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997A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997A
KR20100096997A KR1020090119543A KR20090119543A KR20100096997A KR 20100096997 A KR20100096997 A KR 20100096997A KR 1020090119543 A KR1020090119543 A KR 1020090119543A KR 20090119543 A KR20090119543 A KR 20090119543A KR 20100096997 A KR20100096997 A KR 2010009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ir
conveying
conveyance part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407B1 (ko
Inventor
준지 후지타
마사노리 데라오
신야 미와
리이치 가토
미노루 가도와키
신지 시바타
요우타 사사지마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1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52088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1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3292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1584A external-priority patent/JP527430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8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grippers, e.g. suction grippers
    • B65H5/12Revolving grippers, e.g. mounted on arms, fram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에서, 이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투입 또는 취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반송 중에서의 지폐 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지엽류 취급 장치는, 지엽류의 입출구와,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되는 지엽류를 협지(挾持)하여,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입출구를 통해 출입되는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다.
지엽류 취급 장치, 반송부, 가압판, 이동 기구, 지폐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에서 지엽류를 반송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폐나 장표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는, 예를 들면, 금융기관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로서, 입출구의 내측에, 지폐에 가압력을 가하는 판상 재료(가압판)와, 이 가압판과 평행하여 배치된 지폐반송용의 벨트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지폐반송용의 벨트에 의해 입금시에 삽입되는 지폐를 자동적으로 내부에 인입 또는 출금시에 지폐를 자동적으로 입출금 입구로부터 배출하므로,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폐의 삽입/취출을 행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3-192949호 공보
그러나, 반송용 벨트와 가압판의 위치 관계에 기인하여, 입출구의 내측에서 지폐의 휨이나 접힘이 발생하고, 삽입된 지폐를 장치 내에 조출(繰出)할 때에 지폐 잼(jam)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삽입된 지폐에 대하여 반송용 벨트의 배치 위치와 가압판의 배치 위치에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이 단차에 의해 지폐가 휘거나, 휜 상태로 지폐가 장치 내부에 조출되어 지폐 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지폐를 가지런히 하지 않고 삽입했을 경우나, 다량인 지폐 다발을 삽입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지폐 잼이 발생하는 우려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는, 지폐를 배출할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한하지 않고, 임의의 종류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 이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투입 또는 취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반송중에 있어서의 지폐 잼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례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례 1]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입출구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挾持)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 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적용례 1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는,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므로, 지엽류를 투입할 때에,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지엽류를 협지하여 내부에 반송할 수 있고,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 투입 후에,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투입된 지엽류를 가압판으로 협지할 수 있고, 장치 내부에 조출할 때에 지엽류의 휨이나 접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지엽류를 삽입할 때에, 많은 이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의 삽입을 두려워하는 나라에서는, 제 1 반송부와 제 2 반송부를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도록, 동작을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적용례 2] 적용례 1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판 간의 거리와 상기 한 쌍의 반 송부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한 쌍의 가압판과 한 쌍의 반송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 구성에 비교하여, 지엽류의 삽입/배출 방향의 지엽류 취급 장치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적용례 3] 적용례 1 또는 적용례 2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지엽류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협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엽류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지엽류는 한 쌍의 반송부에 접하고 있지 않고, 비교적 넓은 공간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이용자가 지엽류의 다발의 중앙 부분을 들어서 삽입 또는 취출하는 경우, 지엽류의 두께가 커지고 지엽류의 다발의 양단이 넓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넓어진 지엽류의 다발의 양단을 비교적 넓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지엽류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적용례 4] 적용례 1 내지 적용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지엽류가 연직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도록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엽류를 협지했을 때에, 지엽류와 지엽류 사이에 섞여든 경화 등의 이물을, 중력에 의해 낙하시켜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가 연직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지엽류의 하단을 임의의 평면(예를 들면, 밑바닥판 등)에 꽉 누름으로써, 지엽류의 하단을 용이하게 가지런히 정돈할 수 있다.
[적용례 5] 적용례 1 내지 적용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받아들이는 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삽입되는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하여 내부에 반송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에 지엽류가 이끌어 넣어지는 감각을 줄 수 있고,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가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한 쌍의 반송부를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엽류의 휨이나 접힘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례 6] 적용례 1 내지 적용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 치에 있어서, 더욱,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3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배출하기 전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1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입출구 방향으로 반송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하여 입출구방향으로 반송하므로, 이용자는 입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지엽류를 움켜쥐는 것으로,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가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한 쌍의 반송부를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지엽류가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때에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엽류의 휨이나 접힘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례 7] 적용례 1 내지 적용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각각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늘어선 복수의 벨트를 갖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지엽류를 복수의 벨트로 지지하면서 반송하므로, 반송중에서의 지엽류의 접힘이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례 8] 적용례 1 내지 적용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더욱, 상기 제 1 반송부에서의 상기 지엽류의 반송 구동력을 일으키는 구동원과, 상기 제 1 반송부를, 상기 제 2 반송부에 근접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반송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 1 반송부와 접합되어, 상기 제 1 반송부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원을 제 1 반송부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지엽류 취급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례 9]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지엽류 수입(受入)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입출구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고, a)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취입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c)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지엽류 수입 방법.
적용례 9의 지엽류 수입 방법에서는, 삽입되는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하여 내부에 반송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에게 지엽류가 이끌어 넣어지는 감각을 줄 수 있고,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가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었을 경우에, 한 쌍의 반송부를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엽류의 휨이나 접힘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례 10]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지엽류 배출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3 센서를 구비하고, (a)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c)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입출구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지엽류 배출 방법.
적용례 10의 지엽류 배출 방법에서는,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하여 입출구 방향으로 반송하므로, 이용자는 입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지엽류를 움켜 쥐는 것으로,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엽류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지엽류가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한 쌍의 반송부를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지엽류가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때에 지엽류를 한 쌍의 반송부에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지엽류의 휨이나 접힘을 억제할 수 있다.
A. 제 1 실시예:
A1. 장치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 장치의 1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현금(지폐)의 예입이나 인출이나 불입 등의 거래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하우징(101)의 내부에, 지폐 입출금기(10)와, 금고 하우징(106)과, 카드/명세표처리 기구(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금 자 동 거래 장치(500)는, 하우징 전면(前面)에, 카드 슬롯(103)과, 고객 조작부(105)와, 입출금구(21)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기(10)는, 지폐의 받아들이거나(수입(受入)하거나) 배출을 실행한다. 지폐 입출금기(10)는, 하부에 지폐를 수납하는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지폐수납 기구는 금고 하우징(106)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금고 하우징(106)은, 두터운 금속판(예를 들면, 50밀리미터(millimeter)정도의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드/명세표처리 기구(102)는, 카드 슬롯(103)과 연통하여 있고, 삽입된 이용자의 캐시카드(cash card)를 처리하고, 또한, 거래 명세서를 인자해서 배출한다. 카드 슬롯(103)은, 이용자의 캐시카드의 수납/배출을 실행한다. 고객 조작부(105)는 터치 패널 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거래를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한다. 입출금구(21)는 이용자가 지폐를 투입할 때, 및 이용자에 대하여 지폐를 배출할 때에 이용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폐 입출금기(10)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지폐 입출금기(10)는,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반송 기구(10a)는, 입출금 기구(20)와, 지폐 판별부(30)와, 일시 보관고(40)와, 찾아놓고 잊어버린 권 회수고(61)와, 가짜권 회수고(62), 장전/회수고(63)와, 6개의 전환 게이트(50a∼50f)와, 지폐 반송로(화살표로 나타냄)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금기구(20)는, 도 1에 나타낸 입출구(21)를 통하여 삽입되는 지폐를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 내부에 받아 넣고, 또한, 이용자에 대하여 입출금구(21)를 통하여 지폐를 배출한다. 지폐 판별부(30)는, 지폐의 돈 종류 및 진위를 판단한다. 일시 보관고(40)는, 삽입된 지폐 및 배출하는 지폐를 거래가 성립할 때까지의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찾아놓고 잊어버린 권 회수고(61)는, 입금시 또는 출금시에 이용자가 찾아놓고 잊어버린 지폐를 수납한다. 가짜권 회수고(62)는, 지폐 판별부(30)에서 가짜권으로 판별된 지폐를 수납한다. 장전/회수고(63)는, 후술하는 리사이클고(庫)(81, 82)에 보충하는 지폐나, 리사이클고(81, 82)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한다. 6개의 전환 게이트(50a∼50f)는 지폐의 반송 루트를 전환한다.
하부 반송 기구(10b)는, 상부 반송 기구(10a)의 아래쪽에서, 금고 하우징(106)에 둘러싸여 배치되어 있다. 하부 반송 기구(10b)는, 입금고(60)와, 2개의 출금고(71, 72)와, 2개의 리사이클고(81, 82)와, 리젝트고(83)와, 5개의 전환 게이트(50g∼50k)와, 지폐 반송로(화살표로 표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입금고(60)는 입금시에 거래가 성립한 지폐를 수납한다. 2개의 출금고(71, 72)는 출금용의 지폐를 수납한다. 2개의 리사이클고(81, 82)는 입금고 및 출금고를 겸용한다. 리젝트고(83)는 출금에 불적절한 지폐(예를 들면, 찢어지거나 접힌 지폐)를 수납한다. 5개의 전환 게이트(50g∼50k)는 상술한 6개의 전환 게이트(50a∼50f)와 같이, 지폐의 반송 루트를 전환한다.
상술한 상부 반송 기구(10a) 내의 지폐 반송로 및 하부 반송 기구(10b) 내의 지폐 반송로는, 모두, 지폐를 보유하기 위한 벨트(도시 생략)와,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롤러(도시 생략)와,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와, 벨트를 지 지하는 풀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 롤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개의 모터에 의해 복수의 롤러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부 반송 기구(10a) 내의 지폐 반송로와, 하부 반송 기구(10b)의 지폐 반송로와는, 금고 하우징(106)의 상면에 마련되어진 슬릿(SL)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고, 지폐는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 사이를 쌍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반송 기구(10b)가 금고 하우징(106)에 의해서 둘러싸여,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가 슬릿(SL)에서만 연통하고 있는 것은, 입금고(60) 등의 다량의 지폐를 수납하는 부분을 강고(强固)하게 보호하여, 보안을 높이기 위해서다.
상술한 상부 반송 기구(10a) 및 하부 반송 기구(10b)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는, 제어 회로(3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3은 제어 회로(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 도이다. 제어 회로(300)는, 메모리(312)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313)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312)은, ROM(Read 0nly Memory)나 RAM(Random Access Memory)로 이루어진다. CPU(313) 는, 메모리(312)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주제어부(320)와, 입금고 제어부(321)와, 리젝트고 제어부(322)와, 출금고 제어부(323)와, 리사이클고 제어부(324)와, 지폐 반송로 제어부(325)와, 전환 게이트 제어부(326)와, 조작 제어부(327)와, 입출금 제어부(328)와, 판별 제어부(329)와, 일시 보관고 제어부(330)와, 찾아놓고 잊어버린권 회수고 제어부(331)와, 가짜권 회수고 제어부(332)와, 장전/회수고 제어부(333)로서 기능한다.
주제어부(320)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 전체의 제어를 실행한다. 입금 고 제어부(321)는, 입금고(60)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리젝트고 제어부(322)는, 리젝트고(83)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출금고 제어부(323)는, 2개의 출금고(71, 7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리사이클고 제어부(324)는, 2개의 리사이클고(81, 8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지폐 반송로 제어부(325)는 지폐 반송로를 구성하는 모터(도시 생략)를 제어한다. 전환 게이트 제어부(326)는 11개의 전환 게이트(50a∼50k)를 제어한다. 조작 제어부(327)는 고객 조작부(105)를 제어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입출금기구(20)를 제어한다. 판별 제어부(329)는 지폐 판별부(30)를 제어한다. 일시 보관고 제어부(330)는 일시 보관고(40)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회수 고 제어부(331)는 회수고(61)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가짜권 회수고 제어부(332)는 가짜권 회수고(6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장전/회수고 제어부(333)는 장전/회수고(63)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도 4는 입출금 기구(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입출금 기구(20)는, 셔터(201)와, 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과, 앞측 클램프 기구(403)와, 뒤측 클램프 기구(402)와, 경계판(600)과, 밑바닥판(208)과, 이물 받이 상자(602)와, 스톱퍼(214)와, 3개의 액추에이터(A1∼A3), A6과, 3개의 센서(S1∼S3)와, 피크 롤러(r1)와 분리 롤러(r2)와, 게이트 롤러(r3)와, 스택 롤러(r4)를 구 비하고 있다. 입출금 기구(20)는 중력방향(연직방향)에 대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셔터(201)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 내에의 비나 먼지나 이물 등의 침입을 억제한다. 셔터(201)는 입출금구(21)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지폐의 삽입 방향(이하 「입금 방향」이라고 함) 및 지폐의 배출 방향(이하 「출금 방향」이라고 함)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측 가압판(203)은, 입출금구(21)로부터 삽입되는 지폐(도시 생략)와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판상부재이다. 앞측 가압판(203)은, 도 4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입출금구(21)에 가까운 측의 가장자리)를 축으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측 가압판(203)의 배치 위치로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뒤측 가압판(202)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이하 「입금 위치」라고 함)와, 파선으로 나타내는 뒤측 가압판(202)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이하 「취입 위치」라고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앞측 가압판(203)의 이동은,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앞측」은 이용자에게서 보았을 때의 앞측을 의미한다.
뒤측 가압판(202)은 앞측 가압판(203)과 동일한 판상부재이며, 앞측 가압판(203)과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뒤측 가압판(202)은 도 4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셔터(201)와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뒤측 가압판(202)의 배치 위치로서, 실선으로 나타낸 앞측 가압판(203)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이하 「입금 위치」라고 함)와, 파선으로 나타낸 앞측 가압판(203)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이하 「취입 위치」라고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앞측 가압판(203)의 슬라이드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행하여진다. 앞측 가압판(203) 및 뒤측 가압판(202)은, 삽입된 지폐에 대하여 적당한 가압력을 더할 수 있다. 한편, 「뒤측」은 이용자에게서 보았을 때의 뒤측을 의미한다.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지폐 반송용의 벨트(클램프 벨트)와, 이 클램프 벨트를 구동하는 풀리와, 벨트를 지지하는 풀리(예를 들면, 도 4의 풀리(p3))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벨트는, 지폐를 받아들이는 방향과 지폐를 배출하는 방향의 어느쪽 방향으로도 구동한다. 도 4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같이,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일부는 풀리(p3)를 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배치 위치로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에 비교적 가까운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입금 위치」라고 함)와, 뒤측 클램프 기구(402)로부터 비교적 먼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퇴피 위치」라고 함)와, 도시하지 않는 방출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이동은, 액추에이터(A6)에 의해 행하여진다. 한편,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도 4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배치 위치로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와 접하는 위치(도시 생략, 이하 「협지 위치」라고 함)와, 앞측 클램프 기구(403)에 비교적 가까운 실선으로 나타 낸 위치(이하 「방출 위치」라고 함)와, 앞측 클램프 기구(403)로부터 비교적 먼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퇴피 위치」라고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후측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앞측 클램프 기구(403)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는,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서, 지폐를 협지하여 입금 방향 또는 출금 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내측(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 사이)과, 외측(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을 끼우는 위치)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은 겹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앞측 클램프 기구(403)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각각 대응하는 가압판에 마련되어진 노치(도시 생략)에 받아들여진다.
경계판(600)은 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 사이에서, 이들 가압판(202, 203)과 평행하게 배치된 판상 부재다. 경계판(600)은 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 사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경계판(600)의 슬라이드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하여진다. 밑바닥판(208)은, 슬릿을 갖는 판상 부재이며, 입출금구(21)로부터 삽입되는 지폐를 통하여 입출금구(21)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한 쌍의 가압판(202, 203)과,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밑바닥판(208)과, 도시하지 않은 횡판(橫板)에 의해, 지폐 유치 영역(Ra)이 형성된다. 이 지폐 유치 영역(Ra)은 입출금구(21)로부터 투입된 지폐 또는 입출금구(21)로부터 배출하는 지폐를 일시적으로 담아 두는 영역이다.
이물 받이 상자(60)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 유치 영역(Ra)에 들어가고, 밑바닥판(208)의 슬릿을 통해서 낙하하는 이물을 집적한다. 스톱퍼(214)는 입출금구(21)를 통하여 투입되는 지폐를 받아낸다. 이 스톱퍼(214)는 셔터(201)와 평행하게 슬라이드 가능하며, 지폐 유치 영역(Ra)에 노출하는 위치(이하 「입금 위치」라고 함)와, 지폐 유치 영역(Ra)에 노출하지 않는 위치(이하 「퇴피 위치」라고 함)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초기 상태에 있어서, 스톱퍼(214)는 도 4에 나타낸 입금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톱퍼(214)의 배치 위치는, 입출금구(21)로부터 스톱퍼(214)까지의 거리가, 삽입되는 지폐의 높이 방향(입금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아지도록 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액추에이터(A1)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를 구성하는 풀리를 구동하여, 벨트를 구동한다. 액추에이터(A2)는 스톱퍼(214)를 슬라이드 시킨다. 액추에이터(A3)는 셔터(201)를 슬라이드 시킨다. 액추에이터(A6)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일부를 이동시킨다.
3개의 센서(S1∼S3)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S1∼S3) 중, 센서(S1)는 입출금구(21)에 가장 근접하고, 센서(S3)는 입출금구(21)로부터 가장 떨어지고 있고, 센서(S2)는 2개의 센서(S1, S3)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센서(S1∼S3)는 모두 한 쌍의 광원 및 수광부를 갖는 광학 센서이다. 이들의 센서(S1∼S3)에 있어서, 각각 광이 차폐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지폐 유치 영역(Ra)에서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다.
피크 롤러(r1)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된 지폐를 1장씩 피크(pick) 한다. 분리 롤러(r2)는 피크 롤러(r1)에 의해 피크 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 내에 조출한다. 게이트 롤러(r3)는 분리 롤러(r2)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지폐를 겹쳐서 송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스택 롤러(r4)는 지폐 반송로를 통하여 반송되어 온 지폐를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반입한다.
도 5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와, 지지판 부재(417)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와, 구동 샤프트(430)와, 6개의 풀리(421∼426)와,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뒤측 클램프 기구(402) 이외의 구성 요소(2장의 프레임(603, 604)과, 제 1 구동 풀리(450)와, 구동 벨트(460)와, 제 2 구동 풀리(451)와 2개의 액추에이터(A4, A5)도 맞춰서 기재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15)는 2장의 프레임(603, 604) 사이에 있어서, 이들 프레임(603, 604)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양단은, 2개의 프레임(603, 604)와 평행한 굴곡부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중앙에는 コ자형(字形)으로 굴곡한 지지판 부재(417)가 접합되어 있고, 이 지지판 부재(417)는 4개의 풀리(421, 422, 424, 425)를 지지한다. 슬라이드 플 레이트(420)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가장자리에 마련되어진 굴곡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판상 부재이다.
구동 샤프트(430)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주형 부재이다. 이 구동 샤프트(430)는, 2장의 프레임(603, 604)과,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와,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양단의 굴곡부와, 2개의 풀리(421, 424)를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430)의 일단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를 통하여 프레임(604)이 갖는 슬릿(도시 생략)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고, 타단은 프레임(603)이 갖는 슬릿(605)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풀리(421)와 풀리(422)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422)와 풀리(423)는 입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411)는 이들의 3개의 풀리(421∼423)에 건너 걸려져 있다. 풀리(24)는 구동 샤프트(430)를 따라서 풀리(421)로부터 소정의 거리만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풀리(424)와 풀리(425)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425)와 풀리(426)는, 입금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412)는 이들의 3개의 풀리(424∼426)에 건너 걸려져 있다. 한편, 풀리(422) 및 풀리(425)는 도 4에서의 풀리(p2)에 상당한다.
2개의 풀리(421, 424)는 구동 샤프트(430) 중, 2장의 프레임(603, 604) 사이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는 삽입되는 지폐(Ca)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풀리(423)는 풀리(422)를 축으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풀리(423)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대향하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한편, 지폐가 삽입될 경우 혹은 지폐가 배출될 경우에는, 풀리(423)은, 지폐의 두께에 따라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풀리(423)는 지폐에 대하여 가압력을 더한다. 풀리(426)는, 상술한 풀리(42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장의 프레임(603, 604)은 모두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의 얇은 판 부재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603)은, 긴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릿(60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프레임(604)도 프레임(603)과 같은 위치에 슬릿을 가지고 있지만, 도시의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604)의 위쪽 반도 도시의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이들의 2장의 프레임(603, 604)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2장의 프레임(603, 604) 사이의 거리는, 삽입되는 지폐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다.
프레임(604)에는 제 1 구동 풀리(450, 451)가 부착되고, 구동 벨트(460)는, 이들 2개의 구동 풀리(450, 451)에 건너 걸쳐져 있다. 액추에이터(A4)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 및 2개의 프레임(603, 604)과는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A5)는, 프레임(60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슬릿(605)을 통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구동 풀리(450)는 액추에이터(A4)와 접속되어 있고, 액추에이터(A4)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액추에이터(A4)는 제 1 구동 풀리(450)를 어느쪽의 방향으 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벨트(460)는 제 1 구동 풀리(450)의 구동을 따라서 구동한다. 제 2 구동 풀리(451)는 프레임(604) 측의 구동 샤프트(430)의 선단(先端)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구동 풀리(451)는 구동 벨트(460)에 감겨져 있고, 구동 벨트(460)의 구동을 따라서 회전 구동한다.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샤프트(430)는 제 2 구동 풀리(451)의 회전을 따라서 회전 구동한다. 그렇게 하면, 구동 샤프트(430)에 부착된 2개의 풀리(421, 424)는 구동 샤프트(430)의 회전을 따라서 서로 동기해서 구동한다. 이들 2개의 풀리(421, 424)의 구동에 따라서,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가 구동한다. 이때,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는, 제 1 구동 풀리(450)의 구동 방향에 따라, 삽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이는(수입(受入)) 방향(이하, 단순히「수입 방향」이라고 함)과, 지폐를 배출하는 방향(이하, 단지 「배출 방향」이라고 함)의 어는 방향으로도 구동할 수 있다.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5)는, 가이드 플레이트(415)를 슬릿(605)을 따라 입금 방향과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 샤프트(430) 및 지지판 부재(417)도 슬라이드 한다. 지지판 부재(417)의 슬라이드에 따라, 6개의 풀리(421∼426)나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도 슬라이드 한다. 또한, 구동 샤프트(430)의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구동 샤프트(430)의 선단에 접합된 제 2 구동 풀리(451)도 슬라이드 한다. 여기서, 제 2 구동 풀리(451)는, 구동 벨트(460)에 감겨 있는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 샤프 트(430)가 슬라이드 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경우에도, 액추에이터(A4)의 구동력은, 제 2 구동 풀리(451)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430)에 전해진다.
도 6은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지지판 부재(714)와, 제 1 구동 샤프트(770)와, 제 2 구동 샤프트(771)와, 제 3 구동 샤프트(733)와, 10개의 풀리(722∼725, 730, 731, 750∼753)와,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와, 제 1 구동 벨트(760)와, 제 2 구동 벨트(762)와, 제 3 구동 벨트(7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측 클램프 기구(403) 이외의 구성 요소(2장의 프레임(703, 704)과, 2개의 액추에이터(A1, A6)도 맞춰서 기재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는, 2장의 프레임(703, 704)의 사이에서, 이들 프레임(703, 704)과 수바로 아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양단은, 2장의 프레임(703, 704)과 평행한 굴곡부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중앙에는 コ자형(字形)으로 굴곡한 지지판 부재(714)가 접합되어 있고, 이 지지판 부재(714)는, 4개의 풀리(722∼725)를 지지한다. 한편, 2개의 풀리(723, 725)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판 부재(714)와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2개의 굴곡부의 선단은, 제 1 구동 샤프트(7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주형 부재이다. 이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2개의 풀리(751, 753)를 관통해서 배치되고, 2장의 플레임(703, 70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긴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축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2개의 풀리(751, 753)는 도 4에 나타낸 풀리(p3)에 상당한다. 제 2 구동 샤프트(771)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주형 부재이다. 제 2 구동 샤프트(771)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굴곡부와, 지지판 부재(714)와, 풀리(730)를 관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동 샤프트(771)의 일단은 풀리(752)와 접속되고, 타단은 프레임(703)이 갖는 슬릿(705)으로부터 돌출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705)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 제 2 구동 샤프트(771)의 가장자리에는, 액추에이터(A6)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구동 샤프트(733)는, 지지판 부재(714)의 선단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구동 샤프트(733)는 중간위치에서 풀리(731)를 관통하고, 일단(一端) 부근에서 풀리(722)를 타단 부근에서 풀리(724)를 각각 관통하고 있다.
풀리(722)와 풀리(723)는 입금 방향 및 출금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727)는 이들의 풀리(722, 723)에 건너 걸쳐져 있다. 마찬가지로, 풀리(724)와 풀리(725)는, 입금 방향 및 출금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에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728)는, 이들의 풀리(724, 725)에 건너 걸쳐져 있다.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는 2장의 프레임(703, 704) 사이의 중간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되는 지폐(Cb)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제 3 구동 벨트(32)는, 2개의 풀리(731, 730)에 건너 걸쳐져 있다.
제 1 구동 벨트(760)는 2개의 풀리(750, 751)에 건너 걸쳐져 있다. 풀 리(750)에는 액추에이터(A1)가 접속되고, 액추에이터(A1)는 풀리(750)를 구동한다. 제 2 구동 벨트(762)는 2개의 풀리(752, 753)에 건너 걸쳐져 있다.
풀리(723)는 풀리(722)를 축으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풀리(723)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 대향하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한편, 지폐가 삽입될 경우 혹 지폐가 배출될 경우에는, 풀리(723)는 지폐의 두께에 따라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풀리(723)는 지폐에 대하여 가압력을 더한다. 풀리(725)는 상술한 풀리(72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장의 프레임(703, 704)은 모두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의 얇은 판 부재이다. 프레임(703)은, 원호 상(狀)의 슬릿(705)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시의 편의상, 프레임(704) 위쪽 반을 생략하고 있다. 이들의 2장의 프레임(703, 704)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장의 프레임(703, 704) 사이의 거리는, 삽입되는 지폐(Cb)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1)에 의해 풀리(750)가 구동되면, 제 1 구동 벨트(760)를 통하여 풀리(751)가 회전한다. 풀리(751)의 회전을 따라 제 1 구동 샤프트(770)가 회전하므로, 제 1 구동 샤프트에 부착된 풀리(753)도 동기하여 회전하고, 제 2 구동 벨트(762)가 구동한다. 제 2 구동 벨트(762)의 구동력은, 풀리(752)와 제 2 구동 샤프트(771)와 풀리(730)에 전달되고, 제 3 구동 벨트(732)가 구동한다. 제 3 구동 벨트(732)의 구동을 따라 서 풀리(731)를 통하여 제 3 구동 샤프트(733)가 회전하므로, 2개의 풀리(722, 724)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한다. 이들 2개의 722, 724의 구동에 따라,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가 구동한다. 이때,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는 풀리(750)의 구동 방향에 따라, 수입 방향 및 배출 방향 중 어느 쪽의 방향에도 구동할 수 있다.
앞측 클램프 기구(403) 전체의 이동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6)는, 제 2 구동 샤프트(71)를 슬릿(705)에 따라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715) 및 지지판 부재(714)가 제 1 구동 샤프트(770)를 축으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 전체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앞측 클램프 기구(403)가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액추에이터(A1)에 의한 구동력은 상술한 경로에서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에 전해진다. 따라서, 이들 클램프 벨트(727, 728)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가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삽입되는(또는 배출하는)지폐(Cb)를 반송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청구항에서의 한 쌍의 반송부에 상당한다. 또한, 2개의 액추에이터(A5, A6)는 청구항에서 이동 기구에, 구동 샤프트(430)는 청구항에서 전달부에, 센서S1∼S3 및 입출금 제어부(328)는 청구항에서의 검지부에 입출금 제어부(328)는 청구항에서의 판정부 및 이동량 측정부에, 각각 상당한다.
A2. 입금시에서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
이하,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받아들이는(수입하는) 예로서, 입금시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도 1)에서 입금 거래 메뉴를 선택하면, 입출금 기구(20)에서 지폐 수입 처리가 개시된다. 한편, 지폐 수입 처리의 실행 전에 있어서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은 모두 취입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모두 퇴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입출금 기구(20)에서 실행되는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먼저, 입출금 제어부(328)(도3)는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한 쌍의 가압판(202, 203)(도 4)을 각각 입금 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05).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6)(도 4)를 제어해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를 입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액추에이터(A5)(도 5)를 제어해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를 협지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110). 이때,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클램프 벨트)는 하단의 풀리 부분에서 서로 당접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2)(도 4)를 제어하고, 스톱퍼(214)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15).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3)(도 4)를 제어하고, 셔터(201)를 개방한다(스텝 S120).
셔터(201)가 개방되면, 이용자는, 입출금구(21)(도 1)에 지폐를 삽입할 수 있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가 삽입된 것인가 아닌가를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해 판단하고, 지폐가 삽입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25). 지폐가 삽입되면,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되고, 수광부의 출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입출금 제어 부(328)는, 이때 수광부의 출력 값의 변화에 의해 지폐의 삽입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지폐가 삽입된 것으로 판정하면,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4)(도 5)를 제어하여, 클램프 벨트(411, 412)를 수입 방향으로 구동한다(스텝 S130).
도 8은 스텝 S130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나타낸 제 1 설명도이다. 도 8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스택 롤러(r4) 등의 일부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압판(202, 203) 및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가 모두 입금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한 쌍의 가압판(202, 20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하방에 위치하는 풀리(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풀리(423, 426)의 위치에서 접촉해서 V자형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벨트(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클램프 벨트(411, 412))는 수입 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입출금구(21)에 지폐(C1)를 삽입하자마자, 지폐가 맞닿는 감각과, 지폐가 이끌어 넣어지는 감각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이용자가 손으로부터 지폐를 높으면, 지폐는 자동적으로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에 취입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 유치 영역(Ra)의 내부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폐를 투입할 수 있다.
도 9는 스텝 S130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나타낸 제 2 설명도이다. 도 9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셔터(201)나, 앞측 클램프 기구(403)에서의 프레임(703, 704) 등의 일부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많은 지폐를 투입할 경우, 지폐 다발의 두께가 커지고, 또한, 이용자가 지폐 다발의 중앙을 드는 경우 많아지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되는 지폐 다발의 양단이 넓어진다. 여기에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2개의 클램프 벨트는 앞측 가압판(203)보다 지폐(C1) 측에 돌출하고 있고,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2개의 클램프 벨트는 뒤측 가압판(202)보다도 지폐(C1) 측에 돌출하고 있다. 또한,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2개의 클램프 벨트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2개의 클램프 벨트는 ㅈ지폐(C1)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협지한다. 따라서, 지폐 다발의 양단은, 앞측 가압판(203)과 뒤측 가압판(202)으로 끼워진 비교적 넓은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되고, 지폐 다발의 양단이 퍼졌을 경우에도 이용자는 지폐를 투입하기 쉽다.
상술한 스텝 S130 후에,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 유치 영역(Ra)에의 지폐투입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2개의 센서(S1, S3)의 출력에 근거하여 판단하고, 지폐의 투입이 완료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35). 지폐의 투입이 완료한 경우, 센서(S1)에서 광은 차단되지 않고, 센서(S3)에 있어서 광이 차단된다. 따라서, 입출금 제어부(328)는 이들 센서 S1, S3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의 투입 완료를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센서 S1만을 이용하여, 광이 차단된 상태로부터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 변화된 것을 검지해서 지폐의 투입 완료를 판정할 수도 있다. 또한, 센서S3만을 이용하여, 광이 차단되지 않는 상태로부터 차단된 상태로 변화된 것을 검지해서 지폐의 투입 완료를 판정할 수도 있다.
지폐의 투입이 완료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35: YES),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4)(도 5)를 제어하고, 클램프 벨트(411, 412)의 구동을 정지시킨다(스 텝 S140).
입출금 제어부(328)는 액추에이터(A3)(도 4)를 제어하여, 셔터(201)를 닫는다(스텝 S145). 입출금 제어부(328)는 도시하지 않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해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액추에이터(A5)(도 5)를 제어해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50). 입출금 제어부(328)는 도시하지 않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한 쌍의 가압판(202, 203)(도 4)을 각각 취입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155). 한편, 뒤측 가압판(202)을, 취입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 입금 위치 그대로 할 수도 있다.
이때, 투입한 지폐는 지폐 유치 영역(Ra)에서 밑바닥판(208)에 접해서 선 상태로 집적된다. 따라서, 지폐 다발이 기울어서 삽입되었을 경우에도,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집적되었을 때에, 지폐의 경사는 해소된다. 또한, 지폐 사이에 경화 등의 이물이 섞여들어 왔을 경우에도, 이물은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서 중력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밑바닥판(208)을 통해서 이물 받이 상자(602)에 집적되는 것으로 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피크 롤러(r1)를 구동하여,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집적된 지폐를 피크하고, 분리 롤러(r2)와 게이트 롤러(r3) 사이를 통해서 지폐 반송로에 지폐를 조출시킨다(스텝 S160).
상술한 스텝 S160을 실행할 때에,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앞측 가압판(203)보다 외측(앞측 가압판(203)을 통하여 지폐와는 반대측)으로 퇴피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집적된 지폐(C1)는 중력을 따라서 앞측 가 압판(203)에 면해서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지폐(C1)는 요철이 없는 면에서 지지된다. 그 때문에, 지폐(C1)의 접힘이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폐(C1)의 휨이 발생한 상태로, 지폐(C1)가 분리 롤러(r2)와 게이트 롤러(r3) 사이를 반송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지폐 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A3. 출금시에서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
이하, 출금이나 입금 취소하는 등의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방출하는 일예로서, 출금시에서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도 1)에서 금액을 지정하고 출금(지불) 메뉴를 선택하면, 지정된 금액의 지폐가 2개의 출금고(71, 72)의 리사이클고(81, 82)로부터 배출되고, 지폐 반송로를 통해서 입출금 기구(20)에 반송된다. 또한, 입출금 기구(20)에서 지폐 배출 처리가 개시된다.
도 10은 입출금 기구(20)에서 실행되는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먼저, 입출금 제어부(328)(도 3)는 도시하지 않는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고, 한 쌍의 가압판(202, 203)(도 4)을 각각 취입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205). 입출금 제어부(328)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210).
입출금 제어부(328)는 스톱퍼(21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스텝 S215), 또한, 스톱퍼 롤러(r4)를 구동해서 지폐 반송로로부터 보내져 온 지폐를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한다(스텝 S220). 지폐가 집적되면,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을 방출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225). 이때, 지폐 다 발의 두께가 클 경우에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방출 위치에 이르기 전에 지폐 다발에 맞부딪쳐서 정지한다. 한편,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 유치 영역(Ra)에서의 지폐의 집적을, 예를 들면, 센서(S3)나 센서(S2)를 이용해서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셔터(201)를 개방하고(스텝 S230), 클램프 벨트(411, 412)를 배출 방향으로 구동한다(스텝 S235). 이때,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의 배출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센서(S3)의 출력에 근거하여 판단하고(스텝 S240), 배출이 완료할 때까지 클램프 벨트를 구동한다. 지폐의 배출이 완료한 상태는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로부터 노출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센서(S3)에서 광이 차단되지 않게 되므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이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지폐의 배출이 완료한 것을 판정할 수 있다.
도 11은 스텝(S235)을 실행한 직후에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앞측 클램프 기구(403)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각각 도 11에 나타낸 방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방출 위치에서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앞측 가압판(203)보다도 내측(지폐(C2) 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뒤측 가압판(202)보다도 내측으로 돌출하여,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된 지폐(C2)를 협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폐(C2)의 일부가 입출금구(21)로부터 노출할 때까지, 앞측 클램프 기구(403)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반송용의 클램프 벨트가 배출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를 정지한다(도 10 스텝 S245). 입출금 제어부(328)는 이용자에 의해 지폐가 빼내진 것인가 아닌가를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하여 판단하고(스텝 S250), 빼내는 것이 완료할 때까지 대기한다. 지폐가 빼내졌을 경우, 센서(S1)에서 광은 차단되지 않게 되므로 수광부의 출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입출금 제어부(328)는 이 때의 수광부의 출력 변화에 의해 지폐의 빼냄 완료를 검지할 수 있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의 빼냄이 완료했다고 판단하면, 셔터(201)를 닫는다(스텝 S25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에서는, 입금시에 있어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에 이동해서 한 쌍의 가압판(202, 203) 사이에 위치하고, 삽입되는 지폐를 협지하여 내부에 반송하므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폐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출금시에 있어서도,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해서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외측에 위치하고, 지폐를 보유해서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에 노출하는 위치까지 반송하므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지 않고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에 조출할 때에,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앞측 가압판(203) 보다도 외측(앞측 가압판(203)을 통하여 지폐와는 반대측)에 퇴피하고 있다. 따라서, 지폐는 앞측 가압판(203)에만 접하고, 지폐 다발의 휨이나 접힘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지폐 다발이 지폐 유치 영역(Ra)으로부터 지폐 반 송로에 조출할 때에 있어서의 지폐 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은, 겹쳐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지폐 유치 영역(Ra)의 깊이(입금/출금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입출금 기구(2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입금시에서,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는, 서로 하단의 풀리 위치에서 접촉해서 V자형에 배치되므로, 이용자에게 지폐가 맞부딪치는 감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지폐의 삽입시에 있어서 안심하고 지폐를 손 뗄 수 있게 된다. 또한, 삽입되는 지폐 다발이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 사이에서 맞부딪치므로, 적어도 삽입 방향에 대한 지폐의 경사를 해소할 수 있고, 지폐 다발을 맞춰서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V자형 배치에 의해, 입출금구(21)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2개의 클램프 기구(402, 403) 사이가 비교적 넓어진다. 따라서, 많은 지폐를 삽입할 경우에 있어서, 이용자는 용이하게 지폐 다발을 입출금구(21)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는 모두 지폐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협지하고, 지폐의 양단에는 한 쌍의 가압판(202, 203)에 의해 끼워진 넓은 공간이 생기므로, 지폐 다발의 두께가 커지고 지폐 다발의 양단이 넓어진 경우라도, 이용자는 용이하게 지폐 다발을 삽입할 수 있다.
B. 제 2 실시예:
도 12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이며, 도 1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 이다.
제 2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 수입 처리에 있어서, 스텝 S110을 대신하여, 스텝 S110a를 실행하는 점과, 스텝 S115를 생략하는 점과, 스텝 S125를 대신하여 스텝 S125a를 실행하는 점과, 스텝 S116, S126, S128을 추가해서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도 1)와 다른,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제 2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지폐가 입출금구(21)로부터 삽입될 때에,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접촉해서 배치하지 않고, 또한,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스톱퍼(214)를 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스텝(S105)을 실행한 후, 입출금 제어부(328)는, 제 1 실시예와 다르고,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 중, 앞측 클램프 기구(403)만을 입금 위치에 이동시킨다(스텝 S110a). 따라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퇴피 위치에 배치된 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이들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사이가 비교적 넓어진다.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셔터(201)를 개방한다(스텝 S120).
이때, 스톱퍼(214)는, 입금 위치 그대로이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고,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스톱퍼(214)의 배치 위치는, 입출금구(21)로부터 스톱퍼(214) 까지의 거리가, 삽입되는 지폐의 높이 방향(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보다도 짧아지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삽입하지 않고 지폐를 스 톱퍼(214)에 부딪히게 할 수 있다. 또한, 지폐삽입시에 있어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와 뒤측 클램프 기구(402) 사이는 넓기 때문에, 이용자는 용이하게 입출금구(21)에 지폐 다발을 삽입할 수 있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지폐가 스톱퍼(214)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센서(S2)의 출력에 의해 판정하고, 지폐가 스톱퍼(214)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 S125a). 지폐가 스톱퍼(214)에 도달하면 센서(S2)의 광은 차단되므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이때 수광부의 출력 변화에 의해, 지폐가 스톱퍼(214)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 있다. 지폐가 스톱퍼(214)에 도달한 것으로 판정하면, 입출금 제어부(328)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를 협지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S126).
도 14는 제 2 실시예에서, 스텝 S126을 실행한 후의 입출금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스택 롤러(r4) 등의 일부 요소를 생략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 다발(C3)의 밑바닥은, 스톱퍼(214)에 맞부딪치고 있다. 따라서, 삽입 방향에 대한 지폐 다발(C3)의 벗어남은 해소되어 있다. 한편, 지폐 다발(C3)의 하단은 앞측 클램프 기구(403)와 뒤측 클램프 기구(402)로 협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스톱퍼(21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2 스텝 S128). 이때, 지폐 다발(C3)은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협지되어 있으므로, 지폐 다발(C3)은 밑바닥판(208)을 향해서 낙하하지 않는다. 그 후, 입출금 제어부(328)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스텝 S130으로부터 스텝 S160을 실행한다(도 13).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 2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제 1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지폐를 삽입할 때에,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퇴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앞측 클램프 기구(403)와 뒤측 클램프 기구(402) 사이는 비교적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두터운 지폐 다발이어도, 이용자는 용이하게 입출금구(21)에 삽입할 수 있다.
C. 제 3 실시예:
도 15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이며, 도 16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이고, 도 18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이다.
제 3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 수입 처리에 있어서, 스텝 S305~S325을 추가하여 실행하는 점과, 지폐 배출 처리에서, 스텝 S405~S470을 추가해서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도 1)과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지폐 다발의 반송시의 상태(지폐 다발의 두께나 지폐 다발의 체류의 유무)를 검지하고,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지폐를 협지하여 반송가능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반송 불가능할 경우에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로부터 지폐를 개방하여,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유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지폐 수입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105~S130 (도 15)의 처리는 제 1 실시예(도 7)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후술하는 스텝 S135를 실행하는 시점에서, 입출금구(21)로부터 삽입된 지폐(지폐 다발)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스텝 S130을 실행한 후, 입출금 제어부(328)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폐 유치 영역(Ra)에의 지폐투입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2개의 센서(S1, S3)의 출력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이때, 입출금 제어부(328)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고, 소정 기간 내에 지폐투입이 완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리고, 소정기간 내에 지폐투입이 완료한 경우에는, 입출금 제어부(328)는 상술한 스텝 S140∼S160을 실행한다. 또한, 이 소정기간은, 삽입을 검지하고 나서, 지폐 다발이 밑바닥판(208) 부근까지 정상적으로 반송될 때까지의 기간이며, 미리 시험에 의해 측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텝 S135에서, 소정 기간 내에 지폐투입이 완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 16, 스텝 S305). 소정 기간 내에 지폐투입이 완료하지 않을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삽입하는 지폐 다발의 두께가 크고, 입출금구(21)에서 지폐 다발이 체류했기 때문에,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되는 경우가 상정된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가 센서(S1)의 검출 라인까지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해버려,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될 경우가 상정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310). 이때, 미리 결정된 양만큼 2개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각각 이동시킨다. 한편, 2개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미리 결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어느 한쪽만을, 다른 쪽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스텝 S310을 실행하면, 지폐 다발은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로부터 개방되어, 지폐 유치 영역(Ra) 내를 밑바닥판(208)으로 향해서 낙하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하여 입출금구(21) 부근에 장해물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315). 상술한 스텝 S310에 의해 지폐 다발은 지폐 유치 영역(Ra) 아래 쪽에 수용되기 때문에, 입출금구(21) 부근에 다른 장해물이 없을 경우에는,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되지 않게 된다. 한편, 입출금구(21) 부근에 장해물이 있을 경우에는,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된다. 장해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나,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로부터 개방되지 않고, 입출금구(21) 부근에 체류하는 지폐 다발 등이 상정된다.
입출금구(21) 부근에 장해물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입출금 제어부(328)는 클램프 기구(402, 403)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스텝 S320). 조작 제어부(327)(도 3)는 고객 조작부(105)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장해물제거를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스텝 S325). 스텝 S325을 실행 후, 상술한 스텝 S315로 되돌아가서, 입출금 제어부(328)는 장해물의 유무를 판정한다. 상술한 스텝 S315에서 검지한 장해물이 이용자의 손이나 손가락이면, 메시지를 본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입출금구(21)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스텝(S315)에서 장해물이 없다고 판정하면, 입출금 제어부(328)는 상술한 스텝 S145 ∼ 스텝 S160(도 15)을 실행한다. 한편, 입출금구(21) 부근에 체류하는 지폐 다발이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서 지폐 다발은 집적되지 않고, 스텝(S160)(도 15)에서 장치 내부에 지폐가 조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이용자는 다시 고객 조작부(105)에서 입금 거래 메뉴를 선택해서 입금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폐 배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텝 S205∼S225(도 17)까지의 처리는, 제 1 실시예(도 1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후술하는 스텝 S405을 실행하는 시점에 있어서,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된 지폐(지폐 다발)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협지되어 있다.
스텝 S225을 실행한 후,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협지된 지폐 다발의 두께를 검지하고, 지폐 다발의 두께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405). 지폐 다발의 두께는, 예를 들면,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이동 거리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해서 실현된다. 미리,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슬라이드 량과 지폐 다발의 두께와의 관계를 실험에 의해 구하여 맵으로서 메모리(312)에 기억해 둔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상술한 스텝 S225에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를 이동시킬 때에 슬라이드량을 계측하고, 계측한 슬라이드 량에 근거하여 상술한 맵을 참조해서 지폐 다발의 두께를 계측한다. 그리고, 미리 슬라이드 량에 임계값을 마련해 두고, 입출금 제어부(328)는 계측한 슬라이드 량이 임계값보다 적을 경우에, 지폐 다발의 두께는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스텝(405)에서, 지폐 다발의 두께가 정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배출 방향으로 소정량만 구동해서 정지시킨다(스텝 S410). 이 소정의 구동량은 정상상태(지폐 잼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폐 다발을 반송했을 경우에, 지폐 다발의 선단(셔터(201)에 가까운 측의 가장자리)이, 셔터(201)의 바로 아래에 있는 센서(S1)의 검지 라인보다 높은 위치(셔터(201) 처음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양이다. 한편, 이러한 구동량은, 미리 실험에 의해 구해 둘 수 있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 다발이 셔터(201)바로 아래까지 반송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415).
도 19는 스텝 S415에서, 클램프 벨트를 소정량만 구동한 후의 지폐 다발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9에서, 상단은 지폐 다발(C4)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정상적으로 반송된 케이스를 나타내고, 하단은 지폐 다발(C4)이 정상적으로 반송되지 않은 케이스를 나타낸다.
지폐 다발(C4)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정상적으로 반송되었을 경우, 도 19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 다발(C4)의 선단은 센서(S1)의 검지 라인보다도 윗 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센서(S1)에서 광이 차단되므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정상적으로 반송되지 않을 경우, 도 19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폐 다발(C4)의 선단은 센서(S1)의 검지 라인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센서(S1)에서는 광이 차단되지 않으므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센서(S1)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되지 않는다고 판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입출금 제어부(328)는 스텝 S410, S415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을 정상적으로 반송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한편, 센서(S1) 대신에, 또는, 센서(S1)와 함께, 센서(S3)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다발이 정상적으로 반송되었을 경우에는 센서(S3)에 있어서 광이 차단되지 않고, 지폐 다발이 정상적으로 반송되지 않을 경우에는 센서(S3)에서 광이 차단된다. 따라서, 입출금 제어부(328)는 센서(S3)의 출력에 근거하여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스텝(S415)에서,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스텝 S230∼S255(도 18)를 실행한다. 이들 스텝 S230∼S255는 제 1 실시예(도 10)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 스텝 S240에 있어서「지폐의 배출이 완료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의 처리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므로, 이하 설명한다.
스텝 S240에서, 지폐의 배출이 완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의 구동을 모두 정지하고(스텝 S440),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모두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스 텝 S445). 다음으로, 조작 제어부(327)(도 3)는 고객 조작부(105)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지폐 빼냄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스텝 S450).
지폐의 배출이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한 반송 중에, 지폐가 입출금 기구(20)의 어느 장소에 걸렸을 경우 등이 상정된다. 이 경우, 이용자는, 고객 조작부(105)에 표시된 메시지를 보고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 다발을 취출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퇴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폐 유치 영역(Ra)은 비교적 넓어져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손이나 손가락을 삽입하기 쉽고, 지폐 다발을 취출하기 쉬워진다.
스텝 S450을 실행한 후에, 입출금 제어부(328)는 상술한 스텝 S250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스텝 S405(도 17)에서, 지폐 다발의 두께가 정상이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 및 상술한 스텝 S415(도 17)에서, 지폐 다발이 셔터(201) 바로 아래까지 반송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입출금 제어부(328)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모두 퇴피 위치로 이동시킨다(도 18 스텝 S460). 이것에 의해, 지폐 다발은,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로부터 개방된다. 많은 지폐를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반송하려고, 일부의 지폐가 탈락해서 반송되지 않거나, 지폐가 지폐 유치 영역(Ra) 내의 어디에 맞부딪쳐서 접힘이나 휨이 생길 우려가 있다. 그래서, 지폐 다발의 두께가 클 경우에는, 지폐 다발을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로부터 개방하고,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한 반송을 행 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텝 S460에 의해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가 한 쌍의 가압판(202)의 외측으로 퇴피하므로, 지폐 유치 영역(Ra)은 비교적 넓은 공간이 된다.
다음으로, 입출금 제어부(328)는 셔터(201)를 개방하고(스텝 S465), 조작 제어부(327)(도 3)는 고객 조작부(105)의 디스플레이(도시 생략)에, 지폐 빼냄을 재촉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스텝 S470).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유치 영역(Ra)은 비교적 넓어져 있으므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으로부터 용이하게 지폐 다발을 꺼낼 수 있다. 또한, 지폐가 지폐 유치 영역(Ra) 내의 어느 위치에 걸렸을 경우라도, 이용자는 이러한 지폐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텝 S470을 실행한 후에, 입출금 제어부(328)는 상술한 스텝 S250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제 3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제 1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입금시에서, 소정 기간 내에 지폐투입이 완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해 협지되어 있었던 지엽류를 개방하므로, 삽입하려고 하는 지폐 다발이 두꺼워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입출금구(21) 부근에 지폐가 체류한 것 같은 장소이어도,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지폐를 집적할 수 있다. 또한, 출금시에 있어서, 배출하는 지폐 다발의 두께가 클 경우에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한 지폐의 반송을 그만두고,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유치하므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의한 반송에 기인하는 지폐의 접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이때,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지폐 유치 영역(Ra)을 비교적 넓은 공간으로 할 수 있고, 이용자가 지엽류를 지폐 유치 영역(Ra)으로부터 취출하기 쉽게 뒬 수 있다.
D. 변형예:
한편, 상기 각 실시예에서의 구성 요소 중의, 독립 클레임에서 클레임된 요소 이외의 요소는, 부가적인 요소이며, 적당히 생략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태양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D. 변형예 1: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은, 겹쳐서 배치될 수 있었지만(도 4 참조), 이를 대신하여,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이 겹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변형예 1에서의 입출금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에서, 상단은 지폐를 삽입할 때의 입출금기구를 나타내고, 하단은 삽입된 지폐를 지폐 반송로에 조출할 때의 입출금 기구를 나타낸다. 변형예 1에서의 입출금 기구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이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입출금 기구(20)와 다르고, 다른 구성은 같다. 한편, 도 20에서는, 3개의 센서(S1∼S3)나 피크 롤러(r1) 등의 입출금 기구의 일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한 쌍의 가압판(202, 203)보다도 정보(입출금구(21)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한 쌍의 가압판(202, 203)과 겹칠 일은 없다. 여기에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폐삽입시(도 7 스텝 S125 등)에 있어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V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입출금구(21)로부터 보아서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지폐 삽입시에 삽입되는 지폐 다발(C5)을 협지할 수 있다.
지폐를 조출할 때(도 7 스텝 S160)에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지폐 삽입시에 비교하여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입출구금구(21)로부터 보아서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폐 다발(C5)은 한 쌍의 가압판(202, 20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스텝 S160이 실행되어, 분리 롤러(r2)와 게이트 롤러(r3)의 사이에서, 지폐 반송로에 조출된다.
이러한 구성의 입출금 기구를 구비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제 1 실시예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는, 한 쌍의 반송부를,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판상 부재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을,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채용할 수 있다.
D2. 변형예 2: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정상적으로 반송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의 근거는, 지폐 다발의 두께 및 지폐 다발의 체류의 유무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폐의 경사나, 지폐의 폭 방향의 위치 차이에 근거하여, 정상적으로 반송가능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1의 (A)는 변형예 2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센서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변형예 2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상술한 3개의 센서(S1∼S3)에 부가하여, 6개의 센서(S1a∼S3f)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와 다르고, 다른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변형예 2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센서(S1∼S3)의 열과 평행하고, 센서(S1a, S2b, S3c)의 열과, 센서(S1d, S2e, S3f)의 열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센서(S1a, S2b, S3c)의 열과, 센서(S1d, S2e, S3f)의 열 사이의 거리는, 지폐의 폭보다도 짧다. 2개의 센서(S1a, S1d)는 입금/출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수평 방향)에 있어서 센서(S1)를 끼워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2개의 센서(S2b, S2e)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센서(S2)를, 2개의 센서(S3c, S3f)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센서(S3)를, 각각 끼워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예를 들면, 지폐 수입 처리의 스텝 S135(도 15)에 있어서, 3개의 센서(S3, S3c, S3f)의 출력에 근거하여, 삽입된 지폐의 경사도 고려해서 지폐의 투입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폐 다발(C6)과 같 이, 경사가 없는 정상인 자세로 지폐 다발이 협지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센서(S3)에 부가하여, 2개의 센서(S3c, S3f)에서도 광이 차폐된다. 한편, 지폐 다발(C7)과 같이, 경사가 있는 이상한 자세로 지폐 다발이 협지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센서(S3)에서 광은 차폐되지만, 센서(S3c)에 있어서 광은 차폐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3개의 센서(S3, S3c, 3f) 모두 광이 차단되었을 경우에 지폐투입 완료라고 판단하고, 어느 센서에 있어서 광이 가로막아지지 않을 경우에 지폐투입은 완료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3개의 센서(S1, S1a, S1d)(또는 S2, S2b, S2e)의 어느 센서에서도 광이 차폐되지 않을 경우에 지폐 투입이 완료했다고 판단하고, 어느 센서에서 광이 차폐된 경우에 지폐투입은 완료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텝 S135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지폐 배출 처리의 스텝 S405(도 17)에 있어서 지폐 다발의 두께가 정상이라고 판정한 후에, 또한, 상술한 지폐의 경사를 판단하고, 지폐가 경사져 있다고(이상 자세로) 판단했을 경우에 스텝 S460 이후의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도 21의 (B)는 변형예 2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 센서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변형예 2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센서(S1a, S2b, S3c)의 열과, 센서(S1d, S2e, S3f)의 열 사이의 거리가 지폐의 폭보다 긴 점에 있어서, 상술한 변형예 2의 제 2 실시예(도 11a)와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지폐 수입 처리의 스텝 S135(도 15)에 있 어서, 3개의 센서(S3, S3c, S3f)의 출력에 근거하여, 삽입된 지폐의 폭 방향의 위치 벗어남도 고려해서 지폐의 투입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지폐(C8)와 같이 정상인 위치에서 지폐 다발이 협지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3개의 센서(S3, S3c, S3) 중, 센서(S3)에 있어서만 광이 차폐된다. 한편, 지폐 다발(C9)과 같이, 정상인 위치로부터 지폐의 폭 방향으로 벗어나서 협지되어 있는 케이스에서는, 센서(S3)에 부가해서, 센서(S3c)에서도 광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센서(S3)에 있어서만 광이 차단된 경우에 지폐 투입 완료라고 판단하고, 센서(S3c) 또는 센서(S31)에서 광이 차단된 경우에 지폐 투입은 완료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는, 지폐의 반송시의 상태에 관한 임의의 정보인 반송 관련 정보를 검지 가능한 검지부를,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 채용할 수 있다.
D3. 변형예 3: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지폐삽입을 검지했을 경우에(도 7 스텝 S125: YES),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를 구동하고 있었지만(스텝 S130), 그 대신에, 지폐 삽입을 검지한 후, 소정의 기간만 대기한 후에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의 클램프 벨트를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폐 삽입을 검지한 후 1초간만 대기한 뒤에, 클램프 벨트를 구동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폐 다발을 클램프 벨트에 확실하게 맞부딪히게 할 수 있고, 지폐 다발의 경사를 바로잡고나서 클램프 벨트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벨트에 의한 반송시에 있어서, 지폐의 경사에 기인하는 지폐 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4. 변형예 4:
상술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지폐 삽입 전에 있어서, 뒤측 클램프 기구(402)는 퇴피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뒤측 가압판(202)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지폐투입 전에 있어서, 앞측 클램프 기구(403)는 입금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스텝 S110a), 그 대신에, 뒤측 클램프 기구(402)와 마찬가지로 퇴피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삽입시에 있어서 지폐가 자동적으로 이끌어 들여지지 않지만, 스톱퍼(214)에 의해 지폐가 맞부딪치므로, 이용자는 손이나 손가락을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삽입하지 않고 마친다.
여기에서, 상술한 각 실시예의 동작 모드와, 지폐투입시에 있어서 모든 클램프 기구(402, 403)를 퇴피 위치에 배치하고, 또한, 스톱퍼(214)를 퇴피 위치로 하는 동작 모드(이하, 종래 모드라고 함)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CPU(320)가, 각 모드에 따른 입출금 제어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미리 복수의 제어 프로그램을 메모리(312)에 기억해 두고, 보수원이 보수용 단말 등을 이용해서 동작 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많은 이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을 장치 내부에 삽입하는 행위를 두려워하는 나라에서는, 제 1, 3 실시예와 같이 동작시키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보급되고 있어, 이용자가 손이나 손가락을 장치 내부에 삽입하는 행위를 두려워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종래 모드로 동작시키도록 전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어느 나라에 있어서도 본 발 명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D5. 변형예 5:
상술한 제1, 3 실시예에서는, 지폐 삽입시에 있어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접촉하고 있었지만, 그 대신에, 약간의 거리를 두고 떨어져서 배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V자형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그 선단 부분을 약간(예를 들면, 5 밀리미터 정도) 떨어지게 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입출금구(21)에 가까운 위치에서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넓으므로, 이용자는 지폐를 투입하기 쉬워지고, 또한, 많은 지폐를 삽입할 경우에는, 이용자는 맞부딪히는 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이 구성에 있어서, 클램프 기구(402, 403)(최하단에 배치된 풀리)를 고정하고, 요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를 약간 떨어지게 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삽입되는 지폐 다발의 두께에 따라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가 이동(요동)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용자에 대하여 지폐가 이끌어 들여지는 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D6. 변형예 6: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2개의 클램프 벨트 및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2개의 클램프 벨트는, 지폐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지폐를 협지하고 있었지만, 그 대신에, 지폐의 폭 방향에서의 양단부분에서 지폐를 협지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클램프 기구(402, 403)에 있어서,,지폐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부분은, 클램프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그 대신에, 일열로 늘어선 복수의 풀리를 이용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D7. 변형예 7: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의 구동력을 일으키는 액추에이터(A4)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와는 독립해서 구성되고 있고, 뒤측 클램프 기구(402)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 구성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추에이터(A4)를,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일부로서, 예를 들면 가이드 플레이트(415)에 부착되고, 뒤측 클램프 기구(402)와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D8. 변형예 8: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입출금 기구(20)는 중력 방향(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었지만, 그 대신에, 중력 방향(연직 방향)에 따라 배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폐 투입시에 있어서, 밑바닥판(208) 또는 스톱퍼(214)에 지폐가 맞부딪쳤을 때에 지폐의 하단부분이 가지런히 정돈될 수 있고, 지폐의 경사를 바로잡기 쉽게 할 수 있다.
D9. 변형예 9:
상술한 제 3 실시예에서는, 지폐 다발의 두께가 정상인 것인지 아닌지를,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이동 거리에 의해 판단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다른 임의의 방법에 의해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한 쌍의 클램프 기 구(402, 403)의 이동 시간을 측정하고, 이러한 이동 시간이 소정의 임계값보다도 짧을 경우에, 지폐 다발의 두께는 이상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등을 이용해서 지폐 다발의 두께를 직접 측정하고, 이러한 두께에 의해 판단할 수도 있다.
D10. 변형예 10: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잎류 취급 장치의 일례로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의 적용례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현금 자동 거래 장치 대신에, 수표나 엽서나 정기권 등의 임의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D11. 변형예 11: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었던 구성의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치환하도록 해도 좋고, 반대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 있었던 구성의 일부를 하드웨어로 치환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 취급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폐 입출금기(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제어 회로(300)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입출금 기구(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뒤측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앞측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입출금 기구(20)에서 실행되는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8은 스텝 S13O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의 입출금기구(2O)의 구성을 나타낸 제 1 설명도.
도 9는 스텝 S130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나타낸 제 2 설명도.
도 10은 입출금기구(20)에서 실행되는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
도 11은 스텝 S235을 실행한 직후에 있어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
도 1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
도 14는 제 2 실시예에서 스텝 S126을 실행한 후의 입출금 기구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
도 16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수입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
도 17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1 플로차트.
도 18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지폐 배출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제 2 플로차트.
도 19는 스텝 S415에서 클램프 벨트를 소정량만 구동한 후의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서의 지폐 다발의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20은 변형예 1에서의 입출금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변형예 2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센서 배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폐 입출금기, 10a: 상부 반송 기구, 10b: 하부 반송 기구, 20: 입출금기구, 21: 입출금구, 30: 지폐 판별부, 40: 일시 보관고, 50a∼50k: 전환 게이트, 60: 입금고, 61: 회수고, 62: 가짜권 회수고, 63: 장전/회수고, 71, 72: 출금고, 81, 82: 리사이클고, 83: 리젝트고, 10: 하우징, 102: 카드/명세표 처리기구, 103: 카드 슬롯, 105: 고객 조작부, 106: 금고 하우징, 201: 셔터, 202: 뒤측 가압판, 203: 앞측 가압판, 208: 밑바닥판, 208 부근…밑바닥판, 214: 스톱퍼, 300: 제어 회로, 312: 메모리, 313: CPU, 320: 주제어부, 321: 입금고 제어부, 322: 리젝트고 제어부, 323: 출금고 제어부, 324: 리사이틀고 제어부, 325: 지폐 반송로 제어부, 326: 전환 게이트 제어부, 327: 조작 제어부, 328: 입출금 제어부, 329: 판별 제어부, 330: 일시 보관고 제어부, 331: 회수고 제어부, 332: 가짜권 회수고 제어부, 333: 장전/회수고 제어부, 402: 뒤측 클램프 기구, 403: 앞측 클램프 기구, 411, 412: 클램프 벨트, 415: 가이드 플레이트, 417: 지지판 부재, 420: 슬라이드 플레이트, 421∼426: 풀리, 430: 구동 샤프트, 450: 제 1 구동 풀리, 451: 제 2 구동 풀리, 460: 구동 벨트, 500: 현금 자동 거래 장치, 600: 경계판, 602: 이물 받이 상자, 603, 604: 프레임, 605: 슬릿, 703, 704: 프레임, 705: 슬릿, 714: 지지판 부재, 715: 가이드 플레이트, 722: 풀리, 722∼725, 730∼731, 750∼753: 풀리, 727, 728: 클램프 벨트, 732: 제 3 구동 벨트, 733: 제 3 구동 샤프트, 760: 제 1 구동 벨트, 762: 제 2 구동 벨트, 77O: 제 1 구동 샤프트, 771: 제 2 구동 샤프트, A1∼A6: 액추에이터, S1∼S3, S1a, S2b, S3c, S1d, S2e, S3f: 센서, r1: 피크 롤러, C1∼C8, Ca: 지폐, r2: 분리 롤러, p2: 풀리, r3: 게이트 롤러, p3: 풀리, r4: 스택 롤러, SL: 슬릿, Ra: 지폐 유치 영역.

Claims (21)

  1.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挾持)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동 기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한 쌍의 가압판 간의 거리와 상기 한 쌍의 반송부 간의 거리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서로 겹쳐서 배치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지엽류의 폭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을 협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한 쌍의 가압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지엽류가 연직 방향에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취입 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배출하기 전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입출구 방향으로 반송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각각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늘어선 복수의 벨트를 갖는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에서의 상기 지엽류의 반송 구동력을 일으키는 구동원과,
    상기 제 1 반송부를, 상기 제 2 반송부에 근접하는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반 송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제 1 반송부와 접합되어, 상기 제 1 반송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에 상기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9.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지엽류 수입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입출구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고,
    (a)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취입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c)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지엽류 수입 방법.
  10.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지엽류 배출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입출구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3 센서를 구비하고,
    (a)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는 공정과,
    (c) 상기 제 3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입출구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지엽류 배출 방법.
  11.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 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상기 지엽류가 출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입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엽류 취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지엽류 취급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입출구를 통해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각각 상기 지엽류의 반송 방향과 평행하게 늘어선 복수의 벨트를 갖는 지엽류 취급 장치.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이동 기구와,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는,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취입 방향으로 반송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6.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의 지엽류 수입 방법으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기 지엽류의 입출구와, 상기 입출구를 통해서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 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는 한 쌍의 가압판과, 상기 입출구를 통하여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출입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는 제 2 센서를 구비하고,
    (a)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내측에서, 상기 입출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b) 상기 제 1 센서에서 상기 입출구에 상기 지엽류가 삽입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에 의해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에 취입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공정과,
    (c) 상기 제 2 센서에서 상기 지엽류가 상기 한 쌍의 가압판에 의해 협지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 것을 검지하면,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상기 입출구로부터 본 상기 한 쌍의 가압판의 외측에 배치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지엽류 수입 방법.
  17.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입출구와,
    서로 가까워지는 것으로 상기 입출구를 통해 출입되는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여 반송하는 제 1 반송부 및 제 2 반송부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반송부와,
    상기 제 1 반소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한 쌍의 반송부에 의해 협지된 상기 지엽류에 대해서, 반송시의 상태에 관한 정보인 반송 관련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반송 관련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지엽류의 반송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판정부가 반송 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고, 상기 판정부가 반송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지엽류를 개방시키는 지엽류 취급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관련 정보는, 상기 지엽류의 두께와, 상기 지엽류의 경사와, 상기 지엽류의 체류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이동량을 측정하는 이동량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반송 관련 정보는 적어도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이동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이동량에 의거하여 상기 지엽류의 두께를 검지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밑바닥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입출구와 상기 밑바닥면 사이에서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된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가지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배출할 때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고,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배출할 때에, 협지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입출구와 상기 밑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소정의 거리를 반송 가능한 양만 구동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상기 지엽류를 배출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입출구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외측 센서가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엽류를 반송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외측 센서가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지엽류를 반송 가능한 것으로 판정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1.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구와 대향하여 배치된 밑바닥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입출구와 상기 밑바닥면 사이에서 반송 방향에 따라 배치된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가지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할 때에, 상기 제 1 반송부와 상기 제 2 반송부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지엽류를 협지하고,
    상기 한 쌍의 반송부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할 때에, 협지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입출구와 상기 밑바닥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소정의 거리를 반송 가능한 양만 구동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입출구로부터 삽입된 상기 지엽류를 반송할 때에,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상기 밑바닥면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 내측 센서가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지엽류를 반송 불가능한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내측 센서가 상기 지엽류의 통과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지엽류를 반송 가능한 것으로 판정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090119543A 2009-02-25 2009-12-04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KR101095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41788 2009-02-25
JP2009041788A JP5208802B2 (ja) 2009-02-25 2009-02-25 紙葉類取扱装置
JP2009041789A JP5329259B2 (ja) 2009-02-25 2009-02-25 紙葉類取扱装置
JP2009041584A JP5274303B2 (ja) 2009-02-25 2009-02-25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9-041789 2009-02-25
JPJP-P-2009-041584 2009-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997A true KR20100096997A (ko) 2010-09-02
KR101095407B1 KR101095407B1 (ko) 2011-12-16

Family

ID=4203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543A KR101095407B1 (ko) 2009-02-25 2009-12-04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56251B2 (ko)
EP (3) EP2224404B1 (ko)
KR (1) KR101095407B1 (ko)
CN (3) CN1018142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7457B2 (ja) * 2010-08-27 2014-10-1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JP5814085B2 (ja) * 2011-11-14 2015-11-1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KR101459835B1 (ko) * 2012-10-11 2014-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물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EP2743221B1 (de) * 2012-12-11 2020-10-14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Wertscheinen mit einer einseitiger Klemmeinheit
CN103136841B (zh) * 2013-01-23 2016-12-28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便于清除卡堵的厚度检测装置
JP6216685B2 (ja) * 2014-05-30 2017-10-1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18049328A (ja) * 2016-09-20 2018-03-29 グローリー株式会社 貨幣処理装置および貨幣処理方法
CN107610367B (zh) * 2017-08-15 2020-10-20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票据处理装置、方法及自助金融设备、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490A (ja) * 1982-07-12 1984-01-21 株式会社東芝 入出金装置
JPH03192049A (ja) 1989-12-22 1991-08-21 Oki Electric Ind Co Ltd 自動取引装置における紙幣受取機構
JP3086167B2 (ja) * 1996-02-29 2000-09-11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US6244583B1 (en) * 1997-03-11 2001-06-12 Minolta Co., Ltd. Stack transport for a sorter with pressing device
JP4815064B2 (ja) * 2001-05-07 2011-11-16 マミヤ・オーピー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
JP4007799B2 (ja) * 2001-11-22 2007-11-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装置
US7422118B2 (en) 2003-12-16 2008-09-09 Cts Cashpro, S.P.A. Equipment for the automatic deposit of banknotes
JP2005259086A (ja) 2004-03-15 2005-09-22 Fujitsu Ltd 紙葉類取扱装置
JP4842725B2 (ja) 2006-07-12 2011-12-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889456B2 (ja) *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US7721952B2 (en) 2007-08-02 2010-05-25 Ncr Corporation Presenting misaligned stacks of media
JP5220385B2 (ja) 2007-11-02 2013-06-26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構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4208B (zh) 2013-06-05
EP2224404A1 (en) 2010-09-01
EP2320392A1 (en) 2011-05-11
CN102842174A (zh) 2012-12-26
EP2320392B1 (en) 2016-08-03
KR101095407B1 (ko) 2011-12-16
CN101814208A (zh) 2010-08-25
US8556251B2 (en) 2013-10-15
US20100213660A1 (en) 2010-08-26
CN102842174B (zh) 2016-01-06
CN102842175A (zh) 2012-12-26
EP2224404B1 (en) 2016-03-23
EP2323109A1 (en) 2011-05-18
CN102842175B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40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JP5169612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089655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US9208630B2 (en) Paper-slip handling device and automated transaction device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KR101077193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JP5632092B2 (ja) 紙葉類取扱装置搬送機構
JP2013088882A (ja) 紙幣取扱装置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H0211955B2 (ko)
KR10111693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WO2014061594A1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90054058A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지폐입출금방법
JP2007217144A (ja) 紙葉類取り出し機構
JP5208802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227403B1 (ko) 지폐 입출금 장치 및 지폐 집적기구
JP2001084424A (ja) 紙幣入金処理機における紙幣挿入口装置
JP6119824B2 (ja) 紙幣入出金機及び紙幣処理装置
JP3489096B2 (ja) 可変式紙葉類分離装置
KR20120078054A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JPH0778280A (ja) 紙幣の搬送、収納装置
JP2001014511A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