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906A - 수납고 - Google Patents

수납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906A
KR20100091906A KR1020100011808A KR20100011808A KR20100091906A KR 20100091906 A KR20100091906 A KR 20100091906A KR 1020100011808 A KR1020100011808 A KR 1020100011808A KR 20100011808 A KR20100011808 A KR 20100011808A KR 20100091906 A KR20100091906 A KR 20100091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torage
stacking
cabine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5827B1 (ko
Inventor
가쯔또시 쯔찌다
류이찌 사이또
지로 혼다
가즈요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크린업 코포레이션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업 코포레이션, 가부시끼가이샤 다이도 filed Critical 크린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91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5Synchronisation of cooperating drawer slides, i.e. with a coordination of the rail movement of different drawer sl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A47B2088/4272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ensuring a correct connection at the moment when the drawer is coupled to the drawer rai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필요 충분한 피수납물을 승강시킴으로써,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 가능한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서랍(13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134)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150)와, 수납고에 수납된 서랍(134)이 수납고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적재 부재(150)를 상승시키고, 또한 서랍(134)이 수납고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적재 부재(150)를 하강시키는 승강 기구(170)와, 적재 부재(150)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적재 부재(150)의 하방의 공간(161)으로부터, 서랍의 내부이며 적재 부재(150)의 외부에 수납된 피수납물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납고{CABINET}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에 구비된,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서랍을 갖는 수납고에 관한 것이다.
키친에는, 조리 기구나 조미료, 식기 등을 수납해 두기 위해, 많은 수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천장판(시스템 키친에 있어서는, 워크톱)의 하부에는, 서랍이나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이다. 최근에는 키친의 사용 형태의 연구가 진행되고, 서랍 등에 수납되는 피수납물을 어느 정도 상정하여, 서랍의 크기나 구획의 형상을 고안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풍로를 갖는 풍로 캐비닛에는 냄비 등을 넣는 큰 서랍이나 도어를 설치하거나, 조리 공간을 갖는 베이스 캐비닛에는 식기나 조리 기구를 넣는 얕은 서랍을 많이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천장판 하부에 수납 공간을 형성하므로, 필연적으로 서랍 등은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웅크리고 앉음으로써 피수납물을 출납하게 된다. 이것은, 장시간 주방에서 서서 일을 하는 경우나, 고령에 의해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게 된 경우 등, 사용자에 따라서는 부담을 느끼는 경우도 상정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낮은 위치의 서랍에 대해, 피수납물의 출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검토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서랍의 승강 기구를 구비한 캐비닛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서랍을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만 승강시킴으로써, 서랍과 캐비닛 본체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1]일본특허출원공개제2007-215678호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구성에 있어서, 서랍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서랍의 전체를 회전시키면서 들어 올려야 한다. 서랍은, 목제나 금속제의 전방판이나, 저판, 측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아무것도 수용하고 있지 않아도 상당한 중량을 갖고 있다. 하물며, 서랍 내에 다양한 피수납물을 수납한다고 하면, 이것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노동력은, 일일이 구부리는 것보다도 막대한 것으로 되어 버릴지도 모른다. 여기서, 에어 실린더나 전동 모터 등에 의해 들어 올리는 힘을 보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기구가 복잡해져, 키친의 생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거나, 기구가 수용 공간을 압박하여 본말 전도가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는, 캐비닛과의 충돌을 우려한 나머지, 서랍을 완전히 인출한 후가 아니면 상승시킬 수 없다. 그러면, 키친에서 작업하고 있는 사용자는 한발 물러나 서랍을 많이 인출해야만 해, 거듭되면 번거롭게 느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인출하는 조작과 상승시키는 조작이 별도의 액션으로 되어 있으면, 필연적으로 수용하는 경우에도 2개의 액션이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그 조작 자체가 번거로워져, 일부러 만든 기능이 이용되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한편, 서랍에 수납된 피수납물 중, 조리 작업 중에 빈번히 사용하는 것(이하, 번용물이라 칭함)은 제한되어 있다. 즉, 반드시 서랍 전부를 높은 위치로 들어 올릴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서랍 전체를 상승시키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번용물만을 승강시킴으로써,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 가능하고, 승강 동작에 지장을 발생하는 일도 없는 수납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자들은, 서랍 내에 번용물을 적재하는 적재 부재를 설치하고, 이 적재 부재만을 승강시키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였다. 그러나 서랍 내에서 적재 부재를 승강시키게 되면, 서랍 내의 피수납물 중, 적재 부재의 외부에 존재하는(서랍 자체에 수용되어 있는), 승강하지 않는 피수납물이, 이 승강 운동에 말려 들어가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피수납물의 파손뿐만 아니라, 서랍 자체가 개방되지 않게 되어 버리거나, 부서져 버릴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피수납물을 말려 들어 가게 할 우려가 없는 승강 기구를 더 검토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것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수납고의 대표적인 구성은,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서랍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수납고에 수납된 서랍이 수납고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고, 또한 서랍이 수납고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적재 부재를 하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적재 부재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적재 부재의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서랍의 내부이며 적재 부재의 외부에 수납된 피수납물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적재 부재의 외부에 존재하는, 서랍 내의 승강하지 않는 피수납물을, 적재 부재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적재 부재의 하방의 공간으로 말려 들어가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번용물을 적재한 적재 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서랍 전체를 승강시키는 일 없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고, 승강 동작에 지장을 발생하는 일도 없다.
상기한 차폐 부재는, 소정의 부분마다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면 좋다. 이에 의해, 피수납물이나 적재 부재에 따라서 차폐 부재를 배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차폐 부재는, 적재 부재의 배후에 고정된 구획판 또는 울타리 형상물이면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 외부에 존재하는, 서랍 내의 승강하지 않는 피수납물을, 적재 부재의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적절하게 차폐할 수 있다.
상기한 차폐 부재는, 적재 부재의 측면측에 고정된 구획판 또는 울타리 형상물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의 하방의 공간으로의 말려 들어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측면측에 고정된 구획판 등과 승강 기구의 프레임의 사이에도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적재 부재는,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의 포켓이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면 좋다. 이에 의해, 번용물을 상자 형상의 포켓에 세운 상태에서 수납할 수 있어 시인성(視認性)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피수납물에 따라서, 적재 부재의 개수나 형상(깊이)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랍 전체를 상승시키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번용물을 승강시킴으로써,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 가능하고, 승강 동작에 지장을 발생하는 일도 없는 수납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베이스 캐비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적재 부재와 지지 부재를 서랍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차폐 부재를 더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적재 부재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차폐 부재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아암, 풀리 및 레일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서랍을 인출할 때의 적재 부재의 승강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치수, 재료, 그 밖에 구체적인 수치 등은,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특별히 예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요소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수납고를 구비하는 키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키친(100)은 1매의 천장판(110)(워크톱)의 하부에 복수의 수납고(캐비닛)를 구비한, 이른바 시스템 키친이다. 천장판(110)은 합성 수지(인공 대리석)나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지고, 키친(100)의 전체의 상면을 덮고 있다.
천장판(110)에는, 내장식으로 장착된 풍로(112), 조리 공간(114), 천장판(110)에 일체 형성된 싱크(116)가 설치된다. 싱크(116)와 풍로(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조리 공간(114)은 평탄한 테이블면이며, 주로 조리를 행하는 데 이용된다.
천장판(110)의 하부는, 풍로(112)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풍로 캐비닛(120)과, 조리 공간(114)에 대응한 베이스 캐비닛(130)과, 싱크(116)가 설치되어 있는 싱크 캐비닛(140)과 같은 각 수납고로 구성된다. 각 수납고는 수납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수납고 내의 빈 공간에는, 풍로(112)에의 배선이나, 싱크(116) 및 수전에의 급배수관 등도 수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천장판(110)의 하부에서는, 천장판(110) 상의 싱크(116)나 풍로(112)와 같은 각 구성에 대응한 수납고가 그 높이 및 깊이를 동등하게 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각 수납고는, 피수납물을 수납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풍로 캐비닛(120)은, 상부에 풍로(112)의 그릴(112a) 및 조작 패널(112b)을 구비하고, 그 옆에는 조미료 등의 소품을 수납하기 위한 작은 서랍인 스파이스 박스(122)가 배치되어 있다. 풍로 캐비닛(120)의 중앙부, 즉 그릴(112a)의 하부에는 폭이 넓은 큰 서랍(124)이 배치되어, 냄비나 볼 등의 비교적 큰 조리 기구를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풍로 캐비닛(120)의 하부의 바닥 근방에는, 서랍식의 발 밑 수납고(126)가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캐비닛(130)에는 복수의 비교적 작은 서랍(132, 134) 및 발 밑 수납고(136)가 비치되어 있다. 싱크 캐비닛(140)에는 발 밑 수납고(146)로부터 천장판(110)에 이르는 높은 전방판을 구비한 서랍(144)이 비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수납고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풍로 캐비닛(120), 베이스 캐비닛(130), 싱크 캐비닛(140) 중, 베이스 캐비닛(13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베이스 캐비닛(13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적재 부재(150)와 지지 부재(180)를 서랍(134)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차폐 부재(160a)를 더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닛(130)에는 상단의 서랍(132), 중간 단의 서랍(134), 하단의 발 밑 수납고(136)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중간 단의 서랍(134)은, 전방판(134a), 측판(134b), 배면판(134c), 저판(134d), 및 전방판(134a)의 후방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부재(134e)로 구성되고, 적재 부재(150), 차폐 부재(160a), 지지 부재(180)를 구비하고 있다. 적재 부재(150)는 지지 부재(180)와 레일(190)로 구성되는 승강 기구(170)(이후에 설명함)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서랍(132, 134, 136) 자체를 출납하기 위한 레일 기구는 일반적인 것으로 좋으므로,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는 적재 부재(15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적재 부재(150)는 천장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이며, 이른바 포켓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적재 부재(15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주걱류, 랩, 긴 젓가락, 조미료와 같은 번용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다. 번용물을 세운 상태로 수납함으로써, 시인성의 향상, 나아가서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적재 부재(150)의 상부 모서리 중 한 변에는, 플랜지 형상의 L자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부(152)를 상부 빔(182a)에 현수함으로써, 적재 부재(150)가 지지 부재(18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적재 부재(150)가 교환 가능해지므로, 형상이나 용적, 장착할 개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적재 부재(150)를 떼어낼 수 있으므로, 청소도 용이해진다.
또한, 적재 부재(150)는 전방판(134a)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에 의해, 승강 기구(170)에 의해, 서랍(134)을 약간 인출하는 것만으로 적재 부재(150)를 승강시킬 수 있어, 번용물을 출납할 수 있다.
차폐 부재(160a)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획판이지만, 피수납물을 통과시키지 않을 정도로 눈이 촘촘한 울타리 형상물로 해도 좋고, 서랍(134)에 소정의 부분마다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차폐 부재(160a)의 구체적인 고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방판(134a), 측판(134b), 저판(134d) 등의 대응하는 배치 부위에 슬릿을 형성하고, 끼워 맞춤시켜 고정해도 좋다. 또한, 차폐 부재(160a)와 그 배치 부위에 수형부와 암형부를 형성하고, 끼워 맞춤시켜 고정해도 좋다.
차폐 부재(160a)를 설치함으로써, 적재 부재(150)의 외부에 존재하는, 서랍(134) 내의 승강하지 않는 피수납물이, 적재 부재(150)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적재 부재(150)의 하방의 공간(161)(도 4)에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승강 운동에 의해, 피수납물이 파손되어 버리거나, 수납고가 개방되지 않게 되거나, 부서져 버릴 우려를 배제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차폐 부재의 배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적재 부재(150)의 배후에 배치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차폐 부재(160a)이다. 이하, 적재 부재(150)의 측면측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160b)와, 빔(182)의 전방에 배치되는 차폐 부재(160c)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의 (a)에서는, 적재 부재(150)의 배후에, 저판(134d)을 횡단하는 대략 평판상의 차폐 부재(160a)가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차폐 부재(160a)의 배후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62)(도 6에 있어서 빗금으로 나타냄)에 적절하게 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도 6의 (a)의 구성에 부가하여, 2개의 차폐 부재(160b)가 빔(182)에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방판(134a)과, 차폐 부재(160b)와, 빔(182)으로 둘러싸인 전방부 수납 공간(164)(도 6에 있어서 빗금으로 나타냄)에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보틀 등의 중량이 있는 것은, 적재 부재(150)에 의해 승강시키는 데 적합하다고는 하기 어렵고, 이 전방부 수납 공간(164)에 수납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부엌칼 등의 날붙이도, 적재 부재(150)에 의해 승강하는 데 적합하다고는 하기 어려우므로, 전방판(134a)의 내측에 부엌칼 꽂이(도시하지 않음)를 비치하면 바람직하다.
도 6의 (c)에서는, 도 6의 (b)의 구성에 부가하여, 차폐 부재(160c)가 더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피수납물과 빔(182)의 접촉을 방지하여, 보다 적합하게 전방부 수납 공간(164)에 피수납물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당연히 차폐 부재(160b, 160c)는 일체(ㄷ자 형상)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6의 (d)에서는,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와 적재 부재(150)의 배치 부위 및 개수가 상이하고, 그것에 따라서 수납 공간을 적절하게 확보하도록 차폐 부재(160)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저판(134d)을 횡단하는 대략 평판상의 차폐 부재(160a)와, 적재 부재(150)의 측면의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차폐 부재(160b)와, 일단부에서 차폐 부재(160b)에 접촉하고 타단부에서 측판(134b)에 접촉하는 차폐 부재(160c)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납 공간(162) 및 전방부 수납 공간(164)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재 부재(150)와 차폐 부재[160(160a, 160b, 160c)]는, 착탈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피수납물[특히, 적재 부재(150)에 관해서는 번용물]에 따라서, 수납고 내의 구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 사용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160)는 단순히 레이아웃을 행하기 위한 칸막이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부재(180)는 미끄럼 이동 부재(184)와, 빔(182)[상부 빔(182a), 하부 빔(182b)]과, 미끄럼 이동 부재(184)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결된 아암(186)과, 아암(186)의 깊이측에 설치된 복수의 풀리{188[상부 풀리(188a), 하부 풀리(188b)]}로 구성된다.
미끄럼 이동 부재(184)는 서랍(134)의 양측에 배치되고, 이들을 2개의 빔(182)으로 접속함으로써, 적재 부재(150)를 수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다. 하부 빔(182b)은 프레임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적재 부재(150)의 후방면을 지지하여,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미끄럼 이동 부재(184)는 서랍(134)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 부재(134e)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80) 및 적재 부재(150)가, 기둥 부재(134e)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적재 부재(150)를 용이하게 승강시키기 위한 어시스트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어시스트 기구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기둥 부재(134e)와 미끄럼 이동 부재(164)를 탄성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로 결합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도 7은 아암(186), 풀리(188) 및 레일(19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186)은 미끄럼 이동 부재(184)로부터 깊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아암(186)은 수지부(186a)와 금속부(186b)로 이루어지고, 수지부(186a)의 깊이측 선단부에 하부 풀리(188b)와 금속부(186b)를 고정하고 있다. 금속부(186b)의 깊이측 선단부는 상방으로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부 풀리(188a)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수지부(186a)와 금속부(186b)를 일체의 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해도 좋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레일(190)은, 베이스 캐비닛(130) 내의 벽판에 배치되어 있고, 풀리(188a, 188b)를 안내한다. 레일(190)은 그 중앙부에 전방측을 향해 상승하는 경사부(190b)를 갖고 있다. 경사부(190b)보다 전방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188a, 188b)를 안내하는 전방측 수평부(190c)를 갖고 있다. 경사부(190b)보다 깊이측에는, 대략 수평으로 풀리를 안내하는 깊이측 수평부(190a)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깊이측 수평부(190a), 경사부(190b), 전방측 수평부(190c)는 대략 직선이며, 그 교점은 라운드(R)가 형성되어 있다. 라운드의 곡률 반경은, 풀리(188a, 188b)의 반경보다도 큰(구부러짐이 완만한) 것이 바람직하다. 단, 또한 경사부(190b)를 S자를 그리는 것과 같은 매끄러운 곡선으로 하거나, 깊이측 수평부(190a)나 전방측 수평부(190c)도 경사, 굴곡 내지는 만곡시키는 것을 제외한 것은 아니다.
복수의 풀리(188a, 188b)는, 아암(186)이 대략 수평의 자세가 되도록 레일(190)을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 풀리(188a)는 레일(190)의 상측 또한 깊이측 부근에 배치되고, 하부 풀리(188b)는 레일(190)의 하측 또한 전방측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풀리(188a)와 하부 풀리(188b)의 수평 방향의 간격(D1)은, 레일(190)의 경사부의 수평 방향의 폭(W1)과 거의 동등하다. 또한, 상부 풀리(188a)와 하부 풀리(188b)의 높이 방향의 간격(D2)은, 레일(190)의 깊이측 수평부(190a) 또는 전방측 수평부(190c)의 높이 방향의 폭(W2)과 거의 동등하다.
이와 같이 풀리(188a, 188b)와 레일(190)의 배치와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2개의 풀리(188)를 동시에 상하로 안내할 수 있는 동시에, 아암(186)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아암(186)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풀리(188a, 188b)의 수평 방향의 간격(D1)을 넓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따라서 레일(190)의 경사부(190b)의 수평 방향의 폭(W1)도 넓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7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부(190b)는 내부를 제거한 평행 레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일(190)의 중량 및 재료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8은 서랍(134)을 인출할 때의 적재 부재(150)의 승강 기구(17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베이스 캐비닛(130)을 예로 들어, 서랍(134)을 출납한 경우의 적재 부재(150)의 승강 기구(17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판(134b)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8의 (a)는 서랍(134)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풀리(188a, 188b)는 레일(190)의 깊이측 수평부(190a)에 있다.
도 8의 (b)는 서랍(134)이 약간 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풀리(188a)가 레일(190)의 깊이측 수평부(190a)와 경사부(190b)의 교점인 상승 기점에 있고, 하부 풀리(188b)도 깊이측 수평부(194a)와 경사부(190b)의 교점인 하측 코너부에 있다. 이에 의해, 서랍(134)을 더 인출함으로써, 지지 부재(180)는 상승을 개시한다.
도 8의 (c)는 서랍(134)을 더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부 풀리(188a) 및 하부 풀리(188b)는 경사부(190b)에 있으므로, 서랍(134)을 인출하는 데 수반하여 아암(186)이 상승하고, 지지 부재(180) 및 적재 부재(150)도 상승한다. 즉, 서랍(134)을 인출하는 힘이, 적재 부재(150)를 상승시키는 힘으로 변환된다. 적재 부재(150)가 상승함으로써 하방의 공간(161)을 발생하지만, 차폐 부재(160a)가 피수납물을 차폐하고 있으므로, 이 공간으로의 침입은 방지된다.
도 8의 (d)는 서랍(134)을 대략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풀리(188a, 188b)는 레일(190)의 전방측 수평부(190c)에 있다. 이에 의해, 서랍(134)을 인출한 상태에 있어서 적재 부재(150)의 중량을 전방측 수평부(190c)가 지지하게 되어, 서랍(134)이 복귀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측 수평부(190c)의 전방측 선단부는, 하면에 매끄러운 경사면을 갖고 있다. 이것은 하부 풀리(188b)가 레일(190)로부터 돌출한 후에 복귀될 때에, 레일(190)의 하측으로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서랍(134)을 베이스 캐비닛(130)에 수용하는 경우는, 상기한 반대의 동작이 된다. 서랍(134)을 인출한 상태로부터 밀어 넣으면,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풀리(188a, 188b)가 경사부(190b)에 다다른다. 그러면, 풀리(188a, 188b)가 경사부(190b)로 안내되어 하강하므로, 아암(186)이 수평의 자세를 유지한 채로 끌어 내려진다. 이에 의해, 단순히 서랍(134)을 밀어 넣는 조작에 의해, 지지 부재(180), 나아가서는 적재 부재(150)가 하강한다. 또한, 차폐 부재(160a)가 하방의 공간(161)으로부터 피수납물을 차폐하고 있었으므로, 적재 부재(150)가 하강하여 피수납물과 접촉할 우려는 없다.
서랍(134)을 더 밀어 넣어,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풀리(188a, 188b)가 상승 기점까지 도달하면, 이 시점에서 적재 부재(150)는 가장 하강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서랍(134)을 완전히 수용시키기 전에 적재 부재(150)는 가동 범위의 하단부에 도달하여, 적재 부재(150)에 적재한 피수납물이 상단의 서랍(132)이나 벽면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레일(190)과 풀리(188a, 188b)를 이용한 간이한 기구로, 서랍(134)의 내부에 배치된 적재 부재(15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적재 부재(150)에 수납한 피수납물을 상승시켜 취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때, 서랍(134)을 출납하는 조작에 수반하여 적재 부재(150)가 승강하므로, 조작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다. 또한, 피수납물을 구부리지 않고 취출하기 위해 필요 충분한 높이로 상승시킴으로써, 낮은 위치에 있는 서랍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수납물을 말려 들어가게 하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번용물을 적재한 적재 부재(150)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서랍 전체를 승강시키는 일 없이, 간결하고 또한 용이하게 일상 생활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차폐 부재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피수납물이나 적재 부재(150)에 따라서 차폐 부재(160)를 배치할 수 있어,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적재 부재(150)를 포켓 형상으로 함으로써, 주걱류, 랩, 조미료 등 다양한 것을 세운 상태로 수납할 수 있어, 시인성의 향상, 나아가서는 사용 편의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본 발명은, 시스템 키친에 구비된,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서랍을 갖는 수납고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시스템 키친
110 : 천장판
112 : 풍로
112a : 그릴
112b : 조작 패널
114 : 조리 공간
116 : 싱크
120 : 풍로 캐비닛
122 : 스파이스 박스
124 : 서랍
126 : 발 밑 수납고
130 : 베이스 캐비닛
132, 134 : 서랍
134a : 전방판
134b : 측판
134c : 배면판
134d : 저판
134, 136 : 발 밑 수납고
140 : 싱크 캐비닛
144 : 서랍
146 : 발 밑 수납고
150 : 적재 부재
152 : L자부
160 : 차폐 부재
161 : 하방의 공간
162 : 수납 공간
164 : 전방부 수납 공간
170 : 승강 기구
180 : 지지 부재
182 : 빔
182a : 상부 빔
182b : 하부 빔
184 : 미끄럼 이동 부재
186 : 아암
186a : 수지부
186b : 금속부
188 : 풀리
188a : 상부 풀리
188b : 하부 풀리
190 : 레일
190a : 깊이측 수평부
190b : 경사부
190c : 전방측 수평부

Claims (4)

  1. 피수납물을 수납하는 서랍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수납고이며,
    상기 서랍 내에 배치되고, 피수납물을 적재 가능한 적재 부재와,
    당해 수납고에 수용된 상기 서랍이 당해 수납고로부터 인출됨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를 상승시키고, 또한 상기 서랍이 당해 수납고로 밀어 넣어짐으로써 상기 적재 부재를 하강시키는 승강 기구와,
    상기 적재 부재가 상승하여 발생하는 상기 적재 부재의 하방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서랍의 내부이며 상기 적재 부재의 외부에 수납된 상기 피수납물을 차폐하는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소정의 부분마다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적재 부재의 배후에 고정된 구획판 또는 울타리 형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적재 부재의 측면측에 고정된 구획판 또는 울타리 형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고.
KR1020100011808A 2009-02-10 2010-02-09 수납고 KR101735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29046A JP5600244B2 (ja) 2009-02-10 2009-02-10 収納庫
JPJP-P-2009-029046 2009-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906A true KR20100091906A (ko) 2010-08-19
KR101735827B1 KR101735827B1 (ko) 2017-05-15

Family

ID=4259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808A KR101735827B1 (ko) 2009-02-10 2010-02-09 수납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00244B2 (ko)
KR (1) KR101735827B1 (ko)
CN (1) CN101797101A (ko)
TW (1) TW2010327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3241A1 (ja) 2010-08-19 2012-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KR101939483B1 (ko) * 2017-08-03 2019-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N108814042A (zh) * 2018-08-13 2018-11-16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防下沉的滑轨结构
CN108887935A (zh) * 2018-09-12 2018-11-27 佛山市艾臣家居科技有限公司 多功能组合式厨房地柜
CN110015491B (zh) * 2019-05-17 2021-06-04 山东中衡环境检测有限公司 一种土壤农药残留检测用样本存储装置
US11585595B2 (en) * 2020-07-14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3310278A (zh) * 2021-06-18 2021-08-2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738B2 (ja) * 1992-05-19 2000-12-0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傾斜機能材料の製造方法
JPH06245829A (ja) * 1993-02-23 1994-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庫の引出し昇降装置
DE19924590A1 (de) * 1999-05-28 2000-11-30 Loh Kg Hailo Werk Abfallsammler
CN2453742Y (zh) * 2000-12-27 2001-10-17 钟吉源 多媒体教学讲台桌
JP3840483B2 (ja) * 2004-05-25 2006-11-01 ヤマハリビングテック株式会社 引き出し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DE202005006952U1 (de) * 2005-04-28 2006-08-31 Paul Hettich Gmbh & Co. Kg Schubkasten für ein Möbel
JP2007089790A (ja) * 2005-09-28 2007-04-12 Kunisada Seisakusho:Kk 物品保管庫
JP2007330564A (ja) * 2006-06-16 2007-1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83984A (ja) 2010-08-26
JP5600244B2 (ja) 2014-10-01
CN101797101A (zh) 2010-08-11
KR101735827B1 (ko) 2017-05-15
TW201032754A (en)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8487B2 (ja) 収納庫
KR20100091906A (ko) 수납고
KR101699076B1 (ko) 수납고
KR101668115B1 (ko) 수납고
JP5264594B2 (ja) 収納庫
JP5448486B2 (ja) 収納庫
JP5448505B2 (ja) 収納庫
JP5253296B2 (ja) 収納庫
JP5448526B2 (ja) 収納庫
JP5448488B2 (ja) 収納庫
JP5448506B2 (ja) 収納庫
JP5448483B2 (ja) 収納庫
JP5448484B2 (ja) 収納庫
JP5199145B2 (ja) 収納庫
JP5448485B2 (ja) 収納庫
JP4199052B2 (ja) 流し台
JP5259486B2 (ja) 昇降式吊戸棚
JP2004290597A (ja) 食器洗い機
JP2007111508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