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337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337A
KR20100105337A KR1020090109595A KR20090109595A KR20100105337A KR 20100105337 A KR20100105337 A KR 20100105337A KR 1020090109595 A KR1020090109595 A KR 1020090109595A KR 20090109595 A KR20090109595 A KR 20090109595A KR 20100105337 A KR20100105337 A KR 20100105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conductive wire
imag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813B1 (ko
Inventor
히로유키 사토
아츠나 사이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9Structural features of the multicolour image form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기기에의 고압의 급전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상 유지체(3)를 포함한 작상(作像) 수단(2)을, 그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는 동시에, 고정 설치되는 작상 하우징(20)과, 상 유지체(3)에 대하여 압접/이간 가능하게 형성된 전사 수단(7)과, 미리 정해진 고전압을 급전하는 고압 급전 수단(HV)을 구비하고, 작상 하우징(20)의 외부 표면에는, 고압 급전 수단(HV)으로부터 상기 작상 수단(2) 및 전사 수단(7)으로의 고압 급전을 가능하게 하는 급전 경로(PL)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109595
작상 하우징, 전사 수단, 고압 급전 수단, 급전 경로, 화상 형성 장치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방식 등을 이용한 복사기나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감광 드럼이나 대전 장치, 현상 장치와 같은 교환 부품을 일체로 유닛화하여,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에는, 고압 유닛과 대전 장치 및 현상 장치를 접속하는 고압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을 행하지 않는 부품인 고압 유닛과,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을 행하는 소모(교환) 부품인 화상 형성 유닛을 별체로 구성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화상 형성 유닛을 장착할 때의 인입 수단을 장치 본체에 설치한 화상 형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평08-12933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개평10-254328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구성 기기에의 고압의 급전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 가능함과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적어도 상 유지체를 포함한 작상(作像) 수단을, 그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는 동시에, 고정 설치되는 작상 하우징과,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압접/이간 가능하게 형성된 전사 수단과, 미리 정해진 고전압을 급전하는 고압 급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상 하우징의 외(外) 표면에는, 상기 고압 급전 수단으로부터 상기 작상 수단 및 전사 수단으로의 고압 급전을 가능하게 하는 급전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급전 경로는, 상기 작상 하우징의 외 표면을 따라서 배설(配設)된 도전선재(導電線材)에 의해 형성되고, 그 도전선재는, 상기 전사 수단의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한 압접 상태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힘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상 하우징은, 상기 전사 수단의 상 유지체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도전선재는, 상기 전사 수단을 위치 결정부에 가압하도록, 상기 도전선재의 선단에 의해 상기 전사 수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재는, 그 도전선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 근방의 작상 하우징에 설치된 지점에 감아 돌리게 하여 상기 전사 수단을 위치 결정부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급전 수단과 상기 작상 수단의 접속 방향과, 상기 전사 수단의 상기 작상 수단에 대한 압접 방향이,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고압 급전 수단, 작상 수단 및 전사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작상 하우징의 표면에는, 급전 경로용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선재는, 상기 홈부 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급전 경로를 작상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서, 고압의 급전 경로를 용이하게 형성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 또는 비용 차감에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사 수단을 상 유지체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급전 경로를 형성하는 도전선재에 의해 용이하게 가압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전선재로부터 전사 수단으로 가압시키는 힘을 안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전사 수단을 상 유지체에 대하여 접리시킬 때, 고압 급전 수단과 작상 수단의 안정한 접촉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전선재의 불측의 이동에 따른 리크(leak)를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한 급전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의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2 ~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프린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전사롤이 장착되어 있는 잼 처리용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확대도이다.
도 1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프린터(1)는, 중공(中空) 대략 직방체 형상의 장치 하우징(100)을 구비하고, 이 장치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작상(作像) 수단으로서의 프로세스 유닛(2), 전사 수 단으로서의 전사롤(7), 고압 급전 수단으로서의 고압 유닛(HV), 급지 트레이(9) 및 정착 장치(11) 등이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한, 장치 하우징(100)의 배면 측에는, 용지 막힘 등의 때의 소위 잼 처리를 위해, 회전 지점(10OC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잼 처리용 커버(10OC)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잼 처리용 커버(10OC)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조작 버튼(10OP)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버튼(10OP)을 가압(밀어 내림)함으로써, 커버(10OC)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잼 처리용 커버(100C)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스위치와 연동하고 있고, 커버(1OOC)를 개방하면, 장치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오프(off)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프린터(1)에서는, 도 5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100)의 배면 측 내부(잼 처리용 커버(100C)의 내측)에, 상기 프로세스 유닛(2)의 축 방향 양단부를 덮도록 테두리 형상(문형)의 이너 프레임(inner frame)(11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조작자인 유저에 의한 프로세스 유닛(2)의 착탈 등의 어프로치를 할 수 없도록, 이러한 프로세스 유닛(2)은, 이 이너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고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프린터(1)에서는, 예를 들면, 프로세스 유닛(2)의 교환이나 프로세스 유닛(2) 내의 구성 기기의 보수 등은, 전문의 보수원에 의한 보수 작업을 기도하고 있고, 전문의 보수원이 유저 측으로 가서 교환이나 보수 등을 행하던지, 프린터(1)를 유저로부터 주고받아서 교환이 나 보수 등을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2)을 구성하는 감광 드럼(3)은, 접지 처리되는 금속제 원통의 외주면에 OPC 등의 광 도전성 재료를 피복하여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화살표 방향(본 예에서는, 반시계 회전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광 드럼(3)의 표면은, 대전롤(4)에 의해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 된 후, 노광 장치(5)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노광이 시행되어, 화상 데이터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노광 장치(5)에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접속 기기로부터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노광 장치(5)로서는, LED 어레이, 반도체 레이저 주사 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유닛(2) 내의 구성 기기에 소정의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 유닛(HV)은 프로세스 유닛(2)과 대향하도록 장치 전면 측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부호(TC)는, 현상 장치(6)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수용 용기로서의 토너 카트리지이며, 프린터(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감광 드럼(3)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6)에 의해 현상화되어서 토너 상이 되고, 그 토너 상은, 전사 수단으로서의 전사롤(7)에 의해 기록 매체로서의 기록 용지(8) 상에 전사된다. 이 기록 용지(8)는, 급지 트레이(9)로부터 소정의 사이즈 및 소정의 재질의 것이, 한 쌍의 급지롤(10)에 의해 1매씩 분리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도시되지 않은 레지스트롤을 통하여, 감광 드럼(3)의 전사 위치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반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사롤(7)은, 도 4에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피복된 도전성(금속제)의 회전축(7s)을 갖고, 감광 드럼(3)의 회전에 종동하여 따라 돌도록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전술한 잼 처리용 커버(100C)에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롤(7)은, 이러한 잼 처리용 커버(100C)의 개폐 조작에 따라,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압접/이간이 가능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전사롤(7)은, 도 6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잼 처리용 커버(100C)의 조작 버튼(100P)과 연동하고, 이러한 조작 버튼(100P)의 조작 방향(본 예에서는, 도면 중, 하(下) 방향)을 따라서, 커버(100C)의 대향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가동부(100M)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이 가동부(100M)의 하부에는, 이러한 가동부(100M)를 역 방향(본 예에서는, 도면 중, 상(上) 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S)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그 상세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잼 처리용 커버(10OC)를 열 때에는, 조작자가 조작 버튼(100P)을 가압(밀어 내림)하는 것에 의해, 전사롤(7)은 감광 드럼(3)과 대향 접촉하고 있는 소정의 압접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여 감광 드럼(3)으로부터 이간하고, 잼 처리용 커버(100C)를 닫을 때에는, 압축 스프링(S)에 의해 가압된 전사롤(7)이 상방(上方)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압접 위치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너 상이 전사된 기록 용지(8)는, 감광 드럼(3)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정착 장치(11)에 반송되고, 그 정착 장치(11)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미정착 토너 상이 기록 용지(8) 상에 정착되어서, 배출롤(12)에 의해 프린터 본 체(1)의 상단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13) 상에, 화상 면을 아래로 한 상태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 용지(8) 상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3)의 표면에 잔류한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장치(15)의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작상 수단인 프로세스 유닛(2)의 구성에 대해서, 도 7 ~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잼 처리용 커버(100C)의 전사롤 유지부(20F)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2)은, 개구부를 갖는 가로 길이의 중공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닛 케이스(20)를 구비하고, 이 유닛 케이스(20)의 개구부에는, 상 유지체로서의 감광 드럼(3)이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는 동시에, 유닛 케이스(20)의 전면 측(개구부 측이며, 본 예에서는, 장치 하우징(100)의 배면 측)의 축 방향 양단부에는, 잼 처리용 커버(100C)에 장착된 전사롤(7)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전사롤(7)의 회전축(7s)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하방을 향하는 갈코리(hook) 형상(하방을 향해 L자 형상)의 전사롤 유지부(20F)가, 유닛 케이스(2O)와 일체로 유닛 케이스(2O)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사롤 유지부(20F)는, 도 10에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선단부(20Ft)와, 이 선단부(20Ft)의 후방(감광 드 럼(3) 측)에 설치되어서, 전사롤(7)의 회전축(7s)을 수용하는 대략 사각형 형상의 위치 결정부(20Fp)를 구비하고 있다. 사다리꼴 형상의 선단부(20Ft)에는, 커버(100C) 측으로부터 감광 드럼(3) 측을 향해서 하방을 향해 경사지는 사면(20Fs)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사면(20Fs)은, 잼 처리용 커버(100C)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방향으로 회전시킨 때에, 그 커버(100C)와 일체로 장착된 전사롤(7)과 접촉하도록(전사롤(7)의 이동 궤적과 사면(20Fs)이 교차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사롤(7)은, 잼 처리용 커버(100C)의 폐쇄 동작(본 예에서는, 도면 중, 반 시계방향 방향의 회전)에 따라, 전사롤 유지부(20F)의 하방을 향하는 사면(20Fs)과 접촉하고, 이러한 사면(20Fs)의 경사를 따라, 압축 스프링(S)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사면(20Fs)의 하단(20Ft0)을 극복한 시점에서,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사롤 유지부(20F)의 위치 결정부(20Fp)로 인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전사롤 유지부(20F)의 위치 결정부(20Fp)는, 수평면(20Fph)과 수직면(20Fpv)으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전사롤(7)의 회전축(7s)의 축 방향 양단부의 주면이 이것들의 수평면(20Fph) 및 수직면(20Fpv)과 접촉하도록 전사롤(7)을 배치함으로써, 감광 드럼(3)에 대한 소정의 압접력이 얻어지도록 전사롤(7)의 유지 위치(이하, 압접 위치라 칭함)가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프린터(1)에서는, 전사롤(7)의 양단에 감광 드럼(3)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트랙킹롤을 이용하여 그 트랙킹롤을 감광 드럼(3)에 압접시키는 압접력을 부여하기 위한 가압 부재를 커버(100C) 측에 설치하지 않고, 전술한 전사롤(7)의 위치 결정만으로 감광 드럼(3)에 대한 소정의 압접력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잼 처리용 커버(100C)의 간이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잼 처리용 커버(100C)를 개방할 때에는, 조작 버튼(100P)을 밀어 내림으로써, 전사롤(7)이, 전사롤 유지부(20F)의 하단(20FtO)을 극복한 시점에서, 잼 처리용 커버(100C)의 개방 방향(본 예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해 진다.
또한, 도 8에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고압 급전 수단으로서의 고압 유닛(HV)은, 세로 길이의 반(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닛 케이스(20)의 배면 측(개구부의 반대 측에 있고, 본 예에서는, 장치 하우징(100)의 전면 측)과 대향하도록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유닛 케이스(20)의 내부에는, 감광 드럼(3)의 주면을 따라, 대전롤(4), 노광 장치(5), 클리닝 블레이드(15) 등이 배설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2)은, 감광 드럼(3)과, 대전 장치(4)와, 클리닝 장치(15)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 장치(6)는, 유닛 케이스(20)의 하부에 장착된 별체의 현상 하우징(6H)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유닛 케이스(20)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현상 장치(6)는, 감광 드럼(3) 측에 설치된 개구부에, 현상제 유지체로서의 현상롤(6R)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고, 그 현상롤(6R)의 배면 측에는, 현상제를 교반(攪拌)하면서 현상롤(6R)에 공급하는 공급 패들(6a), 공급 오거(auger)(6b) 및 교반 오거(6c)와 같은 현상제의 교반 반송 수단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제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1 성분의 현상제로서도,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 성분의 현상제로서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2 성분 현상제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대전 장치(4), 현상 장치(6)(의 현상롤(6R)) 및 전사 장치(7)에는, 작상(화상 형성) 시가 되면, 대전용 전압, 현상용 전압, 전사용 전압의 소정의 고전압이 고압 유닛(HV)으로부터 고압 급전 경로를 통하여 소정의 타이밍으로 공급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고압 급전 경로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도 11 ~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고압 급전 경로(PL)는, 작상 하우징인 유닛 케이스(20)의 외 표면에 배설된 도전선재(WR)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가장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압 유닛(HV)과 대향하는 유닛 케이스(20)의 배면에는, 일부에 배선용의 절결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돌기부(20H)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중공 원통형의 돌기부(20H)의 내부에는, 도전선재(WR)를 코일 형상으로 감아 돌려서 형성한 접속 단자(2OT)가 배설되어 있다. 이 코일 형상의 접속 단자(20T)는, 그 선단이 중공 원통 형상의 돌기부(20H)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접속 단자(2OT)와, 고압 유닛(HV) 측에 설치된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극 단자를 접촉시킴(접속함)으로써, 도전선재(WR)에 소정의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도 14 참조). 본 실시예에서, 유닛 케이스(20)의 접속 단자(20T)와 고압 유닛(HV)은, 전사롤(7)의 압접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고압 유닛(HV)이 배설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전사롤(7)을 잼 처리용 커버(100C)와 함께,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접리시킬 때(특히, 전사롤(7)을 감광 드럼(3)에 압접시킬 때), 접촉 불량 등의 요인이 되는 고압 유닛(HV)에 대한 프로세스 유닛(2)의 접속 단자(20T)의 위치 어긋남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여기에서, 접속 단자(20Ta)는, 대전 장치(4)에 인가하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대전롤용 접속 단자이며, 접속 단자(20Tb)는, 전사롤(7)에 인가하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전사롤용 접속 단자이다.
그리고, 각 접속 단자(20Ta, 20Tb)로부터 대응하는 급전 대상 기기의 근방까지 유닛 케이스(20)의 외측 표면을 따라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PLa, PL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TDp)는, 유닛 케이스(20)의 하부에 장착된 별체의 현상 하우징(6H)에 설치된, 현상롤(6R)용의 급전 단자이며, 부호(TDn)는, 감광 드럼(3)에 대한 현상롤(6R)의 압접력을 부여하기 위한 니프(nucleus initialization program)압용 스프링 단자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 니프압용 스프링 단자(TDn)는, 감광 드럼(3)에 대한 압접력을 축 방향에 균등하게 부여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축 방향 타단부에도 동일한 니프압용 스프링 단자(TDn)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대전 장치(4)에의 급전을 가능하게 하는 대전 장치(4)용의 급전 경로(PLa)는, 대응하는 도전선재(WRa)에 의해, 유닛 케이스(20)의 배면에서 코일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접속 단자(20Ta)로부터 대전 장치(4) 근방까지 유닛 케이스(20)의 외 표면(본 예에서는, 배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배선)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관한 전사 장치(7)용의 급전 경로(PLb)는, 대응하는 도전선재(WRb)에 의해, 유닛 케이스(20)의 배면에서 코일 형상으로 일체 형성된 접속 단자(20Tb)로부터 감광 드럼(3)의 근방까지 유닛 케이스(20)의 외 표면(본 예에서는, 배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배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유닛 케이스(20)에는, 감광 드럼(3) 근방의 측면(본 예에서는, 감광 드럼(3)의 회전축 하방의 측면)에,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원통 형상의 지점(20P)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전선재(WRb)는, 유닛 케이스(20)의 측면으로부터 그 지점(20P)까지, 유닛 케이스(20)의 표면을 따라 배설된 후, 이러한 지점(20P)에서 감아 돌려지고, 그 후, 도전선재(WRb)의 선단부(WRt)가 전사롤(7)의 도전성의 회전축(7s)과 그 하방에서 접촉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전선재(WRb)는, 그 선단부(WRt)가 전사롤(7)을 끼워서, 유닛 케이스(20)의 전사롤 유지부(2OF)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전사롤(7)을 유닛 케이스(20)의 위치 결정부(20Fp) 내의 소정의 압접 위치에 배치하는 방향(도 13에서, 수평면(20Fph)을 향하는 방향, 수직면(20Fpv)을 향하는 방향, 또는 수평면(20Fph)과 수직면(20Fpv)의 교점을 향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가 압하는 비튼 스프링을 형성하도록, 지점(20P)에 감아 돌려져 있다. 이렇게, 도전선재(WR)를 유닛 케이스(20)의 지점(20P) 주위에 감아 돌려서 비튼 스프링을 형성함으로써, 간이한 구성으로 비교적 안정한 가압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감광 드럼(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전사롤 유지부(20F)를 전사롤(7)의 하류 측에 설치함(전사롤(7)을 끼워서, 위치 결정부(20Fp) 내의 압접 위치와 도전선재(WRb)의 선단부(WRt)를 대향 배치함)으로써, 감광 드럼(3)의 회전에 따른 전사롤(7)의 위치 결정부(20Fp)로부터의 탈락이나 위치 변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롤(7)을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축 방향을 따라서 균등하게 압접 지지하도록 한 관점으로부터,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닛 케이스(20)의 반대 측의 측면에도, 동일한 지점(20P)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지점(20P)에 동일한 선재철강(WR)을 감아 돌려서, 그 선단부(WRt)에 의해, 전사롤(7)의 축 방향 타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유닛 케이스(20)에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전 경로(PL)를 형성하는 유닛 케이스(20)의 표면에, 이러한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격벽(W)이 형성되어 있고, 각 도전선재(WR)는, 이 격벽(W) 사이에 형성된 홈부(D) 내에 배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진동 등에 의한 도전선재(WR)의 이동에 따른 주위의 구성 부재에의 리크(leak) 등의 불량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격벽(W)의 일부는, 유닛 케이스(20)의 강도를 확보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유닛 케이스(20)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했 던 벽을 이용함으로써 유닛 케이스(20)의 외 가장자리를 크게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모든 격벽(W)이 유닛 케이스(20)의 강도를 확보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고, 리크(leak) 등의 불량 때문에 추가된 격벽(W)이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리크(leak) 등의 불량 때문에 격벽(W)의 높이를 높게 해도 좋지만, 격벽(W)의 높이를 높게 하는 장소는 최소한으로 두는 것이 유닛 케이스(20)의 외 가장자리를 크게 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양호하다.
이렇게 구성한 프린터(1)에서는, 고전압의 급전 경로를 구성하는 도전선재(WR)를 급전 대상이 되는 구성 기기의 근방까지, 유닛 케이스(20)의 외 표면을 따라서 임의로 배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와 같이 유닛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압 급전 경로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감광 드럼(3), 대전롤(4), 현상롤(6R), 토너 반송 부재와 같은 회전체의 회전축이나, 토너 수용부 등의 구성 부재를 회피하여 급전 경로를 배설하거나, 대전롤(4)이나 현상롤(6R)과 같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재나 감광 드럼(3)과 같이 접지되는 부재로부터의 이격을 고려해서 복잡한 급전 경로를 배설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급전 경로의 설정의 자유도를 대폭 증대시킴과 동시에, 이러한 급전 경로를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종래와 같이 유닛 케이스(20)의 내부에 고압 급전 경로를 설치하는 구성에 비해, 대전롤(4)이나 현상롤(6R)과 같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부재나 감광 드럼(3)과 같이 접지되는 부재로부터의 이격을 고려하여 프로세스 유닛(2)의 내부 공간을 여분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에 따라, 유닛 케이스(20) 내의 구성 부재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면서 프로세스 유닛(2)의 소형화가 가능해 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PL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잼 처리용 커버(1O0C)와 연동하여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접리 가능하게 구성한 전사롤(7)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소정의 고전압을 공급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지점(20P)에서 감아 돌려서 형성된 도전선재(WRb)의 선단부(WRt)에서, 전사롤(7)의 회전축(7s)을 축 방향 양단부에서,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감광 드럼(3)에 대하여 소정의 압접력을 부여하는 전사롤(7)의 소정의 위치를 안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즉, 본 실시예에 관한 도전선재(WRb)는, 전사롤(7)에 대한 급전 경로(PLb)로서 기능할뿐만 아니라, 유닛 케이스(20)의 전사롤 유지부(20F)와 맞물려서, 전사롤(7)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겸용하고, 부품수의 삭감에 따른, 소형화·비용 절감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추가적인 기능이며, 급전 경로(PLb)와 전사 롤 지지부(2OF) 만으로 유지할 필요는 없고, 다른 수단을 겸용시켜도 좋다. 다만, 전사롤(7)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방향과는 상반하는 방향(소정의 위치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방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전사롤(7)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 외의 수단을 강고(强固)하게 하거나 크게 하거나 할 필요가 생기는 형편상, 소형화·비용 절감에 반해 버린다.
또한, 전사롤(7)의 감광 드럼(3)에 대한 압접 방향과, 프로세스 유닛(2)의 접속 단자(20T)와, 고압 유닛(HV)과의 접속 방향을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전사롤(7)을 접리시킬 때에, 고압 유닛(HV)과 접속 단자(20T)의 위치 어긋남을 미연에 방지하고, 고압 유닛(HV)과 프로세스 유닛(2)의 안정한 접촉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 급전 경로(PL)로서, 대전롤(4), 전사롤(7)에의 급전 경로(PLa, PLb)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급전 경로(PL)에 의하면, 임의의 고전압 기기(예를 들면, 감광 드럼(3)을 제전(除電)시키는 제전 대전기, 감광 드럼(3)으로부터 전기적으로 토너를 제거시키는 클리너 등)를 유닛 케이스(20) 내에 추가한 경우에도, 이러한 고전압 기기에의 급전 경로(PL)를 용이하게 추가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설계의 자유도를 대폭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에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혹은 개량을 더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색의 흑백 프린터를 예시하여 본원 발명에 관한 급전 경로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당연히, 이러한 급전 경로를 복수의 화상 형성 유닛을 갖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배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잼 처리용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프로세스 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전사 롤이 장착되어 있는 잼 처리용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확대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 및 고압 유닛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프로세스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사 롤 유지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예에 관한 급전 경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2 : 프로세스 유닛
3 : 감광 드럼
4 : 대전롤
5 : 감광 장치
6 : 현상 장치
6H : 현상 하우징
6R : 현상롤
7 : 전사롤
7s : 회전축
8 : 기록 용지
9 : 급지 트레이
11 : 정착 장치
15 : 클리닝 장치
20 : 유닛 케이스
20F : 전사롤 유지부
20Fp : 위치 결정부
20Fph : 수평부
20Fpv : 수직부
20Fs : 사면
20Ft : 선단부
20Ft0 : 하단
20H : 공기부
20P : 지점
20T : 접속 단자
20Ta : 대전롤용 접속 단자
20Tb : 전사롤용 접속 단자
100 : 장치 하우징
100C : 잼 처리용 커버
100C0 : 회전 지점
100M : 가동부
100P : 조작 버튼
110 : 이너 프레임
D : 홈부
HV : 고압 유닛
PL : 급전 경로
PLa, PLb : 급전 경로
S : 압축 스프링
TC : 토너 카트리지
TDn : 니프압용 스프링 단자
TDp : 현상롤용 급전 단자
W : 격벽
WRa, WRa : 도전선재
WRt : 선단부

Claims (6)

  1. 적어도 상 유지체를 포함한 작상(作像) 수단을, 그 내부에 일체로 수용하는 동시에, 고정 설치되는 작상 하우징과,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하여 압접/이간 가능하게 형성된 전사 수단과,
    미리 정해진 고전압을 급전하는 고압 급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상 하우징의 외(外) 표면에는, 상기 고압 급전 수단으로부터 상기 작상 수단 및 전사 수단으로의 고압 급전을 가능하게 하는 급전 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경로는, 상기 작상 하우징의 외 표면을 따라서 배설(配設)된 도전선재(導電線材)에 의해 형성되고, 그 도전선재는, 상기 전사 수단의 상기 상 유지체에 대한 압접 상태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힘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상 하우징은, 상기 전사 수단의 상 유지체에 대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도전선재는, 상기 전사 수단을 위치 결정부에 가압하도록, 상기 도전선재의 선단에 의해 상기 전사 수단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선재는, 그 도전선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 근방의 작상 하우징에 설치된 지점에 감아 돌리게 하여 상기 전사 수단을 위치 결정부에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급전 수단과 상기 작상 수단의 접속 방향과, 상기 전사 수단의 상기 작상 수단에 대한 압접 방향이, 대략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상기 고압 급전 수단, 작상 수단 및 전사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상 하우징의 표면에는, 급전 경로용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선재는, 상기 홈부 내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90109595A 2009-03-18 2009-11-13 화상 형성 장치 KR101260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66881A JP4793463B2 (ja) 2009-03-18 2009-03-18 画像形成装置
JPJP-P-2009-066881 2009-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37A true KR20100105337A (ko) 2010-09-29
KR101260813B1 KR101260813B1 (ko) 2013-05-06

Family

ID=42236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595A KR101260813B1 (ko) 2009-03-18 2009-11-13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3854B2 (ko)
EP (1) EP2230569B1 (ko)
JP (1) JP4793463B2 (ko)
KR (1) KR101260813B1 (ko)
CN (1) CN101840173B (ko)
AU (1) AU2009233661B2 (ko)
TW (1) TWI421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398B2 (ja) * 2010-06-07 2014-10-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2027305A (ja) * 2010-07-26 2012-02-09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49556B2 (ja) * 2011-09-15 2016-0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16012065A (ja) * 2014-06-30 2016-0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線部材及び該電線部材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75723A (ja) * 2014-10-02 2016-05-12 株式会社リコー 衝撃緩和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52370B2 (ja) * 2014-10-07 2017-06-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6020409B (zh) * 2016-05-31 2018-09-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龙口市供电公司 一种供电设备
JP2018141865A (ja) * 2017-02-28 2018-09-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8424B2 (ja) * 2017-04-20 2018-11-0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87886B2 (ja) 2018-08-23 2022-1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290074B2 (ja) * 2019-06-20 2023-06-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50814A (ja) 2020-09-18 2022-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経路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給電経路ユニット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5059U (ko) * 1990-09-19 1992-05-12
JPH0519552A (ja) * 1991-07-15 1993-01-2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619229A (ja) * 1992-06-30 1994-01-28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7160171A (ja) * 1993-12-06 199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8129330A (ja) 1994-09-06 1996-05-21 Ricoh Co Ltd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294030B2 (ja) * 1994-12-01 2002-06-17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H10254328A (ja) 1997-03-10 1998-09-2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047505A (ja) * 1998-07-31 2000-02-18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の転写装置
JP2000293056A (ja) * 1999-04-06 2000-10-20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記録装置
JP3453538B2 (ja) * 1999-11-10 2003-10-06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6522845B2 (en) * 2000-10-12 2003-02-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detachably attachable thereto
JP3797295B2 (ja) 2002-08-09 2006-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着脱部材、現像器、プロセス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2120A (ja) * 2003-03-11 2004-09-30 Sharp Corp ベルト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WO2004081675A1 (ja) * 2003-03-11 2004-09-23 Sharp Kabushiki Kaisha ベルト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082275B2 (en) * 2004-03-19 2006-07-25 Lexmark International, Inc. Variable force biasing mechanism and electrical connection
JP2007155822A (ja) * 2005-11-30 2007-06-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760395B2 (ja) * 2006-01-19 2011-08-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217774A (ja) 2010-09-30
US8023854B2 (en) 2011-09-20
CN101840173B (zh) 2014-06-25
US20100239304A1 (en) 2010-09-23
TWI421653B (zh) 2014-01-01
AU2009233661B2 (en) 2011-11-10
EP2230569A3 (en) 2013-06-05
JP4793463B2 (ja) 2011-10-12
AU2009233661A1 (en) 2010-10-07
CN101840173A (zh) 2010-09-22
EP2230569A2 (en) 2010-09-22
EP2230569B1 (en) 2014-08-27
TW201035703A (en) 2010-10-01
KR101260813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81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5094823B2 (ja) 画像形成装置
CN101211134B (zh) 电摄影彩色成像设备
US87682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utilizing interior space
US8983335B2 (en) Process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1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cartridge supporter, and image forming unit
CN102063044B (zh) 电摄影成像设备和处理盒
JP4671182B2 (ja) 画像形成装置
JP5250139B2 (ja) 画像形成装置
JP6143059B2 (ja) 給電装置、被給電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889820B1 (ko)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7680434B2 (en)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aintenance method of developing cartridge
CN105068395B (zh) 成像设备和盒
CN103365156A (zh) 充电装置、图像形成结构以及图像形成装置
CN107132743B (zh) 图像形成设备
US20220088950A1 (en) Circuit board unit, attachment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0114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376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4999A (ja) トナー補給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70042741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