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351A -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351A
KR20100113351A KR1020090031881A KR20090031881A KR20100113351A KR 20100113351 A KR20100113351 A KR 20100113351A KR 1020090031881 A KR1020090031881 A KR 1020090031881A KR 20090031881 A KR20090031881 A KR 20090031881A KR 20100113351 A KR20100113351 A KR 20100113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olysaccharide
seed
chia
polysaccharide polym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4776B1 (ko
Inventor
이범천
주철규
이근하
주일우
정용철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09003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77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씨앗(Chia Seed)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다당체 층을 분리하여 폴리머를 제조함에 있어 특정 연속 공정 제조방법을 통하여 표면의 단백다당체 층만을 분리한 식물 종자 유래의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은 보습효과,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아토피 개선효과가 뛰어난 화장료로서 매우 유용하다.
치아 씨앗, 치아 폴리머, 단백다당체, 기능성 소재

Description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Proteoglycan polymer extracted from Chia seed, the producing method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치아 씨앗 표면에 존재하는 단백다당체 층만을 분리하여 폴리머를 제조함에 있어 특정 연속 공정 제조방법을 통하여 표면의 단백다당체 층만을 분리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은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즉,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프리라디칼이 활성화되어 피부 노화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특히 단백질 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히알루론산,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라이칸, 피브로넥틴 등이 절단되어 과다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피부의 탄력에 지장을 주게 되며,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 변이에 의해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기능 저하의 사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신체의 대사 과정중 발생하는 프리라디칼이나 자외선 조사, 염증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프리라디칼을 소거하여 세포막을 보호하고 또 이미 손상받은 세포는 활발한 신진대사에 의해 재생시켜서 세포를 증식시켜야 피부는 빠르게 회복되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노화에는 프리라디칼뿐만 아니라 MMP(matrix metalloproteinase)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MMP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제까지 화장품의 소재로서 사용된 원료들은 단순히 효소 활성만을 억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다음으로, 색소 침착에 의한 피부 변화이다.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로는 멜라닌, 멜라노이드, 카로틴, 헤모글로빈 등이 있는데 이중 가장 중요한 것은 멜라닌이며, 멜라닌 생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정도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흡수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별한 최대흡수파장이 없으며 전 영역의 빛을 흡수한다. 또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기능이 탁월하나, 때로는 멜라닌 자체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기도 하며, 멜라닌 구조내의 카테콜이나 퀴논에 의하여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거나 산화시키고, 멜라닌 자체가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나타내기도 한다.
피부 질환의 일종인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의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피부건조, 습진 등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 아토피성 피부염은 다수의 요인에 기인한다. 아토피 피부염 악화에 관련하는 여러 외적 환경요인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그 증거로 혈중 IgE의 증가, IL-4와 IL-5의 증가, INF-r 등이 있으며, 표피내 수분함량이 저하되고 자연보습인자의 성분이 감소되고 경피수분손실량이 증가되는 피부 이상증세를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에 대하여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치아(Chia)라는 식물의 종자 표면으로부터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추출하고 이들로부터 수용성 폴리머를 제조하여, 항산화 효과, 콜라겐 합성효과, 피부 잔주름 완화효과, 미백효과, 피부자극완화 효과, 보습효과를 측정한 결과 우수하여 화장품과 피부외용제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치아(Chia, Salvia hispanica)란 멕시코가 원산지인 차초기과 민트속에 속하는 사루비아의 일종으로 1년생 열대/아열대 식물이다. 키는 1m까지 크고 꽃은 보라색/흰색이며, 열매는 둥글고 약 2mm 정도로 검은색, 어두운 갈색 또는 흰색을 띄는 데, 이 열매를 치아 씨앗(Seed)이라 한다.
현재까지 치아 씨앗과 관련된 특허는 특허출원 제10-2007-0078421호(`치아시드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합사료와, 그것을 사용한 닭 사육방법과, 그로부터 얻어지는 닭고기'), 특허출원 제10-2006-0119769호(`포만감을 증가시키는 식품 조성물'), 특허출원 제10-2006-0052283호(`식품, 음료 및 식사 대용품에서의 발아시킨 치아시드의 응용방법'), 특허출원 제10-2007-0059396호(`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PCT 공개 WO08/044908호(`Method for obtaining mucilage from Salvia Hispanica L.') 등이 있다. 그러나, 치아 씨앗 표면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제조는 치아 씨앗 표면에서 단백다당체층의 순수분리가 난해하여 아직까지 특별한 연구가 없었고, 다만 상기 유사특허(PCT 공개 WO08/044908호)로는 치아 씨앗 표면으로부터 치아 씨앗과 단백다당체층의 순수분리가 난해하여 단지 기름을 짜는 원리를 응용, 치아 씨앗에 압력을 가하여 압착방식으로 지방질을 포함한 단백질 등의 타성분 제거공정을 거쳐 짜내어진 치아 씨앗에 물을 가한 뒤 치아 씨앗 내재의 탄수화물, 지방질, 섬유질 복합 점액제를 기계적 분산와 초음파를 통하여 추출, 주로 2종 이상의 당의 반복으로 이루어진 다당류 복합체 점액질을 얻는 방법이 있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PCT 공개 WO08/044908호는 치아 씨앗 표면에서의 단백다당체층의 분리가 난해하여 단지 치아 씨앗을 압착 방식으로 지방질제거 공정을 통해 짜내어 표면에 있는 단백다당체층이 제거된 치아 씨앗에 내재하는 단 순 2종 이상의 당으로 이루어진 다당류와 지방질, 섬유질의 점액질을 얻는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치아 씨앗을 가압 압착함으로 인해 내재된 오일이 치아 표면으로 방출되고, 다당류 점액질 형성시 오일이 다당류 점액질에 포함되게 되어 그로 인한 색상의 변화가 심하고 불쾌취도 느껴지며 제품 응용시 불쾌취의 제거, 색상제거, 점액질 내의 오일혼용 등의 개선을 위한 추가공정이 증가하게 된다(Characterisation and Process Development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Soybean Oil, M. Dobarganes Nodar et al.,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2002).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 연구나 시도가 없었던, 치아 씨앗 표면에서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는 방법과 이 방법으로 얻어진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려는 것이며, 좀더 바람직하게는 보습, 항산화, 피부미백, 주름개선, 아토피 개선효과가 뛰어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과는 달리 치아 씨앗 내재성분들이 아닌 치아 씨앗 표면으로부터 단백다당체층을 분리하여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는 데에 차이점이 있다(도 1a, 1b).
수용액 내에서 치아 씨앗은 물을 흡수하여 표면에 투명한 단백다당체 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최적의 제조수율과 제조공정으로 치아 씨앗으로부터 치아 씨앗 표면의 투명한 단백다당체 층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씨앗에서 추출한 단백다당체 폴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아 씨앗을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
침지 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 표면에서 단백다당체를 임계분리하기 위한 조분 리 공정;
조분리 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에서 단백다당체의 결합을 끊는 결절 공정;
결절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에서 단백다당체층을 분리시키는 층분리 공정;
상기 층분리된 단백다당체를 거르는 여과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된 단백다당체를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침전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전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파우더형태의 폴리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수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절공정이 분산기, 초고압 또는 초음파와 같은 물리화학적 방법으로 임계 분리점까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분리 공정에서 해사(sea sand) 또는 글래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분리 물질을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항산화, 노화방지, 주름완화, 미백, 모발손상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자극완화 기능 중 한 가지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제조방법으로 치아 씨앗 표면으로부터 단백다당체 분리방법의 새로운 길을 개발하였고, 그 제조방법으로 얻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뛰어난 보습효과, 항산화 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아토피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색상의 변화가 없고, 냄새가 강하지 않으며, 그 화장학적 용도로서의 여러 효능평가 항목에서 종래 기술에 의한 다당체 폴리머보다 월등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침지공정을 통해 수용액 내에서 치아 씨앗이 팽윤하면서 씨앗 표면에 단백다당체를 구성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최적의 침지공정은 건조된 치아 씨앗 0.5~10중량%를 물에 가하여 30분 내지 5시간 정도 팽윤시킨다.
상기 침지공정을 통해 팽윤된 치아 씨앗은 치아 씨앗 표면으로부터 단백다당체를 임계분리하기 위한 조분리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조분리 공정은 글라스 비드, 해사 등의 조분리 물질을 투여하고 전분산을 하여 입자 충돌을 이용하여 치아 씨앗으로부터 표면 단백다당체의 임계분리를 수행한다.
상기 조분리 공정을 통해 임계분리된 치아 씨앗은 내부의 치아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의 결합을 끊기 위한 결절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한 결절공정은 수용액 내에서 분산기, 초음파 또는 초고압과 같은 물리화학적 분리를 이용하여 임계분리된 내부 치아 씨앗층과 단백다당체 층간의 결절을 시도한다.
상기 결절공정을 통해 분산된 내부 치아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은 원심분리를 이용한 분리공정을 통하여 내부 치아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의 완벽한 층분리가 행해진다.
상기 분리공정을 거친 후 젤 형상의 단백다당체층과 내부 치아 씨앗층은 메쉬 혹은 여과지 등을 이용한 여과공정을 통해 순수한 젤(단백다당체층)을 얻는다.
상기 여과공정을 거친 후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공정에서 얻어진 순수한 젤(단백다당체층)을 침전시키는 침전공정을 거친다.
상기 침전공정을 거친 젤 또는 분리공정을 거친 젤 및 상등액 수용액은 진공농축법으로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젤 및 상등액 수용액은 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이용하거나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분말상의 폴리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상기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패치류, 피부접착용 젤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이들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보조제와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미백, 주름개선 등에 효과적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치아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할 때 보습, 항산화, 피부미백, 주름개선, 아토피개선 등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동결건조중량 기준 0.001-30.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거의 없으며, 3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시예, 비교예, 시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 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 수준에서 통상적인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조분리 물질인 글라스 비드(GHM-30, B&K Media, 한국)를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일본)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20분간 전분산한 뒤, 분산기(Homo Disper, PRIMIX, 일본)를 이용하여 1200rpm, 20℃ 조건으로 40분간 분산하였다. 그 후 내부 치아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원심분리기(Supra 22K, Hanil, 한국)를 이용하여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을 층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고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1"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조분리 물질인 글라스 비드(GHM-30, B&K Media, 한국)를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일본)를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20분간 전분산한 뒤,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한국)를 이용하여 100MPa(1000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40분간 치아 씨앗이 압착되지 않게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그 후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간 층분리 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로 여과하고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회수하여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2"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조분리 물질인 글라스 비드(GHM-30, B&K Media, 한국)를 넣고 프로펠러 믹서(BL3000, Heidon, 일본)을 이용하여 800rpm, 20℃, 조건으로 20분간 전분산한 뒤, 초음파장치(5510R-DHT, BRANSONIC, 미국)를 이용하여 40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 후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간 층분리 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로 여과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회수하여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3"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1200rpm, 20℃ 조건으로 40분간 분산하였다. 그 후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간 층분리 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회수하고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4"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초고압장치(TFS-2L, TOYO KOATSU CO., LTD., 한국)를 이용하여 100MPa(1000bar), 25℃, 물(완충용매) 조건으로 40분간 치아 씨앗이 압착되지 않게 2중 액상 초고압 처리하였다. 그 후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간 층분리 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 한 침전물을 회수하여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5"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침지시킨 후 초음파 장치(5510R-DHT, BRANSONIC, 미국)를 이용하여 40분간 초음파 처리하였다. 그 후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이 분리된 분산액을 8000rpm, 15℃ 조건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내부 씨앗층과 단백다당체층간 층분리 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층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하는 젤을 수득하였고, 에탄올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24시간 침전시킨 후 원심분리한 침전물을 회수하여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얻었다. 이와 같이 수득된 것을 "시료 6"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마쇄한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80℃에서 1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다. 그 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로 치아 씨앗 열수추출물을 수득하였고,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파우더를 얻었다. 이를 "시료 7"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마쇄한 치아 씨앗 3중량%를 에탄올에 가하여 1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그 후 80메쉬와 30㎛ 여과지를 이용한 여과로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감압농축하여 파우더를 얻었다. 이를 "시료 8"이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
<비교예 3>
20MPa 조건의 압착방식으로 지방질 제거공정을 거쳐 짠 치아 씨앗 3중량%를 3차 증류수에 가하여 내재하는 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될 수 있도록 1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그 후 초음파장치(5510R-DHT, BRANSONIC, 미국)와 분산기(Homo Disper, PRIMIX, 일본)로 600rpm, 25℃ 조건으로 2시간 동안 병행처리한 뒤 80메쉬로 감압펌프(WP6122050, MILLIPORE, USA)를 이용, 2MPa의 압력으로 고압 필터 공정을 거쳐 다당체 점액질을 수득하였고, -80℃ 조건에서 48시간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파우더를 얻었다. 이를 "시료 9"라 하고, 하기 시험예에서 사용하였다(*PCT 공개 WO08/044908호를 응용한 방법임).
[시험예 1] 치아 씨앗 폴리머의 수율 비교
본 발명의 결절방법에 따른 치아 씨앗 폴리머의 수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아 씨앗 투입량 대비 폴리머의 수득량으로 실시예, 비교예별 폴리머의 수율을 비교하였다. 방법은 하기와 같다.
동결건조를 통해 얻은 각 실시예, 비교예별 폴리머를 미량저울(CPA2245, Satorius, 독일)을 이용하여 수학식 1을 통해 수율을 확인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폴리머 수율(%) = (시료별 폴리머 수득량/치아씨앗 투입량)x100

분리방법
치아 씨앗 폴리머 수율(%)
일반 조분리공정 생략
열수 추출방법 비교예3 0.65
에탄올 추출방법 비교예4 0.42
분산기 이용 실시예1 14.77 실시예4 8.76
초고압장치 이용 실시예2 12.54 실시예5 7.98
초음파장치 이용 실시예3 11.94 실시예6 7.54
상기 표 1과 같이, 치아 씨앗 폴리머의 수율확인 실험에서 열수 추출(비교예 3)과 에탄올 추출(비교예 4)은 폴리머가 거의 분리되지 않아 극히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비교하여 각각 조분리 공정을 통과한 후 분산기, 초고압장치 또는 초음파장치를 사용하여 임계분리점을 통과한 실시예 1, 2, 3은 높은 폴리머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분리공정을 생략한 실시예 4, 5, 6은 각각 실시예 1, 2, 3과 비교하여 약 절반 정도 낮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볼 때 분산기 등의 조분리 장치와 기타 추출장비를 이용하면 치아 씨앗 폴리머 수율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와 단백다당체 폴리머 비교
본 발명의 연속공정에 따른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와 비교예 3의 치아 씨앗 다당체를 비교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물성치 비교를 수행하였다. 하기 폴리머수율은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색상 진한 갈색 백색
폴리머 수율(%) 7.15 14.77
상기 표 2와 같이, 비교예 3에서 얻어지는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는 씨앗을 압착하여 지방질을 제거하는 공정상 오일로 인하여 씨앗이 변질되어 수용액 및 폴리머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폴리머 수율의 경우 씨앗을 압착하여 씨앗에 내재하는 다당체 성분을 회수한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보다 치아 씨앗 표면의 단백다당체를 분리한 단백다당체 폴리머가 2배 정도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항산화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상기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에 대한 피부 노화개선 효과 검정시험으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시험과 활성산소 소거시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안정한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의 흡광도가 540nm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는 것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인 DPPH가 시료에 의해 소거되어 보라색에서 투명한 색이 될수록 즉,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증가할수록 상기 540nm파장에서 흡광도가 줄어들게 됨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검정시험방법에 의해 진행하였다.
먼저 0.1mM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igma)용액 1 ㎖에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1㎖ 혼합하고, 37℃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Thermo max, 미국)를 이용하여 54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 대조군은 DPPH 1㎖과 메탄올 1㎖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메탄올 1㎖과 시료 1㎖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었다.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을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나타낸다.
자유라디칼 소거율(%) = 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활성산소 소거시험은 잔틴/잔틴옥시데이즈(xanthine/xanthine oxidase, Sigma)의 효소반응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에 의한 니트로블루 테트라졸리움(nitroblue tetrazolium, NBT)의 산화를 이용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활성 산소의 소거능을 알아내었다.
Na2CO3 2.4㎖, 잔틴(Sigma) 0.1㎖, EDTA(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0.1㎖, 소혈청 알부민(BSA, Sigma) 0.1㎖, NBT 0.1㎖ 및 시료 0.1㎖을 넣고 볼텍스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한 후 25℃에서 10분간 방치하고, 잔틴옥시데이즈 0.1㎖을 넣고 25℃ 20분간 반응시킨 후, 6mM CuCl2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540㎚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산소 소거활성시험에서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잔틴옥시데이즈 용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추출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었다.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활성산소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IC50은 활성산소를 50% 소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강함을 의미한다.
활성산소 소거율(%) = 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그리고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이다.
시료 자유라디칼 소거율
SC50(mg/㎖)
활성산소 소거율
IC50(mg/㎖)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11 0.08
치아 씨앗 열수추출물
(비교예 1)
2.76 3
치아 씨앗 에탄올추출물
(비교예 2)
2.15 2.01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2.11 2.03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보다 월등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보습효과 측정
본 발명의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보습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보습효과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방법과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보습효과의 측정은 유수분 측정기(WSK-P500U, Inforward. Inc, 일본)를 이용한 커패시턴스 측정법을 사용하고,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 시작 직전에 전박 굴측면을 항온항습실(22℃, 상대습도 40~60%)에서 20분 동안 적응하게 하여 피부의 수분 자체를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그 다음, 상기 유수분 측정기를 사용하여 각 시료 도포부위의 초기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후 시료를 도포하였다. 시료 도포는 2.0㎎/㎠를 전박 굴측면에 따른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검자마다 도포하는 시료 위치를 달리하면서 도포하였다. 도포 10분, 30분, 50분, 90분, 120분에서 시간별로 피부 수분량을 1차 측정하고, 2시간 후 다시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부위를 3번 반복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피부 수분량을 계산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1%(w/v) 수용액과 비교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일반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 1%(w/v) 수용액 그리고 여러 연구결과에서 피부 보습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sodium salt, Sigma) 1%(w/v)이고,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수용액
도포후 시간 경과에 따른 수분량(A.U)
10분 경과 30분 경과 50분 경과 90분 경과 120분 경과
1%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65.35 64.56 63.88 63.49 61.47
1%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58.23 51.54 45.87 41.10 41.11
1%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60.11 55.41 51.21 48.14 42.77
1%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60.27 57.34 53.22 50.16 48.29
1% 히아루론산 60.31 58.24 57.21 55.87 52.11
표 4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1%(w/v) 수용액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열수추출물, 에탄올추출물, 다당체 폴리머의 1%(w/v) 수용액은 물론, 현재 보습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히아루론산의 1%(w/v) 수용액과 비교하여 보습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시험예 5]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저해 시험
본 발명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미백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타이로시네이즈는 생체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멜라닌이란 흑색의 고분자로서 생체내에서 상기와 같은 산화에 의해 멜라닌이 형성되어 피부 상층부로 이동하게 되면 피부가 검게 변하고 기미, 주근깨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타이로시네이즈의 작용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미백효과를 검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161-168, 1966)을 응용해 판정하였다. 시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료 0.9㎖, 0.1M 인산완충액(pH 6.8) 1.0㎖ 및 1.5mM L-타이로신 용액 1.0㎖을 넣은 후, 37℃에서 10분간 유지시켰다. 머쉬룸 타이로시네이즈(1,500 units/㎖) 0.1㎖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475㎚ 흡광도를 측정하여 타이로시네이즈에 대한 저해율을 얻었다.
상기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시험을 위한 대조군은 시료액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타이로시네이즈 대신 완충용액을 넣어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었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 그리고 여러 연구결과에서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알부틴(arbutin; Arbutin synthetic, Sigma)이었고,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표 5에 나타내었다. IC50은 타이로시네이즈 활성을 50% 저해하는데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율(%) = 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시료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저해율
IC50(㎎/㎖)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05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2.15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1.18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2.55
알부틴 0.03
표 5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보다 미백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며, 현재 미백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알부틴과 미백효과가 거의 비슷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6]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시료의 피부주름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시험을 실시하였다. 엘라스틴은 피부 진피 내 매트릭스층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피부가 노화됨에 따라 엘라스틴이 분해되고 진피 내 매트릭스층이 무너지며 주름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엘라스틴(elastin) 분해 효소인 엘라스테이즈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엘라스테이즈 기질인 N-석시닐-(Ala)3 p-니트로아닐린(N-succinyl-(Ala)3 p-nitroaniline, Sigma)을 이용하여 p-니트로아닐린이 분해되면서 생기는 색의 변화를 405㎚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완충액은 pH 8.0, 0.267M Trizma-HCl(Sigma), 기질액은 8.8mM N-석시닐-(Ala)3 p-니트로아닐린{N-Succinyl-(Ala)3 p-nitroaniline}, 효소액은 돼지췌장 엘라스테이즈를 10㎍/㎖(Sigma) 농도로 사용하였다. 완충액 60㎕, 기질액 20㎕와 상기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시료 각각을 농도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한 시료액 100㎕를 섞은 후 효소액 20㎕를 넣어 25℃ 항온수조에서 15분간 반응시켜 p-니트로아닐린의 생성량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미국)를 사용하여 파장 405㎚에서 측정하였다.
상기 엘라스테이즈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효소액 대신 3차 증류수를 넣어 각각에 대한 색 보정값을 얻었다.
시험에 사용한 시료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 그리고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엘라스테이즈의 특이 저해제인 PMSF(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Sigma)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엘라스테이즈 저해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서 IC50은 엘라스테이즈 활성을 50% 저해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이며, 값이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엘라스테이즈 활성저해율(%)=100-{(시료의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시료 엘라스테이즈 활성 저해율
IC50(㎎/㎖)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1.05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9.52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5.88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9.91
PMSF 0.07
표 6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보다 엘라스테이즈 억제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시험예 7] 콜라겐 합성 효과 시험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콜라겐은 상기 엘라스틴과 함께 피부 진피 매트릭스층을 이루는 구성성분으로서 피부가 서서히 노화 되어가며 진피 내 매트릭스층을 이루고 있는 구성성분들이 분해되어 가면서 주름이 생성되는데, 진피 매트릭스층의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합성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이 진행한다.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를 24-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접종시키고(1x105 세포/웰) 37℃, 5 %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각 시료들을 농도별로 첨가한 혈청이 함유되지 않은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량은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24시간 배양한 배지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분주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코팅하였다. 세척 버퍼(PBS-T; 0.05 % Tween 20 in phosphate buffered saline)로 3회 세척하고 블로킹 용액(5% skim milk, Fluka)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블로킹 용액을 버리고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일차항체(rabbit anti-collagen type I,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씩 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 항체(anti-rabbit IgG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 Sigma)를 PBS-T에 희석하여 100㎕씩 첨가하여 37℃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3회 세척후 기질용액(alkaline phosphatase substrate solution, Sigma)을 100㎕씩 넣고 항온 25℃에서 발색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ermo max, 미국)를 사용하여 405㎚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콜라겐 합성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세포 배양액의 반응 흡광도이며, 콜라겐 합성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아스코르빈산을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각각 3회씩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하기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콜라겐 합성효과를 수치로 계산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22172614-PAT00001







(%)
시료 농도(㎍/㎖)
0 1 10 100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100.00 107.59 111.87 125.34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100.00 95.56 98.32 99.73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100.00 94.71 98.55 101.53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100.00 94.41 96.54 98.29
아스코르빈산(vitamin-C) 100.00 108.45 123.57 131.58
표 7과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다당체 폴리머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 콜라겐 합성효과를 나타냈다.
[시험예 8] 자외선 조사 후 MMP-1 발현억제 평가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Matrix metalloproteinase)-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효소면역분석법(ELISA)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UVA 방출량은 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UVA가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시료가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하였다. 일차항체{MMP-1(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켰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 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다이에탄올아민 완충용액에 용해한 1㎎/㎖ ρ-니트로페닐인산)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405㎚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자외선 조사시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42%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보다 우수한 결과이다(표 8).
시험군 처리농도(%) MMP-1 발현억제율(%)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1 42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0.1 6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0.1 7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0.1 3
레티놀 0.1 18
[시험예 9] B16F1 멜라노싸이트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폴리머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x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완충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mM PMSF) 1㎖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405㎚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수학식 7과 같이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로, 값이 작을 수록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멜라닌 생성 저해율(%) = [(A-B)/A]x 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IC50값은 0.07%로 기존의 미백제인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등과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비교예 1~3과 비교하면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명 처리농도(%)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IC50)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1 0.07%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0.1 2%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0.1 2.3%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0.1 3.1%
알부틴 0.1 0.2%
유용성 감초 추출물 0.1 0.03%
[시험예 10]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 효과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독성의 완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1x105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 B(UVB) 램프(Model :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일본)를 이용하여 자외선 1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10% FBS가 첨가된 것) 1㎖을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시료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나면 배지를 제거하고, 각 웰 당 세포배양 배지 500㎕ 배지와 MTT 용액(2.5㎎/㎖) 60㎕를 넣은 후 2시간 동안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이소프로판올-HCl(0.04 N)을 500㎕씩 넣어주었다. 5분간 진탕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상등액 100㎕씩을 96-웰 시험 플레이트에 옮긴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에서 565㎚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8에 따라 세포생존율(%)을 얻고,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은 수학식 9에 따라 계산하였다.
세포생존율(%) =〔(St-Bo)/(Bt-Bo)〕X 100
Bo: 세포배양배지만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흡광도
Bt: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흡광도
St: 시료를 처리한 웰을 발색 반응한 웰의 565㎚ 흡광도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 완화율(%) =〔1-(St-Bo)/(Bt-Bo)〕X 100
Bo :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 생존율
B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세포 생존율
St :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세포 생존율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0.1%(w/v) 농도에서 자외선에 의한 세포 독성을 40% 완화하여 자외선에 의한 세포독성을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험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세포손상을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표 10).
시료명 처리농도(중량%) 세포독성 완화율(%)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1 40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0.1
12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0.1 14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0.1 15
[시험예 11] 자외선 조사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람의 표피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24-웰 시험 플레이트에 5X104개씩 넣고 24시간 동안 부착시켰다. 각 웰을 PBS로 1회 세척하고 각 웰에 500㎕의 PBS를 넣었다. 이 섬유아세포에 자외선B(UVB) 램프(Model :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10mJ/㎠를 조사한 후 PBS를 덜어내고 세포배양 배지(DMEM에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350㎕를 첨가하였다. 여기에 평가하고자 하는 시료를 처리한 후 5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150㎕ 취하여 IL-1α를 정량함으로써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억제효과를 판단하였다. IL-1α의 양은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IL-1α의 생성율은 수학식 9에 의해 계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1-(St-Bo)/(Bt-Bo)〕X 100
Bo: 자외선 조사하지 않고 시료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
B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웰의 IL-1α생성량
St: 자외선 조사하고 시료를 처리한 웰의 IL-1α생성량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는 자외선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α의 생성을 0.1% 농도에서 58%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염증 발생을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으로 방어함을 알 수 있다(표 11).
시료명 처리농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율(%)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0.05 30
0.1 58
치아 씨앗 열수 추출물
(비교예 1)

0.1
10
치아 씨앗 에탄올 추출물
(비교예 2)
0.1 11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0.1 13
[시험예 12]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성분분석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구성 당 성분, 아미노산 성분, 단백질 함량, 분자량 측정 검정을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다(도 3).
먼저, 당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2.5㎎을 1㎖의 3차 증류수에 용해한 후 TFA(trifluoroacetic acid)를 이용하여 가수분해시켰다. 그 후 PMP(1-phenyl-3-methyl-5-pyrazolone)를 이용하여 유도체화(derivatization)한 다음 Shim-pack(6.0x150mm, CLC-ODS) 컬럼과 고압 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미국)를 이용하여 UV 245㎚에서 검출하였으며 표준물질로 1mM 혼합물(Man, GlcU, Rha, Ara, Gal, Glc, Xyl, Fuc)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당 성분을 확인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료 몰%
Man GlcU Rha Glc Gal Xyl Ara Fuc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1.8 27.1 8.7 4.9 46.8 7.6 0.9 2.3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3.8 5.7 32.5 2.6 5.9 41.9 3.5 4.1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당은 주로 갈락토스와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이며, 람노스, 자일로스, 글루코스, 퓨코스, 만노스, 아라비노스도 소량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3(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의 당은 주로 자일로스, 람노스이며, 갈락토스, 글루쿠로닉산, 글루코스, 퓨코스, 만노스, 아라비노스도 소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0.2g을 20㎖의 6N HCl에 130℃ 24시간 동안 가수분해시켜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을 끊어 유리아미노산으로 만들었다. 그 후 유리 아미노산을 OPA(o-phthalaldehyde, Agilent), FMOC(9-fluorenylmethylchloroformate) 유도체를 사용하여 형광을 띄는 아이소인돌(isoindole)을 형성시킨 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 Agilent, USA)를 이용한 형광검출기(FLD, Agilent Technologies, USA)에서 아미노산을 검출하였다. 표준물질로 250pM 아미노산 분석 스탠다드(AAS, Agilent, USA)를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성분 아미노산을 확인하였다(표 13).
아미노산 종류 실시예 1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mg/g)
비교예 3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mg/g)
ASP 1.94 -
GLU 3.64 -
SER 0.90 -
HIS - -
GLY 3.64 -
THR 0.84 -
ARG 0.96 -
ALA 2.00 -
TYR 0.43 -
CYS 4.82 -
VAL 1.09 -
MET - -
PHE 0.53 -
ILE 0.64 -
LEU 0.89 -
LYS - -
PRO - -
총아미노산 함량 22.32 mg/g -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아미노산은 주로 시스테인, 글루타민산, 글라이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13종으로 함량은 22.32mg/g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3(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에서는 아미노산이 검출한계 이하 혹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백질 함량은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BCA(bicinchoninic acid) 측정법을 수행하였다. BCA 측정법은 단백질이 구리 이온(Cu2+, Cu1+)을 환원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단백질에 의해 환원된 구리 이온은 BCA 용액과 반응하여 보라빛의 화합물(Cu+/BCA chromophore)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 보랏빛 화합물은 특정 파장 562㎚에서 최대 흡광도를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의 양이 많을수록 보랏빛 화합물이 더 많이 생기며 562㎚에서 흡광도가 증가함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하기과 같다.
우선 마이크로 BCA 단백질 측정 시약 키트(Pierce, cat. no. 23227)를 이용, 각 96마이크로플레이트 웰에 각각 150㎕씩 표준액 또는 희석된 시료를 넣은 후 BCA(bicinchoninic acid) 키트 WR(Working Reagent) 시약을 첨가하여 30초간 격렬히 혼합하였다. 그 후 37℃, 2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미국)로 540㎚ 흡광도를 측정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단백질 정량하였다. 결과는 표 14와 같다.
시료 단백질 함량(mg/g)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31mg/g
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
(비교예 3)
-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단백질 함량은 31mg/g으로 확인되었고, 비교예 3(치아 씨앗 다당체 폴리머)의 단백질 함량은 검출한계 이하 혹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자량 측정은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분자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pL 아쿠아겔 OH-30(7.5X300㎜, VARIAN, 미국) 컬럼과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Agilent Technologies 1200 Series HPLC/GPC, Agilent, 미국), ELSD(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s) 검출기(ELSD 3300, Alltech, USA)를 이용하여, 이동상 이온제거수, 컬럼 온도 25℃, 분당 0.7㎖ 유속, 검출기 온도 50℃, 질소가스 유속 1.4ℓ/min의 조건으로 검출하였으며, 표준물질로 각 분자량별 PEG(PolyEthyleneGlycol)를 사용하여 시료의 컬럼 내 지연시간에 따른 분자량의 검량선을 작성하여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검량곡선식 최대 지연시간(min) Mn(Da)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실시예 1)
y=-0.438x +7.970 6.543 126,978
상기와 같이 치아 씨앗 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에서 250,000 Da로 밝혀졌으며, 분자량 분포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은 약 130,000Da으로 밝혀졌다(도 4).
[시험예 1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검증
본 발명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검증을 위해 분광학적 분석법인 FT-IR분석을 실시하였다. 단백질의 기본구조인 펩타이드의 아미노카보닐(C=O)기와 당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OH)기를 각각 3450cm-1와 1650cm-1에서 확인하여 단백다당체를 검정하였다. 실험방법은 하기와 같다.
상기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실시예 1) 시료 0.001g을 KBr(Potassium bromide, FT-IR grade, Sigma) 0.5g과 함께 막자사발로 고르게 분쇄하였다. 그 후 소량을 펠렛 주형에 넣고 유압기를 사용하여 펠렛으로 만들었다. FT-IR(IR 100/200, ThermoFisher Scientific, 영국)을 이용하여 적외선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도 5).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포함한 영양크림의 성분구성을 하기 표 16과 같이 구성하여 제조하였다.
번호 성 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1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2.0
2 스테아린산 1.5 1.5
3 세테아릴 알콜 2.2 2.2
4 밀납 1.0 1.0
5 스쿠알란 3.0 3.0
6 경화식물유 1.0 1.0
7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0.6
8 광물유 5.0 5.0
9 폴리솔베이트 60 1.5 1.5
10 디메치콘 1.0 1.0
11 트리옥타노인 5.0 5.0
12 베타인 3.0 3.0
13 트리에탄올아민 1.0 1.0
14 글리세린 5.0 5.0
15 소듐히아루로네이트 3.0 3.0
16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2.0 -
17 증류수 잔량 잔량
18 방부제, 향, 색소 미량 미량
상기 표 16의 조성으로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원료 12 내지 17의 수성성분을 8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원료 1 내지 11을 80℃로 가온하여 상기 원료 12 내지 17의 용액에 투입하고 호모믹서(Homo Mixer Mark Ⅱ, Primix, 일본)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15분간 유화시켰다. 그 후, 원료 18을 투입하여 5분간 교반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시험예 14] 영양크림 제형의 미백효과 측정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미백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기미, 주근깨 및 색소 침착증을 갖고 있는 25세이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사용하게 한 후 색도측정기(CR-410, Minolta, 일본)를 이용하여 피부색 밝기 변화(ΔL)를 측정하였다. 총 20명의 평균값을 통하여 계산하였으며, 밝기 변화값이 높을 수록 미백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 결과는 하기와 같다(표 17).
평균값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피부색 밝기 변화(ΔL) 5.82 0.52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가 첨가된 제형 실시예 1의 영양크림은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미백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5] 영양크림 제형의 주름개선효과 측정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주름개선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피부노화가 진행 중인 30대 이상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12주간 양쪽 눈가주름(crow feets)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4주, 8주, 12주 간격으로 눈가 주름 주형(replica)을 영상분석법으로 Skin visiometer(SV-600, C+K, 독일)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평균값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도포 전 330 ± 31 312 ± 27
도포 12주후 258 ± 31 301 ± 27
주름깊이 감소율(%) 21.8 % 3.5 %
상기 결과와 같이 실시예 1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가 첨가된 제형 실시예 1의 영양크림은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주름개선효과가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6] 영양크림 제형의 아토피 개선효과
상기 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영양크림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피부장벽 손상방법으로 아세톤을 도포하였다. 8-12주령 무모생쥐의 배부에 아세톤을 점적하여 경피수분 손실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이 4.0g/㎡/h에 도달하면 상기제형 실시예 1 및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을 도포하였다. 경피수분 손실량은 C+K사(Cologne, 독일)의 증발계인 Tewameter 210으로 측정하였다. 도포 6시간 경과 후 경피수분 손실량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피부장벽기능이 회복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효능평가에 사용된 피부장벽기능 회복율(Barrier Recovery, Br)의 계산은 수학식 11과 같이 계산하였고 결과를 표 19에 나타내었다.
피부장벽기능 회복율= (1-(Bt=6- Bt=0)/(Bt=d - Bt=0))×100
Bt=6 : 피부장벽 손상후 6시간 경과 후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값
Bt=0 : 피부장벽 손상 이전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값
Bt=d : 피부장벽 손상 직후 경피수분 손실량 측정값

회복율(%)
평균값
제형 실시예 1 제형 비교예 1
6시간 경과 피부장벽기능 회복율
(초기 경피수분손실량 기준)
59 28
상기와 같이, 실시예 1의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가 첨가된 제형 실시예 1의 영양크림은 제형 비교예 1의 영양크림과 비교하였을 때, 피부장벽 손상 후 회복 효과가 현저히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표 20), 수렴화장수(표 21), 영양 화장수(표 22), 에센스(표 23) 및 팩(표 24)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통상의 지식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5.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3.00
3 PEG 1500 1.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에탄올 10.00
9 옥틱도데세스-16 0.20
10 폴리솔베이트 20 0.20
11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5.0
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3 증류수 잔량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2.00
2 1,3-부틸렌 글라이콜 2.00
3 알란토인 0.10
4 DL-판테놀 0.30
5 EDTA-2Na 0.02
6 벤조페논-9 0.04
7 에탄올 15.00
8 폴리솔베이트 20 0.20
9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3.0
10 구연산 미량
11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2 증류수 잔량
번호 성 분 함량(%)
1 세테아릴 알콜 1.00
2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0
3 폴리소르베이트 60 1.00
4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30
5 세틸옥타노에이트 6.00
6 스쿠알란 4.00
7 샤플라워오일 4.00
8 부틸렌글라이콜 4.00
9 글리세린 4.00
10 카보머 0.10
11 트리에탄올아민 0.10
12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번호 성 분 함량(%)
1 글리세린 10.00
2 베타인 5.00
3 PEG 1500 2.00
4 알란토인 0.10
5 DL-판테놀 0.30
6 EDTA-2Na 0.02
7 벤조페논-9 0.04
8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0
9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8
11 옥틸도데칸올 0.30
12 옥틸도데세스-16 0.40
13 에탄올 6.00
14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5.00
15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6 증류수 잔량
번호 성 분 함량(%)
1 폴리비닐 알콜 15.00
2 셀룰로오스 검 0.15
3 글리세린 3.00
4 PEG 1500 2.00
5 시이크데스트린 0.15
6 DL-판테놀 0.30
7 알란토인 0.10
8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20
9 니코틴 아미드 0.40
10 에탄올 5.00
11 PEG 40 경화피마자유 0.30
12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1.00
1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14 증류수 잔량
도 1은 치아 씨앗 다당체 수득 공정, 단백다당체 분리 모식도이고,
도 2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제조 방법
도 3은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성분분석
도 4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분자량측정
도 5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의 FT-IR 스펙트럼

Claims (9)

  1. 치아 씨앗에서 추출한 단백다당체 폴리머
  2. 치아 씨앗을 수용액에 침지하는 공정;
    침지 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 표면에서 단백다당체를 임계분리하기 위한 조분리 공정;
    조분리 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에서 단백다당체의 결합을 끊는 결절 공정;
    결절공정을 거친 치아 씨앗에서 단백다당체층을 분리시키는 층분리 공정;
    상기 층분리된 단백다당체를 거르는 여과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된 단백다당체를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키는 침전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파우더형태의 폴리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수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절공정은 분산기, 초고압 및 초음파 중 한 가지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분리 공정은 해사(sea sand) 또는 글래스 비드를 포함하는 조분리 물질을 투입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제조방법.
  7.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노화방지, 주름완화, 미백, 모발손상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 억제 및 자극완화 기능 중 한 가지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의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씨앗 폴리머를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31881A 2009-04-13 2009-04-1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81A KR101074776B1 (ko) 2009-04-13 2009-04-1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81A KR101074776B1 (ko) 2009-04-13 2009-04-1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51A true KR20100113351A (ko) 2010-10-21
KR101074776B1 KR101074776B1 (ko) 2011-10-18

Family

ID=4313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81A KR101074776B1 (ko) 2009-04-13 2009-04-13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7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537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815B1 (ko) * 2021-04-14 2021-09-2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치아씨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2269B1 (ko) 2003-10-22 2006-02-2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537A (ko)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바실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815B1 (ko) * 2021-04-14 2021-09-23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치아씨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776B1 (ko) 201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858B1 (ko) 광독성이 낮은 모자반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8567A (ko) 감자 추출물 및/또는 육쪽 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6535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갈파래과 해조류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49057B1 (ko) 초임계 유체 추출기법을 이용한 오기단 (동충하초, 가시오갈피, 영지버섯, 녹용 및 인삼)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32564B1 (ko) 진피 추출물을 주요 활성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356797B1 (ko) 레몬버베나 유래 액티오사이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27788B1 (ko) 글루쿠론산을 다량 함유하는 지충이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074776B1 (ko)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 폴리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107565A (ko) 백리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47202B1 (ko) 홍삼 다당체 또는 홍삼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61848B1 (ko) 둥근마 유래의 뮤신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02369A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32633B1 (ko)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항염증효과, 피부보호효과와피부탄력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0201B1 (ko) 소나무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6857B1 (ko)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4203B1 (ko)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5213B1 (ko) 레몬버베나 유래 루테오닌­7­디글루쿠로니드 함유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