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653A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Google Patents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02653A KR20100102653A KR1020107015270A KR20107015270A KR20100102653A KR 20100102653 A KR20100102653 A KR 20100102653A KR 1020107015270 A KR1020107015270 A KR 1020107015270A KR 20107015270 A KR20107015270 A KR 20107015270A KR 20100102653 A KR20100102653 A KR 201001026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composition
- polyamide
- polymer
- inorganic filler
- additive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9000006259 organic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21317 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150000004760 silic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150000003467 sulfu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group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Chemical group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08000035484 Cellulit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06010049752 Peau d'orang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36232 cellulit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94 Masterbatch (MB)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4089 microcirc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BPQQTUXANYXVAA-UHFFFAOYSA-N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O-][Si]([O-])([O-])[O-] BPQQTUXANYXVA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297 Ray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group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OSGAYBCDTDRGGQ-UHFFFAOYSA-L calc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Ca+2].[O-]S([O-])(=O)=O OSGAYBCDTDRGG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1 nonwoven or kni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UBXAKNTVXQMEAG-UHFFFAOYSA-L stront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Sr+2].[O-]S([O-])(=O)=O UBXAKNTVXQMEAG-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301 cellulose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6218 cellulose propi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group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6243 acrylic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323 alumin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586 apa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VSIIXMUUUJUKCM-UHFFFAOYSA-D pentacalcium;fluoride;triphosphate Chemical compound [F-].[Ca+2].[Ca+2].[Ca+2].[Ca+2].[Ca+2].[O-]P([O-])([O-])=O.[O-]P([O-])([O-])=O.[O-]P([O-])([O-])=O VSIIXMUUUJUKCM-UHFFFAOYSA-D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964 ray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QEVHRUUCFGRFIF-MDEJGZGSSA-N reserpine Chemical compound O([C@H]1[C@@H]([C@H]([C@H]2C[C@@H]3C4=C(C5=CC=C(OC)C=C5N4)CCN3C[C@H]2C1)C(=O)OC)OC)C(=O)C1=CC(OC)=C(OC)C(OC)=C1 QEVHRUUCFGRFIF-MDEJGZGS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029 sod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00166 zirco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LEHFSLREWWMLPU-UHFFFAOYSA-B zirconium(4+);tetraphosphate Chemical group [Zr+4].[Zr+4].[Zr+4].[O-]P([O-])([O-])=O.[O-]P([O-])([O-])=O.[O-]P([O-])([O-])=O.[O-]P([O-])([O-])=O LEHFSLREWWMLPU-UHFFFAOYSA-B 0.000 claims description 2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claims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150000002902 organometal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JVTAAEKCZFNVCJ-UHFFFAOYSA-M Lactate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081 physical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394 skin elast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06010049565 Muscle fatigu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935974 Paralichthys dent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1296405 Tis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68 contro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074 melt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OZZOSDBXABUFO-UHFFFAOYSA-N tri(butan-2-yloxy)alumane Chemical class [Al+3].CCC(C)[O-].CCC(C)[O-].CCC(C)[O-] WOZZOSDBXABU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YOBOXHGSEJBUPB-MTOQALJVSA-N (z)-4-hydroxypent-3-en-2-one;zirconium Chemical compound [Zr].C\C(O)=C\C(C)=O.C\C(O)=C\C(C)=O.C\C(O)=C\C(C)=O.C\C(O)=C\C(C)=O YOBOXHGSEJBUPB-MTOQALJVSA-N 0.000 description 1
- DQEFEBPAPFSJLV-UHFFFAOYSA-N Cellulose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CC1OC(OC(=O)CC)C(OC(=O)CC)C(OC(=O)CC)C1OC1C(OC(=O)CC)C(OC(=O)CC)C(OC(=O)CC)C(COC(=O)CC)O1 DQEFEBPAPFSJ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47 Klebsiella pneumon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9287 Lipodystrophy acqui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101 Muscle Cram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392 Sp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040 Sprains and Strai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CWXUUIWCKQGHC-UHFFFAOYSA-N Zirconium Chemical compound [Zr] QCWXUUIWCKQG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62 absorption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89 adip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72 arterial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02 attenuated total ref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4 biostim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01 blood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587 carbo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522 cellular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32 colony form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YYLGKUPAFFKGRQ-UHFFFAOYSA-N dimethyldiethoxy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C)OCC YYLGKUPAFFKGR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JLLQSBAHIKGKF-UHFFFAOYSA-N dipotassium dioxido(oxo)titanium Chemical compound [K+].[K+].[O-][Ti]([O-])=O NJLLQSBAHIKG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65 leuk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132 lipodys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6 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675 pannicul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9 peripheral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6 peripheral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74 physically 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49 polyester-amid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BIBMFFZSBJNJF-UHFFFAOYSA-N selenium;zinc Chemical compound [Se]=[Zn] SBIBMFFZSBJN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027 skele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04 subcutaneous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PUDPFPXCZDNGI-UHFFFAOYSA-N triethoxy(methyl)silane Chemical compound CCO[Si](C)(OCC)OCC CPUDPFPXCZDN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85—Polymers containing nitrog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3—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8—Poly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3—Agents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2—Exothermic; Self-heating; Heating sen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파장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의 방출 및/또는 흡수 특성을 갖는 첨가제의 사용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조성물 및 방적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패브릭 또는 니트와 같은 직물 물품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조성물은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의 흡수/방출에 대한 능력을 갖는 유기 첨가제 또는 무기 충전제, 및 또한 중합체성 기질을 포함하고, 상기 무기 충전제는 산화물, 황산염, 탄산염, 인산염 및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무기 충전제일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가 2 ㎛ 미만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적외선 범위의 복사선의 방출 및/또는 흡수의 특성을 갖는 첨가제의 사용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 방출 특성을 갖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첨가제를 함유하는 방적사 및 폴리아미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고, 또한 상기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직물 물품, 예를 들어 패브릭 또는 니트와 같은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2 ㎛ 내지 20 ㎛ 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 영역의 복사선과 생체 조직 간의 상호작용은 20 년 동안 과학자의 관심을 끌었다. 공개된 연구에 따르면, 상기 범위의 적외선은 특히 혈액 미소순환 (microcirculation) 의 증가, 근경련의 감소, 세포 대사의 증가와 같은 생체자극을 일으킨다. 제안된 메커니즘 중 하나에 따르면, 생체 조직의 세포는 복사선을 이용한 공명 방법에 의해 자극되어, 인간 골격근에서 락트산 농도를 감소시키고 혈액 순환을 증가시킨다 (Niwa 등 1993: Niwa, Y.; Iizawa, O.; Ishimoto, K.; Jiang, X.; Kanoh, T.; Electromagnetic Wave Emitting products and "Kikoh" Potentiate Human Leukocyte Func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No. 37, p. 133-138, 1993; Perez 및 Martinez 1995; Perez, A.C.N., Martinez, A.J.A., Fibra de Photon Plantino. Saint Jean de Compostelle, 1993, p. 7-71). 말초 혈류 증가 및 체온 증가와 같은 다른 효과가 또한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지난 몇년 동안, 직물 적용을 위한 상기 고려된 범위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의 용도를 청구하는 특허가 공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상기 출원은 열흡수 효과 (US 5 053 275) 및 항균성 효과 (US 6 316 102) 에 대한 것이고, 티탄 금속의 입자의 용도 (US 7 201 945) 또는 산화물, 탄화물, 황산염 및 규산염 무기 충전제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허에 언급된 물질은 수용액 (티탄 금속의 경우) 에 의해 적용되거나, 또는 중합체성 수지 유형과 혼합되고 이로 처리되고 직물 표면에 코팅 (EP 1792724) 되어 침전된다. 이러한 표면 적용은 양호한 내마모성 및 내세정성을 제공하지 않으며, 또한 피부, 특히 수지 코팅물의 형태의 피부와 접촉할 때의 쾌적한 감촉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부 특허는 물질을 중합체성 기질에 혼입하거나, 압출, 연신 (drawing) 및 텍스처링 (texturing) 방법에 의해 필라멘트를 제조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US 4 999 243, US 5 880 044, WO 2007/055432). 그러나, 높은 경도의 탄화물 및 산화물의 고농도 사용은 열가소성 성분을 사용하는 방적사의 제조에 적합하지 않는데, 이들이 기계 부품의 신속한 열화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해결책은 하기 단점을 가진다: 특정 탄화물의 착색 및 처리의 불량한 효율성 (필라멘트의 잦은 파단) 은 방적사의 기계적 특성을 위태롭게 한다.
특허 EP 1094136 에 의해 제안된 대안은 저수준의 산화물을 갖는 필라멘트의 제조를 위한, 적외선-방출 백색 산화물의 백색 전도성 입자와 열가소성 수지의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매우 높은 경도 (8.0 Mohs 초과) 를 갖는 산화물을 나타내고, 통기성 섬유로서 분류될 수 있는, 일반적으로 섬유상 분말 형태인 티탄산칼륨을 사용함으로써 취급이 어렵고, 건강 및 위생의 관점에서 불리하다.
더욱이, 특히 "셀룰라이트" (지노이드 리포디스트로피 (gynoid lipodystrophy)) 를 가진 개체를 위해 피부를 자극하는 화장품을 항상 모색하고 있다. 사실상, "셀룰라이트"는 일반적으로 피하에 존재하는 지방 세포 내 지방 물질의 존재와 관련되어 있고, 피하 조직의 염좌를 일으키며, 유명한 "오렌지 껍질" 효과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항상 모색하고 있다. 이는 개체의 편안함과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적외선 영역의 방출 및/또는 흡수의 특성을 갖는 첨가제가 피부인 또다른 생체 조직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확실히, 상기 첨가제로 인해 특히 셀룰라이트를 감소 또는 심지어 제거할 수 있고, 이로써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은 편안함, 웰빙, 미소순환의 개선,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 및 근피로도의 감소를 제공하는 방적사 및 직물 물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적외선-흡수 및/또는 -방출 첨가제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에서의 흡수 및/또는 방출) 의 특성 및 사용량이 무기 충전제 및 방적사를 처리함에 있어서의 곤란함에 관한 상기 명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산업적 관점에서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는, 적외선 방출 및/또는 흡수 특성을 갖는 첨가제를 중합체 매트릭스에 도입시킴으로써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 및 근피로도의 감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혈액 미소순환 자극 및 더욱 양호한 피부 탄력성의 특성을 갖는 방적사, 섬유, 필라멘트 및 물품을 수득하는 것이다. 상기 물품으로 특히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 및 더욱 양호한 피부 탄력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적외선 방출 특성 및 근피로도의 감소를 위한 생체자극을 부여하여 개체에 편안함 및 웰빙을 제공하기 위한, 중합체에 도입된 무기 충전제 및/또는 유기 첨가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고; 또한 특히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된 섬유, 방적사 및 물품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중합체는 용융 방사에 의해 방사된 것들, 예컨대 특히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용액을 통해 방사된 것들, 예컨대 폴리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비스코스 등이다. 첨가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중합체에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입은 중합체 합성 단계에서, 또는 용융된 중합체 또는 용액에 무기 충전제 및/또는 유기 첨가제의 직접 혼합에 의한 방사 단계에서, 또는 마스터배치를 통해 수행되고, 상기 두 도입 방법의 병용이 적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 방출 및/또는 흡수 능력을 갖는 유기 첨가제 또는 무기 첨가제와 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 10 개의 진동수 범위 내에서 10 초과의 수의 적외선 흡수 피크를 나타낸다: 3.00 +/- 0.30 ㎛, 6.20 +/- 0.50 ㎛, 8.00 +/- 0.25 ㎛, 8.50 +/- 0.25 ㎛, 9.00 +/- 0.25 ㎛, 9.50 +/- 0.25 ㎛, 10.00 +/- 0.25 ㎛, 10.50 +/- 0.25 ㎛, 11.00 +/- 0.25 ㎛, 14.60 +/- 2.10 ㎛ (1 개 이상의 피크는 상기 10 개의 진동수 범위 중 7 개 이상에 존재함).
조성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당업자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4 ㎝- 1 의 분해능을 갖는 Bruker Equinox 55 장치의 사용이다. 이러한 경우, 수득된 스펙트럼은 ZnSe 결정을 사용한 ATR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감쇠 전반사) 형태이다.
유리하게는, 무기 충전제는 평균 입자 크기가 2 ㎛ 미만인, 산화물, 황산염, 탄산염, 인산염 및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형의 무기 충전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이 제공된다.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레이온, 비스코스 및 동일한 계열의 중합체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기재의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 아디프아미드 (PA66) 또는 폴리카프로아미드 (PA6), 또는 임의의 비율의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임의의 중합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의 열가소성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폴리아미드 66 의 임의의 비율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아미드 기재이다.
예를 들어, 혈액 미소순환의 개선,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 더욱 양호한 피부 탄력성 및 근피로도의 감소를 제공하는 생체 자극 특성을 가져 이들을 함유하는 물품의 사용자, 특히 셀룰라이트를 가진 사용자에게 편안함 및 웰빙을 더욱 크게 제공하는 방적사, 섬유 및 필라멘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첨가제가 개발되어 왔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우선, 조합이 산화물 군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산화마그네슘), 황산염 군 (황산바륨, 황산칼슘, 황산스트론튬), 탄산염 군 (탄산칼슘 또는 탄산나트륨), 규산염 군 (액티노라이트, 투어말린, 서펜틴, 카올린 및 다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인산염 군 (인산지르코늄, 아파타이트, 및 또한 다른 가능한 인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 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효과를 수득하기 위한 중합체 조성물 중 첨가제의 조합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기 첨가제는 유기알콕시실란, 예를 들어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또는 메틸트리에톡시실란과 같은 규소 함유 유기 화합물일 수 있다. 유기 첨가제는 또한 예를 들어 알킬금속 에스테르, 알킬금속 킬레이트, 알킬금속 아실레이트, 금속 에스테르 킬레이트, 금속 알코올레이트, 알루미늄 이소프로필레이트, 알루미늄 sec-부틸레이트 또는 지르코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이소프로필레이트, 알루미늄 sec-부틸레이트 또는 지르코늄 테트라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같은 유기금속성 화합물일 수 있다.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 흡수제 및/또는 방출제로서 병용되는 무기 충전제는 크기가 2 ㎛ 미만, 바람직하게는 1 ㎛ 미만, 유리하게는 0.5 ㎛ 미만인 입자 형태이다. 입자는 유리하게는 고려되는 범위의 적외선을 흡수 및/또는 방출하는 특성에 간섭하지 않고 중합체 물질과의 더욱 양호한 혼화성을 제공하도록 또는 혼입될 성분에 대해 불활성이도록 커버 또는 코팅될 수 있다.
2 개의 무기 충전제, 또는 3 개의 무기 충전제의 조합이 바람직하고, 특히 3 개로 이루어진 조합은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이산화규소 및 규산염 군의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더욱더 특히, 조합은 임의의 비율의 혼합물로서 3 개의 무기 충전제, 예컨대 하기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투어말린; 이산화티탄/이산화규소/황산바륨; 및 이산화티탄/황산바륨/투어말린. 이산화티탄/황산바륨/투어말린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기 충전제의 조합은 방적사, 섬유, 필라멘트 및 직물 물품의 제조에 중합체 조성물 중 2 ㎛ 내지 20 ㎛ 의 범위의 적외선을 방출하는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첨가제는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9.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미만, 유리하게는 4.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사하게는, 본 발명의 또다른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무기 충전제의 조합의 중량 비율은 1.0 %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이다.
중합체 조성물은 또한 항균성 또는 정균성 (bacteriostatic) 인 제제, 방화제 (fire-repellent), UV 선에 대한 안정화제, 및 또한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작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비율로 상기와 같은 첨가제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제한적 예로서, 3 개로 이루어진 조합의 무기 충전제는 본 발명의 사용에서, 유리하게는 80:10:10 내지 10:30:60 범위의 비율, 더욱 특히 50:25:25 의 비율로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주제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원적외선-흡수/-방출 무기 충전제의 조합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충전제 또는 첨가제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중합체 조성물에 도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입은 중합체 합성 단계 동안, 또는 필라멘트 방사 단계 동안 중합체와의 직접 혼합에 의해, 또는 마스터배치 형태의 입자 농축에 의해 수행되고, 이어서 방사 단계 동안 중합체 물질에 소정의 농도로 희석된다.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입 방법에 따라 개별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마스터배치는 총 질량에 대해 유리하게는 10 중량% 내지 65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5 중량% 의 양의 무기 충전제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의 조합이 사용되는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된 물품, 특히 방적사, 섬유 및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용융 방사에 의해 수득되는 방적사, 섬유 및 필라멘트의 경우, 첨가제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혼합 장치, 예를 들어 방사 장치의 상류에 의해 용융된 중합체에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를 도입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연속적인 멀티필라멘트 방적사, 모노필라멘트, 단 및 장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첨가제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방사를 통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낸 중합체 조성물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방적사, 섬유 및 필라멘트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모든 직물 처리, 예컨대 압출, 연신, 텍스처링, 염색, 가공 (finishing)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적사, 섬유 및 필라멘트로부터 수득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물품은 단일 유형의 방적사, 섬유 또는 필라멘트로부터, 또는 상이한 유형의 방적사,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혼합물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용어 "물품"은 특히 패브릭, 니트 및 부직포를 의미한다. 물품은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수득된 하나 이상의 유형의 방적사, 필라멘트 또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물품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수득되는 필름 또는 분말일 수 있다. 필름 또는 분말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법에 따라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 조직, 특히 신체 활동 개체의 생체 조직을 자극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 기재의 상기 물품, 특히 직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생체 조직은 피부, 특히 셀룰라이트를 가진 개체의 피부이다. 본 발명의 한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체의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혈액 미소순환을 자극하기 위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 및 본 발명의 물품에 대해 상기 기재되어 있는 모든 것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용도에 대해 적용된다.
하기 실시예는 실례로서 나타내고, 본 발명의 이점을 명확하게 나타낼 것이다.
실시예
90 % 포름산 수용액에서 측정된 상대 점도 (RV) 가 43 인 폴리아미드 66 으로 하기 실시예 1 내지 6 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적외선-방출 무기 충전제를 폴리아미드 66 에 혼입시키는 것을, 마스터배치를 수득하기 위해 20 중량% 의 무기 충전제의 비율로 분말 형태의 무기 충전제와 분쇄된 중합체를 혼합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시키고 과립화시켰다. 이와 같이 수득된 마스터배치를 방사 단계 동안 폴리아미드 66 에 도입하였다. 용융된 중합체 조성물을 280 ℃ 내지 300 ℃ 의 온도 (다이에서 측정됨) 에서 방사하고, 공기-냉각 (20 ℃, 65 % 의 상대 습도) 시키고, 4200 m/분의 속도에서 권취시켜 연속 멀티필라멘트 방적사를 수득하였다. 원형 단면을 갖는 68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방적사를 이어서 텍스처링하였다. 최종 물품 중 필라멘트의 타이터 (titre) 가 1.2 dtex 였다. 원형 니트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버뮤다 쇼츠 (Bermuda shorts) 및 티셔츠 제조용 니트의 제조에 이와 같이 수득된 방적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티셔츠는 표면 밀도가 175 g/㎡ 이고, 버뮤다 쇼츠는 표면 밀도가 305 g/㎡ 이고, 12 % 의 스판덱스를 함유하였다. 이러한 물품을 이어서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실시예
1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신체 활동 프로토콜 (브루스 (Bruce) 프로토콜에 따른 트레드밀 상의 에르고미터 시험) 을 실시한 15 명의 운동 선수 2 그룹의 신체 (몸통 및 하지) 의 열변화를 비교하였다. 시험을 3 일 코스에 따라 수행하였다:
ㆍ1 일째에, 최대 시간 (t) (특정 심박동수 또는 동맥 혈압 한계 - 개체의 연령에 따라 미리 정의됨 - 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운동 선수가 피로로 인해 중단을 요구할 때까지 신체 활동의 지속기간으로서 정의됨) 을 정의하기 위해, 면 티셔츠 및 폴리에스테르 버뮤다 쇼츠를 포함한 옷을 착용한 운동 선수를 브루스 프로토콜에 적용하였음 (이는 대조군이었음);
ㆍ2 일째에, 운동 선수는 어떠한 신체 활동도 수행하지 않았음;
ㆍ3 일째에, 동일한 운동 선수에게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포함한 옷을 착용시키고, 시간 (t) 에 도달할 때까지 브루스 프로토콜에 적용하였음 (이는 샘플군으로 칭함);
ㆍ샘플을 평가하였음: 면, 및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프로토콜 적용 전후에 체온을 서모그래피 (thermography) 기술 (Raytec Fluke TiSO Thermal Image 장비) 로 측정하였고, 열변화 ΔT/ΔT1 의 지수를 평가하였다.
열변화의 지수를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수행 전 (초기 온도) 및 후 (최종 온도) 의 평균 온도를 비교하여 수득하였다:
ΔT = ΔT2 - ΔT1
(식 중,
ΔT1 = Tfc - Tic (대조군의 평균 최종 Tfc 와 초기 Tic 온도의 차), 및
ΔT2 = Tfe - Tie (샘플군의 평균 최종 Tfe 와 초기 Tie 온도의 차)).
하기 표 1 은 그룹 A (면으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및 그룹 B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를 함유하는 PA66 으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의 몸통 및 하지 측면 부분 영역에서 수득된 열변화 ΔT/ΔT1 의 지수를 요약한다.
[표 1]
수득된 지수는 그룹 A 와 비교한 그룹 B 의 온도의 평가를 나타내고, 이는 첨가제를 갖는 폴리아미드로 제조된 물품을 사용할 때 혈액 순환의 증가를 보여준다.
실시예
2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고,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방적사 샘플과 비교하였다. 신체 활동 프로토콜 (브루스 프로토콜에 따른 에르고미터 트레드밀 시험) 을 적용한 15 명의 운동 선수 2 그룹의 신체 (몸통 및 하지) 의 열변화를 비교하였다. 시험 및 온도 측정을 실시예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적용 후, 고려되는 영역 상의 온도 측정의 편차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열적 이질성 지수 (h) 를 수득하였다:
h = (d2 - d1)/d1
(식 중,
d1 = 대조군의 온도의 표준 편차, 및
d2 = 샘플군의 온도의 표준 편차).
하기 표 2 는 그룹 C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및 그룹 D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의 하부 몸통 및 하지 측면 부분 영역에서 수득된 열적 이질성 지수 (h) 를 요약한다.
[표 2]
상기 표 2 의 결과는 그룹 D 에 대해 더욱 큰 균질성 (더욱 작은 열적 이질성 지수) 을 나타내고, 이는 체온 균질성을 촉진하는 첨가제의 영향을 증명한다.
실시예
3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2 그룹의 15 명의 운동 선수의 혈액 중 락테이트의 농도 (L) 를 브루스 프로토콜에 따른 에르고미터 트레드밀 시험을 포함한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적용 전후에 평가하였다. 락테이트 농도 (mmol/리터) 를 스트립 시험 분석 (Roche Diagnostica Brazil 사제 아큐트렌드 락테이트 장비) 으로 수득하였다.
폴리에스테르, 및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샘플로 상기 시험을 실시예 1 에 기재되어 있는 단계에 따라 수행하고, 락테이트 변화 지수 ΔL/ΔL1 을 계산하였다:
ΔL = ΔL2 - ΔL1
(식 중,
ΔL1 = Lfc - Lic (대조군의 최종 락테이트 Lfc 과 초기 락테이트 Lic 농도 간의 차), 및
ΔL2 = Lfe - Lie (샘플군의 최종 락테이트 Lfe 과 초기 락테이트 Lie 농도 간의 차)).
하기 표 3 은 그룹 E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및 그룹 F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PA66 으로 제조된 티셔츠 및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 에 대해 수득된 락테이트 농도 변화 지수 ΔL/ΔL1 을 나타낸다.
[표 3]
상기 결과는 그룹 E 에 비해 그룹 F 에서 혈액 중 락테이트 농도가 5 % 초과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혈액 중 락테이트 농도는 근피로도와 직접 관련된다.
실시예
4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고,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방적사 샘플과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해, 신체 활동 프로토콜 (6.5 ㎞/시간의 일정 속도 및 30 분 동안 6 % 의 경사에서의 에르고미터 트레드밀 시험) 에 적용한 15 명의 운동 선수 그룹의 하부 몸통 및 하지 측면 부분 영역의 열변화를 평가하였다. 시험을 3 일 코스에 따라 수행하였다:
ㆍ1 일째에,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로 제조된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를 프로토콜에 적용하였음;
ㆍ2 일째에, 운동 선수는 어떠한 신체 활동도 수행하지 않았음;
ㆍ3 일째에,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로 제조된 버뮤다 쇼츠를 착용한 운동 선수를 프로토콜에 적용하였음.
프로토콜 적용 전후에 체온을 서모그래피 기술 (Raytec Fluke TiSO Thermal Image 장비) 로 측정하였고, 열적 이질성 지수를 평가하였다.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적용 전후에, 고려되는 영역의 온도 측정의 편차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열적 이질성 지수 (h) 를 수득하였다:
h = (d2 - d1)/d1
(식 중,
d1 =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적용 전 온도의 표준 편차, 및
d2 = 신체 활동 프로토콜의 적용 후 온도의 표준 편차).
[표 4]
상기 표 4 의 결과는 TiO2, BaSO4 및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샘플에 대해 더 큰 균질성 (더 작은 열적 이질성 지수) 을 나타내고, 이는 체온 균질성을 촉진시키는 첨가제의 영향을 증명한다.
혈액 순환의 증가, 혈액 중 락테이트 농도의 감소 및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은 근피로도의 감소와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결과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원적외선-방출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의 사용으로 첨가제를 갖는 폴리아미드의 방적사로 제조된 물품의 사용과 관련되는 근피로도 감소를 보여준다.
실시예
5 및 6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 (실시예 5), 및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 (실시예 6) 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피부의 열적 균질성
한쪽 다리를 실시예 5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다른 쪽 다리를 실시예 6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한 버뮤다 쇼츠를 1 일 6 시간 60 일 동안 착용한 15 명의 지원자 그룹의 피부 (허벅지 및 엉덩이의 바깥쪽,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피부) 의 열변화를 측정하였다. 15 명의 지원자는 뉘른베르그-뮐러 (Nurnberger-Muller) 등급 중 셀룰라이트 Ⅰ또는 Ⅱ 의 정도를 나타냈다 (참고: Nurnberger F, Muller G. So-called cellulite: an invented disease. J Dermatol Surg Oncol 1978; 4: 221-229).
60 일 전후에 체온을 서모그래피 기술 (Raytec Fluke TiSO Thermal Image 장비) 로 측정하였다.
60 일 동안의 버뮤다 쇼츠 착용 전후에, 고려되는 영역의 온도의 표준 편차 간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열적 이질성 지수 (h) 를 수득하였다:
h = X2/X1
(식 중,
X1 = 60 일 전의 상기 영역 상의 온도의 표준 편차 (15 명의 지원자에 대한 표준 편차 평균), 및
X2 = 60 일 후의 상기 영역 상의 온도의 표준 편차 (15 명의 지원자에 대한 표준 편차 평균)).
하기 표 5 는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및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에 대해 수득된 열적 이질성 지수 (h) 를 요약한다.
[표 5]
상기 표 5 의 결과는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에 대한 버뮤다 쇼츠 착용 후의 열적 이질성이 33 % 감소하였고,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에 대한 버뮤다 쇼츠 착용 후의 열적 이질성이 16 % 감소하였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체온 균질성을 촉진시키는 첨가제의 영향을 보여준다.
피부의 탄력성
신체의 열변화에 더해, 동일한 지원자 그룹의 피부 (허벅지 및 엉덩이의 바깥쪽,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는 영역의 피부) 의 탄력성 변화를 또한 60 일 전후에 측정하였다.
흡입 방법의 원리를 사용하는 CK Electronic GmbH 사제 Cutometer® MPA580 장치를 사용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측정하였다. 부압을 장치에서 생성시키고, 피부를 탐침의 구멍으로 끌어당겼다. 탐침 내부에서, 탐침의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다. 부압이 더이상 적용되지 않았을 때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피부의 능력 (탄력성) 을 측정하고,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도 1 참조).
피부의 탄력성은 비율 R = Ur/Ue 에 해당하고, 상기 Ur 및 Ue 의 값은 도 1 에 나타낸 값에 해당한다.
탄력성 변화 F 는 F = [(Rf-Ri)/Ri] × 100 에 해당하고, 상기 Ri 는 60 일 전의 탄력성에 해당하고, 상기 Rf 는 60 일 후의 탄력성이다.
하기 표 6 은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실시예 5) 및 1.5 % 의 TiO2 및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실시예 6) 의 방적사에 대해 수득된 탄력성 변화 F 를 요약한다.
[표 6]
상기 표 6 의 결과는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에 비해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에 대한 탄력성이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의 탄력성 증가를 촉진시켜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는 첨가제의 영향을 보여준다.
피부의 탄력성 증가 및 더욱 양호한 열적 균질성은 더욱 양호한 편안함 및 웰빙과 관련되고, 셀룰라이트 감소와도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결과는 본 발명에서 정의된 원적외선-방출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의 사용으로 첨가제를 갖는 폴리아미드의 방적사로 제조된 물품의 사용과 관련되는 더욱 양호한 편안함 및 웰빙을 보여준다.
항균성 활성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실시예 6) 에 대해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및 폐렴간균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박테리아에서 표준 JIS L 1902: 2002 에 따라 항균성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활성을 또한 첨가제를 갖지 않는 면의 방적사와 비교하였다.
시험을 0.4 g 의 니트 표면에서 수행하였다.
37 ℃ 에서 1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기 위해 샘플의 상이한 표면을 동일한 수의 박테리아와 접촉시켰다. 시간 t = 0 및 t = 18 시간에서, 박테리아의 수를 세었다.
박테리아가 대조 샘플에서 올바르게 성장하고 있는지를 검사한 후, 다양한 샘플에 접종한 직후의 활성 박테리아의 평균수 및 다양한 샘플에서의 인큐베이션 18 시간 후의 활성 박테리아의 평균수를 각 샘플에 대해 CFU (Colony Forming Units) 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대조 샘플 (첨가제가 없는 면 방적사) 에서의 인큐베이션 18 시간 후의 활성 박테리아의 평균수의 로그와 샘플 (실시예 6 의 폴리아미드 66 방적사) 에서의 인큐베이션 18 시간 후의 활성 박테리아의 평균수의 로그 간의 차에 해당하는 특정 정균성 활성 S 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7 에 나타낸다:
[표 7]
상기 표 7 의 결과는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의 양호한 정균성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와 접촉하는 물품, 특히 직물 물품에 매우 유리하다.
실시예
7 및 8
90 % 포름산 수용액에서 측정된 상대 점도 (RV) 가 43 인 폴리아미드 66 으로 하기 실시예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TiO2 및 투어말린을 폴리아미드 66 으로 혼입시키는 것을, 폴리아미드 66 중합 방법 동안 20 % 의 TiO2 의 수성 현탁액 및 39 % 의 투어말린의 수성 현탁액의 형태로 상기 충전제를 도입시켜 수행하였다. BaSO4 를 폴리아미드 66 에 혼입시키는 것을, 마스터배치를 수득하기 위해 20 중량% 의 BaSO4 의 비율로 분말 형태의 무기 충전제와 폴리아미드 66 을 혼합하여 수행하였다. 혼합물을 압출하고, 냉각시키고 과립화시켰다. 이와 같이 수득된 마스터배치를 방사 단계 동안 폴리아미드 66 에 도입하였다. 용융된 중합체 조성물을 280 ℃ 내지 300 ℃ 의 온도 (다이에서 측정됨) 에서 방사하고, 공기-냉각 (20 ℃, 65 % 의 상대 습도) 시키고, 4200 m/분의 속도에서 권취시켜 연속 멀티필라멘트 방적사를 수득하였다. 원형 단면을 갖는 68 개의 필라멘트로 이루어진 멀티필라멘트 방적사를 이어서 텍스처링하였다. 최종 물품 중 필라멘트의 타이터가 1.2 dtex 였다. 원형 니트 기계를 사용함으로써 버뮤다 쇼츠 제조용 니트의 제조에 이와 같이 수득된 방적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버뮤다 쇼츠는 표면 밀도가 305 g/㎡ 이고, 12 % 의 스판덱스를 함유하였다. 이러한 물품을 이어서 조성물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 (실시예 7) 및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 샘플 (실시예 8) 을 상기 설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피부 근처의 혈액 미소순환을 파워 도플러 (Power Doppler) 방법을 사용하여 초음파에 의해 평가하였다. 도플러 효과는 이동 혈액 세포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의 진동수 변화이다.
한쪽 다리 (우측 다리) 를 실시예 8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하고 다른 쪽 다리 (좌측 다리) 를 실시예 7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한 버뮤다 쇼츠를 1 일 6 시간 60 일 동안 착용한 15 명의 지원자 그룹 (체질량 지수가 23 +/- 4 ㎏/㎡ 임) 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파워 도플러 방법은 평가되는 영역에서의 혈류의 속도/강도와 직접 연관될 수 있는 도플러 신호의 진폭을 측정한다.
수득된 결과를 95 % 신뢰 구간으로 처리하였다.
도플러 신호 증가 D % 를 시간 t0 (초기) 및 t60 (60 일 후) 사이에서 측정하였다.
이는 하기 식에 상응한다:
(식 중, D 는 도플러 신호이고, n 은 15 (지원자 수) 임).
[표 8]
혈액 미소순환의 증가를 상기 두 실시예에 대해 확인하였다.
1.5 % 의 TiO2, 0.5 % 의 BaSO4 및 0.2 % 의 투어말린을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니트는 1.5 % 의 TiO2 를 함유하는 폴리아미드 66 의 방적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니트보다 약 3 배였다.
본원에 나타낸 결과는, 혈액 미소순환의 증가가 본 발명에 기재되어 있는, 원적외선 범위에서 흡수/방출하는 무기 또는 유기 충전제로 개질된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여 제조된 니트의 사용과 관련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8 의 조성물은 하기 적외선 흡수 특성을 나타냈다:
- 진동수 범위 3.00 +/- 0.30 ㎛ 내 피크의 수: 2
- 진동수 범위 6.20 +/- 0.50 ㎛ 내 피크의 수: 2
- 진동수 범위 8.00 +/- 0.25 ㎛ 내 피크의 수: 1
- 진동수 범위 8.50 +/- 0.25 ㎛ 내 피크의 수: 1
- 진동수 범위 9.00 +/- 0.25 ㎛ 내 피크의 수: 0
- 진동수 범위 9.50 +/- 0.25 ㎛ 내 피크의 수: 1
- 진동수 범위 10.00 +/- 0.25 ㎛ 내 피크의 수: 0
- 진동수 범위 10.50 +/- 0.25 ㎛ 내 피크의 수: 2
- 진동수 범위 11.00 +/- 0.25 ㎛ 내 피크의 수: 0
- 진동수 범위 14.60 +/- 2.10 ㎛ 내 피크의 수: 3.
Claims (29)
- 하기 10 개의 진동수 범위 내에서 10 초과의 수의 적외선 흡수 피크를 나타내는, 2 ㎛ 내지 20 ㎛ 의 파장 범위의 적외선 방출 및/또는 흡수에 대한 능력을 갖는 유기 첨가제 및 무기 충전제로부터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첨가제와 중합체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3.00 +/- 0.30 ㎛, 6.20 +/- 0.50 ㎛, 8.00 +/- 0.25 ㎛, 8.50 +/- 0.25 ㎛, 9.00 +/- 0.25 ㎛, 9.50 +/- 0.25 ㎛, 10.00 +/- 0.25 ㎛, 10.50 +/- 0.25 ㎛, 11.00 +/- 0.25 ㎛, 14.60 +/- 2.10 ㎛ (1 개 이상의 피크는 상기 10 개의 진동수 범위 중 7 개 이상에 존재함).
-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산화물, 황산염, 탄산염, 인산염 및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고, 평균 입자 크기가 2 ㎛ 미만이고, 유기 첨가제가 규소 함유 유기 화합물 또는 유기금속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레이온, 비스코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폴리아미드 66 또는 폴리아미드 6 과 같은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아미드-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4 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체가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및 폴리아미드 6/폴리아미드 66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무기 충전제가 1.0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6 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무기 충전제가 0.5 ㎛ 미만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물이 이산화티탄, 이산화규소 및 산화마그네슘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황산염이 황산바륨, 황산칼슘 및 황산스트론튬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탄산염이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규산염이 액티노라이트, 투어말린, 서펜틴, 카올린 및 다른 알루미노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인산염이 인산지르코늄, 아파타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충전제가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규산염 군의 충전제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3 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및 투어말린으로부터 선택되는 2 개 이상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3 개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5 항에 있어서, 3 개의 충전제의 중량 비율이 80:10:10 내지 10:30:6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3 개의 무기 충전제의 조합이 이산화티탄/황산바륨/투어말린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무기 충전제의 조합의 중량 비율이 1.0 % 초과,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5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무기 충전제의 조합의 중량 비율이 9 % 미만, 바람직하게는 6 % 미만, 유리하게는 4.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합체 조성물.
- 무기 충전제 또는 유기 첨가제가 중합체 합성 단계 동안, 또는 필라멘트 방사 단계 동안 중합체와의 직접 혼합에 의해, 또는 마스터배치 형태의 입자 농축에 의해 혼입되고, 이어서 마스터배치가 방사 단계 동안 중합체성 물질에 소정의 농도로 희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 제 20 항에 있어서, 마스터배치가 10 중량% 내지 65 중량% 의 무기 충전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35 중량% 의 무기 충전제,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5 중량% 의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방적사, 섬유 또는 필라멘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 패브릭, 부직포 또는 니트 형태의 직물 물품, 또는 필름 또는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 생체 조직을 자극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의 용도.
- 제 23 항에 있어서, 생체 조직이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24 항에 있어서, 셀룰라이트를 가진 개체의 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25 항에 있어서, 개체의 셀룰라이트를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
-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물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 제 23 항에 있어서, 혈액 미소순환 (microcirculation) 을 자극하기 위한 용도.
- 제 23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이 제 22 항에 따른 물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07/08724 | 2007-12-14 | ||
FR0708724 | 2007-12-14 | ||
FR08/04334 | 2008-07-30 | ||
FR0804334A FR2934496B1 (fr) | 2008-07-30 | 2008-07-30 | Utilisation d'articles a base d'une composition polymerique pour stimuler la peau |
PCT/IB2008/003429 WO2009077834A2 (fr) | 2007-12-14 | 2008-12-11 | Composition polymérique, procédé pour la fabrication de la composition polymérique, articles à base de cette composition polymérique et utilisation de ces articl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4546A Division KR101320279B1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02653A true KR20100102653A (ko) | 2010-09-24 |
KR101194216B1 KR101194216B1 (ko) | 2012-10-25 |
Family
ID=4056631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4546A KR101320279B1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KR1020107015270A KR101194216B1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KR1020127028927A KR20120135346A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4546A KR101320279B1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8927A KR20120135346A (ko) | 2007-12-14 | 2008-12-11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Country Status (14)
Country | Link |
---|---|
US (4) | US9044384B2 (ko) |
EP (4) | EP2765154B1 (ko) |
JP (1) | JP5261497B2 (ko) |
KR (3) | KR101320279B1 (ko) |
CN (1) | CN101910257B (ko) |
AR (1) | AR069771A1 (ko) |
BR (1) | BRPI0816538B8 (ko) |
CA (1) | CA2708498C (ko) |
ES (4) | ES2404293T3 (ko) |
IL (1) | IL206148A (ko) |
PL (4) | PL2402387T3 (ko) |
PT (2) | PT2765154T (ko) |
TW (1) | TW200934918A (ko) |
WO (1) | WO2009077834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PL2402387T3 (pl) | 2007-12-14 | 2014-09-30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Zastosowanie wyrobu na bazie kompozycji polimerowej |
BRPI0801857B1 (pt) | 2008-04-07 | 2016-07-05 | Mário Hirata |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produto têxtil |
FR2967573B1 (fr) | 2010-11-23 | 2012-11-09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Kit cosmetique et utilisation pour ameliorer l'aspect de la peau |
WO2012156805A1 (fr) | 2011-05-18 | 2012-11-22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Fils, fibres ou filaments comprenant des charges minerales; article textile dispositif medical obtenus a partir desdits fils pour la cicatrisation de la peau |
EP2720862B1 (en) | 2011-06-17 | 2016-08-24 | Fiberweb, Inc. | Vapor permeable, substantially water 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
EP2723568B1 (en) | 2011-06-23 | 2017-09-27 | Fiberweb, LLC | Vapor permeable, substantially water 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
US10369769B2 (en) | 2011-06-23 | 2019-08-06 | Fiberweb, Inc. |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
US9765459B2 (en) | 2011-06-24 | 2017-09-19 | Fiberweb, Llc |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
FR2990853B1 (fr) * | 2012-05-22 | 2014-06-13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dispersion de particules a base de polymere et de charges minerales |
FR2990855B1 (fr) * | 2012-05-22 | 2014-05-30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ntenant un polymere et des charges minerales pour lutter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
ES2629283T3 (es) | 2012-06-18 | 2017-08-08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Composición polimérica que contiene cargas minerales, para mejorar la cicatrización de la piel |
CN102766922A (zh) * | 2012-06-26 | 2012-11-07 | 吴江亚太化纺有限公司 | 织袜用远红外dty高弹丝 |
CN102766982A (zh) * | 2012-06-28 | 2012-11-07 | 吴江亚太化纺有限公司 | 远红外织袜用dty弹性丝 |
CN102766975A (zh) * | 2012-06-28 | 2012-11-07 | 吴江亚太化纺有限公司 | 远红外Nylon6 DTY弹性丝 |
US10252945B2 (en) | 2012-09-26 | 2019-04-09 |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 Bioceramic compositions |
DE102012223050A1 (de) * | 2012-12-13 | 2014-06-18 | FD Fit Technology UG (haftungsbeschränkt)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Cellulite, elastisches Kleidungsstüc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JP2014139274A (ja) * | 2013-01-21 | 2014-07-31 | Unitika Ltd | 半芳香族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
WO2015002804A1 (en) * | 2013-07-01 | 2015-01-08 | Wilhelmina Mcewan | Liquid titanium fabric |
US20150137416A1 (en) * | 2013-11-14 | 2015-05-21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 Advanced Thermal Processing Techniques of "Sacrificial" Polylactic Acid |
CA2946898A1 (en) | 2014-05-05 | 2015-11-12 |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 Bioceramic compositions and biomodulatory uses thereof |
CN104017337A (zh) * | 2014-06-23 | 2014-09-03 | 华润包装材料有限公司 | 一种高吸热高亮度瓶级聚酯切片及其制备方法 |
USD766597S1 (en) | 2014-06-27 | 2016-09-20 | Multiple Energies Technologies Llc | Apparel with bioceramic surface ornamentation |
CN104264256A (zh) * | 2014-10-14 | 2015-01-07 | 张家港市安顺科技发展有限公司 | 阻燃负离子纤维的制备方法 |
EP3031431B1 (fr) | 2014-12-11 | 2018-09-19 | Skin'up | Article textile massant |
GR1009117B (el) * | 2015-04-06 | 2017-09-18 | Γεωργιος Εμμανουηλ Ψιψικας | Ενδυματα εφαπτομενα στο δερμα παραγομενα απο υφασμα επικαλυμμενο απο συνθετο υλικο που βασιζεται σε οξειδια μεταλλων και ανοργανο υλικο |
WO2017212299A2 (en) * | 2016-06-07 | 2017-12-14 | Kunfalvi Gábor | Artificially produced, intense infrared radiation emitting ceramic composites |
US10874547B2 (en) * | 2017-07-10 | 2020-12-29 | David L. Burge | Therapeutic textile articles and methods of use |
US10368502B2 (en) | 2017-09-25 | 2019-08-06 | Multiple Energy Technologies Llc | Bioceramic and carbon-based hydroponi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
CN107936389A (zh) * | 2017-11-10 | 2018-04-20 | 新奥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复合膜及其制备方法 |
KR20210119433A (ko) * | 2019-01-16 | 2021-10-05 | 홀로제닉스, 엘엘씨 | 미네랄 입자가 매립된 셀룰로오스 및 반-셀룰로오스계 섬유 및 야안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10685031B (zh) * | 2019-10-31 | 2020-10-30 | 宁波瑞凌新能源科技有限公司 | 辐射制冷纤维及其制备方法、应用 |
IT202000019468A1 (it) | 2020-08-06 | 2022-02-06 | Sinergy Pharma S R L | Mascherina respiratoria multistrato |
CN116438236A (zh) * | 2020-09-24 | 2023-07-14 | 罗地亚巴西有限公司 | 改进聚合物组合物的可海洋生物降解性的组合物和方法 |
CN112625434A (zh) * | 2020-12-18 | 2021-04-09 | 意得凯(深圳)科技有限责任公司 | 一种可持续发射长波长远红外记忆材料 |
Family Cites Families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52413A (ja) | 1986-12-15 | 1988-06-24 | Nobuhide Maeda | 遠赤外線放射性複合繊維 |
JPS63227828A (ja) | 1987-03-13 | 1988-09-22 | 株式会社クラレ | 暖かい布帛 |
ES2038978T3 (es) | 1987-08-07 | 1993-08-16 | Descente Ltd. | Una fibra de absorcion selectiva del calor solar. |
JPH0192463A (ja) | 1987-10-05 | 1989-04-11 | Nobuhide Maeda | 遠赤外線放射性不織布の製造方法 |
JPH089805B2 (ja) | 1988-06-13 | 1996-01-31 | 株式会社クラレ | 遠赤外線放射ポリエステル繊維 |
JP2585166B2 (ja) | 1992-07-16 | 1997-02-26 | スワニー株式会社 | 金属を含有した繊維からなる靴下 |
KR0155608B1 (ko) * | 1995-07-14 | 1998-12-01 | 박홍기 | 원적외선 방사성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
US5880044A (en) | 1996-05-28 | 1999-03-09 | Mi Soo Seok | Fiber product made of elvan |
JP2975978B2 (ja) | 1997-01-21 | 1999-11-10 | 株式会社ベネコーポレーション | 微弱電流発生繊維とその製造方法 |
JP2879024B2 (ja) * | 1997-01-31 | 1999-04-05 | 株式会社ジェガラニン | 遠赤外線放射特性、抗菌性、脱臭性、防カビ性および防虫性を有すると共に、静電気防止効果を有するレーヨンの製造方法 |
TW422898B (en) | 1998-10-26 | 2001-02-21 | Nanya Plastics Corp | The warm keeping cellulose and cloth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
US6332993B1 (en) * | 1999-09-16 | 2001-12-25 | Nan Ya Plastics Corporation | Process of making heat-retaining fibers |
EP1094136A1 (en) | 1999-10-22 | 2001-04-25 | Nan Ya Plastics Corporation | Heat-retaining fiber and fabrics and the method for making the same |
US6316102B1 (en) | 1999-11-18 | 2001-11-13 | Jewel Power Co., Ltd | Rayon fiber with ion-generating,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it |
ATE318877T1 (de) * | 2000-05-19 | 2006-03-15 | Toshio Komuro | Zusammensetzung für ferninfrarotbestrahlung mit excellenten antistatischen eigenschaften und faser- sowie textilprodukt beides dieses enthaltend |
JP3735240B2 (ja) * | 2000-07-04 | 2006-01-18 | ファイルド株式会社 | 健康繊維製品 |
WO2002087700A1 (en) * | 2001-04-26 | 2002-11-07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kit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cosmetic skin conditions |
JP2002363821A (ja) | 2001-06-05 | 2002-12-18 | Taiko Boeki Kk | 繊維製品および樹脂製品ならびに無機粉末製品 |
JP3879991B2 (ja) | 2002-06-03 | 2007-02-14 |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ポリマー被覆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 |
KR200292199Y1 (ko) * | 2002-07-10 | 2002-10-18 | 이진구 | 원적외선 방사 의류 |
KR20040088125A (ko) * | 2003-04-08 | 2004-10-16 | 김우성 | 솔리토늄이 함유된 체중감량용 원단 및 그 용도 |
FR2857016B1 (fr) * | 2003-07-03 | 2007-08-31 | Rhodia Performances Fibres | Charges minerales destinees a ameliorer la matite des polymeres thermoplastiques |
CN1190546C (zh) * | 2003-07-25 | 2005-02-23 | 东华大学 | 纳米粒子改性化学纤维的制备方法 |
US20050129742A1 (en) * | 2003-12-16 | 2005-06-16 | Eastman Kodak Company | Antimicrobial article with diffusion control layer |
FR2865905B1 (fr) | 2004-02-11 | 2006-07-21 | Dominique Sellier | Vetement de sport destine a aider a lutter contre la cellulite |
DE102004031283A1 (de) | 2004-06-29 | 2006-02-16 | Sachtleben Chemie Gmbh | Polymere Werkstoffe mit hohen Gehalten an anorganischen Feststoff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
JP4355945B2 (ja) | 2004-11-08 | 2009-11-04 |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 近赤外線吸収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繊維製品 |
CN2866527Y (zh) | 2005-07-29 | 2007-02-07 | 杨胜仲 | 天然能量保健高分子面状布材 |
PT103361A (pt) | 2005-09-30 | 2007-03-30 | Sasaki Internacional Ind E Com | Processo de fabrico de edredão |
WO2007055432A1 (en) | 2005-11-14 | 2007-05-18 | Se Da Coperation Co., Ltd. | Yarn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US20070141095A1 (en) * | 2005-12-15 | 2007-06-21 | L'oreal | Aqueous dispersion of colloidal particles of mineral filler and fibres |
JP2007262621A (ja) * | 2006-03-29 | 2007-10-11 | Fujitsu Ltd | 光触媒能を有する繊維、及びこの繊維を用いた布帛、並びに、この布帛を用いた布製品 |
PL2402387T3 (pl) | 2007-12-14 | 2014-09-30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Zastosowanie wyrobu na bazie kompozycji polimerowej |
FR2934496B1 (fr) | 2008-07-30 | 2010-11-19 | Rhodia Poliamida E Especialidades Ltda | Utilisation d'articles a base d'une composition polymerique pour stimuler la peau |
-
2008
- 2008-12-11 PL PL11173204T patent/PL2402387T3/pl unknown
- 2008-12-11 CA CA2708498A patent/CA2708498C/fr active Active
- 2008-12-11 ES ES08862080T patent/ES2404293T3/es active Active
- 2008-12-11 KR KR1020127004546A patent/KR1013202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12-11 PL PL12163943T patent/PL2476721T3/pl unknown
- 2008-12-11 ES ES11173204.6T patent/ES2472453T3/es active Active
- 2008-12-11 ES ES12163943.9T patent/ES2569657T3/es active Active
- 2008-12-11 ES ES14164589.5T patent/ES2694430T3/es active Active
- 2008-12-11 BR BRPI0816538A patent/BRPI0816538B8/pt active IP Right Grant
- 2008-12-11 PT PT14164589T patent/PT2765154T/pt unknown
- 2008-12-11 PT PT111732046T patent/PT2402387E/pt unknown
- 2008-12-11 CN CN2008801237498A patent/CN101910257B/zh active Active
- 2008-12-11 EP EP14164589.5A patent/EP2765154B1/fr active Active
- 2008-12-11 KR KR1020107015270A patent/KR10119421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12-11 EP EP08862080A patent/EP2220145B1/fr active Active
- 2008-12-11 EP EP12163943.9A patent/EP2476721B1/fr active Active
- 2008-12-11 PL PL08862080T patent/PL2220145T3/pl unknown
- 2008-12-11 EP EP11173204.6A patent/EP2402387B1/fr active Active
- 2008-12-11 PL PL14164589T patent/PL2765154T3/pl unknown
- 2008-12-11 JP JP2010537533A patent/JP5261497B2/ja active Active
- 2008-12-11 WO PCT/IB2008/003429 patent/WO2009077834A2/fr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2-11 US US12/747,631 patent/US9044384B2/en active Active
- 2008-12-11 KR KR1020127028927A patent/KR201201353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8-12-12 TW TW097148569A patent/TW200934918A/zh unknown
- 2008-12-15 AR ARP080105454A patent/AR069771A1/es unknown
-
2010
- 2010-06-03 IL IL206148A patent/IL206148A/en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2-17 US US13/717,415 patent/US9421162B2/en active Active
- 2012-12-17 US US13/717,321 patent/US2013018335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
- 2016-01-11 US US14/992,167 patent/US2016014383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0279B1 (ko) | 중합체 조성물,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상기 중합체 조성물 기재의 물품, 및 상기 물품의 용도 | |
Qin | Medical textile materials | |
US11998759B2 (en) | Electrically passive low-level light therapy system and methods incorporating same | |
CN105624890A (zh) | 一种远红外发热面料及其加工方法 | |
CN107675292B (zh) | 一种纳米银竹炭纤维及其杀菌内衣制品 | |
KR101070837B1 (ko) | 기능성 폴리올레핀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부직포 | |
JP2002053416A (ja) | 機能性材料 | |
EP3910105A1 (en) | Industrial method of synthesis of metal nanoparticles with adjustable size | |
KR0128110B1 (ko) | 액상 원적외선 방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0536004B1 (ko) | 원적외선 방사와 항균소취의 복합 기능을 갖는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0220096B1 (ko) | 축광가공제와 축광.항균방취가공제 및 그를 이용한 축광제품과 축광.항균방취제품 및 그 가공처리방법 | |
KR102242069B1 (ko) |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복합체 및 섬유의 제조방법 | |
KR20070047258A (ko) | 원적외선 방출 솜의 제조방법 | |
Yao et al. | Preparation and Research of Iatric Fiber with Far Infrared Ray Radiation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