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189B1 -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189B1
KR101052189B1 KR1020080079803A KR20080079803A KR101052189B1 KR 101052189 B1 KR101052189 B1 KR 101052189B1 KR 1020080079803 A KR1020080079803 A KR 1020080079803A KR 20080079803 A KR20080079803 A KR 20080079803A KR 101052189 B1 KR101052189 B1 KR 101052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kin whitening
sewage
ci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1088A (ko
Inventor
권애영
Original Assignee
영농조합법인대나무바이오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농조합법인대나무바이오,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영농조합법인대나무바이오
Priority to KR102008007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1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1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1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콩, 하수오, 유자, 피부미백

Description

피부 미백용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지니는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백이 멜라닌 색소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멜라닌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하여 티로신(tyrosine)이 산화되어 도파(DOPA, 3,4-dihydro xyphenylalanine)로, 도파가 다시 산화되어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멜라닌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 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의 손상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피부 노화를 가져오며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한다.
따라서 멜라닌의 생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미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멜라닌 생성을 저해시킴으로써 피부 미백의 효과를 갖는 것으로서는, 파라-메톡시페놀(p-metoxyphe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lbutin), 비타민 C(ascorb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시스테인(cystein) 등의 화합물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계피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갈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반하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등의 식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도 콩 추출물 등이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시킨다는 점에서 착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콩(백태), 하수오(뿌리) 및 유자(열매)를 8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과 그 추출물의 혼합물을 가지고, 티로신으로부터 멜라닌을 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 효과 및 기미 등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의 합성 억제 효과를 실험한 결과, 각 추 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각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특히나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조성물(이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의 억제 효과 및/또는 멜라닌 합성의 억제 효과를 갖는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백"은 멜라닌의 합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적인 현상으로서 이해된다.
왜냐하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부미백용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이 멜라닌의 합성 억제 활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멜라닌의 합성이 억제됨에 따른 결과적인 현상이란 구체적으로는 멜라닌의 합성이 억제됨에 따라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에 이러한 증상은 질병으로 파악될 수 있다)이 완화 또는 개선되는 것을 의미한다.
멜라닌은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피부 노화를 가져오며 기미나 주근깨 등과 같은 과색소침착증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기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으로서는 기미, 주근깨, 피부노화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이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이 명백한 한, 상기 증상은 멜라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증상으로서 그것을 개선 또는 완화시킴으로써 피부 미백의 결과로 이어지는 모든 증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증상은 현재까지 밝혀진 증상뿐만 아니라 앞으로 밝혀질 증상을 포함하지만,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현재까지 알려진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시된 바의 증상 즉 기미, 주근깨, 피부 노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 즉 콩, 하수오(뿌리) 또는 유자(열매)를 임의의 추출용매 예컨대 메탄올, 증류수, 에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포화노말부탄올,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알콜 특히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콩"이란 종류를 불문하고 콩으로 분류되는 식물로부터 얻어진 모든 열매를 포함하는 의미인데, 콩은 형태와 빛깔 그리고 용도를 가지고 구분하였을 때 완두콩, 강낭콩(힌강낭콩과 빨간 강낭콩 포함), 서목태, 청태, 동부, 밤콩, 백태(메주콩), 나물콩, 밥밑콩, 작두콩, 서리태, 풋콩 등으로 분류되고, 분류학상으로는 Glycine 아속(G. albicans Tind and Craven ; G. arenaria Tind ; G. argyrea Tind ; G. canescens F.J. Herm ; G. clandestina Wendl ; G. curvata Tind ; G. cyrtoloba Tind ; G. falcata Benth ; G. hirticaulis Tind . and Craven ; G. lactovirens Tine . and Craven ; G. latifolia(Benth.) Newell & Hymowitz ; G. latrobeana ( Meissn .) Benth ; G. microphylla(Benth.) Tind ; G. pindanica Tind . and Craven ; G. tabacina ( Labill ) Benth)과 Soja 아속(G. soja Sieb . & Zucc ; G. max (L.) Merr . forma gracilis Skvortz)으로 분류되는데,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콩은 상기 열거된 모든 콩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백태를 사용한 경우만 나타나 있지만, 본 발명자는 본 발명자가 선정한 모든 콩 즉 서리태, 서목태, 청태의 경우도 본 발명자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그 추출물이 모두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콩은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백태만이 아니라 상기 모든 종류의 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바람직한 측면에 있어서는 본 발명자가 실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백태, 서리태, 서목태 또는 청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하수오"는 백하수오(박주가리과)와 적하수오(마디풀과)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에서 그리고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이하에서 "유자"는 청유자, 황유자 및 실유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 출물 이외에, 피부 미백 효과를 상승 또는 보강시킬 수 있도록 피부 미백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바의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그러한 화합물이나 식물 추출물로서는 파라-메톡시페놀(p-metoxyphe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lbutin), 비타민 C(ascorbic ac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시스테인(cystein) 등의 화합물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작약 추출물, 계피 추출물, 고삼 추출물, 갈근 추출물, 당귀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반하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멀캅토숙신산, 멀캅토덱스트란, 테프레논, 디하이드록시-이소퀴놀린, 인도메타신, 3-하이드록시마뉼, 비타민 K, 티아졸리돈, 키누레닌, 레몬 추출물, 오이 추출물, 오디 추출물, 감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추출물, 은행 추출물, 카롭(carob) 추출물, 제라늄(geranium) 추출물, 허브 추출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 예시된 바의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은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콩 추출물 등과 함께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은 필요한 피부 미백의 정도에 따라 그것의 인체에의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에 비하여 0.05 중량 % 내지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은 두 가지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 가지 모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하기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 중 두 가지 특히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되는 경우가 피부미백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콩 분말, 하수오 분말 및/또는 유자 분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가짐이 확인된 이상, 콩 분말, 하수오 분말 및 유자 분말도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 및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가질 것임이 자명하다.
콩 분말, 하수오 분말 및/또는 유자 분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성분인 콩 분말, 하수오 분말 및/또는 유자 분말의 함유량, 그 바람직한 양태 등 관련하여서는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합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또는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 콩 추출물 등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 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 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품의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이나 손)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미백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경우, 그 약리 효과는 멜라닌 색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 효과로서 파악될 수 있으며, 상기 피부 미백은 상기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의 결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멜라닌 색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질병은 앞서 상술한 이유에서 현재까지 밝혀진 질병뿐만 아니라 앞으로 밝혀질 질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그럼에도 상기 멜라닌 색소의 증가에서 비롯되는 질병은 바람직하게는 현재까지 밝혀진 질병을 의미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현재까지 알려진 질병 중에서 앞서 예시된 바의 질병 즉 기미, 주근깨, 피부 노화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콩 추출물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을 들 수 있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은 통상 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실제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콩 추출물 등이 포함되는 것이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으며,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콩 추출물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 이온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의 함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99.9 중량 % 내지 5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콩 추출물 등이 비누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량은 상기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서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또는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그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 콩 추출물의 제조
콩(백태)을 입도가 평균 약 3~5mm가 되도록 분쇄한 다음 분쇄된 콩 500g를 80% 에탄올(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키고 교반기에서 약 1주일 동안 교반하여 침출시켰다.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하여 잔사를 분리하고 여액만을 취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여액을 40℃에서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고형상의 콩 추출물 54g을 얻었다.
<실시예 2> 하수오 추출물의 제조
하수오(덩이 뿌리)를 입도가 1 내지 2cm로 되도록 세절한 다음에, 세절된 하수오 500g를 80% 에탄올(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키고 교반기에서 약 1주일 동안 교반하여 침출시켰다.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하여 잔사를 분리하고 여액만을 취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여액을 40℃에서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고형상의 하수오 추출물 43g을 얻었다.
<실시예 3> 유자 추출물의 제조
유자(열매)를 입도가 1 내지 2cm로 되도록 세절한 다음에, 세절된 유자 500g를 80% 에탄올(에탄올과 물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키고 교반기에서 약 1주일 동안 교반하여 침출시켰다. 침출시킨 시료를 감압하여 잔사를 분리하고 여액만을 취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여액을 40℃에서 회전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하고 69g의 유자 추출물 39g을 얻었다.
< 실험예 > 미백 효과 실험
<실험예 1>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실험
상기 각 실시예에서 얻어진 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각 추출물, <실시예 1>의 콩 추출물과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의 동일 양의 혼합물, <실시예 1>의 콩 추출물과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의 동일 양의 혼합물, 및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과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의 동일 양의 혼합물을 각각 완충용액에 희석하여 50㎍/㎖의 농도로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각 농도의 시료 0.5㎖를 티로신 용액 0.5㎖(0.05M 인산 나트륨 완충용액(pH 6.8)에 티로신을 녹여 만든 0.1㎎/㎖ 용액)가 함유된 시험관에 넣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200U/㎖ 티로시나아제(시그마사로부터 구입) 0.5㎖을 넣고 37℃항온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시험관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파장 475㎚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의 추출물 대신에 완충용액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은 흡광도의 차이를 이용한 다음의 공식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율(%)=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율
시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율(%)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46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39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43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56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62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59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75
상기 <표 1>은,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은 모두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또한 각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각 추출물 자체보다도 더 높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특히 각 추출물의 세 가지 혼합물의 경우가 가장 높음을 보여준다).
<실험예 2>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 실험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시료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쥐의 B-16 멜라노마 세포(B-16 mouse melanoma cell)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B-16 멜라노마 세포를 96 웰 조직 배양 배지(덴마크의 NUNC사에서 시판)에 2ㅧ104 cells/well 농도로 2ml씩 첨가하고 5% CO 2 , 37℃ 의 조건하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 FBS, 2μM의 α-MSH(미국 시그마사에서 시판되는 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 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2mM의 테오필린(theophilline, 미국 SIGMA사에서 시판)이 함유된 DMEM 배지로 교체한 다음, 먼저 상기 각 시료를 동일 배지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가 각 50㎍/㎖가 되도록 하여 세포 배양 배지에 첨가하였다. 그리고 나서 5% CO2 , 37℃ 조건하에서 세포가 웰의 바닥에 약 80% 이상 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미국GIBCO사에서 시판)으로 세척하고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 펠릿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펠릿을 에펜드로프 튜브(effendrof tube)로 옮겨, 10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상등액이 제거된 펠릿을 6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후 펠릿에 1N NaOH 200㎕를 첨가하여 80℃에서 멜라닌을 용해시켰다. 용해된 멜라닌을 PBS로 적당량 희석하여, ELISA 리더(UV max, MOLECULAR DEVICES사, 미국)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실시예 추출물의 멜라닌의 합성 억제율을 하기 공식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어떠한 시료도 처리하지 아니한 실험군이다.
멜라닌 합성 억제율(%)=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X 100]
멜라닌의 합성 억제율
시료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억제율(%)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52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42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49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61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63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59
<실시예 1>의 콩 추출물 + <실시예 2>의 하수오 추출물 + <실시예 3>의 유자 추출물 83
상기 <표 2>는 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은 모두 멜라닌 합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또한 각 추출물의 혼합물의 경우는 각 추출물 자체보다도 더 높게 멜라닌 합성을 억제함을 보여주고 있다(특히 각 추출물의 세가지 혼합물의 경우가 가장 높음을 보여준다).

Claims (15)

  1. 콩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및 유자 추출물 모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멜라닌 합성이 저해됨에 따른 결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은 피부 노화, 기미 또는 주근깨의 완화 또는 개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 추출물은, 콩을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오 추출물은 하수오를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자 추출물은 유자를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콩 분말, 하수오 분말 및 유자 분말 모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080079803A 2008-08-14 2008-08-14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5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03A KR101052189B1 (ko) 2008-08-14 2008-08-14 피부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03A KR101052189B1 (ko) 2008-08-14 2008-08-14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88A KR20100021088A (ko) 2010-02-24
KR101052189B1 true KR101052189B1 (ko) 2011-08-01

Family

ID=4209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03A KR101052189B1 (ko) 2008-08-14 2008-08-14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1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483A (ko) 2015-01-09 2016-07-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야교등(Polygoni Multiflori Cau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9090B1 (ko) 2018-08-10 2020-02-19 (주)뷰애드 적하수오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00081671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콧데 항염 활성이 향상한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6498A (zh) 2009-04-27 2016-08-03 玫琳凯有限公司 植物性抗痤疮制剂
WO2013096485A1 (en) 2011-12-19 2013-06-27 Mary Kay Inc. Combination of plant extracts to improve skin tone
KR102323049B1 (ko) 2014-03-10 2021-11-05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피부 라이트닝 조성물
CN106727041A (zh) * 2017-02-10 2017-05-31 湖北斯味特粉体食品有限公司 一种胚芽汁美白保湿精华面膜液及其制备方法
FR3069161B1 (fr) * 2017-07-21 2019-08-30 Plant Advanced Technologies Pat Extraits racinaires de polygonum multiflorum et leurs utilisations
EP3777872B1 (en) * 2018-04-10 2023-09-27 Stardust HD, Inc. Compositions comprising citrus junos seed extract and brown rice extract and use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728A (ja) 1998-10-20 2000-05-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4238303A (ja) 2003-02-04 2004-08-26 Sozai Kino Kenkyusho 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及び皮膚外用剤
KR20050104934A (ko) * 2004-04-30 2005-11-03 하배진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728A (ja) 1998-10-20 2000-05-09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4238303A (ja) 2003-02-04 2004-08-26 Sozai Kino Kenkyusho Kk チロシナーゼ阻害剤及び皮膚外用剤
KR20050104934A (ko) * 2004-04-30 2005-11-03 하배진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483A (ko) 2015-01-09 2016-07-20 코스맥스 주식회사 야교등(Polygoni Multiflori Caulis)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9090B1 (ko) 2018-08-10 2020-02-19 (주)뷰애드 적하수오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20200081671A (ko) 2018-12-28 2020-07-08 주식회사 콧데 항염 활성이 향상한 적하수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피부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088A (ko)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189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3257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5550839B2 (ja) 美白剤
JP2006111545A (ja) グルタチオンレダクターゼ活性増強剤
KR20080096162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86854B1 (ko) 사초과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48252B1 (ko) 인진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류코딘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86925B1 (ko) 오디 추출물과 율무 종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011644A (ko) 항산화, 미백 및 항염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0609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061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0610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060071498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6060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6281761B2 (ja) ヒダカミセバヤエキスを含有する外用剤又は内用剤
KR10198898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00104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72742B1 (ko) 서향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2135220B1 (ko) 참까막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22013A (ko) 송악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