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905A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905A
KR20100084905A KR20090004288A KR20090004288A KR20100084905A KR 20100084905 A KR20100084905 A KR 20100084905A KR 20090004288 A KR20090004288 A KR 20090004288A KR 20090004288 A KR20090004288 A KR 20090004288A KR 20100084905 A KR20100084905 A KR 20100084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ouch
input
divid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1932B1 (ko
Inventor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4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932B1/ko
Priority to US12/467,821 priority patent/US9128544B2/en
Publication of KR20100084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멀티태스킹 수행중인 메뉴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터치가 특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현재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의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멀티태스킹 수행중인 메뉴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단말기에 부가된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동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악을 들으면서 문서를 읽거나 문자 메 시지를 전송하고 싶어한다. 이에 멀티태스킹 기능이 적용된 단말기가 많아지고 있으며, 상기 멀티태스킹 기능을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멀티태스킹 수행 중 키의 입력이나 메뉴 조작을 최소화하여,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하나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상기 분할된 다른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하나의 화면에서 선택된 특정 정보의 상세한 정보를 상기 분할된 다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각 화면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시킬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그 화면들 전체 또는 하나씩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그 화면들이 슬라이딩 될 때, 그 슬라이딩되는 화면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다중으로 분할하고, 롱 터치가 입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분할된 다중 화면들을 특정 시간 간격마다 순차로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터치가 특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현재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의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단말기는 터치 입력을 검출하고 상기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현재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메뉴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터치입력 방식에 따라 다중 화면들 중 하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그 중 한 화면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멀티태스킹 되고 있는 메뉴들의 화면을 슬라이딩 시키고, 그 중 한 화면을 터치입력 방식으로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 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 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2b는 도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 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 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5,156)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5)는 TOLED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6)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5 및 156)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5)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5)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6)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5)는 LCD(156)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6))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5)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6)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5)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6)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5)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5)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5)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6)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6)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5)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5)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6)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 동작 (롱터치 및 드래그)은 TOLED(155)에 대한 롱 근접터치(적어도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는 근접터치)와 함께 슬라이드(상기 드래그에 대응되는 근접터치의 동작)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기능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또는 메뉴)이 멀티태스킹(=다중 작업)되고 있다고 가정한다(S101). 또한, 상기 멀티태스킹 중인 기능(또는 메뉴)들 중 어느 한 기능의 실행화면이 현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S102).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멀티태스킹 중인 기능들의 정보(예 :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기능들의 갯수)를 임의의 영역(예 : 인디케이터 표시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어도 둘 이상의 기능이 멀티태스킹 되고 있을 때, 사 용자는 현재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행되고 있는 기능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능 선택을 위한 키 입력 횟수나 터치 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기능들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특정 키, 또는 상기 기능 리스트를 스크롤시키기 위한 특정 키, 또는 상기 특정 키를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기능들 중 하나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그 선택된 기능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간편하게 변경하여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실행화면의 특정 지점이 사용자로부터 롱 터치되는지 검출한다(S103).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태스킹 되고 있는 기능들의 실행화면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 시킨다(S104). 그리고, 상기 롱 터치가 해제되는지 검출한다(S105).
상기 롱 터치가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그 때 슬라이딩 중이던 특정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여, 그 선택된 특정 기능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06).
이때, 사용자는 상기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기능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롱 터치 이외에 추가적인 조작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기능들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들 중 하나의 실행화면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조작으로서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지점을 플리킹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일 측에 특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특정 면을 아랫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상기 롱 터치는 사용자 입력부에서 검출할 수 있고 상기 충격이나 기울임은 센싱부에서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조작은 롱 터치의 입력와 동시에 입력되거나, 롱 터치의 입력 후 연속해서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뉴들은 연속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하나의 기능 실행화면 단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방식에 따라 그 기능 실행화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로 입력되는 조작은, 기설정된 환경설정 옵션(미도시)에 따라, 롱 터치 상태에서 입력될 수도 있고, 롱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환경설정 옵션을 통해서 롱 터치로 인식되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롱 터치로 인식되는 시간은 추가로 입력되는 조작(예 : 플리킹 조작)에 따라 더 짧게 변경될 수 있다.
도7a 내지 도7f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들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둘 이상의 메뉴들(예 : 메뉴1, 메뉴2, 메뉴3)이 멀티태스킹 중이고, 그 메뉴들 중 어느 한 메뉴(예 : 메뉴1)의 실행화면(311)이 전체화면(310)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전체화면(310)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메뉴들(예 : 메뉴2, 메뉴3)의 실행화면은 가상화면(프레임을 점선으로 그린 화면)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밀접한 관련이 없는 실행화면의 이미지는 생략되거나 간략하게 도시될 수 있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화면(310)에는 멀티태스킹중인 메뉴들 중 특정 메뉴(예 : 메뉴1)의 실행화면(31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실행화면(311)의 특정 지점을 기설정된 특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화면의 특정 지점이 롱 터치되면, 그 롱 터치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 제어부(180)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을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 연속해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의 실행화면(311, 312, 313)은 계속해서 순환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에 따라 실행화면이 분할될 경우 동일한 도면 부호의 끝에 ´a,b´ 를 추가하여 구분한다.
또한, 상기 메뉴들은 단순한 리스트가 아니라 실행화면 형태로 연속해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행화면의 사이즈는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실행화면의 사이즈가 축소된 형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되는 실행화면들을 구분하기 위한 정보(예 : 구분선, 빈공간, 각 실행화면의 프레임)(320)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되는 실행화면이 전체화면이 되었을 경우, 특정 시간 동안 슬라이딩을 멈췄다가 그 시간이 지난 후 슬라이딩을 계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뉴들이 슬라이딩되는 시간 간격은 디폴트로 설정되며 사용자가 환경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한 상 태에서 특정 방향으로 플리킹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화면의 특정 지점이 플리킹되면, 제어부(180)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을 상기 플리킹된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되는 메뉴들은 플리킹이 입력될 때마다 기설정된 임의의 순서에 따라 하나씩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즉, 현재 메뉴1의 실행화면(311)에 전체화면(310)에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한 상태에서 플리킹하면, 제어부(180)는 다음 메뉴2의 실행화면(312)을 전체화면(310)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이 플리킹을 수행할 때마다 메뉴의 실행화면이 다른 메뉴의 실행화면으로 계속해서 변경된다.
이때, 상기 메뉴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 형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될 때 실행화면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상기 플리킹은 손가락을 튕기듯이 밀어 올리는 입력방식으로서, 제어부(180)는 터치 상태에서 손가락이 튕기듯이 밀어 올려진 후 그 터치가 해제(release)되는 시간, 드래그 속도, 드래그 방향, 드래그 길이, 터치 압력 중, 어느 한 가지 정보, 또는 두 가지 이상의 정보를 조합하여 플리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플리킹에 따라 메뉴 실행화면이 변경될 경우 추가적인 플리킹이 더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그 변경된 메뉴 실행화면을 전체화면 상태로 그대로 유지한다. 즉, 메뉴 리스트의 출력이나 그 리스트에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화면(310)에는 멀티태스킹중인 메뉴들 중 특정 메뉴(예 : 메뉴1)의 실행화면(311)이 디스플레이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실행화면(311)의 임의의 지점을 기설정된 특정 시간 이상 롱 터치한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임의의 지점을 롱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 할 수 있다.
상기 분할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갯수, 크기, 위치, 및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출력되는 정보들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정보들은 사용자에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1이 웹 페이지 실행화면라고 가정할 때, 사용자가 상기 웹 페이지의 임의의 지점을 롱 터치하면,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정보에 따라, 제어부(180)는 상기 웹 페이지 실행화면을 기설정된 갯수로 분할한다. 그리고, 그 분할된 화면에 기설정된 정보(예 : 웹 페이지, 이미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 분할된 화면에서 선택된 특정 정보의 상세한 정보, 정보를 표시하지 않은 빈 화면 등)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이미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해화면을 상기 분할된 영역에 각기 디스플레이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분할된 화면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 그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도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고, 일부분의 정보만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뉴들은 실행화면 형태(311, 312, 313)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410). 또는, 상기 메뉴들은 아이콘 형태(314, 315)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420). 따라서,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 실행화면의 갯수가 많을수록 각 메뉴들의 실행화면의 사이즈는 축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메뉴들의 실행화면 사이즈와 그 메뉴들의 실행화면(또는 아 이콘)이 디스플레이 위치는 각기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심부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의 실행화면을 다른 메뉴들의 실행화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의 실행화면 사이즈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또는 아이콘)을 화면의 일 측에 오버레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실행화면(또는 아이콘)의 투명도를 조절하여 현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메뉴의 실행화면이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의 일 측에 특정 강도 이상의 충격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의 일 측에 특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순간적으로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을 특정 방향(예 : 그 충격이 발생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상기 순간적인 충격은 시간적으로 짧고 강하게 입력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흔들림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우측 방향에서 충격을 줄 경우에 상기 메뉴들을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는, 단말기의 상측 방향에서 충격을 줄 경우에 상기 메뉴들을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은 디폴트로서 충격이 입력될 때마다 하나씩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특정 시간 간격으로 연속해서 슬라이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화면 형태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충격이 입력됨에 따라 메뉴 실행화면이 하나씩 변경될 경우, 추가적인 충격이 더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 그 변경된 메뉴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메뉴 리스트의 출력과 그 리스트에서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변경하는 동작을 별도로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상기에서 각 메뉴들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었을 경우에는 그 아이콘들이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도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를 일 측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가 일 측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을 특정 방향(예 : 기울어진 아랫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측면이 아랫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에 상기 메뉴들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또는, 우 측면이 아랫 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에 상기 메뉴들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울어짐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더라도 단말기 사용중에 자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한 기울어짐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화면의 특정 지점이 롱 터치된 상태에서 기울어짐이 검출 될 경우에 메뉴들을 슬라이딩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7a 내지 도7e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이 특정 방향(예 :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딩되는 방향이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슬라이딩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 예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각 메뉴들의 실행화면이 상/하위 레이어로 계층화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할 경우, 일정시간 간격으로 다른 계층에 있는 메뉴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롱 터치되고 있는 동안 제어부(180)는 현재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을 순차로 변경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실행화면을 최상위 계층(예 : Layer 1)에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현재 실행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하고 있을 경우, 제어부(180)는 특정 시간 후에 현재 실행화면을 최하위 계층(예 : Layer N)으로 이동시키고, 차상위 계층(예 : Layer 2)에 있던 메뉴의 실행 화면을 최상위 계층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들의 실행화면이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특정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효과에는 페이드인/아웃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된 메뉴의 실행화면이 특정시간 유지된 후 페이드아웃되고, 다음에 디스플레이될 메뉴의 실행화면이 페이드인되면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도8a 와 도8b는 상기 슬라이딩 되는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들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함에 따라,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이 특정 방향으로 연속해서 슬라이딩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의 실행화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메뉴(예 : 메뉴2)의 실행화면이 터치 지점 밑을 통과할 때 사용자가 상기 터치를 해제할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 지점을 통과하던 메뉴(예 : 메뉴2)의 실행화면을 전체 화면(310)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특정 메뉴가 터치 지점을 통과하지 않더라도, 상기 특정 메뉴가 특정 비율(예 : 50%) 이상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를 해제할 경우, 제어부(180)는 그 메뉴의 실행화면을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단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서 현재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메뉴를 선택하여, 그 메뉴의 실행화면을 곧바로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되고, 그 분할된 화면에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이 각기 디스플레이된다고 가정한다.
이에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분할된 화면(311)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분할된 화면(312)으로 이동한 후 그 터치를 해제할 경우, 각 분할된 화면에 표시되어 있던 정보가 서로 전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분할된 화면(311)에 표시되었던 정보가 다른 분할된 화면(312)에 표시되고, 그 분할된 화면(312)에 표시되었던 정보가 다른 분할된 화면(311)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분할된 화면(311)에 디스플레이된 임의의 정보를 선택 한 후, 다른 분할된 화면(312)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선택된 정보의 상세한 정보가 상기 드래그된 화면(312)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할된 화면(311)에 웹 페이지가 표시되어 있고, 그 웹 페이지에서 임의의 정보(예 : 날씨 항목)를 선택하여 다른 분할된 화면(312)으로 드래그할 경우, 날씨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분할된 화면(31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분할된 화면들 중 어느 하나를 롱 터치할 경우, 그 분할된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예 : 전화관련 메뉴, 메시지관련 메뉴, 인터넷관련 메뉴, 동영상관련 메뉴, 음악관련 메뉴, 티브이관련 메뉴)중 어느 한가지 메뉴의 실행화면을 분할하여 그 분할된 화면에 특정 정보의 상세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각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을 상호 전환하여 표시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분할된 화면을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때, 상기 메뉴들은 동일한 종류의 메뉴가 두 개 이상 실행될 경우에도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를 통해 두 개 이상의 웹 페이지에 접속해 있을 경우, 상술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지점을 롱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웹 페이지들을 슬라이딩한다.
또는,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화면에 상 세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각 분할된 화면에 표시된 정보들을 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할된 화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리스팅하거나, 상기 선택된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7a 내지 도7f 에서 상술한 방법들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명 이상의 상대방과 다중 통화(또는 다중 화상 통화)를 하고 있을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화할 상대방과 통화 대기중인 상대방을 간편하게 전환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통화중인 다수의 상대방들 중 어느 하나와 통화중이며 다른 상대방들은 통화대기 중이고, 사용자가 상기 통화 상대방의 화면이 전체화면(또는 상대적으로 큰 화면)으로 표시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통화 대기중인 상대방들의 화면을 슬라이딩 시키고, 그 슬라이딩되고 있는 상대방들의 화면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화면(또는 상대적으로 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통화중인 상대방과 통화대기중인 상대방을 쉽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면을 분할하여 그 분할된 화면에 새로 통화에 참여시킬 상대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화면의 상대방을 다른 분할된 화면에 드래그하여 통화중인 상대방과 통화대기중인 상대방을 서로 전환할 수 있고, 상기 분할된 화면에 현재 통화중인 상대방의 상세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도7a 내지 도7f 에서 상술한 방법들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 한번의 터치 입력으로서, 현재 멀티태스킹되고 있 는 메뉴들을 사용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리스트 업되고, 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하나의 메뉴를 간편하게 선택함으로써 그 메뉴의 실행화면을 곧바로 전체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태스킹되고 있는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인 예시도들.
도 8a 와 도 8b는 상기 슬라이딩 되는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의 일 예들을 보인 예시도.

Claims (15)

  1.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터치가 특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현재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의 실행화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들을 실행화면이나 아이콘 형태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플리킹 방식으로 입력될 경우 그 플리킹된 방향으로 메뉴들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에 표시된 특정 실행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입력되는 터치의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실행화면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분할된 후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분할된 화면에 각기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서로 전환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이 분할된 후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분할된 일측 화면에서 선택된 정보의 상세한 정보를 상기 분할된 다른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화면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기설정된 방식으로 터치가 입력될 경우, 그 분할된 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메뉴들의 슬라이딩을 위해 충격이나 기울임 또는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슬라이딩되고 있던 메뉴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메뉴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현재 실행되어 있는 메뉴들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메뉴의 실행화면을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은,
    기설정된 특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롱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뉴들을 실행화면이나 아이콘 형태로서 기설정된 방향이나 속도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되는 메뉴들의 실행화면은,
    각기 프레임을 구비하거나, 각 실행화면 사이에 빈 공간을 구비하거나, 또는 각 실행화면 사이에 구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실행화면을 기설정된 방식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상기 화면이 분할된 후 터치가 입력되는 방식에 따라,
    상기 분할된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서로 전환시켜 표시하거나,
    상기 분할된 일측 화면에서 선택된 정보의 상세한 정보를 상기 분할된 다른 화면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분할된 화면들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전체화면으로 확대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090004288A 2009-01-19 2009-01-1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88A KR101521932B1 (ko) 2009-01-19 2009-01-1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467,821 US9128544B2 (en) 2009-01-19 2009-05-1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slidably displaying multiple menu scre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288A KR101521932B1 (ko) 2009-01-19 2009-01-1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185A Division KR101564267B1 (ko) 2014-12-30 2014-12-30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905A true KR20100084905A (ko) 2010-07-28
KR101521932B1 KR101521932B1 (ko) 2015-05-20

Family

ID=42336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288A KR101521932B1 (ko) 2009-01-19 2009-01-1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28544B2 (ko)
KR (1) KR10152193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537A (ko) * 2011-02-09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20140038067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4226A (ko) * 2013-01-21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46548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분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
KR20160056664A (ko) * 2014-11-12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725B1 (ko) 2016-12-20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 시스템
US10108451B2 (en) 2011-12-28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ing a displayed task stack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3365B2 (en) 2010-10-01 2015-12-15 Z124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stacked screen displays using gestures
US20120084709A1 (en) 2010-10-01 2012-04-05 Imerj LLC Filling stack opening in display
US8564544B2 (en) 2006-09-06 2013-10-22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US20080168478A1 (en) 2007-01-07 2008-07-10 Andrew Platzer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US20080168402A1 (en) 2007-01-07 2008-07-10 Christopher Blumenber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Gesture Operations
US7844915B2 (en) 2007-01-07 2010-11-30 Apple In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scrolling operations
US8717305B2 (en) 2008-03-04 2014-05-06 Apple Inc. Touch event model for web pages
US8645827B2 (en) 2008-03-04 2014-02-04 Apple Inc. Touch event model
US8416196B2 (en) 2008-03-04 2013-04-09 Apple Inc. Touch event model programming interface
US8174502B2 (en) 2008-03-04 2012-05-08 Apple Inc. Touch event processing for web pages
US8285499B2 (en) 2009-03-16 2012-10-09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566044B2 (en) *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8566045B2 (en) 2009-03-16 2013-10-2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9684521B2 (en) 2010-01-26 2017-06-20 Apple Inc. Systems having discrete and continuous gesture recognizers
US9311112B2 (en) 2009-03-16 2016-04-12 Apple Inc. Event recognition
JP5230684B2 (ja) * 2010-05-13 2013-07-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610681B2 (en) * 2010-06-03 2013-12-17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552999B2 (en) 2010-06-14 2013-10-08 Apple Inc. Control selection approximation
KR101727037B1 (ko) * 2010-07-28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멀티 태스킹 제어 방법
US20120084737A1 (en) * 2010-10-01 2012-04-05 Flextronics Id, Llc Gesture controls for multi-screen hierarchical applications
JP5199325B2 (ja) * 2010-10-14 2013-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043732B2 (en) * 2010-10-21 2015-05-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KR101750898B1 (ko) * 2010-12-06 2017-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258366B1 (en) * 2010-12-20 2021-12-08 Apple Inc. Event recognition
AU2015203638B2 (en) * 2010-12-20 2016-11-17 Apple Inc. Event recognition
US20120166944A1 (en) * 2010-12-23 2012-06-28 Stephen Hayden Cotterill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Two User Interfaces
WO2012088474A2 (en) * 2010-12-23 2012-06-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two user interfaces
KR20130052745A (ko) * 2010-12-23 2013-05-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처를 이용한 메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JP5718042B2 (ja) * 2010-12-24 2015-05-1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タッチ入力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入力制御方法
KR20120075839A (ko) * 2010-12-29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마우스 우 클릭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66718B2 (en) * 2011-02-28 2017-09-1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9423878B2 (en) *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77311B2 (en) 2011-01-06 2016-10-2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EP2492789A1 (en) * 2011-02-28 2012-08-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9015641B2 (en) * 2011-01-06 2015-04-2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sual notification of a received communication
KR101579662B1 (ko) * 2011-01-06 2015-12-22 블랙베리 리미티드 제스처에 응답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465440B2 (en) 2011-01-06 2016-10-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71145B2 (en) 2011-01-06 2016-10-1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213421B2 (en) 2011-02-28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detecting a gesture
US20120226979A1 (en) * 2011-03-04 2012-09-06 Leica Camera Ag Navig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ing Multi-Dimensional Menus and Modes
JP5434941B2 (ja) * 2011-03-22 2014-03-05 横河電機株式会社 操作監視装置及び操作監視方法
US9298363B2 (en) 2011-04-11 2016-03-29 Apple Inc. Region activation for touch sensitive surface
US20130027289A1 (en) * 2011-07-27 2013-01-31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US9351237B2 (en) 2011-09-27 2016-05-24 Z124 Displaying of charging status on dual screen device
US9360940B2 (en) * 2011-11-14 2016-06-07 Google Inc. Multi-pane interface
KR101943987B1 (ko) * 2011-12-06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의 페이지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5745091B2 (ja) * 2011-12-07 2015-07-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電子文書の表示を行う方法、並びにその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899972B1 (ko) * 2011-12-21 201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7967115A (zh) * 2011-12-31 2018-04-27 诺基亚技术有限公司 使元素被显示
US9058168B2 (en) 2012-01-23 2015-06-1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S9619038B2 (en) 2012-01-2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CN103246315B (zh) * 2012-02-07 2018-03-27 联想(北京)有限公司 具有多种显示形态的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US9778706B2 (en) 2012-02-24 2017-10-03 Blackberry Limited Peekable user interfac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13202944B2 (en) *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20140055633A1 (en) 2012-08-27 2014-02-27 Richard E. MARLIN Device and method for photo and video capture
JP5844707B2 (ja) * 2012-09-28 2016-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KR20140043644A (ko) * 2012-10-02 2014-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32449B1 (ko) 2013-01-07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표시 방법 및 휴대 단말
KR102133410B1 (ko) 2013-01-31 2020-07-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9311041B2 (en) * 2013-02-22 2016-04-12 Blackberry Limited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US9690476B2 (en) 2013-03-14 2017-06-2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507495B2 (en) 2013-04-03 2016-11-2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733716B2 (en) 2013-06-09 2017-08-15 Apple Inc. Proxy gesture recognizer
US20150067570A1 (en) * 2013-09-04 2015-03-05 Jae In Yo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US9854013B1 (en) 2013-10-16 2017-12-26 Google Llc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5938386B2 (ja) * 2013-10-31 2016-06-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538223B1 (en) 2013-11-15 2017-01-03 Google Inc.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628538B1 (en) 2013-12-13 2017-04-18 Google Inc. Synchronous communication
KR101572331B1 (ko) * 2013-12-26 2015-11-30 (주)멜파스 터치스크린패널을 이용하여 근접 센싱 기능을 제공하는 터치 센싱 시스템 및 방법
CN103838508A (zh) * 2014-01-03 2014-06-04 浙江宇天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智能终端界面显示的方法及其装置
KR102102646B1 (ko) * 2014-01-17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D782992S1 (en) * 2014-02-12 2017-04-04 Doro AB Telephone
CN103927054B (zh) 2014-04-15 2017-02-0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显示操作界面的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KR102295844B1 (ko) * 2014-11-18 2021-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6155528A (zh) * 2015-03-27 2016-11-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显示界面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6176075A1 (en) * 2015-04-27 2016-11-03 Laso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case with optical lens for wet environments
US10466891B2 (en) * 2016-09-12 2019-11-05 Apple Inc. Special lock mode user interface
CN106502514B (zh) * 2016-11-04 2019-09-17 上海传英信息技术有限公司 侧滑菜单的控制方法及用户终端
KR20180051002A (ko) *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0203982B2 (en) * 2016-12-30 2019-02-12 TCL Research America Inc. Mobile-phone UX design for multitasking with priority and layered structure
CN111226190A (zh) * 2017-09-15 2020-06-02 深圳传音通讯有限公司 一种列表切换方法及终端
JP7210229B2 (ja) * 2018-11-07 202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889757B (zh) * 2019-03-29 2021-05-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通话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236A (en) * 1992-06-08 1999-03-30 Synaptics Incorporated Pressure sensitive scrollbar feature
CA2312346C (en) * 1997-12-01 2007-08-07 Sanyo Electric Co., Ltd. A telephone for searching memory content using a simple user operation
US7469381B2 (en) *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JP2001045124A (ja) * 1999-07-30 2001-02-16 Sony Corp 情報端末
JP2002204297A (ja) * 2000-11-02 2002-07-19 Sharp Corp 携帯情報機器
US7346855B2 (en) * 2001-12-21 2008-03-1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mputer applications
US7362312B2 (en) * 2004-11-01 2008-04-22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7389591B2 (en) * 2005-05-17 2008-06-24 Gesturetek, Inc. Orientation-sensitive signal output
KR100877829B1 (ko) * 2006-03-21 2009-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링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그 스크롤링 방법
US9395905B2 (en) * 2006-04-05 2016-07-19 Synaptics Incorporated Graphical scroll wheel
KR100773296B1 (ko) * 2006-06-12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시지 관리 장치 및 방법
US8471822B2 (en) * 2006-09-06 2013-06-25 Apple Inc. Dual-sided track pad
US8564543B2 (en) * 2006-09-11 2013-10-22 Apple Inc. Media player with imaged based browsing
US8736557B2 (en) * 2006-09-11 2014-05-2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mage based browsers
KR100764652B1 (ko) * 2006-10-25 2007-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80150903A1 (en) * 2006-12-21 2008-06-26 Invente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dual-sided touch device
KR101165639B1 (ko) * 2006-12-29 2012-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265671A1 (en) *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US20080180391A1 (en) * 2007-01-11 2008-07-31 Joseph Auciello Configurable electronic interface
KR100907419B1 (ko) * 2007-05-02 2009-07-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용 동작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99487A (ko) * 2007-05-09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9161A (ko) * 2007-08-20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조작하는 방법
KR20090077480A (ko) * 2008-01-11 200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조작 가이드를 표시하는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멀티미디어 기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1537A (ko) * 2011-02-09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입력에 따른 단말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10013098B2 (en) 2011-02-09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11740727B1 (en) 2011-08-05 2023-08-29 P4Tents1 Ll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534638B2 (en) 2011-12-28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ing a displayed task stack
US11675618B2 (en) 2011-12-28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11099888B2 (en) 2011-12-28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10108451B2 (en) 2011-12-28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ing a displayed task stack
US10452427B2 (en) 2011-12-28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asks using a displayed task stack
KR20140038067A (ko) * 2012-09-20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94226A (ko) * 2013-01-21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46548A (ko) * 2014-10-21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분할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장치
US9811124B2 (en) 2014-11-12 2017-11-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56664A (ko) * 2014-11-12 2016-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67725B1 (ko) 2016-12-20 2018-06-14 주식회사 포스코 가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28544B2 (en) 2015-09-08
KR101521932B1 (ko) 2015-05-20
US20100182248A1 (en)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9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29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0968A (ko)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386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00042978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9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10058117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4297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25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3027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KR20100050948A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2010007798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73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456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63545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수기 메모 방법
KR20120006403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201001045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2197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14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9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278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 실행 방법
KR201100495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