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644A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644A
KR20140043644A KR1020120109742A KR20120109742A KR20140043644A KR 20140043644 A KR20140043644 A KR 20140043644A KR 1020120109742 A KR1020120109742 A KR 1020120109742A KR 20120109742 A KR20120109742 A KR 20120109742A KR 20140043644 A KR20140043644 A KR 20140043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screen information
display unit
out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김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3644A/ko
Priority to US13/935,244 priority patent/US20140096053A1/en
Priority to EP13176983.8A priority patent/EP2717148A3/en
Priority to CN201310347224.5A priority patent/CN103716453A/zh
Publication of KR2014004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터치입력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서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구동되는 멀티태스킹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현재 이용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받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가 선택되고 난 후, 상기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와 연관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의 선택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터치입력과 연속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되거나, 상기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로 드래그되는 것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하이라이팅 처리하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가 표시된 이미지 객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 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화면정보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면정보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가 축소되더라도 상기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이 축소되기 전 화면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실행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실행화면을 동시에 출력시키거나, 상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팝업창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화면이 출력되기 전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복귀 아이콘을 출력시키고, 상기 복귀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화면의 출력을 종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이 출력되기 전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은 메모리에 저장된 매칭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매칭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 후, 검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익스프롤러 기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 중 하나는 사전 기능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에는 상기 매칭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기능 아이콘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생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영역에 대한 외부의 물리력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검색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되고 난 후에 복귀 아이콘을 통해 다시 전 화면으로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에 이동을 직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기능 아이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Tablet PC, Ultra 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 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시에 의하면, 단말기 본체(100)(이하, '바디'라 한다)는 전면, 측면 및 후면을 구비한다. 또한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단을 구비한다.
바디(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케이스는 전면(이하, '프론트 케이스'라 한다, 101)과 후면(이하, '리어 케이스'라 한다, 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100)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1)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마이크(122)는 바디(100)의 타단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 리어케이스(102)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가(121')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21') 프론트 케이스에 장착된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1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2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음향 출력부(2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현재 이용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아이콘들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 또는 메뉴 페이지 등에서 기능 아이콘을 검색해야 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화면정보가 출력된다(S310). 여기에서, 화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화면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거나, 홈 스크린 페이지, 메뉴화면 일 수 있다. 이러한 화면정보의 종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면정보(410)는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면정보가 출력되고 있던 중, 제어부(180)는 현재 출력중인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320).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제어명령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롱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어명령은 이동 단말기 본체(100, 미도시됨, 도 2a 참조)의 베젤 영역에 구비된 압력감지 센서(미도시됨)에 대해 일정 수준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는 경우,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도록 하는 이미지 객체(또는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객체에 대해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사용자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과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 상에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킨다(S330).
예를 들어, 도 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면정보(4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421 내지 427)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킨다. 신문기사가 포함된 웹페이지 화면정보가 출력된 경우, 이와 연관된 기능은, 사전, 검색, 인터넷 익스프롤러 실행, 메시지, 메모, 일정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 아이콘(421 내지 427)은 디스플레이부(151)의 기 설정된 영역(420)에 출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 설정된 영역(420)은 기능 아이콘의 개수와 관계없이,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항상 디스플레이부(151)에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 설정된 영역(420)은 사용자에게 식별될 수 있도록, 화면정보(410)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어명령이 수신됨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화면정보(410)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기능이다. 이러한, 연관된 기능과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160, 미도시됨)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또는 매칭정보)를 참조하여, 연관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메모리(16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매칭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 후, 검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킨다.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기능의 예들에 대하여, 표 1과 함께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1 그룹 제2 그룹 제3 그룹 제4 그룹 제5 그룹
웹/SNS 음악/동영상 게임 SMS, 이메일 동영상/사진촬영
검색 메타정보 기반
검색
유사 게임 추천 사전 SNS 공유
사전 지인에게 추천 게임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다른 컨텐츠 추천 검색 기타 서비스 공유
지도 SMS 기능 통해 전송 링크전송 검색
링크 전송 근거리 무선통신 통해 데이터 전송 TV로 전송 사전
TV로 전송 TTS변환하여
청취
근거리 무선통신 통해 데이터 전
웹페이지 내용 TTS변환하여
청취
편집
상기 표와 같이, 각 그룹들에 포함된 기능들은 상호 연관된 기능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상호 연관된 기능은 상기 표 1에 구속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능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기능은,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이 아니더라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빈도가 높은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S330 단계에서와 같이, 연관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출력된 후, 사용자에 의해 이러한 기능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한다(S340).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예로서, 제어부(180)는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화면을, 도 4a의 (a)에 도시된 화면정보(410) 대신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을 통해,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된 화면정보(410)를 다른 화면정보로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다른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것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인공지능" 텍스트)가 터치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후, 도 4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421)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도 4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공지능"텍스트를 사전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검색어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4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 기능을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따로 입력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4b를 살펴보면, 사진 촬영 기능이 실행되던 중, 도 4b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리뷰 이미지(430)에 일 영역(431)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기능을 통해, 일 영역(431)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번역 기능 아이콘(440)이 선택된 경우, 도 4b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결과(45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화기능이 수행되던 중,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통화 내용을 STT(sound to text)변환하여, 출력된 기능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정보가 STT변환되고, 일정 관련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변환된 텍스트를 일정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책(e-book)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기능 아이콘 중 음성 관련 기능이 선택된 경우, 전자책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및 도 4b에서는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기능화면(또는 다른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는 후에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와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화면정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현재 출력된 화면정보의 표시를 종료시키고, 다른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나 메뉴 화면을 출력시킨 후, 원하는 기능을 검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서로 연관시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도 5a의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영역(520)에 기능 아이콘(521 내지 527)이 출력되고 난 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 중 사용자에 선택된 적어도 일부를, 상기 기능 아이콘(521 내지 527)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면정보(510)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기 설정된 방식의 터치입력은, 드래그 터치입력이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의 롱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롱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롱 터치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출력된 정보와 연관성이 있는 일정범위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인 "인공지능" 텍스트에 드래그 입력이 인가된 경우,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이 인가된 지점에 대응되는 "인공지능" 텍스트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도 5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공지능" 텍스트에 대응되는 영역을 하이라이팅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인공지능" 텍스트가 선택된 후에,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텍스트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기능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인공지능"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터치입력(또는 롱 터치입력)과 연속하는 터치입력이 기능 아이콘(521 내지 527) 중 어느 하나에 인가되는 것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5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인공지능" 텍스트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과 연속하지 않은 터치입력, 즉, "인공지능" 텍스트가 선택된 후 별개의 터치입력에 의해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되고 난 후에,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와 연관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도 5a에서는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선택되면,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하이라이팅 처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선택된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511)를 하이라이팅 하는 방법 외에,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이미지 객체(511a)를 이용하여, 선택된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511)에 대응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미지 객체(511a)를 통해, 화면정보가 정확히 선택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5b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러한 이미지 객체(511a)가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으로 이동됨에 근거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기능 아이콘(예를 들어, 사전 기능 아이콘(521)을 선택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객체(511a)가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이동됨에 대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의 터치궤적에 따라 이미지 객체(511a)의 표시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도 5c의 (a),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능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후에,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된 경우에도,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와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연관시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521)이 선택된 후, 상기 기능 아이콘(521)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과 연속하지 않는 터치입력에 의해, "인공지능" 텍스트가 선택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521)에 대응되는 사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전 기능 아이콘(521)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사전 기능 아이콘(521)을 하이라이팅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5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521)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입력과 연속하는 터치입력에 의해 "인공지능" 텍스트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521)에 대응되는 사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사전 기능 아이콘(521)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사전 기능 아이콘(521)에 대한 터치입력과 연속하는 터치입력의 터치궤적을 따라 기능 아이콘(521)에 대응되는 이미지(521)를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선택은 기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기 전이라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되어 처리되도록 선택된 경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화면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앞서, 도 4a, 도 4b, 도 5a, 도 5b 및 도 5c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기능 아이콘의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킨다. 예를 들어, 사전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80)는 사전 기능에 대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정보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6a를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도 4a에서 사전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어,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된 경우, 도 6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로 돌아가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귀 아이콘"(611)을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복귀 아이콘(61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를 출력시킨다.
다른 예로서, 도 6a의 (b)를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경우, 사전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던 위치에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의 기능 아이콘(630)을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기능 아이콘(630)이 선택되는 경우,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를 출력시킨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앞서 도 4a에 살펴본 것과 같이, 사전 기능 아이콘이 선택되어,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10)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더라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620)에 기능 아이콘들을 계속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6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 영역(620)에서 기능 아이콘(611)이 선택되면, 일 영역(620)에 출력된 기능 아이콘들을 더 이상 출력시키지 않고, 선택된 기능 아이콘(611)에 대응되는 기능의 화면정보(640)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40)가 출력되기 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로 돌아가는 기능을 제공하는 "복귀 아이콘"(641)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앞서 도 4a에 살펴본 것과 같이, 사전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도 6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일 영역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원래 출력되고 있던 화면정보(651)를 출력시키고, 다른 일 영역에는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52)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개의 화면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할된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도 6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부(180)는 앞서 도 4a에 살펴본 것과 같이, 사전 기능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도 6d의(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팝업창(660)을 이용하여, 사전 기능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도 6d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화면정보(64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기능 아이콘이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던 다른 기능 아이콘들의 출력여부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기본설정 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분할하거나, 팝업창을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대응하는 화면정보와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원래 출력되고 있는 화면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 아이콘에 대한 출력 요청에 대응하여, 기능 아이콘 및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제어명령이 수신됨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킨다. 이때, 제어부(180)는 출력된 기능 아이콘의 개수와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기능 아이콘이 출력될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적어도 일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a를 살펴보면, 제어부(180)는 디스플플레이부(151) 상에서 "L"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을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킬 영역으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이러한 "L"영역(720a) 상에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상기 기능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L"영역(720a)에 화면정보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면정보를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L"영역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화면정보가 축소되더라도, 축소되기 전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비율과 대응된다. 즉, 제어부(180)는 화면정보가 축소되더라도 상기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이 축소되기 전 화면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가장자리 영역의 표시비율을 조절한다.
또한,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일 영역을 "L"형상으로 하는 것은,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불필요한 표시영역을 생성시키지 않고,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을 유지하면서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7a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이 오른쪽인지 왼쪽인지에 따라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 사용자가 기능 아이콘을 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는 위치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는 어느 일 영역에 고정되거나,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베젤영역(비도시됨)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7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720)에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더라도, 화면정보(730)를 축소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일 영역(720)에 출력된 기능 아이콘과 화면정보(730)는 오버랩 될 수 있으며, 기능 아이콘 및 일 영역(720)은 사용자가 화면정보(730)를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도를 갖으면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 아이콘은 도 7b의 (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면정보(730)가 출력된 영역이 터치되는 것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이러한 일 영역(720)에 대하여 일정시간 동안 터치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기능 아이콘의 출력을 종료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7a 및 도 7b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기능 아이콘을 "L" 형상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출력시키지 않더라도, 도 7c의 (a),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영역(740, 750, 760)에 출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출력요청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의 종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기능 아이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앞서, 도 3에서 함께 살펴본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은, 화면정보(410)에 대응되는 기능과 연관된 기능과 관련된 기능 아이콘일 수 있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능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설정된 기능은,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이 아니더라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됨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된 빈도가 높은 기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80)는 연관된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은 각각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그룹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는 일 영역(810)을 다시 복수개의 영역(811, 812)으로 구분하고, 제1 영역(811)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고, 제2 영역(812)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개의 기능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폴더 아이콘(821)을 출력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폴더 아이콘(82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도 8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830)에 폴더 아이콘(821)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들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폴더 아이콘(821)에 포함된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는 일 영역(830)의 크기는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서로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그룹화시킬 수 있다. 즉, 제1 그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중 사전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상태에서,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1 그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능 아이콘의 구성을 다양하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을 검색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이 실행되고 난 후에 복귀 아이콘을 통해 다시 전 화면으로 빠르게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에 이동을 직관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받고,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가 선택되고 난 후, 상기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와 연관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드래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선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의 선택은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드래그 터치입력과 연속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되거나,
    상기 기능 아이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로 드래깅 되는 것에 근거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를 하이라이팅 처리하거나, 상기 적어도 일부의 화면정보가 표시된 이미지 객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 영역에 출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능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경우,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과 상기 화면정보가 겹쳐지지 않도록 상기 화면정보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가 축소되더라도 상기 화면정보의 표시비율이 축소되기 전 화면비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기 일 가장자리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으로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기능 아이콘에 대응되는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행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실행화면으로 전환시키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실행화면을 동시에 출력시키거나,
    상기 화면정보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되는 팝업창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실행화면이 출력되기 전의 화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복귀 아이콘을 출력시키고,
    상기 복귀 아이콘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화면의 출력을 종료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이 출력되기 전 화면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된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의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은 메모리에 저장된 매칭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정보와 연관된 기능으로 바로 진입하기 위한 기능 아이콘의 출력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고, 상기 메모리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매칭된 다른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 후, 검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익스프롤러 기능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기능 아이콘 중 하나는 사전 기능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에는 상기 매칭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기능 아이콘과 함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아이콘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생성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감싸는 베젤영역에 대한 외부의 물리력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109742A 2012-10-02 2012-10-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43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42A KR20140043644A (ko) 2012-10-02 2012-10-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3/935,244 US20140096053A1 (en) 2012-10-02 2013-07-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EP13176983.8A EP2717148A3 (en) 2012-10-02 2013-07-1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CN201310347224.5A CN103716453A (zh) 2012-10-02 2013-08-09 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742A KR20140043644A (ko) 2012-10-02 2012-10-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644A true KR20140043644A (ko) 2014-04-10

Family

ID=4887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742A KR20140043644A (ko) 2012-10-02 2012-10-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96053A1 (ko)
EP (1) EP2717148A3 (ko)
KR (1) KR20140043644A (ko)
CN (1) CN1037164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479A (ko) * 2012-10-24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305505B1 (en) 2015-03-02 2016-04-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10007381B2 (en) 2016-01-04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8143645A1 (en) * 2017-01-31 2018-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WO2021075760A1 (en) * 2019-10-15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toggled application ic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1082S1 (en) * 2013-09-13 2016-03-08 Airwatch Ll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email application
KR102138516B1 (ko) * 2013-10-1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4261B1 (ko) * 2013-11-04 2021-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CN105830085B (zh) * 2014-01-31 2020-06-16 麦克赛尔株式会社 便携终端装置
EP3114769B1 (en) * 2014-03-03 2022-06-29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4020975B (zh) * 2014-06-20 2015-09-23 合一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基于页面排列区域与展示区域变化的方法和系统
KR102391772B1 (ko) * 2014-08-28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 전자 장치를 동작하는 방법
US20160072966A1 (en) * 2014-09-09 2016-03-10 Fuji Xerox Co., Lt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device
KR102335373B1 (ko) * 2014-12-18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S2828444T3 (es) 2015-01-04 2021-05-26 Huawei Tech Co Ltd Procedimiento, dispositivo y terminal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de notificación
US20170235460A1 (en) * 2016-02-11 2017-08-17 Symbo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an always-on-top data-acquisition button
KR102626633B1 (ko) * 2016-11-17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23797B1 (ko) * 2017-05-22 2021-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공유 방법
JP7182906B2 (ja) * 2018-06-12 2022-12-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244884B (zh) * 2019-04-24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桌面图标管理方法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2070A1 (en) * 2000-01-10 2001-10-18 Mordechai Teich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lating visual text
WO2002086737A1 (en) * 2001-04-20 2002-10-31 Wordsniff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user-directed web site text translation
JP2004212857A (ja) * 2003-01-08 2004-07-29 Pioneer Electronic Corp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WO2006024896A1 (en) * 2004-09-01 2006-03-09 Kip Systems Operator interface system for a touch screen device
US20060204098A1 (en) * 2005-03-07 2006-09-14 Gaast Tjietse V 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mprising a digital camera for character recognition, and a network therefor
CN2896374Y (zh) * 2005-12-22 2007-05-02 华利美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便携式数码照相文字辨认翻译器
US8527907B2 (en) * 2006-07-31 2013-09-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Screen relayout
US20080229218A1 (en) * 2007-03-14 2008-09-18 Joon Maeng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for objects in electronic documents
US8144990B2 (en) * 2007-03-22 2012-03-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ranslation and display of text in picture
CN101339617A (zh) * 2007-07-06 2009-01-07 上海思必得通讯技术有限公司 手机拍照翻译装置
CN101667251B (zh) * 2008-09-05 2014-07-23 三星电子株式会社 具备辅助定位功能的ocr识别方法和装置
US20100138782A1 (en) * 2008-11-30 2010-06-03 Nokia Corporation Item and view specific options
KR101521932B1 (ko) * 2009-01-19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661362B2 (en) * 2009-03-16 2014-02-25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multifunction device with a touch screen display
CN101620595A (zh) * 2009-08-11 2010-01-06 上海合合信息科技发展有限公司 电子设备的文本翻译方法及系统
US8208964B2 (en) * 2009-10-30 2012-06-26 Cellco Partnership Flexible home page layout for mobile devices
US20110167350A1 (en) * 2010-01-06 2011-07-07 Apple Inc. Assist Features For Content Display Device
CN102541492B (zh) * 2010-12-28 2017-05-24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和电子设备
CN102654814B (zh) * 2011-03-01 2015-04-29 联想(北京)有限公司 调用应用中的功能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9087046B2 (en) * 2012-09-18 2015-07-21 Abbyy Development Llc Swiping action for displaying a translation of a textual image
US9165406B1 (en) * 2012-09-21 2015-10-20 A9.Com, Inc. Providing overlays based on text in a live camera view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479A (ko) * 2012-10-24 201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305505B1 (en) 2015-03-02 2016-04-05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9607567B2 (en) 2015-03-02 2017-03-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9799276B2 (en) 2015-03-02 2017-10-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RE49084E1 (en) 2015-03-02 2022-05-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RE49388E1 (en) 2015-03-02 2023-01-24 Lg Electronics Inc. Display panel and mobile terminal
US10007381B2 (en) 2016-01-04 2018-06-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8143645A1 (en) * 2017-01-31 2018-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US10922100B2 (en) 2017-01-31 2021-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WO2021075760A1 (en) * 2019-10-15 2021-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reating toggled application ic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7148A2 (en) 2014-04-09
US20140096053A1 (en) 2014-04-03
EP2717148A3 (en) 2014-11-26
CN103716453A (zh)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3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174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티티에스 음성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87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71723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707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458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517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017957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를 이용한 전자 노트 시스템
KR201401091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135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0942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5922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4011320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0901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301290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37333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9485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52687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06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343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718029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201500419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3858B1 (ko) 이동 단말기
KR10153759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