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396B1 - 면상 발열 히터 - Google Patents

면상 발열 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396B1
KR101401396B1 KR1020120151903A KR20120151903A KR101401396B1 KR 101401396 B1 KR101401396 B1 KR 101401396B1 KR 1020120151903 A KR1020120151903 A KR 1020120151903A KR 20120151903 A KR20120151903 A KR 20120151903A KR 101401396 B1 KR101401396 B1 KR 101401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heat generating
conductive
heating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홍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4/00Aspects relating to resistive heating, induction heating and heating using microwaves, covered by groups H05B3/00, H05B6/00
    • H05B2214/04Heating means manufactured by using nanotechnology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면상 발열 히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는 전도성 발열 박막과, 전도성 발열 박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서, 전도성 발열 박막은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와,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를 포함하고, 제2 발열부가 전도성 발열 박막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면상 발열 히터{PLATE HEATER}
본 발명은 발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전도성을 가진 발열 박막과 전극을 구비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
면상 발열 히터(plate heater)는 냉동 진열장의 유리 표면, 창호 시스템, 자동차 유리 표면, 욕실 거울 등에서 이용되는 것으로, 상기 예시한 사례들에 있어 주변 온도 차이로 인한 김서림 내지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 발열 히터는 부도체 기판에 전도성 발열 물질을 코팅하고, 상기 전도성 발열 물질의 일측부에는 제1 전극을 설치하고, 타측부에는 제2 전극을 설치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직류 또는 교류 전압을 걸어주면 상기 전도성 발열 물질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발열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면상 발열 히터들은 국부적인 과열 현상이 일어나므로(특히 중앙부에 열이 집중됨) 면상 발열 히터 전면에 걸쳐 발열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김서림 내지 결로 현상을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계면 활성제와 같은 별도의 매체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므로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 전면에 걸쳐 균일한 온도 구배를 갖도록 하는 방안들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전면에 걸쳐 균일한 온도 구배를 갖는 면상 발열 히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도성 발열 박막과,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은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열부가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도성 발열 박막과,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은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면상 발열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발열부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 wall carbon nano tube)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발열부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 wall carbon nano tube)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은(Ag) 나노와이어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은(Ag) 나노와이어, 은 페이스트, ITO(산화인듐주석), ZnO(산화아연), SnO2(산화주석), 카본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 발열 히터는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 및 전극부를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 발열 히터는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하부면과, 상기 절연층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 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도성 발열 박막을 제1 저항을 갖는 발열부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발열부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로 인해 낮은 저항을 갖는 발열부에서의 발열을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면상 발열 히터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온도 구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면상 발열 히터(10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과, 전도성 발열 박막(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전극부(12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의 상부면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열하는 박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열에 의해 발열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 저항열은 전류의 제곱과 도체의 전기저항의 곱에 비례한다(Q=I2RT).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기판(미도시) 위에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발열 박막(110)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기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탄소기반 소재는 단일벽 탄소나노뷰트(SWCNT, Single Wall Carbon Nano Tube)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등이 있다.
전극부(12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은(Ag) 나노와이어/페이스트와 같은 투명성을 갖는 금속, ITO(산화인듐주석), ZnO(산화아연), SnO2(산화주석)과 같은 산화물 투명 전극 또는 카본나노튜브, 그래핀과 같은 비산화물 투명 전극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전극부(120)가 은(Ag) 나노와이어로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극부(12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 상부면 양측에 스핀 코팅, 딥 코팅, 잉크젯 프린팅, 옵셋 프린팅, 리버스 옵셋 프린팅, 그라비어 프린팅 또는 롤 프린팅 등의 용액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전극부(12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 상부면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전도성 발열 박막(110) 상부면에 전극부(120)가 설치될 공간을 식각한 후에, 상기 공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극부(12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대략 10mm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극부(12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 상부면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일측에 형성되는 전극부(120)가 (+)전극이고, 타측에 형성되는 전극부(120)가 (-)전극으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10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이 2 이상으로 구분되는 저항을 갖는 발열부로 구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111)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112)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제2 발열부(112)의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발열부(111)가 20~30 Ω/□의 저항을 가지는 경우에, 제2 발열부(112)의 제2 저항은 5~6 Ω/□의 저항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저항은 제1 저항보다 낮으면 되고 상기 제1 저항 및 제2 저항의 수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저항들은 발열부(111,112)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발열부(111) 또는 제2 발열부(112)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제2 발열부(112)는 제1 발열부(111)보다 낮은 저항을 가지므로 재료 선택시에는 이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발열부(111)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 wall carbon nano tube)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형성되는 경우에, 제2 발열부(112)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 wall carbon nano tube)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은(Ag) 나노와이어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발열부(112)는 제1 발열부(111)의 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제1,2 발열부(111,112)가 상기 언급된 재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물질들 중에서 제1 발열부(111)를 형성하기 위해 채택한 재료가 제2 발열부(112)를 형성하기 위해 채택한 재료보다 저항이 높으면 충분하다.
이하에서는 제1 발열부(111) 및 제2 발열부(112)의 배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제1 형태
제1 발열부(111) 및 제2 발열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발열부(112)가 전도성 발열 박막(1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도성 발열 박막(110)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획되되, 중앙에는 제2 발열부(112)가 배치되고 제2 발열부(112)의 양측에 제1 발열부(11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제2 발열부(112)에서의 발열량이 제1 발열부(111)에서의 발열량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전도성 발열 박막(100)의 온도 구배 형태는 보다 균일해진다. 반면, 면상 발열 히터를 하나의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즉, 하나의 저항만이 존재함)에는 중앙부에 열이 집중되는 국부 발열 현상이 일어나므로(종래 면상 발열 히터의 문제점), 전면의 온도 구배는 균일하지 못하다.
(2) 제2 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발열부(111) 및 제2 발열부(112)는 복수개가 배치되되,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발열 박막(110)이 크게 여섯 부분으로 구획되되, 홀수 번째 구역에는 제1 발열부(111)가 배치되고 짝수 번째 구역에는 제2 발열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이고 전도성 발열 박막(110)은 그 이상의 숫자로도 구획되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제1 발열부(111)와 제2 발열부(112)가 교대로 배치되므로 발열량의 고저(高低)가 규칙적으로 일어나는 바, 전체적인 전도성 발열 박막(100)의 온도 구배 형태는 보다 균일해진다.
(3) 제3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발열 히터(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발열부(112)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의 중앙부에 배치되되 상술한 제1 형태와 같이 띠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닌 폐쇄형 도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발열부(112)는 도 3a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제1 발열부(11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b에서와 같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발열부(11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중앙에 배치된 제2 발열부(112)에서의 발열량이 제1 발열부(111)에서의 발열량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므로, 전체적인 전도성 발열 박막(100)의 온도 구배 형태는 보다 균일해진다.
이상에서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와 같은 발열부(111,112)의 배치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발열부(111,112)가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면상 발열 히터(10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 및 전극부(120)를 덮는 절연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은 전도성 발열 박막(110) 및 전극부(120)를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절연성 재료의 예로는 PVB 수지(polyvinyl butyral resin)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Silicon Carbide) 등이 있다.
또한, 면상 발열 히터(100)는 전도성 발열 박막(110) 하부면과 절연층(130)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 기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유리, 실리콘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발열 박막(110) 형성시에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에 전도성 발열 물질을 증착하여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 가능한 면상 발열 히터(100)는 냉동 진열장의 유리 표면, 창호 시스템, 자동차 유리 표면, 욕실 거울 등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도성 발열 박막을 제1 저항을 갖는 발열부와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발열부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이로 인해 낮은 저항을 갖는 발열부에서의 발열을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면상 발열 히터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온도 구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면상 발열 히터
110: 전도성 발열 박막
111: 제1 발열부
112: 제2 발열부
120: 전극부

Claims (6)

  1. 전도성 발열 박막과,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형성되어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은 나노와이어가 첨가되어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발열부의 양측이 상기 제1 발열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2 발열부가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면상 발열 히터.
  2. 전도성 발열 박막과,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부를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형성되어 제1 저항을 갖는 제1 발열부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또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은 나노와이어가 첨가되어 상기 제1 저항보다 낮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발열부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제1 발열부 및 제2 발열부의 측부가 상호 접하도록 교대로 배치되는 면상 발열 히터.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은(Ag) 나노와이어, 은 페이스트, ITO(산화인듐주석), ZnO(산화아연), SnO2(산화주석), 카본나노튜브 또는 그래핀으로 형성되는 면상 발열 히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 히터는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 및 전극부를 덮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면상 발열 히터는 상기 전도성 발열 박막의 하부면과, 상기 절연층 상부면에 각각 배치되는 투명 기재를 더 포함하는 면상 발열 히터.
KR1020120151903A 2012-12-24 2012-12-24 면상 발열 히터 KR101401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903A KR101401396B1 (ko) 2012-12-24 2012-12-24 면상 발열 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903A KR101401396B1 (ko) 2012-12-24 2012-12-24 면상 발열 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396B1 true KR101401396B1 (ko) 2014-05-30

Family

ID=50895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903A KR101401396B1 (ko) 2012-12-24 2012-12-24 면상 발열 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3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55A (ko) * 2014-10-24 2016-05-04 (주)솔라세라믹 직물 처리 장치
KR101761864B1 (ko) * 2015-10-23 2017-08-07 (주)세온 직물 처리 장치
KR101931254B1 (ko) * 2016-05-31 2018-12-21 주식회사 대유플러스 탄소 함유형 면상발열 구조체
CN111447699A (zh) * 2020-04-15 2020-07-24 广东康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石墨烯发热膜及其制备方法
KR20210066249A (ko) 2019-11-28 2021-06-07 대우전자부품(주) Igbt의 방열을 위한 면상 발열히터 igbt의 연결구조
KR20210066242A (ko) 2019-11-28 2021-06-07 대우전자부품(주) 면상 발열히터 pcb용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69A (ko) * 1999-05-24 1999-09-06 윤철진 다기능성면상발열체제조방법
JP2001227760A (ja) * 2000-02-18 2001-08-24 Atlas:Kk 複合発熱体
KR20100042760A (ko) * 2008-10-17 201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1499A (ko) * 2009-02-10 2010-08-19 한국기계연구원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469A (ko) * 1999-05-24 1999-09-06 윤철진 다기능성면상발열체제조방법
JP2001227760A (ja) * 2000-02-18 2001-08-24 Atlas:Kk 複合発熱体
KR20100042760A (ko) * 2008-10-17 2010-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1499A (ko) * 2009-02-10 2010-08-19 한국기계연구원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355A (ko) * 2014-10-24 2016-05-04 (주)솔라세라믹 직물 처리 장치
KR101694752B1 (ko) 2014-10-24 2017-01-23 (주)솔라세라믹 직물 처리 장치
KR101761864B1 (ko) * 2015-10-23 2017-08-07 (주)세온 직물 처리 장치
KR101931254B1 (ko) * 2016-05-31 2018-12-21 주식회사 대유플러스 탄소 함유형 면상발열 구조체
KR20210066249A (ko) 2019-11-28 2021-06-07 대우전자부품(주) Igbt의 방열을 위한 면상 발열히터 igbt의 연결구조
KR20210066242A (ko) 2019-11-28 2021-06-07 대우전자부품(주) 면상 발열히터 pcb용 브라켓
CN111447699A (zh) * 2020-04-15 2020-07-24 广东康烯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石墨烯发热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396B1 (ko) 면상 발열 히터
KR101328353B1 (ko) 탄소나노튜브 발열시트
Jo et al. Highly flexible, stretchable, patternable, transparent copper fiber heater on a complex 3D surface
KR100915708B1 (ko)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517215B (zh) 一种低电压透明电热膜及其制备工艺、高温电热片及其制备工艺
ES2535620T3 (es) Radiador de superficie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CN104883760B (zh) 一种低电压透明电热膜
CN101848564B (zh) 加热器件
CN202799224U (zh) 基于石墨烯的透明电加热薄膜
CN102883486A (zh) 一种基于石墨烯的透明电加热薄膜及其制备方法
CN109413774B (zh) 一种石墨烯电热膜、其制备方法及电热产品
KR100979538B1 (ko) 도전성 박막과 전극을 구비한 발열기판
KR101871965B1 (ko) 발열체
KR101637920B1 (ko) 투명필름히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42760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투명 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37960B1 (ko) 그래핀을 이용한 발열유리 및 그 제조방법
CN106686778A (zh) 一种图案化导电膜提升导电膜阻值的方法、控制电发热膜阻值的方法及可控阻值的电发热膜
KR20150135639A (ko) 패턴된 그래핀과 금속 나노선을 이용한 유연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77164B2 (en) Flexible dust shield
KR20130125496A (ko) 면상 발열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TWI487970B (zh) 熱致顯示元件及熱致顯示裝置
TW201133108A (en) Thermochromatic device and thermochromatic display apparatus
KR101481529B1 (ko) 투명 면상 발열체 및 제조방법
CN206422937U (zh) 一种阻值可控的电发热膜
Kim et al. Copper micromesh-based lightweight transparent conductor with short response time for wearable hea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