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655B1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655B1
KR101089655B1 KR1020100023677A KR20100023677A KR101089655B1 KR 101089655 B1 KR101089655 B1 KR 101089655B1 KR 1020100023677 A KR1020100023677 A KR 1020100023677A KR 20100023677 A KR20100023677 A KR 20100023677A KR 101089655 B1 KR101089655 B1 KR 10108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late
platen
plate
paper sheet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019A (ko
Inventor
쥰지 후지타
마사노리 데라오
리이치 카토우
미노루 가도와키
신지 시바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엽류 취급 장치의 지엽류 취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입출금 기구(20)는 지폐를 출납하는 입출금구(21)와, 지폐를 사이에 끼우는 압판(210) 및 유지판(230)과, 압판(210)과 유지판(230)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260)을 구비하고 있다. 구획판(260)은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 가능한 상부 구획판(261)과, 압판(210)에 대략 평행한 하부 구획판(262)을 구비한다. 상부 구획판(261)은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W1로 가압되어 있지만, 구획판(260)과 압판(210)이 맞닿을 때에는, 상부 구획판(261)이 지점 부재(263)보다 하부 구획판(262)측으로 튀어나온 부위인 구획판 돌기부(264)가 압판(210)의 압판 돌기부(213)에 눌려서,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압판(210)과 대략 평행한 상태에서, 압판(210)과 맞닿은 위치 W2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지엽류를 출납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융 기관에서는 무인으로 입출금 업무를 행할 수 있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로서, 입출금구(入出金口)의 내측의 지폐 입출금 공간에서, 이용자측에서 지폐를 유지하는 유지판과, 이용자와 반대측에 배치되고, 유지판과의 사이에서 지폐를 협지(挾持)하여, 지폐에 가압력을 가하는 압판(押板)과, 유지판과 압판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판을 구비한 타입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이러한 타입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입금시에는, 구획판은 압판측으로 퇴피(退避)하고 있어, 셔터가 열리면, 이용자는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입금 지폐를 삽입한다. 그리고, 셔터가 닫히면, 입금 지폐는 장치 내부로 회수된다. 또한, 출금시에는,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출금 지폐가 배치되고, 입출금구의 셔터가 열린 후, 이용자가 그 공간에 손을 삽입하여 출금 지폐를 취출(取出)한다. 만일, 그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셔터가 닫히고, 그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는 장치 내부로 회수된다.
또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로서, 상술한 지폐 입출금 공간에서, 지폐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입출금구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반송하는 1쌍의 클램프 기구를 구비한 타입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2).
이러한 타입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입금시에는, 셔터가 열리고, 이용자가 1쌍의 클램프 기구 사이에 입금 지폐를 삽입하면, 클램프 기구에 의해 협지된 입금 지폐가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인입된다. 또한, 출금시에는, 입출금구의 셔터가 열린 후, 클램프 기구에 의해,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배치된 출금 지폐가 입출금구를 향하여 방출된다. 이용자는 이를 취출한다. 그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클램프 기구에 의해,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가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인입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 기구가 지폐를 반송함으로써, 이용자는 지폐 입출금 공간에 손을 삽입하지 않고, 입출금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지폐의 취급성의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입금시에 있어서, 본래,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입금 지폐를 삽입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하여, 지폐 단부가 구부러져 있으면, 당해 단부가 구획판의 단부와 충돌하거나, 구획판과 압판의 간극에 인입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면, 잼이 발생하거나, 지폐를 장치 내로 취입하지 않고, 장치가 정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출금시에는,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배치된 출금 지폐를 이용자가 취출할 때에, 이용자측에 배치된 구획판이 방해로 되어, 지폐의 취출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클램프 기구에 의해 지폐를 협지해도, 지폐 전체를 협지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협지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불룩해지거나 구부러진 곳이 있으면, 입금시에, 클램프 기구에 의해 지폐를 끌어들일 때에, 특허문헌 1과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또한,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의 인입시에 있어서, 본래,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를 인입할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하여, 불룩해지거나 구부러진 곳이 생긴 지폐가, 구획판과 충돌하거나, 구획판과 유지판의 간극에 인입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타입의 장치이면, 지폐나 장표(帳票)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여러가지 지엽류 취급 장치에 공통되는 문제였다.
일본국 특개2000-172903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8-129987호 공보
상술한 문제의 적어도 일부를 고려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엽류 취급 장치의 지엽류 취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상기 지엽류를 유지하는 유지판과,
상기 유지판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지판과의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상기 지엽류를 상기 유지판과의 사이에서 협지 가능한 압판과,
상기 유지판과 상기 압판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간을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판과 상기 압판 사이를 이동 가능한 구획판이며, 상기 구획판이 구비하는 지점(支点) 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구획판 중,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상부 구획판이 이동 가능한 구획판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상부 구획판이 상기 유지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1 위치와,
상기 상부 구획판이,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 또는, 상기 압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유지판과 압판 사이에 배치된 구획판 중 상부 구획판이, 지점 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하고, 상부 구획판이 유지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1 위치와, 상부 구획판이, 압판과 대략 평행, 또는, 압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2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상부 구획판을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면, 지엽류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端部)와의 간섭을 억제하여, 지엽류의 취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용예 2] 적용예 1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에,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으로 하부 구획판을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압판에 대략 평행한 하부 구획판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엽류와 하부 구획판은 대략 평행한 위치 관계로 되어, 지엽류의 유지 또는 반송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적용예 3] 적용예 1 또는 적용예 2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또는 상기 압판이 이동하고, 상기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구획판과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은 제 2 위치에 위치하므로,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지엽류가 출납되는 경우에, 지엽류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4]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또는 상기 압판이 이동하고, 상기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고 있지 않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구획판과 압판이 맞닿고 있지 않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은 제 1 위치에 위치하므로, 구획판과 압판 사이에 지엽류가 출납되는 경우에, 당해 지엽류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와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5]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의 부위를 형성하는 구획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압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압판이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부 구획판이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압판이 상부 구획판의 구획판 돌기부를 누름으로써, 상부 구획판은,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 구획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만의 액추에이터는 불필요하여, 장치 구성을 간략화, 효율화할 수 있다.
[적용예 6] 적용예 2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의 부위를 형성하는 구획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획판은, 상기 구획판 돌기부가 상기 지점 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하부 구획판의 간섭을 피하는 노치(notch)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판은,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맞닿는 개소에,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돌출한 압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압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압판이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구획판을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부 구획판이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압판이 상부 구획판의 구획판 돌기부를 누름으로써, 상부 구획판은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 구획판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만의 액추에이터는 불필요하여, 장치 구성을 간략화,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획판은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하부 구획판의 간섭을 피하는 노치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압판은 하부 구획판의 면보다 유지판측까지 구획판 돌기부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구획판의 가동역(可動域)을 크게 하여, 상부 구획판을 압판측으로 기울일 수 있다.
[적용예 7]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압판은, 상기 압판의 상기 구획판측의 면에, 상기 상부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적어도 상기 상부 구획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상부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가 압판의 오목부에 수용되므로, 압판과 유지판 사이에 수납되는 지엽류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8]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지판 사이에 상기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구획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가 상기 압판에 맞닿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개구부를 통하여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지엽류를 수납할 때에, 상부 구획판이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상부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가 압판에 맞닿으므로,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와, 수납되는 지엽류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9]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가, 상기 압판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배치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압판과 구획판 사이에 배치된 지엽류를,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시킬 때에, 상부 구획판이 제 1 위치에 위치하므로, 지엽류 취급 장치의 이용자는 유지판측으로부터 지엽류를 취출하기 쉽다.
[적용예 10] 적용예 1 내지 적용예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지엽류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개구부측으로, 또는,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지엽류를 협지하여, 개구부측, 또는, 그와 반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로 할 수도 있다.
[적용예 11] 적용예 10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수납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지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반송부가 지엽류를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은 제 2 위치에 위치하므로,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와, 반송되는 지엽류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적용예 12] 적용예 10 또는 적용예 11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송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상기 압판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이러한 구성의 지엽류 취급 장치는, 반송부가, 개구부측으로 반송한 지엽류를, 그 반대측이며, 구획판과 유지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은 제 1 위치에 위치하므로, 구획판의 개구부측의 단부와, 반송되는 지엽류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지폐 입출금기(1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제어부(320)의 기능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입출금 기구(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압판(210) 및 구획판(26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입금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출금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잊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입금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 및 앞쪽 클램프 기구(403)에 의해 지폐(Ca)를 협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출금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잊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변형예로서의 압판(210)과 구획판(260)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A. 제 1 실시예 :
A-1.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개략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의 일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현금(지폐)의 예입(預入), 인출, 불입 등의 거래를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케이싱(101)의 내부에, 지폐 입출금기(10)와, 금고 케이싱(106)과,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케이싱 앞면에, 카드 슬롯(103)과, 고객 조작부(105)와, 입출금구(入出金口)(21)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입출금기(10)는 지폐의 수납이나 배출을 실행한다. 지폐 입출금기(10)는 하부에 지폐를 수납하는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이 지폐 수납 기구는 금고 케이싱(106)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금고 케이싱(106)은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두꺼운 금속판(예를 들면, 50㎜ 정도의 두께의 철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는 카드 슬롯(103)과 연통하고 있고, 삽입된 이용자의 현금 카드를 처리하고, 또한, 거래 명세서를 인자(印字)하여 배출한다. 카드 슬롯(103)은 이용자의 현금 카드의 수납/배출을 실행한다. 고객 조작부(105)는 터치 패널식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거래를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한다. 입출금구(21)는 이용자가 지폐를 투입할 때, 및 이용자에 대하여 지폐를 배출할 때에 사용된다.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기능 블록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고객 조작부(105), 지폐 입출금기(10), 본체 제어부(120), 외부 기억 장치(125), 계원(係員) 조작부(130), 인터페이스부(135), 전원부(140)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 버스(11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본체 제어부(120)는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 고객 조작부(105), 지폐 입출금기(10), 계원 조작부(130) 등과 교환을 행하여,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외부 기억 장치(125)는 본체 제어부(12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계원 조작부(130)는 금융 기관의 계원이, 예를 들면,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보수, 또는 지폐의 보충, 회수를 행할 때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반(操作盤)이다. 인터페이스부(135)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를 네트워크(도시 생략)에 접속하여,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와 네트워크 사이의 정보의 교환을 중계한다. 전원부(140)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제어한다.
상술한 지폐 입출금기(10)의 상세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폐 입출금기(10)는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와 제어부(320)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반송 기구(10a)는 입출금 기구(20)와, 지폐 판별부(30)와, 일시 보관고(40)와, 취출(取出) 망각 회수고(61)와, 위권(僞券) 회수고(62)와, 장전/회수고(63)와, 6개의 스위칭 게이트(50a 내지 50f)와, 지폐 반송로(화살표로 나타냄)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금 기구(20)는 도 1에 나타낸 입출금구(21)를 통하여 삽입되는 지폐를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 내부에 수납하고, 또한, 이용자에 대하여 입출금구(21)를 통하여 지폐를 배출한다. 지폐 판별부(30)는 지폐의 금종(金種) 및 진위를 판단한다. 일시 보관고(40)는 삽입된 지폐 및 배출할 지폐를, 거래가 성립하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취출 망각 회수고(61)는 입금시 또는 출금시에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를 수납한다. 위권 회수고(62)는 지폐 판별부(30)에서 위권으로 판별된 지폐를 수납한다. 장전/회수고(63)는 후술하는 리사이클링고(81, 82)에 보충할 지폐나, 리사이클링고(81, 82)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한다. 6개의 스위칭 게이트(50a 내지 50f)는 지폐의 반송 루트를 스위칭한다.
하부 반송 기구(10b)는 상부 반송 기구(10a)의 하방에서, 금고 케이싱(106)으로 둘러싸여 배치되어 있다. 하부 반송 기구(10b)는 입금고(60)와, 2개의 출금고(71, 72)와, 2개의 리사이클링고(81, 82)와, 리젝트고(83)와, 5개의 스위칭 게이트(50g 내지 50k)와, 지폐 반송로(화살표로 나타냄)를 구비하고 있다.
입금고(60)는 입금시에 거래가 성립한 지폐를 수납한다. 2개의 출금고(71, 72)는 출금용의 지폐를 수납한다. 2개의 리사이클링고(81, 82)는 입금고 및 출금고를 겸용한다. 리젝트고(83)는 출금에 부적절한 지폐(예를 들면, 찢어지거나 구부러진 곳이 있는 지폐)를 수납한다. 스위칭 게이트(50g 내지 50k)는 상술한 스위칭 게이트(50a 내지 50f)와 마찬가지로, 지폐의 반송 루트를 스위칭한다.
상술한 상부 반송 기구(10a) 내의 지폐 반송로 및 하부 반송 기구(10b) 내의 지폐 반송로는, 모두, 지폐를 유지하기 위한 벨트(도시 생략)와,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롤러(도시 생략)와,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도시 생략)와, 벨트를 지지하는 풀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롤러마다 구동용 모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1개의 모터에 의해 복수의 롤러를 구동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부 반송 기구(10a) 내의 지폐 반송로와, 하부 반송 기구(10b)의 지폐 반송로는, 금고 케이싱(106)의 상면에 설치된 슬릿(SL)을 통하여 서로 연통하고 있어, 지폐는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 사이를 양방향으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반송 기구(10b)가 금고 케이싱(106)에 의해 둘러싸여서, 상부 반송 기구(10a)와 하부 반송 기구(10b)가 슬릿(SL)에서만 연통하고 있는 것은, 입금고(60) 등의 다량의 지폐를 수납하는 부분을 견고하게 보호하여,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제어부(320)의 기능을 도 4에 나타낸다. 제어부(320)는 메모리와 CPU(Centra1 Processing Unit)를 구비하고, CPU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용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금고 제어부(321), 리젝트고 제어부(322), 출금고 제어부(323), 리사이클링고 제어부(324), 지폐 반송로 제어부(325), 스위칭 게이트 제어부(326), 조작 제어부(327), 입출금 제어부(328), 판별 제어부(329), 일시 보관고 제어부(330), 취출 망각 회수고 제어부(331), 위권 회수고 제어부(332), 장전/회수고 제어부(333)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버스(110)를 통하여 본체 제어부(120)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20)는 본체 제어부(120)의 제어하에서, 상술한 각 기능부로서 기능한다. 다만, 각 기능부는 본체 제어부(120)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입금고 제어부(321)는 입금고(60)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리젝트고 제어부(322)는 리젝트고(83)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출금고 제어부(323)는 2개의 출금고(71, 7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리사이클링고 제어부(324)는 2개의 리사이클링고(81, 8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지폐 반송로 제어부(325)는 지폐 반송로를 구성하는 모터(도시 생략)를 제어한다. 스위칭 게이트 제어부(326)는 11개의 스위칭 게이트(50a 내지 50k)를 제어한다. 조작 제어부(327)는 고객 조작부(105)를 제어한다. 입출금 제어부(328)는 입출금 기구(20)를 제어한다. 판별 제어부(329)는 지폐 판별부(30)를 제어한다. 일시 보관고 제어부(330)는 일시 보관고(40)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취출 망각 회수고 제어부(331)는 회수고(61)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위권 회수고 제어부(332)는 위권 회수고(62)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장전/회수고 제어부(333)는 장전/회수고(63)에서의 지폐의 보관 및 배출을 제어한다.
A-2. 입출금 기구(20)의 구성 :
상술한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도 5에 나타낸다. 입출금 기구(20)는 입출금구(21)와, 셔터(201)와, 압판(押板)(210)과, 유지판(230)과, 구획판(260)과, 저판(底板)(208)과, 이물(異物) 받침 상자(602)와, 3개의 액추에이터(A1 내지 A3)와, 픽 롤러(R1)와, 분리 롤러(R2)와, 게이트 롤러(R3)와, 스택 롤러(R4)와, 3개의 센서(S1 내지 S3)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금 기구(20)는 중력 방향(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입출금구(21)는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기 위한 개구부(21a)를 구비하고 있다. 셔터(201)는 개구부(21a)를 개폐 가능하게, 입출금구(21)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지폐의 삽입 방향(이하, 입금 방향(DA1)이라고도 함) 및 지폐의 배출 방향(이하, 출금 방향(DA2)이라고도 함)과 수직한 방향인 방향 DA3(개구부(21a)가 닫히는 방향), DA4(21a가 열리는 방향)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셔터(201)의 이동은 액추에이터(A1)에 의해 행해진다. 셔터(201)는 비거래시에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 내로의 비나 먼지나 이물 등의 침입을 억제한다.
유지판(230)은 입출금구(21)로부터 삽입되는 지폐(도시 생략)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다. 유지판(230)은, 도 5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입출금구(21)에 가까운 쪽의 단(端))를 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방향 DA8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지판(230)의 배치 위치로서, 실선으로 나타낸 압판(210)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이하, 입금 위치(X1)라고도 함)와, 파선으로 나타낸 압판(210)으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이하, 취입 위치(X2)라고도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입금 위치(X1)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를 수납할 때의 위치이며, 취입 위치(X2)는 지폐를 지폐 반송로로 속출(繰出)할 때의 위치이다. 이 유지판(230)은, 통상, 스프링에 의해 입금 위치(X1)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후술하는 압판(210)에 의해 눌리면, 취입 위치(X2)까지 이동한다. 다만, 유지판(230)의 이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압판(210)은 유지판(230)과 동일한 판 형상 부재이며, 유지판(230)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유지판(230)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압판(210)은, 도 5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 DA5(셔터(201)와 평행한 방향)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압판(210)의 배치 위치로서, 스택 롤러(R4)와 저판(208) 사이의 반송로와, 후술하는 지폐 유치(留置) 영역(Ra)이 통하도록, 스택 롤러(R4)측으로 퇴피한 위치(이하, 취입 위치(Y2)라고도 함)와, 유지판(230)측으로 가능한 한 접근한 위치(이하, 분리 위치(Y3)라고도 함)와, 취입 위치(Y2)와 분리 위치(Y3) 사이로서, 스택 롤러(R4)와 저판(208) 사이의 반송로와 지폐 유치 영역(Ra)을 이격하는 위치(이하, 입금 위치(Y1)라고도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압판(210)은 취입 위치(Y2)와 분리 위치(Y3)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입금 위치(Y1)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를 수납할 때의 위치, 취입 위치(Y2)는 지폐 반송로로부터의 출금 지폐를 집적(集積)할 때의 위치, 분리 위치(Y3)는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출금 지폐를 분리하여 지폐 반송로로 속출할 때의 위치이다. 이러한 유지판(230)의 이동은 액추에이터(A2)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압판(210)은 그 유지판(230)측의 면에, 돌출한 압판 돌기부(213)와, 함몰한 오목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압판 돌기부(213) 및 오목부(214)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저판(208)은 슬릿을 갖는 판 형상 부재이다. 상술한 압판(210)과, 유지판(230)과, 저판(208)과, 옆판(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지폐 유치 영역(Ra)이 형성된다. 이 지폐 유치 영역(Ra)은 입출금구(21)로부터 투입된 지폐 또는 입출금구(21)로부터 배출할 지폐를 일시적으로 유치하는 영역이다. 압판(210)은 유지판(230)측으로 이동하여, 지폐 유치 영역(Ra)에 삽입된 지폐를 유지판(230)과의 사이에서 협지(挾持)하여, 당해 지폐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물 받침 상자(602)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 유치 영역(Ra)으로 인입되고, 저판(208)의 슬릿을 통해서 낙하하는 이물을 집적한다.
픽 롤러(R1)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된 지폐를 1장씩 빼낸다. 분리 롤러(R2)는 픽 롤러(R1)에 의해 빼내진 지폐를 게이트 롤러(R3)와의 사이에서 방향 DA9로 반송하여, 지폐 반송로 내에 속출한다. 게이트 롤러(R3)는 분리 롤러(R2)와 겹치도록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지폐를 겹쳐서 송출하는 것을 억제한다. 스택 롤러(R4)는 지폐 반송로를 통하여 반송되어 온 지폐를, 저판(208)과의 사이에서 방향 DA10으로 반송하여,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 반입한다.
3개의 센서(S1 내지 S3)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S1 내지 S3) 중, 센서(S1)는 입출금구(21)에 가장 가깝고, 센서(S3)는 입출금구(21)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으며, 센서(S2)는 2개의 센서(S1, S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S1 내지 S3)는, 모두, 한 쌍의 광원 및 수광부를 갖는 광학 센서이다. 이들 센서(S1 내지 S3)에서, 각각 광이 차단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지폐 유치 영역(Ra)에서의 지폐의 유무를 검지(檢知)할 수 있다.
구획판(260)은 유지판(230)과 압판(210) 사이에서, 지폐 유치 영역(Ra)을, 압판(210)을 따른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다. 구획판(260)은 유지판(230)과 입금 위치(Y1)의 압판(210) 사이를 방향 DA6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260)은 취입 위치(X2)의 유지판(230)에 맞닿는 위치로부터, 입출금구(21)를 향하여 방향 DA7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획판(260)의 위치로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위치(Y1)의 압판(210)과 맞닿는 위치(이하, 입금 위치(Z1)라고도 함)와, 입금 위치(Z1)로부터 방향 DA6으로 이동하여 유지판(230)측에 가장 접근한 위치(이하, 퇴피 위치(Z2)라고도 함)와, 퇴피 위치(Z2)로부터 방향 DA7로 이동하여, 입출금구(21)에 가장 접근한 위치(이하, 퇴피 위치(Z3)라고도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구획판(260)은 입금 위치(Z1)와 퇴피 위치(Z2), 퇴피 위치(Z2)와 퇴피 위치(Z3) 각각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입금 위치(Z1)는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를 수납할 때의 위치, 퇴피 위치(Z3)는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를 지폐 반송로로 속출할 때의 위치이다. 이러한 구획판(260)의 이동은 액추에이터(A3)에 의해 행해진다.
구획판(260)은 입금 위치(Z1)로부터 퇴피 위치(Z2)측으로 이동하여,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삽입된 지폐를 유지판(230)과의 사이에서 협지하여, 당해 지폐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260)은 복수매의 지폐가 투입되는 입금 거래에서, 전술한 지폐 판별부(30)에서 지폐의 금종이 판독되지 않는 경우나, 지폐가 이상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당해 지폐를 스택 롤러(R4)에 의해 방향 DA10의 방향으로 반송하여, 구획판(260)과 취입 위치(Y2)의 압판(21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리젝트 지폐로서 집적한다. 그 때, 구획판(260)은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서 방향 DA9로 속출 중인 지폐와 구획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구획판(260)은 상부 구획판(261)과, 하부 구획판(262)과, 지점(支点) 부재(263)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구획판(261)은 구획판(260) 중 지점 부재(263)보다 입출금구(21)측의 부위를 포함하고,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구획판(262)은 지점 부재(263)보다 입출금구(21)와 반대측에 형성된 부위이며, 이러한 회전은 행할 수 없다. 즉, 하부 구획판(262)은, 항상, 압판(210)과 대략 평행한 각도로, 상술한 평행 이동만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구획판(260)은 그 이동 위치에 따라 구획판(260)에서의 상부 구획판(261)의 위치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판(260)이 입금 위치(Z1)(압판(210)과 구획판(260)이 적어도 일부에 맞닿는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부 구획판(261)은 압판(210)과 대략 평행한 위치, 환언하면, 지점 부재(263)와 압판(210)의 거리 D1과,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단부(端部)와 압판(210)의 거리 D2가, 대략 동일한 위치인 위치 W2로 이동한다. 또한, 구획판(260)이 퇴피 위치(Z2) 또는 퇴피 위치(Z3)(압판(210)과 구획판(260)이 맞닿지 않는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상부 구획판(261)은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환언하면, 거리 D1이 거리 D2보다 짧은 위치인 위치 W1로 이동한다. 또한, 위치 W2는 상부 구획판(261)이 압판(21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환언하면, 거리 D1이 거리 D2보다 긴 위치여도 된다. 위치 W1은 청구항의 제 1 위치, 위치 W2는 청구항의 제 2 위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상부 구획판(261)의 이동의 기구에 대해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a)는 도 5와 동일한 방향에서 본 압판(210)과 유지판(230)을 나타내고 있고, 도 6의 (b)는 압판(210)의 방향에서 본 구획판(260)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판(260)은 2개의 상부 구획판(261)과, 1개의 하부 구획판(262)이 지점 부재(263)를 통하여 연결되어 구성된다. 지점 부재(263)는 상부 구획판(261)과 하부 구획판(262)에 형성된 구멍부를 관통하는 샤프트의 양단이 너트 등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하부 구획판(262)은 대략 사각형의 판상형 형상이며, 상부 구획판(261)측으로 노치(notch)된 2개의 노치부(26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기본적으로는, 지점 부재(263)보다 하부 구획판(262)과 반대측(입출금 기구(20)에서의 위치 관계에서는, 입출금구(21)측)에 형성된 부위이지만, 노치부(266)에 수납 가능한 형상의 2개의 구획판 돌기부(264)를, 지점 부재(263)보다 하부 구획판(262)측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의 수는 1개이어도 또는 3개 이상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하부 구획판(262)과 동일한 폭(지점 부재(263)의 축방향의 길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의 구획판(260)에서는, 도 6의 (a)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획판(261)은 비틀림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W1의 위치에 머무르도록 가압되어 있다. 여기서, 압판(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압판 돌기부(213)와 오목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압판 돌기부(213)는 구획판 돌기부(264)와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압접 돌기부(213)와 구획판 돌기부(264)가 맞닿는 위치 관계에서, 압판(210)을 구획판(264)측으로 더 이동시키면, 구획판 돌기부(264)가 압판 돌기부(213)에 의해 압판(210)과 반대 방향으로 눌린다. 그 작용력에 의해, 상부 구획판(261)은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방향 DA21로 위치 W1의 위치로부터 위치 W2의 위치까지 회전 이동한다.
위치 W2는 상부 구획판(261)의 하부 구획판(262)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압판(210)과 맞닿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W2에서는 상부 구획판(261)과 하부 구획판(262)이 대략 평행, 정확하게는, 상부 구획판(261)이 하부 구획판(262)보다 약간, 압판(21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 관계로 된다. 다만, 압판(210)의 형상에 따라서는, 상부 구획판(261)과 하부 구획판(262)이 완전히 평행해도 되고, 상부 구획판(261)이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압판(210)측으로 크게 기울어진 위치 관계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판(210)이 압판 돌기부(213)를 구비하고, 하부 구획판(262)이 노치부(266)를 구비하기 때문에, 압판 돌기부(213)는 구획판 돌기부(264)를, 하부 구획판(262)보다 압판(210)과 반대측으로 누를 수 있어, 상부 구획판(261)의 가동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압판 돌기부(213)와 노치부(266)가 없으면, 압판(210)이 하부 구획판(262)과 맞닿게 되므로, 상부 구획판(261)은 하부 구획판(262)과 평행한 위치까지밖에 이동할 수 없다. 다만, 압판 돌기부(213)와 노치부(266)는 필수 구성은 아니다.
또한, 압판(210)의 오목부(214)는 상부 구획판(261)이 위치 W2로 이동한 경우에서, 상부 구획판(261)의 전체(구획판 돌기부(264)는 제외함)가 오목부(214)의 오목 형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만, 적어도 상부 구획판(261)의 구획판 돌기부(264)와 반대측의 단부가 오목부(214)에 수용되면 된다.
A-3. 입출금 기구(20)의 동작 :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에서 지폐의 출납 등을 행하는 경우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A-3-1. 입금시의 동작 :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수납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를 조작하여, 입금 거래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320)는 본체 제어부(12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판(210)을 입금 위치(Y1)에, 유지판(230)을 입금 위치(X1)에, 구획판(260)을 입금 위치(Z1)에 배치한다. 이 때, 압판(210)의 압판 돌기부(213)는 구획판(260)의 구획판 돌기부(264)를 유지판(230)측으로 누른 상태이며, 상부 구획판(261)은 위치 W2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선단부가 압판(210)과 맞닿아서, 구획판(260)과 압판(210) 사이의 간극으로의 입구를 완전히 막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를 행하면, 제어부(320)는 셔터(201)를 방향 DA4로 열어서, 개구부(21a)를 연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개구부(21a)로부터 지폐(Ca)를,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삽입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센서(S1 내지 S3)를 사용하여 지폐(Ca)의 투입 완료를 검지하면,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는다. 그 후, 제어부(320)는 압판(210)을 취입 위치(Y2)로 이동시켜, 리젝트 지폐의 집적에 대비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구획판(260)을 유지판(230)측으로 이동시켜서, 하부 구획판(262)에 의해 지폐(Ca)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고, 지폐(Ca)를 1장씩 픽 롤러(R1)에 의해 빼내고, 분리 롤러(R2)에 의해 분리하여, 방향 DA9를 따라 지폐 반송로로 반송한다. 또한, 압판(210)을 취입 위치(Y2)로 이동하면, 상부 구획판(261)의 위치는 일단, 위치 W1로 되지만, 지폐(Ca)에 가압력을 가했을 때는, 지폐(Ca)의 응력에 따라, 위치 W2로 된다. 또한, 지폐 판별부(30)에서 지폐의 금종이 판독되지 않는 경우나, 지폐가 이상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제어부(320)는 당해 지폐를, 리젝트 지폐로서, 방향 DA10으로부터 스택 롤러(R4)에 의해, 취입 위치(Y2)의 압판(210)과 입금 위치(Z1)의 구획판(26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한다.
A-3-2. 출금시의 동작 :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배출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를 조작하여, 출금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320)는 본체 제어부(12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판(210)을 취입 위치(Y2)에, 유지판(230)을 입금 위치(X1)에, 구획판(260)을 입금 위치(Z1)에 배치한다. 이 때, 압판(210)과 상부 구획판(261)은 맞닿고 있지 않으므로, 상부 구획판(261)은 위치 W1의 위치, 즉,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배치를 행하면, 제어부(320)는 방향 DA10으로부터 스택 롤러(R4)를 사용하여, 지폐(Ca)를 압판(210)과 구획판(26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집적한다. 지폐(Ca)의 집적이 종료하면, 제어부(320)는 셔터(201)를 방향 DA4로 연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으로부터 지폐(Ca)를 취출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센서(S1 내지 S3)를 사용하여 지폐(Ca)의 배출을 검지하면,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는다.
A-3-3. 지폐 취출 망각시의 동작 :
입출금 기구(20)가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출금 지폐를 회수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설명한 출금시의 동작에서, 소정 기간, 센서(S1 내지 S3)에 의해, 지폐(Ca)의 배출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320)는 지폐(Ca)를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아서, 구획판(260)을 퇴피 위치(Z3)로 이동한다. 구획판(260)을 이동하면, 압판(210)을 유지판(230)측으로 이동시켜서, 지폐(Ca)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서, 입금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지폐(Ca)를 1장씩 방향 DA9를 따라 지폐 반송로로 반송한다.
A-4. 효과 :
상술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에서, 입출금 기구(20)의 압판(210)과 유지판(230) 사이에 배치된 구획판(260)은, 위치에 따라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하는 상부 구획판(261)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구획판(261)은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입금 동작시에, 압판(210)과 맞닿아서, 위치 W2의 위치로 된다. 즉,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선단부가 압판(210)과 맞닿아서, 구획판(260)과 압판(210) 사이의 간극으로의 입구를 완전히 막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수납하는 지폐(Ca)가 압판(210)과 구획판(260) 사이의 간극에 인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상부 구획판(261)의 위치 W2를, 더욱 압판(21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하면, 더욱 커진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입출금 기구(20)에서의 출금 동작시에, 압판(210)과 떨어져서, 위치 W1의 위치로 된다. 즉, 상부 구획판(261)이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의 집적된 지폐(Ca)를 유지판(230)측으로부터 취출하기 쉬워,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압판(210)과 대략 평행한 하부 구획판(262)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에 배치된 지폐(Ca)에 대하여, 적절하게, 가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지점 부재(263)보다 하부 구획판(262)측으로 튀어나온 구획판 돌기부(26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구획판 돌기부(264)와 압판(210)이 맞닿은 상태에서 압판(210)을 구획판 돌기부(264)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점 부재(263)를 위치 W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구획판(261)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장치를 간략화, 효율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구획판(262)은 상부 구획판(261)의 구획판 돌기부(264)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획판 돌기부(264)가 통과 가능한 노치부(266)를 구비하고 있고, 압판(210)은 구획판 돌기부(264)와 맞닿는 압판 돌기부(21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압판 돌기부(213)는 구획판 돌기부(264)를 하부 구획판(262)보다 유지판(230)측으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구획판(261)의 압판(210)측으로의 가동역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압판(210)은 상부 구획판(261)이 입금 위치(Z1)에 있을 경우에,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단부가 적어도 수용되는 오목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납하는 지폐(Ca)가 상부 구획판(261)의 단부에 닿기 어려워, 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B.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의 구성은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하에, 입출금 기구(20)의 구성과, 그 동작에 대해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B-1. 입출금 기구(20)의 구성 :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을 도 10에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의 구성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클램프 기구(40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와 스토퍼(284)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이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앞쪽 클램프 기구(403)는 지폐 반송용의 벨트(클램프 벨트)와, 이 클램프 벨트를 구동하는 풀리와, 벨트를 지지하는 풀리(예를 들면, 도 10의 풀리(P3))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벨트는 지폐를 취입하는 방향과 지폐를 배출하는 방향 중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구동한다. 도 10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일부는, 풀리(P3)를 지점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방향 DA33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배치 위치로서, 뒤쪽 클램프 기구(402)에 비교적 가까운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입금 위치(Q1)라고도 함)와, 뒤쪽 클램프 기구(402)로부터 비교적 먼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퇴피 위치(Q2)라고도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뒤쪽 클램프 기구(402)는, 도 10에서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배치 위치로서, 앞쪽 클램프 기구(403)와 접하는 위치(도시 생략, 이하, 협지 위치라고도 함)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에 비교적 가까운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방출 위치(T1)라고도 함)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로부터 비교적 먼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이하, 퇴피 위치(T2)라고도 함)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뒤쪽 클램프 기구(402)는, 풀리(P2)를 지점으로 하여, 방향 DA31 및 DA32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앞쪽 클램프 기구(403) 및 뒤쪽 클램프 기구(402)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클램프 기구는, 지폐 유치 영역(Ra) 내에서, 지폐(Ca)를 협지하여 입금 방향(DA1) 또는 출금 방향(DA2)으로 반송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는 압판(210) 및 유지판(230)의 내측(압판(210)과 유지판(230) 사이)과, 외측(압판(210)과 유지판(230)을 끼워넣은 위치) 사이에서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 기구(402, 403)와, 압판(210) 및 유지판(230)은 겹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뒤쪽 클램프 기구(402) 및 앞쪽 클램프 기구(403)는 대응하는 압판(210), 유지판(230)에 설치된 노치(도시 생략)에 수용된다.
스토퍼(284)는 입출금구(21)를 통하여 투입되는 지폐를 받아들인다. 이 스토퍼(284)는 셔터(201)와 평행한 방향 DA34으로 평행 이동 가능하고, 지폐 유치 영역(Ra)에 노출되는 위치(이하, 입금 위치라고도 함)와, 지폐 유치 영역(Ra)에 노출되지 않는 위치(이하, 퇴피 위치라고도 함)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초기 상태에서, 스토퍼(284)는, 도 10에 나타낸 입금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284)의 이동은 액추에이터(A4)에 의해 행해진다. 여기서, 스토퍼(284)의 배치 위치는 입출금구(21)로부터 스토퍼(284)까지의 거리가, 삽입되는 지폐의 높이 방향(입금 방향)의 길이보다 짧아지는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은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뒤쪽 클램프 기구(402)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와, 지지판 부재(417)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와, 구동 샤프트(430)와, 6개의 리브(421 내지 426)와,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뒤쪽 클램프 기구(402) 이외의 구성요소(2매의 프레임(603, 604)과, 제 1 구동 풀리(450)와, 구동 벨트(460)와, 제 2 구동 풀리(451)와 2개의 액추에이터(A5, A6))도 아울러 기재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15)는 2매의 프레임(603, 604) 사이에서, 이들 프레임(603, 604)과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양단은 2개의 프레임(603, 604)과 평행한 굴곡부를 갖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중앙에는 コ자형으로 굴곡된 지지판 부재(417)가 접합되어 있고, 이 지지판 부재(417)는 4개의 풀리(421, 422, 424, 425)를 지지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20)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단(端)에 설치된 굴곡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판 형상 부재이다.
구동 샤프트(430)는 가이드 플레이트(4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기둥형 부재이다. 이 구동 샤프트(430)는 2매의 프레임(603, 604)과, 슬라이드 플레이트(420)와,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양단의 굴곡부와, 2개의 풀리(421, 424)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430)의 일단(一端)은 슬라이드 플레이트(420)를 통하여 프레임(604)이 갖는 슬릿(도시 생략)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고, 타단(他端)은 프레임(603)이 갖는 슬릿(605)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풀리(421)와 풀리(422)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422)와 풀리(423)는 입금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411)는 이들 3개의 풀리(421 내지 423)에 가설되어 있다. 풀리(424)는 구동 샤프트(430)를 따라 풀리(42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풀리(424)와 풀리(425)는 입금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풀리(425)와 풀리(426)는 입금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412)는 이들 3개의 풀리(424 내지 426)에 가설되어 있다. 또한, 풀리(422) 및 풀리(425)는 도 10에서의 풀리(P2)에 상당한다.
2개의 풀리(421, 424)는 구동 샤프트(430) 중, 2매의 프레임(603, 604) 사이의 중앙 부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는 삽입되는 지폐(Ca)의 폭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풀리(423)는 풀리(422)를 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풀리(423)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향하는 앞쪽 클램프 기구(40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지폐가 삽입되는 경우, 또는, 지폐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풀리(423)는 지폐의 두께에 따라 앞쪽 클램프 기구(40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풀리(423)는 지폐에 대하여 가압력을 가한다. 풀리(426)는 상술한 풀리(42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매의 프레임(603, 604)은 모두 평면 형상이 장방형의 박판(薄板) 부재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603)은 길이 방향에 따른 슬릿(60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604)도 프레임(603)과 동일한 위치에 슬릿을 갖고 있지만, 도시의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604)의 상반 부분도 도시의 편의상 생략하고 있다. 이들 2매의 프레임(603, 604)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2매의 프레임(603, 604) 사이의 거리는 삽입되는 지폐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프레임(604)에는 제 1 구동 풀리(450, 451)가 부착되고, 구동 벨트(460)는 이들 2개의 구동 풀리(450, 451)에 가설되어 있다. 액추에이터(A5)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 및 2개의 프레임(603, 604)과는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액추에이터(A6)는 프레임(60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슬릿(605)을 통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5)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구동 풀리(450)는 액추에이터(A5)와 접속되어 있고, 액추에이터(A5)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A5)는 제 1 구동 풀리(450)를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벨트(460)는 제 1 구동 풀리(450)의 구동에 따라 구동한다. 제 2 구동 풀리(451)는 프레임(604)측의 구동 샤프트(430)의 선단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 2 구동 풀리(451)는 구동 벨트(460)에 감겨 있고, 구동 벨트(460)의 구동에 따라 회전 구동한다.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 샤프트(430)는 제 2 구동 풀리(451)의 회전에 따라 회전 구동한다. 그러면, 구동 샤프트(430)에 부착된 2개의 풀리(421, 424)는 구동 샤프트(43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동기하여 구동한다. 이들 2개의 풀리(421, 424)의 구동에 따라,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는 구동한다. 이 때,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는 제 1 구동 풀리(450)의 구동 방향을 따라, 삽입되는 지폐를 수납하는 방향(이하, 단순히 「수납 방향」이라고 칭함)과, 지폐를 배출하는 방향(이하, 단순히 「배출 방향」이라고 칭함) 중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구동할 수 있다.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6)는 가이드 플레이트(415)를 슬릿(605)을 따라 입금 방향과 수직으로 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415)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 샤프트(430) 및 지지판 부재(417)도 슬라이드한다. 지지판 부재(417)의 슬라이드에 따라, 6개의 풀리(421 내지 426)나 2개의 클램프 벨트(411, 412)도 슬라이드한다. 또한, 구동 샤프트(430)의 슬라이드에 따라, 구동 샤프트(430)의 선단에 접합된 제 2 구동 풀리(451)도 슬라이드한다. 여기서, 제 2 구동 풀리(451)는 구동 벨트(460)에 감긴 상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동 샤프트(430)가 슬라이드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경우일지라도, 액추에이터(A5)의 구동력은 제 2 구동 풀리(451)를 통하여 구동 샤프트(430)에 전해진다.
도 12는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앞쪽 클램프 기구(403)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지지판 부재(714)와, 제 1 구동 샤프트(770)와, 제 2 구동 샤프트(771)와, 제 3 구동 샤프트(733)와, 10개의 풀리(722 내지 725, 730, 731, 750 내지 753)와,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와, 제 1 구동 벨트(760)와, 제 2 구동 벨트(762)와, 제 3 구동 벨트(7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앞쪽 클램프 기구(403) 이외의 구성요소(2매의 프레임(703, 704)과, 2개의 액추에이터(A7, A8))도 아울러 기재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는 2매의 프레임(703, 704) 사이에서, 이들 프레임(703, 704)과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양단은 2매의 프레임(703, 704)과 평행한 굴곡부를 갖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중앙에는 コ자형으로 굴곡한 지지판 부재(714)가 접합되어 있고, 이 지지판 부재(714)는 4개의 풀리(722 내지 725)를 지지한다. 또한, 2개의 풀리(723, 725)는 각각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지지판 부재(714)와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2개의 굴곡부의 선단은 제 1 구동 샤프트(7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기둥형 부재이다. 이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2개의 풀리(751, 75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2매의 프레임(703, 70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구동 샤프트(770)는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풀리(751, 753)는 도 10에 나타낸 풀리(P3)에 상당한다. 제 2 구동 샤프트(771)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와 평행하게 배치된 원기둥형 부재이다. 제 2 구동 샤프트(771)는 가이드 플레이트(715)의 굴곡부와, 지지판 부재(714)와, 풀리(730)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2 구동 샤프트(771)의 일단은 풀리(752)와 접속되고, 타단은 프레임(703)이 갖는 슬릿(705)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릿(705)으로부터 돌출하여 배치된 제 2 구동 샤프트(771)의 단에는, 액추에이터(A8)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구동 샤프트(733)는 지지판 부재(714)의 선단 부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3 구동 샤프트(733)는 중간 위치에서 풀리(731)를 관통하고, 또한, 일단 부근에서 풀리(722)를, 타단 부근에서 풀리(724)를, 각각 관통하고 있다.
풀리(722)와 풀리(723)는 입금 방향 및 출금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727)는 이들 풀리(722, 723)에 가설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풀리(724)와 풀리(725)는 입금 방향 및 출금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 벨트(728)는 이들 풀리(724, 725)에 가설되어 있다.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는 2매의 프레임(703, 704) 사이의 중간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되는 지폐(Ca)의 폭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제 3 구동 벨트(732)는 2개의 풀리(731, 730)에 가설되어 있다.
제 1 구동 벨트(760)는 2개의 풀리(750, 751)에 가설되어 있다. 풀리(750)에는 액추에이터(A7)가 접속되고, 액추에이터(A7)는 풀리(750)를 구동한다. 제 2 구동 벨트(762)는 2개의 풀리(752, 753)에 가설되어 있다.
풀리(723)는 풀리(722)를 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지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풀리(723)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대향하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지폐가 삽입되는 경우 또는 지폐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풀리(723)는 지폐의 두께에 따라 뒤쪽 클램프 기구(4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풀리(723)는 지폐에 대하여 가압력을 가한다. 풀리(725)는 상술한 풀리(723)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2매의 프레임(703, 704)은 모두 평면 형상이 장방형의 박판 부재이다. 프레임(703)은 원호 형상의 슬릿(70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편의상, 프레임(704)의 상반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이들 2매의 프레임(703, 704)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2매의 프레임(703, 704) 사이의 거리는 삽입되는 지폐(Ca)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7)에 의해 풀리(750)가 구동되면, 제 1 구동 벨트(760)를 통하여 풀리(751)가 회전한다. 풀리(751)의 회전에 따라 제 1 구동 샤프트(770)가 회전하므로, 제 1 구동 샤프트(770)에 부착된 풀리(753)도 동기하여 회전하고, 제 2 구동 벨트(762)가 구동한다. 제 2 구동 벨트(762)의 구동력은 풀리(752)와 제 2 구동 샤프트(771)와 풀리(730)에 전달되고, 제 3 구동 벨트(732)는 구동한다. 제 3 구동 벨트(732)의 구동에 따라 풀리(731)를 통하여 제 3 구동 샤프트(733)가 회전하므로, 2개의 풀리(722, 724)는 서로 동기하여 회전한다. 이들 2개의 풀리(722, 724)의 구동에 따라,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는 구동한다. 이 때,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는 풀리(750)의 구동 방향을 따라, 수납 방향 및 배출 방향 중 어느 쪽의 방향으로도 구동할 수 있다.
앞쪽 클램프 기구(403) 전체의 이동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액추에이터(A8)는 제 2 구동 샤프트(771)를 슬릿(705)을 따라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715) 및 지지판 부재(714)가 제 1 구동 샤프트(770)를 축으로 하여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한다. 따라서, 앞쪽 클램프 기구(403) 전체로서, 원호를 그리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앞쪽 클램프 기구(403)가 어느 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액추에이터(A7)에 의한 구동력은 상술한 경로로 2개의 클램프 벨트(727, 728)에 전해진다. 따라서, 이들 클램프 벨트(727, 728)는 앞쪽 클램프 기구(403)가 어느 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삽입되는(또는, 배출하는) 지폐(Ca)를 반송할 수 있다.
B-2. 입출금 기구(20)의 동작 :
제 2 실시예로서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500)에서의 지폐의 출납 등에서의 입출금 기구(2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B-2-1. 입금시의 동작 :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수납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를 조작하여, 입금 거래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320)는 본체 제어부(12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판(210)을 입금 위치(Y1)에, 유지판(230)을 입금 위치(X1)에, 구획판(260)을 입금 위치(Z1)에 배치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T2),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Q2)에 배치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스토퍼(284)를 방향 DA41로 이동시켜서, 지폐 유치 영역(Ra) 내로 밀어낸다.
이 때, 압판(210)의 압판 돌기부(213)는 구획판(260)의 구획판 돌기부(264)를 유지판(230)측으로 누른 상태이며, 상부 구획판(261)은 위치 W2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선단부가 압판(210)과 맞닿아서, 구획판(260)과 압판(210) 사이의 간극으로의 입구를 완전히 막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를 행하면, 제어부(320)는 셔터(201)를 방향 DA4로 열어서, 개구부(21a)를 연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개구부(21a)로부터 지폐(Ca)를, 구획판(260)과 유지판(230)과 스토퍼(284)에 의해 구획된 지폐 유치 영역(Ra)에 삽입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용자는 스토퍼(284)에 지폐(Ca)를 부딪쳐서 지폐(Ca)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투입시에, 손을 지폐 유치 영역(Ra)에 투입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센서(S2)를 사용하여 지폐(Ca)의 투입 완료를 검지하면,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방출 위치(T1)까지,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입금 위치(Q1)까지 이동시켜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클램프 벨트(727, 728)에 의해 지폐(Ca)를 협지한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스토퍼(284)를 방향 DA42로 이동하여 퇴피시키고,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클램프 벨트(727, 728)를 방향 DA43으로 구동시켜서, 지폐(Ca)를 저판(208)에 부딪치는 위치까지 인입한다.
센서(S1, S3)에 의해, 지폐(Ca)를 저판(208)까지 인입한 것을 검지하면, 제어부(320)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T2),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Q2)까지 이동하여 퇴피시키고,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는다. 그 후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어부(320)는 지폐(Ca)를 1장씩 지폐 반송로로 반송한다.
B-2-2. 출금시의 동작 :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가 지폐를 배출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용자가 고객 조작부(105)를 조작하여, 출금 조작을 행하면, 제어부(320)는 본체 제어부(120)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T2),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Q2)에 배치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스토퍼(284)를 지폐 유치 영역(Ra) 내로부터 퇴피시킨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도 8 참조), 취입 위치(Y2)의 압판(210)과, 입금 위치(Z1)의 구획판(26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지폐(Ca)를 집적한다. 지폐(Ca)를 집적하면, 제어부(320)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판(210)을 입금 위치(Y1)로, 구획판(260)을 퇴피 위치(Z2)로 이동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방출 위치(T1)까지,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입금 위치(Q1)까지 이동시켜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클램프 벨트(727, 728)에 의해 지폐(Ca)를 협지한다.
지폐(Ca)를 협지하면, 제어부(320)는 셔터(201)를 방향 DA4로 열고,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클램프 벨트(727, 728)를 방향 DA45로 구동시켜서, 지폐(Ca)를 출금 방향(DA2)으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이용자는 밀어내어진 지폐(Ca)를 취출한다. 또한, 이 때, 밀어내어진 지폐(Ca)의 상부는 셔터(201)의 레벨보다 상부에 위치하므로, 이용자는 지폐 유치 영역(Ra)에 손을 삽입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제어부(320)는 센서(S1)를 사용하여 지폐(Ca)의 배출을 검지하면,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는다.
B-2-3. 지폐 취출 망각시의 동작 :
제 2 실시예에서의, 입출금 기구(20)가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출금 지폐를 회수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에서 설명한 출금시의 동작에서, 소정 기간, 센서(S1)에 의해, 지폐(Ca)의 배출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제어부(320)는 지폐(Ca)를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것으로 판단하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320)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의 클램프 벨트(411, 412)와 앞쪽 클램프 기구(403)의 클램프 벨트(727, 728)를 방향 DA43으로 구동시켜서, 협지한 지폐(Ca)를 입금 방향(DA1)으로 인입한다.
이 때, 압판(210) 및 구획판(260)의 위치는 출금 동작시 그대로이다. 즉, 압판(210)은 입금 위치(Y1), 구획판(260)은 퇴피 위치(Z2)에 있다. 또한, 압판(210)과 상부 구획판(261)은 맞닿고 있지 않으므로, 상부 구획판(261)은 위치 W1의 위치, 즉,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위치를 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Ca)를 입금 방향(DA1)으로 인입함으로써, 지폐(Ca)는 저판(208)에 부딪쳐서, 압판(210)과 구획판(26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수납된다.
지폐(Ca)가 지폐 유치 영역(Ra)에 수납된 것을 센서(S3)에 의해 검지하면, 제어부(320)는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T2),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Q2), 구획판(260)을 퇴피 위치(Z3)로 이동하여, 퇴피시킨다. 또한, 제어부(320)는 셔터(201)를 방향 DA3으로 닫는다. 그리고, 그 후의 동작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어부(320)는 지폐(Ca)를 1장씩 지폐 반송로로 반송한다.
B-3. 효과 :
상술한 제 2 실시예로서의 입출금 기구(20)에서, 구획판(260)의 상부 구획판(261)은, 입금 동작시에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판(210)과 맞닿아서, 위치 W2의 위치로 된다. 즉, 상부 구획판(261)의 입출금구(21)측의 선단부가 압판(210)과 맞닿아서, 구획판(260)과 압판(210) 사이의 간극으로의 입구를 완전히 막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클램프 기구(402) 및 앞쪽 클램프 기구(403)에 의해, 수납한 지폐(Ca)를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인입할 때에, 당해 지폐(Ca)가 압판(210)과 구획판(260) 사이의 간극에 인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부 구획판(261)은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Ca)를 회수하는 동작시에서, 위치 W2의 위치로 된다. 즉, 상부 구획판(261)이 유지판(230)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클램프 기구(402) 및 앞쪽 클램프 기구(403)에 의해, 취출하는 것을 잊은 지폐(Ca)를 압판(210)과 구획판(260) 사이의 지폐 유치 영역(Ra)에 인입할 때에, 당해 지폐(Ca)가 구획판(260)과 유지판(230) 사이의 간극에 인입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지폐(Ca)가 구획판(260)의 입출금구(21)측의 단부에 닿기 어려워, 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압판(210)이나 구획판(260)의 형상에 의해 얻어지는 제 1 실시예의 효과는 제 2 실시예에서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도, 뒤쪽 클램프 기구(402)를 퇴피 위치(T2)로, 앞쪽 클램프 기구(403)를 퇴피 위치(Q2)로 퇴피시켜 두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은 가능하고, 그 때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C. 변형예 :
상술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C-1. 변형예 1 :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획판(260)의 상부 구획판(261)은 압판(210)과 맞닿게 함으로써,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소정 범위의 회전 이동을 행할 수 있는 구성, 즉, 직접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상부 구획판(261)을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상부 구획판(261)의 이동에 액추에이터를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구획판(260)은 구획판 돌기부(264)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C-2. 변형예 2 :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획판(260)은 상부 구획판(261)과 하부 구획판(262)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하부 구획판(262)은 필수적이지 않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판(260)은 구획판(260)의 입출금구(21)와 반대측의 단부에 지점 부재(263)를 구비하고, 지점 부재(263)를 지점으로 하여, 상부 구획판(261)이 위치 W1과 위치 W2의 범위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시하는 예는, 상부 구획판(261)을 액추에이터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므로, 압판(210)은 압판 돌기부(213)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부 구획판(261)은 구획판 돌기부(264)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요소 이외의 요소는 부가적인 요소이고,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지폐나 장표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여러가지 지엽류 취급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 지폐 입출금기 10a : 상부 반송 기구
10b : 하부 반송 기구 20 : 입출금 기구
21 : 입출금구 21a : 개구부
30 : 지폐 판별부 40 : 일시 보관고
50a 내지 50k : 스위칭 게이트 60 : 입금고
61 : 회수고 62 : 위권 회수고
63 : 장전/회수고 71, 72 : 출금고
81, 82 : 리사이클링고 83 : 리젝트고
101 : 케이싱 102 :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
103 : 카드 슬롯 105 : 고객 조작부
106 : 금고 케이싱 110 : 버스
120 : 본체 제어부 125 : 외부 기억 장치
130 : 계원 조작부 135 : 인터페이스부
140 : 전원부 201 : 셔터
208 : 저판 210 : 압판
213 : 압판 돌기부 214 : 오목부
230 : 유지판 260 : 구획판
261 : 상부 구획판 262 : 하부 구획판
263 : 지점 부재 264 : 구획판 돌기부
266 : 노치부 284 : 스토퍼
320 : 제어부 321 : 입금고 제어부
322 : 리젝트고 제어부 323 : 출금고 제어부
324 : 리사이클링고 제어부 325 : 지폐 반송로 제어부
326 : 스위칭 게이트 제어부 327 : 조작 제어부
328 : 입출금 제어부 329 : 판별 제어부
330 : 일시 보관고 제어부 331 : 취출 망각 회수고 제어부
332 : 위권 회수고 제어부 333 : 장전/회수고 제어부
402 : 뒤쪽 클램프 기구 403 : 앞쪽 클램프 기구
411, 412 : 클램프 벨트 415, 715 : 가이드 플레이트
417 : 지지판 부재 420 : 슬라이드 플레이트
421 내지 426, 722 내지 725, 730, 731, 750 내지 753, P2, P3 : 풀리
430 : 구동 샤프트 450 : 제 1 구동 풀리
451 : 제 2 구동 풀리 460 : 구동 벨트
500 : 현금 자동 거래 장치 602 : 이물 받침 상자
603, 604, 703, 704 : 프레임 605, 705, SL : 슬릿
714 : 지지판 부재 727, 728 : 클램프 벨트
732 : 제 3 구동 벨트 733 : 제 3 구동 샤프트
760 : 제 1 구동 벨트 762 : 제 2 구동 벨트
770 : 제 1 구동 샤프트 771 : 제 2 구동 샤프트
A1 내지 A8 : 액추에이터 R1 : 픽 롤러
R2 : 분리 롤러 R3 : 게이트 롤러
R4 : 스택 롤러 S1 내지 S3 : 센서
Ra : 지폐 유치 영역 Ca : 지폐
X1, Y1, Z1, Q1 : 입금 위치 X2, Y2 : 취입 위치
Y3 : 분리 위치 Z2, Z3, T2, Q2 : 퇴피 위치
W1, W2 : 위치 T1 : 방출 위치
DA1 : 입금 방향 DA2 : 출금 방향
DA3 내지 DA10, DA21, DA31 내지 DA34, DA41 내지 DA43, DA45 : 방향

Claims (12)

  1. 지엽류(紙葉類) 취급 장치로서,
    지엽류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의 내부측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상기 지엽류를 유지하는 유지판과,
    상기 유지판과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유지판과의 사이의 거리를 가변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상기 지엽류를 상기 유지판과의 사이에서 협지(挾持) 가능한 압판(押板)과,
    상기 유지판과 상기 압판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공간을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유지판과 상기 압판 사이를 이동 가능한 구획판이며, 상기 구획판이 구비하는 지점(支点) 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구획판 중,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부위를 포함하는 상부 구획판이 이동 가능한 구획판
    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상부 구획판이 상기 유지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1 위치와,
    상기 상부 구획판이,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 또는, 상기 압판측으로 기울어진 제 2 위치로 이동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에, 상기 압판을 따른 방향으로 하부 구획판을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또는 상기 압판이 이동하고, 상기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 또는 상기 압판이 이동하고, 상기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고 있지 않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 1 항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의 부위를 형성하는 구획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압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압판이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 2 항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측으로 가압되고,
    상기 지점 부재보다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의 부위를 형성하는 구획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구획판은, 상기 구획판 돌기부가 상기 지점 부재를 지점으로 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하부 구획판의 간섭을 피하는 노치(notch)부를 구비하고,
    상기 압판은,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맞닿는 개소에,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돌출한 압판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판 돌기부와 상기 압판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압판이 상기 구획판 돌기부측으로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구획판을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 1 항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압판은, 상기 압판의 상기 구획판측의 면에, 상기 상부 구획판과 상기 압판이 맞닿은 위치 관계를 취하는 경우에서, 적어도 상기 상부 구획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端部)가 수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 1 항에 기재된 지엽류 취급 장치로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지판 사이에 상기 지엽류를 수납하는 수납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구획판의 상기 개구부측의 단부가 상기 압판에 맞닿는 지엽류 취급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 취급 장치가, 상기 압판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배치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배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출납되는 지엽류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개구부측으로, 또는,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으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더 구비한 지엽류 취급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수납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상기 구획판과 상기 유지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가, 상기 개구부측으로 반송한 상기 지엽류를, 상기 개구부와 반대측을 향하여, 상기 압판과 상기 구획판 사이에 반송하는 경우에서, 상기 상부 구획판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100023677A 2009-04-23 2010-03-17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0896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04587A JP5274355B2 (ja) 2009-04-23 2009-04-23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9-104587 2009-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019A KR20100117019A (ko) 2010-11-02
KR101089655B1 true KR101089655B1 (ko) 2011-12-06

Family

ID=4299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677A KR101089655B1 (ko) 2009-04-23 2010-03-17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74355B2 (ko)
KR (1) KR101089655B1 (ko)
CN (1) CN1018725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79B1 (ko) 2015-08-05 2017-09-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21550B2 (ja) * 2010-11-26 2014-11-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異物除去機構及び紙葉類取扱装置
CN104050754A (zh) * 2014-06-03 2014-09-17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纸张类处理装置
JP2016048479A (ja) * 2014-08-27 2016-04-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CN106327667A (zh) * 2015-06-30 2017-01-11 日立金融设备系统(深圳)有限公司 纸币处理装置
CN107481452A (zh) * 2017-09-30 2017-12-15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自助设备及自助设备的取出装置
WO2021166257A1 (ja) * 2020-02-21 2021-08-26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CN111462422B (zh) * 2020-06-22 2020-09-18 恒银金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金融服务终端的存款口
WO2022176081A1 (ja) * 2021-02-17 2022-08-2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紙葉類取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5799B2 (ja) * 1998-09-17 2007-08-29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4655777B2 (ja) * 2005-06-24 2011-03-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0607592B1 (ko) * 2005-09-05 2006-08-01 송병욱 자동서비스기기의 지폐적재함 및 이를 이용한 지폐적재장치
KR100781803B1 (ko) * 2006-06-14 2007-12-04 주식회사 네오테크 외부에서 지폐를 금고에 투입하는 장치 및 방법
JP4889456B2 (ja) *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CN101364326A (zh) * 2007-08-10 2009-02-11 北京银融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批量取款机及批量取款方法
CN101510328A (zh) * 2009-03-16 2009-08-19 杭州东信金融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具有双分隔回收机构的纸张或纸币回收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779B1 (ko) 2015-08-05 2017-09-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72505A (zh) 2010-10-27
CN101872505B (zh) 2013-04-24
KR20100117019A (ko) 2010-11-02
JP5274355B2 (ja) 2013-08-28
JP2010257090A (ja) 201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55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EP2328128B1 (en) Paper money deposit/withdrawal machine
JP2007062918A (ja) 紙葉類堆積装置
KR20000047974A (ko) 지폐입출금기
KR101077193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KR10109540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JP5157078B2 (ja) 紙葉類処理装置
EP3101632B1 (en) Financial device and medium stacking apparatus
JP2000331214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4078127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JP2007026014A (ja) 紙葉類搬送機構
KR10111693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WO201317208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59829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 기기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3511236B2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5208802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7424215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現金取扱装置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00080110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