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7755A - 휴대통신단말 - Google Patents

휴대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755A
KR20100097755A KR1020107016762A KR20107016762A KR20100097755A KR 20100097755 A KR20100097755 A KR 20100097755A KR 1020107016762 A KR1020107016762 A KR 1020107016762A KR 20107016762 A KR20107016762 A KR 20107016762A KR 20100097755 A KR20100097755 A KR 20100097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display
display means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008B1 (ko
Inventor
가요코 사와다
다츠히코 아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통화를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휴대통신단말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1 및 제2LCD를 포함하되, 상기 제1LCD는 상기 제2LCD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열린 상태와 상기 제2LCD의 표시면이 상기 제1LCD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제1LCD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 상기 상태검출부에 의해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취하는 목적지번호수취부, 및 상기 목적지번호수취부에 의해 전화번호를 받은 후(S05) 상기 상태검출부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S07에서 YES), 상기 목적지번호수취부에 의해 수취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는(S08) 통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통신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가능한 휴대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많은 휴대전화기가 사용성과 휴대성의 편의를 고려하여 형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 변화의 장점을 취하여, 휴대폰에 입력될 지시로서 휴대폰의 형태를 변경하는 사용자 조작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260617호는, 휴대폰이 접힌 상태로 있는 동안 폰북이 개방된 다음 폰바디가 열릴 때, 폰북에 지시된 당사자에게 발신되어 대화 모드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휴대전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발신 시, 폰바디가 닫힐 때 여타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브라우징될 수 있고, 상기 폰바디가 다시 열릴 때 대화가 계속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가시성 뿐만 아니라 키보드의 조작성에 초점을 맞춘 휴대단말의 경우에는, 상기 휴대단말이 열린 상태에서는 한 손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로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그것이 열린 경우보다 닫힌 경우에 통화하기 적합한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통화 모드에 들어가도록 발신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열어야만 하는 경우에는 전화기 통화가 곤란하게 될 수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출원공개 제2004-26061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 통화를 위한 조작이 용이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를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및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call destination)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에 의해 전화번호를 받은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수취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었던 동안 수취된 전화번호로 발신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말이 열린 상태로 있는 동안 전화번호를 선택할 수 있어, 상기 단말을 닫힌 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로 발신하게 된다. 이는 발신 조작을 용이하게 하므로, 통화를 위한 조작이 용이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휴대통신단말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폰북(phonebook)에 포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유저 식별 정보의 목록이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로,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 중 선택된 것에 관한 관련 정보가 상기 제2표시수단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은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 가운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와 연관되는 전화번호를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열린 상태에서, 유저 식별 정보의 목록이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 중 선택된 것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가 제2표시수단 상에 표시된다. 상기 유저 식별 정보의 목록과 상기 방식으로 동시에 표시되는 상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된 관련 정보가 호 목적지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된 스케줄 북(schedule book) 데이터, 및 상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유저와 주고 받는 이메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및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및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었던 동안 착신 호(incoming call)가 검출된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을 오프-훅(off-hook) 시키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 착신 호가 검출된 후, 닫힌 상태가 검출될 때, 단말이 오프-훅이 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 착신 호가 검출된 후 단말을 닫아 단말의 오프-훅을 취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착신 호에 응답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하므로, 통화를 위한 조작이 용이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조작부의 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조작부의 표면이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에 의해 전화번호를 받은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수취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발신 조작이 용이하다. 그 결과, 통화를 위한 조작이 용이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면, 휴대통신단말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조작부의 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조작부의 표면이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었던 동안 착신 호가 검출된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을 오프-훅 시키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에 따르면, 통화를 위한 조작이 용이한 휴대통신단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닫힌 상태의 휴대통신단말의 사시도;
도 1b는 열린 상태의 휴대통신단말의 사시도;
도 2는 휴대통신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3은 휴대통신단말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
도 4는 발신 조작 시에 표시되는 어드레스북(address book)표시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신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착신통지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열린 상태로 있는 동안 수행되는 발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 및
도 8은 착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명칭과 기능들을 갖는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반복하지는 않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단말(1)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형태가 변경된다. 도 1a는 닫힌 상태의 휴대통신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열린 상태의 휴대통신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휴대통신단말(1)은 제1표시부(2), 제2표시부(3), 및 슬라이딩가능한 방식으로 제1표시부(2)와 제2표시부(3)를 지지하는 하우징부(5)를 포함한다. 제1표시부(2) 및 제2표시부(3)는 각각 근사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부(5)는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제1표시부(2)와 제2표시부(3)가 하우징되는 리세스(recess)를 구비하여, 휴대통신단말(1)이 근사적으로 직사각형의 평행육면체 형상을 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닫힌 상태의 휴대통신단말(1)이 통화하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스피커(11) 및 마이크로폰(13)은 각각 제1표시부(2) 및 제2표시부(3)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 이외의 하우징부(5) 상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로 있는 경우에 스피커(11) 및 마이크로폰(13)이 노출되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는, 제1표시부(2)가 제2표시부(3) 상에 있게 된다. 제1표시부(2)는 제2표시부(3)를 향하고 있는 그 타측면과 대향하는 표면 상에 제1액정디스플레이(LCD)(15)를 포함하고, 제1LCD(15) 위에 놓인 제1터치패널(17)이 제공된다. 제2표시부(3)는 제1표시부(2)를 향하는 표면 상에 제2LCD(16)를 포함하고, 제2LCD(16) 위에 놓인 제2터치패널(18)이 제공된다.
제1표시부(2)는 닫힌 상태에서 제2표시부(3) 상에 놓여 제1LCD(15)가 노출되는 반면, 제2LCD(16)는 제1표시부(2)에 의해 커버된다. 따라서,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로 있을 때, 사용자는 제1터치패널(17)을 터치할 수 있지만 제2터치패널(18)은 터치할 수 없다.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에서, 제1표시부(2)와 제2표시부(3) 양자 모두가 슬라이딩될 때,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를 취한다. 제2표시부(3)는 제1표시부(2)가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제2표시부(3)는 하우징부(5)에 제공된 스프링에 의해 가세(biased)되어, 제2표시부(3)는 사전설정된 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향 이동된다. 따라서,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로 있을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표시부(2)에 포함된 제1LCD(15)의 표시면 및 제2표시부(3)에 포함된 제2LCD(16)의 표시면이 서로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로 있을 때, 제1LCD(15) 및 제2LCD(16) 양자 모두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그 위에 표시된 이미지들을 보도록 한다. 화면 면적은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로 있는 경우에 비해 배가되어, 대량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제1LCD(15) 위에 놓인 제1터치패널(17) 및 제2LCD(16) 위에 놓인 제2터치패널(18)도 노출되어, 사용자가 넓은 면적을 이용하여 지시들을 입력하도록 한다.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로 있을 때에는, 스피커(11) 및 마이크로폰(13) 양자 모두가 노출되어, 단말 상의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제1표시부(2) 및 제2표시부(3)는 하우징부(5)로부터 돌출되고, 표시면이 닫힌 상태에서는 그것을 배가시켜, 사용자가 손으로 단말을 소지하면서 통화하기 어렵게 만든다. 휴대통신단말(1)의 열린 상태는 이미지를 표시하기에 적합하면서도 사용자가 조작들을 입력하기에 적합한다.
도 2는 휴대통신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통신단말(1)은 휴대단말(1)의 전체 제어를 책임지는 CPU(21); 안테나(22A)에 연결되는 무선회로(22); 개방-상태 센서(23); 폐쇄-상태 센서(24), 사용자 조작의 입력을 수취하는 조작부(25); 카드 인터페이스(I/F)(27); 코덱부(28); 코덱부(28)에 연결된 스피커(11)와 마이크로폰(13); CPU(21) 및 기타기기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read only memory; 31); CPU(21)용 작업 영역으로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32); 및 비휘발성 방식으로 어드레스북데이터 및 기타를 저장하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33)을 포함한다.
무선회로(22)에는 안테나(22A)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가 공급된다. 무선회로(22)는 무선신호를 복조하고, 결과적인 신호를 CPU(21)에 출력한다. 복조된 무선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는, CPU(21)가 오디오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무선회로(22)가 CPU(21)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호를 변조하고, 상기 변조된 무선신호를 안테나(22A)에 출력한다. 코덱부(28)로부터 오디오 신호 수신 시, CPU(21)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회로(22)에 출력한다. CPU(21)로부터 착신 신호(incoming call) 수신 시, 무선회로(22)는 CPU(21)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호출한다.
코덱부(28)는 CPU(21)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며, 이를 증폭시켜, 결과적인 신호를 수신기로서의 역할을 하는 스피커(11)에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코덱부(28)는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코딩함으로써 상기 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CPU(21)에 출력한다.
개방-상태 센서(23)는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 ON이고, 그것이 열린 상태가 아닐 때에 OFF이다. 폐쇄-상태 센서(24)는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 ON이고, 그것이 닫힌 상태가 아닐 때에 OFF이다. 개방-상태 센서(23) 및 폐쇄-상태 센서(24)는 CPU(21)에 연결되고, CPU(21)는 개방-상태 센서(23) 및 폐쇄-상태 센서(24)의 상태들을 검출하여 휴대통신단말(1)의 형태(style)를 검출한다. 여기서, 개방-상태 센서(23) 및 폐쇄-상태 센서(24) 양자 모두는 제1표시부(2)의 위치를 검출한다.
조작부(25)는 제1터치패널(17) 및 제2터치패널(18)을 포함한다. 조작이 조작부(25)로부터 입력되면, CPU(21)가 입력 조작에 따라 처리를 수행한다. CPU(21)는 실행을 위하여 ROM(31)에 저장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을 독출한다. 이들 응용프로그램들은 C 또는 JAVA(등록상표)와 같은 프로그램 언어에 기록되어 있지만, 응용프로그램들을 기록하는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언어들이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여하한의 프로그램 언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이 ROM(31)에 저장되어 휴대통신단말(1) 안에 로딩되지만,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단일 프로그램 언어로 기록될 수도 있고, 또는 상이한 프로그램 언어들로 기록될 수도 있다. 즉, 상이한 프로그램 언어들로 기록된 복수의 응용프로그램들이 있을 수도 있다.
제1LCD(15) 및 제2LCD(16)는 이미지들을 표시하기 위해 CPU(21)에 의해 제어된다. 제1LCD(15) 및 제2LCD(16)는 각각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여하한의 디바이스[이는 예컨대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음]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1터치패널(17) 및 제2터치패널(18)은 각각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패널 표면을 터치할 때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위치를 검출한다. 제1터치패널(17) 및 제2터치패널(18)은 각각 상기 검출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CPU(21)에 출력한다.
EEPROM(33)은 어드레스북데이터를 저장한다. 어드레스북데이터에 있어서, 호 목적지(call destination)으로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식별 정보는 관련 정보와 연관된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의 풀네임, 닉네임 또는 기타 별명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픽킹업하여 얻어지는 얼굴 이미지를 포함한다. 상기 관련 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 및 메모를 포함한다.
카드 I/F(27)는 제거가능한 플래시메모리(27A)와 함께 장착된다. 메모리카드(27A)는 예컨대 CompactFlash, SmartMedia(등록상표), SD(secure digital) 메모리카드, 메모리 스틱, 멀티미디어 카드(MMC), xD 픽처 카드 등일 수도 있다.
CPU(21)는 카드 I/F(27)를 통해 플래시메모리(27A)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는 CPU(21)가 실행할 프로그램이 플래시 ROM(31)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상기 프로그램은 플래시메모리(27A)에 저장될 수도 있고, CPU(21)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메모리카드(27A)로부터 독출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가 메모리카드(27A)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플렉시블 디스크, 카셋트 테잎, 자기디스크, 광학 디스크[컴팩트 디스크-ROM(CD-ROM), 자기광학디스크(MO), 미니디스크(MD), 디지털다기능디스크(DVD)], 광학 카드, 또는 마스크 ROM, EPROM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휴대통신단말(1)이 무선회로(22)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될 수도 있고, CPU(21)에 의해 실행될,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다운로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프로그램"은 CPU(21)에 의해 직접 실행가능한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소스 프로그램, 압축 프로그램, 암호 프로그램 등의 형태로 있는 프로그램도 포함한다.
도 3은 휴대통신단말에 포함된 CPU의 기능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블럭도이다. CPU(21)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검출하는 상태검출부(51); 무선회로(22)를 제어하는 통신제어부(53); 호 목적지를 수취하는 목적지번호수취부(55); 제1LCD(15)를 제어하는 제1표시제어부(57); 제1터치패널에 연결된 제1지시수취부(59); 제2LCD(16)를 제어하는 제2표시제어부(61); 및 제2터치패널에 연결된 제2지시수취부(63)를 포함한다.
상태검출부(51)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검출한다. 상태검출부(51)는 개방-상태 센서(23)가 ON일 때 열린 상태를 검출한다. 상태검출부(51)는 폐쇄-상태 센서(24)가 ON일 때 닫힌 상태를 검출한다. 개방-상태 센서(23) 및 폐쇄-상태 센서(24)가 모두 OFF이면, 상태검출부(51)는 닫힌 상태도 아니고 열린 상태도 아닌 상태를 검출한다. 상태검출부(51)는 휴대통신단말(1)의 검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통신제어부(53) 및 제2표시제어부(61)에 출력한다.
제1표시제어부(57)는 제1LCD(15)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1LCD(15)를 제어한다. 제1표시제어부(57)는 제1LCD(15) 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제1지시수취부(59)에 출력한다.
제1지시수취부(59)는 제1터치패널(17)에 연결되고, 손가락 등으로 사람이 터치한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제1터치패널(17)로부터 수취한다. 제1지시수취부(59)는 제1표시제어부(57)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및 제1터치패널(17)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신호에 따라 이미지 상의 사전설정된 위치에 할당된 지령을 검출한다.
제2표시제어부(61)는 제2LCD(16)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2LCD(16)를 제어한다. 제2표시제어부(61)는 제2LCD(16) 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제2지시수취부(63)에 출력한다. 제2표시제어부(61)는 제1지시수취부(59)로부터 출력되는 지령에 따라 제2LCD(16) 상에 표시될 이미지를 전환(switch)시킨다. 이는 제1LCD(15)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가 제2LCD(16)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2지시수취부(63)는 제2터치패널(18)에 연결되고, 손가락 등으로 사람이 터치한 제1터치패널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제2터치패널(18)로부터 수취한다. 제2지시수취부(63)는 제2표시제어부(61)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및 제2터치패널(18)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신호에 따라 이미지 상의 사전설정된 위치에 할당된 지령을 검출한다.
이하, 제2LCD(16) 상에 표시하는 일례로서, 사용자가 어드레스북을 이용하여 발신하는 경우와 연계하여, 제1LCD(15)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연관된 이미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지시수취부(59) 또는 제2지시수취부(63)가 어드레스북을 표시하기 위해 지시를 수취하는 경우, 제1표시제어부(57)는 EEPROM(33)에 저장된 어드레스북데이터를 독출하고, 어드레스북데이터에 포함된 복수 피스(piece)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이미지들을 제1LCD(15) 상에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제1LCD(15) 상에 표시된 사용자 식별 정보 중 복수의 이미지 가운데 하나를 지정하는 경우, 제1지시수취부(59)는 지정된 위치에 표시되는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제2표시제어부(61) 및 목적지번호수취부(55)에 출력한다.
제2표시제어부(61)는, 제1지시수취부(59)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 EEPROM(33)에 저장된 어드레스북데이터를 탐색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는 관련 정보의 이미지를 제2LCD(16)가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 관련 정보는 이름, 그룹,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메모 및 기타 상기 어드레스북데이터에 포함된 것들을 포함한다.
도 4는 발신 조작 시에 표시되는 어드레스북표시화면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목록 화면은 제1표시부(2)에 제공된 제1LCD(15) 상에 표시되고, 상기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관련 화면은 제2표시부(3)에 제공된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
제1LCD(15) 상에 표시된 목록 화면은 어드레스북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피스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데, 이 이미지들은 시스템적으로 레이아웃(lay out)된다. 여기서는, 사용자 식별 정보가 사용자 이름 및 얼굴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2LCD(16) 상에 표시된 관련 화면은 어드레스북데이터에 의해 목록 화면에서 선택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되는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 도시된 관련 화면은 사용자가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이름 "あい"을 지정할 때 표시된다. 목록 화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이미지는 다른 이미지들보다 밝게 표시되어, 여타의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이미지들로부터 구별가능하도록 만들게 된다.
여기서는 어드레스북데이터에 포함된 정보가 관련 정보로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되지만, EEPROM(33)이 그 안에 송수신된 이메일 뿐만 아니라 년, 월 및 일별 스케줄 데이터도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관련 정보가 제1지시수취부(59)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로부터 송수신된 이메일,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LCD(16) 상에 표시된 관련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 전에, 의도한 당사자와 최근에 교환한 정보를 확인시키거나 또는 과거나 미래 스케줄을 확인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목적지번호수취부(55)는, 제1지시수취부(59)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할 때, EEPROM(33)에 저장된 어드레스북데이터를 탐색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와 연관된 전화번호를 통신제어부(53)에 출력한다.
통신제어부(53)는 무선회로(22)를 제어한다. 통신제어부(53)는 상태검출부(51)로부터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목적지번호수취부(55)로부터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가 목적지번호수취부(55)로부터 입력된 다음,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통신제어부(11)는 무선회로(22)를 목적지번호수취부(55)로부터 수신된 목적지번호로 발신시켜, 호 목적지로부터 응답이 있는 경우에 라인을 연결시킨다. 통신제어부(53)는 상기 통신제어부(53)가 무선회로(22)를 발신시킬 때부터 라인이 끊길 때까지의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통신 상태 신호를 제1표시제어부(57)에 출력한다.
제1표시제어부(57)는, 무선회로(22)로부터 통신상태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을 제1LCD(15) 상에 표시한다. 상기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은, 통신제어부(53)가 발신할 때부터 호 목적지로부터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발신 시에 제1LCD(15) 상에 표시되는 발신중 화면; 및 라인이 연결되어 호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는 활성 호 화면을 포함한다.
도 5는 발신중 화면의 일례를 보여준다. 상기 발신중 화면은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로 있을 때 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중 화면은 발신 중인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발신중" 메시지, 호 목적지의 사용자 식별 정보로서 이름 및 얼굴 이미지, 및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이는 휴대통신단말(1)이 "あい" 이름의 사용자를 호출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알게 한다.
도 3으로 돌아가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상태검출부(51)로부터 입력되고 있는 동안 무선회로(22)가 착신 호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제어부(53)는 착신 호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착신 호 신호를 제2표시제어부(61)에 출력한다. 그런 다음,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통신제어부(53)는 무선회로(22)를 단말 오프-훅 시켜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열린 상태에 있는 동안 통신제어부(53)로부터 착신 호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2표시제어부(61)는 착신 호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착신통지화면을 제2LCD(16) 상에 표시한다. 열린 상태에서는, 이미지가 제2LCD(16) 상에 이미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표시제어부(61)는 표시된 이미지보다 우선적으로 착신통지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착신통지화면은 표시되고 있는 이미지 상에 중첩(overlaid)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착신통지화면은 아래에 있는 이미지가 착신통지화면을 통해 보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는, 표시된 이미지가 착신통지화면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은 착신통지화면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메뉴 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되는 한편, 텔레비전 방송의 비디오 이미지가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 메뉴 화면은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제2LCD(16) 상에는, "착신 호" 메시지를 포함하는 착신통지화면이 텔레비전 방송의 비디오 이미지 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도 7은 열린 상태로 있는 동안 수행되는 발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발신 처리는, CPU(21)가 통신 프로그램을 실시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에 있을 때, 휴대통신단말(1)에 포함된 CPU(21)에 의해 실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CPU(21)는 어드레스북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수취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1). CPU(21)는 어드레스북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수취될 때까지 대기 모드에 있고(단계 S01에서 NO), 일단 어드레스북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수취되면(단계 S01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02로 진행된다. 제1LCD(15) 상에 표시된 메뉴 화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어드레스북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과 연관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어드레스북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이 제1터치패널(17)로부터 수취된다.
단계 S02에서, 목록 화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LCD(15) 상에 표시된다. 그 후, 상기 목록 화면에 포함된 복수 피스의 유저식별정보의 이미지 중 하나가 지정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03). 제1LCD(15) 상에 표시된 복수 피스의 유저식별정보의 이미지의 위치와 제1터치패널(17)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는 유저식별정보의 이미지 중 어떤 것이 지정된 것인지를 판정하는데 사용된다. 복수 피스의 유저식별정보의 이미지 중 하나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단계 S0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02로 되돌아가게 된다.
단계 S04에서, 지정된 유저식별정보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가 추출된다. EEPROM(33)에 저장된 어드레스북데이터는 지정된 유저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어드레스북데이터를 특정하도록 탐색되고, 상기 특정된 어드레스북데이터에 포함된 관련 정보가 추출된다. 여기서, 상기 관련 정보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의도한 유저가 속하는 그룹 및 메모를 포함한다.
단계 S05에서, 단계 S04에서 추출된 상기 관련 정보에 포함된 전화번호는 발신을 위한 전화번호를 특정하기 위하여 추출된다. 단계 S04에서 추출된 관련 정보는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단계 S06).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발신 전에, 호 목적지로서 유저에 관한 관련 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나아가, 목록 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목록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유저식별정보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가 제2LCD(16) 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호 목적지를 용이하게 선택하도록 한다.
단계 S07에서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로서 닫힌 상태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상태 센서(24)가 OFF에서 ON으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닫힌 상태가 검출된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08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03으로 되돌아간다. 즉, 사용자는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가 될 때까지 호 목적지로서 유저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08에서는, 단계 S05에서 특정된 전화번호로 발신된다. 그 후, 호 목적지의 전화기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단계 S09). 응답이 수신된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10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10에서는, 라인이 연결되어 통화를 시작한다. 상기 호는 통화 종료 시까지 계속되고(단계 S11에서 NO), 일단 통화가 끝나면(단계 S11에서 YES),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통화의 종료는 라인이 끊기거나 또는 사용자가 제1터치패널(17)에 통화 종료를 지시하는 조작을 입력할 때 검출된다.
도 8은 착신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착신 처리는 CPU(21)가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따라, 휴대통신단말(1)에 포함된 CPU(21)에 의해 실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CPU(21)는 착신 호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21). 상기 착신 호는 무선회로(22)가 착신 호를 수신할 때 검출된다. 상기 CPU(21)는 착신 호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 모드로 있다(단계 S21에서 NO). 일단 착신 호가 검출되는 경우에는(단계 S21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22에서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로서 열린 상태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착신 호의 수신 시의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개방-상태 센서(23)가 ON일 때 열린 상태가 검출되는 한편, 폐쇄-상태 센서(24)가 ON일 때 닫힌 상태가 검출된다. 열린 상태가 검출되었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3으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9로 진행된다.
단계 S23에서, 착신통지화면이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 상기 착신통지화면은 "착신 호" 메시지를 포함한다. 상기 착신통지화면은 이미 표시된 이미지보다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에 착신 호가 통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메시지는 이미 표시된 이미지 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착신통지화면은 아래에 있는 이미지가 착신통지화면을 통해 보일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착신통지화면이 제2LCD(16)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제1LCD(15) 상에 표시되거나 또는 제1LCD(15) 및 제2LCD(16) 양자 모두에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착신 호 화면의 표시 이외에, 음향, 진동, 광 또는 그 조합이 착신 호를 통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S24에서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로서 닫힌 상태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폐쇄-상태 센서(24)가 OFF에서 ON으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닫힌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7으로 진행된다.
단계 S37에서는, 발신이 계속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무선회로(22)가 착신 호를 수신 중이라면, 발신이 계속되는 것으로 판정된다. 발신이 계속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4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38로 진행된다. 즉, 무선회로(22)가 착신 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 상기 처리는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일단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5로 진행된다.
단계 S38에서는, 착신 호 이력을 통지하는 화면이 제2LCD(16) 상에 표시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 착신 호 이력을 통지하는 화면은 "착신 호" 메시지 및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호가 있었다는 것을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착신 호 이력을 통지하는 화면이 제2LCD(16)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는 제1LCD(15)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또는 제1LCD(15) 및 제2LCD(16) 양자 모두에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착신 호 이력을 통지하는 화면의 표시 이외에도, 발신이 있었다는 것을 통지하는데 광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S25에서, 무선회로(22)는 단말이 오프-훅을 취하게 한다. 그 결과, 라인이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하기 단계 S26에서는, 제1LCD(15) 상에 표시되는 제1표시화면이 EEPROM(33)에 저장되고, 하기 단계 S27에서는, 제2LCD(16) 상에 표시되는 제2표시화면이 EEPROM(33)에 저장된다. 그 후, 단계 S28에서, 발신 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로 통화할 수 있는 활성 호 상태로 휴대통신단말(1)이 이동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 후, 통화 처리가 연결된 라인 상에서 행해진다(단계 S29).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로 있으면서 착신 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단지 통화를 시작하도록 착신 호에 응답하기 위하여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이는 착신 호에 응답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단계 S30에서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로서 열린 상태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개방-상태 센서(23)가 OFF에서 ON으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열린 상태가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처리가 단계 S3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34로 진행된다.
단계 S34에서는, 온-훅 키가 눌려졌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온-훅 키가 눌려졌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3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29로 되돌아간다. 상기 온-훅 키는 하우징부(5) 상에 배치된 하드키일 수도 있고, 제1LCD(15) 상에 표시된 소프트키일 수도 있다.
즉,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열린 상태로 변경될 때까지, 또는 온-훅 키가 눌려질 때까지 호(call)가 계속된다. 호 도중 상대방이 라인 연결을 끊는 경우에는, 오프-훅 키가 단계 S34에서 눌려진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처리가 단계 S35로 진행될 수도 있다.
단계 S31에서는, 상기 단말이 온-훅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회로(22)가 전화 통화를 위해 연결된 라인을 끊도록 한다. 상기 단말은, 발신 시 닫힌 상태로 있었던 휴대통신단말(1)이 열린 상태로 변경될 때 온-훅 상태가 된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호를 종료할 수 있게 한다.
단계 S32에서는, 단계 S26에서 EEPROM(33)에 저장된 제1표시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되고, 하기 단계 S33에서는, 단계 S27에서 EEPROM(33)에 저장된 제2표시화면이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 상기 처리는 그 후에 종료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신 전에 제1LCD(15) 및 제2LCD(16) 상에 표시되어 있었던 화면들이 다시 표시되어, 발신 전에 사용자가 하고 있었던 일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단계 S34에서 온-훅 키가 눌려진 것으로 판정된다면, 단계 S35에서, 상기 단말이 온-훅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화 통화를 위해 연결된 라인을 무선회로(22)가 끊도록 한다.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할 필요없이, 사용자가 온-훅 키를 눌러 호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36에서는,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로서 열린 상태가 검출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다시 말해, 상기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개방-상태 센서(23)가 OFF에서 ON으로 변경되었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처리는 열린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36에서 NO), 일단 열린 상태가 검출되면(단계 S36에서 YES), 상기 처리는 단계 S32로 진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단계 S21에서 착신 호의 검출 시에 휴대통신단말(1)이 닫힌 상태로 있는 경우(단계 S22에서 NO), 단계 S39에서는, 착신통지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된다. 상기 착신통지화면은 "착신 호" 메시지 및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하기 단계 S40에서는, 오프-훅 키가 눌렸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오프-훅 키가 눌렸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1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5로 진행된다. 상기 오프-훅 키는 하우징부(5) 상에 배치된 하드키일 수도 있고, 또는 제1LCD(15) 상에 표시된 소프트키일 수도 있다. 즉, 무선회로(22)가 착신 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 상기 처리는 오프-훅 키가 눌려질 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처리는 오프-훅 키가 눌려질 때 단계 S41로 진행된다.
단계 S45에서는, 발신이 계속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발신이 계속된다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0으로 되돌아가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는 단계 S46으로 진행된다. 단계 S46에서는, 단계 S38에서와 같이, 착신 호 이력을 통지하는 화면이 제1LCD(15) 상에 표시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41에서, 무선회로(22)는 단말이 오프-훅을 취하도록 한다. 그 결과, 라인이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된 라인에 걸쳐 통화 처리가 수행된다(단계 S42). 오프-훅 키가 눌려지면,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되지 않더라도, 단말이 오프-훅 상태가 되어, 통화가 개시될 수 있게 된다.
단계 S43에서는, 온-훅 키가 눌려졌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온-훅 키가 눌려진 경우, 상기 처리는 단계 S44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처리가 단계 S42로 되돌아간다. 발신 시에 상대방이 라인을 끊는 경우에는, 온-훅 키가 단계 S43에서 눌려진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처리가 단계 S44로 진행될 수도 있다. 하기 단계 S44에서, 상기 단말은 온-훅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회로(22)가 전화 통화를 위해 연결된 라인을 끊도록 하고, 상기 처리가 종료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통신단말(1)에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착신 호가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통화를 시작하기 위하여 휴대통신단말(1)을 닫힌 상태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통화의 종료 후, 사용자가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열린 상태로 변경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발신 전에 제1LCD(15) 및 제2LCD(16) 상에 표시되어 있었던 화면들이 각각 제1LCD(15) 및 제2LCD(16) 상에 표시된다. 이는 사용자가 유예된 응용프로그램을 재개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통신단말(1)에 따르면,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가 수취되는 동안, 열린 상태가 검출 중이면서 전화번호가 수취된 이후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취된 전화번호로 발신된다. 이는 사용자가 휴대통신단말(1)의 상태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발신할 수 있게 한다.
열린 상태에서, 휴대통신단말(1)은 제1LCD(15)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의 목록 화면으로부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에 관련되는 관련 정보를 제2LCD(16) 상에 표시한다. 이는 호 목적지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착신 호가 열린 상태로 검출되는 경우, 휴대통신단말(1)은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오프-훅 상태가 된다. 이는 사용자가 그 상태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경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단말을 오프-훅 상태로 만들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의 항목들에 의해 한정되고, 청구범위의 항목들에 등가인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하한의 변형예들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6)

  1.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및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call destination)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에 의해 전화번호를 수취한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수취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린 상태에서, 폰북에 포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유저 식별 정보의 목록이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되고 있는 때에,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 중 선택된 것에 관한 관련 정보가 상기 제2표시수단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은, 상기 제1표시수단 상에 표시된 유저 식별 정보 가운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와 연관되는 전화번호를 수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와 관련된 스케줄 북 데이터, 및 상기 선택된 유저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유저와 주고 받는 이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4.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1 및 제2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표시수단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제2표시수단의 표시면이 상기 제1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제1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및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었던 동안, 착신 호(incoming call)가 검출된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을 오프-훅(off-hook) 시키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5.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조작부의 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조작부의 표면이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목적지번호수취수단에 의해 전화번호를 받은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수취한 전화번호로 호를 발신하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6. 휴대통신단말에 있어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수단은 조작부의 표면이 노출되는 열린(開) 상태와 상기 조작부의 표면이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커버되는 닫힌(閉) 상태 사이에서 상태의 변화가 있고;
    상기 표시수단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태검출수단;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는 상태에서 호 목적지의 전화번호를 수취하기 위한 목적지번호수취수단; 및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열린 상태가 검출되고 있었던 동안, 착신 호가 검출된 후, 상기 상태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닫힌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단말을 오프-훅 시키기 위한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단말.
KR1020107016762A 2007-12-28 2008-12-25 휴대통신단말 KR10107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340604 2007-12-28
JP2007340604A JP4565002B2 (ja) 2007-12-28 2007-12-28 携帯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755A true KR20100097755A (ko) 2010-09-03
KR101078008B1 KR101078008B1 (ko) 2011-10-28

Family

ID=4082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762A KR101078008B1 (ko) 2007-12-28 2008-12-25 휴대통신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326368B2 (ko)
JP (1) JP4565002B2 (ko)
KR (1) KR101078008B1 (ko)
WO (1) WO2009084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830B2 (ja) * 2009-05-26 2014-03-1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スライド制御プログラム
JP5268849B2 (ja) * 2009-09-30 2013-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電子機器
JP5227290B2 (ja) * 2009-10-28 2013-07-0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5295940B2 (ja) * 2009-12-11 2013-09-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5334832B2 (ja) * 2009-12-24 2013-11-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154592B2 (en) * 2010-02-05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2011205532A (ja) * 2010-03-26 2011-10-13 Kyocera Corp 携帯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477108B2 (ja) * 2010-03-29 2014-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274517B2 (ja) * 2010-06-24 2013-08-2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JP5628625B2 (ja) 2010-10-14 2014-11-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WO2012053516A1 (ja) 2010-10-18 2012-04-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588844B2 (ja) 2010-11-26 2014-09-1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679782B2 (ja) 2010-11-26 2015-03-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画面制御方法および画面制御プログラム
JP5643637B2 (ja) * 2010-12-24 2014-12-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2012174248A (ja) 2011-02-24 2012-09-10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接触操作制御方法および接触操作制御プログラム
JP5785753B2 (ja) 2011-03-25 2015-09-3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US8804148B2 (en) * 2011-09-26 2014-08-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same
JPWO2013111603A1 (ja) * 2012-01-27 2015-05-11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3182624A (ja) * 2012-03-01 2013-09-1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スケジュール表示プログラム
JP5518229B2 (ja) * 2013-04-01 2014-06-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US20140331166A1 (en) * 2013-05-06 2014-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stomize smartphone's system-wide progress bar with user-specified content
JP5693696B2 (ja) * 2013-11-27 2015-04-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18170612A (ja) * 2017-03-29 2018-11-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7183597B2 (ja) * 2018-07-12 2022-12-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レビュー画像表示装置及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5286A (en) * 1997-06-05 2000-09-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2044202A (ja) * 2000-07-24 2002-02-08 Tookado:Kk 携帯電話機の画像表示装置
KR100528715B1 (ko) * 2000-10-18 2005-11-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식 통신단말장치 및 자동발신방법
JP3939111B2 (ja) * 2001-06-08 2007-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着呼応答装置
JP2003134204A (ja) * 2001-10-26 2003-05-09 Nec Corp 携帯電話機
JP3910112B2 (ja) * 2002-06-21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2004056188A (ja) * 2002-07-16 2004-02-19 Bosu & K Consulting Kk 折り畳み式携帯電話
JP2004135177A (ja) * 2002-10-11 2004-04-30 Sharp Corp 携帯電話機
JP3883515B2 (ja) 2003-02-26 2007-02-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100631701B1 (ko) 2004-05-25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블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장치와 방법
US20060171524A1 (en) * 2004-07-22 2006-08-03 Toshiki Tsuchiya Collapsible mobile telephone device
KR100703275B1 (ko) 2005-02-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듀얼 액정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4665687B2 (ja) * 2005-09-26 2011-04-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WO2007105369A1 (ja) * 2006-03-10 2007-09-20 Nec Corporation 携帯電話機
JP4845558B2 (ja) * 2006-03-29 2011-12-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38489B2 (en) 2013-09-17
KR101078008B1 (ko) 2011-10-28
US20100285845A1 (en) 2010-11-11
US8326368B2 (en) 2012-12-04
JP4565002B2 (ja) 2010-10-20
JP2009164794A (ja) 2009-07-23
US20130065650A1 (en) 2013-03-14
WO2009084583A1 (ja)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008B1 (ko) 휴대통신단말
RU230591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рминала
US7366547B2 (en) Communications apparatus that displays data in a standby screen
US2004010222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0657520B1 (ko) 정보 단말 장치에서 파일 계층 구조의 탐색 방법
KR100849332B1 (ko) 이미지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EP2144424A1 (en) Mobile terminal with tilting display
KR10114296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JP2010068060A (ja) 通信機器、通信履歴表示方法および履歴表示プログラム
JP2005191834A (ja) 端末装置
KR1013640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JP3866032B2 (ja) 電子機器
JP2000022788A (ja) 携帯電話機
JP2007310650A (ja) 情報処理装置
JP5217371B2 (ja) 携帯電話機
KR1006218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 막대 표시 방법
JP5274517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7266982A (ja) 携帯情報端末
JP4308031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及び携帯電話端末
JP5518229B2 (ja) 携帯通信端末
JP2014168232A (ja) 携帯通信端末
JP2005079910A (ja) 無線通信装置
JP2004297648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メニュー表示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5174048B2 (ja) 携帯通信端末
KR101156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공통 단축키지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