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981B1 -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81B1
KR101736981B1 KR1020120028967A KR20120028967A KR101736981B1 KR 101736981 B1 KR101736981 B1 KR 101736981B1 KR 1020120028967 A KR1020120028967 A KR 1020120028967A KR 20120028967 A KR20120028967 A KR 20120028967A KR 101736981 B1 KR101736981 B1 KR 10173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soybean extract
skin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123A (ko
Inventor
강영규
박준성
심진섭
황경환
박준호
이재경
염명훈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28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산화, 항노화, 미백 또는 보습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GLYCINE GRACILIS}
본 발명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산화, 항노화, 미백 또는 보습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함량의 증가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이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두께 감소, 주름 증가 또는 피부 탄력 감소 등의 피부트러블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의 변화 또는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하여 피부는 산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의 진행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하여 세포를 노화시키거나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항산화, 항노화, 미백능 뿐만 아니라 보습능을 가짐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542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항산화, 항노화, 미백능 뿐만 아니라 보습능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산화, 항노화, 미백능 뿐만 아니라 보습능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극히 낮아서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납떼기콩 추출물, 대두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 각각에 대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이다.
본 명세서에서 납떼기콩 (Glycine gracilis)은 모양이 납작하다는 어원에서 나온 것으로 납쪼레기콩(청송), 납드레콩(영일), 납작콩(경기도)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본 명세서의 납떼기콩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콩인 대두와 달리, 타원형이며 납작하고 갸름한 모양을 가진다. 납떼기콩을 초복 전에 심으면 덩굴이 많이 뻗지만 초복이 지나고 나서 심으면 키가 작고 포기 밑에 한꺼번에 발이 들어갈 틈도 없이 콩이 많이 달린다. 납떼기콩의 잎은 다소 좁고 작은 편이고, 파란색 꽃을 피운다. 납떼기콩을 콩나물로 기를 경우, 성장이 빠르고 머리 부분이 갸름하면서 작고 연하여 맛이 좋다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의 납떼기콩 추출물은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척하고 건조된 세말화된 납떼기콩 가루를 물 또는 유기용매에 넣고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물 또는 30~70% 농도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거나,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란 당업계에 알려진 산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노화'란 당업계에 알려진 노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피부내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떼기콩 추출물이 0.001중량% 미만이면 항산화, 항노화, 미백 및 보습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 0.005 내지 9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5 내지 7 중량% 또는 0.1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라디칼인 DPPH의 산화를 억제시킴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내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錠劑), 환제 (丸劑), 과립제 (顆粒劑),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乳濁濟),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납떼기콩 추출물의 제조
납떼기콩 (Glycine gracilis)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여 얻어진 납떼기콩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4-15 ℃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을 3 리터들이 분액 깔때기에 넣은 후 에칠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하고 흔들어서 잘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상층(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취한다. 하층(물층)은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하여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과정에서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납떼기콩 추출물 (건조중량 15.18 g)을 얻었다.
[ 비교예 1]
대두 추출물의 제조
대두 (Glycine max)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여 얻어진 대두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4-15 ℃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을 3 리터들이 분액 깔때기에 넣은 후 에칠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하고 흔들어서 잘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상층(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취한다. 하층(물층)은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하여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과정에서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대두 추출물 (건조중량 15.18 g)을 얻었다.
[ 비교예 2]
검은콩 추출물의 제조
검은콩 (Glycine max MERR.)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여 얻어진 검은콩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4-15 ℃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액을 3 리터들이 분액 깔때기에 넣은 후 에칠아세테이트 1리터를 가하고 흔들어서 잘 섞어준 다음 두 층으로 완전히 분리되면 상층(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취한다. 하층(물층)은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과정을 두 번 더 반복하여 추출한다. 각각의 추출과정에서 분리된 상층을 모두 합한 뒤,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검은콩 추출물 (건조중량 15.18 g)을 얻었다.
[ 실험예 1]
콩 추출물의 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추출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검은콩 추출물 각각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추출물 각각을 70% 에탄올에 녹여 10,000 ppm 용액으로 만든 후, HPLC (Waters사, 2695 model)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 (Waters사, 2996 PDA 검출기)을 진행하였다. 고정상은 Kanto Chemical의 Mightysil RP-18 GP 250-4.6 (5μm) 칼럼을 이용하였고, 이동상은 다음과 같은 조성비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2022975990-pat00001
그 결과 (도 1), 납떼기콩 추출물에서 대두나 검은콩 추출물에서는 관찰되
지 않았던 신규한 성분(15분 대)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로 인하여 납떼
기콩 추출물은 대두나 검은콩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 항노화, 미백능 또는 보습능에 있어서 더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 실험예 2]
항산화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법을 이용하였다. DPPH법은 DPPH의 환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납떼기콩 추출물에 의하여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대조군에 비해 흡광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와 대두(Glycine max)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실시예 1의 납떼기콩 추출물 및 양성대조군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시험물질 IC50(ppm)
트롤록스 51
납떼기콩 추출물 (실시예 1) 57
대두 추출물 (비교예 1) 43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납떼기콩 추출물은 시중에서 판매 중인 합성 항산화제 트롤록스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대두 추출물보다 월등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3]
항노화능 평가-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측정
토코페롤, EGCG 및 대두(Glycine max)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납떼기콩 추출물의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비교측정하였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한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무혈청 DMEM 배지에, 실시예 1의 납떼기콩 추출물 100㎕/ml농도, 토코페롤 10-4 몰농도, EGCG를 10-4 몰농도 또는 대두추출물을 100㎕/ml농도로 각각 24시간동안 처리한 후 얻어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에서의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온조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22975990-pat00002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81
EGCG 59
납떼기콩 추출물 (실시예 1) 71
대두 추출물 (비교예 1) 90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생성되는 주름의 양이 적어진다.
상기 표 2에서 보면, 본 발명의 납떼기콩 추출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두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추출물은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뛰어난 항노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험예 4]
미백능 평가-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납떼기콩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하이드로퀴논 또는 대두 추출물 각각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하이드로퀴논, 대두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1의 납떼기콩 추출물 각각을 10ppm의 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12022975990-pat00003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비처리군 0
하이드로퀴논(양성 대조군) 57.5
대두 추출물 (비교예 1) 31.6
납떼기콩 추출물 (실시예 1) 53.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납떼기콩 추출물은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대두 추출물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추출물은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자극감 평가
공지된 미백 물질인 코직산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납떼기콩 추출물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코직산(kojic acid, YM chemical 통해 구입)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각각 0.5㎖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코직산 납떼기콩 추출물
따가움 0.81 0.23
화끈거림 0.43 0.19
평균 0.62 0.21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직산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어느 정도 있어 보통 약간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자극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납떼기콩 추출물은 화끈거림과 따가움 모두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대체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납떼기콩 추출물은 코직산과는 다르게 자극감이 없어 보다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6]
보습능 평가-인간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유도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납떼기콩 추출물의 피부장벽기능 및 피부 보습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납떼기콩 추출물 50 mg/ml, 100 mg/ml, 대두 추출물 50 mg/ml, 100 mg/ml 각각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80~9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를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농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대조군 Low Ca2 +(0.03 mM) 100
High Ca2 +(1.2 mM) 198
납떼기콩 추출물
(실시예 1)
100 mg/ml 171
50 mg/ml 135
대두 추출물
(비교예 1)
100 mg/ml 142
50 mg/ml 119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분화 촉진효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납떼기콩 추출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대두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추출물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
납떼기콩 추출물 100 mg, 대두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2] 과립제
납떼기콩 추출물 100 mg, 대두추출물 5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형예 1] 로션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추출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크림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추출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미용액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추출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납떼기콩 추출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또는 그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또는 그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3.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또는 그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미백용 조성물.
  4. 납떼기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 또는 그 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보습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납떼기콩 추출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조성물.
  8. 삭제
KR1020120028967A 2012-03-21 2012-03-21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67A KR101736981B1 (ko) 2012-03-21 2012-03-21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67A KR101736981B1 (ko) 2012-03-21 2012-03-21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123A KR20130107123A (ko) 2013-10-01
KR101736981B1 true KR101736981B1 (ko) 2017-05-18

Family

ID=4963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967A KR101736981B1 (ko) 2012-03-21 2012-03-21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76B1 (ko) * 2014-07-16 2021-09-09 (주)아모레퍼시픽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1164B1 (ko) 2015-08-31 2022-03-07 (주)아모레퍼시픽 발아 납작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8348449B (zh) * 2016-09-13 2021-09-10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作为有效成分的发芽半野生大豆提取物的抗老化用皮肤外用剂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715A (ja) 2004-02-04 2005-09-08 Omboon Luanratana 光老化を緩和する薬用化粧品の組成物
KR100899278B1 (ko)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9715A (ja) 2004-02-04 2005-09-08 Omboon Luanratana 光老化を緩和する薬用化粧品の組成物
KR100899278B1 (ko) 2007-10-15 2009-05-26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123A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8182B1 (ko) 흰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7019679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989067B1 (ko) 쿠메스트린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63882B1 (ko) 인삼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40003257A (ko) 사가섬 에조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534818B1 (ko) 단풍잎돼지풀 초임계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1988988B1 (ko) 피부 재생, 주름개선, 항산화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15160B1 (ko) 파낙시디올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15168B1 (ko)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81161A (ko) 컴파운드 k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2115A (ko)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101854158B1 (ko) 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5A (ko) 컴파운드 k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