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968A -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968A
KR20100030968A KR1020080089966A KR20080089966A KR20100030968A KR 20100030968 A KR20100030968 A KR 20100030968A KR 1020080089966 A KR1020080089966 A KR 1020080089966A KR 20080089966 A KR20080089966 A KR 20080089966A KR 20100030968 A KR20100030968 A KR 2010003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tems
menu
specific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이동석
김문주
유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968A/ko
Priority to US12/403,528 priority patent/US9621710B2/en
Publication of KR2010003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뉴 항목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임의의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되,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NU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뉴 항목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의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그래픽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각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 또는 위치는 단말기에 따라 디폴트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메뉴 항목의 위치나 사이즈 또는 컬러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이용 성향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들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영역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크기나 컬러를 다른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들을 선택 빈도에 따라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들을 선택 빈도에 따라 상대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선택 빈도에 따라 특정 메뉴 항목들의 컬러를 다른 메뉴 항목들에 대하여 차별화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임의의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되, 특정 위 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임의의 동작화면과 상기 동작화면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들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영역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를 일반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단말기는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중 특정 메뉴 항목들을 선택 빈도에 따라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일반 메뉴 항목들보다 상대적으로 확대하거나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 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 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 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 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 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 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를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b는 휴대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51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도 2b 참조)를 통하여 소프트키(151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 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51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펜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 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 깊이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155,156)가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 개시된 단말기는 본체에 대해 폴더부가 폴딩(folding)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 형태의 단말기이다. 폴더부에 장착된 제1 디스플레이부(155)는 TOLED와 같은 광투과형 또는 투명 형이나, 본체에 장착된 제2 디스플레이부(156)는 LCD와 같이 빛이 투과하지 않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부(155 및 156)는 각각 터치 입력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또는 TOLED(155)에 대한 터치{접촉 터치(contact touch) 또는 근접 터치(proximity-touch)}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의 종류 및 터치 시간에 따라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select)되거나 실행(run)되게 할 수 있다.
이하,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TOLED(155)에 대한 터치 시 다른 디스플레이부 또는 LCD(156)에 표시된 정보가 제어되는 방식에 대하여, 터치, 롱터치, 롱터치 & 드래그(drag) 등으로 구분된 입력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오버랩된 상태(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TOLED(155)는 LCD(156)의 하 측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TOLED(155)에 표시된 이미지의 제어를 위한 터치와 다른 방식의 터치, 예를 들어 롱터치(예를 들어,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따라 LCD(156))에 표시된 이미지 리스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가 선택되게 한다. 상기 선택된 이미지의 실행에 따른 결과는 상기 TOLED(155)에 표시된다.
상기 롱터치는 LCD(156)에 표시된 개체들 중 원하는 개체를 (그에 대한 실행 동작 없이) 선택적으로 TOLED(155)로 옮길 때도 이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LCD(156)의 특정 개체에 대응하는 TOLED(155)의 일 영역을 롱터치할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개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되게 한다. 한편, TOLED(155)에 표시되어 있는 개체 역시, TOLED(155)에 대한 소정 터치입력, 예를 들어 플리킹(flicking), 스월링(swirling) 등에 따라 LCD(156)로 옮겨서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LCD(156)에 표시된 2번 메뉴가 TOLED(155)로 옮겨져서 표시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롱터치와 함께 다른 입력, 예를 들어 드래그가 추가로 감지된 경우라면, 제어부(180)는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와 관련된 기능으로서,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TOLED(155)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2번 메뉴(이미지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남자 사진)가 행하여진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미리보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롱터치를 유지하면서 추가로 TOLED(155)에 다른 이미지를 향한 드래그가 이루어지면, 제어부(180)는 LCD(156)의 선택커서(혹은 선택바)를 움직이고, 상기 선택커서가 선택한 이미지를 미리보기 화면(여자 사진)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터치(롱터치 및 드래그)가 종료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롱터치에 의해 선택된 처음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터치 동작 (롱터치 및 드래그)은 TOLED(155)에 대한 롱 근접터치(적어 도 2초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는 근접터치)와 함께 슬라이드(상기 드래그에 대응되는 근접터치의 동작)가 감지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 언급된 것 이외의 터치 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일반적인 터치 제어 방법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오버랩(overlap)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은 싱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와 다른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에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동작화면은 단말기의 대기화면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상기 메뉴 항목들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거나 텍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메뉴 항목들이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상기 대기화면은 단말기의 다양한 상황별 동작화면들 중 단말기가 열린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 따라서는 닫힌 상태에서도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화면은 단말기의 다양한 상황별 동작화면들 중 한가지 예로서 기재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대기화면에만 적용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상기 대기화면에서 선택된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항목들이 표시된 동작화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기가 임의의 동작화면 표시 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화면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을 메모리(160)에서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101).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각 메뉴 항목에 관련된 선택빈도를 판단한다(S102). 상기 동작화면에는 대기화면 및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항목들이 표시된 화면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각 메뉴 항목을 선택할 때마다, 제어부(180)는 그 메뉴 항목의 선택빈도를 자동으로 카운트한다.
상기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빈도는 메모리(160)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빈도를 기간이나 시간대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뉴 항목의 선택빈도를 이용할 때 특정 기간이나 시간대를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을 참조하여, 각 메뉴 항목에 대한 선택빈도를 판단한 후, 선택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그 우선순위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 영역 내에 표시한다(S103).
예를 들어, 상기 메뉴 항목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4개의 메뉴 항목들을 특정 영역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 내에 표시되는 메뉴 항목들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부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위치(예 : 상단부, 하단부, 측면부)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주 선택하는 메뉴 항목들(선택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좀 더 선택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나 위치를 변경하는 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이 특정 영역 내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 또는 컬러를 다른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 내부에 표시된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를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다른 메뉴 항목들보다 더 크게 표시하거나 컬러를 더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주 선택하는 메뉴 항목을 다른 일반 메뉴 항목들로부터 쉽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 일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특정 동작화면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메뉴1 ∼메뉴1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특정 영역(410)에는 디스플레이 우선순위가 높은 소정개의 메뉴 항목들(메뉴4 ∼ 메뉴7)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우선순위는 선택빈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410)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항목들은, 기설정된 옵션에 따라, 다른 일반 메뉴 항목들로부터 쉽게 구분되거나 선택이 용이하도록 차별화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일반 메뉴 항목들보다 사이즈가 크게 표시되거나 다양한 컬러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410)의 사이즈는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위치는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도8a와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위치(예 : 상단부, 하단부, 측면부)로 변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위치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윤곽선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윤곽선은 그 특정 영역의 사이즈가 조정되거나 이동될 경우에만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410)은 윤곽선뿐만 아니라 배경색을 이용해서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영역(410)의 외부는 흰색 배경으로 표시하고 특정 영역(410)의 내부는 빨간색 배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8a와 도8b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 다른 일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부에 특정 영역(410)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410)을 도8a나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위치로도 이동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특정 영역(410)의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뿐만 아니라,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 항목들의 선택빈도에 따라 표시 우선순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특정 영역(410) 내에 자동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위치는 기설정된 특정 하드웨어 방향키나 소프트웨어 방향키를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 방향키는 단말기의 본체에 부착된 키를 의미하며, 상기 소프트웨어 방향키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키를 의미한다. 또는 상기 특정 영역(410)의 내부 일 측 영역이나 그 윤곽선을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여 드래그함으로써 상기 특정 영역(410)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방식은 근접 터치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특정 영역(410)의 위치가 변경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 변경된 위치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고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특정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동작화면에만 별도로 적용될 수도 있고 다른 모든 동작화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는 상기 특정 영역의 변경된 위치를 각 동작화면에 적용하기 위한 환경설정 옵션(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 각 메뉴 항목의 선택빈도에 따라 특정 영역 내에 상기 메뉴 항목들을 자동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사용자가 직접 임의의 메뉴 항목을 상기 특정 영역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특정 영역 내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말기가 임의의 동작화면 표시 상태가 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동작화면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을 메모리(160)에서 인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S201). 그리고,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특정 영역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를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다른 일반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시켜 디스플레이한다(S202).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부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주 선택하는 메뉴 항목을 좀 더 선택하기 편한 위치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정 영역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은 미리 설정된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다른 메뉴 항목들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메뉴 항목들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임의의 메뉴 항목이 선택되어 이동될 경우(S203), 그 선택된 메뉴 항목이 이동된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 영역의 내부인지 아니면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인지 판단한다(S204).
만약,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이 이동된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 영역의 내부이면 상기 'S202'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선택된 메뉴 항목이 이동된 위치가 기 설정된 특정 영역의 외부이면 다른 일반 메뉴 항목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S205). 즉, 일반 메뉴 항목들과 동일한 사이즈나 동일한 컬러로 디 스플레이한다.
한편, 상기 메뉴 항목들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는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임의의 메뉴 항목을 꺼내어 특정 영역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 항목이 제거된 영역만큼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축소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임의의 메뉴 항목을 특정 영역 내부에 추가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 항목이 추가된 영역만큼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자동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에 그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와 모양도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컬러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영역의 환경설정 옵션(미도시)을 통해, 그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모든 메뉴 항목들의 모양이나 컬러, 또는 사이즈를 일괄적으로 자동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특정 영역의 외부에 있는 메뉴 항목과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는 메뉴 항목의 위치가 단순히 서로 바뀌는 경우에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는 변경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영역의 내부에 있던 하나의 메뉴 항목이 외부로 이동되고 그 대신 외부에 있던 하나의 메뉴 항목이 특정 영역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특정 영역의 사이즈는 변경될 필요가 없다.
이하, 상기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임의의 메뉴 항목들의 위치는 기설정된 특정 하드웨어 방향키나 소프트웨어 방향키를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임의의 메뉴 항목을 터치 방식으로 직접 선택하여 임의의 위치로 드래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메뉴 항목들을 터치 방식으로 선택하여 그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부에 특정 영역(410)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특정 영역(410)의 외부에 있는 임의의 메뉴 항목(311)을 터치 방식으로 선택한 후, 상기 특정 영역(410)의 내부에 있는 특정 메뉴 항목(312) 위로 드래그한다고 가정한다(310).
상기와 같이 임의의 메뉴 항목(311)이 선택되어 상기 특정 영역(410)의 내부에 있는 특정 메뉴 항목(312) 위로 드래그 될 경우(320), 상기 임의의 메뉴 항목(311)과 특정 메뉴 항목(312)의 위치가 서로 뒤바꾸어 표시된다(330).
한편, 사용자는 상기 메뉴 항목들 전체를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된 모든 메뉴 항목들을 그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 전체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1a 와 도11b는 본 발명에 따라 메뉴 항목들 전체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 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에 다수의 메뉴 항목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상기 메뉴 항목들에는 일반 메뉴 항목들(메뉴1∼메뉴3, 메뉴8∼메뉴9)과 강조할 메뉴 항목들(메뉴4∼메뉴7)이 포함되어 있다.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각 메뉴 항목들 사이를 터치하여 하(下)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메뉴 항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하단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메뉴 항목들(메뉴8∼메뉴10, 메뉴6, 메뉴7)이 순차로 사라져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사라진 메뉴 항목들(메뉴8∼메뉴10, 메뉴6, 메뉴7)이 상단부로부터 순차로 나타나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상기 각 메뉴 항목들 사이를 터치하여 상(上)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메뉴 항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메뉴 항목들(메뉴1∼메뉴3, 메뉴4, 메뉴5)이 순차로 사라져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사라진 메뉴 항목들이 하단부로부터 순차로 나타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각 메뉴 항목들 사이를 터치하여 좌(左)측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메뉴 항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좌측단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메뉴 항목들(메뉴1, 메뉴4, 메뉴6, 메뉴8)이 순차로 사라져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상기 사라진 메뉴 항목들이 우측단으로부터 순차로 나타나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상기 각 메뉴 항목들 사이를 터치하여 우(右)측 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 상기 메뉴 항 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우측단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던 메뉴 항목들(메뉴3, 메뉴5, 메뉴7, 메뉴10)이 순차로 사라져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상기 사라진 메뉴 항목들이 좌측단으로부터 순차로 나타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메뉴 항목들 전체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 메뉴 항목들 사이를 터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메뉴 항목들 사이뿐만 아니라 특정 메뉴 항목을 롱 터치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다양한 터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실행시키기 위한 동작과 구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동작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들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용이한 위치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자주 선택하는 메뉴 항목들과 일반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를 차별화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메뉴 항목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메뉴 항목 전체의 배열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한 쌍의 디스플레이부들이 오버랩된 형태에서의 터치 동작에 대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 일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메뉴 항목들을 표시하는 방법을 보인 다른 일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임의의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특정 영역 내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메뉴 항목들 전체를 일 측 방향으로 이동 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Claims (17)

  1.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임의의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되,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메뉴 항목들의 위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위치를 변경하는 지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에 설정된 특정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를 변경하거나 그 특정 위치에 설정된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 할 때, 배경색이나 외곽선을 이용해 그 영역의 사이즈와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뉴 항목들 전체를 사용자가 지시하는 특정 방향으로 그 메뉴 항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방향의 해당하는 면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순차로 사라지게 하고, 그 사라진 메뉴 항목들이 상기 특정 방향의 반대 면으로부터 순차로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를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거나 더 선명하게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항목들 중 선택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을 상기 특정 위치에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심부, 상단부, 하단부, 또는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임의의 동작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화면에 관련된 메뉴 항목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뉴 항목들 중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을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과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특정 사이즈로 설정된 영역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경색이나 외곽선을 이용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은,
    선택빈도가 높은 메뉴 항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을 차별화되게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의 사이즈나 컬러를 다른 위치에 있는 메뉴 항목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거나 더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위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다른 위치로 변경될 경우 그 변경된 위치가 다른 동작화면에도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은,
    메뉴 항목들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그 메뉴 항목들 전체를 사용자가 지시하는 특정 방향으로 순차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항목들은,
    상기 이동되는 특정 방향의 해당하는 면에 있는 메뉴 항목들이 순차로 사라 지고, 그 사라진 메뉴 항목들이 상기 특정 방향의 반대 면으로부터 순차로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80089966A 2008-09-11 2008-09-11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30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66A KR20100030968A (ko) 2008-09-11 2008-09-11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12/403,528 US9621710B2 (en) 2008-09-11 2009-03-13 Terminal and menu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966A KR20100030968A (ko) 2008-09-11 2008-09-11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968A true KR20100030968A (ko) 2010-03-19

Family

ID=4179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966A KR20100030968A (ko) 2008-09-11 2008-09-11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21710B2 (ko)
KR (1) KR20100030968A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898A1 (en) * 2011-11-16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of
KR101281448B1 (ko) * 2010-11-29 2013-07-03 팅크웨어(주) 아이콘 조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단말 장치
KR20140113201A (ko) *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423778A (zh) * 2013-08-26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移动终端图标排序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US9152308B2 (en) 2012-06-15 2015-10-06 Google Inc. Organiz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n computing devices
US9335888B2 (en) 2011-12-27 2016-05-10 Intel Corporation Full 3D interaction on mobile devices
US9983664B2 (en) 2011-11-16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same
US9996212B2 (en) 2012-08-28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088991B2 (en) 2012-07-27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85456B2 (en) 2012-07-27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US10386992B2 (en) 2012-12-06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64792B2 (en) 2012-12-06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893092B2 (en) 2013-10-30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54986B2 (en) 2011-11-16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210157612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종속 관계에 있는 편집 액션의 손쉬운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256389B2 (en) 2012-12-06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04580B2 (en) 2012-12-06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1899903B2 (en) 2012-12-06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3994B2 (en) * 2001-12-26 2004-08-10 Agere Systems Inc. CMOS vertical replacement gate (VRG) transistors
CN101847079A (zh) * 2010-04-30 2010-09-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调整控件按钮布局的方法和装置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TWI546700B (zh) * 2011-01-13 2016-08-21 宏達國際電子股份有限公司 手持電子裝置及其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KR101793999B1 (ko) * 2011-07-22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배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30017241A (ko) 2011-08-10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단말기에서 입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WO2013086710A1 (en) * 2011-12-14 2013-06-20 Nokia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different visual variants of objects via user interfaces
KR101932718B1 (ko) 2012-02-24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상의 디스플레이창의 크기를 변경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AU2013202944B2 (en) 2012-04-26 2015-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pages, method and terminal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being executed on terminal, and method of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US9898155B2 (en) 2012-05-11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960061B1 (ko) 2012-05-21 2019-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실행 화면들을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75787A1 (ja) * 2012-05-24 2013-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影装置
CN103488407A (zh) * 2012-06-11 2014-01-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对操作对象图标的显示位置进行控制的方法及设备
KR20140021731A (ko) * 2012-08-09 2014-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동적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CN103631484A (zh) * 2012-08-24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界面控件位置的方法、装置及终端
JP5946391B2 (ja) * 2012-10-30 2016-07-06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07900B (zh) * 2013-02-2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US9465522B2 (en) * 2013-03-28 2016-10-11 Linkedin Corporation Providing a personalized navigation experience in a mobile application
US20140298243A1 (en) * 2013-03-29 2014-10-02 Alcatel-Lucent Usa Inc. Adjustable gui for displaying information from a database
KR20140133353A (ko)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US10514965B2 (en) * 2013-06-07 2019-12-24 Verizon New Jersey Inc.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of a device
USD741353S1 (en) * 2013-06-10 2015-10-2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324414A (zh) * 2013-06-20 2013-09-2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图标位置的方法及移动终端
US9204288B2 (en) 2013-09-25 2015-12-01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daptation of address books
TWI585672B (zh) * 2013-10-25 2017-06-01 英華達股份有限公司 電子顯示裝置及圖標控制方法
CN103631440B (zh) * 2013-11-18 2017-11-1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调整桌面图标位置的方法及移动终端
CN103605804B (zh) * 2013-12-06 2018-07-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桌面对象进行排序的方法及系统
CN104951180A (zh) * 2014-03-31 2015-09-3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图标管理系统及其图标管理方法
CN105359094A (zh) 2014-04-04 2016-02-24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可扩展应用表示
EP3129847A4 (en) 2014-04-10 2017-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EP3129846A4 (en) 2014-04-10 2017-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10402053B2 (en) * 2014-04-24 2019-09-03 Hyundai Motor Company Display system
US10656784B2 (en) * 2014-06-16 2020-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rranging ic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360657B2 (en) 2014-06-16 2019-07-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s Scaling content of touch-based systems
KR102340251B1 (ko) * 2014-06-27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D768676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8677S1 (en) * 2015-02-11 2016-10-11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7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696S1 (en) * 2015-02-11 2016-09-06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3274S1 (en) * 2015-02-11 2016-08-09 Nike, Inc.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527849A (zh) * 2016-10-31 2017-03-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调整图标位置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9106867A1 (ja) * 2017-11-30 2019-06-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テレビ
CN108073340A (zh) * 2017-12-18 2018-05-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429957B1 (en) 2020-10-26 2022-08-30 Wells Fargo Bank, N.A. Smart table assisted financial health
US11457730B1 (en) 2020-10-26 2022-10-04 Wells Fargo Bank, N.A. Tactile input device for a touch screen
US11740853B1 (en) * 2020-10-26 2023-08-29 Wells Fargo Bank, N.A. Smart table system utilizing extended reality
US11572733B1 (en) 2020-10-26 2023-02-07 Wells Fargo Bank, N.A. Smart table with built-in lockers
US11741517B1 (en) 2020-10-26 2023-08-29 Wells Fargo Bank, N.A. Smart table system for document management
US11397956B1 (en) 2020-10-26 2022-07-26 Wells Fargo Bank, N.A. Two way screen mirroring using a smart table
US11727483B1 (en) 2020-10-26 2023-08-15 Wells Fargo Bank, N.A. Smart table assisted financial health
US11513668B2 (en) * 2021-04-28 2022-11-29 Zoom Video Communications, Inc. Extensible user experience framework

Family Cites Families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8531T2 (de) * 1988-05-27 1998-04-16 Kodak Ltd Dokumentenmappen-abbild zur anzeige in einem datenverarbeitungssystem
US4931783A (en) * 1988-07-26 1990-06-0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able menu window
JP3134323B2 (ja) * 1991-02-09 2001-02-13 ソニー株式会社 ウイ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JP2710547B2 (ja) * 1994-02-15 1998-02-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5764873A (en) * 1994-04-14 1998-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zy drag of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bjects
JPH1139030A (ja) * 1997-07-15 1999-02-12 Tlv Co Ltd 設備管理装置及び設備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018571A (en) * 1997-09-30 2000-01-25 Mitel Corporation System for interactive control of a computer and telephone
US6068485A (en) * 1998-05-01 2000-05-30 Unisys Corporation System for synthesizing spoken messages
JP3792405B2 (ja) * 1998-08-10 2006-07-05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イル操作装置およびファイル操作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DE69921956T2 (de) * 1999-02-11 2006-02-09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Edgerät für die drahtlose Telekommunikation und Verfahren zur Anzeige von Symbolen auf einer Anzeigevorrichtung eines solchen Endgeräts
US6411292B1 (en) * 1999-03-31 2002-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play of pointing indicator within two-dimensional window display in three dimensions on a computer screen
US6909443B1 (en) * 1999-04-06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ask gallery computer interface
US6262724B1 (en) * 1999-04-15 2001-07-17 Apple Computer, Inc.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information
US6587556B1 (en) * 2000-02-25 2003-07-01 Teltronics, Inc. Skills based routing method and system for call center
US7321298B2 (en) * 2000-02-25 2008-01-22 Harris Corporation Skills based routing method and system for call center
JPWO2002056217A1 (ja) * 2000-12-27 2004-05-20 富士通株式会社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JP2002215287A (ja) 2001-01-23 2002-07-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395089B1 (en) * 2001-06-11 2008-07-01 Palm, Inc Integrated personal digital assistant device
JPWO2003043501A1 (ja) * 2001-11-22 2005-03-10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ワークフロー編集システム、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方法
US20040003411A1 (en) * 2002-06-28 2004-01-01 Minolta Co., Ltd. Image service system
JP4115198B2 (ja) *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JP3945445B2 (ja) * 2003-04-21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WO2004114113A1 (en) * 2003-06-20 2004-12-29 Apple Computer, Inc. Computer interface having a virtual single-layer mode for viewing overlapping objects
JP4193629B2 (ja) * 2003-07-25 2008-12-10 ソニー株式会社 画面表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画面表示方法
US7173619B2 (en) * 2004-07-08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Matching digital information flow to a human perception system
JP4701027B2 (ja) * 2004-09-02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TR201904404T4 (tr) * 2004-09-10 2019-04-22 Koninklijke Philips Nv En azından bir medya veri işleme cihazını kontrol etmeyi sağlamak için cihaz ve yöntem.
JP2006163948A (ja) * 2004-12-08 2006-06-2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TWI257081B (en) * 2004-12-24 2006-06-21 Hon Hai Prec Ind Co Ltd A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dynamic image
JP4645246B2 (ja) * 2005-03-16 2011-03-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アイコン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方法
US7830409B2 (en) * 2005-03-25 2010-11-09 Cherng-Daw Hwang Split screen video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WO2006123513A1 (ja) * 2005-05-19 2006-11-23 Access Co., Ltd.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KR20060133389A (ko) * 2005-06-20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07005789A2 (en) * 2005-06-30 2007-01-11 Sling Media, Inc. Screen management system for media player
US20070033539A1 (en) * 2005-08-04 2007-02-08 Thielman Jeffrey L Displaying information
US7966577B2 (en) * 2005-10-11 2011-06-21 Apple Inc. Multimedia control center
US8769408B2 (en) * 2005-10-07 2014-07-01 Apple Inc.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WO2007063714A1 (ja) * 2005-11-29 2007-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入出力装置、入出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20070240073A1 (en) * 2006-04-07 2007-10-11 Mccarthy Kev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96684B2 (en) *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JP4285500B2 (ja) * 2006-04-25 2009-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作装置
KR20070120368A (ko) 2006-06-19 2007-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인터페이스 기반의 메뉴 아이콘 제어방법 및 장치
TWI327308B (en) * 2006-10-05 2010-07-11 Acer Inc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with functions of intelligent remote control
KR100784969B1 (ko) 2006-12-20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기록 기반 메뉴 표시 방법
KR100801650B1 (ko) * 2007-02-13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대기 화면에서의 기능 실행 방법
JP2008204186A (ja) 2007-02-20 2008-09-04 Fuji Xerox Co Ltd 標章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379995B1 (ko) * 2007-04-17 2014-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TW200734916A (en) * 2007-05-03 2007-09-16 Ying-Chu Lee Method of using mouse wheel to operate picture
WO2008144557A1 (en) * 2007-05-18 2008-11-27 Smarttouch,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interactive service systems
WO2008144586A1 (en) * 2007-05-18 2008-11-27 Smarttouch,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munications via small data rate communication systems
KR101397152B1 (ko) * 2007-06-12 201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823076B2 (en) * 2007-07-13 2010-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implified user interface navigation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9619143B2 (en) * 2008-01-06 2017-04-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application launch icons
US20090074265A1 (en) * 2007-09-17 2009-03-19 Capsovision Inc. Imaging review and navigation workstation system
JP4519898B2 (ja) * 2007-11-06 2010-08-04 ザイオソフト株式会社 医療画像処理装置および医療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4443596B2 (ja) * 2007-11-09 2010-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09062124A1 (en) * 2007-11-09 2009-05-14 Wms Gaming, Inc. Interface for wagering game environments
JP5042787B2 (ja) * 2007-11-20 2012-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商品検索システム、商品検索方法及び商品検索プログラム
US20090150823A1 (en) * 2007-12-10 2009-06-11 Ati Technologies U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ndow Management in a Grid Management System
EP2093664A1 (de) * 2008-02-25 2009-08-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Bearbeitung einer Anzeige von Objekten
US20090234474A1 (en) * 2008-03-13 2009-09-17 Steiner Marilyn M Integrated FM/AM receiver, recorder and audio/video player for vehicles
US8832598B2 (en) * 2008-05-09 2014-09-09 Ricoh Company, Limited File management apparatus, fil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090288012A1 (en) * 2008-05-18 2009-11-19 Zetawire Inc. Secured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CN101587419B (zh) * 2008-05-21 2012-08-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控制触摸屏图标显示的方法
EP2291780A4 (en) * 2008-06-20 2011-08-03 Noki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INFORMATION
US20100036734A1 (en) * 2008-08-11 2010-02-11 Yang Pan Delivering Advertisement Messages to a User by the Use of Idle Screens of Electronic Devices
US9325716B2 (en) * 2008-12-30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nabling access to remotely stored content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448B1 (ko) * 2010-11-29 2013-07-03 팅크웨어(주) 아이콘 조정 방법 및 그를 적용한 단말 장치
WO2013073898A1 (en) * 2011-11-16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thereof
CN109085961B (zh) * 2011-11-16 2023-03-07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运行多个应用的移动设备及其方法
US11054986B2 (en) 2011-11-16 2021-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under a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9983664B2 (en) 2011-11-16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same
CN109085961A (zh) * 2011-11-16 2018-12-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运行多个应用的移动设备及其方法
US9335888B2 (en) 2011-12-27 2016-05-10 Intel Corporation Full 3D interaction on mobile devices
US9152308B2 (en) 2012-06-15 2015-10-06 Google Inc. Organizing graphical representations on computing devices
US10088991B2 (en) 2012-07-27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85456B2 (en) 2012-07-27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6212B2 (en) 2012-08-28 2018-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564792B2 (en) 2012-12-06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US10884620B2 (en) 2012-12-06 2021-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0540090B2 (en) 2012-12-06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86992B2 (en) 2012-12-06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76005B2 (en) 2012-12-06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1604580B2 (en) 2012-12-06 2023-03-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1899903B2 (en) 2012-12-06 2024-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853523B2 (en) 2012-12-06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1086479B2 (en) 2012-12-06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69705B2 (en) 2012-12-06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ch screen device
US11635869B2 (en) 2012-12-06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56389B2 (en) 2012-12-06 2022-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13419B2 (en) 2013-03-15 2020-07-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40113201A (ko) * 2013-03-15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423778A (zh) * 2013-08-26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移动终端图标排序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US10893092B2 (en) 2013-10-30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57612A (ko) * 2020-06-22 2021-12-2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문서 작성 프로그램에서 종속 관계에 있는 편집 액션의 손쉬운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2811A1 (en) 2010-03-11
US9621710B2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0968A (ko) 단말기 및 그의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516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3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0421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8929B1 (ko) 단말기 및 그 인터넷 이용 방법
KR2010003868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2010004297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39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0012563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73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7982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4589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10456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20133670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64267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99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7142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96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0585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81586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26362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2010003997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무선 통신 채널 변경 방법
KR1015887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6590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KR10154560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