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699A -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 Google Patents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699A
KR20100105699A KR1020107015894A KR20107015894A KR20100105699A KR 20100105699 A KR20100105699 A KR 20100105699A KR 1020107015894 A KR1020107015894 A KR 1020107015894A KR 20107015894 A KR20107015894 A KR 20107015894A KR 20100105699 A KR20100105699 A KR 2010010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ttle material
moving
roller
scribe line
roll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642B1 (ko
Inventor
야스토모 오카지마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1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with preliminary treatment, e.g. weakening by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17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using mov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5/00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 B28D5/0005Fine working of gems, jewels, crystals, e.g. of semiconductor material; apparatus or devices therefor by breaking, e.g. dicing
    • B28D5/0052Mean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during 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취성 재료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할 수 있고, 특히 스크라이브 라인과 블레이드와의 위치 맞춤, 위치 보정 등을 행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브레이크할 수 있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을 제공한다. 브레이크 대상인 취성 재료(11)의 폭은 이동 롤러(13, 14)의 취성 재료(11)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취성 재료(11)의 스크라이브 라인(18)은 이동 롤러(13, 14)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취성 재료(11)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 롤러(15, 15)를 이동 롤러(13, 14)가 취성 재료(11)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구비하고, 취성 재료(11)가 복수의 이동 롤러(13, 14)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가압 롤러(15, 15)를 취성 재료(11)측으로 눌러내린다.

Description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BRITTLE MATERIAL BREAKING APPARATUS AND BRITTLE MATERIAL BREAKING METHOD}
본 발명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이동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유리판과 같은 취성 재료라도 연속적으로 이동시켜 취성 재료의 측방 부분을 브레이크할 수 있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 등의 판형상의 취성 재료에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후, 취성 재료에 소정의 가중을 부하함으로써 취성 재료를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서보 모터 등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하는 블레이드를 상하운동시켜,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유리판과 같은 취성 재료를 크랙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또한 솜씨 좋게 절단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취성 재료는 슬라이드 테이블에 의해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정지시키고, 고정한 상태에서 블레이드를 하방으로 구동함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된다.
일본 특허 공개 2007-277032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취성 재료를 브레이크하는 시점에서 한번 정지시켜 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브레이크할 수 없는 점에서 브레이크해야 할 유리판의 매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브레이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정확히 브레이크하기 위해서는 스크라이브 라인과 블레이드의 위치 맞춤을 정확히 행할 필요가 있어, 카메라 등의 위치 맞춤 센서를 별도 설치함으로써 위치의 보정을 행하는 등, 장치 전체의 기구가 복잡해지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취성 재료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브레이크할 수 있고, 특히 스크라이브 라인과 블레이드의 위치 맞춤, 위치 보정 등을 행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브레이크할 수 있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는, 취성 재료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복수의 이동 롤러를 구비하고, 이 복수의 이동 롤러가 취성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이동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취성 재료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취성 재료의 폭은 상기 이동 롤러의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이동 롤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롤러를, 상기 이동 롤러가 상기 취성 재료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서 상기 취성 재료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취성 재료가 상기 복수의 이동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가 상기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는, 제1 또는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가압 롤러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4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은, 취성 재료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복수의 이동 롤러가 취성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이동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취성 재료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으로서, 상기 취성 재료의 폭은 상기 이동 롤러의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이동 롤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며,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이동 롤러가 상기 취성 재료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서 상기 취성 재료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취성 재료가 상기 복수의 이동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 및 제4 발명에서는, 취성 재료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복수의 이동 롤러가 취성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동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취성 재료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한다. 취성 재료의 폭은 이동 롤러의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도록 되어 있고, 취성 재료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이동 롤러의 폭을 넘은 취성 재료의 외측의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이동 롤러가 상기 취성 재료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서 상기 취성 재료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취성 재료가 복수의 이동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가압 롤러를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린다. 가압 롤러를 눌러내림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의 외측의 양단 부분에 확실하게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어, 정밀한 위치 맞춤을 하지 않고 간단한 기구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확실하게 브레이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취성 재료를 정지시키지 않고 브레이크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발명에서는,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가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 가압 롤러를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린다. 취성 재료가 존재하고 있는 동안에만, 가압 롤러에 걸려 돌아가는 벨트가 눌러내려짐으로써 취성 재료의 양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확실하게 브레이크할 수 있다.
제3 발명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은 취성 재료의 가압 롤러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압 롤러에 의한 압력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확실하게 브레이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압 롤러를 눌러내림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의 외측의 양단 부분에 확실하게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어, 정밀한 위치 맞춤을 행하는 일 없이 간단한 기구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확실하게 브레이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취성 재료를 정지시키지 않고 브레이크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이동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 상태를 도시한 유리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유리판과 상부 이동 롤러, 하부 이동 롤러, 가압 롤러 각각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유리판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가압 롤러를 눌러내린 경우의 유리판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5는 평벨트를 사용한 경우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브레이크의 대상이 되는 취성 재료는 유리판이며, 사전에 주지의 스크라이브 라인 형성 장치 등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이동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는 판형상의 취성 재료, 예를 들어 유리판(11)을 화살표(12)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유리판(11)은 한 쌍의 상부 이동 롤러(13) 및 하부 이동 롤러(14)에 의해 복수 개소에서 양면으로부터 협지되어, 복수의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의 회전에 의해 이동한다.
유리판(11)에는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2개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스크라이브 라인의 형성 상태를 도시한 유리판(11)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11)의 양단 부분에 이동 방향(12)과 대략 평행한 2개의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가 유리판(11)을 브레이크하기 위한 가압 롤러(15, 15)가 유리판(11)의 진행 방향의 측방이며, 스크라이브 라인(18, 18)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압 롤러(15, 15)는 복수의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유리판(11)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은 유리판(11)과 상부 이동 롤러(13, 13, …), 하부 이동 롤러(14, 14, …), 가압 롤러(15, 15) 각각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유리판(11)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11)은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에 의해 상하로부터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판(11)의 상면에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이 유리판(11)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은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에 의해 상하로부터 협지되어 있는 위치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가압 롤러(15, 15)는 스크라이브 라인(18, 18)보다 더욱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렸을 경우, 유리판(11)의 양단 부분에는 외측을 눌러내리는 방향으로의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고,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을 따라 유리판(11)을 브레이크할 수 있다.
도 4는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렸을 경우의 유리판(11)의 이동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림으로써(화살표 방향), 유리판(11)은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을 따라 브레이크되고, 브레이크된 절편은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리는 타이밍은 적어도 유리판(11)의 선단 부분이 가압 롤러(15, 1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눌러내리고, 유리판(11)의 후단 부분이 가압 롤러(15, 15)를 통과한 시점에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면 된다. 가압 롤러(15, 15)의 상하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유리판(11)이 통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21), 가압 롤러(15, 15)를 상하운동시키는 액추에이터(22), 및 센서(21)에서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22)로 상하운동의 지시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 장치(23)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21)는 예를 들어 광전 센서이며, 유리판(11)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는 회귀형 광전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21)는 유리판(11)이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에 의해 상하로부터 협지된 상태가 된 시점에서 유리판(11)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보다 유리판(11)의 진행 방향측이며, 유리판(11)의 폭의 대략 중앙에 배열설치한다. 또, 가압 롤러(15, 15)의 상하운동 중심과, 센서(21)가 검출하는 위치가 대략 일치하는 위치, 또는 센서(21)가 검출하는 위치 쪽이 유리판의 진행 방향의 앞의 위치에 배열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센서(21)가 유리판(11)의 존재를 검출한 시점에서 유리판(11)은 반드시 가압 롤러(15, 15)의 바로 아래에 일부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21)가 유리판(11)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 제어 장치(23)는 액추에이터(22)에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리도록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액추에이터(22)는 서보 모터 등이며, 지시 신호에 따라 가압 롤러(15, 15)를 소정량 눌러내린다.
가압 롤러(15, 15)가 눌러내려짐으로써 도 4의 상태가 되고, 가압 롤러(15, 15)가 존재하는 위치까지 유리판(11)이 이동된 시점에서 유리판(11)은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된다. 그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유리판(11)이 이동됨으로써 특별히 위치 맞춤 등의 복잡한 동작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차례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된다.
센서(21)가 유리판(11)이 존재하지 않음을 검출한 경우, 제어 장치(23)는 액추에이터(22)에 가압 롤러(15, 15)를 끌어올리도록 지시 신호를 송신한다. 액추에이터(22)는 지시 신호에 따라 가압 롤러(15, 15)를 원래의 위치까지 끌어올린다. 즉, 센서(21)가 유리판(11)이 존재하지 않음을 검출한 시점에서는 이미 브레이크 공정은 완료되어 있으며, 다음 유리판(11)이 이동될 때까지 가압 롤러(15, 15)를 끌어올려 둠으로써 연속적으로 브레이크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로 되돌아가 브레이크 공정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위해, 가압 롤러(15, 15)와 각각 한 쌍으로 된 지지점 롤러(16, 16)를 설치하고, 가압 롤러(15)와 지지점 롤러(16) 사이를 평벨트(17) 등으로 접속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유리판(1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를 서로 평벨트(19, 20) 등으로 접속해도 된다.
도 5는 평벨트를 사용한 경우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하부 이동 롤러(14, 14, …) 및 평벨트(20)는 생략하고 있지만, 유리판(11)은 상부 이동 롤러(13, 13, …) 및 하부 이동 롤러(14, 14, …)에 의해 걸려 돌아가고 있는 평벨트(19, 20)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1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유리판(11)이 도 1에 도시한 센서(21)에서 검출될 때까지, 가압 롤러(15, 15)와 각각 한 쌍으로 된 지지점 롤러(16, 16)에 걸려 돌아가고 있는 평벨트(17, 17)는 가압 롤러(15, 15)가 눌러내려지지 않고 있는 점에서 유리판(11)과는 접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센서(21)가 유리판(11)의 존재를 검출한 시점에서 가압 롤러(15, 15)가 눌러내려져, 평벨트(17, 17)는 지지점 롤러(16, 16)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유리판(11)에 대해서 비스듬히 눌러내려진다. 그리고, 유리판(11)의 양단 부분, 즉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외측의 부분을 이동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눌러내리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이 평벨트(17, 17)에 의해 유리판(11)의 양단 부분을 눌러내리도록 함으로써, 가압 롤러(15, 15)만으로 브레이크하는 경우의 굽힘 모멘트 뿐만아니라 전단력도 부여할 수 있어, 보다 확실하게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을 따라 브레이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압 롤러(15, 15)를 눌러내림으로써, 또는 평벨트(17, 17)를 눌러내림으로써,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의 외측의 양단 부분에 확실하게 굽힘 모멘트를 가할 수 있어, 또는 스크라이브 라인(18, 18)을 따라 전단력을 부여할 수 있어, 정밀한 위치 맞춤을 하지 않고 간단한 기구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확실하게 브레이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리판(11)을 정지시키지 않고 브레이크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취성 재료는 유리판(1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단하는 경우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그 후에 브레이크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분단을 행하는 취성 재료이면 그 종류를 불문한다. 또, 센서(21)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명한 유리판(11) 등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면 무엇이든지 좋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내이면 다종의 변형, 치환 등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1…유리판(취성 재료)
13…상부 이동 롤러
14…하부 이동 롤러
15…가압 롤러
18…스크라이브 라인
17, 19, 20…평벨트
21…센서

Claims (4)

  1. 취성 재료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복수의 이동 롤러를 구비하고,
    이 복수의 이동 롤러가 취성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이동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취성 재료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로서,
    상기 취성 재료의 폭은 상기 이동 롤러의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이동 롤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 롤러를, 상기 이동 롤러가 상기 취성 재료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서 상기 취성 재료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고,
    상기 취성 재료가 상기 복수의 이동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 센서가 상기 취성 재료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가압 롤러측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4. 취성 재료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복수의 이동 롤러가 취성 재료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이동 롤러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취성 재료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브레이크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으로서,
    상기 취성 재료의 폭은 상기 이동 롤러의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취성 재료의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은 상기 이동 롤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 상기 취성 재료의 진행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며,
    가압 롤러에 의해, 상기 이동 롤러가 상기 취성 재료에 접하는 위치의 외측의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일단 또는 양단 부분에서 상기 취성 재료에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취성 재료가 상기 복수의 이동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영역에 존재하는 동안에는, 상기 가압 롤러를 상기 취성 재료측으로 눌러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KR1020107015894A 2008-04-28 2009-04-27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KR101264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0148 2008-04-28
JP2008140148 2008-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699A true KR20100105699A (ko) 2010-09-29
KR101264642B1 KR101264642B1 (ko) 2013-05-24

Family

ID=4125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894A KR101264642B1 (ko) 2008-04-28 2009-04-27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93289B2 (ko)
KR (1) KR101264642B1 (ko)
CN (1) CN102015233B (ko)
TW (1) TWI430968B (ko)
WO (1) WO20091338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083A (ko) * 2012-06-18 2013-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취성판의 내구 시험 방법 및 취성판의 내구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4396A (ja) * 2011-01-12 2012-08-02 Shibuya Kogyo Co Ltd 脆性材料の割断装置
JP5767595B2 (ja) * 2012-02-23 2015-08-1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
KR20160086824A (ko) * 2013-11-15 2016-07-2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JP6689023B2 (ja) * 2014-08-28 2020-04-2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ブレーク装置
JP6471491B2 (ja) * 2014-12-24 2019-02-20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方法
JP6547556B2 (ja) * 2015-09-29 2019-07-24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基板の分断方法
TWI614198B (zh) * 2015-10-21 2018-02-11 裂片製程之設備及其方法
JP7058929B2 (ja) 2015-10-27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ロボット装置、制御方法、物品の製造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0368551B2 (en) * 2016-03-01 2019-08-06 General Mills, Inc. System and method for breaking sheets of frozen pizza into individual pieces
JP7162597B2 (ja) * 2017-01-27 2022-10-28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シートを分離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5061302A (zh) * 2022-06-30 2022-09-16 无锡尚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面板切割后的拉裂分离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9404B1 (ko) * 1968-11-30 1979-11-28
JPS5134936Y2 (ko) * 1971-06-23 1976-08-28
JPS52104950U (ko) * 1976-02-06 1977-08-10
JPS6054482A (ja) * 1983-09-05 1985-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基板の折割装置
CN101439927B (zh) * 2002-01-16 2011-03-02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脆材基板划刻器、处理机械、抛光装置及划刻和断开系统
KR100907462B1 (ko) * 2005-05-30 2009-07-13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취성재료 기판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083A (ko) * 2012-06-18 2013-12-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취성판의 내구 시험 방법 및 취성판의 내구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5233A (zh) 2011-04-13
TWI430968B (zh) 2014-03-21
JPWO2009133832A1 (ja) 2011-09-01
JP5193289B2 (ja) 2013-05-08
TW200948729A (en) 2009-12-01
CN102015233B (zh) 2014-06-04
KR101264642B1 (ko) 2013-05-24
WO2009133832A1 (ja)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642B1 (ko) 취성 재료 브레이크 장치 및 취성 재료 브레이크 방법
JP6163341B2 (ja) ブレイク装置
US20030188954A1 (en) Device for turning piles of sheet-like material
CN108972610A (zh) 机械手臂夹爪和机械手
JP2009018436A (ja) フィンガージョインター
CN109070378B (zh) 折叠盒子的附接区的破裂装置及包括该破裂装置的制造设备
US4907942A (en) Arrangement for separating paper sheet pads from a stack
JP2009262520A (ja)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KR102365098B1 (ko) 기판 가공 장치
JP5171281B2 (ja) 切断片搬出方法及び装置
CN107107368B (zh) 用于片材元件的横向定位装置
CN215700072U (zh) 一种板材齿接机的板材输送装置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JP4418524B1 (ja) スプライサ装置
JP2009263200A (ja) 脆性材料スクライブ装置及び脆性材料スクライブ方法
JP6289949B2 (ja) ブレイク装置
CN203793748U (zh) 一种盒托输送联动装置
JP3592612B2 (ja) サンドイッチの切断装置
KR102365097B1 (ko) 기판 가공 장치
JP2003048194A (ja) ケーブル切断装置
JP2005075601A (ja) センタリング装置
KR101133971B1 (ko) 단판의 적층방법 및 장치
JPS6338027Y2 (ko)
CN108147081B (zh) 金属板翻转用辅助装置
WO2015108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ngle feeding of elongate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