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276B1 -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276B1
KR102299276B1 KR1020140090008A KR20140090008A KR102299276B1 KR 102299276 B1 KR102299276 B1 KR 102299276B1 KR 1020140090008 A KR1020140090008 A KR 1020140090008A KR 20140090008 A KR20140090008 A KR 20140090008A KR 102299276 B1 KR102299276 B1 KR 10229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oybean oil
lead
active ingredi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798A (ko
Inventor
강영규
이옥찬
홍용덕
염명훈
박준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09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2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6647 priority patent/WO2016010283A1/ko
Priority to JP2017502226A priority patent/JP6482644B2/ja
Priority to CN201580049803.9A priority patent/CN107072933B/zh
Priority to SG11201700078RA priority patent/SG11201700078RA/en
Priority to US15/324,521 priority patent/US20170196797A1/en
Publication of KR2016000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0Anti-ac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산화, 항노화, 항주름, 미백,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S CONTAINING OILS OF GLYCINE GRACILIS}
본 발명은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항산화, 항노화, 항주름, 미백,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등의 용도를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함량의 증가 등에 의한 환경 오염이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두께 감소, 주름 증가 또는 피부 탄력 감소 등의 피부트러블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의 변화 또는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하여 피부는 산화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의 진행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소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하여 세포를 노화시키거나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들 활성산소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 과산화물을 비롯한 여러 가지 체내 과산화물도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유 라디칼을 소거할 수 있는 화합물(free radical scavengers) 또는 과산화물 생성 억제물질과 같은 항산화제들이 이들 산화물들에 기인하는 노화 및 각종 질환의 억제 또는 치료제로서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5429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용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노화, 항주름, 미백, 항염, 항여드름, 보습, 아토피 개선, 피부 장벽 개선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효과는 각각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인정되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물질보다 우수한 수준이었으며, 납떼기콩이 아닌 다른 종류의 콩 오일보다도 우수한 것이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의 식물로부터 얻어진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극히 낮아서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납떼기콩 오일, 도 2는 대두 오일, 도 3은 납떼기콩 추출물에 대해 HPLC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납떼기콩 (Glycine gracilis)”은 모양이 납작하다는 어원에서 나온 것으로 납쪼레기콩(청송), 납드레콩(영일), 납작콩(경기도)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본 명세서의 납떼기콩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콩인 대두와 달리, 타원형이며 납작하고 갸름한 모양을 가진다. 납떼기콩을 초복 전에 심으면 덩굴이 많이 뻗지만 초복이 지나고 나서 심으면 키가 작고 포기 밑에 한꺼번에 발이 들어갈 틈도 없이 콩이 많이 달린다. 납떼기콩의 잎은 다소 좁고 작은 편이고, 파란색 꽃을 피운다. 납떼기콩을 콩나물로 기를 경우, 성장이 빠르고 머리 부분이 갸름하면서 작고 연하여 맛이 좋다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납떼기콩 오일”은 당업계에서 천연물의 오일을 얻는 것으로 알려진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납떼기콩을 유압식 착유기에 넣고 착유하여 얻어진 오일 또는 이러한 오일에 여과지를 통과시켜 얻어지는 오일 모두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산화”란 당업계에 알려진 산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노화”란 당업계에 알려진 노화 과정을 늦추거나 막거나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피부내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의미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노화를 지연 또는 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또한, 콜라게나아제의 생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또는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은 또한, 주름을 개선 또는 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멜라닌 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자체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항염증"이란, 염증을 억제하거나 저지하는 모든 종류의 활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피부 염증 뿐만 아니라 신체 내의 모든 종류의 염증을 포함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여드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CP(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또는 그 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자체를 억제하거나 저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조성물은 아토피 또는 건선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부 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납떼기콩 오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납떼기콩 오일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언급한 각종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나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함유량 증가에 따른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다른 성분의 함량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납떼기콩 오일을 0.001 내지 10 중량%, 0.005 내지 9 중량%, 0.01 내지 8 중량%, 0.05 내지 7 중량% 또는 0.1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산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라디칼인 DPPH의 산화를 억제시킴으로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노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내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주름을 개선시키는 항노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시키고 피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의약품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 첨가제 또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치즈, 요구르트, 주스, 생균제제 및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가공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해초 엑기스 등의 보조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들의 첨가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01~3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타블렛, 분말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단순 음용, 주사 투여, 스프레이 방식 또는 스퀴즈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 납떼기콩 오일의 제조
납떼기콩(Glycine gracilis)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한 납떼기콩 가루 1kg을 유압식 착유기에 넣고 착유한 후에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납떼기콩 오일 155g을 수득 하였다.
[ 비교예 1] 대두 오일의 제조
대두 (Glycine max)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한 대두 가루 1kg을 유압식 착유기에 넣고 착유한 후에 여과지를 통해 여과하여 대두 오일 185g을 수득 하였다.
[ 비교예 2] 납떼기콩 추출물의 제조
납떼기콩 (Glycine gracilis)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세말화하여 얻어진 납떼기콩 가루 100g을 70% 에탄올 수용액 1리터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12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액을 4-15 ℃도에서 7일간 방치하여 숙성시킨 후, 와트만 2번 여과지로 여과시켰다. 최종 여과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50℃로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납떼기콩 추출물 (건조중량 15.18 g)을 얻었다.
[ 시험예 1]성분 비교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오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각각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오일 및 추출물 각각을 20% 메틸클로라이드, 70% 에탄올에 녹여 10,000 ppm 용액으로 만든 후, HPLC (Waters사, 2695 model)를 이용하여 성분 분석 (Waters사, 2996 PDA 검출기)을 진행하였다. 고정상은 Kanto Chemical의 Mightysil RP-18 GP 250-4.6 (5μm) 칼럼을 이용하였고,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오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에 대해서는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의 이동상을,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에 대해서는 다음 표 2와 같은 조성의 이동상을 사용하였다.
시간 A: 메탄올 B: 아세토나이트릴
Isocratic 20% 80%
시간 (Min) A: 물
(0.1% Acetic acid)
B: 아세토나이트릴
(0.1% Acetic acid)
0 95% 5%
5 95% 5%
3 40% 60%
50 5% 95%
55 95% 5%
그 결과, 도 1 내지 3(도 1 :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오일, 도 2: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도 3 :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상이한 종류의 콩 오일인 대두 오일과 그 피크의 형태 및 세기가 전혀 다르고, 특히 납떼기콩 추출물과는 전혀 상이한 피크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항산화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오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법을 이용하였다. DPPH법은 DPPH의 환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즉,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납떼기콩 오일에 의하여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대조군에 비해 흡광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합성 항산화제인 트롤록스(Trolox)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각각을 사용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실시예 1의 납떼기콩 추출물 및 양성대조군을 각각을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시험물질 IC50(ppm)
납떼기콩 오일 62
트롤록스 57
대두 오일 350
납떼기콩 추출물 71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납떼기콩 오일은 시중에서 판매 중인 항산화제 트롤록스와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이러한 효과는 대두 오일보다 월등히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 효능 비교
양성 대조군으로 토코페롤, EGCG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각각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납떼기콩 오일과의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비교해 보았다. 토코페롤 및 EGCG는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한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나서 상기 무혈청 DMEM 배지에, 납떼기콩 오일 100㎕/ml농도, 토코페롤 10-4 몰농도, EGCG를 10-4 몰농도 및 대두 오일 100㎕/ml농도와 납떼기콩 추출물 100㎕/ml농도로 각각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얻어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를 이용하여, 채취한 세포배양액에서의 콜라게나제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온조에서 항원-항체 반응을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4066984259-pat00001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81
EGCG 59
납떼기콩 오일 64
대두 오일 87
납떼기콩 추출물 71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생성되는 주름의 양이 적어진다.
상기 표 4에서 보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항산화 물질로 알려져 있는 토코페롤보다도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대두 오일과 비교하였을 때, 높은 콜라게나제 발현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오일은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뛰어난 항노화, 항주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미백능 평가
양성 대조군으로 하이드로퀴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각각을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납떼기콩 오일과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살펴 보았다.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tetradecanoylphorbol)-13-아세테이트, 1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를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한 다음, 이틀째부터 3일 연속으로 각 시험물질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하이드로퀴논과 상기에서 얻어진 대두 오일, 납떼기콩 추출물 및 상기 실시예 1의 납떼기콩 오일 각각을 10ppm의 농도로 하여 사용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Figure 112014066984259-pat00002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
비처리군 0
하이드로퀴논 57.5
납떼기콩 오일 46.3
대두 오일 83.9
납떼기콩 추출물 53.9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공지된 미백 물질인 하이드로퀴논 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대두 오일 및 납떼기콩 추출물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오일은 피부 내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미백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5] 항염 효과 평가
실험 하루 전 피부 각화상피세포(Normal human skin keratinocyte, NHEK, 입수처: Lonza)를 96공(well) 플레이트에 5x104 세포/공이 되도록 분주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PBS로 세포를 2회 씻어주고 무혈청 KBM(serum free keratinocyte basement media)으로 갈아주었다.
그 후, 양성 대조군으로 하이드로코티손(hydrocortisone),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납떼기콩 오일 각각을 표 4에서 제시한 농도로 상기 세포에 처리하고 30분간 반응시킨 후, 레티노산(Retinoic acid) 10 uM을 각각의 공에 처리하였다. 상기 레티노산은 피부 자극원으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MCP(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각각의 웰을 24시간 동안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배양액을 취하여 MCP-1 ELISA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ELISA는 제조회사인 BD science에서 제공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MCP-1 분비량 (pg/㎖)
무처리 대조군 (음성 대조군) 527.3
레티노산(10uM) 804.5
하이드로코티손 (100nM) + 레티노산 (10uM) 448.3
대두 오일(100ppm) + 레티노산(10uM) 795.3
납떼기콩 추출물(100ppm) + 레티노산(10uM) 683.5
납떼기콩 오일(100ppm) + 레티노산 (10uM) 535.8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레티노산에 의해 증가한 MCP-1 분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중에서 항염증 물질로 판매 중인 하이드로코티손과 비슷한 수준으로 MCP-1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었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는 납떼기콩 추출물 및 대두 오일과 비교하여도 현저히 높은 MCP-1 발현 억제율을 보이는 것이었으므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6] 보습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납떼기콩 오일의 피부장벽기능 및 피부 보습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흡광도를 이용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일차 배양한 인간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후,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대두 오일 50 mg/ml, 100 mg/ml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납떼기콩 추출물 50 mg/ml, 100 mg/ml 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납떼기콩 오일 50 mg/ml, 100 mg/ml 각각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세포가 바닥 면적의 80~9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 세포를 수확(cell harvest)하여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를 가하여 3분간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수행하고 난 후, 10분간 끓였다. 이를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 분리를 하여 분리한 침전물을 다시 PBS 1㎖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 일부를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 분화 정도의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양성 대조군으로 하고, 저칼슘 농도에 시험물질을 첨가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농도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
대조군 Low Ca2 +(0.03 mM) 100
High Ca2 +(1.2 mM) 195
납떼기콩 추출물
100 mg/ml 171
50 mg/ml 135
납떼기콩 오일
100 mg/ml 182
50 mg/ml 146
대두 오일
100 mg/ml 138
50 mg/ml 116
상기 표 7과 같이 각질형성세포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의 양을 측정하여 세포분화 촉진효과를 비교한 결과, 본 발명에 의한 납떼기콩 오일은 각질형성세포에서 분화를 촉진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납떼기콩 추출물 또는 대두 오일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납떼기콩 오일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보습능을 증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7] 자극감 평가
공지된 미백 물질인 코직산과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납떼기콩 오일의 사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따가움, 화끈거림 등의 자극감에 민감한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따가움, 화끈거림 등 자극감의 정도를 실험하였다.
피험자에게 코직산(kojic acid, YM chemical 통해 구입)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납떼기콩 오일을 각각 0.5㎖씩 좌우를 무작위로 바꾸어 적용하여 문지르고 0.1점 단위로 하여 0~3.0 사이의 점수를 매기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코직산 납떼기콩 오일
따가움 0.81 0.19
화끈거림 0.43 0.17
평균 0.62 0.18
<평가기준>
0 ~ 0.4: 자극 없음
0.5 ~ 1.0: 약간 자극이 있음
1.1 ~ 2.0: 보통 정도의 자극이 있음
2.1 ~ 3.0: 자극이 심함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직산의 경우는 따가움, 화끈거림이 상당하여 자극감이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납떼기콩 오일은 각종 효능을 그대로 포함하면서도 피부에 대한 자극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정제
납떼기콩 오일 10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전분 96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2] 과립제
납떼기콩 오일 100 mg, 포도당 100 mg, 홍삼추출물 50 mg 및 전분 600 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4] 드링크제
납떼기콩 오일 100 mg, 포도당 10 g, 홍삼추출물 50 mg, 구연산 2 g 및 정제수 187.8 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 ml로 하였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납떼기콩 오일.................................... 1000 ㎎
비타민 혼합물
비타민 A 아세테이트.......................70 ㎍
비타민 E ............................................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납떼기콩 오일 ...................................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형예 1] 로션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오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백굴채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크림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오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팩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오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미용액
배합성분 중량%
납떼기콩 오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연고
배합 성분 함량(중량%)
납떼기콩 오일 0.1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2.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3.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콜라게나아제의 생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또는 콜라게나아제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6.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또는 멜라닌의 발현을 억제하는, 조성물.
  9.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
  11.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드름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은 여드름인,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MCP(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의 생성 또는 그 발현을 억제하거나 저해하는, 조성물.
  14.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5.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보습용 건강식품 조성물.
  16. 납떼기콩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선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건선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18.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제9항 내지 제11항,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납떼기콩 오일을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40090008A 2014-07-16 2014-07-16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29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08A KR102299276B1 (ko) 2014-07-16 2014-07-16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15/006647 WO2016010283A1 (ko) 2014-07-16 2015-06-29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502226A JP6482644B2 (ja) 2014-07-16 2015-06-29 ツルマメオイルを含む組成物
CN201580049803.9A CN107072933B (zh) 2014-07-16 2015-06-29 包含宽叶蔓豆油的组合物
SG11201700078RA SG11201700078RA (en) 2014-07-16 2015-06-29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US15/324,521 US20170196797A1 (en) 2014-07-16 2015-06-29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0008A KR102299276B1 (ko) 2014-07-16 2014-07-16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798A KR20160009798A (ko) 2016-01-27
KR102299276B1 true KR102299276B1 (ko) 2021-09-09

Family

ID=5507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008A KR102299276B1 (ko) 2014-07-16 2014-07-16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96797A1 (ko)
JP (1) JP6482644B2 (ko)
KR (1) KR102299276B1 (ko)
CN (1) CN107072933B (ko)
SG (1) SG11201700078RA (ko)
WO (1) WO2016010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600B1 (ko) * 2017-02-16 2023-02-06 (주)아모레퍼시픽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WO2018151509A1 (ko) * 2017-02-16 2018-08-23 주식회사 아모레퍼시픽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SG11202000906YA (en) 2017-12-26 2020-03-30 Hirotaro Fukuok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Use In Increasing Hair, Modifying Scalp Or Skin, Healing A Wound, Promoting Osteogenesis, Or Modifying Hair
KR102096347B1 (ko) * 2018-12-20 2020-05-27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효능과 열안정성이 강화된 상피세포 성장인자 단백질 및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개선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478A (en) * 1988-04-04 1991-02-12 Warner-Lambert Company Antiinflammatory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JPH10109922A (ja) * 1996-10-04 1998-04-28 Sekisui Chem Co Ltd 化粧用油
US8093293B2 (en) * 1998-07-06 2012-01-10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Methods for treating skin conditions
KR100350827B1 (ko) 1999-12-04 2002-09-09 알프스 식품 주식회사 콩을 주원료로 한 햄과 소시지 타입의 두류가공품의제조방법
JP2002265324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2265343A (ja) * 2001-03-07 2002-09-18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4067590A (ja) * 2002-08-06 2004-03-04 Naris Cosmetics Co Ltd 女性ホルモン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CN101313922A (zh) * 2007-05-30 2008-12-03 广州联创思远利生物科技有限公司 从几种常见植物中获得提取物的方法及该提取物的用途
JP2009132651A (ja) * 2007-11-30 2009-06-18 Club Cosmetics Co Ltd 紫外線防御剤
KR101736981B1 (ko) * 2012-03-21 2017-05-18 (주)아모레퍼시픽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30120597A (ko) * 2012-04-26 2013-11-05 (주)아모레퍼시픽 꽃 쌈발효에 의한 항염증용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0606A (ja) 2017-07-27
JP6482644B2 (ja) 2019-03-13
US20170196797A1 (en) 2017-07-13
CN107072933A (zh) 2017-08-18
CN107072933B (zh) 2020-06-23
KR20160009798A (ko) 2016-01-27
WO2016010283A1 (ko) 2016-01-21
SG11201700078RA (en) 201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3716B (zh) 一种茯茶提取物在制备皮肤调节产品中的用途
KR20190005369A (ko) 씨-피코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99276B1 (ko) 납떼기콩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17214349A (ja) 化粧料及び経口組成物
KR20150059551A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2063686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106155A (ko) 천연 혼합물의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미백 및 보습기능성 조성물
KR102283527B1 (ko) 곡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3526B1 (ko)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238329B1 (ko)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123588B1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KR101940055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40018596A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720712B1 (ko) 레비스틸라이드 a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45085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920260B1 (ko) 멜라닌 형성 억제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