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176A -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176A
KR20160081176A KR1020140194565A KR20140194565A KR20160081176A KR 20160081176 A KR20160081176 A KR 20160081176A KR 1020140194565 A KR1020140194565 A KR 1020140194565A KR 20140194565 A KR20140194565 A KR 20140194565A KR 20160081176 A KR20160081176 A KR 20160081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catechin
formulation example
external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성
김동현
이옥찬
황경환
홍용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9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176A/ko
Publication of KR20160081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유효성분 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카테킨과 파낙시돌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FOR MOISTURING SKIN OR WHITENING SKIN COMPRISING CATECHINS AND PANAXYDOL}
본 발명은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여 보습 및 미백 효능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각질층 (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Marcelo C. L. et al, J. Invest . Dermatol ., 80, pp37-44, 1983).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또한, 각화과정 중에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소나, 건조한 대기 오염 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부분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 보유 능력이 있는 다양한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있다. 피부 보습제로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성분과 필수지방산 및 지질복합체 등 각질층에서의 수분보유를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Rawlings A. V. et al, J. Invest . Dermatol ., 5, pp731-741, 1994).
그러나, 최근 피부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되고 있고, 식생활 양상의 변화로 각질층의 생성, 탈락 속도가 늦어지며, 각질형성세포의 기능 저하로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각질층이 정상적인 피부 장벽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피부를 가진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피부 장벽 기능의 와해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질환들은 기존의 통상적인 수분보유기능을 갖는 보습제만으로도 증상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치유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tyrosinase) 등의 여러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피부에 존재하여 자외선 등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지만 멜라닌이 과잉생산됨으로써 색소침착 및 피부노화를 촉진하고 피부암 유발에도 주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색소 이상 침착 증상과 자외선 노출 등에 의해 발생된 과도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치료 또는 경감시켜주기 위해서 이전부터 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코지산 (kojic adcid), 알부틴 (arbutin), 하이드로퀴논 (hudroquinone), 글루타치온 (glutathione) 또는 이들의 유도체,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해 왔는데, 이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및 화장료에 배합시 제형 내에서의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폴리아세틸렌은 아세틸렌계 탄화수소로서 오가피과, 미나리과 등의 식물에 분포되어 있으며, 진통, 진정, 항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종류로는 파낙시돌(panaxydol), 파낙시놀(panaxynol), 파낙시돌(panaxytriol) 등이 있다. 이 중 파낙시돌은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가지고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이 피부 상태 개선과 관련하여 나타내는 효능 및 다른 성분과의 병용을 통한 상승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주목할만한 연구성과가 보고된 바 없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83943호(2012년 7월 27일 공개)
본 발명은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저농도의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테킨은 녹차로부터 추출하였으며, EGCG, GCG, ECG, CG를 주성분으로 하지만, 상기 카테킨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녹차(Camellia sinensis)는 동백나무과의 상록관록으로 일반적으로 그 싹이나 잎을 제조 공정 중에 발효시키지 않고 가공한 것으로 녹차라 지칭한다. 녹차는 BC 2700년 중국의 신농시태부터 마셨다는 기록이 전해져 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문헌에 신라 선덕왕 때부터 차를 음용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녹차에는 카테킨(catech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데아닌(theanine), GABA, 카페인(caffeine), 타닌(tannin) 등과 각종 비타민(vitamine)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 항산화, 항균, 소취, 혈압강하, 면역기능 증강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특히, 카테킨 성분은 항산화, 항암, 항균, 심장병 발생 억제에 이르는 다양한 약리 작용을 나타내는 녹차의 주요 기능성 성분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녹차에 함유된 카테킨류는 (+) catechin(CA), (-) epicatechin(EC), (-) epigallo-catechin(EGC), (-)EGCG, (+) epigallocatechin(EGC)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카테킨은 EG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CG (카테킨 갈레이트), EGC (에피갈로카테킨), GC (갈로카테킨), (-)EC (에피카테킨), (+)EC (에피카테킨), (-)CA (카테킨), (+)CA이고, 녹차 추출물은 녹차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카테킨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카테킨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낙시돌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파낙시돌은 식물에서 추출될 수도 있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파낙시돌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파낙시돌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께 사용하여 주름, 탄력 등의 증상을 전반적으로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 및 피부 각질형성세포 분
화 유도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표피 분화의 불완전함으로 생기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또는 건선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능을 높이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용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능을 높이고, 피부 수분량을 증가시키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 재생용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및 바디에센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에피갈로카테킨 (EGCG)은 Sigma-Aldrich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참고예 2]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능을 실험하기 위한 파낙시돌은 Chengdu Biopurify Phytochemicals Ltd.(중국)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HEK; Lonza사, NHEK-Neo-Neonatal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Pooled)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시험물질을 하기 표 1의 농도로 처리한 후 ((상기 참고예 1의 카테킨 (2 ppm 농도; 카테킨 2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2.5 ppm 농도; 카테킨 2.5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3 ppm 농도; 카테킨 3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상기 참고예 2의 파낙시돌 (2 ppm 농도; 파낙시돌 2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2.5 ppm 농도; 파낙시돌 2.5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3 ppm 농도; 파낙시돌 3mg 을 증류수 1L로 희석)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상기 참고예 1의 카테킨 (5 ppm 농도; 카테킨 5mg 을 증류수 1L로 희석)와 상기 참고예 2의 파낙시돌 (5 ppm 농도; 파낙시돌 5mg 을 증류수 1L로 희석)를 비교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를 하고,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
(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
(양성 대조군)
210
카테킨 (2.5 ppm)+
파낙시돌 (2.5ppm)
305
카테킨 (3 ppm)+
파낙시돌 (2 ppm)
311
카테킨 (2 ppm)+
파낙시돌 (3 ppm)
324
카테킨 (5 ppm) 289
파낙시돌 (5 ppm) 219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킨이나 파낙시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께 처리한 경우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카테킨 (2.5 ppm)+파낙시돌 (2.5ppm)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카테킨 (3 ppm)+파낙시돌 (2 ppm)으로 처리한 경우가 더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카테킨 (2 ppm)+파낙시돌 (3 ppm)으로 처리한 경우가 더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한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내지 3의 4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 (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 (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비교제형예 1은 음성대조군으로서 비히클(vehicle)이며, 비교제형예 2는 상기 참고예 1의 카테킨을 함유하는 비교 대조군이고, 비교제형예 3은 상기 참고예 2의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비교 대조군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의 결과는 장벽 손상 전과 장벽 손상 후의 처리전 차이를 100%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배합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정제수 69 70 69 69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카테킨 0.5 - 1 -
파낙시돌 0.5 - - 1
시험군 TWEL 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제형예1 100 138 134 130 127 122 120
비교제형예1 100 121 112 98 70 62 43
비교제형예2 100 129 127 123 123 114 112
비교제형예3 100 123 119 112 111 109 105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께 처리한 경우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카테킨이나 파낙시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3] 제형예 2, 3 및 비교제형예 4 내지 6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GCG 0.25 0.2 - 0.5 -
파낙시돌 0.25 0.3 - - 0.5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시험예 4]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형예 2, 3 및 비교제형예 4 내 6을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50명을 각각 제형예 2, 3 및 비교제형예 4내지 6의 5개 군에 대해 10명씩 5개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제형예 2 45 44 42 40
제형예 3 47 45 43 41
비교제형예 4 30 32 32 15
비교제형예 5 35 38 37 34
비교제형예 6 33 36 35 33
상기 표 5의 결과를 보면, 비교제형예 4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0%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EGCG를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제형예 5 나 파낙시돌을 단독으로 함유한 비교제형예 6을 도포한 경우에는 피부 수분 증가율이 대부분 30% 대에 머물렀으나, EGCG 및 파낙시돌을 함께 함유한 제형예 2 및 3을 도포한 경우에는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40% 이상의 피부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본 시험예에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의 악성화로 생긴 암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험물질을 처리하여 멜라닌 생성이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 하였다. 본 시험예에서 사용된 B16/F10 멜라노마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No: 8008)으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 멜라노마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0 멜라노마를 6 웰 플레이트에 5×105/웰로 분주하여 37℃, 5% CO2 배양기(MCO-20AIC, Sanyo)에서 약 24시간동안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서 배양하였다. FBS가 없는 새로운 DMEM 배지에 시험물질을 첨가하고 72시간 경과시켰다. 이 때 사용한 시험물질은 하기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트립신-EDTA를 처리하고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한 후, DMSO를 함유한 1N NaOH를 이용해 95℃에서 멜라닌을 용해하였다. ELISA 리더(DIbiotech, Korea)를 활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시험물질 멜라닌생성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
코지산 53
EGCG (0.04중량%) + 파낙시돌 (0.06중량%) 64
EGCG (0.06중량%) + 파낙시돌 (0.04중량%) 62
EGCG (0.05중량%) + 파낙시돌 (0.05중량%) 59
EGCG (0.1중량%) 51
파낙시돌 (0.1중량%) 32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EGCG 및 파낙시돌을 함께 사용할 경우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상승되며,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조합비로 사용할 경우에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피부톤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50대 성인 남녀 50명을 각각 제형예 2, 3 및 비교제형예 4 내지 6의 5개 군에 대해 10명씩 4개조로 나누어 각 군의 피험자에게 상기 제형예 2, 3 및 비교제형예 4 내지 6을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도포, 총 1주간)하도록 한 후, Facial Stage DM-3(Moritex, Japan) 기기를 활용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톤 개선율은 피부의 명도 및 색채 측정값으로부터 피부의 명도 및 색채 변화 값을 구하여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명도 및 색체 변화값이 클수록 피부톤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시험물질 피부톤 개선율(%)
명도 색채
제형예 2 21 18
제형예 3 23 19
비교제형예 4 10 9
비교제형예 5 17 15
비교제형예 6 14 13
표 7의 결과를 보면, EGCG 및 파낙시돌 중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4는 유의적인 피부톤 개선 효능을 보이지 않은 반면, EGCG 또는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비교제형예 5 및 6은 사용 전보다 피부톤이 개선됨을 보이며, 이들 2가지 성분을 동시에 함유하는 제형예 2 및 3의 경우에는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피부톤이 현저하게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약학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화장수
아래 표 8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카테킨 1.0
파낙시돌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영양 크림
아래 표 9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영양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카테킨 1.0
파낙시돌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락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3] 마사지 크림
아래 표 10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마사지 크림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카테킨 0.5
파낙시돌 0.5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4] 팩
아래 표 11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카테킨 0.5
파낙시돌 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5] 젤
아래 표 12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한다.
함량(중량%)
카테킨 0.25
파낙시돌 0.25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6] 연고
아래 표 13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함량(중량%)
카테킨 0.5
파낙시돌 0.5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7] 연질캅셀제
카테킨 0.0025g, 파낙시돌 0.0025g, 비타민 C 0.0025g, 팜유 2mg, 팜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캡슐당 400 mg씩 충진하여 연질캅셀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8] 정제
카테킨 0.0025g, 파낙시돌 0.0025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0mg, 전분 96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4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40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고 타정기를 이용하여 정제로 타정하였다.
[제제예 9] 과립제
카테킨 150mg, 파낙시돌 150mg, 비타민 C 150mg, 포도당 100mg, 및 전분 600mg을 혼합하고 30% 에탄올을 100 mg 첨가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다음 포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중량은 1 g으로 하였다.
[제제예 10] 드링크제
카테킨 0.0025g, 파낙시돌 0.0025g, 비타민 C 0.0025g, 포도당 10g, 구연산 2g 및 정제수 187.8g을 혼합하고 병에 충진하였다. 내용물의 최종 용량은 200ml로 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카테킨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파낙시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은 EGCG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GCG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CG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및 CG (카테킨 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킨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낙시돌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장벽 기능 강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색 및 피부톤 개선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140194565A 2014-12-31 2014-12-31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65A KR20160081176A (ko) 2014-12-31 2014-12-31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65A KR20160081176A (ko) 2014-12-31 2014-12-31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76A true KR20160081176A (ko) 2016-07-08

Family

ID=56503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565A KR20160081176A (ko) 2014-12-31 2014-12-31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1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2522A (zh) * 2017-12-08 2018-03-16 杨大伟 一种含益生菌发酵液的美白面膜液及其制备方法
WO2018194360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7974A (ko) * 2018-11-19 2020-05-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43A (ko) 2010-08-13 2012-07-27 (주)아모레퍼시픽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943A (ko) 2010-08-13 2012-07-27 (주)아모레퍼시픽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360A1 (ko) * 2017-04-19 2018-10-25 주식회사 진켐 피부 개선용 조성물
CN107802522A (zh) * 2017-12-08 2018-03-16 杨大伟 一种含益生菌发酵液的美白面膜液及其制备方法
CN107802522B (zh) * 2017-12-08 2020-06-19 广东得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含益生菌发酵液的美白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20200057974A (ko) * 2018-11-19 2020-05-27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물여뀌 추출물에서 분리한 ecg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70196797A1 (en) Composition containing glycine gracilis oil
KR20160081176A (ko) 카테킨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40052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81160A (ko) 컴파운드 k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92A (ko) 이소플라본 및 파낙시돌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1A (ko) 컴파운드 k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2115A (ko) 컴파운드 K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3A (ko) 컴파운드 k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95A (ko) 이소플라본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65A (ko) 컴파운드 k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또는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78A (ko) 카테킨 및 이카리시드 b2를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77A (ko) 카테킨 및 16-하이드록시-옥타데카-9,17-디엔-12,14-디이닐 에스테르 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79A (ko) 카테킨 및 피크리오노시드 a를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1180A (ko) 카테킨 및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82117A (ko) 카테킨 및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또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61147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4355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7580A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114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07417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66733A (ko) (2S)-1-O-리놀레노일-3-O-β-D-갈락토피라노실-sn-글리세롤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KR20140004897A (ko) 진세노사이드 Rd 및 F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