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0220A -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220A
KR20010060220A KR1020000063850A KR20000063850A KR20010060220A KR 20010060220 A KR20010060220 A KR 20010060220A KR 1020000063850 A KR1020000063850 A KR 1020000063850A KR 20000063850 A KR20000063850 A KR 20000063850A KR 20010060220 A KR20010060220 A KR 20010060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anknotes
cassette
transaction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5826B1 (ko
Inventor
칸바야시마모루
쇼지노부유키
요코카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 시코,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 시코
Publication of KR2001006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가 가지는 자동 정밀 조사기능에 의해 정밀히 조사를 실행한 후에, 담당원에 의한 재고의 계수 처리와는 관계없이 거래를 속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가 가지는 자동 정밀 조사기능으로 정밀히 조사가 실행된 후,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하면, 일괄 카셋트(8)의 일시 보류판(11)을 닫고 집적 포지션으로 한다.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의 거래에서는, 감별부(3)에서 감별한 결과, 리젝트 지폐라고 감별된 지폐는, 일시 보류판(11)상에 집적한다.

Description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DEVICE FOR AUTOMATIC RECEIPT AND PAYMENT OF BILL}
본 발명은, 고객 등의 조작으로 거래를 하는 현금 자동 거래장치에 탑재되어, 지폐(bill)를 입출금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객 등의 조작으로 거래를 하는 현금 자동 거래장치에는, 지폐를 입출금하기 위해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이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는, 화폐 종류별로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cassette),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를 수납함과 동시에,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일괄 카셋트, 리젝트(reject)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 카셋트가 구비된다.
현금 자동 거래장치로 출금거래를 하는 경우,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서는,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부터 지폐를 계속 투입해가며, 감별한 결과,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접객구에 전송하고,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어, 접객구에 고객이 지정한 화폐 종류 금액의 지폐가 갖추어지면, 이것을 고객에게 건네주는 것이다.
이러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내의 재고를 자동적으로 확정하여, 그때까지의 지폐의 입금과 지불이 정확했는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밀 조사 기능이 설치된 것이 일반적이다.
이 정밀 조사기능은, 화폐 종류별 카셋트의 지폐를 먼저 일괄 카셋트에 보내어 화폐 종류별 카셋트를 비우고, 다음에 이 지폐를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되돌려, 이때에 계수하는 동작을 모든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대하여 함으로써, 전체 화폐 종류별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를 계수하는 것이다.
여기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최초로 있었던 지폐의 재고는 알고 있고, 거래 개시부터 정밀 조사 종료 동안의 지폐 입금 금액과 지폐 출금 금액도 알고 있다.
이 때문에, 이하의 (1)식으로 정밀 조사 종료시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정할 수 있다.
(정밀 조사 종료시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내의 지폐의 재고)=(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최초로 있었던 지폐의 재고)+(거래 개시부터 정밀 조사 종료 동안의 지폐 입금 금액)-(거래 개시부터 정밀 조사 종료 동안의 지폐 출금 금액)…(1)
정밀 조사 종료시에,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이외에, 리젝트 지폐가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어 있다. 그래서, 이하의 (2)식을 만족하면, 그때까지의 지폐의 입금과 지불이 정확했던 것을 확인할수 있다.
((1)식의 결과)=(정밀 조사 기능으로 계수한 모든 화폐 종류별 카셋트의 재고)+(리젝트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2)
리젝트 카셋트는, 지폐를 수납하는 기능은 갖지만, 수납되어 있는 지폐를 계속 투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한 지폐를 감별부에 전송하여 자동적으로 계수할 수는 없다. 그래서, 담당원은, 정밀 조사 기능종료 후, 리젝트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정밀 조사 기능을 실행한 후, 출금 거래가 있었을 경우,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부터 계속 투입한 지폐중에서,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감별된 리젝트 지폐가 있으면, 이것은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된다. 그 후, 정밀 조사 기능 실행시에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어 있던 지폐에 여분의 지폐가 더해지게 되어, 담당원이 리젝트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했을 때에, 정밀 조사 결과가 맞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정밀 조사 기능을 실행한 후는, 담당원은 바로 리젝트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해야 되고, 정밀 조사 기능을 실행할 타이밍에 제한을 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에 따라, 정밀 조사 기능을 실행한 후는,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카셋트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할 때까지, 출금 거래를 실행할 수 없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가 저하하였다.
그래서, 정밀 조사 기능의 실행 후에도,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카셋트내의지폐의 재고 계수처리와 관계없이, 거래를 속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요부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3은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는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a∼4c : 화폐 종류별 카셋트 8 : 일괄 카셋트
11 : 일시 보류판 21 : 리젝트 카셋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제 1 청구항의 발명은, 입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수납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 및 해당 지폐 수납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일괄 수납고와,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 수납고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일괄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와 구별하여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서, 해당 일괄 수납고에 개폐 가능하게 일시 보류판을 설치하고,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는,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감별된 지폐는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하고, 지폐 수납고내의 재고를 확정하는 정밀 조사 모드를 한 후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상기 일시 보류판을 닫어,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감별된 지폐를, 이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또한, 제 2 청구항의 발명은, 상술한 제 1 청구항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하면,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한 지폐를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또한, 제 3 청구항의 발명은, 상술한 제 1 청구항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에는, 하나의 거래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된 지폐를 지폐 수납고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또한, 제 4 청구항의 발명은, 상술한 제 1, 제 2 또는 제 3 청구항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 상기 일시 보류판을 닫고, 주행 이상이라고 감별된 지폐를 이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하여, 하나의 거래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된 지폐를 지폐 수납고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또한, 제 5 청구항의 발명은, 상술한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청구항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괄 수납고에, 해당 일괄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를 압착하는 지폐 프레스를 설치하고, 이 지폐 프레스의 상면을, 상기 일시 보류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아울러, 제 6 청구항의 발명은, 상술한 제 5 청구항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폐 프레스는, 지폐의 계속 투입 및 집적을 행하는 로울러부를 퇴피하는 노치(notch)가 형성되고, 일괄 수납고의 지폐를 실은 스테이지는, 상기 노치에 일치한 형상의 볼록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테이지를 상승시켜 지폐 프레스와 일체가 되면, 지폐 프레스의 노치에 스테이지의 볼록부가 끼워져서, 지폐 프레스의 상면이 평면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요부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접객구이다. 이 접객구(1)에는 개폐 가능한 셔터(1a)가 설치되어, 고객이 자동 거래 장치를 조작하여 거래를 할 때는, 이 셔터(1a)가 개폐되어 지폐의 출입이 행해진다.
이 접객구(1)는, 입금 거래시에 고객에 의해 세트된 복수 매의 지폐를 1장씩 장치내에 받아들이는 기능, 고객에게 반환한 지폐를 받아들이는 기능, 출금 거래시에 고객에게 지불한 지폐를 받아들이는 기능 등을 가진다.
2는 표리 반전 기구부이다. 이 표리 반전 기구부(2)는, 출금 거래시에 접객구(1)에 보내어 넣은 지폐의 표면과 이면이 가지런이 되도록, 반송로의 일부에 스위치 백(switch back)하는 경로를 설치하여 지폐의 표면과 이면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은 감별부이다. 이 감별부(3)는, 지폐의 진위, 정상 손상, 표면과 이면, 중복 이송, 연쇄 및 비스듬한 움직임(斜行) 등을 검지한다.
4a∼4c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이다. 이들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는, 지폐를 화폐 종류별로 수납하는 것으로, 일례로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는 천엔 지폐용,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 및 4c는 만엔 지폐용으로 한다.
5a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에 설치된 스테이지, 5b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에 설치된 스테이지, 5c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c에 설치된 스테이지로, 각 스테이지 5a∼5c는 승강 가능하고, 그 위에 지폐가 집적된다.
6a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의 바로 위에 설치된 입출금부, 6b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의 바로 위에 설치된 입출금부, 6c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c의 바로 위에 설치된 입출금부로, 각 입출금부 6a∼6c에는, 반송 로울러 등으로 구성되고, 지폐의 분리 계속 투입 및 집적을 행하는 분리 집적 기구부 7a∼7c,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 상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일시 보류판, 지폐의 반송 방향을 바꾸는 블레이드 등을 구비하고 있다.
8은 일괄 카셋트이다. 이 일괄 카셋트(8)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에 대하여 지폐를 보충하거나, 해당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9는 일괄 카셋트(8)에 설치된 스테이지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에 보충할 지폐 및 해당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집적한다. 이 스테이지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승강 가능해진다.
10은 일괄 카셋트(8)의 상측에 설치된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 11은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의 하측에서 스테이지(9)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일시 보류판이다.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일시 보류판(11)의 주위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12는 좌우 한쌍의 픽업 로울러, 13은 좌우 한쌍의 계속 투입 로울러, 14는 계속 투입 로울러(13)에 대향 배치되는 분리 로울러로, 이들 로울러에 의해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가 구성된다.
15는 스테이지(9)상에 지폐를 압착하는 지폐 프레스로, 이 지폐 프레스(1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밀어 올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되밀어지는 힘을 받는다.
16은 지폐 프레스(15)를 지폐의 분리집적시에 윗쪽으로 퇴피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리프트 업 레버, 17은 리프트 업 레버(16)를 구동하는 모터이다.
18은 일시 보류판(11)을 구동하는 모터, 19는 모터(18)의 구동력을 일시 보류판(11)에 전달하는 전달부이다. 일시 보류판(11)은, 상기 모터(18)의 구동력을 받아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기구로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스테이지(9) 위를 막는 위치로부터 스테이지(9)위로부터 퇴피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일시 보류판(11)이 스테이지(9) 위를 막는 위치에 있는 상태를 집적 포지션으로 한다. 일시 보류판(11)이 집적 포지션에 있을 때, 해당 일시 보류판(11)상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지폐를 집적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시 보류판(11)에는, 측방향으로 2 자루 씩의 스터드(stud)(11a)가 설치되고, 일시 보류판(11)이 집적 포지션에 있을 때에, 각 스터드(11a)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홈부(11b)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의 프레임(frame)에 설치함으로써, 집적 포지션에 있는 일시 보류판(11)을,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해당 스테이지에 의해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한 가이드 기구도 구비하고 있고,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하여, 계속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시 보류판(11)이 스테이지(9)상에서 퇴피한 위치에 있는 경우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스테이지(9)상에 지폐를 집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해당 스테이지(9)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하고, 계속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폐 프레스(15)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해당 스테이지(9)상의 지폐를 해당 지폐 프레스(15)에 의해 압착하여, 지폐를 안정된 상태로 집적시킬 수 있다.
이때, 일괄 카셋트(8)에는, 회수하기 시작한 지폐를 수납하는 칸막이 판, 이 칸막이 판상의 지폐를 스테이지(9)상에 옮겨 쌓을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됨과 동시에, 보충시의 중복 이송 또는 비스듬한 움직임이라고 감별된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제1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0)가 설치된다.
21은 리젝트 카셋트이다. 이 리젝트 카셋트(21)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고, 고객이 취득하여 잃어버린 지폐를 수납하는 제2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2)와 입금 거래시에 감별부(3)에서 입금 가능하지만 출금용 지폐로서는 재이용 불가능하다고 감별된 지폐, 및 출금 거래시에 감별부(3)에서 출금 불가능하다고 감별된 지폐를 감별부(3)로부터 직접 수납하는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를 가진다.
24는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로로, 지폐의 반송방향을 바꾸는 분기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각 분기부에서는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지폐가 반송 가능해진다.
지폐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입금 거래시는, 접객구(1)에 세트된 지폐가 표리 반전 기구부(2)를 통과하여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진다. 감별부(3)를 통과한 지폐는 거기서 감별이 이루어지고, 입금에 적합한 지폐중, 재이용 가능한 지폐는 화폐 종류에 따라서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의 입출금부 6a∼6c에 보내어 넣어지고, 재이용 불가능한 지폐는 각 입출금부 6a∼6c를 통과하여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보내어 넣어지고, 입금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는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다.
출금 거래시는, 고객이 지정한 화폐 종류 금액에 따라서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입출금부 6a∼6c에 의해서 지폐가 계속 투입되어,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진다. 감별부(3)를 통과한 지폐는 거기서 감별이 이루어지고,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표리 반전 기구부(2)에 보내어 넣어지고, 이면이라고 감별된 지폐는 스위치 백의 경로를 통과시킨 것으로 표면과 이면을 가지런히 하여, 접객구(1)에 집적시킨다.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보내어 넣어진다.
보충시는 일괄 카셋트(8)의 스테이지(9)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계속 투입하여 감별부(3)에 보내어 넣는다. 감별부(3)를 통과한 지폐는 거기서 감별이 이루어지고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화폐 종류에 따라서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의 입출금부 6a∼6c에 보내어 넣어지고, 리젝트 지폐는 각 입출금부 6a∼6c를 통과하여 일괄 카셋트(8)의 제1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0)에 보내어 넣어진다.
회수시는, 순차로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입출금부 6a∼6c에 의해서 지폐가 계속 투입되어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진다. 감별부(3)를 통과한 지폐는 거기서 감별이 이루어지고, 계수 가능한 지폐는 일괄 카셋트(8)내의 아래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칸막이 판상에 보내어 넣어지고, 리젝트 지폐는 제1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0)에 보내어 넣어진다.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는, 출금 거래 등에 있어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계속 투입한 지폐중에서,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라고 감별된 지폐는, 상술한 것처럼,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보내어 넣어진다. 이때, 리젝트 지폐란, 진위 감별로 화폐 종류를 특정할 수 없는 지폐, 정상 손상 감별로 파손이나 오물이 있는 지폐, 주행 상태 감별로 중복 이송, 연쇄, 비스듬한 움직임 등, 반송 불량을 일으키고 있는 지폐이다. 이 반송 불량을 일으키고 있는 지폐를 주행 리젝트 지폐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정밀 조사 기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정밀 조사 모드에 들어 가면, 먼저, 일괄 카셋트(8)에서는, 일시 보류판(11)과 지폐 프레스(15)가 퇴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스테이지(9)를 소정 위치로 상승시켜서,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지폐를 스테이지(9)상에 집적 가능한 상태로 한다. 이때, 일시 보류판(11)이 퇴피하지 않고 있었을 경우는,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스테이지(9)의 윗쪽이 해방되는 위치로 퇴피시키고, 지폐 프레스(15)가 퇴피하지 않고 있었을 경우는, 모터(17)에 의해 해당 지폐 프레스(15)를 상승시켜 유지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중 어느 하나가, 예를 들면,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의 스테이지 5a를 상승시켜, 해당 스테이지 5a 상의 지폐를 입출금부 6a의 분리 집적 기구부(7a)에 의해 계속 투입 가능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분리 집적 기구부(7a)에 의해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 내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계속 투입한다.
반송로(24)에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져, 진권으로 오물이나 파손이 규정값 이하에서 반송 불량을 일으키고 있지 않은 것으로 감별할 수 있던 지폐, 즉 계수 가능한 지폐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스테이지(9)상에 집적된다. 감별할 수 없던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한다. 이 동작을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가 텅빌 때까지 행하여,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가 텅비면, 동작을 정지한다.
다음으로,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고, 해당 스테이지(9)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하여, 해당 픽업 로울러(12)와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테이지(9)상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여 간다. 이때, 지폐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계속 투입하기 위한 연구로서, 예를 들면, 픽업 로울러(12)는 그 일부에 고마찰 부재를 설치해두고, 이 고마찰 부재의 장소에 지폐가 접촉하고 있을 때만 지폐를 계속 투입하고, 그 이외의 장소에서 접하고 있을 때는 지폐를 계속 투입하지 않도록 하여, 계속 투입되는 지폐의 간격을 두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폐를 1장씩 계속 투입하기 위한 연구로서, 계속 투입 로울러(13)에 분리 로울러(14)를 대향 배치하고, 이 분리 로울러(14)는 지폐 수납 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첫번째 장 이후에 지폐가 계속 투입되는 것이, 이 분리 로울러(14)로 멈춰지게 되어 있다.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스테이지(9)위로부터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지고, 감별할 수 있던 지폐는 입출금부(6a)에 보내어 넣어져서, 분리 집적 기구부(7a)에 의해 스테이지(5a) 위에 집적된다. 감별할 수 없던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한다. 이 동작을 일괄 카셋트(8)가 텅빌 때까지 하여, 일괄 카셋트(8)가 텅비게 되면 동작을 정지한다.
이 동작에 의해 화폐 종류별 카셋트(4a) 내의 지폐가 모두 감별부(3)를 통과하기 위해서, 화폐 종류별 카셋트(4a) 내의 지폐의 재고를 계수할 수 있다. 이후, 순차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와 4c를 마찬가지로 처리하여, 모든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의 지폐의 재고를 계수한다.
다음으로,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로,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처리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도 7은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로, 제 1 실시예에서의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정밀 조사 모드가 종료하면(SA1),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다(SA2).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집적포지션으로 한다. 또한, 지폐 프레스(15)는 모터(17)에 의해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지폐를 집적가능한 상태로 한다(SA3).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 후, 고객에 의한 거래 대기가 된다.
예를 들면, 출금 거래가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SA4). 이때, 화폐 종류별 카셋트(4a)로부터 출금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면, 화폐 종류별 카셋트(4a)로부터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지고, 감별한 결과(SA5),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다(SA6). 이에 대하여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O)에 의해 일시 보류판(11) 위에 집적된다(SA7).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 지폐가 고객이 요구한 금액이 되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1a)를 열어, 고객에게 지폐를 건네 준다(SA8). 고객이 지폐를 받아들이면, 셔터(1a)를 닫고, 출금 거래를 종료한다(SA9).
정밀 조사 모드 후,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는, 상술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로 거래를 하고,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면, 이것을 일시 보류판(11) 위에 집적해가며,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지폐가 보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되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한다(SA10).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하면,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해당 스테이지(9)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밀어 올리고, 해당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한다. 그리고, 픽업 로울러(12)와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여,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보내어 넣어서 수납한다(SA11).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가 모두 계속 투입되면, 스테이지(9)를 하강시킴 과 동시에,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퇴피시킨다.
이후, 통상의 거래 모드를 이행하고(SA12), 리젝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된다. 그리고, 다음번의 정밀 조사에서는, 전번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 일시 보류판(11)상에 일단 수납된 리젝트 지폐를 포함시킨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를 담당원이 확인하게 한다.
여기서, 일괄 카셋트(8)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 및 일시 보류판(11)의 하측의 지폐를 수납하는 부분만이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해 놓으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에 일괄 카셋트(8)가 떼어지더라도, 리젝트 지폐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내에 남아서, 가지고 가는 경우는 없다.
이때,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에 출금 거래를 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입금 거래를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 후, 입금 거래가 발생하면, 고객이 접객구(1)에 세트한 지폐를 분리 계속 투입하여, 감별부(3)에 전송하고, 입금에 적합하다고 감별된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의 도시하지 않은 일시 보류판상에 집적한다. 이때, 입금에 적합하고, 출금에 적합한 천엔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의 일시 보류판상에 집적하며, 입금에 적합하고, 출금에 적합한 만엔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의 일시 보류판상에 집적하고, 입금에 적합하지만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c의 일시 보류판상에 집적한다.
또한, 입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감별된 지폐는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지고, 고객이 세트한 지폐와는 구별된 상태로 집적한다.
고객이 접객구(1)에 세트한 모든 지폐가 감별 결과에 따라서 구분되면, 고객에게 금액의 확인을 하게 하여, 이 단계에서 고객이 거래를 취소하면, 각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의 일시 보류판상의 모든 지폐를 접객구(1)에게 전송하고, 고객에게 반환한다. 고객이 확인을 하고서 거래를 속행할 경우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와 4b의 일시 보류판을 열어, 입금에 적합하고 출금에 적합한 천엔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에 수납하고, 입금에 적합하고 출금에 적합한 만엔 지폐는 화폐 종류별 카셋트 4b에 수납한다.
이에 대하여, 화폐 종류별 카셋트 4c의 일시 보류판상의 지폐, 즉, 입금에 적합하지만 출금에는 적합하지 않은 지폐는, 이것을 분리하여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여, 일괄 카셋트(8)의 일시 보류판(11)에 집적한다.
이와 같이 입금거래에 있어서도,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에는, 입금하는데에는 적합하지만 출금에는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면, 고객에 의한 입금금액의 확인 후에, 이것을 일시 보류판(11)상에 집적해가며,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지폐가 보내어 넣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정밀 조사 모드 실행 후에,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하기 전에 출금 등의 거래가 있어서,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더라도, 장치는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함으로써, 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지 않기 때문에, 담당원이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했을 때에, 여분의 지폐가 들어가 있는 경우는 없어서, 정밀 조사 결과가 맞지 않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정밀 조사 모드 후에 바로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할 필요가 없이, 고객에 의한 거래를 접수할 수 있다.
또한, 담당원이 재고를 확인하는 것은 리젝트 카셋트(21)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취급에 혼란이 생기는 경우는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때,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제 2 실시예의 동작에서도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정밀 조사 모드가 종료할 때까지의 처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로,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정밀 조사 모드가 종료하면(SB1),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다(SB2).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집적포지션으로 한다. 또한, 지폐 프레스(15)는 모터(17)에 의해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지폐를 집적가능한 상태로 한다(SB3).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 후, 고객에 의한 거래 대기가 된다.
예를 들면, 출금 거래를 한다(SB4). 이때,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출금한 것으로 하여서 설명하면,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져서, 감별한 결과(SB5),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다(SB6). 이에 대하여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집적된다(SB7).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 지폐가 고객이 요구한 금액이 되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1a)를 열어, 고객에게 지폐를 건네 준다(SB8). 고객이 지폐를 받아들이면, 셔터(1a)를 닫고, 출금 거래를 종료한다(SB9).
하나의 거래가 종료하면, 스테이지(9)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해당 스테이지(9)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밀어 올리고, 해당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한다. 그리고, 픽업 로울러(12)와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고, 계속 투입한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 되돌린다(SB10).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수납해 놓은 지폐는, 보충시 또는 입금 거래시에 감별부(3)에서 감별된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가짜 지폐나 손상 지폐는 없다. 그 때문에, 출금 거래시에 리젝트 지폐와 감별된 지폐라도,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려 재차 출금하면, 정상적인 지폐로서 감별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리젝트 지폐가 재차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계속 투입 가능한 일시 보류판(11)상에 수납되기 때문에, 이것을 계속 투입한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리는 것으로 한 것이다. 이때, 하나의 거래 종료시에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되돌릴 때는, 감별을 하지 않고, 원래의 계속 투입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처리이지만, 다음번의 출금시에는 감별을 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정밀 조사 모드 후,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는, 상술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로 거래를 하여,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면, 이를 일시 보류판(11)상에 일단 집적해가며, 하나의 거래 종료마다, 이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계속 투입하여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림으로써,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지폐가 보내어 넣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되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한다(SB11).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한 후,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퇴피시킨다.
이후, 통상의 거래 모드를 이행하고(SB12), 리젝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번의 정밀 조사에서는, 전번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 일시 보류판(11)상에 일단 수납된 리젝트 지폐를 포함시킨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를 담당원이 확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밀 조사 모드 실행 후에,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하기 전에 출금 등의 거래가 있어,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더라도, 장치는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함으로써, 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지 않기 때문에, 담당원이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했을 때에, 여분의 지폐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없어서, 정밀 조사 결과가 맞지 않는 경우는 없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하나의 거래 종료마다, 일시 보류판(11)상에 수납된 리젝트 지폐를 계속 투입하여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되돌림으로써, 다음번의 출금 거래시 재차 감별을 하여 정상적인 것이면, 이를 지불할 수 있으므로 지폐의 낭비를 없앨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요부 구성도로, 도 10a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의 평면도, 도 10b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의 측면도이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전체 구성은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거의 동일하지만, 일괄 카셋트에 일시 보류판을 설치하지 않고, 지폐 프레스와 스테이지로 일시 보류판을 구성하는 점이 다르다.
도 10에 있어서, 25는 지폐 프레스이다. 이 지폐 프레스(25)는, 도 2에서 설명된 구성과 마찬가지로, 모터(17)가 리프트 업 레버(16)를 회전시킴으로써, 지폐의 분리 집적시에는 윗쪽으로 퇴피시킨다.
그리고, 지폐 프레스(25)에는, 윗쪽으로 퇴피되었을 때에, 픽업 로울러(12)및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피하기 위해서, 노치(26)가 설치된다.
27은 일괄 카셋트(8)에 설치된 스테이지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에 보충할 지폐 및 해당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집적한다. 이 스테이지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승강 가능해진다.
28은 이 스테이지(27)의 상면에 설치된 볼록부로, 이 볼록부(28)는, 상기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에 일치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1은 도 10의 A-A 단면도로, 모터(17)로 지폐 프레스(25)를 하강시킨 상태에서, 스테이지(27)를 상승시키면, 해당 스테이지(27)의 볼록부(28)가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에 끼워진다. 이때, 지폐 프레스(25)의 상면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요철이 없는 평면이 되도록, 볼록부(28)의 형상이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지폐 프레스(25)의 상면을 일시 보류판으로 하여서 지폐를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지폐 프레스(25)는, 스테이지(27)상의 지폐를 압착하는 역할도 가지기때문에, 지폐 프레스(25)는 상면과 하면의 양쪽을 평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문에, 자신의 강도를 견딜 수 있는 두께의 박판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지폐 프레스(25)에 요구되는 강도는, 일시 보류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하측으로부터 스테이지(27)에 의해 지탱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지폐를 집적할 수 있는 강도는 요구되지 않고, 스테이지(27)상의 지폐를 압축할 수 있을 때에, 변형하지 않는 강도이면 된다.
지폐 프레스(25)에는 스터드(29)가 설치되어, 이 스터드(29)가 도시하지 않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 구멍 형상의 가이드에 활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음으로써 상하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지폐 프레스(25)는 모터(17)의 구동력을 리프트 업 레버(16)를 통하여 받아서 상하 동작 가능하도록, 이 스터드(29)를 리프트 업 레버(16)에 실으므로써, 지폐 프레스(25)를 상승시킬 때는 리프트 업 레버(16)에 의해 들어 올리도록 하고, 지폐 프레스(25)를 하강시킬 때는 자신의 무게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힘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폐 프레스(25)가 내려 간 위치에 있을 때는, 모터(17)의 구동력과는 관계없이, 스테이지(27)로 지폐 프레스(25)를 밀어 올려서, 그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로, 정밀 조사 모드 이후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정밀 조사 모드가 종료될 때까지의 처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정밀 조사 모드가 종료하면(SC1),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다(SC2).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모터(17)에 의해 지폐 프레스(25)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스테이지(27)를 상승시켜서, 해당 스테이지(27)의 볼록부(28)가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에 끼워지도록 하고, 스테이지(27)로 지폐 프레스(25)를 소정량 밀어 올림으로써, 지폐 프레스(25)를 그 상면에 지폐를 집적가능한 집적 포지션으로 한다(SC3).
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한 후, 고객에 의한 거래 대기가 된다.
예를 들면, 출금 거래가 행하여진 것으로 한다(SC4). 이때,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출금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면,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져서, 감별한 결과(SC5),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접객구(1)에게 보내진다(SC6). 이에 대하여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는,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지폐 프레스(25)상에 집적한다 (SC7). 여기서, 지폐 프레스(25)의 상면을 일시 보류판으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해당 지폐 프레스(25)가 집적 포지션에 있을 때에는,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에 스테이지(27)의 볼록부(28)가 끼워짐으로써, 지폐 프레스(25)의 상면이 평면이 되도록 해놓기 때문에,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의 계속 투입 로울러(13)에 의해 지폐를 지폐 프레스(25)상에 방출할 때에, 방출된 지폐가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에 걸려 집적 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 지폐가 고객이 요구한 금액이 되면, 셔터(1a)를 열어, 고객에게 지폐를 건네 준다(SC8). 고객이 지폐를 받아들이면, 셔터(1a)를 닫고, 출금 거래를 종료한다(SC9).
하나의 거래가 종료하면, 스테이지(27)를 상승시킴으로써 해당 스테이지(27)에 의해 지폐 프레스(25)를 밀어 올리고, 해당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한다. 그리고, 픽업 로울러(12)와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여, 계속 투입한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 되돌린다(SC10). 지폐 프레스(25)의 노치(26)는, 픽업 로울러(12)를 피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픽업 로울러(12)의 밑에는 지폐 프레스(25)가 존재하지 않고, 지폐 프레스(25)만으로는 픽업 로울러(12)에 지폐를 압착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노치(26)에 스테이지(27)의 볼록부(28)가 끼워짐으로써,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볼록부(28)에 의해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픽업 로울러(12)에 압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해당 픽업 로울러(12)에 의해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계속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수납해 놓은 지폐는, 보충시 또는 입금 거래시에 감별부(3)로 감별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가짜 지폐나 손상 지폐는 없다. 그 때문에, 출금 거래시에 리젝트 지폐와 감별된 지폐이라도,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려 재차 출금하면, 정상적인 지폐로서 감별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리젝트 지폐가 재차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계속 투입 가능한 지폐 프레스(25)상에 수납되기 때문에, 이것을 계속 투입하여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린다. 이때, 하나의 거래 종료시에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릴 때는, 감별을 하지 않고, 원래로 계속 투입하여 되돌린다. 이것은, 처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처리이지만, 다음번의 출금시에는 감별을 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다.
정밀 조사 모드 후,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될 때까지는, 상술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 거래를 하여,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면, 이를 지폐 프레스(25)상에 일단 집적해가며, 하나의 거래 종료마다 이 지폐 프레스(25)상의 지폐를 계속 투입하여 원래의 화폐 종류별 카셋트에 되돌림으로써,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지폐가 보내어 넣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담당원에 의해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가 확인되면,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한다(SC11).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한 후, 스테이지(27)를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킴과 동시에, 모터(17)에 의해 지폐 프레스(25)를 상승시켜서,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통상의 거래 모드를 이행하여(SC12), 리젝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번의 정밀 조사에서는, 전번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 지폐 프레스(25)상에 일단 수납된 리젝트 지폐를 포함시킨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내의 지폐의 재고를 담당원이 확인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정밀 조사 모드 실행 후에,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하기 전에 출금 등의 거래가 있고, 리젝트 지폐가 발생하더라도, 장치는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이행함으로써, 그 지폐는 리젝트 카셋트에 수납되지 않기때문에, 담당원이 리젝트 카셋트(21)내의 지폐의 재고를 확인했을 때에, 여분의 지폐가 들어가 있는 경우가 없고, 정밀 조사 결과가 맞지 않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리젝트 지폐를 수납하는 장소로서, 일괄 카셋트(8)의 지폐 프레스(25)를 일시 보류판으로서 유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일괄 카셋트(8)에 별도의 일시 보류판 및 이것을 구동하는 기구등을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값싼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거래마다 지폐 프레스(25)상의 리젝트 지폐를 계속 투입하여 원래로 되돌렸지만,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할 때에, 일괄해서 지폐 프레스(25)상의 리젝트 지폐를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때,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제 4 실시예의 동작에서도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4 및 도 15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폐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 제 4 실시예는, 일괄 카셋트(8)에 설치된 일시 보류판(11)을 이용하여 통상의 거래 모드시에 지폐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다.
통상의 거래 모드에 있는 동안에(SD1), 고객에 의해 출금거래가선택되면(SD2), 모터(18)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을 집적 포지션으로 한다. 또한, 지폐 프레스(15)는 모터(17)에 의해 상승시킨 상태를 유지하여,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지폐를 집적가능한 상태로 한다(SD3).
먼저,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출금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면,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로부터 계속 투입된 지폐는 감별부(3)에 보내어 넣어져서, 감별한 결과(SD4), 출금에 적합한 지폐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접객구(1)에 보내진다(SD5). 이에 대해서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리젝트 지폐에 있어서, 주행 리젝트라고 감별된 지폐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에 의해 일시 보류판(11)상에 집적한다(SD6). 또한, 리젝트 지폐에 있어서, 진위·정상 손상 리젝트라고 감별된 지폐는,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한다(SD7).
주행 리젝트 지폐와 진위·정상 손상 리젝트 지폐를 나누는 이유는, 주행 리젝트 지폐는 그 자체가 찢어짐 등의 결함이 없이, 재차 분리 계속 투입되면, 정상적인 지폐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납된 지폐를 계속 투입시킬 수 있는 일시 보류판(11) 위에 주행 리젝트 지폐는 집적시켜 가는 것이다.
접객구(1)에 보내어 넣어진 지폐가 고객이 요구한 금액이 되면,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셔터(1a)를 열어, 고객에게 지폐를 건네 준다(SD8). 고객이 지폐를 받아들이면, 셔터(1a)를 닫고, 출금 거래를 종료한다(SD9).
하나의 거래가 종료하면, 스테이지(9)를 상승시킴으로써 해당 스테이지(9)에의해 일시 보류판(11)을 밀어 올려서, 해당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일괄 카셋트 분리 집적 기구부(10)를 구성하는 픽업 로울러(12)로 압착한다. 그리고, 픽업 로울러(12)와 계속 투입 로울러(1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1장씩 반송로(24)에 계속 투입하여, 감별부(3)에 보내어 넣는다(SD10). 그리고, 감별한 결과(SD11), 화폐 종류에 따라서 화폐 종류별 카셋트 4a∼4c 중 어느 하나로 되돌린다(SD12). 이 감별로써, 재차 주행 리젝트라고 감별된 지폐는, 지폐 자체가 주행 리젝트를 일으키는 요인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리젝트 카셋트(21)의 제3종 리젝트 지폐 수납부(23)에 수납한다(SD7).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주행 리젝트 지폐는, 일괄 카셋트(8)의 일시 보류판(11)상에 일단 집적하고 거래 종료 후, 이 일시 보류판(11)상의 지폐를 재차 분리 계속 투입을 하여서 감별부(3)로 감별을 하여, 주행 리젝트를 일으키고 있지 않은 지폐는 화폐 종류에 따라서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리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래 수납되서는 않되는 지폐가 리젝트 카셋트(21)에 수납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지폐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리젝트 카셋트(21)의 용량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설치되는 현금 자동 거래장치에 탑재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 적용가능함과 동시에, 편의점 등에서 현금을 지불하여 내보내는 업무를 하는 예가 있어, 이러한 금융기관 이외에서 사용되는 현금 자동 거래장치에 탑재된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은, 장치를, 일괄 카셋트의 스테이지 위를 비워서, 그 스테이지 상에 리젝트 지폐를 일단 집적하고, 거래 종료 후에 그 지폐를 재분리하여 화폐 종류별 카셋트로 되돌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을 상술한 제 1∼제 4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으로 함으로써, 자동 정밀 조사후에 일괄 카셋트내에서 잼(jam)등이 발생하였을 때에 잼 지폐를 일괄 카셋트내에 넣어진 채로 해당 일괄 카셋트를 장치로부터 떼어내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장치내에 있어야 될 지폐가 벗어나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는, 일괄 수납고에 개폐 가능하게 일시 보류판을 설치하여,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는,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감별된 지폐는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하고, 지폐 수납고내의 재고를 확정하는 정밀 조사 모드를 한 후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상기 일시 보류판을 닫고,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감별된 지폐를, 이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하였기 때문에, 정밀 조사 모드를 실행했을 때에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되어 있던 지폐에, 정밀 조사 모드를 실행한 후에 수행한 거래로 발생한 리젝트 지폐가 혼재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정밀 조사 모드를 실행한 후, 담당원이 바로 리젝트 수납고의 지폐의 재고를 계수할 필요가 없어져서, 정밀 조사 모드를 실행하는 타이밍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게됨과 동시에, 정밀 조사 모드 실행 후에, 담당원에 의한 리젝트 수납고내의 지폐의 재고 계수처리와 관계없이 거래를 속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을기다리게 하는 경우가 없이 고객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입출금하기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폐 수납고와,
    상기 지폐 수납고에 대하여 보충할 지폐 및 해당 지폐 수납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일괄 수납고와,
    출금에 적합하지 않은 지폐를 수납하는 리젝트 수납고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일괄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와 구별하여 지폐를 수납하기 위해서, 해당 일괄 수납고에 개폐가능하게 일시 보류판을 설치하여,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는,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감별된 지폐는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하고,
    지폐 수납고내의 재고를 확정하는 정밀 조사 모드를 한 후의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에서는, 상기 일시 보류판을 닫고, 출금에 적합하지 않다고 감별된 지폐를, 이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를 해제하면,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된 지폐를 리젝트 수납고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정밀 조사 후 거래 모드중에는, 하나의 거래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된 지폐를 지폐 수납고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통상의 거래 모드에서 상기 일시 보류판을 닫고, 주행 이상이라고 감별된 지폐를 이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하고, 하나의 거래가 종료할 때마다, 상기 일시 보류판상에 수납한 지폐를 지폐 수납고에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수납고에, 해당 일괄 수납고에 수납된 지폐를 압착시킬 수 있는 지폐 프레스를 설치하여, 이 지폐 프레스의 상면을 상기 일시 보류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폐 프레스는, 지폐의 계속 투입 및 집적을 하는 로울러부를 퇴피하는 노치가 설치되어, 일괄 수납고의 지폐를 실은 스테이지는, 상기 노치에 일치하는 형상의 볼록부를 설치하여, 상기 스테이지를 상승시켜 지폐 프레스와 일체가 되면, 지폐 프레스의 노치에 스테이지의 볼록부가 끼워져서, 지폐 프레스의 상면이 평면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자동 입출금 장치.
KR1020000063850A 1999-12-09 2000-10-30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KR100695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50169 1999-12-09
JP35016999 199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220A true KR20010060220A (ko) 2001-07-06
KR100695826B1 KR100695826B1 (ko) 2007-03-19

Family

ID=3752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850A KR100695826B1 (ko) 1999-12-09 2000-10-30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0B1 (ko) * 2006-12-29 2008-02-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KR101471754B1 (ko) * 2013-05-09 2014-12-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2457A (ja) * 1992-06-09 1993-12-24 Kofu Nippon Denki Kk 紙幣処理装置
JP3557030B2 (ja) * 1996-02-26 2004-08-25 株式会社東芝 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処理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460B1 (ko) * 2006-12-29 2008-02-0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장치
KR101471754B1 (ko) * 2013-05-09 2014-12-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826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808B1 (ko) 지폐 취급 장치
JP5384278B2 (ja) 紙幣取扱装置
JP4830414B2 (ja) 紙幣入出金機
KR19990036794A (ko) 종이류취급장치
WO2010049968A1 (ja) 貨幣処理装置
JPS63159994A (ja) 紙幣入出金機
JPS5839392A (ja) 自動入出金機におけるスタツカ支持装置
JP5922216B2 (ja) 紙幣取扱装置
JP2014142845A (ja) 紙幣取扱装置
KR100695826B1 (ko) 지폐 자동 입출금장치
JP4608770B2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JP4453153B2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5674987B2 (ja) 紙幣取扱装置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JP5670596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338228B1 (ko) 자동거래장치
JPS62186395A (ja) 紙幣処理機
JP5610555B2 (ja) 紙幣取扱装置
WO2010049994A1 (ja) 貨幣処理機
JP4799931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278842B1 (ko) 금융 기기
KR910003488B1 (ko) 자동거래장치
JPH04111677U (ja) 紙幣処理装置の一時集積機構
KR20130075483A (ko) 지폐처리장치 및 지폐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