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643A -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643A
KR20100093643A KR1020090012686A KR20090012686A KR20100093643A KR 20100093643 A KR20100093643 A KR 20100093643A KR 1020090012686 A KR1020090012686 A KR 1020090012686A KR 20090012686 A KR20090012686 A KR 20090012686A KR 20100093643 A KR20100093643 A KR 20100093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heating
carbon
carbon nano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353B1 (ko
Inventor
예성훈
정용배
김종범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12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353B1/ko
Priority to CN201080008123XA priority patent/CN102318438A/zh
Priority to EP10743919.2A priority patent/EP2400814A4/en
Priority to JP2011547822A priority patent/JP5580835B2/ja
Priority to PCT/KR2010/000965 priority patent/WO2010095844A2/ko
Priority to US13/147,810 priority patent/US9237606B2/en
Publication of KR20100093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4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zigza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이축으로 연신된 투명 PET나 OPS 필름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은 페이스트를 형성시킨 후, 발열이 우수한 CNT 잉크를 면상으로 코팅함으로써, 단시간에 온도를 올려주고 단절이나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소비 전력이 적은 면상발열체를 제공한다.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Heating sheet using carbon nano tube}
본 발명은 CNT(Carbon Nano Tube) 용액을 그라비아 인쇄로 코팅한 고분자 면상 발열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비아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로서, 이축으로 연신된 투명 PET나 OPS 필름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은 페이스트를 형성시킨 후, 발열이 우수한 CNT 잉크를 면상으로 코팅함으로써, 단시간에 온도를 올려주고 단절이나 화재로부터 안전하며 소비 전력이 적은 면상 발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 시트는 얇은 전기도선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고전류로 온도를 올려주고, 온도센서나 바이메탈을 통해 전류를 끊었다 흘렸다 하는 방식으로 일정온도를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상기의 제품은 단선에 의한 제품의 작동 중단이나 전기도선을 중심으로 고열이 발생하므로 주변으로 노출되는 열손실이 발생되며, 전선 배열을 수작업으로 실시하기에 제품별 발열 균일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면상발열체는 12Volt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기존 카본 페이스트로 제작할 경우, 국부적인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그물형상으로 만들어 야 하고, 전극으로 사용되는 은 페이스트도 거리에 따른 저항 변화와 카본 페이스트와 은 페이스트간의 단선 발생으로 4개 이상의 도선을 사용하게 되고, 이는 결국 제품 크기의 제약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기존 제품은 12Volt에서 250㎜×300㎜ 이상의 면상발열체를 제작하기 어렵고, 불균일한 온도 상승에 따른 발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종래 열선 발열체의 가열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으로, 피가열체와 발열선의 접촉면이 국부적이므로 피가열체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최고온도로의 승온시간도 느리다.
도 4는 일반 카본의 전기적 네트워크 구조도로서, 일반 카본은 바인더 안에서 카본과 금속을 일부 혼합시켜 입자간의 접촉이 되어야 전기가 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입자간의 단락이 발생할 경우 단락이 되지 않는 특정 부위에 전기가 집중되어 고열이 발생되게 되고 누적된 에너지에 의해 단락이 된다.
일반 전도성 카본을 이용한 저항 페이스트는 카본의 특성인 음(-)의 온도저항 계수를 가지므로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저항수치의 저하로 신뢰성 확보가 어렵다. 또한, 금속성 물질은 양(+)의 온도저항 계수를 가지므로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저항수치의 상승으로 신뢰성 확보가 어렵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7322호에는 경사로 배열되며 직조되는 면사 또는 천연섬유와, 면사 또는 천연섬유와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직조되는 동선과, 면사 또는 천연 섬유상에 탄소 코팅되며 위사로 직조되는 발열사로 직조되고 상하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층을 형성한 발열판체 상에 는 일정 온도범위에서 온/오프되도록 부착된 온도센서로 이루어지고, 동선의 단자는 차량용 전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00692호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통상의 면상발열체에 있어서, 판상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바닥판 상면에 다단으로 상호 엇갈리는 배치구조의 다수개 사다리형상으로 형성된 카본 페이스트와, 카본 페이스트의 외주면 일측 부분 혹은 외주면 전면에 도포되어 음전극과 양전극이 엇갈리도록 서로 교호하게 형성되어 전극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실버 페이스트가 상호 연결 결합되고, 카본 페이스트와 실버 페이스트 상면에 소정의 두께와 너비의 얇은 층으로 덧 씌어져 코팅 경화된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재와, 점착과 접착성분으로 도포된 마감판이 적층 장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스크린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644089호에는 자동차 시트 및 등받이 내부에 설치되고 발열선이 내장된 자동차용 시트 및 등받이에 있어서, 시트 히터 쿠션 및 시트 히터 백으로 구성되고, 각각은 일정한 형태를 가진 내열성 부재에 평면으로 설치된 발열선으로 구성되며, 발열선 각각은 체중에 의한 끊어짐 방지를 위하여 연결 잭으로 결합되고, 시트 히터 쿠션 발열선의 다른 일측에 결합되어 발열선의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값이 내려가는 네가티브 특성을 지닌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가 구비되며, NTC 일측에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결합되고, ECU 일측 및 NTC 다른 일측에 결합되는 가변저항다단조절기가 구비되며, NTC 및 가 변저항다단조절기의 저항값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전원이 ON-OFF가 되는 것이 특징인 발열선이 내장된 자동차 시트 등받이용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들에서는 발열체로서 열선, 카본 등을 이용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를 발열체로 적용한 예는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나노튜브를 발열체로 적용한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되는 발열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용액을 이용한 면상발열체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카본 페이스트에서 발생된 온도상승에 따른 저항 증가로 판상의 합성수지재의 형상변화와 국부적인 저항변화로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자동차용 발열 원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과전류 방지 장치인 ECU와 같은 부품 없이 CNT 소재의 PTC(Position Temperature Coefficient) 효과를 이용해 초기 온도상승 후 균형적인 온도가 유지되게 만들었다. 또한, 이축으로 연신된 PET나 OPS를 사용하여 필름 발열시 원단이 수축되거나 팽창되는 것을 방지시켜 저항 변화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용도로 사용되는 12 Volt에서 목표온도에 빠르게 도달한 후, 바이메탈과 같은 온도 조절기가 없어도 PTC 성질에 의해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CNT 용액을 이용하였다. CNT는 기존 판상형 구조인 카본페이스트와는 달리, 긴 머리카락 구조를 뛰고 있어서 머리카락 구조의 수평 방향으로 전기가 잘 통하는 물질이다. 또한, 머리카락 한올 한올이 서로 뒤엉켜 연결된 구조로 전기가 통하게 되는 원리이므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저항변화가 크게 발생되지 않는다. 자동차용 시트 히터로 사용할 경우, 엉덩이 마찰이나 중력에 의해 히터가 구부려지게 되는데, 기존 제품에는 저항변화가 가장 큰 문제였으나, 본 발명 제품은 저항변화가 생기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층을 형성하는 은 페이스트 위에 CNT를 인쇄하여 별도의 산화방지층이 필요 없게 된다. 은 페이스트는 산화력이 뛰어난 특징이 있어서, 기존 제품은 스크린 인쇄 후 코팅 경화된 절연성 합성수지를 도포해야 했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서, 형태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 모양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다. 관의 지름이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전기 전도도가 구리와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 탄소섬유는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반면 탄소나노튜브는 15%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로는 금속을 도핑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페이스트는 온도 저항계수가 거의 0에 가까우며, 반복적인 사용에도 저항수치의 변화가 없어서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을 도핑함으로써 정특성 서미스터(PTC) 성질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류 흐름성도 좋아진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의 도핑에 사용되는 금속은 은, 구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전도도 및 전극과의 상용성 측면에서 은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에 따른 발열시트는 위로부터 기재필름층, 전극층,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필름층, 점착제층, 보호재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에 따른 발열시트는 위로부터 기재필름층, 전극층,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필름층, 점착제층, 단열재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탄소나노튜브 발열층의 양측면에 구리 박막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 동박을 사용하여 전류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시킬 수 있다. 구리 동박을 사용할 경우 기존 면상발열체에서 발생하는 불균일한 온도 분포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구리 박막층과 전극층 사이에는 전도성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전도성 점착제를 사용하여 구리 박막층과 전극층간의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리 박막의 파손에 의해 구리 박막층과 전극층의 단절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층과 필름층은 난연 처방된 필름을 사용하여 난연 3급 이상의 난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는 자동차 사이드 거울, 시트 히터, 시트 방석, 전기 장판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는 발열면적이 넓어서 피가열체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최고온도로의 승온시간도 빠르며, 머리카락 구조로 되어 서 로 엉켜 있는 구조라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이 뛰어나고, 분자구조상 부분 단락이 발생하여도 연결되어 있는 접촉점이 많아 쇼트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입자들이 붙어있지 않고 어느 정도 이격 거리가 발생하여도 섬유상 구조와 유사하여 전기가 통하는 전기적 네트 워크 현상을 유지함으로써 일반 카본의 함량에 비해 매우 적은 함량으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하고 전기적 안정성도 보유하게 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을 도핑할 경우 온도 저항계수가 거의 0에 가깝고 반복적인 사용에도 저항수치의 변화가 없어서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며, 끊어지지 않는 전기적 네트워크 효과로 집열 현상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정특성 서미스터 성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 발열체의 가열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과는 대조적으로, 피가열체와 발열층의 접촉면이 전면이므로 피가열체에 대한 열전달 효율이 우수하고 최고온도로의 승온시간도 빠르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의 도핑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탄소나노튜브와 금속 원자의 화학적 결합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를 산으로 처리하면 도 3의 첫 번째 도면처럼 탄소나노튜브의 말단에 기능기가 형성되며, 여기에 금속을 코팅하면 도 3의 두 번째 도면처럼 탄소나노튜브의 말단 기능기에 금속이온이 화학적으로 결합된다. 도 3의 세 번째 도면은 금속-도핑된 탄소나노튜브 분말의 모식도이다.
금속-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페이스트는 온도 저항계수가 거의 0에 가까우며, 반복적인 사용에도 저항수치의 변화가 없어서 신뢰성 확보가 용이하다. 이는 단순히 음의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카본과 양의 온도저항계수를 갖는 금속의 혼합으로만 보정이 되는 것이 아니라,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화학적 결합을 이용한 금속입자의 결합으로 상기와 같은 특성이 구현되는 것이다.
도 5는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네트워크 구조도로서,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을 도핑할 경우 끊어지지 않는 전기적 네트워크 효과로, 도 4에서와 같이 일반 카본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반복되는 집열 현상에 의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입자들이 붙어있지 않고 어느 정도 이격 거리가 발생하여도 섬유상 구조와 유사하여 전기가 통하는 전기적 네트 워크 현상을 유지함으로써, 일반 카본의 함량에 비해 매우 적은 함량으로도 동등 이상의 성능을 구현하고 전기적 안정성도 보유하게 된다.
탄소나노튜브는 머리카락 구조로 되어 서로 엉켜 있는 구조라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이 뛰어나며, 분자구조상 부분 단락이 발생하여도 연결되어 있는 접촉점(Contact Point)이 많아 쇼트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단면도로서, 이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는 위로부터 기재필름층(10), 전극층(20),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 구리 박막층(40), 필름층(50), 점착제층(60), 보호재층(70)으로 구성된다.
기재필름층(10)은 전극층(20)의 인쇄 기재로서, 양방향으로 연신된(이축연 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또는 오리엔티드 폴리스티렌(OPS)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두께는 100 ㎛ 이하이다. 이축 연신 PET나 이축 연신 OPS를 기재로 사용하여 160℃까지 발열되는 제품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기재필름층(10)에 난연 처방을 별도로 하여 난연 3급도 확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극층(20)은 은 페이스트를 패턴 인쇄한 층으로, 기재필름층(10)보다 적은 넓이로 인쇄된다. 은 페이스트 전극 간의 간격, 넓이에 따라서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탄소나노튜브의 발열 온도 상승시간과 유지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은 탄소나노튜브 잉크로 인쇄하고 건조한 층으로, 탄소나노튜브 잉크는 아크릴 등의 바인더, 분산제, 안정제로 구성되는 점성을 갖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이며, 그라비아 인쇄를 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탄소나노튜브로는 투명성을 요구하는 발열체를 만들 경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나 얇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Thin MWCNT) 이용하고, 불투명해도 될 경우 MWCNT를 사용한다. 탄소나노튜브에 금속을 도핑함으로써 정특성 서미스터(PTC) 성질을 구현할 수 있고 전류 흐름성도 좋아진다. 탄소나노튜브의 농도, 코팅 두께를 조절하여 발열체의 포화온도(Saturated Temperature)를 결정할 수 있다.
구리 박막층(40)은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의 양 측면에 구리 박막을 합지한 층이다.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 동박을 사용하여 전류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시킬 수 있다. 구리를 사용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지만, 구리 동박을 사용할 경우 기존 면상발열체에서 발생하는 불균일한 온도 분포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구리 박막층(40)의 구리 부위와 전극층(20)의 은 페이스트간의 접촉저항을 최소화시 키기 위해 전도성 점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구리 박막층(40)의 파손에 의해 구리 박막층(40)과 전극층(20)의 단절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필름층(50)은 전극층(20)과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 등을 보호하는 층으로, 기재필름층(10)과 동일한 필름을 사용하여 열 합지한다.
점착제층(60)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재층(70)은 점착제층(60)을 보호하는 층으로, 보호필름이나 보호종이를 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단면도로서, 이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는 위로부터 기재필름층(10), 전극층(20),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 구리 박막층(40), 필름층(50), 점착제층(60), 단열재층(80)으로 구성된다.
기재필름층(10), 전극층(20),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 구리 박막층(40), 필름층(50), 점착제층(60)은 도 6의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와 동일하며, 보호재층(70) 대신 단열재층(80)이 적층된 구조이다.
단열재층(80)은 하부로 열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으로, 폴리우레탄(PU), 발포성 폴리스티렌(EPS), 발포성 폴리프로필렌(EPP) 등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평면도로서, 탄소나노튜브 발열층(30)이 지그재그 형태로 넓은 면적을 가지고 인쇄되므로 발열되는 면적이 넓어지며, 이에 따라 에너지 전달 효율이 증가된다. 도 8에 도시된 전극층(20), 탄소 나노튜브 발열층(30), 구리 박막층(40)의 패턴은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열선 발열체의 가열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탄소나노튜브 발열체의 가열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탄소나노튜브의 도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반 카본의 전기적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5는 탄소나노튜브의 전기적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재필름층
20: 전극층
30: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40: 구리 박막층
50: 필름층
60: 점착제층
70: 보호재층
80: 단열재층

Claims (8)

  1.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되는 발열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위로부터 기재필름층, 전극층,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필름층, 점착제층, 보호재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위로부터 기재필름층, 전극층, 탄소나노튜브 발열층, 필름층, 점착제층, 단열재층을 포함하는 발열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가 금속을 도핑한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금속이 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발열층의 양측면에 구리 박막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구리 박막층과 전극층 사이에 전도성 점착제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기재필름층과 필름층이 이축 연신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시트.
KR1020090012686A 2009-02-17 2009-02-17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KR101328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86A KR101328353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CN201080008123XA CN102318438A (zh) 2009-02-17 2010-02-17 碳纳米管散热片
EP10743919.2A EP2400814A4 (en) 2009-02-17 2010-02-17 HEATER FOR CARBON NANOTUBE HOLES
JP2011547822A JP5580835B2 (ja) 2009-02-17 2010-02-17 炭素ナノチューブ発熱シート
PCT/KR2010/000965 WO2010095844A2 (ko) 2009-02-17 2010-02-17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US13/147,810 US9237606B2 (en) 2009-02-17 2010-02-17 Carbon nanotube sheet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86A KR101328353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3A true KR20100093643A (ko) 2010-08-26
KR101328353B1 KR101328353B1 (ko) 2013-11-11

Family

ID=42634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86A KR101328353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7606B2 (ko)
EP (1) EP2400814A4 (ko)
JP (1) JP5580835B2 (ko)
KR (1) KR101328353B1 (ko)
CN (1) CN102318438A (ko)
WO (1) WO201009584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75A1 (ko) * 2014-03-31 2015-10-08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고효율 발열시트
US9348280B2 (en) 2011-05-19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ing composite, and heating apparatus and fu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316236B2 (en) 2015-12-04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ste composition, heating element,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ste composition
WO2024049068A1 (ko) * 2022-09-02 2024-03-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필름형 복사히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472B1 (ko) * 2009-02-06 2012-03-07 (주)엘지하우시스 탄소나노튜브-금속입자 복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열 조향핸들
DE102011086448A1 (de) 2011-11-16 2013-05-16 Margarete Franziska Althau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Heizelements
US10201039B2 (en) 2012-01-20 2019-02-05 Gentherm Gmbh Felt heater and method of making
CN102616036B (zh) * 2012-04-10 2013-12-25 无锡隆盛科技股份有限公司 能降低片式氧传感器起燃时间的加热器的制造方法
CN103379680B (zh) * 2012-04-28 2015-08-26 清华大学 加热垫的制备方法
ITMO20120243A1 (it) * 2012-10-04 2014-04-05 Giemme S N C Di Corradini Marco & C Pannello riscaldante ad elevata efficienza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KR101663855B1 (ko) * 2012-12-21 2016-10-10 (주)엘지하우시스 배터리 모듈용 발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495770B1 (ko) * 2012-12-28 2015-02-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5460897B1 (ja) * 2013-01-17 2014-04-02 株式会社テムテック研究所 平面発熱体の電極を製造する方法
KR20140105640A (ko) * 2013-02-22 2014-09-02 (주)엘지하우시스 복사열을 이용한 자동차용 면상 발열체
CN103112215A (zh) * 2013-03-08 2013-05-22 苏州佳值电子工业有限公司 一种新型导热材料
ES2537400B1 (es) 2013-12-04 2016-01-22 Seat, S.A.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un calefactor en un automóvil
US20160021705A1 (en) 2014-07-17 2016-01-21 Gentherm Canada Ltd. Self-regulating conductive heater and method of making
US10134502B2 (en) 2014-07-18 2018-11-20 Kim Edward Elverud Resistive heater
FI10797U1 (fi) * 2014-12-04 2015-03-10 Wicetec Oy Johdinliitos kuparijohtimen kytkemiseksi
CN104823764B (zh) * 2015-04-21 2018-02-27 泉州泓程商贸有限公司 一种组合式农用发热片
CN105219999B (zh) * 2015-10-21 2017-05-24 云南大学 一种碳纳米纸纳米铜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722351B1 (ko) 2016-01-28 2017-03-31 김경현 원적외선 방사, 방염 및 내열성을 갖는 직류전원용 실구조 발열사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발열패드
WO2017178841A1 (en) * 2016-04-15 2017-10-19 Fgv Cambridge Nanosystems Limited Heater elements, heat exchangers and heater element arrays
CN105953193A (zh) * 2016-06-21 2016-09-21 太仓鸿鑫精密压铸有限公司 Led灯散热片
CN105932147B (zh) * 2016-06-21 2018-07-10 太仓鸿鑫精密压铸有限公司 高效led散热片
US10464680B2 (en) * 2016-08-30 2019-11-05 The Boeing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s for heating and deicing airfoils
US10582571B2 (en) 2016-09-06 2020-03-03 Eastman Kodak Company Printed transparent heaters using embedded micro-wires
US20180124871A1 (en) 2016-10-31 2018-05-03 Gentherm Gmbh Carbon veil heater and method of making
KR20190069530A (ko) 2016-11-22 2019-06-19 젠썸 게엠베하 필름 히터 및 제조 방법
US11382181B2 (en) 2016-12-02 2022-07-05 Goodrich Corporation Method to create carbon nanotube heaters with varying resistance
US10425993B2 (en) * 2016-12-08 2019-09-24 Goodrich Corporation Carbon nanotube yarn heater
DE102017001097A1 (de) 2017-02-07 2018-08-09 Gentherm Gmbh Elektrisch leitfähige Folie
KR101885781B1 (ko) * 2017-07-05 2018-08-06 (주)다오코리아 온열 매트
KR102032332B1 (ko) 2018-04-25 2019-10-15 (주)젠텍스 대면적 플렉시블 히팅 텍스타일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대면적 플렉시블 히팅 텍스타일
GB201811203D0 (en) * 2018-07-06 2018-08-29 Conductive Transfers Ltd Conductive transfer
US11235881B2 (en) 2018-09-13 2022-02-01 Goodrich Corporation Hybrid heater for aircraft wing ice protection
CN108909057B (zh) * 2018-09-27 2024-05-17 潍坊富烯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碳纳米管导电布及其制备方法
US10821862B2 (en) * 2018-12-06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eating assembly
US11666521B2 (en) * 2018-12-11 2023-06-06 L'oreal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compounds, a silane compound and silica particles and methods for use
KR102183876B1 (ko) 2019-04-18 2020-11-27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차량용 온열시트
SE1950543A1 (en) * 2019-05-07 2020-09-29 Swerail Ab Heating element for your rail
JP7476492B2 (ja) 2019-07-31 2024-05-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発熱シート及び積層体
KR102661119B1 (ko) 2019-12-03 2024-04-26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KR102280829B1 (ko) * 2020-03-02 2021-07-21 이창항 스노우멜팅 시스템
US11745879B2 (en) 2020-03-20 2023-09-05 Rosemount Aerospace Inc. Thin film heater configuration for air data probe
KR102597547B1 (ko) * 2021-01-29 2023-11-02 이승오 비닐하우스용 투명 면상 발열체
KR102618169B1 (ko) * 2021-07-05 2023-12-29 (주) 다산솔루에타 그래피틱층을 갖는 pcb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369B2 (ja) * 1988-11-09 1995-12-18 憲親 武部 自己温度制御性ヒータ
KR100207322B1 (ko) 1997-01-10 1999-07-15 윤종용 과주사량 조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41901A (ja) * 1997-11-05 1999-05-28 Engel Sangyo:Kk 床暖房システム
US6285005B1 (en) * 1998-04-09 2001-09-04 Lucent Technologies Inc. Device for housing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material
US6084217A (en) * 1998-11-09 2000-07-04 Illinois Tool Works Inc. Heater with PTC element and buss system
US7160530B2 (en) * 2000-01-19 2007-01-09 Midwest Research Institute Metal-dop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production thereof
KR100329379B1 (ko) 2000-01-25 2002-03-22 이명일 카본 반도체섬유의 제조방법
KR200207322Y1 (ko) 2000-07-14 2000-12-15 정병열 발열기능을 갖는 자동차시트
JP2002075602A (ja) * 2000-08-25 2002-03-15 Shimadzu Corp 面状発熱体
DE10133393B4 (de) * 2001-07-13 2007-08-30 TransMIT Gesellschaft für Technologietransfer mbH Röhrchen mit Innendurchmessern im Nanometerbereich
JP2003077923A (ja) * 2001-09-06 2003-03-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素子間配線
JP2003163104A (ja) 2001-11-28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有機ptc組成物
KR100644089B1 (ko) 2001-12-11 2006-11-13 (주)광진윈텍 Ecu 및 ntc 히팅 시스템을 이용한 히터가 내장된 자동차시트 및 등받이용 부재
KR100426495B1 (ko) * 2001-12-28 2004-04-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0692Y1 (ko) 2002-09-19 2003-01-14 김갑식 스크린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
DE10310722A1 (de) * 2003-03-10 2004-09-23 Tesa Ag Elektrisch erwärmbare Haftklebemasse
KR20050011867A (ko) 2003-07-24 2005-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및 금속나노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필름형성방법
JP4581379B2 (ja) * 2003-11-14 2010-11-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熱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83673B1 (ko) 2004-06-08 2006-05-26 한국전기연구원 고감응 적외선 방사히터
CN100395887C (zh) * 2004-08-14 2008-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集成电路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813928B1 (ko) 2004-11-04 2008-03-18 서태석 면상발열체의 제조 방법
KR100642622B1 (ko) 2005-02-22 2006-11-10 주식회사 에이엔씨아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674404B1 (ko) * 2005-07-05 2007-01-29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방열판 및 그 제조방법
JP5017522B2 (ja) 2005-09-13 2012-09-05 株式会社アイ.エス.テイ 面状発熱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49886B1 (ko) * 2006-02-03 2007-08-21 (주) 나노텍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발열체
CN101090586B (zh) * 2006-06-16 2010-05-12 清华大学 纳米柔性电热材料及包括该纳米柔性电热材料的加热装置
EP2392623B1 (en) 2006-08-02 2013-09-1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composition
US20080028697A1 (en) 2006-08-04 2008-02-07 Chengtao Li Window defroster assembly with light control
JP2010503219A (ja) * 2006-08-30 2010-01-28 テンプ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均一ギャップを備える近接電極
KR20080030410A (ko) * 2006-09-30 2008-04-04 강석환 면상발열체용 도전성 잉크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면상발열체
JP2008123784A (ja) * 2006-11-10 2008-05-29 Kitagawa Ind Co Ltd フィルムヒーター
JP4967641B2 (ja) * 2006-12-18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高分子発熱体
KR101007064B1 (ko) * 2007-01-05 2011-01-12 (주)탑나노시스 탄소나노튜브 분산제, 탄소나노튜브 조성물, 탄소나노튜브필름 및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제조 방법
WO2008082272A1 (en) * 2007-01-05 2008-07-10 Top Nanosys, Inc. Carbon nanotube dispersing agent, carbon nanotube composite, carbon nanotube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rbon nanotube film
EP2127473B1 (en) * 2007-01-22 2015-08-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heet heating element
KR100883302B1 (ko) * 2007-05-03 2009-02-17 아프로시스템 주식회사 내열결정화유리를 이용한 면상 히터의 제조 방법
JP2009004210A (ja) * 2007-06-21 2009-01-08 Panasonic Corp 発熱体
KR100924766B1 (ko) 2007-06-22 200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cnt) 박막 및그 제조방법
CN101582449B (zh) * 2008-05-14 2011-12-14 清华大学 薄膜晶体管
US8404613B2 (en) * 2008-10-21 2013-03-26 Brookhaven Science Associates, Llc Platinum-based electrocatalysts synthesized by depositing contiguous adlayers on carbon nanostructur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8280B2 (en) 2011-05-19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ing composite, and heating apparatus and fu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5152575A1 (ko) * 2014-03-31 2015-10-08 (주)엘지하우시스 자동차용 고효율 발열시트
US10316236B2 (en) 2015-12-04 201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ste composition, heating element,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ste composition
WO2024049068A1 (ko) * 2022-09-02 2024-03-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필름형 복사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80835B2 (ja) 2014-08-27
KR101328353B1 (ko) 2013-11-11
US20120125914A1 (en) 2012-05-24
CN102318438A (zh) 2012-01-11
WO2010095844A3 (ko) 2010-11-04
EP2400814A2 (en) 2011-12-28
US9237606B2 (en) 2016-01-12
JP2012516536A (ja) 2012-07-19
WO2010095844A2 (ko) 2010-08-26
EP2400814A4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353B1 (ko)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Lee et al. Versatile, High‐Power, Flexible, Stretchable Carbon Nanotube Sheet Heating Elements Tolerant to Mechanical Damage and Severe Deformation
EP2127473B1 (en) Sheet heating element
KR101265895B1 (ko) 발열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발열 제품
US20150000425A1 (en) Sheet pressure sensor
WO2014024165A2 (pt) Dispositivo de aquecimento, respectivo métodos de impressão e utilização
US11089658B2 (en) Heating element
KR101401396B1 (ko) 면상 발열 히터
JP2007299546A (ja) 面状発熱体
CN109952810B (zh) 辐射加热装置
JP5895593B2 (ja) 布状圧力センサーヒーター
JP2019079714A (ja) 面状発熱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85808B2 (en) Sheet heater
KR20110043367A (ko) 발열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발열 제품
JP2005293895A (ja) 面状発熱体
KR20100004702U (ko) 면상발열체
JP3979188B2 (ja) 発熱体
KR100923716B1 (ko) 은분 전기 전도부를 가지는 면상 발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5862414B2 (ja) 布状ヒーター
JP2008186700A (ja) 面状発熱体
JP6136531B2 (ja) 布状ヒーター
KR20190002101U (ko) 과열방지 기능의 금속나노와이어 함침 발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