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8435A -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8435A
KR20100098435A KR1020107015104A KR20107015104A KR20100098435A KR 20100098435 A KR20100098435 A KR 20100098435A KR 1020107015104 A KR1020107015104 A KR 1020107015104A KR 20107015104 A KR20107015104 A KR 20107015104A KR 20100098435 A KR20100098435 A KR 20100098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surface
door
imag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764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카이
도시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8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photoelectric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 있어서는 제1 발광기와 제1 촬상 수단이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발광기와 제2 촬상 수단이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발광기는 제1 발광면을 가지고 있다. 제2 발광기는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고 있다. 제어 장치는 제1 및 제2 발광기와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 제어 장치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제1 및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킨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SLIDE DOOR DEVICE AND ELEVATOR}
본 발명은 도어를 자동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서는 출입구 좌우의 세로 프레임에, 길게 연속하는 발광면을 가지는 한 쌍의 발광기와 대향하는 발광기의 발광면을 촬상하는 한 쌍의 카메라가 마련되어 있고, 이로 인해 출입구의 전체가 감시 영역으로서 커버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4-338846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서는 양쪽의 발광기가 동시에 발광되기 때문에,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이 카메라에 입사되어, 대향하는 발광기로부터의 광이 장해물에 의해 차단된 것을 검출하기 어려워져, 검출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넓은 감시 영역을 커버하면서,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 장치는,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제1 및 제2 발광기와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shift) 제1 및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도어 장치는,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2 발광면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 및 제1 및 제2 발광기와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발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고,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은 대응하는 파장의 광을 촬상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 사이에 마련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제1 및 제2 발광기와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제1 및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킨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 사이에 마련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제1 및 제2 발광기와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 발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고,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은 대응하는 파장의 광을 촬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감시 영역을 커버하면서,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내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2의 주제어부에 의한 제1 및 제2 발광기의 점등 타이밍과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상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감시 영역 내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에서 얻어지는 차분 화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감시 영역 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에서 얻어지는 차분 화상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감시 영역 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도 2의 화상 처리 판정부에서 얻어지는 차분 화상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2의 주제어부의 도어 열림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2의 주제어부의 도어 닫힘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제1 및 제2 발광기의 점등 타이밍과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상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를 승강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슬라이드 도어 장치)를 엘리베이터칸 내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1)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는 수평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로서의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주위에는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프레임(3)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프레임(3)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좌우에 마련된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3a, 3b)과,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3a, 3b)의 상단부(上端部) 사이에 마련된 상부(上部) 수평 프레임(3c)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플로어부(floor portion)에 마련된 하부 수평 프레임(3d)을 가지고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전면(前面)에는 엘리베이터칸 조작 패널(4)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칸 조작 패널(4)에는 표시 장치(5), 경보 장치(6), 복수의 층 지정 버튼(7), 도어 열림 버튼(8) 및 도어 닫힘 버튼(9)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3c)의 전면에는 표시등(10)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세로 프레임(3a)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1 발광기(11)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발광기(11)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는 제1 발광면(11a)을 가지고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2 발광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발광기(12)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는 제2 발광면(12a)을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발광면(11a, 12a)은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거의 전체 높이에 걸쳐서 마련되며,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1 세로 프레임(3a)의 제2 세로 프레임(3b)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단부에는 제2 발광면(12a)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으로서의 제1 카메라(1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카메라(13)는 제1 발광면(11a)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세로 프레임(3b)의 제1 세로 프레임(3a)에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부에는 제1 발광면(11a)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으로서의 제2 카메라(14)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카메라(14)는 제2 발광면(12a)의 하단부에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의 제어 회로를 나타내는 개략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의 개폐 동작은 개폐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된다. 개폐 제어부(15)는 엘리베이터칸(1) 상에 탑재되어 있다.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로부터의 신호는 화상 처리 판정부(16)에 보내진다. 화상 처리 판정부(16)는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의 개폐시에,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로부터의 광이 장해물에 의해 차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제1 및 제2 발광기(11, 12), 제1 및 제2 카메라(13, 14), 개폐 제어부(15) 및 화상 처리 판정부(16)는 주제어부(17)에 의해 제어된다. 주제어부(17)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의 개폐시에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로부터 광을 조사시켜,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 부근의 장해물 유무를 감시한다. 또, 주제어부(17)는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의 개폐 지령을 개폐 제어부(15)에 보낸다.
개폐 제어부(15), 화상 처리 판정부(16) 및 주제어부(17)는 각각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개폐 제어부(15), 화상 처리 판정부(16) 및 주제어부(17) 중 적어도 2개를, 공통의 컴퓨터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는 개폐 제어부(15), 화상 처리 판정부(16) 및 주제어부(17)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장해물의 구체적인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주제어부(17)에 의해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점등 타이밍과 제1 및 제2 카메라(13, 14)의 촬상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주제어부(17)는 스텝 1, 2, 3의 순서로 점등 및 촬상을 실시한다. 또, 장해물의 감시를 연속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스텝 1 ~ 스텝 3을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30msec)에서 반복하여 실시한다.
우선, 스텝 1에서는 제1 발광기(11)를 점등시키고, 제2 카메라(14)에 의해 제1 발광면(11a)을 촬상하여, 취득한 데이터, 즉 제1 점등시 화상을 화상 처리 판정부(16)에 보낸다. 이 때, 제2 발광기(12)는 소등하게 한다.
다음에, 스텝 2에서는 제2 발광기(12)를 점등시키고, 제1 카메라(13)에 의해 제2 발광면(12a)을 촬상하여, 취득한 데이터, 즉 제2 점등시 화상을 화상 처리 판정부(16)에 보낸다. 이 때, 제1 발광기(11)는 소등하게 한다.
이 후, 스텝 3에서는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양쪽을 소등시키고, 제1 및 제2 카메라(13, 14)에 의해 제1 및 제2 발광면(11a, 12a)을 촬상하여, 취득한 데이터, 즉 제1 및 제2 소등시 화상을 화상 처리 판정부(16)에 보낸다.
화상 처리 판정부(16)는 제1 점등시 화상과 제1 소등시 화상의 차분 화상을 구함과 아울러, 제2 점등시 화상과 제2 소등시 화상의 차분 화상을 구한다. 이와 같은 차분 처리를 행하면, 차분 화상에는 제1 및 제2 발광면(11a, 12a)의 상(像)만이 남는다. 따라서, 카메라(13, 14)를 정점으로 하고 발광면(11a, 12a)을 저변으로 하는 2개 삼각형의 감시 영역 내에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차분 화상에는 도 4에 나타내는 연속한 1개의 직선 형상의 발광면상(發光面像)이 남는다.
이에 대해, 감시 영역 내에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 발광기(11, 12)로부터의 광 일부가 차단되기 때문에, 차분 화상에는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발광면상이 남는다. 즉, 도 5의 차분 화상에서는 발광면상이 복수로 분단되고, 불연속으로 되어 있다. 또, 도 6의 차분 화상에서는 발광면상의 길이가 통상시보다 짧아져 있다. 화상 처리 판정부(16)는 발광면상이 불연속으로 되거나, 짧아지거나, 또는 발광면상이 소실됐음을 검출하면, 장해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하여, 그 취지의 신호를 주제어부(17)에 보낸다.
다음에, 도 7은 도 2의 주제어부(17)의 도어 열림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주제어부(17)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가 실제로 도어 열림 동작을 개시하는 소정 시간 전(예를 들어 수초 전)에 상기와 같은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고(단계 S1), 장해물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2). 이 때,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한다(단계 S3).
이에 대해, 장해물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1) 내의 승객이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로부터 떨어지도록, 경보 장치(6)에 의해 경고를 알린다(단계 S4). 구체적으로는 미리 기억된 음성, 예를 들어 「도어가 열립니다. 도어로부터 떨어져 주세요.」등의 아나운스를 경보 장치(6)로부터 흘린다. 이 후, 재차 장해물의 유무를 판정하고(단계 S5), 장해물이 없어지면,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한다(단계 S3).
통상 도어 열림을 개시하면,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를 소등하고,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정지한다(단계 S6). 그리고 도어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통상 도어 열림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S7).
한편, 경고를 알렸음에도 불구없이 장해물이 재차 검출된 경우는, 예를 들어 「도어가 열립니다.」등의 경고를 경보 장치(6)에 의해 재차 알리고(단계 S8), 통상보다 저속으로 도어 열림 동작을 개시한다(단계 S9).
저속 도어 열림을 개시하면,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를 소등하고,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정지한다(단계 S10). 그리고 도어가 완전히 열릴 때까지 저속 도어 열림 동작을 계속한다(단계 S11).
다음에, 도 8은 도 2의 주제어부(17)의 도어 닫힘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주제어부(17)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가 실제로 도어 닫힘 동작을 개시하는 소정 시간 전(예를 들어 1초 전)에 상기와 같은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고(단계 S12), 장해물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 S13). 그리고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도어 닫힘을 개시한다(단계 S14). 또,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게 될 때까지 대기하고,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게 되고 나서 도어 닫힘을 개시한다.
도어 닫힘 동작 중에는 장해물 유무의 판정을 계속하고(단계 S15),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으면 도어 닫힘 동작을 계속하고(단계 S16),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가 도어가 완전히 닫힌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7). 즉, 도어 닫힘 동작 중에는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될 때까지 장해물의 유무를 반복하여 판정한다.
도어 닫힘 동작 중에 장해물이 검출되면,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를 반전(反轉) 도어 열림시키고(단계 S18), 최초의 동작으로 돌아온다. 반전 도어 열림 중에는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를 소등하고,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정지한다. 장해물이 검출되지 않은 채,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가 되면,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를 소등하고,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정지하여(단계 S19), 도 8의 동작이 종료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점등 타이밍을 서로 어긋나게 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와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를 엘리베이터칸 출입구(1a)의 양측에 배치하여 넓은 감시 영역을 커버하면서,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일방이 점등하고 있을 때 타방으로부터의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제1 발광기(11)를 점등시킬 때에, 제2 발광기(12)를 소등시키면서 제2 카메라(14)에 의해 제1 발광면(11a)을 촬상시키고, 제2 발광기(12)를 점등시킬 때에, 제1 발광기(11)를 소등시키면서 제1 카메라(13)에 의해 제2 발광면(12a)을 촬상시키므로,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추가로, 제1 및 제2 발광기(11, 12)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는 제1 및 제2 발광면(11a, 12a)을 가지고 있으므로, 넓은 범위에 걸쳐 틈새 없이 장해물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열림 개시 전에 장해물이 검출되면, 경고를 알리거나 저속으로 도어가 열리므로, 도어 열림시에 승객의 의복이나 짐이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와 세로 프레임(3a, 3b) 사이에 끼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어 닫힘시에 장해물이 검출되면,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대기, 또는 반전 도어 열림시키므로, 승객이나 짐이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에 끼이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제1 및 제2 발광기의 점등 타이밍과 제1 및 제2 카메라의 촬상 타이밍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도 3)의 단계 2와 단계 3을 바꿔 넣은 것이며, 다른 구성 및 제어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 점등시 화상을 취득하기 전에 제1 및 제2 소등시 화상을 취득해도,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슬라이드 도어 장치)를 승강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21)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21)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에 연동하여 수평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도어로서의 제1 및 제2 승강장 도어(22a, 22b)에 의해 개폐된다. 승강장 출입구(21)의 주위에는 승강장 출입구 프레임(23)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 프레임(23)은 승강장 출입구(21)의 좌우에 마련된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23a, 23b)과,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23a, 23b)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된 상부 수평 프레임(23c)과, 승강장 출입구(21)의 플로어부에 마련된 하부 수평 프레임(23d)을 가지고 있다.
제1 세로 프레임(23a)의 전면에는 표시 장치(24), 경보 장치(25), 상 호출 버튼(up-call button; 26) 및 하 호출 버튼(down-call button; 27)이 마련되어 있다. 상부 수평 프레임(23c)의 전면에는 표시등(28)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세로 프레임(23a)의 제2 세로 프레임(23b)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1 발광기(11)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세로 프레임(23b)의 제1 세로 프레임(23a)에 대향하는 측면에는 제2 발광기(12)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세로 프레임(23a)의 제2 세로 프레임(23b)에 대향하는 측면의 하단부에는 제2 발광면(12a)을 촬상하는 제1 카메라(1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세로 프레임(23b)의 제1 세로 프레임(23a)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단부에는 제1 발광면(11a)을 촬상하는 제2 카메라(14)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제어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장해물 검출 장치를 승강장 도어 장치에 마련한 경우에도,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를 승강장측으로부터 본 배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 및 승강장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발광기(11) 및 제1 카메라(13)는 엘리베이터칸(1)의 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2a)의 포켓(pocket) 근방(제1 엘리베이터칸 도어(2a)보다도 승강장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발광기(12) 및 제2 카메라(14)는 엘리베이터칸(1)의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2b)의 포켓 근방(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2b)보다도 승강장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는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와 승강장 도어(22a, 22b) 사이의 공간에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의 개폐 방향과 평행하게 광을 조사한다. 다른 구성 및 제어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발광기(11, 12)로부터의 광을 엘리베이터칸 도어(2a, 2b)와 승강장 도어(22a, 22b) 사이의 공간에 조사하는 경우에도,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실제로 도어(2a, 2b, 22a, 22b)에 낀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대해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에 의해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시킨다. 그리고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는 대응하는 파장의 광을 촬상한다.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점등 타이밍은 실시 형태 1과 같이 어긋나게 해도, 어긋나게 하지 않아도 좋다.
구체적으로, 제1 발광기(11)는 파장
Figure pct00001
1의 광을 발광하고, 제2 발광기(12)는 파장
Figure pct00002
2의 광을 발광한다. 그리고 제1 발광면(11a)을 촬상하는 제2 카메라(14)는 파장
Figure pct00003
1의 광을 투과하고 파장
Figure pct00004
2의 광을 차광하는 광학 필터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발광면(12a)을 촬상하는 제1 카메라(13)는 파장
Figure pct00005
2의 광을 투과하고 파장
Figure pct00006
1의 광을 차광하는 광학 필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카메라(13, 14)는 대응하는 발광기(11, 12)로부터의 광만을 촬상한다. 다른 구성 및 제어 방법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칸 도어 장치에서는 장해물에서 반사된 광의 영향을 배제하여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장해물에 의해 차광되어 발광면상이 중단되거나 짧아지는 것으로 장해물을 검출하였으나, 장해물의 검출 방법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최신의 차분 화상과 소정 시간 전의 차분 화상의 차분인 시간 차분 화상을 구하여, 시간 차분 화상에 소정값 이상의 값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이 방법에서는 장해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시간 차분 화상은 전면에서 거의 0의 값으로 된다. 또, 움직이는 장해물이 존재하면, 시간 차분 화상에 소정값 이상의 부분이 출현된다. 이 때문에, 소정값 이상의 부분이 있으면, 장해물이 존재한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발광면(11a, 12a)에 부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쓰레기를 장해물로 오검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객 등의 움직이는 장해물만을 효율 좋게 검출할 수 있다.
또, 발광기(11, 12)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가시광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칸(1) 내나 승강장의 승객이 발광면(11a, 12a)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어(2a, 2b, 22a, 22b)의 동작을 승객에게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플로차트에서는 도어 열림 개시 전에 장해물의 검출 동작이 개시되어, 발광기(11, 12)가 점멸되기 때문에, 승객에게 도어 열림 개시를 사전에 알릴 수 있다. 또, 도 8의 플로차트에서는 도어 닫힘 개시 전에 장해물의 검출 동작이 개시되어, 발광기(11, 12)가 점멸되기 때문에, 승객에게 도어 닫힘 개시를 사전에 알릴 수 있다.
추가로, 점등 타이밍 및 촬상 타이밍은 상기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기(11)를 점등시킬 때에, 제2 발광기(12)를 소등시키면서 제1 카메라(13)에 의해 촬상시키고, 제2 발광기(12)를 점등시킬 때에, 제1 발광기(11)를 소등시키면서 제2 카메라(14)에 의해 촬상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카메라(13, 14)에서는 장해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장해물로부터의 반사광이 검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도, 제1 및 제2 발광기(11, 12)의 일방을 점등시키고 있을 때에, 타방으로부터의 광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장해물을 보다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양쪽 열림식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한쪽 열림이어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의 매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본 발명을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적용하였으나, 예를 들어 건물에 마련된 출입구, 열차 등과 같은 타는 것의 승강구, 또는 열차의 플랫폼의 승강구에도 본 발명의 슬라이드 도어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칸
1a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2a, 2b 제1 및 제2 엘리베이터칸 도어
3 엘리베이터칸 출입구 프레임
3a, 3b 제1 및 제2 세로 프레임
3c 상부 수평 프레임
3d 하부 수평 프레임
4 엘리베이터칸 조작 패널
5 표시 장치
6 경보 장치
7 복수의 층 지정 버튼
8 도어 열림 버튼
9 도어 닫힘 버튼
10 표시등
11, 12 제1 및 제2 발광기
13, 14 제1 및 제2 카메라
15 개폐 제어부
16 화상 처리 판정부
17 주제어부

Claims (10)

  1.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와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발광기를 점등시킬 때에, 상기 제2 발광기를 소등시키면서 상기 제2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발광면을 촬상시키고, 상기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킬 때에, 상기 제1 발광기를 소등시키면서 상기 제1 촬상 수단에 의해 상기 제2 발광면을 촬상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발광기를 점등시킬 때에, 상기 제2 발광기를 소등시키면서 상기 제1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시키고, 상기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킬 때에, 상기 제1 발광기를 소등시키면서 상기 제2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시키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4.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발광면을 촬상하는 제1 촬상 수단,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광면을 촬상하는 제2 촬상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와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은 대응하는 파장의 광을 촬상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면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속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에 마련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가시광인 슬라이드 도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도어 열림 개시 전에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도어 닫힘 개시 전에 장해물의 검출 동작을 개시하는 슬라이드 도어 장치.
  9.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 사이에 마련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와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서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를 점등시키는 엘리베이터.
  10.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칸,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칸과 승강장 사이에 마련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발광면을 가지는 제1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발광면에 대향하는 제2 발광면을 가지는 제2 발광기,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1 촬상 수단,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 마련되어 있는 제2 촬상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와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출입입구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함과 아울러, 장해물의 유무에 따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기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발광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촬상 수단은 대응하는 파장의 광을 촬상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07015104A 2008-04-22 2008-04-22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KR101208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57749 WO2009130762A1 (ja) 2008-04-22 2008-04-22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435A true KR20100098435A (ko) 2010-09-06
KR101208764B1 KR101208764B1 (ko) 2012-12-05

Family

ID=4121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5104A KR101208764B1 (ko) 2008-04-22 2008-04-22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266911B1 (ko)
JP (1) JP5542661B2 (ko)
KR (1) KR101208764B1 (ko)
CN (1) CN101932522B (ko)
WO (1) WO2009130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3387A1 (ja) * 2008-12-26 2010-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11132032A (ja) * 2009-12-25 2011-07-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235732B (zh) * 2010-04-26 2013-08-28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滑动门的控制装置及方法
CN103291169B (zh) * 2012-02-29 2016-03-09 深圳光启智能光子技术有限公司 一种自动门
CN106014077B (zh) * 2016-07-04 2018-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滑动门的控制方法和装置
CN106081776B (zh) * 2016-08-22 2018-09-21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安全监控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8070006A1 (ja) * 2016-10-13 2018-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回路
CN107285173B (zh) * 2017-07-13 2020-01-31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门控制方法、装置和系统
JP7062930B2 (ja) * 2017-12-01 2022-05-09 株式会社アイシン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747273A (zh) * 2020-05-29 2020-10-09 广州华欣电子科技有限公司 电梯控制方法、装置、设备和系统
AU2022395375A1 (en) * 2021-11-23 2024-05-16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Detector module for use in an entr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149A (en) * 1993-07-14 1995-04-25 Otis Elevator Company Optical obstruction detector with light barriers having planes of light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s
JPH07311061A (ja) * 1994-05-19 1995-11-28 Nkk Corp 非接触流量測定方法
CN1121039A (zh) * 1994-09-16 1996-04-24 P·J·汤姆生 电梯探测器
CN2329643Y (zh) * 1998-06-29 1999-07-21 黄正义 电梯门的安全触板
JP3297394B2 (ja) * 1999-03-29 2002-07-02 株式会社ツーデン 移動式ドアの安全装置並びに安全兼起動装置
EP1606209B1 (en) * 2002-12-30 2012-03-07 Otis Elevator Company Optically synchronized safety detection device for elevator sliding doors
JP4204896B2 (ja) * 2003-05-14 2009-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JP2006143443A (ja) * 2004-11-24 2006-06-08 Otis Elevator Co 扉の安全装置
JP2007276919A (ja) * 2006-04-04 2007-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ドアの障害物検出装置
JPWO2007129402A1 (ja) 2006-05-09 2009-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WO2007138688A1 (ja) * 2006-05-31 2007-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42661B2 (ja) 2014-07-09
WO2009130762A1 (ja) 2009-10-29
JPWO2009130762A1 (ja) 2011-08-11
KR101208764B1 (ko) 2012-12-05
EP2266911A1 (en) 2010-12-29
EP2266911B1 (en) 2015-04-08
CN101932522B (zh) 2014-01-29
EP2266911A4 (en) 2014-04-30
CN101932522A (zh)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764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531742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051828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EP1997769B1 (en) Door device for elevator
KR101210182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및 엘리베이터
JP6199216B2 (ja) エレベータ監視装置
JP2008100782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安全装置
KR101210016B1 (ko) 슬라이드 도어장치 및 엘리베이터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03146201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使用時の事故防止装置及び事故防止方法
JP4964300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06089190A (ja) エレベータ扉の安全装置
JP5577636B2 (ja) 出入口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5211935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
JP201109878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87410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12340560A (zh) 电梯的使用者探测系统
JP7344477B1 (ja) エレベータ
WO2023199520A1 (ja) 物体検知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08222314A (ja) エレベーターを用いたビルの防犯装置
JP2016124693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乗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