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568A -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568A
KR20160004568A KR1020140083019A KR20140083019A KR20160004568A KR 20160004568 A KR20160004568 A KR 20160004568A KR 1020140083019 A KR1020140083019 A KR 1020140083019A KR 20140083019 A KR20140083019 A KR 20140083019A KR 20160004568 A KR20160004568 A KR 2016000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extract
ginseng leaf
leaf extract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완
정민석
박창민
임미진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Priority to KR1020140083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568A/ko
Priority to CN201510232365.1A priority patent/CN105267268B/zh
Publication of KR2016000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사초법 또는 초자법으로 포제한 인삼잎 추출물 0.001 ~ 10.0 중량%를 함유함으로써, 종래의 단순 인삼잎 추출물 또는 기존 포제품인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항산화효과,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억제와 발현 저해 효과가 더 증가된 피부외용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화장료 조성물은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칙칙한 피부색을 개선하거나 피부의 색소침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더욱 증가된다.

Description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MANUFACTURING METHOD FOR AN EXTRACT OF THE LEAF OF PANAX GINSENG,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THE EXTRACT}
본 발명은 인삼잎(The Leaf of Panax ginseng)을 한방 포제로 가공하여 개량하는 방법과 개량된 인삼잎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는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종(ROS)을 생성시켜 피부암, 광독성, 자기면역장애, 광과민증, 피부노화 등을 유발하게 된다(Norins, J. Invest. Dermatol., 39:445, 1962; Cadenas, Ann. Rev. Biochem., 58:79, 1989).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 Matrix Metalloprotease)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분해효소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활성화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세포내에서 활성화가 유도되는 기질금속단백질 분해효소의 발현을 조절하거나 그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피부색을 결정하는 인자에는 기본적으로 인종과 지역, 성별, 나이에 따른 차이를 배제하면 기미, 주근깨와 자외선 노출로 인한 태닝과 같은 부분, 또는 전체적인 색소침착, 그 외에 여드름 및 흉터, 각질의 분포 상태와 혈액 순환, 스트레스, 건강상태 등이 있다. 이상의 인자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요한 인자는 색소침착이다.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색소는 멜라닌으로서 이는 자외선과 체내 호르몬 분비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멜라닌의 생합성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노좀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디하이드록시 페닐알라닌(dihydroxy phenylalani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시작으로 계속되는 일련의 산화과정을 거쳐 갈색(pheomelanin), 흑색(eumelanin)의 중합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생합성 과정은 멜라노좀이라는 특수한 세포내 소기관에서 진행되며 멜라닌 과립을 포함한 멜라노좀은 핵 주변 부위에서 수지상 돌기 끝부분으로 이동, 케라티노사이트의 식세포작용에 의해 세포질 내로 이동하여 핵 주변에 축적된다. 멜라닌의 합성과 멜라노좀의 수,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로의 이동은 부분적으로 호르몬과 자외선 등에 영향을 받고 일차적으로는 유전적인 영향을 크게 받는다. 그 밖에 티로시나제의 발현 및 멜라닌의 합성, 전송에 관여하는 세포내 조절인자인 싸이토카인(cytokine), 구리, 아연, 철 등의 금속 이온 및 인터페론,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박수남:대한화장품학회지, 25: 77-127, 1999). 따라서 피부색을 결정짓는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고 이에 관여하는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한반도가 원산인 한국의 특산 약용식물로 2000여년 전부터 동북아시아에서 보원기제로 사용되어 온 중요한 한약 중의 하나이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본초서인 신농본초경에 인삼은 오장을 보하고, 원기를 보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Namba, 1980). 인삼의 생리활성은 체계적인 약리학적 접근으로 심혈관계(Lee et al., 1981), 면역계(Jie et al., 1984), 신경계(Kim et al., 1998)에 대한 효능과 해독작용(Joo et al., 1977), 항암작용(Tahara et al., 1985) 그리고 항당뇨작용(Yokozawa et al., 1985) 등이 보고되었다. 인삼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은 인삼사포닌(ginsenoside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산성다당체, 인삼단백질, 폴리페놀물질 등이 알려져 있다(Park, 1996; Sanata et al., 1974; Kitagawa et al., 1987). 그 중에서 사포닌은 사나타(Sanata) 등(1974)의 연구에 의해서 그 화학구조가 명확히 확인되었고, 항당뇨 활성(Yokozawa et al., 1985)을 비롯하여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간기능 촉진 및 숙취제거효과, 항 피로 및 항 스트레스 작용, 노화방지 작용, 두뇌활동 촉진작용, 항염활성, 알레르기성 질환치료, 단백질합성능력의 촉진 등이 보고되었다(Park, 1996). 인삼의 대표적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삼 근(뿌리), 인삼 엽 및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인삼은 대개 4~6년근을 수확하여 건삼, 홍삼 및 이를 이용한 각종 제품들로 상품화되며, 그 과정에서의 인삼의 잎, 줄기 등의 부산물은 그간 폐기되어 오고 있었다. 학계의 인삼 잎 관련 연구자료에 의하면 인삼 잎에는 인삼의 사포닌과 유사한 구조와 약리효능을 가진 사포닌을 인삼뿌리보다 2∼3배 많은 10∼13% 정도 함유하고 있는 매우 가치 있는 의약적인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Xiang-guo Li et. al., Life Science Journal, 679-683, 9(4),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사초법 또는 초자법을 이용하여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되, 인삼잎의 유효성분이 탄화되지 않도록 100℃~160℃에서 가열함으로써, 인삼잎 생품 또는 인삼잎탄 추출물에 비해 페놀성 화합물인 진세노이드 함량이 높고, 나아가 항산화 효과, 주름방지효과, 미백효과가 현저히 향상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삼잎 추출물의 색상이 옅어 화장료 제품에 미치는 원료 색상의 영향을 최소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은, 인삼잎을 해사 또는 초산과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100℃~160℃에서 교반 가열한 후 냉각시켜 포제된 인삼잎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포제된 인삼잎에 추출용매를 투입하여 환류추출한 후 감압여과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인삼잎 추출물을 얻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삼잎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중량% ~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잎을 사초법으로 포제한 사초인삼잎 또는 초자법으로 포제한 초자인삼잎으로 가공함으로써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 추출물과 기존의 포제방법으로 가공한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식물성 항산화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은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과 인삼잎탄 추출물에 비해 MMP 저해 효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 발현 조절효과, 그리고 잔주름 개선 효과 등의 항노화 효과가 더 우수하다.
또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로 가공하였을 때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과 인삼잎탄 추출물에 비해 tyrosinase 저해효과,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 그리고 피부색을 희게 하는 미백 효과가 더 높아진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은 외관 색상이 짙은 녹색이었으나 초자인삼잎 추출물과 사초인삼잎 추출물로 가공하였을 때는 색상이 황색으로 옅어져 화장품에 투입하였을 때 전체 화장품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 크림, 유액, 팩, 파우더 등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피부 잔주름 개선과 같은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삼잎의 포제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삼잎을 사초법이나 초자법으로 포제하여 인삼의 주요성분 중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식물성 항산화 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이 증가되고 항산화 활성과 항노화 활성, 미백 효과가 증가된 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에 개발된 홍삼 또는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알이와 알에이치투 복합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3832호), 인삼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일자 2010년06월18일), 수경재배 인삼 유래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대한민국 특허 출원일자 2012년07월05일),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328194)에서와 같이, 단순한 인삼잎추출물이 갖는 단점 보완을 위한 인삼으로부터 주요 성분에 대한 분리방법과 그 조성물, 인삼잎에 대한 발효를 포함한 소정의 처리 후 추출하는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 등과는 달리, 인삼잎을 단독으로 이용하여 사초품 또는 초자품으로 가공, 이것을 추출물로 하여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잎에 대하여 연구를 하던 중, 인삼 잎을 포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면 인삼의 주요 활성성분과 생리활성 효능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 제품을 적용한 화장료의 조성물이 항산화, 항노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보다 우수한 화장품 원료를 찾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 천연물을 검색한 결과, 인삼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인삼잎의 단순 추출물은 생체 외에서는 효과가 있지만, 실제로 이를 함유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는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거나 만족스러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추출물을 고농도로 투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삼잎 추출물은 외관이 짙은 녹색을 띠고 있어 피부에 만족할 만한 개선효과를 보기위 해 고농도로 투입하면 화장품의 색상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여 아름다운 외관이 중요한 이미지 상품인 화장품에 맞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편, 포제(制)는 한의학에서 사용되는 전통 생약 가공법제로서, 수치(修治) 또는 포자라고도 한다. 약물의 의료적인 목적, 조제(調製) 또는 제제(製劑) 등의 수요에 의거하여 가공 처리하는 방법의 총칭으로 약물의 형태가 바른 것을 선별하고 잡질을 제거하며 정제, 가열처리, 보조물을 이용한 가공 등이 포함된 용어이다. 포제의 기원은 중국의 가장 오래된 의서인 내경(內經),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도 기재되어 있는 만큼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며 초기에는 약재를 세정, 세절 등의 간단한 손질을 시작으로 술의 발명으로 그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어, 오랜 처방과 치료의 경험으로 수정, 보완되어 왔다. 포제는 경우에 따라서 보료(輔料)를 가하여 함께 포제하는데, 이러한 것은 의료(醫療)의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며, 변증(辨證)에 따른 용약(用藥)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약물의 포제에 사용하는 보료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성질과 작용이 있으며, 이로 인해 포제한 약물이 일으키는 작용도 각기 다르다. 현재 상용되는 보료의 종류는 비교적 많은 편인데, 크게 액체 보료와 고체 보료로 구분할 수 있다. 액체 보료는 술, 식초,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黑豆汁), 식염수, 미감수(米감水), 마유(麻油), 젖(乳), 동변(童便), 석회수 등이 사용된다. 고체 보료로는 쌀, 밀기울, 백반(白礬), 두부, 흙, 합분(蛤粉), 모래(河砂, 海砂) 등이 있다. 한의학에서 포제를 사용하는 목적은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조제와 제제 및 환자의 복용을 편하게 하고 원료의 저장성 개선과 표준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한약포제학, 김기영 외, 신일상사;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최호영 외, 영림사).
인삼 잎은 채소로 사용되고 있으며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인삼 잎은 한의학에서도 생품을 그대로 썰어서 사용하거나 만들어 사용하고 있지 않다. 인삼잎탄은 포제법 가운데 보료를 사용하지 않고 220~300℃의 센 불에서 겉이 짙은 흑색이 되고 속은 흑갈색이 될 때까지 볶는 초탄법(炒炭法)을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한의학에서는 효과를 볼 수 있을지 모르나 220~300℃의 센 불에서 약재의 내부까지 태우는 가공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항노화 화장료로서의 목적에 부합하는 목적 성분의 유실과 약재의 탄화로 인한 유해성분의 생성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삼 잎의 용매 추출물이 갖는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포제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사초법과 초자법으로 가공한 인삼 잎이 생품과 기존 포제품인 인삼잎탄보다 식물성 항산화제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 수율이 높아지며, 이에 따라 자유라디칼, 활성 산소종의 소거활성 및 콜라게나제의 발현과 활성의 억제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소량 함유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우수한 주름개선 효과를 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과 피부의 칙칙해짐을 개선하는 효과가 증가되어, 이를 소량 함유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우수한 미백 효과를 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사초법과 초자법으로 가공한 인삼잎은 색상이 황녹색에서 갈색으로 변하여 추출물로 제조하였을 때 색상이 연해져 제품에 고농도로 투입하기 용이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인삼잎탄의 제조는 센불에서 약초를 완전히 탄화시키는 것으로 유효성분의 손실과 탄화로 인한 유해성분의 생성이 우려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100 ~ 160℃의 보다 약한 불에서 보료를 사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잎의 생품이나 인삼잎탄보다 다른 방법으로 포제할 경우, 식물성 항산화제인 페놀성 화합물(Polyphenols), 주성분인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가되고 항산화 활성, 항노화 활성 및 미백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저온에서 가열 가공하여 갈색으로 변한 약재를 추출물로 제조하면 짙은 녹색이 황색 추출물로 변하여 제품에 투입하기 용이한 성상으로 개선된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건조되어 시판되는 인삼잎의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한 해사(海砂; sea sand)를 동일한 부피비율로 혼합하여 100℃ 이상 및 160℃ 이하의 온도범위 내에서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여, 원래 황녹색인 약재의 겉이 갈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식힌다. 이렇게 제조된 사초인삼잎으로부터 해사를 제거하고, 추출용매로써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사초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건조되어 시판되는 인삼잎의 잡질을 제거하고 초산을 4~6% 함유한 수용액을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00℃ 이상 및 160℃ 이하의 온도범위 내에서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여 원래 황녹색인 약재의 겉이 갈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식힌다. 이렇게 제조된 초자인삼잎으로부터 추출용매로써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여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이 인삼잎 생품의 추출물이나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식물성 페놀함량이 현저히 높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였다. 즉, 항산화 활성 또는 콜라게나제 발현 및 활성 조절과 같은 항노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식물성 페놀함량이 높아짐으로 인하여, 실제로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이 높아지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였을 때 주름 개선효과가 높아지게 되는 것을 발견 및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이 인삼잎 생품의 추출물이나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아짐을 확인하고, 직접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를 희게 하고 칙칙한 피부색을 개선하는 것을 발견 및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이 인삼잎 생품의 추출물보다 색상이 옅어져 화장품의 제형에 투입하였을 때 제품의 색상에 대한 영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주제는 항산화제, 주름방지제, 피부 미백제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중량% 이상 및 10.0중량% 이하의 의 양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에센스, 파우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여 항산화 및 항노화 원료로서 이외의 성분들을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사초인삼잎 추출물 제조
음건하고 잡질을 제거한 인삼잎 600g과 인삼잎이 충분히 묻힐 만큼의 유사한 부피비율의 깨끗한 해사(Sea Sand)를 혼합하여 100~160℃에서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이때, 원래 황녹색인 약재의 겉이 갈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식혀 사초인삼잎을 제조한다. 해사는 털어서 제거하고 포제한 인삼잎만 골라 용매로서 주정 에탄올 10L를 투입하여 70℃에서 3~6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압여과한 후, 그 여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에탄올 사초인삼잎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초자인삼잎 추출물 제조
음건하고 잡질을 제거한 인삼잎 600g에 식초와 유사한 산의 비율로서 초산(acetic acid)를 4~6%(중량% 인지 확인 요망) 함유하는 초산수용액을 약재에 충분히 흡수시킨 다음, 100~160℃에서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이때, 원래 황녹색인 약재의 겉이 갈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상온에서 식혀 초자인삼잎을 제조한다. 제조된 포제품을 용매로서 주정 에탄올 10L를 투입하여 70℃에서 3~6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압여과한 후 그 여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에탄올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잎 생품의 추출물 제조
음건하고 잡질을 제거한 인삼잎 600g에 용매로서 주정 에탄올 10L를 투입하고, 70℃에서 3~6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압여과한 후, 그 여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에탄올 인삼잎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인삼잎탄 추출물 제조
음건하고 잡질을 제거한 인삼잎 600g을 220~300℃에서 교반시키면서 가열하였다. 이때 원래 황녹색인 약재의 겉이 초흑색이 되면 가열을 중지하고 소량의 물을 뿌려 불꽃을 끄고 상온에서 식혀 인삼잎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인삼잎탄에 용매로서 주정 에탄올 10L를 투입하여 70℃에서 3~6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여 감압여과한 후 그 여액을 40℃의 수조에서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에탄올 인삼잎탄 추출물을 얻었다.
[ 실험예 1: 사초인삼잎 추출물( 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 실시예 2)의 성분 확인 및 함량 실험]
실시예 1의 사초인삼잎 추출물, 실시예 2의 초자인삼잎 추출물 뿐만 아니라, 비교를 위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수득한 인삼잎의 생품 추출물 및 인삼잎탄 추출물의 주요성분 중, 페놀성 물질의 정성분석 및 총 페놀 함량 변화 그리고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페놀성 물질의 정성분석:
각각의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한 용액에 2.5% FeCl3 에탄올 용액을 1~2 방울 떨어뜨려 방치할 때, 암녹색으로 정색하거나 침전의 생성 여부를 관찰하였다.
(2) 총 페놀 함량분석:
각각의 추출물 100mg을 에탄올 10ml에 용해한 용액 1ml에 증류수 10ml을 첨가하고, 2ml의 폴린-치오칼토 페놀 시약(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Sigma)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킨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ml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식힌 후 6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을 사용하였다.
총 페놀 함량의 결과는 표 1과 같이 사초인삼잎과 초자인삼잎의 추출물이 인삼잎 생품과 인삼잎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보다 높았다.
Figure pat00001
(3)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비교
추출한 인삼 잎은 여과와 감압농축을 하여 추출물 파우더로 만들어, 10,000ppm으로 80% 에탄올에 녹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LPC) 분석을 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의 표준품은 크로마덱스Chromadex)(U.S.A.)로부터 구입한 순도 99% 이상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를 사용하였다.
HLPC 분석은 ㈜Waters(USA)의 2695 분리 모듈(separation module)과 2996 PDA 관측기(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컬럼은 ㈜Kanto Chemical(Japan)의 250mm 4.6mm i.d. Mightysil C18 역상 컬럼(reverse phase column)을 사용하였다. 이동상 용액은 물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을 사용하여 85분간 분석하였다. 자세하게는, 물과 아세토니트릴의 합을 100%로 하여 0분부터 5분까지 물 90%에서 물 79%로 진행, 5분부터 10분까지 물 79%에서 물 79%로 진행, 10분부터 35분까지 물 79%에서 77.5%로 진행, 35분부터 37분까지 물 77.5%에서 물 69%로 진행, 37분부터 77분까지 물 69%에서 물 50%로 진행, 77분부터 80분까지 물 50%에서 물 50%로 진행, 80분부터 83분까지 물 50%에서 물 90%까지 진행, 83분부터 85분까지 물90%에서 물 90%로 진행하여 분석하였다. 표 2와 같이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이 인삼잎 생품 추출물(비교예 1)과 인삼잎탄 추출물(비교예 2)에 비하여 특정한 인삼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총 사포닌 함량도 높았다.
Figure pat00002
[ 실험예 2: NBT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각각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다른 항산화제, 즉 레티놀과 BHT(butylated hydroxy toluene)를 비교샘플로 하였으며, NBT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NBT법에 의해 측정하고 피검물질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과, 즉 활성산소 소거효과를 평가한다. 크산틴과 크산틴옥시다제에 의해 활성산소를 생성시킨다. 이 활성산소가 니트로블루테트라졸리움(Nitro Blue Tetrazolium; NBT)과 반응하여 이것에 의해 생성되는 청색을 파장 560nm에서 측정하는 것으로 활성산소 소거율을 측정한다.
측정방법으로서, 아래의 성분들을 사용하였다.
성분 1. 0.05M Na2CO3 ------------------------------- 2.4ml
성분 2. 3mM 크산틴 용액----------------------------- 0.1ml
성분 3. 3mM EDTA 용액------------------------------- 0.1ml
성분 4. BSA 용액------------------------------------ 0.1ml
성분 5. 0.72mM NBT 용액----------------------------- 0.1ml
성분 6. 크산틴 옥시다제 용액------------------------ 0.1ml
성분 7. 6mM CuCl2 용액------------------------------- 0.1ml
① 바이엘병에 위 성분 1 내지 성분 5를 가하고, 여기에 시료용액 0.1ml을 첨가하고 25℃에서 10분간 방치한다.
② 성분 6을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2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③ 그 후 성분 7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④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⑤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성분 6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3과 같다.
[수학식 1]
억제율(%) = [1-(St-So)/(Bt-Bo)]×100
St : 시료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효소 반응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효소 무첨가시 반응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표 3에서 보듯이,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이 인삼잎의 생품 추출물(비교예 1)과 인삼잎탄 추출물(비교예 2)보다 낮은 농도에서 레티놀(retinol)과 BHT와 유사하거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Figure pat00003
[ 실험예 3: DPPH 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각각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DPPH[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다.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4-tert-octyl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Aldrich Chem. Co., MW=618.76) 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로 한다.
측정방법으로서,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에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블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효과의 결과는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4와 같다.
[수학식 2]
억제율(%) = [1-(St-So)/(Bt-Bo)]×100
St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표 4에서 보듯이,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은 0.03% 농도에서 녹차추출물과 비타민E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Figure pat00004
[ 실험예 4: 생체외 ( in vitro ) MMP -1 저해활성 평가]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MMP-1) 저해 활성은 생화학적 모델에서 측정하였는데, 이는 정제된 콜라게나제 및 이의 기질인 플루오레세인에 접한된 콜라겐과 젤라틴의 이용을 기초로 한다[EnzChek(상표명)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몰큘라프루브]. 클로스트리디움 히스토리티컴으로부터 정제된 콜라게나제를 상기 엔즈체크(EnzChek)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 내에 공급하였다. 돼지 피부로부터 정제하고 플로오레세인에 접합된 DQ-콜라겐과 0.05M 트리스-HCl, 0.15M NaCl, 5mM CaCl2 및 0.2mM 나트륨 아지드(pH 7.6)로 이루어지는 반응 완충액은 엔즈체크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키트(몰큘라 프로브스)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의 각 추출물들을 상기 반응 완충액 내에 용해시켰다. 이는 4; 2; 0.4; 0.2; 0.1%(w/v)에서 테스트하였다. 테스트 추출물의 희석액은 25㎍/ml의 DQ-콜라겐 및 0.1U/ml의 콜라게나제와 함께 실온에서 15분, 45분, 12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콜라게나제와 DQ-콜라겐 혼합물에 상응하는 대조용 혼합물(control)도 동일하게 항온처리하였다. 또한 각각의 실험 조건에서 블랭크(Blank), 이하 '효소 비함유 블랭크'라 칭하는 샘플은 DQ-콜라겐의 존재 및 콜라게나제의 부재하에서 항온처리하였다. 각각의 실험은 3회 수행하였다.
15분, 45분, 120분 경과 후 DQ-콜라겐의 분해에 상응하는 신호는 형광측정기(여기:485nm, 방출 505nm)로 측정하였다. '효소 비함유 블랭크' 형광값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의 샘플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샘플당 형광 단위 및 대조군에 대한 변이율(%)로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선택된 실험 조건하에서 0.04 내지 4%(v/v)에서 테스트된 실시예 1과 2,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한 인삼잎의 생품 및 포제품의 추출물은 투여랑 의존성으로 항콜라게나제/젤라티나제 활성을 보유하였다.
결과로서 표 5에서 보듯이,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은 0.04% 처리시 클로스트리디움 콜라게나제의 콜라겐 분해활성의 95%를 억제하였으며 이는 녹차추출물의 저해 효과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 실험예 5: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 -1 발현억제 평가]
각각의 추출물의 자외선(UV) 조사 및 시료 첨가 후 MMP-1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ELISA를 실시하였다.
자외선(UV) 챔버를 이용하여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 장파장 자외선(UVA)를 5J/㎠의 에너지로 조사한다. 자외선 조사량과 배양시간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섬유아세포에서 MMP 발현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은박지로 싸서 유브이에이(UVA)의 환경에 같은 시간 유지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의 방출량은 자외선(UV) 라디오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장파장 자외선(UVA)이 조사되는 동안의 세포는 이전에 분주된 배지 그대로이고, UVA를 조사한 후 샘플이 들어간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회수하여 96-웰에 코팅한다. 일차항체(MMP-1(Ab-5) 단일클론항체와 MMP-2(Ab-3) 단일클론항체)를 처리하고 37℃에서 60분 반응시킨다. 이차항체인 안티마우스 IgG(whole mouse, alkaline phosphatase conjugated)를 다시 60분정도 반응시킨 후, 알카린 포스파타제 기질 용액(1mg/mlρ-nitrophenyl phosphate in diethanolamine 완충용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자외선 조사시에 발현이 유도되는 MMP-1에 대하여,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은 약 80%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이는 대조군으로 사용한 레티놀의 억제율 보다 우수한 결과이다(표 6).
Figure pat00006
[ 실험예 6: 머쉬룸 티로사나제를 이용한 티로시나제 억제효과 측정 실험]
각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의 기능이 억제되는 정도를 보고 미백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티로시나제는 생체내에서 티로신(tyrosine)이라는 물질의 산화과정을 촉진하여 멜라닌이 생성되게 도와주는 효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티로신이 산화되어 멜라닌이라는 흑색의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Pomerantz S. H.: J. Biochem ., 24: 161 - 168, 1996)을 응용하여 미백효과를 판정하였다.
각 시료들의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활성은 시료 15㎕를 96 웰 플레이트에 넣고, 50 mM 인산 완충액(pH 6.5) 150 ㎕, 1.5 mM L-티로신 용액 25㎕를 넣은 후, 머쉬룸 티로시나제(1,500 units/ml, Sigma사) 10㎕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 ELx800, 미국)를 사용하여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에 대한 저해율(%)은 수학식 3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3]
저해율 (%) = [(D-C)-(B-A)]/(D-C)× 100
A : 시료를 넣은 웰의 반응전 흡광도
B : 시료를 넣은 웰의 반응후 흡광도
C : 시료를 넣지 않은 웰의 반응전 흡광도
D : 시료를 넣지 않은 웰의 반응후 흡광도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시험한 결과,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의 IC50값은 0.01%, 0.02%로 나타나 인삼잎 추출물(비교예 1)과 인삼잎탄 추출물(비교예 2)보다 티로시나제 저해효과가 높아졌으며, 기존에 알려진 미백제인 코지산, 알부틴,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7).
Figure pat00007
[ 실험예 7: B16F1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이용한 세포내 티로시나제( tyrosinase )의 활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각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사이트 내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정도를 측정하여 판단한 것이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사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티로시나제라는 효소를 합성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고 세포에서 티로시나제를 분리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 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 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고,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50 m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6.5)에 1.5 mM L-티로신, 0.06 mM L-DOPA, 세포 상등액을 각각 넣고, 37℃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의 활성 억제율(%)은 수학식 4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4]
저해율(%) = [(A-B)/A]×100
A: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B: 시료를 첨가한 웰의 티로시나제 효소 활성
B16F1 멜라노싸이트의 티로시나제 효소의 활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의 IC50값은 0.08%와 0.06%로 나타나 기존의 미백제인 코지산,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낮은 농도에서도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인삼잎 추출물과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효과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표 8).
Figure pat00008
[ 실험예 8: B16F1 멜라노사이트(melanocyte)를 이용한 멜라닌( melanin ) 생성 억제효과 측정 실험]
각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16F1 멜라노싸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보고 미백 효과를 판단한 것이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마우스에서 유래한 세포균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색소를 분비하는 세포이다. 이 세포의 인공배양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싸이트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6323)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 측정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를 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106 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세포내 멜라닌의 정량은 로탄(Lotan : Cancer Res., 40: 3345-3350, 1980)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버퍼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 6.8, 1% Triton X-100, 2 mM PMSF) 1 ml를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 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 N NaOH(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05nm에서 멜라닌의 흡광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수학식 5에 의하여 계산하였으며, IC50값은 멜라닌 생성을 50% 저해하는 물질의 농도이다.
[수학식 5]
저해율 (%) = [(A-B)/A]×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
B16F1 멜라노싸이트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시험한 결과, 사초인삼잎 추출물(실시예 1)과 초자인삼잎 추출물(실시예 2)의 IC50값은 0.02%와 0.03%로 나타나 인삼잎의 생품 추출물(비교예 1)과 인삼잎탄 추출물(비교예 2)보다 미백활성이 개선되었으며, 기존의 미백제인 하이드로퀴논,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등에 비해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표 9).
Figure pat00009
[ 비교예 3 및 4, 실시예 3 및 4, 및 비교예 5]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한 각각의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탄력 개선 효과와 피부색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우선 표 9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한다. 이것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유화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다음에 서서히 냉각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3 및 4, 및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5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Figure pat00010
실험완료 후 피부 잔주름 완화 효과는 제품 사용 전과 2개월간 사용 후에 안면 눈꼬리 주위의 주름을 실리콘 수지 복사물(레플리카)로 채취하고, 이것을 피부 미세 주름 장치와 피부 영상 분석기로 눈가 잔주름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표 11은 비교예 3 및 4,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눈가 평균 잔주름 깊이 및 주름 감소율을 비교예 5의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와 비교한 것이다.
표 1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3 및 4)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눈주위 피부에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11
실험자(20세-35세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비교예 3 및 4,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크림을,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5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2개월간 도포하였다. 표 12는 비교예 3 및 4, 실시예 3 및 4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색을 비교예 5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색과 비교한 것이다. 시험 완료 후 얼굴 좌우 양편의 도포 부위 피부를 화상분석기 및 색차계로 얼굴색을 비교하여 가장 어두운색을 5, 중간색을 3, 가장 환한 색을 1로 정하고 그 중간정도를 어림잡아 평가하였다.
표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실시예 3 및 4)을 도포한 실험자의 안면 피부에서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igure pat00012
[ 실시예 5: 실시예 3 및 4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의 제조]
95% 에탄올 8g에 폴리피로리돈 0.05g, 올레일알콜 0.1g,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 0.2g, 향료 0.2g,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0.1g, 소량의 산화방지제, 소량의 색소를 혼합용해 한다.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0.05g(또는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0.05g), 글리세린 5g을 정제수 85.33g에 용해한 것에 상기 혼합액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수를 얻었다.
[ 실시예 6: 실시예 3 및 4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유액의 제조]
세틸알콜 1.2g, 스쿠알란 10g, 바세린 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2g, 글리세린모노에스테아레이드 1g, 폴리옥시에틸렌(20몰부가)모노올레이트 1g 및 향료 0.1g을 70℃에서 가열혼합용해하고,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0.5g (또는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0.5g), 디프로필렌글리콜 5g,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g, 트리에탄올아민 0.2g, 정제수 76.2g을 75℃로 가열해서 용해시킨다. 양자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후 냉각하여 수중유(O/W)형의 피부개선효과가 있는 유액을 얻었다.
[ 실시예 7: 실시예 3 및 4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또는 초자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한 미용액의 제조]
95% 에틸알콜 5g에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모노올레이트 1.2g, 키툴로오즈 0.3g, 히야론산나트륨 0.2g, 비타민 E-아세테이트 0.2g, 감초산 나트륨 0.2g,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0.1g, 실시예 3에서 수득한 사초인삼잎 추출물 1g (또는 실시예 4에서 수득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1g) 및 적량의 색소를 혼합하여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삼잎을 사초법으로 포제한 사초인삼잎 또는 초자법으로 포제한 초자인삼잎으로 가공함으로써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 추출물과 기존의 포제방법으로 가공한 인삼잎탄 추출물보다 식물성 항산화물질인 페놀성 화합물의 추출율이 현저히 높아 더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은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과 인삼잎탄 추출물에 비해 MMP 저해 효과,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 발현 조절효과, 그리고 잔주름 개선 효과 등의 항노화 효과가 더 우수하다.
또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로 가공하였을 때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과 인삼잎탄 추출물에 비해 티로시나제 저해효과,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 그리고 피부색을 희게 하는 미백 효과가 더 높아진다.
또한 기존의 단순한 인삼잎추출물은 외관 색상이 짙은 녹색이었으나 초자인삼잎 추출물과 사초인삼잎 추출물로 가공하였을 때는 색상이 황색으로 옅어져 화장품에 투입하였을 때 전체 화장품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초자인삼잎 추출물 또는 사초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수, 크림, 유액, 팩, 파우더 등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와 피부 잔주름 개선과 같은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인삼잎을 해사 또는 초산과 혼합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100℃ 이상 및 160℃ 이하의 온도범위에서 교반 가열한 후 냉각시켜 포제된 인삼잎을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포제된 인삼잎에 추출용매를 투입하여 환류추출한 후 감압여과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에서 형성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된 인삼잎 추출물을 얻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의해 제조된 인삼잎추출물을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중량% 이상 및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83019A 2014-07-03 2014-07-03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19A KR20160004568A (ko) 2014-07-03 2014-07-03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201510232365.1A CN105267268B (zh) 2014-07-03 2015-05-08 人参叶提取物制造方法及包含其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019A KR20160004568A (ko) 2014-07-03 2014-07-03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775A Division KR101711002B1 (ko) 2016-11-21 2016-11-21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68A true KR20160004568A (ko) 2016-01-13

Family

ID=5513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019A KR20160004568A (ko) 2014-07-03 2014-07-03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4568A (ko)
CN (1) CN105267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0551A (zh) * 2014-02-28 2015-09-02 上海中医药大学 一种关于黄嘌呤氧化酶抑制剂及自由基清除剂的高通量筛选方法
CN106072628A (zh) * 2016-06-08 2016-11-09 长春师范大学 一种具有抗氧化活性的保健食品的制备方法
CN106727018B (zh) * 2017-01-09 2020-07-24 江苏康缘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人参提取物的提取方法
CN113116778B (zh) * 2021-04-16 2022-03-08 广州中草世家化妆品有限公司 一种人参提取液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CN114452242A (zh) * 2022-03-23 2022-05-10 朱建国 一种三叶青为主料的养颜面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52564A1 (en) * 2003-08-18 2005-03-07 Yuyu Inc. A ginseng preparation using vinegar and process for thereof
KR101819727B1 (ko) * 2010-02-26 2018-01-17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이용한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70726B1 (ko) * 2010-06-18 2017-08-24 (주)올데이즈 인삼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노화, 주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02488733B (zh) * 2011-12-30 2013-05-15 吉林人参研究院 一种促进人参、西洋参皂苷转化的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7268A (zh) 2016-01-27
CN105267268B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980B1 (ko) 구기자 나무가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0824595B1 (ko) 곰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1002B1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4568A (ko) 인삼잎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060108567A (ko) 감자 추출물 및/또는 육쪽 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669362B1 (ko) 포제를 이용한 권백추출물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050110149A (ko) 마가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50065256A (ko) 광나무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66857B1 (ko) 약콩유래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4531A (ko) 옥잠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29740A (ko) 온주 밀감 과피 추출물의 분획물 및 그것의 용도
KR10141599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6533B1 (ko) 불가리안 로즈오일 및 바위돌꽃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101893824B1 (ko) 트리텔레이아 익시오이디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7803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60012805A (ko) 산마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