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8205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18205A KR20130118205A KR1020127031864A KR20127031864A KR20130118205A KR 20130118205 A KR20130118205 A KR 20130118205A KR 1020127031864 A KR1020127031864 A KR 1020127031864A KR 20127031864 A KR20127031864 A KR 20127031864A KR 20130118205 A KR20130118205 A KR 201301182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closing member
- cam
- plat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장치 본체(2)에는 캠 블럭(10)이 설치된다. 캠 블럭(10)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12), 및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제1 판재(31)가 설치된다. 제1 판재(31)는 그 제1 판부(31a)가 제1 경사면(1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 판재(31)의 우하측의 단부에는 제3 판부(31c)가 원호부(31e)를 통하여 연결 설치된다. 제3 판부(31c)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한다. 개폐 부재(6)에는 제1 접촉부(51)가 설치된다. 제1 접촉부(51)는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그에 의해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압박된다. 하방으로 압박된 개폐 부재(6)는,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옥외와 옥내의 사이에서 환기를 행할 때 사용되는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환기 장치는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와 개폐 부재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는 건물의 벽이나 창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옥외와 옥내를 연통하는 환기 통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폐 부재는 환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른 일측부는, 장치 본체에 직선 이동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부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직선 이동 가능하며,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다.
장치 본체와 개폐 부재의 타측부와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캠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캠 기구는, 장치 본체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1 방향이라고 함)으로 직선 이동하면,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폐쇄 위치측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개폐 부재가 제1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는 폐쇄 위치까지 회전하면, 장치 본체에 밀봉 부재를 통하여 맞닿아 환기 통로를 폐쇄한다. 이에 의해 실외와 실내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
제2 캠 기구는, 장치 본체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하, 제2 방향이라고 함)으로 직선 이동하면,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개폐 부재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는 개방 위치로 회전하면 환기 통로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실외와 실내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
제1 캠 기구는,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과,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한 가압면을 갖고 있다. 경사면은,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때, 개폐 부재에 접촉하여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부터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여 제1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가 경사면을 넘어 가압면에 가압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는 가압면이 개폐 부재의 직선 이동 방향과 평행하기 때문에, 개폐 부재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즉,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장치 본체나 개폐 부재에는 불가피적인 제조 오차가 있다. 그 제조 오차는 가압면이나 폐쇄 위치로 회전한 개폐 부재가 맞닿는 장치 본체의 접촉면의 위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 결과, 개폐 부재가 폐쇄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개폐 부재가 장치 본체에 과대한 힘으로 가압 접촉하거나, 반대로 과소한 힘으로 가압 접촉하기도 한다. 개폐 부재의 장치 본체에의 접촉압이 과대하면, 개폐 부재를 직선 이동시키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밀봉 부재가 과대하게 압축되어 조기에 열화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개폐 부재의 장치 본체에의 접촉압이 과소하면, 환기 통로에 대한 개폐 부재의 밀봉성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실외와 실내를 연통하는 환기 통로가 형성된 장치 본체와, 이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 부재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환기 통로를 개방한 개방 위치부터 상기 환기 통로를 폐쇄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1 캠 기구, 및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 캠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는, 상기 개폐 부재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폐쇄 위치를 규정하는 제1 기준부가 설치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제1 압박 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압박 수단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고, 그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캠 기구가, 상기 장치 본체와 상기 개폐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제1 캠부와, 다른쪽에 설치된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캠 기구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캠부와, 상기 다른쪽에 설치된 제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가,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1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1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1 판재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기 제1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이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캠부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2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판재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상기 제2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에 접촉된 연장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위치가 정해지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가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 본체에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캠 블럭이 고정되고, 이 캠 블럭과 상기 개폐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캠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캠 기구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1 캠부와,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제1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2 캠 기구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2 캠부와, 상기 개폐 부재에 설치된 제2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캠부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가, 상기 제1 접촉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 기준부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1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1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1 판재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상기 제1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 전방으로 이격되며, 이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캠부가,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된 제2 지지부와, 금속제의 제2 판재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2 판재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제2 경사면에 상기 제2 판재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캠부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에 접촉된 연장부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의 개방 위치가 규정되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가 상기 제2 접촉부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에 상기 연장부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판재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에 따르면, 개폐 부재가 제1 압박 수단에 의해 제1 기준부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본체나 개폐 부재에 제작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제작 오차를 제1 압박 수단이 흡수한다. 따라서, 개폐 부재를 제1 기준부에 과부족이 없는 적절한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가 사용된 건물의 일부를 실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를 덮개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장치 본체, 개폐 부재 및 캠 블럭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X-X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 7의 (A)는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의 Y-Y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링크 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7의 (B)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 제1 판재 및 제2 판재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의 (A)는 그 정면도, 도 17의 (B)는 그 배면도, 도 17의 (C)는 그 하면도, 도 17의 (D)는 그 측면도, 도 17의 (E)는 도 1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 판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8의 (A)는 그 정면도, 도 18의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 형태를 덮개를 장치 본체로부터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장치 본체, 개폐 부재 및 캠 블럭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X-X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도 7의 (A)는 개폐 부재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개폐 부재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의 Y-Y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레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링크 바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연결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7의 (A)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7의 (B)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 제1 판재 및 제2 판재를 도시하는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캠 블럭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의 (A)는 그 정면도, 도 17의 (B)는 그 배면도, 도 17의 (C)는 그 하면도, 도 17의 (D)는 그 측면도, 도 17의 (E)는 도 17의 (A)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1 판재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8의 (A)는 그 정면도, 도 18의 (B)는 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가 사용된 건물을 실내(I)로부터 실외(O)를 향하여 본 정면도이다. 이 건물에 있어서는, 바닥면(FL)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예를 들면, 30 내지 50cm 정도의 높이)를 갖고 구동하는 구동부(A)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의 상방에는 상부 가로대(B)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와 상부 가로대(B)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중간선대(C)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부(A), 상부 가로대(B) 및 좌우에 인접할 수 있는 2개의 중간선대(C, C)에 의해 창 유리(D)가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A)에는 환기 덕트(E)가 설치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일단부는 구동부(A)의 실외(O)를 향하는 외면에 개구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타단부는 구동부(A)의 실내(I)를 향하는 상면에 개구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실외(O)측의 단부에는, 환기 덕트(E) 내에 비교적 큰 먼지나 작은 동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체(F)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단부에는,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1)가 실내(I)로부터 설치, 제거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1)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환기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건물의 실내외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환기 장치(1)는 이들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1)는 장치 본체(2)를 갖고 있다. 장치 본체(2)는 본체 부재(2a)와 한쌍의 단부재(2b, 2b)를 갖고 있다. 본체 부재(2a)는 알루미늄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면이 「コ」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재(2b)는 알루미늄의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단면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재(2b)는 장치 본체(2)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본체 부재(2a)의 양단 개구부가 단부재(2b, 2b)에 의해 폐쇄되어, 장치 본체(2) 전체로서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의 상단부에는 화장 덮개(3)가 고정되어 있다. 화장 덮개(3)는, 그 좌우 방향의 길이 및 실내외 방향의 폭이 장치 본체(2)의 그것들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장치 본체(2)의 상단 개방부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화장 덮개(3)의 실내(I) 및 실외(O)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결합부(3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2)의 실내(I)측 및 실외(O)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로크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부재(4)가 결합부(3a)에 결합/이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화장 덮개(3)가 장치 본체(2)의 상면에 압박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장 덮개(3)는 장치 본체(2)의 상면에 밀봉 부재(S1)를 통하여 접촉하고 있으며, 그에 의해 장치 본체(2)와 화장 덮개(3)의 사이가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는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기 덕트(E)를 향하는 내벽면에는 걸림부(A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A1)에 로크 부재(4)가 걸림/이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장치 본체(2)가 구동부(A)의 환기 덕트(E) 내에 실내(I)로부터 설치, 제거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가 구동부(A)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화장 덮개(3)의 상면이 구동부(A)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는 단부재(2b)에 형성된 구멍(2c)에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 관통시켜, 이 비스를 구동부(A)에 비틀어 체결함으로써, 구동부(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A)에는 환기 덕트(E)를 실외(O)측의 부분과 실내(I)측의 부분으로 구분하는 격벽부(A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부(A2)에는 관통 구멍(A3)이 형성되어 있다. 환기 덕트(E)의 격벽부(A2)보다 실외(O)측의 부분과 실내(I)측의 부분이 관통 구멍(A3)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격벽부(A2)의 상면(A4)에는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의 하면이 밀봉 부재(S)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A3)이 폐쇄되어 있다. 단, 관통 구멍(A3)과 대향하는 바닥벽부(2d)에는 연통 구멍(2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 구멍(2e)에 의해 관통 구멍(A3)과 장치 본체(2)의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나아가 환기 덕트(E)의 실외(O)측의 부분이 장치 본체(2)의 내부에 연통되어 있다. 장치 본체(2)의 내부는 화장 덮개(3)에 형성된 환기 구멍(3b)(도 4 및 도 5 참조)을 통하여 실내(I)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실외(O)와 실내(I)는 환기 덕트(E)의 격벽부(A2)보다 실외(O)측의 부분, 관통 구멍(A3), 연통 구멍(2e),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을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덕트(E)의 실내(I)측의 부분은 실질적으로는 연통 구멍(2e),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2e) 및 장치 본체(2)의 내부 공간 및 환기 구멍(3b)에 의해 장치 본체(2)의 내부에 환기 통로(5)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통 구멍(2e)이 환기 통로(5)의 일부이고, 환기 덕트(E)의 일부이다. 따라서, 연통 구멍(2e)을 개폐함으로써, 환기 통로(5) 및 환기 덕트(E)를 개폐하고, 실외(O)와 실내(I)의 사이를 연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하며, 나아가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를 정지 상태와 환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연통 구멍(2e)의 개폐는 개폐 부재(6)에 의해 행해진다.
도 5,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는 중공의 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장치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개폐 부재(6)는, 그 길이 방향을 장치 본체(2)의 길이 방향을 향한 상태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개폐 부재(6)는 장치 본체(2)의 길이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6)는 좌우 방향으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제1 위치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상하 방향으로는 도 7의 (A) 및 도 8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폐쇄 위치)와 도 7의 (B) 및 도 9에 나타내는 상부 위치(개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부재(6)는 도 7의 (A), (B)의 좌측 방향(제1 방향)을 향하여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캠 기구(8)에 의해 상부 위치부터 하부 위치까지 이동된다. 반대로, 도 7의 (A), (B)의 우측 방향(제2 방향)을 향하여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캠 기구(9)에 의해 하부 위치부터 상부 위치까지 이동된다.
개폐 부재(6)의 하면에는 비교적 경질의 고무 등의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6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61)는,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면, 장치 본체(2)의 바닥벽부(2d)의 상면(제1 기준부)(2f)에 압박된다. 나아가, 밀봉 부재(61)는,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연통 구멍(2e)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6)가 하부 위치에 위치하면, 연통 구멍(2e)이 개폐 부재(6)에 의해 폐쇄되고, 나아가 환기 통로(5)가 폐쇄된다. 그 결과, 실외(O)와 실내(I)의 사이가 환기 장치(1)에 의해 차단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 반대로,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면, 개폐 부재(6) 및 밀봉 부재(61)가 바닥벽부(2d)의 상면(2f)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다. 이에 의해, 연통 구멍(2e)이 개방되고, 환기 통로(5)가 개방된다. 이 결과, 실외(O)와 실내(I)가 환기 덕트(E) 및 환기 통로(5)를 통하여 연통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
개폐 부재(6)는 이동 기구(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 기구(7)는,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박스(71), 레버(72), 링크 바(73) 및 연결 부재(74)를 갖고 있다.
레버 박스(71)는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는 장치 본체(2)의 내부의 좌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박스 절반체(71A)가 실외(O)측에 배치되고,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가 실내(I)측에 배치되어 있다. 양쪽 박스(71A, 71B)는 장치 본체(2)의 실내외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서로 접촉되어 있다. 또한, 박스(71A, 71B)는 장치 본체(2)를 실외(O)측과 실내(I)측으로 2등분하는 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박스 절반체(71A, 71B)의 구성에 대해서는, 한쪽의 박스 절반체(71A)의 구성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에 대해서는 박스 절반체(71A)의 구성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박스 절반체(71A)의 다른쪽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 홈(7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홈(71a)은 원호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박스 절반체(71A, 71B)의 사이에는 레버(7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72)의 실외(O)측 및 실내(I)측을 향하는 각 측면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72a, 72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쪽의 가이드부(72a)가 박스 절반체(71A)의 제1 가이드 홈(7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고, 다른쪽의 가이드부(72a)가 박스 절반체(71B)의 제1 가이드 홈(71a)에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춤되어 있다. 이에 의해, 레버(72)가 레버 박스(7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72)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오프 위치와, 도 7의 (B)에 나타내는 온 위치의 사이를 회전 가능하다. 레버(72)의 오프 위치는, 레버(72)가 박스 본체(71A)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상단부면에 맞닿음으로써 정해져 있다. 레버(72)의 온 위치를 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박스 절반체(71A)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제2 가이드 홈(71c)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 홈(71c)은 좌우 방향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 절반체(71A, 71B)에는 링크 바(73, 7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링크 바(73, 73)는 박스 절반체(71A, 71B)의 대향면을 따라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쪽의 링크 바(73)의 박스 절반체(71A)와의 대향면에는 돌출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73a)는 제2 가이드 홈(71c)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링크 바(73)가 박스 절반체(71A)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다른쪽의 링크 바(73)가 박스 절반체(71B)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링크 바(73)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1 긴 구멍(73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긴 구멍(73b)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링크 바(73, 73)의 사이에는 레버(7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레버(72)의 하단부의 링크 바(73, 73)와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돌출부(72b, 7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2b, 72b)는 링크 바(73, 73)의 제1 긴 구멍(73b, 73b)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나아가, 돌출부(72b)는 제1 긴 구멍(73b)에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게,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바(73)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에 따라 링크 바(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박스 절반체(71A)의 박스 절반체(71B)와의 대향면에는, 박스 본체(71B)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격벽부(71d)가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71d)는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단부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고, 박스 본체(71A)의 좌단벽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결과, 레버 박스(7)의 상면의 위치 결정 돌출부(71b)로부터 좌측의 부분에는 오목부(7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71C)의 우측 단부의 상부에는,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의 레버(72)의 좌측 단부가 들어가 있다. 따라서, 오목부(71C)의 좌측 단부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고, 그에 따라 레버(72)를 오프 위치부터 온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물론,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밀어내림으로써, 레버(72)를 온 위치부터 오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격벽부(71d)의 하측에는 링크 바(73)의 좌측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들어가 있다. 링크 바(73)의 좌측 단부에는 스프링 받침대(75)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받침대(75)에는 산 형상을 이루는 결합 용수철(76)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용수철(76)은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결합 용수철(76)의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우측 단부면의 하단부(우측 단부면과 하면의 교차부)에 맞닿아 있고, 링크 바(73)를 스프링 받침대(75)를 통하여 우측으로 압박하고 있다. 그 결과, 레버(72)의 하단부가 링크 바(73)에 의해 우측으로 눌러지고, 나아가 레버(72)가 온 위치측으로부터 오프 위치측으로 향하는 방향(도 7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 압박력에 의해, 링크 바(73)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상면에 압박되어 오프 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레버(72)가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면, 링크 바(73)가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진다. 그 결과, 산부(76a)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결합 용수철(76)이 탄성 변형된다. 레버(72)가 더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면, 산부(76a)가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우측 단부면을 통과하여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면에 압박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 돌출부(71b)의 하면을 미끄럼 이동 상태로 통과하고, 그 후에는 해당 하면에 연속된 격벽부(71d)의 수평한 하면을 미끄럼 이동한다.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부(71d)의 하면에는 결합 오목부(7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 오목부(71e)는 레버(72)가 오프 위치측으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하여 온 위치에 도달하면 결합 용수철(76)의 산부(76a)가 결합 용수철(76) 자체의 탄성에 의해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산부(76a)가 결합 오목부(71e)에 결합함으로써, 레버(72)의 오프 위치가 정해져 있다.
또한, 레버(72)는 산부(76a)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결합 용수철(76)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온 위치를 넘어 더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레버(72)가 온 위치를 넘으면 즉시 돌출부(72b)가 제1 긴 구멍(73b)의 내면의 상단부에 맞닿아 레버(72)의 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레버(72)는 실질적으로는 온 위치를 넘어 회전하는 일이 없다.
링크 바(73)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긴 구멍(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긴 구멍(73c)은 그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개폐 부재(6)의 좌측 단부에는 연결 부재(74)의 우측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74)의 좌측 단부는 링크 바(73, 73)의 우측 단부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링크 바(73, 73)와 대향하는 연결 부재(74)의 양측면에는 돌출부(74a, 7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74a, 74a)는 링크 바(73, 73)의 제2 긴 구멍(73c, 73c)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 돌출부(74a)는 제2 긴 구멍(73c)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좌우 방향으로는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링크 바(73)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 개폐 부재(6)가 링크 바(73)와 일체로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72)를 온 위치측으로부터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우측 방향(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제1 위치이다. 반대로, 레버(72)를 오프 위치측으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좌측 방향(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레버(72)가 온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제2 위치이다.
개폐 부재(6)는, 우측 방향을 향하여 제1 위치부터 제2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캠 기구(8)에 의해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부 위치(개방 위치)부터 도 7의 (A)에 나타내는 하부 위치(폐쇄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개폐 부재(6)는, 좌측 방향을 향하여 제2 위치부터 제1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2 캠 기구(9)에 의해 하부 위치부터 상부 위치까지 상방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 캠 기구(8, 9)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두 장치 본체(1)와 개폐 부재(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의 내부에는 2개 한쌍의 캠 블럭(10, 10')이 2쌍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캠 블럭(10, 10')은 좌우 방향으로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실내외 방향으로는 실외(O)측과 실내(I)측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캠 블럭(10, 10')과 다른 한쌍의 캠 블럭(10, 10')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다. 캠 블럭(10, 10')은 한쌍만 설치하여도 되고, 3쌍 이상 설치하여도 된다.
캠 블럭(10, 10')은 장치 본체(1)를 거울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캠 블럭(10)에 대해서만 그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캠 블럭(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캠 블럭(10)과 동일한 구성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O)측에 배치된 캠 블럭(10)의 실내(I)측에 배치되고 캠 블럭(10')과의 대향면(캠 블럭(10)의 실내(I)측을 향하는 면)에는, 다른쪽의 캠 블럭(1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경사면(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경사면(12)은 좌측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고 있으며, 우측을 향함에 따라서 하방을 향하도록 우측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수평면(13)이 제1 경사면(12)의 상단부에 계속해서 형성되고, 또한 제1 수평면(13)의 좌측 단부로부터 작은 경사 각도를 갖고 좌측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 받침면(제2 기준부)(1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통상,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가 30°정도인 데 대하여,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는 5°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수평면(13)은 제1 경사면(12)에 연결 설치되어 있지만, 약간의 양이라면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스프링 받침면(14)도 제1 수평면(13)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릴리프면(1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릴리프면(15)은 제1 경사면(12)의 하단부에 단차부(16) 및 원호부(17)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릴리프면(15)은 단차부(16)를 형성하지 않고, 제1 경사면(12)에 원호부(17)를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돌출부(11)의 좌측 단부에는 제1 및 제2 슬릿(18, 19)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슬릿(18)은 제1 경사면(12)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되며, 그 일부가 제1 경사면(12)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1 경사면(12)이 좌상측의 부분과 우하측의 부분으로 이분되어 있다. 제1 슬릿(18)은 제1 경사면(12)에 접하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경사면(12) 전체가 연속된 면이 된다. 제1 슬릿(18)의 제1 경사면(12)측을 향하는 측면, 즉 제1 경사면(12)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이격된 측면에는, 제1 경사면(12)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1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18a)의 돌출 높이는, 제1 슬릿(18)의 폭의 거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슬릿(19)은 제1 경사면(12)의 상단부,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경사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경사면(22)은 우측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좌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좌측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면(22)의 경사 각도는, 즉 수평선에 대한 제2 경사면(22)의 경사 각도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와 동일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경사면(22)은 제1 경사면(12)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경사면(22)의 하단부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수평면(23)이 형성되고, 또한 제2 수평면(23)의 우측 단부로부터 작은 경사 각도를 갖고 우측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스프링 받침면(2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프링 받침면(24)의 경사 각도는,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수평면(23)은 제2 경사면(22)에 연결 설치되어 있지만, 약간의 양이라면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스프링 받침면(24)도 제2 수평면(23)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시켜도 된다.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2 릴리프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릴리프면(25)은 제2 경사면(22)의 상단부에 단차부(26) 및 원호부(27)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릴리프면(25)은 단차부(26)를 형성하지 않고, 제2 경사면(22)에 원호부(27)를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돌출부(11)의 우측 단부에는 제3 및 제4 슬릿(28, 29)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슬릿(28)은 제2 경사면(22)의 중앙부를 따라 배치되고, 그 일부가 제2 경사면(22)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1 경사면(22)이 좌상측의 부분과 우하측의 부분으로 이분되어 있다. 제3 슬릿(28)은 제1 경사면(22)에 접하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경사면(22) 전체가 연속된 면이 된다. 제3 슬릿(28)의 제2 경사면(22)측을 향하는 측면, 즉 제2 경사면(22)으로부터 좌측 비스듬한 하측으로 이격된 측면에는, 제2 경사면(22)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28a)의 돌출 높이는, 제3 슬릿(28)의 폭의 거의 절반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4 슬릿(29)은 제2 경사면(22)의 상단부,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1 경사면(12), 제1 수평면(13), 제1 스프링 받침면(14) 및 제1 릴리프면(15)과, 제2 경사면(22), 제2 수평면(13), 제2 스프링 받침면(24) 및 제2 릴리프면(25)은, 다음의 상위점을 제외하고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위점은,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을 180°회전시켰을 때,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이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보다 약간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에 대응하여 제1 경사면(13)의 길이가 제2 경사면(22)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점이다.
캠 블럭(10)에는 금속제의 제1 및 제2 판재(31, 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판재(31)는, 도 1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 상을 이루는 제1 판부(31a)와, 이 제1 판부(31a)의 일단부에 연결 설치된 제2 판부(연장부)(31b)와, 제1 판부(31a)의 타단부에 연결 설치된 제3 판부(탄성부)(31c)를 갖고 있다. 제1 판부(31a)와 제2 판부(31b)의 사이에는 이것들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원호부(31d)가 형성되고, 제1 판부(31a)와 제3 판부(31c)의 사이에는 이것들을 매끄럽게 연결하는 원호부(31e)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판부(31b) 및 제3 판부(31c)는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판부(31b)와 제3 판부(31c)는,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그 두께 방향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져 있다. 나아가, 제2 판부(31b)의 제1 판부(31a)에 대한 경사 각도와, 제3 판부(31c)의 제1 판부(31a)에 대한 경사 각도는 동일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및 제3 판부(31b, 31c)는 서로 평행하다. 단,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으며, 전자를 후자보다 작게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전자를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경사 각도와 동등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각도로 설정하여도 된다. 후자는 제1 경사면(12)의 경사 각도의 거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판부(31a)의 일측면에는 제1 결합 돌출부(31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결합 돌출부(31f)의 중앙부에는, 해당 중앙부를 관통하는 결합 구멍(31g)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판부(31a)의 일단부로부터 제2 판부(31b)의 선단에 이르는 부위의 일측면에는 제2 결합 돌출부(31h)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결합 돌출부(31f)가 제1 슬릿(18)에 삽입되고, 제2 결합 돌출부(31h)가 제2 슬릿(19)에 삽입되어 있다. 나아가, 제2 결합 돌출부(31h)의 결합 구멍(31g)에는 걸림 돌기(18a)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판재(31)가 캠 블럭(10)에 고정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나아가, 제1 판재(31)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제1 판부(31a)가 제1 경사면(12)에 압박됨과 함께, 제2 판부(31b)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1 판부(31a)의 하단부와, 그것과 연속되는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는, 제1 릴리프면(15)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는, 그 선단부(우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다.
제2 판재(41)는 제1 판재(31)와 동일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판재(41)는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 제2 판부(31b),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d, 31e)에 각각 대응한 제1 판부(41a), 제2 판부(41b), 제3 판부(41c) 및 원호부(41d, 41e)를 갖고 있다. 나아가, 제1 판재(31)가 제1 경사면(12), 제1 수평면, 제1 스프링 받침면 및 제1 릴리프면(15)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데 대응하여, 제2 판재(41)는 제2 경사면(22), 제2 수평면(23), 제2 스프링 받침면(24) 및 제2 릴리프면(25)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수평면(23) 및 제2 스프링 받침면(24)은 180°회전시킨 제1 수평면(13) 및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판재(41)는 180°회전시킨 제1 판재(31)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판재(41)에는 제1 판재(31)의 제1 결합 돌출부(31f), 결합 구멍(31g) 및 제2 결합 돌출부(31h)에 대응하는 제1 결합 돌출부(41f), 결합 구멍(41g) 및 제2 결합 돌출부(41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결합 돌출부(41f, 41h)가 제3 및 제4 슬릿(28, 29)에 각각 삽입되고, 결합 구멍(41g)에 걸림 돌기(28a)가 끼워넣어져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부재(6)의 실외(O)측을 향하는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2쌍 설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상하 방향으로는 동일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와 다른 한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캠 블럭(10)의 제1 및 제2 경사면(12, 22) 등과 제1 및 제2 캠 기구(8, 9)를 구성하고 있다.
개폐 부재(6)의 실내(I)측을 향하는 측면에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2쌍 설치되어 있다. 2쌍의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캠 블럭(10')의 제1 및 제2 경사면(12, 22) 등과 제1 및 제2 캠 기구(8, 9)를 구성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와 동일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제1 및 제2 접촉부(51', 52')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이들 사이의 거리, 즉 제1 접촉부(51)의 우측 단부면과 제2 접촉부(52)의 좌측 단부면의 사이의 거리는, 제1 판부(31a)의 좌측의 면과 제1 판부(41a)의 우측의 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부위간의 좌우 방향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긴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에 대하여 거의 접촉하거나, 우측으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반대로,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에 대하여 거의 접촉하거나, 좌측으로 약간 이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또한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16(도 14 참조)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부(51)의 우측 단부가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에 맞닿아, 제3 판부(31c)의 우측 단부가 상방으로 변위하도록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e)를 탄성 변형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2 접촉부(52)는,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2 판재(41)의 제3 판부(41c)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지만, 제3 판부(41c)의 어느 개소에 대해서도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는 한편,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대하여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가 제3 판부(31c)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되고, 바닥벽부(2d)의 상면(2f)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 구멍(2e), 나아가 환기 통로(5)가 개폐 부재(6)에 의해 폐쇄되고, 환기 덕트(E)가 환기 장치(1)에 의해 폐쇄된다. 이 결과,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의 환기가 정지된다. 개폐 부재(6)가 바닥벽부(2d)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을 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하부 위치(폐쇄 위치)이며, 개폐 부재(6)는 제3 판부(31c)의 압박력에 의해 하부 위치로 유지된다.
제1 및 제2 접촉부(51, 52)는, 또한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도 16(도 15 참조)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촉부(52)의 좌측 단부가 제2 판재(41)의 제3 판부(41c)에 맞닿아, 제3 판부(41c)의 우측 단부가 하방으로 변위하도록 제3 판부(31c) 및 원호부(41e)를 탄성 변형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압박되어 있다. 한편, 제1 접촉부(51)는 제1 판재(31)의 제2 판부(31b)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어, 개폐 부재(6)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제3 판부(41c)의 압박력에 의해 제2 판부(31b)에 압박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접촉부(51)는, 제2 판부(31b) 중 제1 수평면(13)과 제1 스프링 받침면(14)의 교차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지만, 제2 판부(31b) 중의 제1 스프링 받침대(14)하고만 대향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어도 되고, 제1 수평면(13)하고만 대향하는 부분에 압박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되고, 개폐 부재(6)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의 개폐 부재(6)의 위치가 상부 위치이다. 제1 접촉부(51)는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제1 수평면(13)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하도록 하여도 된다.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밀봉 부재(61)가 바닥벽부(2d)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연통 구멍(2e)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덕트(E)의 실외(O)측 부분과 실내(I)측 부분이 환기 장치(1)의 환기 통로(5)를 통하여 연통되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 환기가 행해진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 덮개(3)에는 조작 창 구멍(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창 구멍(3c)은 레버(72)의 상단부 및 레버 박스(71)의 오목부(71C)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72)는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조작 창 구멍(3c)으로부터 손가락을 삽입하여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고, 그에 의해 레버(72)를 오프 위치부터 온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72)는, 레버(72)의 좌측 단부를 밀어내림으로써 오프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환기 장치(1)에 있어서, 이제 레버(72)가 오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에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는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는 하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폐 부재(6)가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의 탄성력에 의해 바닥벽부(2d)의 상면(2f)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다. 따라서, 환기 통로(5)가 폐쇄되어 있어, 실외(O)와 실내(I)의 사이에서의 환기가 정지되어 있다. 또한, 개폐 부재(6)가 바닥벽부(2d)에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가 덜컹거리는 일이 없다. 특히, 개폐 부재(6)의 상하 방향의 위치 정밀도에 관련된 장치 본체(2), 캠 블럭(10, 10') 및 개폐 부재(6)에 치수 오차가 있었다고 하여도, 그 치수 오차는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흡수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는 바닥벽부(2c)에 밀봉 부재(61)를 통하여 확실하게 압박된다. 따라서, 개폐 부재(6)가 덜컹거리거나, 개폐 부재(6)에 의한 연통 구멍(2e)의 밀봉 상태가 손상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밀봉 부재(61)가 과도하게 큰 힘으로 바닥벽부(2d)에 압박되지 않아, 밀봉 부재(61)가 조기에 열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레버(72)를 오프 위치로부터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좌측으로 이동한다. 개폐 부재(6)가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2 경사면(22)에 제1 판부(41a)를 통하여 맞닿는다. 한편, 제1 접촉부(51)가 제1 판재(31)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이격되거나, 단순히 접하는 것만으로 된다. 따라서, 레버(72)를 더 온 위치측으로 회전시켜 개폐 부재(6)를 더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제1 판부(41a)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접촉부(52)가 제2 경사면(22) 위를 직접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접촉부(52)를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2 경사면(2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 위를 미끄럼 이동하면, 제2 경사면(22)(제1 판부(41a))의 캠 작용에 의해 제2 접촉부(52)가 상방으로 이동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22)과 제1 판부(41a)에 의해 제2 캠부가 구성되고, 제2 캠부와 제2 접촉부(52)에 의해 제2 캠 기구(9)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72)가 온 위치측으로 더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1 판부(41a)를 통과하여 원호부(41e)에 맞닿는다. 그렇게 하면, 제2 접촉부(52)는, 개폐 부재(6)의 이동에 따라 제3 판부(41c)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원호부(41e)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2 접촉부(52)가 제3 판부(41c)에 맞닿아 제3 판부(41c)를 계속해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2)가 상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상방으로 압박된다. 또한, 제2 접촉부(52)가 원호부(41e) 및 제3 판부(41c)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원호부(31d)로부터 제2 판부(31b)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41c)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압박된다. 이때의 개폐 부재(6)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상부 위치(개방 위치)이다.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1 접촉부(51)가 제1 스프링 받침면(14)에 제2 판부(41b)를 통하여 압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부재(6)는 덜컹거리지 않고 상부 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의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부(41e) 및 제3 판부(41c)가 개폐 부재(6)를 상방(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2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제3 판부(41c)만을 제2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또는, 제3 판부(41c)와 이것과 연속되는 원호부(41e)의 일부만을 제2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41e) 전체가 제2 캠부의 일부가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41e)의 나머지 부분(제1 판부(41a)와 연속되는 부분)이 제2 캠부의 일부가 된다. 또한, 원호부(41e) 전체를 제2 캠부의 일부 및 제2 탄성부(제2 압박 수단)의 일부로서 겸용하여도 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프링 받침면(14)이 개폐 부재의 상부 위치(개방 위치)를 정하기 위한 제2 기준부로 되어 있다. 제2 판부(31b)를 제1 수평면(13)에 접촉시켜,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상부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제1 접촉부(51)를 제1 수평면(13)에 제2 판부(31b)를 통하여 맞닿도록 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수평면(13)이 제2 기준부가 된다.
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레버(72)를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키면,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를 향하여 우측으로 이동한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1 경사면(12)에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를 통하여 맞닿는다. 한편, 제2 접촉부(52)가 제2 판재(41)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이격되거나, 제2 판재(41)에 단순히 접한다. 따라서, 레버(72)를 더 오프 위치측으로 회전시켜 개폐 부재(6)를 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이때, 제1 판부(31a)가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촉부(51)가 제1 경사면(12) 위를 직접 미끄럼 이동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접촉부(51)를 매끄럽게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1 경사면(1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 위를 미끄럼 이동하면, 제1 경사면(12)(제1 판부(31a))의 캠 작용에 의해 제1 접촉부(51)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12)과 제1 판부(31a)에 의해 제1 캠부가 구성되고, 제1 캠부와 제1 접촉부(51)에 의해 제1 캠 기구(8)가 구성되어 있다.
레버(72)가 오프 위치측으로 더 회전하고, 그에 따라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1 판부(31a)를 통과하여 원호부(31e)에 맞닿는다. 그렇게 하면, 제1 접촉부(51)는, 개폐 부재(6)의 이동에 따라 제3 판부(31c)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원호부(31e)를 탄성 변형시킨다. 그 후, 개폐 부재(6)가 제1 위치측으로 더 이동하면, 제1 접촉부(51)가 제3 판부(31c)에 맞닿아 제3 판부(31c)를 계속해서 탄성 변형시킨다. 그 결과, 제2 접촉부(51)가 하방으로 압박되고, 나아가 개폐 부재(6)가 하방으로 압박된다. 또한, 제1 접촉부(51)가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제2 접촉부(52)가 제2 판재(4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특히, 원호부(41d) 및 제2 판부(41b)에 대해서는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개폐 부재(6)가 제2 위치에 도달하면, 개폐 부재(6)가 상부 위치(개방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의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부(31e) 및 제3 판부(31c)가 개폐 부재(6)를 하방(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제3 판부(41c)만을 제1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되고, 또는 제3 판부(31c)와 이것과 연속되는 원호부(41e)의 일부만을 제1 압박 수단으로 하여도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31e) 전체가 제1 캠부의 일부가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원호부(31e)의 나머지 부분(제1 판부(41a)와 연속되는 부분)이 제1 캠부의 일부가 된다. 또한, 원호부(31e) 전체를 제1 캠부의 일부 및 제1 탄성부(제1 압박 수단)의 일부로서 겸용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형예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부재(6)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개폐 부재(6)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환기 통로(5)의 방향에 따라서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은 상기 환기 장치(1)의 상면(화장 덮개(3)의 상면)이 실내(I)측에 향하여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장치 본체(2)를 배치하여도 되는 것으로부터 명확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부재(6)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때, 캠 블럭(10, 10')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캠 기구(8, 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마찬가지로 개폐 부재(6)의 일측부를 장치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개폐 부재(6)의 타측부와 장치 본체(2)의 사이에만 캠 기구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치 본체(2)에 캠 블럭(10, 10')이 설치되어 있지만, 개폐 부재(6)에 캠 블럭을 설치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장치 본체(2)에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설치된다. 캠 블럭(10, 10')에 대해서는 장치 본체(2)와 개폐 부재(6) 중 어느 것에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즉, 캠 블럭(10, 10')을 생략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캠부가 장치 본체(2)와 개폐 부재(6) 중 어느 한쪽에 직접 설치되고, 다른쪽에 제1 및 제2 접촉부(51, 5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캠부를 제1 경사면(12)과 제1 판재(31)의 제1 판부(31a)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제1 캠부를 제1 경사면(12)만으로 구성하여도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판재(31)의 제3 판부(31c) 및 원호부(31e) 대신에 제1 압박 수단이 장치 본체에 설치된다. 이것은 제2 캠부 및 제2 압박 수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환기 장치는 건물의 벽이나 창 등에 설치되어, 실외와 실내의 사이에서 환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I: 실내
O: 실외
1: 환기 장치
2: 장치 본체
2e: 연통 구멍(환기 통로의 일부)
2f: 상면(제1 기준부)
5: 환기 통로
6: 개폐 부재
8: 제1 캠 기구
9: 제2 캠 기구
10: 캠 블럭
10': 캠 블럭
12: 제1 경사면(제1 지지부)
14: 제1 스프링 받침면(제2 기준부)
22: 제2 경사면(제2 지지부)
31: 제1 판재
31a: 제1 판부(제1 캠부)
31b: 제2 판부(연장부)
31c: 제3 판부(제1 탄성부)
31e: 원호부(제1 탄성부)
41: 제2 판재
41a: 제1 판부(제2 캠부)
41c: 제3 판부(제2 탄성부)
41e: 원호부(제2 탄성부)
O: 실외
1: 환기 장치
2: 장치 본체
2e: 연통 구멍(환기 통로의 일부)
2f: 상면(제1 기준부)
5: 환기 통로
6: 개폐 부재
8: 제1 캠 기구
9: 제2 캠 기구
10: 캠 블럭
10': 캠 블럭
12: 제1 경사면(제1 지지부)
14: 제1 스프링 받침면(제2 기준부)
22: 제2 경사면(제2 지지부)
31: 제1 판재
31a: 제1 판부(제1 캠부)
31b: 제2 판부(연장부)
31c: 제3 판부(제1 탄성부)
31e: 원호부(제1 탄성부)
41: 제2 판재
41a: 제1 판부(제2 캠부)
41c: 제3 판부(제2 탄성부)
41e: 원호부(제2 탄성부)
Claims (11)
- (삭제)
- 실외(O)와 실내(I)를 연통하는 환기 통로(5)가 형성된 장치 본체(2)와, 이 장치 본체(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부재(6)를 구비하며, 상기 장치 본체(2)와 상기 개폐 부재(6)의 사이에는, 상기 개폐 부재(6)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환기 통로(5)를 개방한 개방 위치부터 상기 환기 통로(5)를 폐쇄한 폐쇄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1 캠 기구(8), 및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1 방향과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제2 캠 기구(9)가 설치되고, 상기 장치 본체(2)에는, 상기 개폐 부재(6)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의 폐쇄 위치를 규정하는 제1 기준부(2f)가 설치된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2)에 제1 압박 수단(31c, 31e)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압박 수단(31c, 31e)은,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된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고, 그에 의해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폐쇄 위치로 유지하고,
상기 제1 캠 기구(8)가, 상기 장치 본체(2)와 상기 개폐 부재(6)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된 제1 캠부(12, 31a)와, 다른쪽에 설치된 제1 접촉부(51)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1 캠부(12, 3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2 캠 기구(9)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캠부(22, 41a)와, 상기 다른쪽에 설치된 제2 접촉부(52)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캠부(12, 3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12, 31a)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31c, 31e)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31c, 31e)가, 상기 제1 접촉부(51)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12, 31a)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1 지지부(12)와, 금속제의 제1 판재(31)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12)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12)을 갖고, 상기 제1 판재(31)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일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상기 제1 판재(31)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31)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격되며, 이 제1 판재(31)의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31c, 31e)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22, 34a)가, 상기 한쪽에 설치된 제2 지지부(22)와, 금속제의 제2 판재(41)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22)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22)을 갖고, 상기 제2 판재(41)가 상기 제2 경사면(22)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한쪽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타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경사면(22)에 상기 제2 판재(41)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12, 31a)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12)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14)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31)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14)에 접촉된 연장부(31b)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의 개방 위치가 정해지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41)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41c, 41e)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41c, 41e)가 상기 제2 접촉부(52)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2)에 경질 수지로 이루어지는 캠 블럭(10, 10')이 고정되고, 이 캠 블럭(10, 10')과 상기 개폐 부재(6)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캠 기구(8, 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기구(8)가,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된 제1 캠부(12, 31a)와, 상기 개폐 부재(6)에 설치된 제1 접촉부(51)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1 캠부(12, 3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부터 상기 폐쇄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2 캠 기구(9)가,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된 제2 캠부(22, 41a)와, 상기 개폐 부재(6)에 설치된 제2 접촉부(52)를 가지며,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캠부(22, 41a) 위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부터 상기 개방 위치까지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캠부(12, 31a)의 전단부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1 탄성부(31c, 31e)가 설치되고, 이 제1 탄성부(31c, 31e)가, 상기 제1 접촉부(51)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개폐 부재(6)를 상기 제1 기준부(2f)에 압박하는 상기 제1 압박 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12, 31a)가,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된 제1 지지부(12)와, 금속제의 제1 판재(31)를 가지며, 상기 제1 지지부(12)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1 경사면(12)을 갖고, 상기 제1 판재(31)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상기 제1 판재(31)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31)의 전단부가 상기 제1 경사면(12)에 대하여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 전방으로 이격되며, 이 전단부가 상기 제1 탄성부(31c, 31e)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부(22, 41a)가,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된 제2 지지부(22)와, 금속제의 제2 판재(41)를 가지며, 상기 제2 지지부(22)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경사면(22)을 갖고, 상기 제2 판재(41)가 상기 제2 경사면(22)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캠 블럭(10, 10')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제2 접촉부(52)가 상기 제2 경사면(22)에 상기 제2 판재(41)를 통하여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부(12, 31a)가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경사면(12)의 후단부에 연속해서 설치된 제2 기준부(14)를 갖고, 상기 제1 방향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판재(31)의 후단부에 상기 제2 기준부에 접촉된 연장부(31b)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접촉부(51)가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맞닿음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의 개방 위치가 규정되고,
상기 제2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판재(41)의 전단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제2 탄성부(41c, 41e)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탄성부(41c, 41e)가 상기 제2 접촉부(52)를 상기 폐쇄 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제2 기준부(14)에 상기 연장부(31b)를 통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개폐 부재(6)가 상기 개방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 제4항, 제5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판재(31, 41)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2/054534 WO2013125025A1 (ja) | 2012-02-24 | 2012-02-24 | 換気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8205A true KR20130118205A (ko) | 2013-10-29 |
KR101390553B1 KR101390553B1 (ko) | 2014-05-27 |
Family
ID=49005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31864A KR101390553B1 (ko) | 2012-02-24 | 2012-02-24 | 환기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714171B2 (ko) |
KR (1) | KR101390553B1 (ko) |
CN (1) | CN103384798B (ko) |
AU (1) | AU2012370775B9 (ko) |
WO (1) | WO20131250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53880B2 (ja) * | 2016-06-30 | 2020-02-26 | オイレスEco株式会社 | 換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315653D0 (en) * | 1983-06-07 | 1983-07-13 | Dixon International Ltd | Ventilator device |
GB8901473D0 (en) * | 1989-01-24 | 1989-03-15 | Titon Hardware | Ventilator |
JP2590807Y2 (ja) * | 1993-04-02 | 1999-02-24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換気装置 |
JP4494578B2 (ja) * | 2000-03-22 | 2010-06-30 | 不二サッシ株式会社 | 嵌め殺し窓の換気装置 |
CN1356505A (zh) * | 2001-12-20 | 2002-07-03 | 任春严 | 可拓展功能的多种空气分离后分别近距离供应的中央空调 |
JP4002819B2 (ja) * | 2002-11-22 | 2007-11-07 | 株式会社佐原 | 換気装置 |
JP5331659B2 (ja) * | 2009-11-25 | 2013-10-30 | 株式会社佐原 | 換気装置 |
-
2012
- 2012-02-24 CN CN201280001658.3A patent/CN103384798B/zh active Active
- 2012-02-24 AU AU2012370775A patent/AU2012370775B9/en active Active
- 2012-02-24 JP JP2014500829A patent/JP5714171B2/ja active Active
- 2012-02-24 WO PCT/JP2012/054534 patent/WO201312502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2-24 KR KR1020127031864A patent/KR10139055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WO2013125025A1 (ja) | 2015-07-30 |
CN103384798B (zh) | 2015-12-23 |
KR101390553B1 (ko) | 2014-05-27 |
AU2012370775B9 (en) | 2015-08-06 |
AU2012370775A1 (en) | 2014-09-25 |
JP5714171B2 (ja) | 2015-05-07 |
WO2013125025A1 (ja) | 2013-08-29 |
AU2012370775B2 (en) | 2015-07-16 |
CN103384798A (zh) | 201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48911A1 (en) | Window air conditioner | |
US20070039810A1 (en) | Multi-stage button switch | |
CN107428224B (zh) | 汽车的通风口把手 | |
CA2630759A1 (en) | Protective device plate for an electrical box | |
US20130221055A1 (en) | Nail guiding device for nailers | |
US20090290322A1 (en) | Enclosure operable between unlocked and locked states and including a switch device | |
JP4594192B2 (ja) | 開閉体のロック装置 | |
KR101390553B1 (ko) | 환기 장치 | |
US9388620B2 (en) | Door stopper and rod locking mechanism | |
KR200480629Y1 (ko) | 수평 밀착형 미닫이창문용 이동구 | |
KR101163138B1 (ko) | 환기 장치 | |
US7969724B2 (en) | Data storage assembly | |
JP2007311594A (ja) | 電気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 |
JP2012007464A (ja) | 室内外差圧解消装置 | |
JP5941392B2 (ja) | 窓用ステー及び辷り出し窓 | |
JP5802063B2 (ja) | 接点部材の取付け構造 | |
US7438495B2 (en) | Sideward clipping apparatus | |
KR101441071B1 (ko) | 창문에 구비된 가동틀과 고정틀의 단열구조 | |
JP4216542B2 (ja) | 移動間仕切装置 | |
US6054660A (en) | Control or signaling device such as a push-button | |
JP5507716B1 (ja) | 換気装置 | |
JP6964455B2 (ja) | スクリーン装置 | |
KR101715892B1 (ko) | 자동차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 |
JP2024086043A (ja) | 移動制限装置及び建具 | |
JPH0893348A (ja) | 換気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