
마사히로 세구치
리이치 카토우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Advancing Web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트레이를 인출하고 나서 동시에 인출된 반송로를 퇴피 조작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불필요하게 해서, 조작성이 양호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폐 처리 장치(1)에, 지폐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접객 기구부(40)와, 지폐의 계수를 행하는 지폐 계수부(10)와, 지폐를 수납하는 스태커(20)와, 이들을 접속해서 상기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10a~10g)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10a~10g)에 접속해서 지폐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가이드(21, 22)를 상기 스태커(20)에 구비하고, 상기 스태커(20)의 적어도 상기 가이드(21, 22)를 상기 반송로(10a~10g)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분리할 때까지 이동시키는 퇴피 기구(G)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지폐 등의 지엽류(紙葉類)를 처리하도록 한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융기관의 창구 업무에 사용되는 지엽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폐의 입금 거래나 출금 거래를 행하는 ATM이나 CD 등의 현금자동거래장치는, 금융기관이나 편의점 등의 점포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융기관 등에서 사용되는 현금자동거래장치에 실장되는 지폐 처리 장치는, 이용자에게 출금 지폐를 방출하고, 혹은 투입된 입금 지폐를 한 매씩 속출(繰出)하기 위한 지폐 입출금구와, 입금 혹은 출금 지폐를 판별하는 지폐 판별부와, 입금한 지폐를 일단 수납하는 일시 보류부와, 또한 입금 지폐를 수납·보관하고, 출금 지폐 등으로서 속출하기 위한 스태커(stacker)와 상기 각 부분을 접속하는 지폐 반송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가지는 지폐 처리 장치는, 최근 다금종화(多金種化)·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스태커가 장치 하부의 스태커 수납부에 나란히 배치되고, 지폐의 계수·식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계수 처리 부분과 접객(接客) 기구부가 장치 상부에 모아 배치된 지폐 입출금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지폐 입출금기는, 보수나 지폐의 재장전을 위해, 지폐를 수납한 스태커가 장치로부터 빈번하게 착탈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을 가지는 지폐 입출금기는, 스태커 수납부만이 장치에서 인출되고, 용이하게 스태커를 착탈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00-172903호 공보
여기에서, 계수 처리부와 스태커 사이에서, 지폐 등의 지엽류를 좌굴 체류(挫屈滯留)하는 일 없이 주고받기 위해서는, 지엽류 반송로에 반송 가이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엽류가 반송로를 쌍방향으로 왕래하는 구성의 경우, 계수 처리부와 스태커에 빗살 형상의 가이드를 설치하고, 서로의 가이드가 겹치는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는 장치는, 계수 처리부의 가이드와 스태커의 가이드가 서로 상대의 구성 내부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계수 처리부와 스태커 사이에서 지엽류를 주고받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스태커를 시프트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지폐 입출금기는, 선행기술문헌 1의 도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태커 상부에 반송로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 생략되었지만, 계수 처리부와의 지엽류의 주고받기개구를 스태커 상부 반송로부 한 개로 집약하고, 상부 반송로부와 계수 처리부의 주고받기부에서 서로의 가이드를 퇴피(退避)하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폐 입출금기는, 선행기술문헌 1의 도 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레이를 인출하면 동시에 스태커 상부 반송로부도 인출된다. 스태커를 장치로부터 착탈하기 위해서는, 또한 상부 반송로부를 스태커 상부로부터 퇴피하는 조작이 필요해져, 조작성이 나쁜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에 감안하여, 트레이를 인출하고 나서 동시에 인출된 반송로를 퇴피 조작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불필요하게 해서, 조작성이 양호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엽류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주고받기부와, 지엽류의 계수를 행하는 계수 처리부와,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이들을 접속해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에 접속해서 지엽류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수납 접속부를 상기 수납고에 구비하고, 상기 수납고의 적어도 상기 수납 접속부를 상기 반송로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분리할 때까지 이동시키는 분리 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엽류란 지폐, 카드, 종이, 또는 인쇄된 종이 등, 적당한 지엽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트레이를 인출하고 나서 동시에 인출된 반송로를 퇴피 조작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불필요하게 해서, 조작성이 양호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지폐 처리 장치를 탑재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지폐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설명도.
도 3은 가이드의 퇴피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지폐 계수부와 스태커의 가이드 구성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지폐 계수부와 스태커의 가이드 구성을 배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트레이의 인출을 측면도에 의해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실시예 2의 가이드의 퇴피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3의 가이드의 퇴피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의 지폐 처리 장치(1)를 탑재한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외관을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현금자동거래장치(101)는 카드, 지폐, 명세표를 매체로 해서, 이용자의 예입, 지불, 불입 등의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상부에는,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고, 거래 명세표를 인자(印字)해서 방출하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3)를 구비하고, 장치 정면 전방에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고객 조작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하부 좌측에는,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처리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폐 처리 장치(1)는, 상부에 지폐 계수부(10)를 구비하고, 하부에 트레이(30)(인출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레이(30)에는, 개구부(H)(Ha~He)를 상면에 가지는 복수의 수납고로서의 스태커(20)(20a~20e)를, 트레이(30)의 인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 배치한 상태로 수납하고 있다. 각 스태커(20)는, 트레이(30)로부터 개별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현금자동거래장치(101) 하부의 지폐 처리 장치(1)의 우측에는, 경화(硬貨) 처리 장치(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금자동거래장치(101)는 이 경화 처리 장치(105)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현금자동거래장치(101)의 배면에는, 도어(102)가 구비되어 있다. 이 도어(102)를 열면, 지폐 처리 장치(1)의 트레이(30)를 레일(110)에 의해 인출할 수 있고, 인출한 상태에서 스태커(20)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있다. 레일(110)은 트레이(30)와, 지폐 처리 장치(1) 혹은 현금자동거래장치(101)에 구비되어 있다.
지폐 계수부(10)와 트레이(30)는 각각 독립하여 현금자동거래장치(101)에 레일(110)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30)를 인출하는 레일(110)은, 지폐 계수부(10)에 부착되고, 트레이(30)는 지폐 계수부(10)를 통해 현금자동거래장치(101)에 부착되어도 된다.
현금자동거래장치(101)는, 그 외에도, 구성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나, 각 기구가 USB 등의 회선에 의해 접속되는 본체 제어부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에는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지폐 처리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지폐 처리 장치(1)의 상부는, 고객 또는 조작원에게 지폐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지폐 입출구부(41)를 구비하는 주고받기부로서의 접객(接客) 기구부(40)와, 지폐의 계수 식별을 행하는 식별부(42)와, 계수 식별된 후의 지폐가 일시적으로 모이는 일시 보류부(43)를 구비하는 계수 처리부로서의 지폐 계수부(10)에 의해 구성된다.
지폐 처리 장치(1)의 하부는, 지폐를 금종별로 수납하고 출금할 지폐를 속출하기 위한 복수대의 스태커(20)(20a~20e)가 트레이(30)에 탑재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구부(40, 42, 43, 20a~20e)는, 각각 지폐의 수수(授受)를 행하기 위한 반송로(10a~10g) 및 반송로(40a~40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들 반송로(10a~10g) 및 반송로(40a~40b)는 지폐를 쌍방향으로 반송하는 쌍방향 반송로이다.
스태커(20)의 저면과, 트레이(30)의 저상면(低上面)의 사이에는, 스태커(20)가 하강(지폐 계수부(1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B)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1)는 입금 거래, 및 출금 거래라는 처리를 실행한다.
입금 거래를 실행하는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 입출구부(41)에 투입된 지폐를, 접객 기구부(40)에서 1매마다 분리 속출하여, 반송로(40a)에 의해 반송하고, 반송로(10f)를 통과시킬 때에 식별부(42)에 의해 계수 식별한다. 그 후,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를 반송로(10g)에 의해 반송해서 일시 보류부(43)에 수납한다. 투입된 지폐를 모두 일시 보류부(43)에 수납하고 거래 금액이 확정된 후,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를 일시 보류부(43)로부터 1매마다 분리 속출한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를 반송로(10g)에 의해 반송해서 반송로(10f)를 통과시킬 때에 다시 식별부(42)에 의해 계수 식별하고, 반송로(10e)에 도달시킨다. 또한, 지폐 처리 장치(1)는, 반송로(10a, 10b, 10c, 10d)에서, 장치에서 지시된 스태커(20)로 지폐를 수납하고, 입금 거래를 종료한다.
출금 거래를 실행하는 지폐 처리 장치(1)는, 장치에서 지시된 스태커(20)로부터 지폐를 1매마다 분리 속출한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를 반송로(10e)에 의해 반송해서 반송로(10f)를 통과시키고 식별부(42)에 의해 식별 계수한다. 이어서,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를 반송로(40b)에 의해 반송해서 접객 기구부(40)의 지폐 입출구부(41)에 도달시켜, 고객에게 제공하고 출금 거래를 종료한다.
또한, 스태커(20a 내지 20e) 중 어느 하나를, 출금에 제공하지 않는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션(rejection)고로 바꿔 배치해도 된다.
도 3은,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의 반송로를 접속하는 가이드의 퇴피 기구(G)(분리 수단)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의 (a)는 스태커(20)를 상승 위치에 유지해서 가이드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스태커(20)를 하강 위치에 유지해서 가이드가 이간된 퇴피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30)의 하부에는, 승강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대(31)는 트레이(30)의 저판(底板)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사이즈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대(31) 상에, 스태커(20a 내지 20e)가 지폐 처리 장치(1)의 정면(전방)으로부터 배면(후방)을 향해 일렬로 병렬 배치되어서 탑재되어 있다.
승강대(31)의 전방측에는 축(33a)이 설치되고, 이 축(33a)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긴 레버(3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32a)는, 도시에서는 2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1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승강대(31)의 후방측에는, 축(33b)이 설치되고, 이 축(33b)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긴 레버(3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32b)는, 도시에서는 2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1개의 판 형상체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레버(32a, 32b)는, 축(33a, 33b)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축(33a, 33b)보다 하방의 길이가 스태커(20)를 하방으로 퇴피 이동시키고 싶은 퇴피 이동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레버(32a)와 레버(32b)의 각 상부에는, 각각 축(35a)과 축(35b)을 통해 전후로 긴 봉(棒) 형상의 링크(3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링크(34)에 대해, 레버(32a)는 축(33a)을 중심으로, 레버(32b)는 축(33b)을 중심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다.
전방에 설치된 레버(32a)의 상부는, 부채꼴 형상의 기어(3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대(31)는 기어(36)에 구동을 부여하는 동력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동력부(50)는, 도시 생략한 모터에 의해 기어(51)에 회전 구동을 부여한다. 이 기어(51)의 회전 구동은, 기어(52), 기어(53), 기어(54), 기어(55)를 통해 감속되어서, 레버(32a)의 기어(36)에 전해진다.
이렇게 해서 기어(51)로부터 기어(36)에 전달된 구동에 의해, 레버(32a)는 축(33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레버(32b)는, 링크(34)에 의해 레버(32a)의 구동이 전달되어, 레버(32a)와 동기해서 축(33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승강대(31)가 승강하여, 상기 승강대(31)에 탑재 배치된 스태커(20)도 승강한다. 또한, 스태커(20)가 트레이(30)의 벽면에 바로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는, 스태커(20)가 승강대(31)와 트레이(30)에 승강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가이드를 설치하는 등, 스태커(20)가 안정하게 일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30)는, 레버(32a, 32b)의 회전량을 규제하는 스토퍼(3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39)는, 승강대(31)가 상승한 위치에서 레버(32a, 32b)의 회전을 정지하기 위해, 레버(32a, 32b)의 하단부가 축(33a, 33b)의 대략 바로 아래에 위치한 시점에서 회전 규제한다. 또한, 스토퍼(39)는, 전후 중 어느 한쪽만으로 하는, 혹은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동력부(50)는, 기어(53)를 회전시키는 손잡이(56)를 구비하고 있고, 이 손잡이(56)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부채꼴 형상의 기어(36)에 회전 구동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부(50)의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도 수동에 의해 승강대(31)를 상하 동작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바닥면(30b), 승강대(31), 레버(32a, 32b), 축(33a, 33b), 링크(34), 축(35a, 35b), 스토퍼(39), 동력부(50), 기어(51, 52, 53, 54, 55, 36), 및 손잡이(56)에 의해 퇴피 기구(G)가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의 접속부의 가이드 구성을 측면에서 보고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시에서는 스태커(20c)의 예로 설명하고 있다.
도 5는,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와의 접속부의 가이드 구성을 반송로로부터 배면에서 본 도면에 의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로(10b, 10c)에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롤러(16)와, 상기 반송 롤러(16) 등에 종동하는 종동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로(10b, 10c)에는, 지폐를 상기 반송로(10b, 10c)로 반송할지, 스태커(20c)로 반송할지를 분배하는 분배 플래퍼(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배 플래퍼(15)는, 지폐 계수부(1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11)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11)를 따라, 지폐는, 지폐 계수부(10)로부터 스태커(20c)로 반송되고, 또한 스태커(20c)로부터 지폐 계수부(10)로 반송된다.
또한, 이 분배 플래퍼(15)에 의해 분배하는 반송로의 연결 부위에는, 반송 롤러(12)가 설치되고, 이 반송 롤러(12)에 대향해서 종동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12)는, 지폐 계수부(10)의 하방으로 일부 돌출해 있고, 그 돌출 부분이 스태커(20c)의 내부에 침입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스태커(20c)에는, 상기 가이드(11)를 따라 지폐를 수취 및 송출하는 가이드(21, 22)(수납 접속부 및 반송 접속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21)와 가이드(22)는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고, 모두 선단부(돌기)가 상방으로 돌출해서 지폐 계수부(10)에 침입하도록 설치된다. 이 가이드(21)와 가이드(22)는, 도 5의 (a)의 배면측에서 본 가이드(11) 부분의 설명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 형상의 돌기부(21t, 22t)(돌기부(22t)는 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어, 지폐 계수부(10)의 가이드(11)의 빗살 형상의 돌기부(11t)와 서로 엇갈려서 겹치는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21, 22) 사이에 반송로가 형성되어 있어, 이 반송로를 통해 지폐 계수부(10)로의 지폐의 속출이 행해지고, 또한 지폐 계수부(10)로부터 집적한 지폐의 승강대(28)(도 4 참조)로의 수납이 행해진다. 돌기부(11t, 21t, 22t)의 돌출 길이는, 가이드(21, 22) 사이에 형성되는 반송로의 높이(반송하는 지폐의 두께 방향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하의 돌기부(11t, 21t, 22t)가 겹치는 형상으로 맞물린 상태에서 지폐를 안정하게 쌍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입금 거래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 계수부(10)는, 지폐를 가이드(11) 및 분배 플래퍼(15)에 유도하고, 반송 롤러(12)에 의해 스태커(20c)로 반송한다. 스태커(20c)는, 진입한 지폐를 스태커(20c) 내의 피드 롤러(25)와 핀치 롤러(23) 및 게이트 롤러(24)에 의해 반송하여, 가이드(27)를 따라 집적 수납한다.
출금시, 스태커(20c)는, 지폐(A)가 픽업 롤러(26)에 도달하는 위치에까지 승강대(28)를 상승 이동하고, 픽업 롤러(26)에 의해 지폐를 피드 롤러(25)와 게이트 롤러(24)의 협지점(狹持点)으로 보내어, 1매마다 분리 속출한다. 스태커(20c)는 가이드(21), 가이드(22)에 의해 지폐를 유도하고, 지폐 계수부(10)는 가이드(11)와 분배 플래퍼(15)를 통해 반송되는 지폐를 수취하고, 반송 롤러(12)에 의해 수취된 지폐를 지폐 계수부(10) 내로 반송한다.
이렇게 구성된 퇴피 기구(G)에 의해, 스태커(20)를 퇴피시킬 수 있다. 즉, 도 3의 (a), 도 4의 (a),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20)가 지폐 계수부(1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대(31)에 탑재 배치되어 있는 스태커(20)가 상승 상태에 있어,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 형상의 가이드(11)와 가이드(21)가 서로 엇갈려서 맞물려 있다.
여기에서, 지폐 계수부(10)의 외장부(14)의 측방 하단(下端)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돌기(61)가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20)의 외장부(29)의 측방 상단에는, 하방을 향한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구멍(62)이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61)는, 가이드 구멍(62)에 삽입 통과하도록 가이드 구멍(62)의 구멍 사이즈보다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61)와 가이드 구멍(62)의 클리어런스(극간)는, 가이드(11)와 가이드(21)의 빗살 형상의 맞물림 부분의 클리어런스보다 좁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11)와 가이드(21)가 충돌하는 일 없이 일정한 극간을 둔 상태에서 확실하게 맞물림(상승시) 및 이간(하강시)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가이드 돌기(61)를 스태커(20)에 구비하고, 가이드 구멍(62)을 지폐 계수부(10)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조작원에 의해, 지폐 처리 장치(1)로 트레이(30)의 인출이 지시되면, 도 3의 (a), 도 4의 (a), 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동력부(50)의 도시 생략한 모터의 회전 구동이 개시된다. 레버(32a와 32b)는, 트레이(30)의 바닥면(30b)을 따라 회전하고, 승강대(31)를 강하시켜, 도 3의 (b), 도 4의 (b), 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승강대(31)의 하강에 의해, 승강대(31)에 탑재된 스태커(20a~20e)도 동시에 하강하여, 지폐 계수부(10)와의 사이에 공간(C)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가이드(21)가 가이드(11)로부터 이간해서 퇴피한 퇴피 상태로 되어, 스태커(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은 트레이(30)의 인출을 측면도에 의해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퇴피 상태로 되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30)를 후방(퇴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때, 스태커(20)는 하강해 있어 가이드(11)와 가이드(21)가 맞물리지 않고 이간한 상태이기 때문에, 가이드(11)와 가이드(21)가 접촉해서 파손한다는 경우가 없다.
마찬가지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30)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가이드(11)와 가이드(21)가 맞물리지 않고 이간한 상태이기 때문에,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트레이(30)를 인출함으로써, 스태커(2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즉, 지폐 계수부(10)와 반송로(10a~10g)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상부에 그대로 남아있고, 트레이(30)와 스태커(20)만이 인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트레이를 인출하고 나서 반송로를 퇴피시켜서야 스태커를 착탈할 수 있다는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없어,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스태커(20)의 가이드(21, 22)를 지폐 계수부(10)에 다시 접속할 때에는, 도시 생략한 모터에 의해, 기어(51)를 하강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기어(36)에 전달된 회전 구동에 의해, 레버(32a)와 레버(32b)가 트레이 바닥면(30b)을 누르면서 회전하여, 승강대(31)가 상승한다.
승강대(31)의 상승에 의해, 다시 도 3의 (a), 도 4의 (a), 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로 되고, 스태커(20)의 가이드(21, 22)와 지폐 계수부(10)의 가이드(11)의 접속이 완료된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트레이(30)를 인출하고 나서, 동시에 인출된 지폐 계수부(10)의 반송로(10a 내지 10d)를 퇴피 조작한다는 번거로운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여, 조작성이 양호한 지폐 처리 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동력부(50)는, 승강대(31)를 상하 이동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스태커(20)를 일괄해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어, 단시간에 상승/하강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이 상하 이동에 의한 가이드(21, 22)의 퇴피는, 스태커(20)와 지폐 계수부(10)의 지폐의 주고받기 시의 반송 방향(상하 방향)을 따르고 있고, 이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실행하기 때문에, 스태커(20)와 지폐 계수부(10)의 연결부가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트레이(30)를 인출한 후에 다시 수납하고 스태커(20)를 상승시켰을 때에, 반송로의 접속이 어긋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스태커(20)를 상하 이동시키지 않고 트레이(30)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면, 트레이(30)를 수납할 때에 적어도 좌우로 어긋나면 스태커(20)의 돌기부(21t, 22t)와 지폐 계수부(10)의 돌기부(11t)가 접촉해서 파손하게 되지만, 스태커(20)를 하강시켜서 퇴피 상태로 하고나서 트레이(30)의 인출 및 수납을 실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61)와 가이드 구멍(62)의 클리어런스를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의 클리어런스보다 좁아지도록 형성했기 때문에, 스태커(20)의 상하 이동(접속/퇴피)을 양호한 정밀도로 실행할 수 있고, 상하 이동시에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가 충돌해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태커(20)를 하강시킨 퇴피 상태는,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가 완전히 이간한 상태로 했기 때문에, 트레이(30)를 인출 조작 및 수납 조작할 때에,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가 충돌해서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의 지폐의 주고받기부는, 빗살 형상의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를 설치해서 서로 엇갈려서 겹치는 형상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지폐의 주고받기를 쌍방향으로 안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태커(20)의 지엽류의 주고받기용의 가이드(21, 22)가 빗살 형상의 겹치는 형태, 또는 인접하는 처리부의 구성 부품이 서로의 내부에 침입하는 구성이어도, 스태커(20)를 하강함으로써 지폐 계수부(10)와 간섭하는 일 없이 트레이(30)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종래와 같은 스태커의 상부 반송로를 폐지(廢止)해서 스태커 착탈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태커(20)와 지폐 계수부(10) 사이에서의 지폐 주고받기 시의 좌굴 체류의 방지와 스태커(20)의 착탈 작업의 간략화를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하는 승강대(31)의 위치는, 도시 생략한 센서 등을 이용하여 검지하고 제어해도 된다.
또한, 트레이(30)에는, 레버(32a)와 레버(32b)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기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레버(32)는 2개 이상 구비해도 된다.
또한, 승강대(31)와 트레이(30)에는, 승강대(31)의 동작을 규제하는 가이드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예 2]
이어서, 스태커(20)마다 상하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의 반송로를 접속하는 가이드의 퇴피 기구(G)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스태커(20)를 상승 위치에 유지해서 가이드가 접속되어 있는 접속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스태커(20)를 하강 위치에 유지해서 가이드가 이간한 퇴피 상태를 나타낸다.
각 스태커(20)(20a~20e)의 저부에는, 축(82)(82a~82e)을 구비하고, 상기 축(8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레버(81)(81a~81e)를 축(82)에 구비하고 있다. 레버(81)는, 스태커(20)에 내장된 도시 생략한 동력 장치에 의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81)가 수직 상태로 축(82)보다 하방이 긴 상태로부터, 레버(81)가 도시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81)가 스태커(20)의 내부에 격납되어 수평 상태가 되어, 스태커(20)가 하강한다.
스태커(20)의 하강에 의해,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 상부 사이에 공간(C)을 마련할 수 있어, 가이드(11)와 가이드(21, 22)(실시예 1 참조)를 이간시킬 수 있다.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를 다시 접속할 때에는, 도시 생략한 동력 장치에 의해 레버(81)를 하강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레버(81)가 트레이 바닥면(30b)을 누르면서 회전함으로써 스태커(20)가 상승하여, 스태커(20)의 가이드(21, 22)와 지폐 계수부(10)의 가이드(11)의 접속이 완료한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2의 경우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각 스태커(20)를 순서대로 승강시키는 등 개별적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모든 스태커(20)를 일괄해서 동시에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승강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스태커(20)를 상하 이동시키지 않고 가이드만 구동하는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지폐 계수부(10)와 스태커(20)의 연결 부분을 확대한 측면도에 의해 가이드의 퇴피 기구(G)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스태커(20)에는, 지폐 계수부(10)의 반송로와의 접속 부위에 가이드(21a, 22a)를 가지고 있고, 이 가이드(21a, 22a)는, 반송로의 폭방향 외측에서 연결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축(22b)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가이드(21a, 22a)는, 축(22b)에 의해 가이드되어, 지폐의 반송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스태커(20)를 트레이(30)에 장전한 시점에서는, 가이드(22a)와 가이드(21a)는, 도 8의 (a)에 나타낸 하강 위치(퇴피 상태)에 있어, 지폐 계수부(10)의 가이드(11)와 분배 플래퍼(15)는 겹치는 위치 관계로부터 퇴피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일 때, 트레이(30)를 자유롭게 인출함으로써 스태커(20)를 인출할 수 있다.
가이드(22a)와 가이드(21a)는, 스태커(20)에 내장된 도시 생략한 동력 장치에 의해, 상승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도 8의 (b)에 나타낸 상승 위치(접속 상태)에 도달할 수 있어, 지폐 계수부(10)의 가이드(11)와 분배 플래퍼(15)와 겹치는 상태로 할 수 있어서, 지폐를 안정하게 반송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 3의 경우도,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실시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처리 장치에 이용할 수 있고, 그 외에도 카드, 종이, 또는 인쇄된 종이를 처리하는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지폐 처리 장치 10…지폐 계수부
10a~10e…반송로 20…스태커
21,22…가이드 30…트레이
40…접객 기구부 61…가이드 돌기
62…가이드 구멍 G…퇴피 기구

Claims (6)

  1. 지엽류(紙葉類)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주고받기부와,
    지엽류의 계수를 행하는 계수 처리부와,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고와,
    이들을 접속해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로에 접속해서 지엽류의 주고받기를 행하는 수납 접속부를 상기 수납고에 구비하고,
    상기 수납고의 적어도 상기 수납 접속부를 상기 반송로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분리할 때까지 이동시키는 분리 수단을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한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하는 인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고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인출 수단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수납고를 일괄해서 분리하는 구성인 지엽류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고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한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하는 인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고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분리 수단을, 상기 복수의 수납고에 각각 구비하고 동시 또는 비동시에 상기 각 수납고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한 지엽류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측과 상기 수납고측의 각 대향 부위에,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접속부는 빗살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기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반송로는 상기 수납 접속부의 빗살 형상으로 맞물리는 빗살 형상의 돌기에 의한 반송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양쪽 가이드부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수납 접속부와 상기 반송 접속부의 맞물림의 클리어런스보다 작게 형성한 지엽류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접속부를 상기 수납고의 상부에 구비하고, 상기 수납 접속부의 상방에 상기 반송로를 구비하고,
    상기 분리 수단은 상기 수납고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수납 접속부를 분리하는 구성인 지엽류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접속부는 상기 지엽류가 쌍방향으로 반송되는 구성인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0100023672A 2009-04-16 2010-03-17 지엽류 처리 장치 KR101067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9630A JP5294959B2 (ja) 2009-04-16 2009-04-16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09-099630 2009-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822A true KR20100114822A (ko) 2010-10-26
KR101067706B1 KR101067706B1 (ko) 2011-09-28

Family

ID=4295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72A KR101067706B1 (ko) 2009-04-16 2010-03-17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94959B2 (ko)
KR (1) KR101067706B1 (ko)
CN (1) CN1018665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2971B (zh) * 2011-06-07 2015-11-25 日立欧姆龙金融系统有限公司 纸张类收纳库、纸张类处理装置以及现金自动交易装置
TWI456529B (zh) * 2011-07-26 2014-10-11 日立歐姆龍金融系統有限公司 紙片類處理裝置
KR101514390B1 (ko) 2011-07-26 2015-04-22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처리 장치
BR112014010524A2 (pt) * 2011-11-07 2017-04-2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item de papel
JP5845996B2 (ja) * 2012-03-26 2016-01-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JP5949487B2 (ja) * 2012-11-16 2016-07-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搬送装置及び紙葉類取扱装置
KR102347517B1 (ko) * 2015-06-19 2022-01-04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연결반송로를 구비한 매체처리장치
WO2016204463A1 (ko) * 2015-06-19 2016-12-2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연결반송로를 구비한 매체처리장치
CN108475451B (zh) * 2016-02-25 2020-02-07 日立欧姆龙金融系统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
CN106297071A (zh) * 2016-07-27 2017-01-04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纸币切换装置
JP2018083686A (ja) * 2016-11-24 2018-05-3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688A (ja) * 1987-03-30 1988-10-06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JPH09235061A (ja) * 1996-03-01 1997-09-09 Omron Corp 紙葉類収納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4135238B2 (ja) * 1998-12-08 2008-08-20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4325886B2 (ja) * 1998-12-08 2009-09-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3793672B2 (ja) * 1999-10-19 2006-07-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受渡構造
JP2002329231A (ja) * 2001-04-27 2002-11-15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
JP4559697B2 (ja) * 2002-10-24 2010-10-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循環式紙幣入出金機
JP3799320B2 (ja) * 2002-11-15 2006-07-1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カセット及び紙幣取扱装置
JP5089138B2 (ja) * 2006-11-09 2012-12-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20090124600A (ko) * 2008-05-30 2009-12-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
KR20090124599A (ko) * 2008-05-30 2009-12-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자동입출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66509B (zh) 2012-08-29
JP5294959B2 (ja) 2013-09-18
KR101067706B1 (ko) 2011-09-28
JP2010250572A (ja) 2010-11-04
CN101866509A (zh) 201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06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JP5216805B2 (ja) 紙葉類処理装置
EP1413996B1 (en) Circulating type bank note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KR10097387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5742485B2 (ja) 硬貨処理装置
EP2400469B1 (en) Paper sheet handling device
JP3600762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KR940003024B1 (ko) 자동인출장치
JP3390683B2 (ja) 紙幣処理機
JP2014044543A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紙葉類収納庫
JP6263060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6183143B2 (ja) 媒体処理装置
KR101499090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5511109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4172909B2 (ja) 貨幣入金機
JP6187250B2 (ja) 媒体入出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6213141B2 (ja) 媒体処理装置
JPS6351270A (ja) 紙幣収納装置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JP6206170B2 (ja) 小束処理装置
JP3872380B2 (ja) 硬貨入出金機
KR910003488B1 (ko) 자동거래장치
JPH07272055A (ja) 紙幣入出金機
JP2003091762A (ja) 紙幣入出金機
JPH0232492A (ja) 硬貨入出金機の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