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300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300A
KR20100072300A KR1020107009088A KR20107009088A KR20100072300A KR 20100072300 A KR20100072300 A KR 20100072300A KR 1020107009088 A KR1020107009088 A KR 1020107009088A KR 20107009088 A KR20107009088 A KR 20107009088A KR 20100072300 A KR20100072300 A KR 20100072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member
housing
opening
closing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3138B1 (ko
Inventor
마모루 오이시
켄이치 이리우치지마
다이사쿠 이가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 에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insertion in flat panels, e.g. in door or window-p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폐색 부재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또 탄성 씰재의 내구성을 높임에 있어서 유리한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
조작 손잡이(43)의 회전 조작으로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는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넓히면서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개방 위치(OP)에 도달한다.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상기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P)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상기 간격(S)을 축소시켜 폐색 위치(CP)에 도달하여, 밀봉 표면(2004A)을 입구 가장자리부(18A)에 누른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실외로 연통되는 환기 구멍의 실내측 개구를 폐색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개폐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기 장치로서, 실내에 배치되어 실외로 연통되는 환기 구멍의 실내측 개구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내에서 폐색 부재가 상기 실내측 개구의 상방을 이동함으로써 상기 실내측 개구를 개폐하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환기 장치에서는, 실내측 개구의 가장자리부에 탄성 씰재를 설치해 두고, 실내측 개구를 폐색했을 때에 실내측 개구를 통과하여 공기가 유통하지 않도록, 실내측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의 폐색 위치에서, 폐색 부재를 탄성 씰재에 탄성 접촉시켜 실내측 개구를 기밀하게 폐색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 탄성 씰재는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어 있고, 실내측 개구의 개폐시에 폐색 부재가 이동할 때에 폐색 부재가 탄성 씰재에 상시 접촉하고 있다(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279553
그 때문에 종래의 환기 장치에서는,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큰 힘을 필요로 하여, 폐색 부재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폐색 부재가 탄성 씰재에 상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씰재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색 부재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또 탄성 씰재의 내구성을 높임에 있어서 유리한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환기를 위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열설치된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폐색 부재와, 상기 폐색 부재를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기구를 구비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탄성 씰재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평면내에 뻗어있는 입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에 밀접하여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 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폐색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발생하는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색 위치 사이의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기구는 (1)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구동 기구에 구동되어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폐색 부재가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서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폐색 부재를 안내하고, 또한 (2)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구동 기구에 구동되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폐색 부재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평면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켜 상기 폐색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폐색 부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측 개구의 개방시에는 그 초기 단계만 폐색 부재가 탄성 씰재에 접촉하고, 또 실내측 개구의 폐색시에는 그 최종 단계만 폐색 부재가 탄성 씰재에 접촉하므로, 폐색 부재를 개방 위치와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킬 때에 종래와 같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은 힘으로 폐색 부재를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고, 또 종래와 같이 폐색 부재와 탄성 씰재는 상시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씰재의 내구성을 높임에 있어서도 유리해진다.
도 1은 건물 골격에 편입된 제1 실시형태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조작 손잡이를 제1 회전 위치로 한 상태의 하우징 부분의 평면도, (B)는 폐색 부재가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조작 기구, 폐색 부재, 실내측 개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조작 손잡이를 제2 회전 위치로 한 상태의 하우징 부분의 평면도, (B)는 폐색 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조작 기구, 폐색 부재, 실내측 개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조작 손잡이 부분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폐색 부재가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폐색 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폐색 부재의 움직임의 설명도이며, (A)는 폐색 부재와 실내측 개구의 평면도, (B)는 폐색 부재와 실내측 개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건물 골격에 편입된 제2 실시형태의 환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폐색 부재가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조작 기구, 폐색 부재, 실내측 개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폐색 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조작 기구, 폐색 부재, 실내측 개구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복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 지지판, 상부 플레이트, 슬라이드판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기립 위치에 위치하는 조작 레버, 지지판, 상부 플레이트, 슬라이드판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폐색 부재가 폐색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폐색 부재가 개방 위치에 위치한 상태의 환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조작 레버, 지지판, 상부 플레이트, 슬라이드판 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지지 플레이트상에 슬라이드판이 탑재된 평면도이다.
도 17은 지지 플레이트상에 슬라이드판이 탑재되고, 슬라이드판상에 상부 플레이트가 탑재된 평면도이다.
도 18(A)는 조작 레버의 평면도, (B)는 동 정면도, (C)는 동 측면도이다.
도 19(A)는 지지판의 평면도, (B)는 동 정면도, (C)는 동 측면도이다.
도 20(A)는 상부 플레이트의 평면도, (B)는 동 정면도이다.
도 21(A)는 슬라이드판의 평면도, (B)는 동 정면도, (C)는 동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형태로부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2는 창 유리, 4는 건물 골격을 도시하고 있으며, 창 유리(2)의 하부에 환기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10)는 실내에 배치되어 환기 구멍(12)의 실내측 개구(14)가 설치된 하우징(16)과, 실내측 개구(14)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탄성 씰재(기밀재)(18)와, 실내측 개구(14)를 개폐하는 폐색 부재(20)와, 폐색 부재(20)를 실내측 개구(14)로부터 퇴피시켜 실내측 개구(14)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OP)와, 실내측 개구(14)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CP)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기구(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 기구(23)는 폐색 부재(2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24)와, 구동 기구(24)에 의해 구동되어 발생하는 개방 위치(OP)와 폐색 위치(CP) 사이의 폐색 부재(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25)를 구비하고 있다.
환기 구멍(12)은 실외로 개구하는 실외측 개구(12A)를 가지고, 실내외를 연통하고 있으며, 실내측 개구(14)는 환기를 위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이다.
도 4 내지 도 6,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6)은 건물의 붙박이 창의 창틀에 편입시키기에 적합한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6)은 직육면체틀 형상의 프레임(32)과, 프레임(32)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상판(34) 등을 구비하고,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34)에는 환기를 행하기 위한 다수의 슬릿(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외측 개구(12A)나, 슬릿(36)이 위치하는 상판(34)의 하면에 방충망을 설치하는 것 등은 임의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2)의 바닥판(38)은 수평으로 뻗어 있고, 실내측 개구(14)는 이 바닥판(38)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측 개구(14)는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환기 구멍(12)을 통과하여 실외로부터 실내를 향하는 공기는 실내측 개구(14)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고,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공기는 실내측 개구(14)에서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실내측 개구(14)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실내측 개구(14)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16)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탄성 씰재(18)는 바닥판(38)의 상방으로 팽창돌출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은 탄성 씰재(18)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평면(P)(도 6 참조)내에 뻗어있는 입구 가장자리부(18A)에 형성되며, 따라서, 실내측 개구(14)는 입구 가장자리부(18A)를 가지고 있다.
실내측 개구(14)를 형성하는 2개의 장변 중,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 방향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장변의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32)의 개소에 돌기(3210)가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20)는 하우징(16)내에 배열설치되고,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폐색 부재(20)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16)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폐색 부재(20)의 이동 방향은 이 폐색 부재(20)의 폭 방향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0)는 중공형상이며, 서로 평행한 상벽(2002)과 하벽(2004)을 가지고 있다.
하벽(2004)의 하면은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에 있을 때에 입구 가장자리부(18A)에 밀접하여 실내측 개구(14)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 표면(2004A)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20)의 장변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벽(2002)의 2개소에 각각 가이드핀(40)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폐색 부재(20)의 2개의 장변 중 일방의 장변 부분에 하벽(2004)의 부분이 상벽(2002)보다 단변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20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장변 중 타방의 장변을 이루는 하벽(2004)의 부분은 상벽(2002)의 부분보다 단변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 걸어맞춤편(201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26)은 하우징(16)내에서 폐색 부재(20)의 상방으로 실내측 개구(14)의 단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고,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26)은 실내측 개구(14)의 장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26)에 폐색 부재(20)의 이동 방향인 실내측 개구(14)의 단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긴구멍(42)이 뻗어 형성되고, 이 긴구멍(42)에는 가이드핀(40)이 긴구멍(4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핀(40)이 긴구멍(42)내를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폐색 부재(20)는 실내측 개구(14)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구동 기구(24)는 하우징(16)에 부착된 조작 핸들인 조작 손잡이(43)와, 조작 손잡이(43)와 폐색 부재(20)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기구(51)를 구비하고, 유저가 조작 손잡이(43)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폐색 부재(20)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링크 기구(51)는 피니언(44), 랙(46), 슬라이딩 운동 부재(48), 링크 암(50), 가이드핀(40), 긴구멍(4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43)는 하우징(16)내에서 상판(34)의 오목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44)은 조작 손잡이(43)의 하부에 조작 손잡이(43)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부착된다.
슬라이딩 운동 부재(48)는 실내측 개구(1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있고, 프레임(32)의 가이드(3202)에 실내측 개구(1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즉 폐색 부재(2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랙(46)은 슬라이딩 운동 부재(48)에 부착되어 피니언(44)에 맞물려 있고, 따라서, 슬라이딩 운동 부재(48)는 조작 손잡이(43)의 회전 동작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한다.
링크 암(50)은 슬라이딩 운동 부재(48)와 가이드핀(40)에 양단이 피봇 장착되어, 슬라이딩 운동 부재(48)의 이동에 따라 폐색 부재(20)를 이동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암(50)은 2개 설치되고, 각 링크 암(50)의 일단은 슬라이딩 운동 부재(4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2개소에 축(480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각 링크 암(50)의 타단은 가이드판(26)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긴구멍(42)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핀(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도 2(A)에 도시한 조작 손잡이(43)의 제1 회전 위치에서 폐색 부재(20)를 폐색 위치(CP)에 위치시키고, 또 도 3(A)에 도시한 조작 손잡이(43)의 제2 회전 위치에서 개방 위치(OP)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암(50)은 로드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축심을 가지고 있고, 링크 암(50)의 길이 방향 축심의 뻗어있는 방향과 슬라이딩 운동 부재(48)의 이동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는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에 있을 때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고,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에 도달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안내 기구(25)는 제1 캠면(30)과, 제2 캠면(31)과, 가압 기구(2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캠면(30)은 하우징측 캠면(30A)과 폐색 부재측 캠면(30B)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측 캠면(30A)은 실내측 개구(14)를 형성하는 2개의 장변 중,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장변의 상방의 프레임(32)의 개소에 설치되고, 평면(P)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측 캠면(30A)은 폐색 부재(20)의 걸어맞춤 볼록부(2010)에 걸어맞출 수 있다.
폐색 부재측 캠면(30B)은 폐색 부재(20)의 걸어맞춤편(2012)의 내면에 평면(P)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측 캠면(30B)은 프레임(32)의 돌기(3210)에 걸어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캠면(30)에 의해 폐색 부재(20)의 2개의 장변 부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측 개구(14)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폐색 부재(20)의 움직임의 안정화가 도모되고 있다.
제2 캠면(31)은 가이드판(26)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캠면(31)은 평면(P)에 대해서 평행하게 뻗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20)가 가이드판(26)의 제2 캠면(31)에 맞닿은 상태에서, 폐색 부재(20)의 밀봉 표면(2004A)과 탄성 씰재(18)의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에 상하 방향의 간격(S)이 확보된다.
가압 기구(28)는 제1 캠면(30) 및 제2 캠면(31)을 통하여 폐색 부재(20)를 하우징(16)에 누르도록 가압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압 기구(28)는 가이드핀(40)과 코일 스프링(28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8A)은 각 가이드핀(40)의 외주에서 가이드핀(40)의 머리부와 링크 암(50)의 일단 사이에 감겨 장착되고, 가이드판(26) 및 링크 암(50)의 일단에 대해서 가이드핀(40)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초기 단계에서, 가압 기구(28)에 의해 폐색 부재(20)의 걸어맞춤 볼록부(2010)가 하우징측 캠면(30A)에 걸어맞춰지고, 폐색 부재측 캠면(30B)이 프레임(32)의 돌기(3210)에 걸어맞춰지며, 그 후에 그들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폐색 부재(20)의 상벽(2002)의 상면이 제2 캠면(31)에 맞닿아 개방 위치(OP)에 이른다.
즉, 안내 기구(25)는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에, 제1 캠면(30)에 의한 폐색 부재(20)의 안내와, 제2 캠면(31)에 의한 폐색 부재(20)의 안내가 교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기구(25)는 폐색 부재(20)가 구동 기구(24)에 구동되어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가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넓히면서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개방 위치(OP)에 도달하도록 폐색 부재(20)를 안내한다.
또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가압 기구(28)에 의해 폐색 부재(20)의 상벽(2002)의 상면이 제2 캠면(31)에 맞닿고, 최종 단계에서 상기한 맞닿음이 해제되어 폐색 부재(20)의 걸어맞춤 볼록부(2010)가 하우징측 캠면(30A)에 걸어맞춰지고, 폐색 부재측 캠면(30B)이 프레임(32)의 돌기(3210)에 걸어맞춰져 폐색 위치(CP)에 이른다.
즉, 안내 기구(25)는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에, 제1 캠면(30)에 의한 폐색 부재(20)의 안내와, 제2 캠면(31)에 의한 폐색 부재(20)의 안내가 교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기구(25)는 폐색 부재(20)가 구동 기구(24)에 구동되어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P)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축소시켜 폐색 위치(CP)에 도달하도록 폐색 부재(20)를 안내한다.
또한 제1 캠면(30)은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일방에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평면(P)에 대해서 경사져 뻗어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또 제2 캠면(31)은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일방에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평면(P)에 대해서 평행하게 뻗어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즉, 제1 캠면(30)과 제2 캠면(31)은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일방에 하우징(16)과 폐색 부재(2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되고, 실시형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다양한 걸어맞춤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손잡이(43)를 회전 조작하면, 도 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24) 및 안내 기구(25)를 통하여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와 폐색 위치(CP) 사이에서 구동된다.
그리고, 폐색 부재(2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는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넓히면서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개방 위치(OP)에 도달한다.
또 폐색 부재(2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20)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P)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2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18A) 사이의 간격(S)을 축소시켜 폐색 위치(CP)에 도달하여, 밀봉 표면(2004A)을 입구 가장자리부(18A)에 누른다.
따라서, 폐색 부재(20)를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시키는 개방 조작시에는 초기 단계를 제외하고 폐색 부재(20)와 탄성 씰재(18)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폐색 부재(20)를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시키는 폐색 조작시에는 최종 단계를 제외하고 폐색 부재(20)와 탄성 씰재(18)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조작 손잡이(43)를 회전 조작할 수 있어, 실내측 개구(14)의 개폐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폐색 부재(20)의 이동시에 탄성 씰재(18)와 폐색 부재(20)는 상시 접촉하지 않으므로, 탄성 씰재(18)의 내구성을 높임에 있어서도 유리해진다.
또 링크 암(50)과 슬라이딩 운동 부재(48)가 이루는 각도(θ)를 폐색 부재(20)의 폐색 위치(CP)에서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했으므로, 폐색 부재(20)의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 및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서 폐색 부재(20)와 탄성 씰재(18)가 접촉하기는 하지만, 조작 손잡이(43)에 가하는 힘이 작아도, 가이드핀(40)에는 폐색 부재(2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실내측 개구(14)의 개폐를 간단히 행함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 폐색시에 외기에 의한 압력이 작용해도 폐색 부재(20)는 이동하기 어렵고, 폐색시의 기밀성을 유지함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환기 장치(60)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창 유리의 하부의 건물 골격에 설치된다.
환기 장치(60)는 실외로 연통되는 환기 구멍(62)의 실내측 개구(64)가 설치된 하우징(66)과, 실내측 개구(64)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탄성 씰재(기밀재)(68)와, 실내측 개구(64)를 개폐하는 폐색 부재(70)와, 폐색 부재(70)를 실내측 개구(64)로부터 퇴피시켜 실내측 개구(64)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OP)와, 실내측 개구(64)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CP)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기구(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 기구(71)는 폐색 부재(70)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74)와, 구동 기구(74)에 의해 구동되어 발생하는 개방 위치(OP)와 폐색 위치(CP) 사이의 폐색 부재(7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75)를 구비하고 있다.
환기 구멍(62)은 실외로 개구되는 실외측 개구를 가지고, 실내외를 연통하고 있으며, 실내측 개구(64)는 환기를 위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이다.
도 8 내지 도 10,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6)은 건물의 붙박이 창의 창틀에 편입시키기에 적합한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8,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66)은 직육면체틀 형상의 프레임(82)과, 프레임(82)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직사각형의 상판(8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판(84)에는 환기를 행하기 위한 다수의 슬릿(8402)이 형성되고, 또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에는 틀형상의 화장판(8404)이 끼워져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82)의 바닥판(8202)은 수평으로 뻗어 있고, 실내측 개구(64)는 이 바닥판(8202)에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내측 개구(64)는 수평면상에 뻗어있고, 환기 구멍(62)을 통과하여 실외로부터 실내를 향하는 공기는 실내측 개구(64)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고,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공기는 실내측 개구(64)에서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실내측 개구(64)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실내측 개구(64)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66)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실내측 개구(64)를 형성하는 2개의 장변 중,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장변의 외측에 위치하는 프레임(82)의 개소에 돌기(821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씰재(68)는 바닥판(8202)의 상방으로 팽창돌출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고, 이 부분은 탄성 씰재(68)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평면(P)(도 6 참조)내에 뻗어있는 입구 가장자리부(68A)에 형성되고, 따라서, 실내측 개구(64)는 입구 가장자리부(68A)를 가지고 있다.
폐색 부재(70)는 하우징(66)내에 배열설치되어,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폐색 부재(70)의 길이 방향은 하우징(66)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폐색 부재(70)의 이동 방향은 이 폐색 부재(70)의 폭 방향이다.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70)는 중공형상이며, 서로 평행한 상벽(7002)과 하벽(7004)을 가지고 있다.
하벽(7004)의 하면은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에 있을 때에 입구 가장자리부(68A)에 밀접하여 실내측 개구(64)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 표면(7004A)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70)의 장변 방향으로 간격을 둔 상벽(7002)의 2개소에 각각 가이드핀(86)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폐색 부재(70)의 2개의 장변 중 일방의 장변 부분에 하벽(7004)의 부분이 상벽(7002)보다 단변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70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2개의 장변 중 타방의 장변을 이루는 하벽(7004)의 부분은 상벽(7002)의 부분보다 단변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 걸어맞춤편(7062)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76)은 하우징(66)내에서 폐색 부재(70)의 상방에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으로 뻗어 있고,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76)은 실내측 개구(64)의 장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판(76)에 폐색 부재(70)의 이동 방향인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긴구멍(88)이 뻗어서 형성되고, 이 긴구멍(88)에는 가이드핀(86)이 긴구멍(88)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핀(86)이 긴구멍(88)내를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폐색 부재(70)는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구동 기구(74)는 하우징(66)에 부착된 조작 핸들인 조작 레버(90)와, 조작 레버(90)와 폐색 부재(70)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기구(91)를 구비하고, 유저가 조작 레버(90)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폐색 부재(70)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크 기구(91)는 지지판(94), 링크(96), 슬라이드판(98), 상부 플레이트(100), 슬라이딩 운동 부재(92), 링크 암(89), 가이드핀(86), 긴구멍(8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프레임(82)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도 9 내지 도 12,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으로 뻗어있는 지지판(94)이 부착되어 있다.
지지판(94)은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을 따른 폭과, 실내측 개구(64)의 장변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지고 있다.
지지판(94)의 폭 방향의 양단의 굴곡편부(9402, 9404)가 프레임(82)에 부착되어 있고, 폭 방향의 일측에 가이드핀 부착 구멍(9406)이 형성되며, 폭 방향의 타측에 가이드 홈(9408)이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판(94)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한 쌍의 굴곡편(9410)이 기립되고, 굴곡편(9410)에는 지지축용 구멍(9412)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90)는 실내측 개구(6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조작 레버(90)는 화장판(8404)의 개구(840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90)는 그 기부의 하부의 구멍(9002)과 굴곡편(9410)의 지지축용 구멍(9412)에 삽입통과된 핀(9004)을 통하여 굴곡편(9410)에서 지지되고, 따라서, 조작 레버(90)는 하우징(66)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기립도복 가능하다.
또 조작 레버(90)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하부의 핀 삽입통과 구멍(9004)에 삽입통과된 핀(9006)에 의해 조작 레버(90)의 길이 방향 중간부의 하부와 링크(96)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지지판(94)상에 도 15,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98)이 배치되고, 도 11, 도 12,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94)상에서 슬라이드판(98)상에 상부 플레이트(100)가 배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00)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을 따른 폭과, 실내측 개구(64)의 장변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상부 플레이트(100)는 화장판(8404)의 개구(8406)내에 있어서 하우징(66)의 내부를 숨기기 위한 것이며, 개구(8406)보다 큰 윤곽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100)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가깝게 형성된 제1 판부(100A)와, 이 제1 판부(100A)에 굴곡부(100B)를 통하여 연결된 제2 판부(100C)를 가지고, 제1 판부(100A)와 제2 판부(100C)는 판부(100A, 100C)의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드판(98)의 두께만큼 변위하고 있으며, 또한 서로 평행하고 있다.
제2 판부(100C)의 단부에는 2개의 긴 홈(1002)이 형성되고, 제2 판부(100C)의 제1 판부(100A)에 가까운 개소에는 긴 홈(1004)이 뻗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100)는 2개의 긴 홈(1002)에 지지판(94)의 굴곡편(9410)이 삽입통과되고, 제1 판부(100A)가 지지판(94)상에 탑재되며, 제2 판부(100C)가 슬라이드판(98)상에 탑재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00)는 긴 홈(1002)에 지지판(94)의 굴곡편(9410)이 삽입통과됨으로써 실내측 개구(64)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굴곡편(9410)에 지지축용 구멍(9412) 및 핀(9004)을 통하여 연결된 조작 레버(90)의 기부가 상부 플레이트(100)상에 위치함으로써 또 후술하는 슬라이드판(98)의 연결편(9804)에 연결된 링크(96)의 단부가 위치함으로써 상방으로의 빠짐이 저지되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판(98)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94)상을 슬라이딩 운동하는 본체판부(9802)를 가지고 있고, 본체판부(9802)는 실내측 개구(64)의 단변 방향에 따른 폭과, 실내측 개구(64)의 장변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가지고 있다.
본체판부(9802)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 연결편(9804)이 돌출설치되고, 연결편(9804)의 끝부에 핀 삽입통과 구멍(9806)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판부(9802)의 폭 방향의 일측에 본체판부(9802)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가이드 홈(980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판부(9802)의 폭 방향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가이드핀 부착 구멍(9810)이 2개 형성되고, 또 슬라이딩 운동 부재 부착 구멍(9812)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판(98)의 본체판부(9802)는 지지판(94)상에 탑재되고, 연결편(9804)을 상부 플레이트(100)의 긴 홈(1004)에 삽입통과시켜 상부 플레이트(100)의 제2 판부(100C)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편(9804)의 끝부가 핀 삽입통과 구멍(9806)에 삽입통과된 핀(9814)에 의해 링크(96)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홈(9808)에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판부(9802)의 상방으로부터 가이드핀(102)이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고, 이 가이드핀(102)의 하부는 지지판(94)의 가이드핀 부착 구멍(9406)에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핀(102)의 머리부는 가이드 홈(9808)의 폭보다 큰 치수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본체판부(9802)상에 위치하며, 가이드핀(102)의 머리부에 의해 본체판부(9802)를 상방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가이드핀 부착 구멍(9810)에는 도 16,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판부(9802)의 상방으로부터 가이드핀(104)이 삽입통과되고, 이 가이드핀(104)의 상부는 가이드핀 부착 구멍(9810)에 부착되며, 가이드핀(104)의 하부는 지지판(94)의 가이드 홈(9408)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된다.
따라서, 조작 레버(90)의 기립도복 동작에 의해 링크(96)를 통하여 슬라이드판(98)이 실내측 개구(1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슬라이딩 운동 부재(92)는 실내측 개구(6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있고, 슬라이드판(98)의 본체판부(9802)의 폭 방향의 타측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 9,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운동 부재(92)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와 본체판부(9802)는 슬라이딩 운동 부재 부착 구멍(9812)에 삽입통과된 연결핀(10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슬라이딩 운동 부재(92)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링크 암(89)의 타단이 가이드핀(10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들 가이드핀(108)은 가이드판(76)의 실내측 개구(6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7602)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운동 부재(70)는 가이드핀(108), 긴구멍(7602)을 통하여 실내측 개구(64)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즉, 폐색 부재(70)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링크 암(89)은 슬라이딩 운동 부재(92)와 가이드핀(86)에 양단이 피봇 장착되어, 슬라이딩 운동 부재(92)의 이동에 따라 폐색 부재(7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90)가 개구(8406)내에 수용되고 상판(84)과 평행한 도복 위치에서, 실내측 개구(64)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CP)에 폐색 부재(70)를 위치시키고, 또 도 1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90)가 비스듬히 상방으로 기립한 기립 위치에서, 실내측 개구(64)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OP)에 폐색 부재(70)를 위치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암(89)은 로드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축심을 가지고 있고, 링크 암(89)의 길이 방향 축심의 뻗어있는 방향과 슬라이딩 운동 부재(70)의 이동 방향이 이루는 각도(θ)는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에 있을 때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고,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에 도달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안내 기구(75)는 제1 캠면(80)과, 제2 캠면(81)과, 가압 기구(78)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캠면(80)은 하우징측 캠면(80A)과 폐색 부재측 캠면(80B)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측 캠면(80A)은 실내측 개구(64)를 형성하는 2개의 장변 중, 폐색 부재(7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를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위치하는 장변의 상방의 프레임(82)의 개소에 설치되고, 평면(P)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측 캠면(80A)은 폐색 부재(70)의 걸어맞춤 볼록부(7010)에 걸어맞출 수 있다.
폐색 부재측 캠면(80B)은 폐색 부재(70)의 걸어맞춤편(7062)의 내면에 평면(P)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폐색 부재측 캠면(80B)은 프레임(82)의 돌기(8210)에 걸어맞출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캠면(80)에 의해 폐색 부재(70)의 2개의 장변 부분을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실내측 개구(64)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폐색 부재(70)의 움직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캠면(81)은 가이드판(76)의 하면에 형성되고, 제2 캠면(81)은 평면(P)에 대해서 평행하게 뻗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색 부재(70)의 상면이 가이드판(76)의 제2 캠면(81)에 맞닿은 상태에서, 폐색 부재(70)의 밀봉 표면(7004A)과 탄성 씰재(68)의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에 상하 방향의 간격(S)이 확보된다.
또한, 제1 캠면(80)과 제2 캠면(81)은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일방에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게 설치되면 되고, 실시형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다양한 걸어맞춤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가압 기구(78)는 제1 캠면(80) 및 제2 캠면(81)을 통하여 폐색 부재(70)를 하우징(66)에 누르도록 가압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압 기구(78)는 가이드핀(80)과 코일스프링(78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78A)은 각 가이드핀(80)의 외주에서 가이드핀(80)의 머리부와 링크 암(89)의 일단 사이에 감겨 장착되고, 가이드판(76) 및 링크 암(89)의 일단에 대해서 가이드핀(86)을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초기 단계에서, 가압 기구(78)에 의해 폐색 부재(70)의 걸어맞춤 볼록부(7010)가 하우징측 캠면(80A)에 걸어맞춰지고, 폐색 부재측 캠면(80B)이 프레임(82)의 돌기(8210)에 걸어맞춰지며, 그 후, 그들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폐색 부재(70)의 상벽(7002)의 상면이 제2 캠면(81)에 맞닿아 개방 위치(OP)에 이른다.
즉, 안내 기구(75)는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에, 제1 캠면(80)에 의한 폐색 부재(70)의 안내와, 제2 캠면(81)에 의한 폐색 부재(70)의 안내가 교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기구(75)는 폐색 부재(70)가 구동 기구(74)에 구동되어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70)가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넓히면서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개방 위치(OP)에 도달하도록 폐색 부재(70)를 안내한다.
또 폐색 부재(7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가압 기구(78)에 의해 폐색 부재(70)의 상벽(7002)의 상면이 제2 캠면(81)에 맞닿고, 최종 단계에서 상기한 맞닿음이 해제되어 폐색 부재(70)의 걸어맞춤 볼록부(7010)가 하우징측 캠면(80A)에 걸어맞춰지고, 폐색 부재측 캠면(80B)이 프레임(82)의 돌기(8210)에 걸어맞춰져 폐색 위치(CP)에 이른다.
즉, 안내 기구(75)는 폐색 부재(7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에, 제1 캠면(80)에 의한 폐색 부재(70)의 안내와, 제2 캠면(81)에 의한 폐색 부재(70)의 안내가 교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기구(75)는 폐색 부재(70)가 구동 기구(74)에 구동되어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70)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P)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축소시켜 폐색 위치(CP)에 도달하도록 폐색 부재(70)를 안내한다.
또한, 제1 캠면(80)은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일방에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평면(P)에 대해서 경사져 뻗어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또 제2 캠면(81)은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일방에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평면(P)에 대해서 평행하게 뻗어있도록 설치되면 된다.
즉, 제1 캠면(80)과 제2 캠면(81)은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일방에 하우징(66)과 폐색 부재(70)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도록 설치되면 되고, 실시형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다양한 걸어맞춤 구조가 채용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작 레버(90)를 요동 조작하면, 도 7(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74) 및 안내 기구(75)를 통하여 폐색 부재(70)가 개방 위치(OP)와 폐색 위치(CP) 사이에서 구동된다.
그리고, 폐색 부재(70)가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70)는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넓히면서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개방 위치(OP)에 도달한다.
또 폐색 부재(70)가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할 때, 폐색 부재(70)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평면(P)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밀봉 표면(7004A)과 입구 가장자리부(68A) 사이의 간격(S)을 축소시켜 폐색 위치(CP)에 도달하여, 밀봉 표면(7004A)을 입구 가장자리부(68A)에 누른다.
따라서, 폐색 부재(70)를 폐색 위치(CP)로부터 개방 위치(OP)로 이동시키는 개방 조작시에는 초기 단계를 제외하고 폐색 부재(70)와 탄성 씰재(68)는 접촉하지 않는다. 또 폐색 부재(70)를 개방 위치(OP)로부터 폐색 위치(CP)로 이동시키는 폐색 조작시에는 최종 단계를 제외하고 폐색 부재(70)와 탄성 씰재(68)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작은 힘으로 조작 레버(90)를 요동 조작할 수 있어, 실내측 개구(64)의 개폐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 폐색 부재(70)의 이동시에 탄성 씰재(68)와 폐색 부재(70)는 상시 접촉하지 않으므로, 탄성 씰재(68)의 내구성을 높임에 있어서도 유리해진다.
또 링크 암(89)과 슬라이딩 운동 부재(92)가 이루는 각도(θ)를 폐색 부재(70)의 폐색 위치(CP)에서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도록 했으므로, 폐색 부재(70)의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 및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서 폐색 부재(70)와 탄성 씰재(68)가 접촉하지만, 조작 레버(90)에 가하는 힘이 작아도, 가이드핀(86)에는 폐색 부재(70)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실내측 개구(64)의 개폐를 간단히 행함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또 폐색시에 외기에 의한 압력이 작용해도 폐색 부재(70)는 이동하기 어려워, 폐색시의 기밀성을 유지함에 있어서 유리해진다.
10, 60……환기 장치 12, 62……환기 구멍
14, 64……실내측 개구 16, 66……하우징
18, 68……탄성 씰재 20, 70……폐색 부재
24, 74……구동 기구 25, 75……안내 기구
26, 76……가이드판 28, 78……가압 기구
30, 80…… 제1 캠면 31, 81…… 제2 캠면

Claims (8)

  1. 환기를 위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배열설치된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폐색 부재와,
    상기 폐색 부재를,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 기구,
    를 구비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탄성 씰재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평면내에 뻗어있는 입구 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폐색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에 밀접하여 상기 개구를 폐색하는 평탄한 밀봉 표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조작 기구는 상기 폐색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발생하는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색 위치 사이의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안내 기구는,
    (1)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구동 기구에 구동되어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폐색 부재가 당해 개방 이동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서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 그 후에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폐색 부재를 안내하고, 또한,
    (2)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구동 기구에 구동되어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색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폐색 부재가 당해 폐색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이를 때까지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평면을 따라 이동하고, 최종 단계에서는 상기 밀봉 표면과 상기 입구 가장자리부 사이의 간격을 축소시켜 상기 폐색 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폐색 부재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기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색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색 부재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상기 평면에 대해서 경사져 뻗어 있는 제1 캠면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색 부재의 일방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폐색 부재의 타방과 걸어맞출 수 있으며, 상기 평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뻗어 있는 제2 캠면과,
    상기 제1 캠면 및 상기 제2 캠면을 통하여 상기 폐색 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누르도록 가압하는 가압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와 상기 폐색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캠면에 의한 상기 폐색 부재의 안내와, 상기 제2 캠면에 의한 상기 폐색 부재의 안내가 교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조작 핸들과,
    이 핸들 부재와 상기 폐색 부재를 연결하고 있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유저가 상기 조작 핸들을 수동 조작함으로써 상기 폐색 부재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조작 손잡이이며,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조작 손잡이에 부착되어 이 조작 손잡이와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 있는 랙과,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상기 랙이 부착되며, 상기 조작 손잡이의 회전 동작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운동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과,
    상기 폐색 부재에 돌출설치된 상기 긴구멍에 삽입되어 이 긴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가이드핀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 부재와 상기 가이드핀에 양단이 피봇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는 링크 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조작 손잡이가 제1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색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 손잡이가 제2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핸들은 상기 하우징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 기립도복 가능한 조작 레버이며,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연결 암을 통하여 상기 조작 레버에 연결되며, 상기 조작 레버의 기립도복 동작에 따라 왕복 운동을 하는 슬라이딩 운동 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긴구멍과,
    상기 폐색 부재에 돌출설치된 상기 긴구멍에 삽입되어 이 긴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가이드핀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 부재와 상기 가이드핀에 양단이 피봇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폐색 부재를 이동시키는 링크 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는 상기 조작 레버가 도복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색 위치에 있고, 상기 조작 레버가 기립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암은 로드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 축심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링크 암의 상기 길이 방향 축심의 뻗어있는 방향과 상기 슬라이딩 운동 부재의 이동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에 있을 때 직각에 가까운 각도가 되고, 상기 폐색 부재가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함에 따라서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건물의 붙박이 창의 창틀에 편입시키기에 적합한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의 길이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상기 폐색 부재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고, 상기 폐색 부재의 길이 방향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으며,
    상기 폐색 부재의 이동 방향은 이 폐색 부재의 폭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KR1020107009088A 2007-11-28 2008-11-20 환기 장치 KR101163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6831 2007-11-28
JPJP-P-2007-306831 2007-11-28
PCT/JP2008/071074 WO2009069525A1 (ja) 2007-11-28 2008-11-20 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300A true KR20100072300A (ko) 2010-06-30
KR101163138B1 KR101163138B1 (ko) 2012-07-06

Family

ID=4067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088A KR101163138B1 (ko) 2007-11-28 2008-11-20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002653B2 (ko)
KR (1) KR101163138B1 (ko)
CN (1) CN101855500B (ko)
TW (1) TWI432680B (ko)
WO (1) WO2009069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8280B2 (en) 2009-11-30 2013-12-31 Applied Biorefinery Sciences Llc Biorefinery process for extraction, separation, and recovery of fermentable saccharides, other useful compounds, and yield of improved lignocellulosic material from plant biomass
JP5966760B2 (ja) * 2012-08-20 2016-08-10 オイレスEco株式会社 縦型定風量換気装置
JP6653880B2 (ja) * 2016-06-30 2020-02-26 オイレスEco株式会社 換気装置
JP2022026185A (ja) 2020-07-30 2022-02-10 株式会社豊和 自然換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2949B2 (ja) * 1994-10-31 1999-05-17 松下精工株式会社 給気電動シャッター
JP3117933B2 (ja) * 1997-05-22 2000-12-18 松井 健司 通気住宅用の壁内流通フィン
JPH11190542A (ja) * 1997-12-26 1999-07-13 Natl House Ind Co Ltd 住宅の換気システム
KR100365591B1 (ko) * 2000-06-12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02653B2 (ja) 2012-08-15
TW200940918A (en) 2009-10-01
CN101855500B (zh) 2013-04-10
JPWO2009069525A1 (ja) 2011-04-14
KR101163138B1 (ko) 2012-07-06
CN101855500A (zh) 2010-10-06
TWI432680B (zh) 2014-04-01
WO2009069525A1 (ja)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138B1 (ko) 환기 장치
US7507042B2 (en) Lens cover apparatus for camera
US7520687B2 (en) Lens cover apparatus for camera
JP4772524B2 (ja) 多方向開放窓
JP2016089523A (ja) スライドドアのアシスト引手
JP4718265B2 (ja) 換気装置
JP4314635B2 (ja) 換気装置
JP4686213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US812488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opening/closing door
KR101769026B1 (ko) 자연 환기창
JP3983181B2 (ja) 換気装置
KR101017581B1 (ko) 환기창용 각도조정레버의 멈춤장치
JP6653880B2 (ja) 換気装置
CN110056273B (zh) 门窗
KR102674145B1 (ko) 루버 손잡이
AU2020223654B2 (en) Ventilation device
TWI727330B (zh) 動作裝置及門窗
JPH08291936A (ja) 車両用空調吹出装置のバルブシャッター開閉操作ユニット及び同吹出装置
FR3125554B1 (fr) Installation de volet coulissant à lames orientables
JP6910071B2 (ja) ゲーム機用上部蝶番
KR20130118205A (ko) 환기 장치
KR20230016912A (ko) 루버 손잡이
JP2023063786A (ja) 建具
JP5507716B1 (ja) 換気装置
JP2002081707A (ja) パイプ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