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488B1 - 자동거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거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488B1
KR910003488B1 KR1019880001063A KR880001063A KR910003488B1 KR 910003488 B1 KR910003488 B1 KR 910003488B1 KR 1019880001063 A KR1019880001063 A KR 1019880001063A KR 880001063 A KR880001063 A KR 880001063A KR 910003488 B1 KR910003488 B1 KR 91000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unit
banknote
bills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713A (ko
Inventor
요시아키 가리노
야스유키 와카사
가즈나리 스가이
오사무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63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846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18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2291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미타 가츠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880011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거래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제 1실시예의 현금자동거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2 도는 마찬가지로 그 지폐취급기구의 측면도.
제 3 도는 본원 발명의 제 2실시예인 길이반송방식인 지폐취급기구의 구성예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제 4 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마찬가지로 지폐취급기구의 사시도.
제 6 도는 동기구의 계수부의 측면도.
제 7 도는 동 계수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 8 도는 동 장치의 계수부 및 출입구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9 도는 지폐의 잼(jam)제거시의 작업설명도.
제 10 도는 계수부의 구성부분과 그 기본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 11 도 (a)-(d)는 계수부의 구성부분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본원 발명은 통화의 예입과 인출을 행하는 자동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박형(薄形)이고 설치면적이 적어도되며, 또한 통화의 반송트러블에 대한 기기의 보수가 용이한 자동거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거래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공개 제1977-106799호 공보, 동 제 1982-12347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래 조작하는 고객편에서 보면, 안길이방향으로 뻗도록 금고등의 지폐수납상자가 배열되고, 이 배열을 따라서 안길이방향으로 반송벨트가 뻗어 있다. 이것은 고객과 장치사이에서 지폐를 주고 받을 때, 고객이 주고 받기 쉽도록 지폐의 자세 즉 고객측을 향해서 지폐가 이동하도록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현금을 취급하는 이 종류의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안길이치수는 계수부와 금고를 구비한 지폐취급기구의 안길이치수로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폐취급기구의 치수가 가로폭이 지폐치수+α로 되는데 대하여, 지폐반송방향의 치수는 지폐를 분리하고 벨트반송하여 종류별로 계수하고 저장하는등의 지폐취급을 위한 기구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가로폭에 비하여 복수배 커진다.
그리하여,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지폐반송방향의 치수가 장치의 안길이치수로 되기 때문에 장치의 안길이치수가 커져서 설치스페이스가 한쪽으로 치우친방향(전후방향)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치의 이용자측인 앞면이나, 그 반대면인 후면에 도어를 설치하고, 계원에 의한 현금카셋의 출입이나 보수원에 의한 장치의 보수를 하는 경우, 지폐취급기구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는 등 하여, 장치부로부터 상기 지폐취급기구를 꺼내는 조작이 필요하고, 이 때문에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장치의 전후방향의 스페이스가 더욱 길어진다. 또한 이 스페이스가 적은 경우에는 보수의 작업성이 나쁘고, 작업시간이 길어질 염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을 계수기 내부에서의 지폐의 잼제거나 기기의 보수등에 대하여 그다지 배려되어 있지 않으며, 계수기 내부에서의 지폐의 잼제거에는 특수한 도구를 사용하든가, 계수기를 열 필요가 있었다. 계수기를 열 경우에는 계수기의 바깔쪽으로 반송부를 열 필요가 있고, 계수기 내부에서는 지폐의 잼을 제거하는데는 매우 곤란하였다.
또한 종래 기술은 부품의 교환이나, 기기의 수리등, 장치의 보수와 점검에도 많은 노력이나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설치스페이스가 작고, 보수하기 용이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수부에서의 통화의 잼제거 및 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거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제 1 도, 제 2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1 도에 현금자동거래장치(12)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용자는 화살표(11)측에 화살표방향을 향해서 위치하고, 조작패널(17)을 조작한다. 조작패널에는 도시하지 않은 텐키(17a), 거래키(17b), 표시부(17c)등의 거래를 의한 조작키가 배치되어 있다. 조각패널과 동일면에는 이용자가 지폐를 삽입 또는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구(5)를 가지고 있다. 입출금구(5)의 아래에는 입출금상자(3)가 배치되고, 이 상자(3)는 상자(4)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축(6)을 중심으로 가동적(可動的)으로 부착된다.(3)과 (5)로 출입구부를 구성한다. 이용자는 입출금구(5)위쪽에 덮개(5a)의 개폐에 맞추어서 지폐의 입출을 행한다. 본 구성예의 지폐취급기구(9)는 그 계수부(1)의 벨트에 의한 지폐반송방향은 화살표(2)방향이므로, 이용자에 대하여 평행 즉 장치의 폭방향(좌우방향)이다. 또한, 입출금구(5)는 계수시에는 축(6)을 중심으로 90°화살표(7)방향으로 회전하여 입출금상자(3)(변환부, 이동부)이 (3)(1점쇄선으로 표시)으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4)의 위치(실선으로 표시)로 이동한다. 지폐(13)는 핸드(운반부, 머니퓨레이터)(8)에 의해서 상기 위치의 입출금상자(4), 계수부(1), 현금카셋(10)(수납부) 사이를 주고 받고 한다.
상기 핸드(8)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금상자(4)와 계수부(1)사이에 개재하여 배치되고, 그 베이스(8a)에 실린 상태로 가이드봉(8b)을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동시에, 축(8c)을 중심으로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핸드(8)는 베이스(8a)위에 화살표 B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소정위치에서 입출금상자(4), 계수부(1)의 각 스토커(15),(16)와 분리호퍼(14) 및 현금카셋(10)내에 출입할 수 있다.
계수부(1)는 상기 분리호퍼(14)에 핸드(8)에 의해서 보내진 복수매의 지폐(13)를 분리롤러(21)에 의해서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고, 예를들면 고객이 지정한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거나 감별하는 계수기(22)를 통과시킨 다음, 벨트 반송로(1a)를 통하여 계수기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거래용과 비거래용으로 나누어서, 지폐를 보관 유지하는 스토커(15),(16)에 적절히 발송된다. 그리고 이 스토커의 지폐는 핸드(8)에 의해서 꺼내져서, 계수기의 판단결과에 따라서 입출금상자(4) 및 현금카셋(10)에 보내진다.
입출금상자(4)는 제 2 도의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파지기구에 의해서 지폐를 잡은 상태로 화살표 c방향(세로 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지폐(13)가 수평상태(실선으로 표시)에서 핸드(8)와 주고받음이 이루어진다. (12)는 상기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마이크로콤퓨터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다음에, 한 종류의 통화인 경우의 예입과 지불동작예를 설명한다. 예입시, 제 1 도에서 덮개(5a)가 열리고, 이용자(고객)는 지폐를 입출금구(5)에 수직으로 넣는다. 덮개(5a)가 덮인 다음, 입출금상자(3)는 축(6)을 중심으로 90°회전하여 입출금상자(4)의 위치(제 1 도에서 실선을 표시)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13)는 입출금상가(4)내 화살표방향으로 90°회전하여 방향을 바꾼다. 그후 지폐(13)는 수평으로 90°회전하고, 핸드(8)와의 주고받음에 대비한다. 그후 핸드(8)에 의해 지폐(13)는 계수부(1)의 분리호퍼(14)에 보내지고 다시 분리되어서 계수기(22)에 의해서 계수후 스토커(16)에 일시 저장되고, 계수결과가 옳다고 판단되었을 때 다시 핸드(8)에 의해 파지되어서 현금카셋(10)에 수납된다. 다음에 지불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핸드(8)는 현금카셋(10)에서 지폐(13)를 다발상태로 꺼내어 분리호퍼(14)에 보낸다.
분리하여 계수기(22)에 의해서 계수후, 고객이 지정한 소정의 매수만큼 계수된 지폐는 스토커(15)에 저장되고, 다시 핸드(8)에 의해서 파지되어, 이어서 입출금상자(4)에 보내진다. 입출금상자(4)에서 지폐(13)의 방향을 90°회전시킨 후(지폐를 세로방향으로 한 다음) 입출금상자(4)는 제 1 도 입출금상자(3)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덮개(5a)를 열으므로써 이용자는 지폐를 수취할 수 있다. 소정매 계수후, 계수기(22)는 정지하고, 계수후의 남은 지폐는 분리호퍼(14)에서 핸드(8)에 의해서 카셋(10)에 되보내진다. 여기서 핸드(8)와 입출금상자(3),(4)는 벨드 반송로(1a)와 입출금구(5)사이에서 지폐의 자세를 바꾸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핸드(8)의 운동만으로도 직접 입출금구(5)에 지폐를 내밀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수부(1)는 벨트반송로가 장치의 폭방향으로 뻗어 있으므로, 장치의 전후방향의 두께가 다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핸드(8)에 의해서 지폐를 반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핸드(8)부분을 반송벨트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는 지폐의 벨트 반송부에 의한 반송자세(지폐의 길이방향, 폭방향)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특징지어 있지 않다.
다음에, 지폐의 치수의 긴폭방향인 길이방향으로 지폐를 분리반송하는 방식에 의한 제2실시예의 지폐취급기구(9)의 구성예를 제 3 도에 의해 설명한다. 지폐의 반송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19)는 이용자에 대하여 평행 즉 장치의 폭방향이다.
지폐 취급기구(9)의 계수부(l)는 입출금구(24)의 아래에 입출금상자 겸용의 스토커(18)를 배치한다.
상기 구성으로 한 종류의 통화인 경우의 예입과 지불 동작예를 설명한다.
예입시, 덮개(23)가 열려 이용자는 입출금구(24)에 넣어서 스토거(18)에 지폐(13)를 얹어 놓는다. 지폐(13)는 핸드(8)에 의해서 파지되어 분리호퍼(14)로 보내진다. 이어서 1매씩 분리계수되어서 스토커(20)에 저장되고, 다시 핸드(8)에 의해서 파지되어 운반되고, 이어서 현금카셋(10)에 수납된다.
지불시, 현금카셋(10)내의 지폐는 핸드(8)에 의해 꺼내져서 분리호퍼(14)에 보내지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분리계수되어서, 입출금구 겸용의 스토커(18)에 저장된다. 다음에 덮개(23)가 열리므로써 이용자는 입출금구(24)를 통하여 지폐(13)를 수취한다.
여기서, 스토커(18)는 2종류의 통화 예입시 등에는, 일시 보관유지를 위한 스토커가 여분으로 필요하게 되므로 통상의 일시 보관유지를 위한 스토커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의 길이방향에의 벨트반송에 의하여, 지폐취급기구의 반송에 필요한 폭을 더욱 작게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안길이치수와 전후방향치수를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입출금상자 겸용 스토커에 의해 기구가 콤팩트하게 되고, 지폐취급에 필요한 처리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도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운반부로서 핸드(8)를 사용하고 있으나, 핸드(8)부분을 반송벨트로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스토커(18)를 통하지 않고 핸드(8)로 직접 입출금구(24)에 내밀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치 안길이치수의 박형화가 가능하고, 장치의 설치면적이 작아도 되므로 장치의 설치 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보수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 3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 4 도는 본원 발명에 관한 현금자동거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5 도는 이 장치의 지폐취급기구의 사시도, 제 6 도는 이 기구의 계수부의 측면도, 제 7 도는 이 계수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 8 도는 이 장치의 계수부 및 입출금부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9 도는 지폐의 잼제거시의 작업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의 현금자동거래장치(109)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111)를 가진 입출금상자(102)와, 지폐취급기구(112)를 구비하고 있다. (111)과 (103)으로 출입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지폐취급기구(112)는 지폐(114)의 계수부(101)와, 현금카셋(104)(수납부)와, 조작패널(110)과, 핸드(113)(운반부, 머니퓨레이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106)은 입출금상자(102)의 회전부이다. 이 (102)와 (106)으로 변환부(이동부)를 구성한다,
상기 계수부(101)는 제 5 도, 제 6 도 및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2개의 호퍼로 이루어진 호퍼(118)를 가진 분리부(115)와, 감별부(119)와, 반송부(116)와, 스토커(117)를 가진 스토커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감별부(119)는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119a)과 아래쪽 개폐부(119b)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자의 경계면은 서로의 벨트(119c),(119d)의 접촉면이다. 아래쪽 개폐부(119b)를 열으므로써 양 벨트(119c), (119d)는 상하로 나누어지게 된다.
상기 계수부(101)의 1영역에는 분리부(115)와 반송부(116)와 스토커부(120)등을 적정 배치하므로써, 공간부(107)가 설정되어 있다. 이 공간부(197)는 계수부(101)와 입출금상자(102)사이에서의 지폐(114)의 주고받음 및 기기의 보수와 점검에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입출금상자(102)는 회전부(103)의 회전축(106)을 중심으로 하여, 제 6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 위치(102a)와 제 2의 위치(102b)로 이동하고, 다시 회전부(103)를 통해서 제 3의 위치(102c) (제 1의 위치로부터 화살표(122)의 방향으로 90°회전한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 1의 위치(102a)는 입출금부(102)와 이용자(고객)사이에서 지폐(114)를 주고받는 위치이고, 이용자의 편리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 2의 위치(102b)는 계수부(101)에 설정된 공간부(107)내에 있어서, 계수부(101)와 입출금상자(102) 사이에서 지폐(114)를 주고받는 위치이다. 상기 제 3의 위치(102c)는 상기 공간부(107)를 기기의 보수점검을 하기 위해 개방하는 위치이다.
(12)는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125)는 현금카셋(104)내에 출몰하는 클릭을 가진 블록분리부이다. 카셋내에 다수매 퇴적된 지폐를 핸드(113)가 1회에 쥐는 양의 블록만큼 클릭으로 분리하여 핸드의 파지동작을 기다린다.
이용자는 거래시에 조작패널(110) 및 카드, 전표처리부(124)를 조작한다. 그리고 이용자는 입출금부(102)의 덮개(111)의 개폐에 맞추어서 지폐(114)의 출입을 행하고, 카드출입구(125)에서 카드의 출입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취급기구(112)의 계수부(101)에는 공간부(107)가 설정되어 있으며, 지폐(114)의 계수시에는 입출금상자(102)를 회전축(106)을 중심으로 하여 제 4도에 화살표(108)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90°회전시켜 공간부(107)에 넣는다.
지폐(114)는 핸드(113)에 의해서 입출금상자(102), 계수부(101), 현금카셋(104)사이에서 주고 받는다.
다음에 제 5 도에 의해 지폐취급기구(112)에 대하여, 지폐의 예입과 지불동작을 설명한다.
지폐의 예입시에는 입출금상자(102)의 덮개(111)가 열리고, 이용자는 지폐(114)를 입출금상자(102)에 넣는다. 입출금상자(102)의 덮개(111)가 닫힌 다음, 입출금상자(102)는 제1의 위치(102a)로부터 회전부(106)를 중심으로 하여 90°회전 조작된다. 이에 따라, 입출금상자(102)는 공간부(107)내의 제2의 위치(102b)에 설정된다. 여기서 지폐(114)는 입출금상자(102)내에서 수직상태에서 90°회전되어, 수평상태로 면을 바꾼다. 이어서 입출금상자(102)에서 핸드(113)에 의해서 지폐(114)는 꺼내져서 계수부(101)의 분리부(115)의 호퍼(118)의 한쪽으로 보내져 분리 계수된다.
상기 분리부(115)에서 분리, 계수된 후, 지폐(114)는 반송부(116)를 지나, 정상권, 파손권 등으로 나누어서 스토커(117)의 필요한 부분에 저장되고, 수납 가능한 지폐는 다시 핸드(113)에 의해서 일괄 운반되어 현금카셋(104)에 수납된다.
지폐의 지불시에는 미리 핸드(113)에 의해 현금카셋(104)에서 지폐(114)를 꺼내서, 그 지폐(114)를 계수부(101)의 분리부(115)내의 호퍼(118)에 보내놓고, 지불거래의 개시로 어느 한쪽의 호퍼로부터 1매씩 분리하여 이용자의 지시분량만큼 계수한 다음, 스토커(117)의 필요한 부분에 저장하고, 이 스토커에서 핸드(113)에 의해 계수부(101)의 공간부(107)내에서 대기중인 입출금상자(102)에 운반하여 보낸다. 여기서, 입출금부(102)가 회전부(106)를 중심으로 하여 제 4 도에 표시한 화살표(108)와는 반대방향으로 90°회전 조작되어, 제 2의 위치(102b)에서 제 1의 위치(102a)로 이동한다. 그리고 지폐(114)는 입출금부(102)내에서 90°회전 조작되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바뀌고, 이어서 입출금부(102)의 덮개(111)가 열리고, 이용자는 지정한 매수 분량의 지폐(114)를 수취한다.
이어서, 제 6 도에 의해 계수부(101)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계수부(101)는 분리부(115)의 2개의 호퍼(118)내에 적층상태로 지폐(114)를 수납하고, (118a),(118b)의 어느 한쪽의 호퍼에서 그 지폐(114)를 l매씩 분리한 후, 벨트반송하여 감별부(119)를 통해서 계수하고, 반송부(116)에 보낸다.
상기 반송부(116)는 분리, 계수된 지폐(114)를 벨트반송하여, 스토커부(120)에 보낸다.
상기 스토커부(120)는 반송부(116)로부터 받은 지폐(114)를 감별부(119)의 감별결과에 따른 각기 소정의 스토커(117)에 저장한다. 제 7 도는 상기 계수부(101)에 있어서의 지폐(114)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수부(101)가 분리부(115), 반송부(116), 스토커부(12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공간부(107)의 치수(121)를 제 5 도에 표시한 입출금상자(102)의 치수(105)에 대응시켜서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공간부(107)의 치수(121)를 지폐취급기구(112)에 있어서의 지폐(114)의 잼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임의의 치수로 설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계수부(101)의 구성도 분리부(115), 반송부(116) 및 스토커부(120)의 조합을 변환하므로써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 제 8 도에 의해 지폐의 잼제거 및 기기의 보수점검시의 조작을 설명한다.
예입시나 지불시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지폐의 분리와 계수동작증에 계수부(101)에 지폐(114)의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먼저 계원이 입출금상자(102)를 제 2의 위치(102b)에서 제 1의 위치(102a)로 이동시켜, 공간부(107)로부터 퇴거시킨다. 다음에 잼을 제거하기 쉽도록 입출금상자(102)를 제 8 도에 도시한 화살표(122)방향으로 회전시켜 제 3의 위치(102c)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 9 도에 의해 계수부의 각부에 발생하는 지폐의 잼제거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별부(119)에 있어서의 지폐(114)의 잼제거에 대해서는 감별부(119)의 아래쪽을 구성하는 개폐부(119b)를 파선과 같이 공간부(107)에 열어서 제거한다. 이때 감별부의 벨트는 열리므로 제거가 용이하다.
반송부(116)에 있어서의 지폐(114)의 잼의 제거에 대해서는 벨트 롤러부(116b)(개폐부)를 공간부(107)측에 화살표방향으로 열어서 지폐를 제거한다.
다음에, 스토커부(120)에 있어서의 지폐(114)의 잼제기에 대해서는 공간부(107)를 향하여, 각기 벨트롤러부(120a), (120b)(개폐부)를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열어서 제거한다. (120a), (120b)는 각 복수 스토커에 지폐를 안내하는 롤러부이다.
상술과 같이, 계수부(101)를 구성하고 있는 각부의 개폐부를 다른 용도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107)에 여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보수치수가 없어도 되고, 나아가서는 계수부(101)를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한 경우, 현금자동거래장치(109)내에서 인출하지 않고, 잼 상황의 확인과 제거를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것은 기기의 보수, 점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고, 센서나 벨트 등의 교환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0 도는 계수부의 구조부분과 그 기본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계수부(101)의 구성부분은 기본적으로는 분리부(115)와 반송부(116)와 스토커부(120)이다. 그리고 이 제 9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앞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15)를 상부에 배치하고, 스토커부(120)를 하부에 배치하고, 반송부(116)를 이들의 측부에 배치하고 있으며, 또한 분리부(115)와 스토커부(120)사이에 공간부(107)를 확보하고 있다.
제 11 도 (a)-(d)는 계수부의 구조부분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여리가지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 11 도 (a)는 제 9 도에 도시한 배치의 공간부(107)를 축소한 예이고, 계수부(101)를 고정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제 11 도 (b)는 제 11 도 (a)에 도시한 배치에 대하여, 분리부(115)의 배치위치와 스토커(120)의 배치위치를 반대로 한 예를 나타낸다.
제 11 도 (c)는 반송부(116)를 대신한 핸드(124)(핸드 113과는 별도)에 의해서 분리부(115) 및 스토커부(120)의 지폐를 주고 받는 예이다.
제 11 도 (d)는 반송부(116)의 중심을 대칭축으로 하여, 분리부(115)와 스토커부(120)와 대칭위치에 배치한 예이다. 이 이외에 제10도의 분리부(115)와 스토커부(120)를 상하 반대로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감별부(119)의 상측(119a)이 위쪽으로 공간부(107)내에 열리도록 구성되고, 스토커부(120)의 각 반송로(120a),(120b),(120c)와 분할반송로(120d)사이를 열도록 반송로의 벨트접촉면을 위쪽으로 열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토커(120)와 분리부(115)를 동시에 열 수 있으므로, 지폐의 잼을 단시간에 발취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도 및 제 11 도 (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수부(101)의 각부를 장치의 기능, 실장(實裝)스페이스, 가격 등에 따라서 자유로이 선택하고, 임의로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입출금부와의 사이에서 통화(지폐)를 주고 받고, 또한 지폐를 1매씩 분리하고, 반송하고, 계수 등을 행하는 통화취급기구(계수부)의 1영역에 공간부를 설정하는 동시에, 입출금부를 적어도 이용자와 지폐를 주고 받는 제 1 의 위치와, 상기 공간부내에서 상기 계수부와 지폐를 주고 받는 제 2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지폐의 잼 제거시나, 기기의 보수점검시에, 계수부의 1 영역에 설정된 공간부에서 입출금부를 퇴거시켜, 상기 공간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지폐의 잼 제거, 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구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고객에 대하여 지폐가 출입되는 출입구부와, 출입되는 지폐가 수납되는 수납부와, 내장된 벨트로 지폐를 반송하여 계수하는 계수부와, 상기 출입구부와 계수부 사이에서 지폐를 운반하여 주고 받는 운반부와,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계수부는 내장벨트의 지폐반송방향이 장치의 폭방향이 되도록 설치되는 자동거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부는 고객과의 사이에서 지폐를 장치의 전후방향으로 반송하여 주고 받고, 상기 계수부 사이에서는 장치의 폭방향으로 지폐를 주고 받는 방향변환부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거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의 내장벨트는 지폐를 그 길이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자동거래장치.
  4. 고객에 대하여 지폐가 출입되는 출입구부와, 출입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하기 출입구부와 수납부 사이를 상기 계수부를 경유하여 지폐를 운반하여 주고 받는 머니퓨레이터(manipulator)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출입구부는 고객과의 사이에서 지폐를 주고 받는 제 1의 위치와, 상기 머니퓨레이터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주고 받는 제 2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거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부의 제 2의 위치는 상기 머니퓨레이터에 대하여 상기 계수부와 동일측에 늘어선 위치인 자동거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부의 제 2의 위치는 상기 머니퓨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계수부와 대향한 위치인 자동거래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부의 제 1의 위치는 지폐의 자세를 고객측으로 향하는 위치이고, 제 2의 위치는 지폐의 자세를 상기 머니퓨레이터측으로 향하는 위치인 자동거래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일부분에 상기 출입구부 수납용의 공간부를 가지고, 상기 출입구부는 상기 제 1의 위치와 상기 공간부의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는 자동거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위치에 있는 상기 출입구부는 상기 머니퓨레이터와의 지폐를 주고 받는 면이 상기 계수부의 지폐를 주고 받는 면과 병행하는 자동거래장치.
  10. 고객에 대하여 지폐가 출입되는 출입구부와,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와, 출입구부로부터의 지폐를 상기 계수부에 보내는 동시에, 계수후의 지폐를 상기 계수부에서 상기 출입구부로 보내는 머니퓨레이터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상기 출입구부는 고객과의 사이에서 지폐를 주고 받는 제 1의 위치와, 상기 머니퓨레이터와의 사이에서 지폐를 주고 받는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거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는 일부분에 상기 출입구부의 이동용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출입구부는 상기 제 1의 위치와 상기 공간부내의 제 2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자동거래장치.
KR1019880001063A 1987-03-20 1988-02-05 자동거래장치 KR910003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63916A JP2684616B2 (ja) 1987-03-20 1987-03-20 自動取引装置
JP62-63916 1987-03-20
JP87-63916 1987-03-20
JP23218787A JPH07122910B2 (ja) 1987-09-18 1987-09-18 現金自動取引装置
JP62-232187 1987-09-18
JP87-232187 1987-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13A KR880011713A (ko) 1988-10-31
KR910003488B1 true KR910003488B1 (ko) 1991-06-01

Family

ID=26405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063A KR910003488B1 (ko) 1987-03-20 1988-02-05 자동거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4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13A (ko) 198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4921B2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EP2515279A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KR910001258B1 (ko) 지폐출납기
WO2017094325A1 (ja) 自動取引装置
KR940003024B1 (ko) 자동인출장치
JP2001093022A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KR910003488B1 (ko) 자동거래장치
JPH0114628B2 (ko)
JP3600761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4860221B2 (ja) 紙幣入出金機
JPS6288743A (ja) 紙葉類搬送ユニツト
JPS5927385A (ja) 循環式紙幣処理機
JP4750308B2 (ja) 自動取引装置
JP2914463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600824B2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JPS6123291A (ja) 紙幣取扱装置
JPH05324982A (ja) 紙幣処理装置
KR20220079290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220079292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S6315969Y2 (ko)
KR20220079291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JPH07129819A (ja) 紙幣入出金装置
JP5589325B2 (ja) 現金処理装置
JP2512722B2 (ja) 自動入出金装置
KR20010060220A (ko)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