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6932B1 - 지엽류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6932B1
KR101116932B1 KR1020100030690A KR20100030690A KR101116932B1 KR 101116932 B1 KR101116932 B1 KR 101116932B1 KR 1020100030690 A KR1020100030690 A KR 1020100030690A KR 20100030690 A KR20100030690 A KR 20100030690A KR 101116932 B1 KR101116932 B1 KR 101116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aper sheet
paper sheets
pai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244A (ko
Inventor
다이스께 기따우찌
쥰지 후지따
요오따 사사지마
신야 미와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6Auxiliary devices for retaining articles in the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포켓식의 입출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입출시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다.
지폐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입출금구(21)와, 입출금구의 하방에 설치되고 지폐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204)와, 수납부(204)의 저면에서 지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저판(601)과, 입출금구와 저판 사이에 대향 배치되고,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입출금구 또는 수납부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한 쌍의 클램프(209, 210)를 구비하고, 한 쌍의 클램프는, 지폐가 투입되는 경우에는, 투입된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지폐를 지지하고, 그 후, 그 지지한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수납부를 향해 반송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취급 장치 {PAPER SHEET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이 가능한 지엽류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등의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이 가능한 입출구를 갖는 지엽류 취급 장치는, 금융 기관 등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ATM : Automated Teller Machine)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지엽류 취급 장치에는, 지폐가 대략 수평으로 출납되는 입출구(입출금구)를 구비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9086호 공보 등 참조). 그러나 이러한 입출구를 통해 지폐를 수평 방향으로 투입하면, 지폐의 단부면이 정렬되어 있지 않은 채로 장치 내부로 도입되는 경우가 있다. 지폐의 단부면이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지폐가 반송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스큐된 상태)로 처리되게 되어, 지폐의 식별 성능의 저하나 잼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점을 개량한 지엽류 취급 장치 중 하나로, 지폐 전체가 수납 가능한 포켓식의 입출구를 수평면에 대해 기울여 설치한 것이 있다(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72903호 공보 등 참조). 이와 같이 입출구를 설치하면, 투입시에 지폐 단부면이 중력에 의해 정렬되어 스큐가 수정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전 등의 이물질이 지폐에 끼워져 있는 경우에도, 지폐 투입시에 그 이물질을 연직 방향으로 낙하시킴으로써 회수할 수 있으므로, 장치 내에서 이물질이 막힌다고 하는 사태도 피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5908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72903호 공보
그런데, 상기한 포켓식의 입출금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서는, 입금하는 타이밍(투입시)에 있어서 입출구 내에 손가락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이러한 종류의 타입의 장치가 보급되어 있지 않은 나라나 지역 등에서는, 입출구를 통해 장치 내부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행위가 심리적인 부담(예를 들어, 구동부에 대한 공포심 등)이 되어, 금융 기관의 이용자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켓식의 입출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투입시시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자로부터 투입된 지엽류를 보관하는 동시에, 보관되어 있는 지엽류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표면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가 상기 장치 내에서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이며, 상기 수납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된 지엽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저판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저판의 사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수납부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가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투입된 당해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를 지지하고, 그 후, 당해 지지한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수납부를 향해 반송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켓식의 입출구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투입시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후방 클램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입금시의 흐름도.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지폐가 수납부로 반송되기 시작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출금시의 흐름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 전방 클램프 및 후방 클램프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있어서의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입금시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지폐 입출금기의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의 지폐 입출금기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ATM)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는, 이용자로부터 입금(투입)된 지폐를 내부에 보관하는 동시에,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지폐를 이용자에게 출금(방출)하는 것으로, 상부 정면판(101a)과, 장치 하우징(101b)과, 지폐 입출금기(1)와, 금고 하우징(106)과, 입출금구(개구부)(21)와, 고객 조작부(105)와,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도 1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紙面) 전방측을 장치 전방측, 지면 깊이측을 장치 후방측, 지면 상측을 장치 상측, 지면 하측을 장치 하측, 지면 우측을 장치 우측, 지면 좌측을 장치 좌측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지폐 입출금기(1)는, 지폐를 처리하는 것으로, 장치 하우징(101b)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지폐 입출금기(1)의 하부에는 지폐가 보관되는 하부 지폐 기구(1b)(후술)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지폐 기구(1b)는 장치 하우징(101b)과는 별도의 철판(예를 들어, 두께 수십 ㎜)으로 형성된 금고 하우징(106)으로 둘러싸여 있다. 장치 하우징(101b)도 견고한 하우징 구조이지만, 금고 하우징(106)은 더 견고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의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입출금구(개구부)(21)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기 위해 설치된 개구부로, 장치 전방측(정면측)의 표면에 설치된 상부 정면판(101a)에 설치되어 있다. 입출금구(21)의 지폐의 두께 방향의 크기는 이용자의 손이 들어갈 정도로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출금구(21)의 내측에는 투입 및 방출되는 지폐를 처리하는 입출금구 기구(20)(후술)가 설치되어 있다.
고객 조작부(105)는, 거래의 내용을 표시 및 입력하는 것으로, 장치 하우징(101b)의 상부에 있어서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는, 상부 정면판(101a)에 설치된 카드 슬롯(102a)을 통해 이용자의 카드를 처리하거나, 거래 명세표를 프린트하여 방출하거나 하는 것으로, 장치 하우징(101b)의 상부 내부에 있어서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드?명세표 처리 기구(102)와, 지폐 입출금기(1)와, 고객 조작부(105)는, 버스(107a)를 통해 본체 제어부(107)와 접속되어 있고, 본체 제어부(107)의 제어하에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본체 제어부(107)는, 버스(107a)를 통해, 또한 인터페이스부(107b), 담당자 조작부(107c) 및 외부 기억 장치(107d)와 접속되어 있고, 이들과 필요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고 있다. 전원부(101e)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에 있어서의 상기 각 기구 및 구성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부인 입출금구 기구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의 입출금구 기구(20)는, 이용자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지폐를 입출금 방향(202)으로 입출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출금구 기구(20)는, 장치(101) 내에 있어서의 입출금구(21)의 하방에 설치된 수납부(204)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부(204)는, (1) 입출금구(21)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내부에서 보관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기능과, (2) 내부에서 보관된 지폐를 입출금구(21)를 통해 방출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수납하는 기능을 갖는다. 수납부(204)는, 주로 전방판(203b)과, 누름판(후방판)(203a)과, 저판(6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판(203b)은 수납부(204)에 있어서의 장치 전방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장치(10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방판(203b)이 이동하는 위치에는, (1) 수납부(204) 내에 지폐를 받아들일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입출금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2) 입출금 위치로부터 하단부를 장치 전방측으로 이동시킨 위치이며, 수납부(204)에 받아들인 지폐를 장치 내부에 취입할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취입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있다. 전방판(203b)을 취입 위치로 이동시키면, 수납부(204)는 지엽류 취입구(206)와 연통된다. 지엽류 취입구(206)는, 지폐가 수납부(204)로부터 장치(101) 내부에 취입될 때에 통과하는 부분으로, 지폐 반송로(501a)(후술)와 접속되어 있다. 지엽류 취입구(206)에 취입되는 경우, 지폐는 누름판(203a) 등에 의해 적당한 압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피크 롤러(pick roller)(205a)에 1매씩 피크(pick)되어, 분리 롤러(205b)에 의해 취입된다. 분리 롤러(205b)의 후방측에 설치된 게이트 롤러(205c)는, 분리 롤러(205b)와 랩됨으로써 지폐의 더블 피딩을 방지하고 있다.
누름판(203a)은, 수납부(204)에 있어서의 장치 후방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판(203b)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판(203a)은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장치(101)의 전후 방향[도 3의 화살표(21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203a)이 이동하는 위치에는, (1) 수납부(204) 내에 지폐를 받아들일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입출금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2) 입출금 위치로부터 장치 후방측으로 이동한 위치이며, 장치(101) 내부로부터 지폐를 취출할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취출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가 있다. 누름판(203a)을 취출 위치로 이동시키면, 수납부(204)는 지엽류 취출구(208)와 연통된다. 지엽류 취출구(208)는, 지폐가 장치(101) 내부로부터 수납부(204)로 취출될 때에 통과하는 부분이며, 지폐 반송로(501l)(후술)와 접속되어 있다. 스택 롤러(207)에 의해 지엽류 취출구(208)를 통해 취출되는 지폐로서는, 이용자가 출금 요구를 하여 취출되는 것 외에, 내부의 지폐 판별부(30)(후술)에서 이상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예를 들어, 지폐의 종류가 판독 불가능했던 경우 등)에 반환(리젝트)되는 것이 있다. 또한, 반환된 지폐와, 취입 중(분리 중)인 지폐는, 저판(601)의 상면에 설치된 구획판(600)에 의해 구획된다. 구획판(600)은 누름판(203a)과 마찬가지로 화살표 방향(213)으로 동작 가능하다. 또한, 누름판(203a)은 장치 전방측에 있어서의 임의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어, 입출금구(21)로부터 수납부(204)에 투입된 지폐에 대해, 적당한 압박력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저판(601)은, 수납부(204)에 수납된 지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입출금구(21)의 하방에 있어서 수납부(204)의 저면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저판(601)은, 수납부(204)에 도입된 지폐를 전방판(203b)측에 가까이 대기 위해, 장치 전방측으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또한, 저판(601)에는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의 하방에는 이물질 수용 상자(602)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릿을 형성하면, 지폐와 함께 인입된 이물질을 중력에 의해 이물질 수용 상자(602)로 낙하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101) 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입출금구(21)와 저판(601)의 사이에는, 전방 클램프(209)와 후방 클램프(210)가 장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방 클램프(209)와 후방 클램프(210)는, 입출금구(21)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폐를 반송 벨트(300, 400)로 끼움 지지하여 입출금구(21) 또는 수납부(204)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수단으로, 전방 클램프(209)는 장치 전방측에, 후방 클램프(210)는 장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 클램프(209)는, 상하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반송 풀리(전방 클램프 반송 풀리)(404, 405)와, 2개의 반송 풀리(404, 405)에 감겨 상기 2개의 반송 풀리(404, 405)의 회전시 순환 구동되어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전방 클램프 벨트)(400)와, 2개의 반송 풀리(404, 405)를 회전시켜 반송 벨트를 순환 구동하는 모터(M1)(구동원)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풀리(404, 405)는, 모터(M1)에 의해 간접적으로 회전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클램프(209)는,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반송 벨트(40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2개의 반송 벨트(400)를 구동하는 2개의 반송 풀리(405)는, 동일한 구동축(420)(도 5 참조)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420)에는 제1 구동 풀리(411)(도 5 참조)가 고정되어 있다. 제1 구동 풀리(411)의 장치 전방측에는 제2 구동 풀리(412)가 설치되어 있고, 제2 구동 풀리(412)의 하방에는 제3 구동 풀리(413)가 설치되어 있고, 제3 구동 풀리(413)의 장치 전방측에는 제4 구동 풀리(4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동 풀리(411)와 제2 구동 풀리(412)에는 제1 구동 벨트(403)가 감아 걸려 있고, 제2 구동 풀리(412)와 제3 구동 풀리(413)에는 제2 구동 벨트(402)가 감아 걸려 있고, 제3 구동 풀리(413)와 제4 구동 풀리(414)에는 제3 구동 벨트(401)가 감아 걸려 있다.
제4 구동 풀리(414)는 모터(M1)와 연결되어 있고, 모터(M1)는 구동 벨트(401, 402, 403)를 통해 간접적으로 반송 풀리(405)를 회전시키고 있다. 여기서는, 반송 벨트(400)에 의해 지폐를 수납부(2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반송 풀리(405)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방향(R1)(이후의 도 7 참조)으로 하고, 지폐를 입출금구(21)를 향해 반송할 때의 회전 방향을 반전 방향(R2)(이후의 도 9 참조)으로 한다.
반송 풀리(404, 405) 및 구동 풀리(411, 412, 413)는, 각각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예를 들어, 판재)]에 고정되어 있다. 제3 구동 풀리(413)는 전방 클램프(209)의 회전축으로 되어 있고, 반송 풀리(404, 405) 및 구동 풀리(411, 412)는 제3 구동 풀리(413)를 중심으로 화살표(21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 클램프(209)는, (1) 지폐를 반송할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반송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2) 수납부(204)로부터 대피할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대피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전방 클램프(209)는, 후방 클램프(210)와 함께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방향과, 지폐의 끼움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전방 클램프(209)의 회전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방판(203b)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클램프(209)[반송 벨트(400)]가 통과하는 홈부(41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반송 벨트(400)가 감아 걸려 있는 2개의 반송 풀리(404, 405)가 상기와 같이 고정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상, 입출금구(21)로부터 투입 및 방출되는 지폐의 자세는,「반송 위치」에 있어서의 당해 2개의 반송 풀리(404, 405)의 배치에 의해 주로 규정된다. 따라서, 이용자에 있어서의 지폐의 투입 및 수취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반송 위치에 있어서 상측의 반송 풀리(405)가 하측의 반송 풀리(404)보다도 장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반송 풀리(404, 405)를 고정하면, 지폐가 수직 방향이 아닌 이용자를 향해 반송되므로, 이용자의 원활한 입금 및 출금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전방 클램프(209)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으로서는, 제3 구동 풀리(413)에 연결된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구동력이나, 지폐를 통해 전달되는 후방 클램프(210)로부터의 압박력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전방 클램프(209)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는, 복수 쌍으로 구성되는 광학식 센서(S4)(도 3 참조)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방 클램프(209)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센서 광축이 차단되도록 센서(S4)를 설치하면, 전방 클램프(209)가 반송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전방 클램프(209)에는, 후방 클램프(210)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예를 들어, 스프링)(700)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은, 반송 풀리(404, 405) 및 구동 풀리(411, 412, 413)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압 수단(700)을 장착하면, 후방 클램프(210)와 함께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반송할 때이며, 당해 지폐를 통해 후방 클램프(210)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장치 전방측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그 이동량에 따른 압력을 지폐에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힘을 향상시킬 수 있어,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반송 벨트(400)를 장치 좌우 방향으로 2개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장치 좌우 방향으로 1개 설치하는 것만이라도 좋다. 반송 벨트(400)를 1개로 하는 경우에는,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는 관점에서, 각 반송 풀리(404, 405)의 축 방향 길이를 길게 하고, 반송 벨트(400)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후방 클램프(2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후방 클램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후방 클램프(210)는, 상하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반송 풀리(후방 클램프 반송 풀리)(306, 307)와, 2개의 반송 풀리(306, 307)에 대해 장치 후방측에 설치된 구동 풀리(후방 클램프 구동 풀리)(303)와, 반송 풀리(306, 307) 및 구동 풀리(303)에 감아 걸려 지폐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후방 클램프 벨트)(300)와, 반송 풀리(306, 307) 및 구동 풀리(303)를 회전시켜 반송 벨트를 순환 구동하는 모터(M5)(구동원)(도 5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의 반송 풀리(307)와 구동 풀리(303)는, 서로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브래킷(309)(도 5 참조)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309)은 슬라이드 플레이트(305)로부터 돌출된 부재이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05)는, 반송 풀리(306, 307) 및 구동 풀리(303)를 지지하는 부재로, 장치(101) 내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05)를 전후 이동시키면, 후방 클램프(210)를 화살표 방향(213)[즉, 전방 클램프(209)와 함께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방향과, 지폐의 끼움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후방 클램프(210)는, (1) 지폐를 반송할 때의 위치(이후의 도 7에 도시한 위치로, 이하,「반송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2) 수납부(204)로부터 대피할 때의 위치(도 3에 있어서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로, 이하,「대피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방 클램프(21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로서는, 전방 클램프(209)와 마찬가지로, 복수 쌍으로 구성되는 광학 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누름판(203a)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클램프(210)[반송 벨트(300)]가 통과하는 홈부(416a)가 형성되어 있다.
반송 위치에 있어서의 후방 클램프(210)의 하측의 반송 풀리(306)는, 후술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클램프(209)의 하측의 반송 풀리(404)와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반송 벨트(300) 및 반송 벨트(400)에 의해 대략 V자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용자는 당해 오목부에 지폐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위치에 있어서의 반송 풀리(306, 404)의 높이는, 당해 오목부에 지폐가 투입되어 반송 벨트(300, 400)가 지폐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로 조절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클램프(210)는,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장치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반송 벨트(30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2개의 반송 벨트(300)를 구동하는 2개의 구동 풀리(303)는 각각 구동축(301)에 고정되어 있고, 구동축(301)은 모터(M5)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반송 벨트(300)에 의해 지폐를 수납부(204)를 향해 반송할 때의 반송 풀리(307)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방향(R1)(이후의 도 7 참조)으로 하고, 지폐를 입출금구(21)를 향해 반송할 때의 회전 방향을 반전 방향(R2)(이후의 도 9 참조)으로 한다.
또한, 하측의 반송 풀리(306)는, 상측의 반송 풀리(307)와 링크 부재(310)(도 5 참조)를 통해 연결되고, 상측의 반송 풀리(307)의 축심을 중심으로 화살표(215) 방향(도 3 참조)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후방 클램프(210)를 반송 위치로부터 장치 전방측으로 더 이동시키면, 반송 풀리(306)가 장치 후방측으로 회전하고, 2개의 반송 벨트(300, 400)에 있어서의 지폐측의 면을 서로 대략 평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2개의 반송 벨트(300, 400)를 대략 평행하게 한 자세로 지폐를 반송하면, 지폐에 대해 반송 벨트(300, 400)를 면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링크 부재(310)에는, 링크 부재(310)에 전방 클램프(209)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예를 들어, 스프링)(311)(도 3 참조)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전방 클램프(209)와 마찬가지로, 후방 클램프(210)의 위치에 따른 압력을 지폐에 부여할 수 있으므로, 지폐를 더욱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반송 풀리(306, 307)와 1개의 구동 풀리(303)에 1개의 반송 벨트(300)를 감아 걸어 후방 클램프(210)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전방 클램프(209)와 같이, 반송 벨트(300)를 2개의 반송 풀리(306, 307)에만 감아 걸고, 다른 벨트(구동 벨트)를 구동 풀리(303)와 반송 풀리(307)에 감아 걸어, 구동 풀리(303)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터(M5)로 회전시킴으로써 반송 벨트(300)를 순환 구동시켜도 좋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후방 클램프(210)의 이동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305)의 좌우에는 프레임(60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603)의 외측에는, 장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풀리(304)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풀리에는 구동 벨트(308)가 감아 걸려 있어, 한쪽의 풀리(304)에 연결된 모터(M4)를 구동시키면 구동 벨트(308)는 순환 구동된다. 또한, 2개의 구동 풀리(304)의 사이에는 장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홈(604)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홈(604)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05)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2개의 축이 각각 삽입되어 있고, 한쪽의 축의 단부에는 구름 이동 풀리(302)가 장착되어 있다. 구름 이동 풀리(302)는, 구동 벨트(30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고, 모터(M4)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구동 벨트(308) 상을 구름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후방 클램프(210)를 화살표(213)의 방향, 즉 반송 위치와 대피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으로 되돌아간다. 도 3에 도시하는 입출금구 기구(20)에는, 내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S1)와, 센서(S3)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S1, S3)는, 광학식 센서이고, 각 센서로부터 발해지는 광축이 지폐에 의해 차단되었는지 여부로 지폐의 위치를 검출하고 있다. 센서(S1)는, 지폐가 반송 벨트(300, 400) 근방에 위치하는지 여부[즉, 입출금구(21)로의 지폐의 투입 및 방출의 완료]를 판정하는 것으로, 반송 풀리(306, 404)와 입출금구(21)의 사이에 광축을 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S3)는, 지폐가 수납부(204)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저판(601)과 반송 풀리(306, 404)의 사이에 광축을 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입출금구(21)에는, 액추에이터(M3)에 의해 입출금 방향(20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입출금구(21)를 개폐하는 셔터(201)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201)는 장치(101) 내에 비나 먼지, 이물질 등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장치(101)를 실내에 설치하는 등 환경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경우 등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외부 환경의 영향을 현저하게 받기 쉬운 장소에 설치할 때에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101)의 장치 하우징(101b)과 지폐 입출금기(1)에 각각 셔터를 설치하여, 2중 셔터 구조로 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출금구 기구(20)의 입금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20)의 입금시의 흐름도이고, 도 7은 이 흐름도에 있어서 지폐가 수납부(204)에 반송되기 시작하였을 때(후술하는 단계 105 개시 직후)에 있어서의 입출금구 기구(20)의 구성도이다.
처리 개시시에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는 대피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본체 제어부(107)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금하는 것이 확인되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전방 클램프(209)가 반송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101). 또한, 단계 101의 처리에 앞서, 입금 준비로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판(203a) 및 전방판(203b)을 입출금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101이 완료되면,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여, 반송 풀리(306)를 반송 풀리(404)에 접촉시킨다(단계 102). 단계 102가 완료되면, 셔터(201)를 개방하여 입출금구(21)를 개방하고, 이용자로부터의 지폐(218)의 투입을 기다린다(단계 103). 지폐의 투입의 판단은, 센서(S1)의 광축이 지폐에 의해 차단되었는지 여부(다크인지 라이트인지)로 행한다(단계 104). 여기에 있어서, 반송 위치에 있어서의 반송 풀리(306, 404)의 높이는, 투입된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로 조절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는 손가락을 입출금구(21) 내에 넣는 일 없이 지폐를 투입할 수 있다.
단계 104에 있어서, 센서(S1)가 라이트로부터 다크로 되어 지폐(218)가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 반송 풀리(307, 405)가 정회전 방향(R1)으로 회전하도록 모터(M1, M5)가 작동하여, 수납부(204)로의 지폐(218)의 일괄 반송을 개시한다(단계 105). 이때, 후방 클램프(210)에 있어서의 반송 풀리(306)[링크 부재(310)]는, 가압 수단(311)에 의해 전방 클램프(209)의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지폐(218)를 전방 클램프(209)와 끼움 지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 수단(311)을 이용하면, 지폐(218)의 취입과 동시에 지폐가 장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감촉을 이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ATM을 설치하는 나라나 지역에 따라서는 입금 매수가 많아지거나, 지폐의 마찰 계수가 낮거나 하지만, 그 경우에는 보다 안정된 지폐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끼움 지지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반송 풀리(306)를 반송 풀리(307)에 대해 화살표(215)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폐의 반송을 개시하기 전에, 후방 클램프(210)를 장치 전방측으로 더 이동시켜, 지폐를 끼운 자세로 반송 벨트(300)와 반송 벨트(400)를 평행하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한 지폐가 장치 내부로 끌려들어가는 감촉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지폐(218)가 수납부(204)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는, 센서(S1)가 다크로부터 라이트로 되었는지 여부, 혹은 센서(S3)가 라이트로부터 다크로 되었는지 여부로 판단한다(단계 106). 또한, 예를 들어 처리 속도 향상 등의 이유로 그 후의 동작 타이밍을 빠르게 할 때에는, 지폐 검출을 센서(S1)에 의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폐(218)가 수납부(204)에 수납된 것이 확인되면, 모터(M1, M5)가 정지하여,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이 정지한다(단계 107).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이 정지하면, 셔터(201)는 입출금구(21)를 폐쇄한다(단계 108). 그리고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는 대피 위치로 이동하고 수납부(204)의 밖으로 퇴피하여(단계 109), 처리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입금 지폐의 수납부(204)로의 수납이 종료되면, 전방판(203b)을 취입 위치로 이동하여, 지폐(218)의 장치 내로의 취입의 준비를 한다. 투입된 지폐(218)는 세운 상태로 수납부(204)에 집적되므로, 가령 투입 전에 스큐된 상태였다고 해도, 수납부(204)의 저판(601)에 지폐(218)가 닿았을 때에 스큐를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지폐(218) 내에 동전 등의 이물질이 섞여 들어가 있었다고 해도, 그 이물질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이물질 수용 상자(602)에 집적할 수 있다. 스큐의 수정 및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진 지폐(218)는, 누름판(203a)에 의해 적절한 압박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피크 롤러(205a)에 1매씩 피크되고, 분리 롤러(205)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장치 내에 취입된다. 여기서, 투입된 지폐(218)의 상태를 센서(S3)로 검지함으로써 스큐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그 투입된 지폐를 이용자에게 반환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출금구 기구(20)의 출금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20)의 출금시의 흐름도이고, 도 9는 이 흐름도에 있어서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후술하는 단계 205 완료시)에 있어서의 입출금구 기구(20)의 구성도이다.
본체 제어부(107)에 있어서 이용자가 출금하는 것이 확인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전방 클램프(209)가 대피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201). 또한, 단계 201의 처리에 앞서, 출금 준비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판(203a)을 취출 위치로 이동시키고, 전방판(203b)을 입출금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01이 완료되면, 후방 클램프(210)가 대피 위치로 이동하고(단계 202), 스택 롤러(207)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치(101)의 내부로부터 지폐(출금 지폐)(218)를 수납부(204)에 집적한다(단계 203). 출금 요구액을 만족시키는 매수의 지폐(218)가 수납부(204)에 집적된 것이 본체 제어부(107) 등에서 판단되면, 전방 클램프(209)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고(단계 204),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205). 이에 의해, 지폐(218)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에 의해 끼움 지지되고, 지폐(218)에는 일정한 압력 또는 지폐 매수나 지폐 상태에 따른 압력이 부가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반송 풀리(306)를 반송 풀리(307)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하기 위해, 후방 클램프(210)를 반송 위치로부터 장치 전방측으로 더욱 이동시켜, 반송 벨트(300)와 반송 벨트(400)를 평행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반송 풀리(306)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일 없이, 반송 벨트(300)와 반송 벨트(400)로 V자를 형성한 상태에서 지폐를 반송해도 물론 좋다.
단계 205가 완료되면, 셔터(201)를 개방하여 입출금구(21)를 이용자에게 개방한다(단계 206). 단계 206이 완료되면, 반송 풀리(307, 405)가 역회전 방향(R2)으로 회전하도록 모터(M1, M5)가 작동하여,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입출금구(21)로의 지폐(218)의 일괄 반송이 개시된다(단계 207). 단계 207이 개시되면, 지폐의 방출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즉, 지폐(218)의 일부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단계 208). 이 판단은, 센서(S1)가 라이트로부터 다크로 되었는지, 혹은 센서(S3)가 다크로부터 라이트로 되었는지로 판단한다. 즉, 지폐가 입출금구(21)로부터 노출되는 정도는, 예를 들어 센서(S1) 또는 센서(S3)의 위치에서 조절 가능하다. 이에 의해 지폐의 방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이 정지한다(단계 209). 이에 의해, 이용자는 손가락을 입출금구(21) 내로 넣는 일 없이 지폐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때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를 돌출시키는 정도나 강풍 등의 장치 설치 환경에 따라,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에 끼움 지지되어 있는 지폐가 비산하는 경우에는, 후방 클램프(210)를 화살표(213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등,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힘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폐 상태가 좋지 않아, 이용자가 지폐를 수취할 때에 지폐가 찢어지는 경우는, 반대로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힘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209가 완료되면, 이용자에 의한 지폐의 취출이 완료되었지의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단계 210). 여기서는, 센서(S1)가 다크로부터 라이트로 되면 지폐의 취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의해 단계 210에서 지폐의 취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셔터(201)를 폐쇄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211).
또한, 입금 도중에 발생한 리젝트 지폐를 이용자에게 반환하는 경우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반환한다. 리젝트가 발생한 단계에서, 무언가의 이유로 지폐의 분리가 정지된 경우에는, 리젝트 지폐와 미취입 지폐가 구획판(600)의 전후에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이용하여 구획판(600)의 전후에 존재하는 지폐를 일괄적으로 끼움 지지하여, 입출금구(21)를 향해 반송하면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동작시킴으로써, 입출금시에 이용자가 손가락을 입출금구(21) 내에 넣는 일 없이 지폐를 수취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본체 제어부(107)의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등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동작시키지 않는 모드(통상 모드)로도 변경 가능하게 장치(101)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당해 모드로 변경한 경우에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대피 위치로 이동시켜, 이용자가 수납부(204)에 대해 직접 입금하거나 출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드 변경 가능하게 장치(101)를 구성하면, 예를 들어 ATM을 설치하는 나라나 지역에 맞춘 모드를 채용할 수 있고,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의 동작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이용자에게 확실한 지폐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취급 장치는, 입출금구(21)와 저판(601)의 사이에 대향 배치되고, 입출금구(21)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입출금구(21) 또는 수납부(204)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구비하고 있고, 당해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는, 입금의 경우에, 입금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지폐를 지지하고, 그 후, 당해 지지한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수납부(204)를 향해 반송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엽류 취급 장치를 구성하면, 지폐의 입출금구(21)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입금할 수 있게 되어, 이른바 포켓식의 입출금구를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용자가 장치 내에 손가락을 넣는 일 없이 입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지폐의 투입시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입된 지폐의 단부면을 저판(601)에서 정렬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나 자세로 지폐를 입금해도 스큐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후의 장치 내에서의 지폐 반송의 장면에 있어서, 잼이나 리젝트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저판(601)에서 지폐의 단부면을 정렬할 때에, 저판(601)에 형성한 슬릿을 통해 지폐에 인입된 동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점도 신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금시에 있어서 반송 벨트(300) 및 반송 벨트(40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V자 형상의 오목부에 대해 지폐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지폐 단부가 넓어지는 경우(예를 들어, 지폐를 복수매 투입할 때)에도 용이하게 투입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반송 수단 중 한쪽인 후방 클램프(210)가,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방향과, 당해 끼움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자 형상으로 설치한 수납부(지폐 호퍼)를 장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중력을 이용하여 당해 상자의 한 변에 지폐를 모아 입출금을 행하고 있는 기술(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172903호 공보 등 참조)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수납부의 회전 동작을 이용한 당해 기술과 비교하여, 후방 클램프(210)의 동작 영역이 콤팩트하다. 따라서, 당해 기술과 비교하여, 장치의 소형화, 집적 용량의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전방 클램프(209)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였지만, 후방 클램프(210)와 마찬가지로,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방향과, 당해 끼움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또한, 입금시의 단계 104에 있어서 입출금구(21)에 지폐를 투입하면 입출금구 기구(20)는 도 5의 상태가 되지만, 이때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는 장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서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보다도 지폐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장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개구부의 중앙 부근보다도 좌우 양단부가 커져,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과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의 사이에 단차(T)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단차(T)를 형성하면, 투입되는 지폐의 매수가 많아 당해 지폐의 양단부가 장치 전후 방향[화살표(403) 방향]으로 확대되어도, 그 확대가 방해되지 않으므로 지폐의 투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현금 자동 거래 장치는, 상기와 같이 장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을 이용하여 지폐의 취입과 취출을 수납부(204)에서 일괄적으로 행하는 타입의 것이다. 그로 인해, 이러한 종류의 타입의 현금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의 이동을 고려하여,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 클램프(209)의 반송 벨트(400)를 구동하는 구동원[제4 구동 풀리(414)]을 반송 벨트(400)보다도 장치 전방측에 배치하고, 후방 클램프(210)의 반송 벨트(300)를 구동하는 구동원[구동 풀리(303)]을 반송 벨트(400)보다도 장치 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각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원을 반송 벨트(300, 400)로부터 떨어진 곳에 배치하고 있다. 즉, 각 클램프(209, 210)는 반송 벨트를 구성하는 2개의 반송 풀리와, 당해 2개의 반송 풀리에 대해 장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동 풀리의 적어도 3개의 풀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2개의 반송 풀리와 구동 풀리의 사이에 전방판(203b) 또는 누름판(203a)의 지폐측의 면이 위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클램프(209, 210)를 구성하고, 각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원이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의 배면측(지폐측의 면과 반대 방향측)에 항상 위치하도록 각 클램프(209, 210)를 이동하면, 전방판(203b) 및 누름판(203a)의 이동을 고려하는 일 없이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원 및 그 근방의 설계를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입출금구(21)와 저판(601)의 사이에 지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스토퍼(211)와, 센서(S2)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앞의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20A)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또한, 앞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입출금구 기구(20A)는, 스토퍼(211)와, 센서(S2)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퍼(211)는, 입출금되는 지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입출금구(21)와 저판(60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수납부(204) 내에 있어서의 스토퍼(211)의 설치 높이는, 스토퍼(211)에 하단부가 지지된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장치 내에 손가락을 넣는 일 없이 입출금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211)에는 액추에이터(M3)가 접속되어 있고, 스토퍼(211)는 액추에이터(M3)에 의해 수납부(204)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211)는, 액추에이터(M3)에 의해 도 10 중의 화살표(214) 방향으로 이동되고, (1) 입출금구(21)를 통해 지폐가 투입 및 방출될 때의 위치(도 10에 도시한 위치로, 이하,「입출금 위치」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와, (2) 수납부(204)로부터 대피할 때의 위치(이하,「대피 위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토퍼(211)는, 입출금구(21)의 개구면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센서(S2)는, 센서(S1, S3)와 마찬가지로 지폐의 위치를 검출하는 광학식 센서로, 센서(S1)와 스토퍼(21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센서(S2)가 다크일 때에는, 스토퍼(211) 상에 지폐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입출금구 기구(20A)의 입금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입출금구 기구(20A)의 입금시의 흐름도이다.
처리 개시시에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는 대피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본체 제어부(107)에 있어서 이용자가 입금하는 것이 확인되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전방 클램프(209)가 반송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301). 또한, 단계 301의 처리에 앞서, 입금 준비로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누름판(203a) 및 전방판(203b)을 입출금 위치로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301이 완료되면, 스토퍼(211)가 입출금 위치로 이동한다(단계 302). 또한, 여기서 처리 개시시의 전제와 달리,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대피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후방 클램프(210)는, 대피 위치가 아니어도, 누름판(203a)에 있어서의 지폐측의 면(도면 중 T면)의 근방에 반송 풀리(307)가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면 좋다.
단계 302가 완료되면, 셔터(201)를 화살표(217a) 방향으로 개방하여 입출금구(21)를 개방하고, 이용자로부터의 지폐(218)의 투입을 기다린다(단계 303). 이용자는 지폐(218)를 잡고 스토퍼(211)에 닿을 때까지 입출금구(21) 내에 삽입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211)의 설치 높이는, 투입된 지폐의 일부가 입출금구(2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용자는 손가락을 입출금구 기구(20) 내에 넣을 필요가 없다.
지폐의 투입의 판단은, 센서(S2)의 광축이 지폐에 의해 차단되었는지 여부로 행한다(단계 304). 여기서, 센서(S2)가 라이트로부터 다크로 되어 지폐(218)가 투입된 것이 확인되면,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여, 전방 클램프(209)와 함께 지폐를 끼움 지지한다(단계 305). 또한, 이때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에 가압 수단을 장착하거나, 후방 클램프(210)의 반송 풀리(306)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거나 하면, 지폐를 끼움 지지하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어 지폐를 안정적으로 반송할 수 있다.
후방 클램프(210)가 반송 위치로 이동하면, 스토퍼(211)가 화살표(214)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부(204)로부터 퇴피한다(단계 306). 그리고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이 개시되고(단계 307), 수납부(204)로의 지폐의 반송이 개시된다. 단계 308 이후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입금시의 단계 106 이후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출금시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출금시의 동작은, 단계 208까지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계 208에서 지폐의 방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토퍼(211)를 대피 위치로부터 입출금 위치로 이동시켜,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을 정지한다(즉, 도 8의 흐름도의 단계 209로 복귀됨). 이와 같이 스토퍼(211)를 이용하면, 입출금구(21)로부터 지폐가 노출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반송 벨트(300, 400)의 구동을 정지하면, 이용자에 의한 지폐의 취출이 완료 되었는지 여부의 판단을 개시한다(단계 210). 여기서 이용자에 의한 지폐의 취출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셔터(201)를 폐쇄하는 단계 211의 이전 또는 이후에 스토퍼(211)를 대피 위치로 이동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동작시키지 않는 통상 모드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스토퍼(211)를 이용하여 지폐의 투입을 행해도, 이용자가 장치 내에 손가락을 넣는 일이 없어지므로, 지폐의 투입시의 심리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는 스토퍼(211)의 설치 위치만으로 지폐가 외부에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에 대한 장점이 된다.
또한, 입금시의 흐름도의 단계 301 및 단계 305에서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반송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있지만, 이때 각 클램프(209, 210)를 반송 위치보다도 판(203b, 203a)측에서 정지시켜, 지폐를 투입하는 공간(Q)(도 5 참조)을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넓게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공간(Q)을 넓게 하면, 입금 가능 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예를 들어 일상적으로 입금 매수가 많은 나라나 지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ATM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센서(S1 또는 S2)에 의해 지폐의 투입이 확인되면,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를 반송 위치로 이동시켜 지폐를 끼움 지지해도 좋다.
마지막으로 지폐 입출금 기구(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지폐 입출금기(1)의 구성도이다.
지폐 입출금기(1)는, 상부 반송 기구(1a)와, 상부 반송 기구(1a)의 하방에 설치된 하부 지폐 기구(1b)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지폐 기구(1b)는 금고 하우징(106)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부 반송 기구(1a)는 이용자가 지폐의 투입?취출을 행하는 입출금구 기구(20)와, 지폐의 판별을 행하는 지폐 판별부(30)와, 입금한 지폐를 거래 성립까지의 동안 일단 수납하는 일시 보관고(40)와, 이용자가 입금시 및 출금시에 취출하는 것을 잊어버린 지폐를 회수하는 취출 망각 회수고(61)와, 위조권이라 판별된 지폐를 수납하는 1개의 위조권 회수고(62)와, 리사이클고로부터 회수한 지폐를 수납하는 장전?회수고(81)와, 이들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로(50)[반송로(501a 내지 501q)]를 구비하고 있다.
지폐 반송로(50) 중, 지폐 반송로(501a 내지 501f, 501j 내지 501q)는, 상부 반송 기구(1a) 내에 있어서, 입출금구 기구(20), 지폐 판정부(30), 일시 보관고(40), 취출 망각 회수고(61), 위조권 회수고(62) 및 장전 회수고(81)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지폐 반송로(50) 중, 반송로(501g 내지 501i)는, 상부 반송 기구(1a)와 하부 지폐 기구(1b)를 연결하는 연결 반송로이다. 연결 반송로(501h)는 금고 하우징(106)[하부 지폐 기구(1b)]의 상면측이며, 상부 반송 기구(1a)에 있어서의 반송로(501g)와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 반송로(501i)는 하부 지폐 기구(1b)의 반송로(901a)(후술)와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 반송로(501h)와 연결 반송로(501i)는 서로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금고 하우징(106)의 상면에는 연결 반송로(501i)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슬릿은, 지폐가 통과하기 위한 길이를 갖고 있고, 반송되어 온 지폐를 끼움 지지하여 조출하기 위해 장착된 반송 풀리(도시하지 않음)의 폭의 크기를 갖고 있다. 또한, 하부 지폐 기구(1b)를 금고 하우징(106)으로 둘러싸지 않는 경우는, 하부 지폐 기구(1b) 상에 상부 반송 기구(1a)가 직접 적재되어 당해 슬릿을 생략해도 좋다.
한편, 하부 반송 기구(1b)는, 입금 거래가 성립된 지폐를 수납하는 1개의 입금고(60)와, 출금에 부적절한 지폐를 수납하는 1개의 리젝트고(63)와, 출금용의 지폐를 수납하는 2개의 출금고(70)와, 입출금 겸용의 2개의 리사이클고(80)와, 각 수납고(60, 63, 70, 80)로 지폐를 반송하는 지폐 반송로(90)[반송로(901a 내지 901e, 903a 내지 903e)]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901a 내지 901e, 903a 내지 903e)는, 하부 지폐 기구(1b) 내에 있어서, 입금고(60), 리젝트고(63), 출금고(70) 및 리사이클고(80)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각 지폐 반송로(50, 90)는 편방향 화살표 또는 양방향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편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은 그 화살표 방향으로만 지폐를 반송하는 일방향 지폐 반송로이고,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은 거래 동작에 따라서 절환되는 방향으로 지폐를 반송하는 쌍방향 반송로이다. 즉, 예를 들어 반송로(501d)는 지폐 판별부(30)에 대해 쌍방향으로 지폐를 통과시키고 있다. 또한, 지폐 반송로(50, 9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고 있고,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은 각 거래 동작마다 절환된다. 또한, 지폐 반송로(50, 90)의 분기점에는, 절환 게이트(502, 503, 504, 505, 506, 507, 902)가 설치되어 있다. 당해 각 절환 게이트는, 거래 동작마다 도면 중의 부호 a,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환되어, 지폐 반송 방향을 절환한다.
도 13은 주로 지폐 입출금기(1)의 제어 관계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지폐 입출금기(1)의 제어부(35)는, 버스(107a)를 통해 장치의 본체 제어부(107)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5)는 본체 제어부(107)로부터의 지령 및 지폐 입출금기(1)의 상태 검출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기(1)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지폐 입출금기(1)의 상태를 본체 제어부(107)로 보내고 있다. 지폐 입출금기(1) 중에서는, 각 유닛[지폐 수납부로서의 입출금구 기구(20), 지폐 판별부(30), 일시 보관고(40), 지폐 반송로(50), 입금고(60), 취출 망각 회수고(61), 위조권 회수고(62), 리젝트고(63),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 장전?회수고(81)]의 구동 모터나 전자기 솔레노이드나 센서와 접속되고, 거래에 따라서 센서에 의해 상태를 감시하면서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입출금기(1)에 의해, 이용자에 의한 입출금 동작이나, 담당자에 의한 장전?회수 동작이나, 이용자가 취출하는 것을 잊어버린 지폐의 자동 회수 동작이 행해진다.
입금 동작시에 있어서, 지폐 입출금기(1)는 입출금구 기구(20)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지폐 판별부(30)에 있어서 지폐의 종류 및 진위를 판정한다. 판별된 경우는, 절환 게이트(503)를 503a로 절환하고, 지폐를 일시 보관고(40)에 일단 수납한다. 지폐 판별부(30)에서 판별할 수 없었던 경우나, 지폐의 기울기나 지폐끼리의 간격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즉, 절환 게이트(503)를 503b로 절환하고, 이상이 있는 지폐를 입금 리젝트 지폐로서, 일시 보관고(40)로 취입하지 않고, 입출금구 기구(20)에 수납하여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거래가 확정되면, 절환 게이트(502)를 도시 502b 방향으로 절환하고, 일시 보관고(40)에 수납된 지폐를, 수납시와는 반대의 순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송출한다. 즉, 우선 지폐를 지폐 판별부(30)에 통과시켜, 어느 하나의 절환 게이트(902)를 절환함으로써 지정된 수납고[입금고(60), 리사이클고(80), 리젝트고(63)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하고, 입금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출금 거래시에 있어서는, 지폐 입출금기(1)는 이용자가 지정하는 금액에 따라서, 출금고(70), 리사이클고(80)의 각 화폐 종류마다의 금고로부터 소정의 매수씩 지폐를 조출한다. 이와 같이 조출된 지폐는, 지폐 판별부(30)에서 지폐의 종류가 판별되고, 절환 게이트(503)를 통해 입출금구 기구(20)에 수납되어 이용자에게 지급된다. 상기에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 지급시에, 장치 하우징(101)의 하우징면(101a)보다도 이용자측으로 지폐가 돌출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지폐 입출금기(1)는, 장전?회수고(81)와 리사이클고(80)의 사이에서, 지폐 판별부(30)를 경유하여 장전, 회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장전 동작은, 리사이클고(80)에 화폐 종류마다 지폐를 개별로 세트하는 것이 아니라, 담당자가 장전?회수고(81)에 일괄적으로 지폐를 세트하여 장치 내에서 자동적으로 리사이클고(80)에 수납하는 동작이다. 회수 동작은, 리사이클고(80)가 가득찼을 때 등에, 담당자가 각 리사이클고(80)로부터 개별로 지폐를 취출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매수의 지폐를 리사이클고(80)로부터 장전?회수고(81)로 자동적으로 회수 수납하는 동작이다. 즉, 회수 동작은 장전 동작과 반대의 루트로 지폐가 이동한다. 또한, 지폐 입출금기(1)는 입금 거래시 및 출금 거래시에 이용자가 입출금구 기구(20)에 지폐를 취출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 그 지폐(취출 망각 지폐)를 자동으로 회수하는 동작(취출 망각 회수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취출 망각 회수 동작은, 입출금구 기구(20)에 남겨진 지폐를 일괄적으로 취출 망각 회수고(61)에 수납하는 동작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전방 클램프(209) 및 후방 클램프(210)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 등을 풀리로 구성하였지만, 풀리에만 한정되지 않고, 벨트를 감아 걸 수 있는 원통의 롤러 형상인 것이면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현금 자동 거래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해 왔지만, 이른바 포켓식의 지엽류 입출구를 갖고, 당해 입출구를 통해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이면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1 : 지폐 입출금기
20 : 입출금구 기구
21 : 입출금구
101a : 상부 정면판
201 : 셔터
203a : 누름판(후방판)
203b : 전방판
204 : 수납부
205a : 피크 롤러
205b : 분리 롤러
205c : 게이트 롤러
207 : 스택 롤러
209 : 전방 클램프
210 : 후방 클램프
211 : 스토퍼
218 : 지폐
300 : 반송 벨트
301 : 구동축
303 : 구동 풀리
305 : 슬라이드 플레이트
306, 307 : 반송 풀리
308 : 구동 벨트
400: 반송 벨트
401, 402, 403 : 구동 벨트
404, 405 : 반송 풀리
600 : 구획판
601 : 저판
602 : 이물질 수용 상자
603 : 프레임
604 : 슬라이드 홈
700 : 가압 수단
M1, M2, M3, M4, M5, M6 : 액추에이터
S1, S2, S3 : 센서

Claims (11)

  1. 이용자로부터 투입된 지엽류를 보관하는 동시에, 보관되어 있는 지엽류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표면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가 상기 장치 내에서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이며, 상기 수납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된 지엽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저판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저판의 사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수납부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가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개구부에 투입된 당해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를 지지하고, 그 후, 당해 지지한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수납부를 향해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2. 이용자로부터 투입된 지엽류를 보관하는 동시에, 보관되어 있는 지엽류를 이용자에게 방출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투입 및 방출을 행하기 위해 상기 장치의 표면에 설치된 개구부와,
    상기 장치 내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가 상기 장치 내에서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저면이며, 상기 수납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된 지엽류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저판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저판의 사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수납부를 향해 일괄 반송하는 한 쌍의 반송 수단과,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저판의 사이의 위치이며,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의 하단부를 지지 가능한 위치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가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개구부에 투입된 당해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를 지지하고, 그 후,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된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수납부를 향해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각각 상하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 2개의 롤러와, 상기 2개의 롤러에 감겨 상기 2개의 롤러의 회전시 순환 구동되어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 벨트와, 상기 2개의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반송 벨트를 순환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 및 방출되는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는 방향과, 당해 끼움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의 반송 수단에 장착되어, 다른 쪽의 반송 수단의 방향으로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가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반송하고, 그 후, 당해 반송한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지엽류가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지엽류를 끼움 지지하여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반송하고, 그 후,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으로 반송된 지엽류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당해 지엽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은, 각각 상기 2개의 롤러 중 한쪽과 상기 반송 벨트 또는 다른 벨트를 통해 접속된 다른 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한 쌍의 다른 롤러는, 상기 한 쌍의 구동원에 의해 각각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의 장치 전방측의 벽면을 형성하고, 전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납부를 지엽류 취입구와 연통시키는 전방판과,
    상기 전방판과 대향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납부에 있어서의 장치 후방측의 벽면을 형성하고, 전후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납부를 지엽류 취출구와 연통시키는 후방판과,
    상기 한 쌍의 구동원 중 한쪽의 구동원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반송 벨트 중 상기 전방판측에 배치된 한쪽의 반송 벨트를 순환 구동하는 제1 구동 롤러와,
    상기 한 쌍의 구동원 중 다른 쪽의 구동원과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반송 벨트 중 상기 후방판측에 배치된 다른 쪽의 반송 벨트를 순환 구동하는 제2 구동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 롤러는, 상기 한쪽의 반송 벨트보다도 장치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구동 롤러는, 상기 다른 쪽의 반송 벨트보다도 장치 후방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벨트는, 지엽류에 면 접촉하면서 당해 지엽류를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 중 한쪽의 반송 수단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롤러 중 하방에 있는 롤러는, 상기 2개의 롤러 중 상방에 있는 롤러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반송 수단이 지엽류를 반송할 때, 상기 하방의 롤러는 회전되고, 상기 2개의 반송 벨트가 지엽류와 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취급 장치.
KR1020100030690A 2009-04-06 2010-04-05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116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92160A JP5308216B2 (ja) 2009-04-06 2009-04-06 紙葉類取扱装置
JPJP-P-2009-092160 2009-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244A KR20100111244A (ko) 2010-10-14
KR101116932B1 true KR101116932B1 (ko) 2012-03-12

Family

ID=4294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690A KR101116932B1 (ko) 2009-04-06 2010-04-05 지엽류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08216B2 (ko)
KR (1) KR101116932B1 (ko)
CN (1) CN1018594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8666B (zh) 2013-05-23 2015-07-22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纸币处理设备及其纸币暂存装置
CN105139514B (zh) * 2015-09-07 2017-11-10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类处理装置
CN106067209A (zh) * 2016-06-14 2016-11-02 福州大学 钱币分类机及其实现方法
CN105894659A (zh) * 2016-06-15 2016-08-24 广州智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存取款口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354A (ko) * 2004-10-26 2006-05-18 주식회사 엑스티엠월드 지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4050B1 (ko) 2006-06-30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가이드장치
KR20080002509A (ko) * 2006-06-30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6736A (en) * 1980-03-28 1981-10-26 Fujitsu Ltd Feeder for paper or the like
JPS59153287A (ja) * 1983-02-18 1984-09-01 株式会社東芝 自動取引装置
JPS61220084A (ja) * 1985-03-25 1986-09-30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S61221894A (ja) * 1985-03-28 1986-10-02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紙幣処理機の紙幣取引口装置
JP4325886B2 (ja) * 1998-12-08 2009-09-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4007799B2 (ja) * 2001-11-22 2007-11-1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入金装置
JP2005259086A (ja) * 2004-03-15 2005-09-22 Fujitsu Ltd 紙葉類取扱装置
JP4655777B2 (ja) * 2005-06-24 2011-03-2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4832920B2 (ja) * 2006-02-28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シャッタ開閉装置
JP4889456B2 (ja) * 2006-11-24 2012-03-07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装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354A (ko) * 2004-10-26 2006-05-18 주식회사 엑스티엠월드 지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4050B1 (ko) 2006-06-30 2007-08-3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가이드장치
KR20080002509A (ko) * 2006-06-30 2008-01-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스택롤러 회전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244A (ko) 2010-10-14
JP5308216B2 (ja) 2013-10-09
JP2010244288A (ja) 2010-10-28
CN101859450A (zh) 2010-10-13
CN101859450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5990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089655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KR101077193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자동 거래 장치
KR101095407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지엽류 수입 방법 및 지엽류 배출 방법
WO2014155645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116932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WO2014155644A1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JP5462637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789562B2 (ja) 紙葉類取扱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KR100946125B1 (ko) 지폐입출금장치 및 지폐입출금방법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5898041B2 (ja) 搬送ユニット付き紙葉類取扱装置
KR101775779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0610998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입금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208802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4374724B2 (ja) 紙幣処理装置
JP2002145462A (ja) 紙幣処理装置
JP2001093019A (ja) 循環式貨幣処理装置
KR102004729B1 (ko) 금융기기
JPS63242839A (ja) 自動取引装置
JPH089819Y2 (ja) 紙幣処理装置
JP2597755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19200808A (ja) 紙幣処理装置
JPH04111677U (ja) 紙幣処理装置の一時集積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