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6857B1 -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6857B1
KR100566857B1 KR1020040030394A KR20040030394A KR100566857B1 KR 100566857 B1 KR100566857 B1 KR 100566857B1 KR 1020040030394 A KR1020040030394 A KR 1020040030394A KR 20040030394 A KR20040030394 A KR 20040030394A KR 100566857 B1 KR100566857 B1 KR 10056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ponin
skin
soybean
crude extract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4934A (ko
Inventor
하배진
이준구
이상헌
김희진
Original Assignee
하배진
이준구
김희진
이상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배진, 이준구, 김희진, 이상헌 filed Critical 하배진
Priority to KR102004003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6857B1/ko
Publication of KR2005010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2Cru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약콩으로부터 추출된 사포닌 조추출물은 자외선 차단, 자동산화 방지, 프리라디컬 소거 등 항산화 작용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와 티로시나제 억제, 멜라닌 생성억제 등 멜라닌 활성억제 작용을 통한 미백 효과를 가짐으로써 기능성이 뛰어나고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약콩, 미백, 주름개선, 화장품, 사포닌

Description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Lifting and Whitening Ingredient Containing Saponin extracted from Rhynchosia Molubili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자동산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으로부터 추출된 사포닌 조추출물은 자외선 차단, 자동산화 방지, 프리라디컬 소거 등 항산화 작용을 통한 주름개선 효과와 티로시나제 억제, 멜라닌 생성억제 등 멜라닌 활성억제 작용을 통한 미백 효과를 가짐으로써 기능성이 뛰어나고 안전성면에서도 우수한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약콩(Rhynchosia Molubilis)은 강원도 정선지방에서 자생하는 한국토종의 흑콩(검정콩)으로서 약으로 쓰인다하여 선조들이 붙인 이름이며, 모양과 색깔에서 그 크기가 작고 색깔이 검고 반짝반짝 빛난다하여 쥐의 눈과 같다는 의미로 쥐눈이콩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를 한문으로 번역하여 서목태라고도 한다. 약콩은 색깔이 검지만 크기가 큰 흔히 보는 보통의 서리태와 구분되며 중국 만주지방을 본산지로 하는 대두(Glycine max Merrill)와는 명확히 구별된다.
약콩은 일년생 초본으로 잎은 어긋나게 나오는 3출 복엽이고 꽃은 8월 중순에 잎겨드랑이에 피고 종자 100알의 무게가 12.47g 이다. 생육 특성은 일반 검정콩과 비슷하나 잎이 작고 꼬투리가 작아 2개 정도의 종자가 들어있고 5월 중·하순경에 파종하고 10월 상순경에 수확한다.
약콩은 일반 영양성분으로 탄수화물 38.5%, 조단백질 34.7%, 조지방 15.9%를 함유하고 있으며 무기성분은 칼륨, 인, 칼슘, 마그네슘이 풍부하고 당으로는 글루코스와 갈락토스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이 82.63% 으로 리놀레산(linoleic acid), 올레산(ole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이 주종을 이루고 특히 리놀레산의 함량이 높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알려진 파이토에 스트로겐의 하나인 이소플라빈의 함량이 대두보다 2배나 높으며 또한 약콩 껍질에 항산화 활성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높게 나타난다. 약콩과 대두는 일반 영양성분으로써는 비슷하지만 기능성 성분, 주로 이소플라빈과 페놀성 화합물에서 차이가 명확히 나타난다.
기능성 화장품은 1999년 약사법으로부터 독립 제정되고 2000년 7월 1일부터 그 시행이 확정된 화장품법에 기능성 화장품이 명시됨으로써 급격히 발전하였으며 21세기는 바야흐로 기능성 화장품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기능성 화장품이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그리고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을 말한다. 화장품에서 요구되는 효능·효과 중에서 미백은 주름방지나 육모·양모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효능·효과 중의 하나이다. 피부의 색소침착은 표피의 기저층에 있는 색소세포에 의해서 생성되는 멜라닌이 그 원인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약제는 미백 화장품의 유효성 원료로서 예로부터 활발한 연구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품 분야에 있어서도 화장품 혹은 의약부외품의 원료 공급원으로서 천연물이 주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식물 유래성분의 미백효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기능성 천연물로서 약콩에 대한 연구는 이소플라빈의 항암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식품·음료·약품 분야에 집중되어 있고, 또한 약콩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약콩 추출물 중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는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근래 각광받는 기능성 물질의 하나인 사포닌은 주로 인삼에서 분리된 사포닌이 이용되고 있으나, 인삼 사포닌 성분은 고가의 원료이기 때문에 이를 기능성 제품에 적용할 경우 제품 원가 상승으로 기업의 경제적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애로상항을 타개하기 위하여 인삼 사포닌의 대체물질로 저가의 그리고 고품질의 새로운 사포닌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기능성 원료인 사포닌에 주목하여 인삼에 비하여 저렴하면서도 품질면에서 뒤떨어지지 않는 사포닌의 새로운 분리원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노화방지 및 미백기능의 기능성 전문화장품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물질인 사포닌의 새로운 분리원을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얻은 사포닌을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품의 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이 때 기능성은 주름개선 또는 미백활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약콩에서 추출한 사포닌 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본 발명에서는 약콩으로부터 사포닌 성분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약콩을 수성 및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순차추출하여 사포닌 조추출물을 얻었다.
본 발명에서는 약콩을 에테르 등의 비극성 유기 용매와 수성 용매로 상분리하여 비극성 유기 용매층으로 추출되는 지방성 물질과 식물성 색소를 제거해내고, 수층에 부탄올 등의 극성 유기 용매를 가하여 극성 물질인 사포닌이 포함된 조추출물을 얻는다.
약콩으로부터 사포닌을 정제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이 주지하는 통상의 추출 방법을 모두 이용가능하다.
상기 과정으로 정제된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첫 번째로 주름개선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프리라디칼 소거 활성, 자동산화 방지활성 및 자외선 흡수효과를 시험하였다.
프리라디칼(free radicals)에 의한 피부노화 과정은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DNA 산화, 멜라닌 생성, 결합조직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등을 포함한다. 이들 반응들은 거의 대부분 라디칼 반응으로서 자동산화반응 과정을 거쳐 진행되고 있다. 자동산화 반응은 연쇄 반응으로 이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많은 생체 구성 성분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자동산화 반응을 되도록이면 빨리 차단시켜야 한다. 생체 내에서 자동산화 반응을 차단시키는 역할은 항산화제가 담당하고 있다.
자동산화 반응의 가장 대표적인 지질과산화 반응을 예로 들어보면, 세포막의 성분인 인지질에는 다가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들어 있다. 자외선에의 노출 등에 의해 피부에서 생성된 프리라디칼은 불포화지방산에 있는 반응성 메틸렌기로부터 알릴자리 수소를 탈취함으로써 지질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이어서 지질 라디칼을 전자 재배열 후 산소와 반응하여 과산화 라디칼을 생성시킨다. 생성된 과산화 라디칼은 새로운 지질 라디칼을 만들고 이 지질 라디칼은 과산화 라디칼을 만드는 연쇄반 응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의 연쇄반응을 자동산화 반응이라고 한다. 이러한 자동산화 반응의 종결은 토코페롤과 같은 항산화제가 수소원자를 과산화 라디칼에 줌으로써 달성된다.
수소 원자를 주는 능력, 이는 바로 환원력이며 환원력이 클수록 강력한 항산화제가 된다. 이러한 환원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약으로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DPPH)이 있다. 이 DPPH법은 매우 간편하고 짧은 시간에 결과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천연물 중의 항산화 물질을 검색하는 경우나 항노화 화장품 원료들의 비교 평가시 이용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DPPH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프리라디컬 소거 작용을 확인하였고, 자동산화가 잘 되는 물질인 리놀산을 이용하여 자동산화 억제 활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은 프리라디컬 소거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동산화의 항산화 효과도 우수하였다(도 1 및 도 2 참조).
또한 태양 자외선은 피부 색소침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피부가 UVB (290-320 nm) 및 UVA (320-400 nm)로 대별되는 태양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UVB는 주로 피부의 표피층까지 UVA는 진피층까지 도달된다.
UVB는 염증을 일으키거나 세포 손상에 관여하고, 또한 색소침착을 일으키거나 참여한다. 구체적으로 UVB는 표피세포인 케라티노사이트로 하여금 멜라닌 합성 지령인자를 방출토록 하여 이 인자들이 멜라노사이트를 활성화시켜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UVA는 진피층에 도달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을 경유하여 진피층에 손상을 준다. 특히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 등의 단백질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등의 물질들을 파괴함으로써 주름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자외선으로부터 색소침착 억제 및 주름 생성 억제를 위해서는 UVB 및 UVA를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자외선흡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외선 차단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과 자외선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은 알부틴과 유사한 정도의 자외선 흡수도를 나타내었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은 항산화효과, 프리라디컬 소거 활성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므로 주름방지에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in vivo 시험을 통하여 확인해보았다. 즉, 주름은 자외선이나 나이의 증가에 의해 용이하게 발생하므로, UV로 주름을 유발한 백색토끼를 이용하여 주름방지 및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이 육안 및 감촉상으로 주름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생리활성 확인시험 그 두 번째로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를 시험하고 육안으로 미백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사람의 색소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은 유멜라닌(eumelanin)과 페오멜라닌(pheomelanin)으로 대별된다. 유멜라닌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티로시나제에 의해 타이로신이 도파(DOPA, 3,4-dihydroxyphenylalanine)를 거쳐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산화되고 도파퀴논은 자발적으로 엔도사이클(endocycle)을 형성하여 루코도파크롬(leucodopachrome)으로 된다. 루코도파크롬은 도파퀴논과의 환원적 호환작용으로 산화되어 도파와 도파퀴논으로 된다. 도파는 다시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퀴논을 형성하고, 도파/도파퀴논 산화환원 회로가 멜라닌 생성의 산화적 구동장치로 작용한다. 이어서 도파크롬은 CO2 이탈반응과 도파크롬 타우토머라제(dopachome tautomerase)에 의해 5,6-dihydroxy-indol (DHI)과 5,6-dihydroxyindol carboxylic acid (DHICA)로 되며, 이들은 도파퀴논 이하의 중간 대사물이 자동산화 반응, 광화 반응, 혹은 티로시나제, 도파크롬 타우토머라제, DHICA-옥시다제 등에 의해 중합되어 유멜라닌으로 된다. 자동산화는 금속이온 특히 철, 구리 등의 2가 이온에 의해 촉진된다. 한편 페오멜라닌은 도파퀴논에 시스테닐 도파 등의 부가물을 경유하여 생성된다.
1990년대에 들어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과정에 대한 연구는 크게 발전하였다. 이와 더불어 멜라닌 생성 기구의 1효소설에서 3효소설로의 새로운 전개가 이루어지고 있다. 멜라닌 생성관련 3효소 이론의 응용은 미백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멜라닌 생성과정은 크게 대별해 보면, 핵심 효소인 티로시나제 등의 효소작용과 자동산화반응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멜라닌생성에 있어서 결정적으로 중요한 핵심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이 효소는 아미노산 타이로신으로부터 시작되는 멜라닌 생합성 과정 중에서 타이로신으로부터 도파, 도파로부터 도파퀴논, 그리고 DHI로부터 유멜라닌으로의 전환을 촉매하는데 관여한다.
최근 수년간 멜라닌 생성과 제어 메카니즘 연구의 진보는 매우 현저하였다(Mishima, Y., et al., 1998; Maeda, K., 1997; Mishima, Y., et al., 1996). 이러한 연구 성과에 의해, 색소세포내의 티로시나제 저해뿐만 아니라 멜라닌 생성의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멜라닌 배출촉진 등 미백 메카니즘의 문제는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등의 아라키돈산 대사산물, 색소세포 호르몬 등의 존재가 밝혀졌다(Maeda, K., 1997; Mishima, Y., et al., 1996). 또한 멜라닌 색소세포내에 있어서 멜라닌 모노머를 적당한 화합물로 트랩시키는 멜라닌 생성 억제법도 제창되고 있다(Mishima, Y., et al., 1998) 종래의 미백제로서는, 비타민 C 유도체 (Egawa, M., et al., 1997). 알부틴 및 코직산 (Maeda, K., et al., 1991)이 유효 성분으로 허가되어 있다. 최근에 미백제로 연구 개발되어 보고되고 있는 것으로는, DL-α-tocopheryl ferulate(Funasaka, Y., et al, 1997). 안정형 비타민 C 유도체들(예, L-ascobic acid-2-glucoside; Egawa, M, et al., 1997), ellagic acid (Tachibana, S., et al., 1997), α-hydroxy acids(AHAs) (Sinomiya, T., 1997), 3,5-dicaffeoy 1-quinate (Shinmotom, H., 1997)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코직산과 유용성 감초 추출물인 glabridin 의 병용에 의한 상승적 미백작용에 관한 연구보고도 있다(Koide, G., et al., 1997).
본 발명에서는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억제하여 타이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24, 161-168(1966))을 이용해 미백효과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 미백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진 비타민 C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이 활성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을 실험동물 및 자원자에 도포하여 그 미백효과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에도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은 우수한 미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의 피부 누적 자극성을 시험하고, 광선에 의한 독성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학 물질 중에서 우발적 또는 의도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접촉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해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그 피부에 지속적으로 접촉 후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자극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 피부누적 자극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광선에 의해 나타나는 피부 자극 반응을 통하여 매일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독성의 유무를 시험한 후 평가 기준에 의해 광독성 유무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은 피부누적 자극이나 광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추출된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은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상의 부형제 등을 부가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수용액, 오일액, 또는 그 밖의 용액, 예컨대 에멀젼, 크림, 겔 현탁액, 마이크로캡슐, 분발, 과립, 캡슐, 고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이들은 공지의 방법으로 본래 형태로 제제하거나, 로션, 에멀젼, 크림제, 연고제, 경고제, 패프(paps)제, 에어로졸제, 주사제, 내복제, 좌제 등으로서 제조하여 신체에 도포, 첨부, 분무, 주사, 음용, 삽입할 수 있다. 이들의 제제 형태 중에서도 로션, 에멀젼, 크림제, 연고제, 경고제, 패프제, 에어로졸제 등의 피부 외용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범용되는 부형제 및 향료 등을 비롯하여, 유지류, 계면활성제, 보존제, 금속이온봉쇄제,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분말성분, 자외선 차단제, 보습제, 약효 성분, 산화방지제, pH 조정제, 세정제, 건조제, 유화제 등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각종 성분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서 다양한 보완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의 제조
약콩 100g과 70% 알콜 500ml을 3시간동안 환류 냉각하였다. 여과한 액을 농축하고, 농축액 40ml에 에테르 120ml과 증류수 200ml을 분별 깔대기에 넣고 4시간 동안 상분리하였다. 그 후 아래층인 수층에 부탄올 120ml을 가하여 4시간동안 상분리시켰다. 위 층인 부탄올층을 5회에 걸쳐 증류수를 100ml씩 가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부탄올 층은 농축하고 부탄올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증류수를 가하여 농축시켰다.
농축시킨 액을 동결 건조하여 0.5g의 사포닌 조추출물을 추출(수득율 0.5%)하였다.
<실시예 2> 약콩 사포닌 크림의 제제
하기 표 2의 처방에 따라 약콩 사포닌 크림을 제제하였다.
약콩 사포닌 크림의 조성
성분 대조군 크림(%) 악콩 사포닌 크림(%)
히드록시 에칠 셀룰로오스 0.1 0.1
프로필렌 글리콜 10 10
방부제 0.4 0.4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2 0.2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3.5 3.5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5 0.5
세토 스테아릴 알콜 2.5 2.5
초산 토코페롤 0.5 0.5
올리부유 4.0 4.0
유동 파라핀 7.0 7.0
트리 에탄올 아민 0.3 0.3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무첨가 0.3첨가
정제수 적량을 가하여 100중량%로 한다.
<시험예 1> 프리라디칼 소거 작용
DPPH 용액 0.5ml에 시료(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실시예 2에 따른 약콩 사포닌 크림 및 대조군 크림)를 0.23%, 0.3%, 0.6%, 0.9%, 1.2%, 1.5%, 1.8%, 2.1%의 농도로 1ml을 넣고 에탄올 용액 1ml을 첨가하여 섞은 다음 37℃에서 10분간 방치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 크림에 비하여 약콩 사포닌 크림은 현저한 프리라디칼 소거작용 효과를 나타내았고, 정제한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은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와 유사한 활성능을 보였다.
<시험예 2> 리놀산 자동산화 방지 활성
리놀산 용액 3ml과 4mg/ml로 조정한 각각의 시료 0.075ml을 첨가한 후 4℃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에탄올에 첨가하여 교반한 후 티오시안산암모늄 용액 0.1ml과 염화 제1철 0.1ml을 첨가하여 3분간 방치한 후 500nm에서 흡수 파장을 측정하였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크림에 비해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약콩 사포닌 크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C 및 알부틴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자외선 흡수스펙트럼 측정
자외선 분광기를 사용하여 각 시료를 녹인 용매를 대조하여 자외선 흡광도(190~350nm)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및 약콩 사포닌 크림은 자외선 차단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4> 토끼 피부 주름개선 측정
자외선이나 나이의 증가에 의해 피부에 주름이 용이하게 발생하므로, UV로 주름을 유발한 백색토끼(체중 1.5~3.0 kg)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료 500mg을 매일 2회 도포하여 주름방지 및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포하기 전 토끼 피부는 육안과 감촉으로 측정한 결과 피부가 주름이 지고 감촉이 두들두들 하였으나 도포 후 육안으로 보았을때 주름이 펴져 있었고 감촉상 매끈매끈하였다.
<시험예 5>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시험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의 시료 15㎕을 마이크로플레이트 (96well)에 넣고, 인산완충용액(PH 6.86) 150㎕, L-티로신 용액 25㎕을 넣은 후 머쉬룸 티로시나아제(sigma, USA) 7㎕를 첨가하여 30℃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490nm에서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IC50
약콩사포닌 조추출물 0.05%
약콩사포닌 크림 0.1%
대조군 크림 1%
알부틴 0.0005%
비타민C 0.0005%
IC50은 효소활성 저해율 50%에 달하는 저해물질의 농도이다.
시료물질을 미백효과가 뛰어난 알부틴과 비타민 C와 비교해보았을 때, 대조군 크림보다 약콩 사포닌 크림이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약콩 사포닌 크림보다 정제한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효소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났다.
<시험예 6> 토끼 피부 미백 실험
백색 토끼(체중 1.5~3.0 kg)의 피부에 멜라닌 색소를 투여하여 검은 반점을 생성시킨 다음 매일 각각의 시료 500mg을 바른 20일 후 멜라닌의 제거 유무를 통하여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크림의 경우 자연방치한 대조구획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나,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및 약콩 사포닌 크림은 현저히 검은 반점이 사라졌다.
<시험예 7> 인체 피부 미백 효과 관찰
대조군 크림과 약콩 사포닌 크림을 실험자(20-40세의 여성) 10명의 2그룹으로 나누어 얼굴에 도포하였다. 각 그룹은 1일 2회 연속 1개월간 대조군 크림과 약콩 사포닌 크림 500mg을 도포하였다.
한 그룹 왼쪽 얼굴에는 대조군 크림을 도포하였고 오른쪽 무도포하였고, 다른 그룹은 왼쪽 얼굴에는 약콩 사포닌 크림을 도포하였고 오른쪽 무도포하여 얼굴 좌우양쪽 비교실험을 하였다.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부위 피부를 화상분석으로 얼굴색을 비교하여 어두운 색을 5, 중간색을 3, 가장 환한 색을 1로 정하고 그 중간정도를 어림잡아 평하였다.
인체 피부 미백 효과
실험인원 1 2 3 4 5 6 7 8 9 10
오른쪽 피부색 (크림 무도포 부분) 3 3 2.5 3 3 3 2.5 3 3 2.5
왼쪽 피부색 (대조군 크림 도포부분) 2.5 2.5 2.5 3 2.5 3 2 2.5 2.5 2
오른쪽 피부색 (크림 무도포 부분) 2.5 3 2.5 3 3 3 2.5 3 3 2.5
왼쪽 피부색 (약콩사포닌크림 도포부분) 1.5 1.5 1 1.5 1.5 1.5 1 1 1.5 1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크림에 비해 약콩 사포닌 크림의 미백 효과가 탁월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8> 누적 피부 자극성 시험
(1) 사육 환경 및 관리
(가) 사육 환경 : 실내 온도 23±3℃, 습도 50±10%
(나) 사료 및 음수 : 토끼용 고형사료, 음수는 상수도수, 자유섭취
(2) 시험군의 구성
건강한 암컷동물 3마리 이용, 동물의 등 부위를 약 2.0×2.0㎝ 정도의 크기로 척추를 중심으로 한 구역을 대조군으로 하고 나머지 구역을 시험구획으로 하여 시험구역에 물질을 도포하였다.
(3) 실험 방법
(가) 시험물질의 적용 24시간 전에 제모를 실시(토끼3마리)하고, 시험 부위 (각각 2.0×2.0㎝) 구획을 정하였다.
(나) 첩보부위 중 손상된 피부 구획에 16G 주사 바늘로 상처를 낸 후 24시간 방치하였다.
(다) 시험물질[약콩사포닌 조추출물, 약콩사포닌 크림, 대조군 크림]을 시험구획에 하루에 아침저녁으로 2회에 걸쳐서 0.5g을 16일간 발라주었다. 대조구획은 공기 중에 방치하였다.
(4) 관찰 및 검사 항목
(가) 일반 증상 관찰 : 시험물질 투여 후, 매일 외관, 사료 섭취, 음수 상태 및 일반적인 현상
(나) 체중 측정 : 투여시 및 적용 16일째에 각각 측정하였다.
(다) 적용부의 관찰 : 시험물질 16일 적용 후 30분, 24시간, 48시간, 72시간 후 홍반과 가피형성, 부종형성 등을 각각 확인하여 매회 나타나는 자극 평가점을 총합하여 평균치로 평가하였다.
(5) 피부 반응의 평가 및 자극성의 판정
피부 반응의 평가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을 이용하여 판정한다. 또한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P.I.I (Primary Irritation Index)의 산출 방법을 따른다.
P.I.I 평가 기준표
피부반응정도 평점
홍반형성 부종형성 홍반판정평점 부종판정평점
홍반이 없다 부종없다 0 0
약한 정도의 홍반 약한 정도의 홍반 1 1
명확한 홍반 명확한 부종 2 2
중간 강한 홍반 중등도위 부종(1㎜정도) 3 3
삼홍색의 강한 홍반 강한 부종(1㎜이상) 4 4
안정성 구분 1차 자극성
0 0.1~0.5 0.6~1.5 1.6~3.0 3.1~5.0 5.1~6.5 6.6~8.0 무자극 실질적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없음 극미한 자극 온화한 자극 보통자극 부분적 자극 심한 자극
(6) 시험결과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피부 누적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30분후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24시간 후 0 0 - 0 0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0 0 -
평 균 0 0 - 0 0 -
평균의 합계 0 0
누적 피부 자극지수 0(무자극) 0(무자극)
약콩 사포닌 크림 피부 누적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0 0 - 0 1 -
24시간 후 0 0 - 0 0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0 1 -
평 균 0 0 - 0 0.25 -
평균의 합계 0 0.25
누적 피부 자극지수 0(무자극) 0.25(실질적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없음)
대조군 크림 피부 누적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0 0 - 1 2 -
24시간 후 0 0 - 0 1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1 3 -
평 균 0 0 - 0.25 0.75 -
평균의 합계 0 1
누적 피부 자극지수 0(무자극) 1(극미한 자극)
상기 표 6 내지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크림은 피부누적에 약간의 자극을 보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및 약콩 사포닌 크림은 누적 사용에도 거의 자극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9> 광독성 시험
상기 시험예 8에서 (3)실험 방법에서 하루에 아침저녁으로 시험구획에 시험물질[약콩사포닌 조추출물, 약콩사포닌 크림, 대조군 크림]을 2회에 걸쳐서 0.5g을 발라준 후 UV lamp로 조사하는 것을 16일간 실시하였다. 대조구획은 공기 중에 방치하였다(UV lamp로 조사하지 않는다).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광독성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0 0 - 1 0 -
24시간 후 0 0 - 0 0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1 0 -
평 균 0 0 - 0.25 0 -
평균의 합계 0 0.25
피부 자극지수 0(무자극) 0.25(실질적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없음)
약콩 사포닌 크림 광독성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1 0 - 1 0 -
24시간 후 0 0 - 1 0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1 0 - 2 0 -
평 균 0.25 0 - 0.5 0 -
평균의 합계 0.25 0.5
피부 자극지수 0.25(실질적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없음) 0.5(실질적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없음)
대조군 크림 광독성 시험 결과
관찰시간 건강한 피부 손상된 피부
홍반 부종 기타 홍반 부종 기타
30분 후 0 0 - 1 2 -
24시간 후 0 0 - 1 1 -
48시간 후 0 0 - 0 0 -
72시간 후 0 0 - 0 0 -
소 계 0 0 - 2 3 -
평 균 0 0 - 0.5 0.75 -
평균의 합계 0 1.25
피부 일차 자극지수 0(무자극) 1.25(극미한 자극)
상기 표 9 내지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크림은 광선 노출에 약간의 자극을 보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약콩 사포닌 조추출물 및 약콩 사포닌 크림은 거의 자극이 나타나지 않았다.
약콩으로부터 추출된 사포닌 조추출물은 주름개선 및 미백원료로 효능면에서 뛰어나고 안전성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약콩유래 사포닌 조추출물 은 화장품의 기초 원료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름개선 및 미백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약콩유래 사포닌은 고가의 인삼 사포닌을 대체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크게 유용하다.

Claims (3)

  1. 약콩에 비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색소 및 지방성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로부터 추출한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여 항 멜라닌활성을 통한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약콩에 비극성 유기용매를 가하여 색소 및 지방성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잔사로부터 추출한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여 항산화 활성, 자동산화방지 활성 또는 자외선 차단 활성을 통한 주름방지 및 개선의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KR1020040030394A 2004-04-30 2004-04-30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6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94A KR100566857B1 (ko) 2004-04-30 2004-04-30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394A KR100566857B1 (ko) 2004-04-30 2004-04-30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934A KR20050104934A (ko) 2005-11-03
KR100566857B1 true KR100566857B1 (ko) 2006-04-03

Family

ID=3728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394A KR100566857B1 (ko) 2004-04-30 2004-04-30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68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7B1 (ko) * 2012-12-24 2014-12-08 (주)뉴메드 서목태 껍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0044B1 (ko) * 2012-12-24 2015-03-09 (주)뉴메드 증법 포제 처리된 서목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0969B1 (ko) 2017-10-11 2019-02-2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콩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89B1 (ko) * 2008-08-14 2011-08-01 영농조합법인대나무바이오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854158B1 (ko) * 2011-10-24 2018-06-14 (주)아모레퍼시픽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7B1 (ko) * 2012-12-24 2014-12-08 (주)뉴메드 서목태 껍질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00044B1 (ko) * 2012-12-24 2015-03-09 (주)뉴메드 증법 포제 처리된 서목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0969B1 (ko) 2017-10-11 2019-02-2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콩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934A (ko) 2005-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913B1 (ko) 발효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25450B1 (ko) 연교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1522A (ko)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04568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17550A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80258B1 (ko) 병이소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566857B1 (ko)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3B1 (ko) 참바늘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50065256A (ko) 광나무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81957B1 (ko) 포황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740A (ko) 온주 밀감 과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그것의 용도
KR101301012B1 (ko) 마테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508528B1 (ko) 작두콩과 금송전초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제조방법
KR100472122B1 (ko) 페놀성 물질를 함유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0975078B1 (ko) 물개구리밥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88830B1 (ko) 백렴 추출물을 함유 하는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KR100983526B1 (ko) 백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61761B1 (ko) 산당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12805A (ko)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93824B1 (ko) 트리텔레이아 익시오이디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