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769A -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769A
KR20100063769A KR1020107007151A KR20107007151A KR20100063769A KR 20100063769 A KR20100063769 A KR 20100063769A KR 1020107007151 A KR1020107007151 A KR 1020107007151A KR 20107007151 A KR20107007151 A KR 20107007151A KR 20100063769 A KR20100063769 A KR 20100063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touch
display
selection
vali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5634B1 (ko
Inventor
오끼 지바
고지 마쯔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세스
Publication of KR20100063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조작의 경합을 해소하면서 양호한 링크 선택 등의 조작을 실현한다. 그러기 위하여, 브라우저 화면상에서, 유저에 의한 손가락(350)의 터치가 있을 때,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링크 유효 영역(360)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한다. 링크 유효 영역(360)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한다. 터치가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링크 유효 영역(360)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터치의 초기 위치에 대한 터치의 상대적인 이동의 방향 또는 거리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제1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당해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한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TERMINAL DEVICE, LINK SELECTION METHOD, AND DISPLAY PROGRAM}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PC 등의 장치에서는, 유저가 지시를 행하는 조작부로서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노트 PC에서는 통상,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터치 패드가 준비되어 있다.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문서인 Web 페이지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인 브라우저의 표시 화면상에서는, Web 페이지상에서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개소의 문자나 도형 등에 대한 링크 선택 조작이,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조작되는 화살표 마크 등의 커서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즉, 원하는 링크 설정 개소에 대하여 커서를 올려놓고, 클릭이라 불리는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링크처로의 이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Web 페이지의 크기가 커서 표시 화면으로부터 밀려나온 경우에는, 그 숨겨진 부분을 보기 위해서 표시 화상을 이동시키는 스크롤 조작이 행해진다. 상기 스크롤 조작을 위해 표시 화면의 변부에 스크롤 바라 불리는 조작 요소가 표시되고, 이 스크롤 바에 대한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조작으로 스크롤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 수직 방향의 스크롤은 표시 화면의 우변부에 세로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롤 바를 이용하고, 수평 방향의 스크롤은 표시 화면의 하변부에 가로로 연장되어 있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다.
수직과 수평의 양방향으로 동시에 스크롤을 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에는, 표시 화면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롤 전용의 아이콘으로서의, 포인터에 의한 이차원 이동이 가능한 오브젝트를 윈도우의 홈 위치에 표시하고, 포인터의 드래그에 의해 오브젝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으로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동시에, 오브젝트가 개방되었을 때 오브젝트를 홈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시에 데이터의 스크롤을 정지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기준점과 커서의 거리에 기초하여 스크롤의 속도 또는 스크롤량을 정하고, 커서와 기준점을 연결하는 직선에 따라서 스크롤 방향을 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표시 화면에 겹친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터치 지시를 행하는 것으로, 특허 문헌 3에는, 손가락의 가압수에 기초하여 표시 내용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도 화면의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손가락으로 가압한 방향으로 지도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것, 이 상태에서 2번째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을 가압하면 스크롤 속도를 2배로 하는 것, 및 2개의 손가락으로 터치 패널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2번째로 가압한 손가락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지도의 축척을 변경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7-210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791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4291호 공보
그런데, 최근, 휴대 전화 단말기가 진화한 것으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보다도 큰 크기의 표시 화면을 갖는 다기능화된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휴대 단말 장치가 시장에 출현하였다. 이러한 휴대형의 장치에서는 표시 화면을 가능한 한 넓게 취하는 한편, 하우징의 크기를 작게 유지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의 키보드를 없애고, 약간의 조작 버튼만을 하드웨어 조작부로서 채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하드웨어의 키보드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것을 표시 디바이스의 배후에 숨겨, 필요한 경우에만 키보드를 꺼내어 사용하는 형태의 장치도 알려져 있다. 후자의 장치에서도, 키보드를 꺼낸 상태에서는 장치의 외형 크기가 커져 휴대성이 손상된다. 또한, 제조 비용도 증가한다. 이로 인해, 키보드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요망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표시 화면이 터치 패널을 겸하는 형태의 장치로서, 하드웨어 키보드를 구비하지 않고, 넓은 표시 화면을 조작부로서 이용하는 것도 출현하였다.
그러나, 표시 화면이 터치 패널을 겸하는 형태의 장치에서는, 링크의 선택을 행하는 경우,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장치와 같이 커서의 이동 및 클릭이라는 2단계의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즉, 브라우저 표시 화면상의 링크 설정 개소를 터치하면 즉시 링크처로의 이행이 실행되어버린다. 이것은, 링크의 선택이라는 점에서는 신속한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만, 링크의 선택을 잘못한 경우에는 유저의 의사에 반한 링크처로의 이행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도리어 조작이 번잡해진다는 결점도 된다.
특히,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서는, 그 표시 화면의 크기는 종래의 휴대 전화 단말기보다 크다고는 하지만, PC에서 이용되는 표시 화면의 크기에 비하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C용의 Web사이트의 페이지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화면으로부터 밀려나온 화상을 보기 위해서 스크롤 조작은 필수적이며, 그 조작성이 매우 중요해진다. 따라서, 터치 패널을 링크의 선택과 스크롤 조작에 공용할 때에, 스크롤 바를 사용하지 않는 직감적인 스크롤 조작을 채용하려고 하면 양쪽 조작의 경합이 발생한다.
또한, 터치 패널은 링크의 선택이나 스크롤의 조작 이외의 조작에도 이용 가능하며, 그 경우에도 조작의 경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조작의 경합을 해소하면서 양호한 링크 선택 등의 조작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의 표시 영역에서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이 중복된 표시부와, 링크가 설정된 문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기능과,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터치된 위치에 대한 터치의 상대적인 이동의 방향 또는 거리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한다.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외측의 영역에서의 링크의 선택은 억지된다. 통상, 링크의 선택은 터치 위치가 목적하는 링크로부터 어긋났어도 대폭적으로 어긋나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되므로, 링크 유효 영역을 소정 범위로 제한하여도 문제는 없다. 또한, 링크 유효 영역을 소정 범위로 한정함으로써, 링크 선택을 위한 터치 조작으로부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의 터치 조작으로 원활하게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유저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시는 유저가 조작을 행하는 데 있어서 지표가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소정의 조건 하에서,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을 일시적으로 확대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소정의 조건 하에서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조치에 의해, 손가락을 사용한 터치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속하는 링크의 개수 또는 터치의 면적에 따라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의 개수나 터치의 면적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확대를 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 터치된 링크의 링크 정보를 터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해도 좋다. 이에 의해, 터치에 의해 그 링크가 가려져도 그 링크의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당해 링크 유효 영역을 무효화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할 필요없이 즉시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의 터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처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이다.
상기 스크롤 처리의 일례는, 상기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최초로 터치된 위치(이하, 초기 위치라고 함)의 방향으로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이다.
상기 스크롤 처리의 다른 예는, 상기 터치가 이탈할 때까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처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스크롤 속도로 스크롤을 계속하는 처리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소거하고, 상기 초기 위치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유저는, 이 소정의 마크와 터치 위치의 간격으로부터 당해 「거리」 및 스크롤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처리의 또 다른 예는, 최초로 터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까지의 이동에 동기하여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이다.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에 관련된 메뉴 항목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처리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선택 방법은,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 방법으로,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실행되는 표시 프로그램으로서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 장치는, 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이 중복된 표시부와, 링크가 설정된 문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기능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서는, 터치 패널에 대해서 어느 한 시점에서 동시에 유지되고 있는 터치 상태의 개수에 의해 처리가 절환된다. 즉, 제1의 터치만인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실행되고, 제1의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경우에는 「소정의 처리」가 억지되어,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가 유효화된다. 이에 의해, 터치 조작에 의한 「링크 선택」과 「소정의 처리」의 경합이 방지된다.
상기 소정의 처리는, 예를 들어, 상기 제1의 터치의 이동에 기초하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이다. 혹은, 제1의 터치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정하는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처리이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로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터치 상태를 계속한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링크 선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의 형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링크 선택 처리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고 있을 때에,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이 링크 설정 개소를 지시하고 있을 때, 당해 링크의 링크 정보를 터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링크 선택 방법은,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 방법으로,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프로그램은,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 있어서 실행되는 표시 프로그램으로,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고,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정하는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동시에,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터치 조작의 경합을 해소하면서, 최소한의 터치 조작 횟수로 양호한 링크 선택 등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의 조작성이 훨씬 향상된다.
또한, 종래의 스크롤 바를 표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표시 화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1의 터치에 대한 제2의 터치의 유무에 따라서 처리를 절환함으로써, 터치 조작의 경합을 해소하면서 양호한 링크 선택 등의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의 휴대 단말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개략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표시 디바이스의 표시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예의 설명도.
도 6은 도 5의 동작에 계속되는 링크처의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Web 페이지의 스크롤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동작에 계속되는 스크롤 정지의 화면을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Web 페이지의 제2 스크롤 조작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 선택시의 편의를 위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의 유무에 관한 변형예의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문서 데이터의 표시에 관련된 메뉴 항목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처리의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에 대응하는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1)(2)를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에 대응하는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3)(4)를 나타낸 흐름도.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5의 상세한 처리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스크롤 처리(1)의 흐름도.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스크롤 처리(2)의 흐름도.
도 19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메뉴 선택 처리의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휴대 단말기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동작예의 처리 수순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동작예의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통화 기능, 데이터 통신 기능 및 마크업 언어문서의 표시 처리를 행하는 Web 브라우저 기능을 구비한 단말 장치의 일례로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하우징(10) 내에, 스피커(11), 터치 패널의 기능을 구비한 표시 디바이스(15), 마이크(16), 조작 버튼(17~19)을 내장한, 소위 스마트 폰이라 불리는 다기능의 휴대 전화 단말기이다. 하드웨어의 키보드나 텐키 등은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문자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표시 디바이스(15)의 표시 화면상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도시하지 않음)를 표시하여 터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략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101), 신호 처리부(102), 화상 처리부(103), 표시부(104), 마이크(105), 스피커(106), 입력부(107), 통신부(108), RTC(Real Time Clock)부(109), 기억부(110)를 구비한다.
제어부(101)는 CPU를 포함하고, 프로그램 제어에 의해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신호 처리부(102)는, 제어부(101)의 제어하에서, 마이크(105)(도 1의 16에 대응)로부터의 음성 입력을 디지털화하여 제어부(101)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01)로부터의 음성 출력 데이터(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음을 포함함)를 아날로그화하여 스피커(106)(도 1의 11에 대응)에 출력하거나, 화상 처리부(103)와 신호를 주고받는 각종 신호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다.
화상 처리부(103)는, 신호 처리부(102)로부터의 표시 데이터를 수취하여, 표시부(104)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화상 처리부(103)는 그래픽 처리를 서포트하는 표시 LSI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표시부(104)는 도 1에 나타낸,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기 EL 등의 표시 디바이스(15)를 포함하고, 유저에 대하여 문자, 도형,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문서인 Web 페이지를 표시한다. Web 페이지의 표시 정보는, 통상 문자, 도형, 화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그것들 전체를 단순히 표시 화상 또는 화상이라고도 한다.
입력부(107)는, 도 1에 나타낸 조작 버튼(17~19) 외에, 터치 패널(터치 입력부)을 포함하고, 손가락에 의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조작이나 데이터의 입력을 받아 제어부(101)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의 입력 범위는 표시부(104)의 표시 화면의 전체 면에 걸쳐 있다. 단, 반드시 전체 면에 걸쳐 있을 필요는 없으며, 표시 화면상의 일부의 영역만 터치 패널이 커버하는 것이어도 좋다.
통신부(108)는, 통화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부위이며, 안테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파에 의한 무선 인터페이스 경유로 통신을 행한다. 인터넷에 대한 접속은, 상기 통신부(108)를 통해서 행할 수 있는데, 도시하지 않은 기타 통신부(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부)를 통해 행해도 된다.
RTC부(109)는 일시 정보의 출력 기능 및 타이머 기능을 갖는다.
기억부(110)는 ROM(111) 및 RAM(113)을 포함한다. 그 밖에, 하드 디스크 장치 등 다른 기억 장치를 포함해도 좋다. ROM(111)은 제어부(101)의 CPU가 실행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재기입 가능한 영역을 포함한다. RAM(113)은 CPU를 위한 작업용 영역이나 데이터의 일시 기억 영역을 제공하는 메모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Web 페이지의 데이터 등은 상기 RAM(113)에 저장된다.
상기 외에, 도시하지 않지만 하드웨어 키보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부, Bluetooth(등록 상표) 통신부, 무선 LAN 통신부, 카메라 촬영부, TV 수신부 등을 구비해도 좋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100)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제어부(10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 브라우저 처리부(132),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 스크롤 처리부(134), 메뉴 처리부(135)를 구비한다.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는, 터치 패널에 대하여 유저가 터치한 것, 및 그 위치(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기능부이다.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터치 상태에 있는 복수의 터치 위치의 검출, 및 1개의 터치 위치의 터치 면적도 검출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다. 단, 이들의 추가적인 기능은 본 실시 형태의 주요한 특징에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는, 입력부(113)에 대한 유저의 터치 조작에 따라서 검출된 터치 위치 좌표 등의 정보를 브라우저 처리부(132),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 스크롤 처리부(134) 및 메뉴 처리부(135)에 부여한다. 또한, 기억부(110)에 적어도 최신의 터치 위치 및 과거의 변화된 데이터를 이력 데이터로서 보존한다.
브라우저 처리부(132)는, 기억부(110)로부터 마크업 언어로 기술된 문서 데이터를 받아 그것을 해석하여,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부이며, 소정의 태그(예를 들어 앵커 태그)로 기술되는 링크 설정 개소의 확인 및 링크 설정 개소에 대한 터치에 기초하는 링크처로의 이행의 기능을 포함한다.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는, 링크 유효 영역에 관련된 처리로서,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조건 하에서,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 표시 및 소거 등의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다. 이 처리에는, 후술하는 초기 위치(마크)의 설정, 표시 및 소거의 처리, 나아가 후술하는 링크 정보 표시 영역의 표시 및 소거도 포함된다.
스크롤 처리부(134)는,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의 출력에 따라, 소정의 조건 하에서 브라우저 화면 내의 표시 화상 전체를 이동시키는(즉 스크롤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메뉴 처리부(135)는, 본 실시 형태의 추가적인 특징으로서, 링크 유효 영역과 조합하여 복수의 메뉴 항목을 표시하여, 유저가 선택하도록 제공하는 처리를 행하는 부위이다.
이하, 구체적인 표시 화면 예를 나타내면서, 본 실시 형태의 주요한 동작예 및 부가적인 동작예나 변형예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디바이스(15)의 표시 화면(300)의 표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시 화면(300)에 있어서, 상변부의 가로길이 띠 형상의 영역(310)은, 휴대 전화의 전파의 수신 강도, 시각, 전지 잔량 등의 표시를 행하는 에리어이다. 그 아래의 가로길이 띠 형상의 영역(320)과, 또한 그 아래의 주요 영역(330)이 브라우저 화면이다. 적어도 브라우저 화면의 전체가 터치 패널 영역으로 되어 있다.
영역(320)은, 주요 영역(330)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Web 페이지의 타이틀을 표시하는 타이틀 표시 영역(321)과 조작 영역(322)을 포함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조작 영역(322)에는 이 위치를 터치하면, 조작 영역(322)이 영역(320) 내에서 확대되어, 거기에 다른 조작용 버튼 등(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주요 영역(330)에는, 예를 들어 PC용의 Web 사이트에 액세스해서 얻어지는, 화면으로부터 불거져 나오는 큰 크기의 Web 페이지의 일부(좌측 상단부분)를 표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의 Web 페이지의 좌측의 「제품 개요」, 「OS」, 「Browser」, 「서비스」, 「다운로드」 등의 각 문자열, 및 중앙으로부터 우측 하단의 「Platform」, 「Browser」, 「서비스」, 「ip…」 등의 각 문자열에는 각각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에 사각 마크(□)로 나타내는 각 도형에도 링크가 설정되어서 있어도 된다. 이러한 링크가 설정된 문자나 도형 등의 위치에 유효한 터치가 행하여지면, 그 링크 설정 개소의 링크처로의 이행이 행해져, 현재의 Web 페이지 대신에, 링크처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이 도의 화면(300a)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제, 화면(300a)에 대하여 유저가 손가락(350)으로, 화면 좌측 상단부의 링크 설정 개소 「Browser」를 터치하여, 그 내용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이행하고자 했다고 한다. 이때, 터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정하는 링크 유효 영역(360)이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링크 유효 영역」이란,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정하는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하는 것은,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링크 유효 영역을 유저가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예에서는, 링크 유효 영역(360)의 표시 예로서,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미리 정한 반경의 원을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링크 유효 영역(360)의 구체적인 표시 형태로는, 이 원 내를 강조하는 표시 형태로 해도 좋다. 원 내의 강조 표시로는, 원 내의 고휘도(하이라이트) 표시, 원 외의 저휘도 표시, 원 내의 반전 표시, 원 내의 색 변화 표시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유효 영역(360)의 형상은 원형으로 하였지만, 원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타원형, 사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링크 유효 영역(360)의 크기는, 미리 정한 고정 크기이어도 좋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조건 하에서 가변으로 하여도 좋다. 혹은, 유저가 초기 설정에 있어서 복수의 크기로부터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손가락(350)의 터치에 의해 지시되었다고 판단된 링크에 대해서는 그 링크 정보가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 내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터치한 문자열이 손가락으로 가려져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터치한 링크가 원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은 고정 위치(도의 예에서는 주요 영역(330)의 상변부)에 일시적으로 윈도우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의 위치는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터치 위치의 근방 위치 등,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의 위치는 다이내믹하게 변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도의 예에서는, 제어부에 의해, 손가락(350)의 터치 위치가 「Browser」의 상단 이웃의 링크 설정 개소 「OS」에 속한다고 판단되어,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 내에는 「OS」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유저는, 이 링크가 목적하는 링크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화면(30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350)을 터치한 채 하측으로 비켜간다. 다음 링크 설정 개소로 터치 위치가 이동했을 때,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 내에 문자열 「Browser」가 표시된다. 거기서, 유저는 목적하는 링크가 지시되었다고 판단하여 손가락(350)을 화면으로부터 뗀다. 이 터치 이탈을 계기로 링크의 선택이 완료하고, 직전까지 터치 상태에 있었던 당해 링크의 링크처로의 이행이 행해진다. 도 6에 링크처의 화면(300c)의 예를 나타낸다. 상기 화면(300c)에서는, 타이틀 표시 영역(321)의 표시가 「Browser」로 바뀌어 있다. 주요 영역(330)의 좌측 상단부의 문자열군은 화면(300a)과 동일하지만, 현재 선택되어 있는 링크가 굵은 문자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라우저 화면을 프레임이라 불리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면, 프레임 마다의 표시 절환이 가능해지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프레임 표시는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다음으로, 터치에 의한 스크롤 조작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제, 유저는 도 7의 화면(300a)에 있어서 화면 우측에 숨겨진 Web 페이지 부분을 보기 위해서 화상을 좌측으로 스크롤시키고 싶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이때,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손가락(350)의 터치시에 링크 유효 영역(360)이 표시된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가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링크 유효 영역(360)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손가락(350)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조작은 마우스의 클릭 버튼을 누른 채 커서를 이동하는 「드래그」라고 불리는 조작과 유사하다. 화면(300d)에서는, 링크 유효 영역(360)을 넘어선 위치까지 손가락(350)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최초의 터치 위치에 초기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의 마크인 초기 위치 마크(370)가 표시된다. 「최초의 터치 위치」란, 어떤 시점에서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그때의 터치 위치를 나타내며, 그 터치 상태를 계속하여 터치 위치가 변화되어 갔을 때의 터치 위치를 배제하는 취지이다.
초기 위치 마크(370)로는, 여기에서는 비교적 작은 원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 형상이나 색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초기 위치 마크(370)는 물리적인 표시 화면의 좌표계에 대한 좌표로 정해지며, 화상이 이동해도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360)의 외측으로 나온 시점에서 링크 유효 영역(360)의 표시는 소거된다. 단, 이 소거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표시한 채의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스크롤 지시 조작시, 초기 위치로부터 터치의 이동처 위치로 연장되는 이동 벡터(380)가 상정된다. 상기 이동 벡터(380)는 편의상 상정되는 것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동 벡터(380)의 길이(즉, 초기 위치로부터 터치의 이동처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라서 스크롤 속도가 결정되고, 스크롤 방향(390)은 이동 벡터(380)와 역방향이 된다. 상기 스크롤 방향(390)도 편의상 나타낸 것으로, 실제로 표시될 필요는 없다. 화면(300d)은 스크롤에 의해 화상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흐르고 있는데, 그 모습은 도시를 생략한다.
스크롤이 계속되고 있는 중에 손가락(350)이 터치 패널로부터 떨어진 경우, 도 8의 화면(300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롤이 정지한다. 즉, 유저는 스크롤을 개시한 뒤, 원하는 Web 페이지 부분이 화면에 나타난 시점에서 손가락(350)을 떼면 된다. 원하는 Web 페이지 부분이 먼 경우에는 손가락의 위치를 초기 위치(마크(370))로부터 멀리 떨어뜨려 스크롤 속도를 크게 하고, 원하는 Web 페이지 부분이 가까워졌을 때 손가락의 위치를 초기 위치에 접근시켜(단, 링크 유효 영역 외에서) 스크롤 속도를 작게 하는 사용 방법이 가능하다.
또한, Web 페이지의 표시 화상이 이동하여 그 단부가 표시 화면 내에 나타난 시점에서, 터치 상태에 관계없이 더 이상의 스크롤은 정지한다. 스크롤의 방향은 수평 방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직 방향 또는 경사 방향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도 9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스크롤 조작의 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2 스크롤 조작은 앞의 (제1) 스크롤 조작에 대신하는 것이다. 제1 스크롤 조작은 링크 유효 영역 외로 이동한 손가락이 터치 상태에 있는 동안에 스크롤이 계속되는 것이지만, 제2 스크롤 조작은 손가락의 이동에 동기하여 손가락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만 스크롤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동기」란, 손가락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이 표시 화상의 그것과 실시간으로 일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의 화면(300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350)을 브라우저 화면상의 1점에 터치하고, 이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링크 유효 영역(360)의 경계를 넘어 이동 벡터(380)의 방향으로 손가락(350)을 이동시켰을 때, 화면(300g)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이동량만큼 그 이동 방향으로 화상이 스크롤된다. 이때 손가락(350)의 터치가 계속되고 있으면, 스크롤 조작을 더 계속할 수 있다. 터치가 이탈되면, 당해 스크롤 처리는 종료하고, 다음번의 터치에서는 다시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부터 시작된다. 이와 같이 제2 스크롤 조작에서는 제1 스크롤 조작과 달리, 그 이동 방향은 이동 벡터(380)와 동일하게 된다. 이 조작은 화상이 실린 종이를 손으로 비켜 놓는 것 같은 조작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도 10에 의해 링크 선택시의 편의를 위한 변형예를 설명한다. 화면(30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 설정 개소가 비교적 밀집된 영역에 손가락(350)을 터치한 경우, 앞의 예와 같이 잘못해서 옆의 링크를 터치한 경우, 손가락(350)을 지극히 미량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손가락이 목적하는 링크를 지나쳐 가거나 해서 신속하고도 정확한 지시 조작이 곤란해질 수 있다. 따라서, 화면(300h)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소정의 조건 하에서, 표시부에 의해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을 일시적으로 확대하도록 하였다. 상기 확대 시에는 링크 유효 영역(360)도 함께 확대된다. 표시 화상의 확대의 중심은 초기 위치로 한다. 소정의 조건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링크 유효 영역(360) 내에 속하는 링크 설정 개소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그 개수가 미리 정한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표시 화상의 확대를 행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것 대신에, 터치의 면적이 소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 표시 화상의 확대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유저에 따라 손가락의 크기가 상이하여, 손가락이 큰 유저일 때 미세한 링크 설정 개소의 터치 지시가 곤란할 경우에 유효하다. 링크 유효 영역(360)의 밖으로 손가락이 이동했을 때에는 표시 화상을 원래의 배율(100%)로 복귀시킨다.
이밖에, 도시하지 않지만, 표시 화상의 배율은 100%인 채로 링크 유효 영역(360)을 소정의 조건 하에서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당초의 링크 유효 영역(360) 내에 소정개수 이상의 링크 설정 개소가 포함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링크 유효 영역(360)의 크기를 확대하면, 터치 위치로부터 약간 떨어진, 확대 전의 링크 유효 영역(360) 밖의 링크 설정 개소의 링크의 지정도, 다시 터치할 필요없이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한, 터치 면적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링크 유효 영역(360)의 크기를 확대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의해, 손가락이 굵은 유저의 경우에 링크 유효 영역(360)이 좁아서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의 유무에 관한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앞의 예에서는, 브라우저 화면 내의 어느 위치에 터치하고자 터치한 경우에 링크 유효 영역(360)을 설정하여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처음부터 스크롤 조작을 행하고 싶은 경우에도, 터치시에 항상 링크 유효 영역(360)이 표시되면, 링크 유효 영역(360)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킬 때에 링크 유효 영역(360) 내에서 잘못해서 손가락을 뗀 경우, 의도하지 않는 링크처로의 이행이 실행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브라우저 화면 내에는 링크 설정 개소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영역도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링크 유효 영역(360) 내의 링크 설정 개소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이 0인 경우에는, 링크 유효 영역(360)의 설정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링크 유효 영역(360)의 크기는 그대로 하고, 링크 유효 영역(360)의 기능 자체를 무효화하고, 터치 직후의 스크롤 조작을 유효화하도록 해도 좋다. 혹은, 링크 유효 영역(360)의 크기를 0(반경 0)으로 하여 그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크기가 0이면, 터치의 이동에 의해 즉시 스크롤 동작이 유효해진다. 어느 경우든, 도 11의 화면(300i)과 같이, 링크 설정 개소가 없는 영역에 손가락(350)을 터치한 경우에는, 링크 유효 영역은 표시되지 않고, 링크 유효 영역의 내외를 고려하는 일 없이 즉시 스크롤 조작이 유효해진다. 상기 스크롤 조작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롤 조작 모두 있을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링크 유효 영역의 경계를 넘어 터치의 이동을 행한 경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로서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스크롤 처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의 확대/축소, 표시의 회전(예를 들어, 90도 회전) 등의 표시 형태의 변경도 생각할 수 있다. 경계의 외측으로 나온 경우에 단순히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의 해제를 행하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 밖에, 표시 화면을 절환하는 처리도 「소정의 처리」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열람의 이력이 보존되어 있는 상태에서, 열람의 이력을 「진행한다」, 「복귀한다」 등의 조작에 의해 표시 화면을 절환하는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 터치 상태의 손가락이 링크 유효 영역의 좌측 경계를 넘어 외측으로 나온 경우에 「복귀한다」, 우측 경계를 넘어 외측으로 나온 경우에 「진행한다」는 조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처리」에 선택지가 있는 경우에는, 경계를 나오는 방향에 따라 선택지의 선택을 행할 수 있다.
도 12에, 「소정의 처리」로서, 문서 데이터의 표시에 관련된 메뉴 항목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화면(300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의 터치시에 그 터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링크 유효 영역(360)을 표시하는 동시에, 그 둘레에 복수의 메뉴 항목을 나타내는 메뉴 아이콘(400a~400h)을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8개의 메뉴 아이콘(400a~400h)을 총칭하여 메뉴 영역(400)이라 한다. 메뉴 아이콘의 개수, 크기, 형상, 메뉴 항목의 내용, 배치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각 메뉴 항목과 그 위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즉, 최상부의 아이콘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북 마크, (2)URL 입력, (3)복귀한다, (4)홈, (5)리로드(Reload), (6)메뉴, (7)진행한다, (8)북 마크 등록으로 되어 있다. 「복귀한다」와 「진행한다」는 바람직하게는 점대칭의, 대향하는 위치로 하고(도의 예에서는, 좌우의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다른 메뉴 항목에 대해서는 배치 위치의 제약은 특별히 없다. 기능 명칭을 나타내는 문자 정보는 반드시 없어도 되고, 기호나 마크이어도 좋다.
유저의 터치시의 각 메뉴 항목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북 마크」:북 마크를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북 마크 리스트(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된다.
(2)「URL 입력」:URL 입력부를 구비한 소프트웨어 키보드(도시하지 않음)가 표시된다.
(3)「복귀한다」:열람 이력상에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Web 페이지 앞의 Web 페이지의 표시로 복귀한다. 통상, 열람 이력은 기억부에 보존된다.
(4)「홈」:브라우저 기동 전에 이 아이콘에 터치하면, 브라우저가 기동하여 "홈"으로 지정되어 있는 URL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브라우저 기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 아이콘에 터치하면, 홈으로 지정되어 있는 Web 페이지로 표시가 절환된다.
(5)「리로드」:현재 표시중인 Web 페이지의 URL의 마크업 언어문서의 요구를 재취득하여 표시하는 갱신 처리를 실행한다.
(6)「메뉴」:서브 메뉴를 표시한다.
(7)「진행한다」: 열람 이력상에서, 현재 표시되어 있는 Web 페이지의 다음 Web 페이지의 표시로 진행한다.(「복귀한다」로 복귀된 경우, 즉, 예를 들어 Web 페이지 A⇒B⇒C⇒「복귀한다」⇒B⇒(진행한다)C와 같은 경우)
(8)「북 마크 등록」:현재 표시중인 Web 페이지(의 URL)를 북 마크 등록한다.
최초의 터치 위치로부터 손가락을 링크 유효 영역(360)의 경계를 넘어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의 아이콘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거기에서 손가락(350)을 떼면, 그 아이콘에 할당된 메뉴 항목이 실행된다. 화면(300k)에서는, 일단 터치한 손가락(350)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복귀한다」의 메뉴 항목의 아이콘(400c) 내에서 손가락을 뗌으로써, 「복귀한다」의 조작을 행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의해, 브라우저 화면상의 임의의 위치(단, 필요한 메뉴 항목이 표시될 수 있는 위치)에서 집약된 메뉴 선택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에 나타낸 메뉴 선택의 특징을 상술한 제1 또는 제2 스크롤의 특징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메뉴 영역(400) 내에서는 스크롤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즉, 터치한 후, 초기 위치로부터 메뉴 영역(400)의 외측까지 터치를 이동시켰을 때, 상기의 어느 하나의 스크롤 조작을 실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화면(300i)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링크 유효 영역(360)의 미설정·미표시는, 도 12의 메뉴 표시의 경우에는 채용하지 않는다.
이하, 상술한 각종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 수순예를 흐름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링크 선택 처리와 그 이외의 처리의 절환을 행하기 위한 처리이다. 우선, 브라우저 화면상에 터치가 있은 경우(S11, 예), 그 터치 위치의 좌표를 초기 위치로서 기억한다(S12). 계속해서,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도 3)에 의해,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를 행한다(S13). 이 구체적인 내부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거기서, 터치 상태인 채 터치 위치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출한다(S14).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밖으로 나왔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5).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에는 링크 선택 처리를 행한다(S16). 링크 유효 영역 밖으로 나온 경우에는, 링크 선택 처리 이외의 처리를 실행한다(S17). 스텝 S16, S17 모두 그 실행 후에는, 실행 결과에 따라 스텝 S11 또는 S14로 복귀된다. 상기 처리들의 상세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흐름도의 표기의 편의상, 터치 위치의 검출을 도 13의 흐름 중의 1스텝(S14)으로서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도 13의 처리와는 독립적으로 병행하여, 주기적으로 터치 위치의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14(a), (b)는, 각각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에 대응하는 대체 가능한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1), (2)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a)의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1)에서는, 우선,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링크 유효 영역을 설정한다(S21). 구체적으로는 링크 유효 영역의 중심 위치를 당해 초기 위치에 일치시켜,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계속해서, 그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한다(S22).
도 14(b)의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2)는 도 10에서 설명한 처리에 상당한다. 이 처리에서는,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1)과 마찬가지로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링크 유효 영역을 설정하고(S31), 그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한다(S32). 또한, 링크 유효 영역 내에 속하는 링크 설정 개소의 개수를 카운트한다(S33). 이 카운트값이 소정 개수 이상이면(S34, 예), 링크 유효 영역과 함께 표시 화상을 일시적으로 확대한다(S35).
도 15(a), (b)는, 각각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3에 대응하는 대체적인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3), (4)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a)의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3)은 도 11에서 설명한 처리에 상당한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링크 유효 영역을 설정하고(S41), 계속해서 링크 유효 영역 내의 링크 설정 개소의 개수를 카운트한다(S42). 카운트값이 0이 아니면(S43, 아니오),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한다(S44). 카운트값이 0이면, 링크 유효 영역의 크기를 0으로 한다(S45).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는 행하지 않는다.
도 15(b)의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4)는 도 12에서 설명한 메뉴 선택 처리에 상당한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초기 위치에 기초하여 링크 유효 영역을 설정하고(S51), 그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시킨다(S52). 계속해서, 링크 유효 영역의 주위(둘레)에 메뉴 영역(400)(도 12)을 설정하여 표시한다(S53).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5의 상세한 처리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61).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도 5 등)에 텍스트로 당해 링크 정보를 표시한다(S62).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3의 스텝 S14로 복귀된다. 스텝 S62에 계속해서 터치 이탈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63). 터치 이탈이 없으면 스텝 S14로 복귀된다. 터치 이탈이 있는 경우에는,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를 소거한다(S64). 또한, 당해 링크처로의 이동을 행한다(S65). 그 후, 스텝 S11로 복귀된다. 또한, 링크처로의 이동에 의해 브라우저 화면 전체가 갱신되는 경우에는 스텝 S64는 생략해도 좋다.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스크롤 처리 (1)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상술한 제1 스크롤 조작에 상당한다.
우선,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를 소거하고, 소정의 초기 위치 마크(370)(도 7)를 표시한다(S71). 계속해서,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처의 현 터치 위치까지의 거리와 방향, 즉 이동 벡터(380)(도 7)를 산출한다(S72).
이 산출된 거리에 따라, 스크롤 속도를 결정한다(S73). 전형적으로는, 거리가 클수록 스크롤 속도도 크게 한다. 그 관계는 직선적이어도 좋고, 단계적이어도 좋다. 이 결정된 스크롤 속도로, 산출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화상 전체를 스크롤한다(S74).
상기 스크롤 동작중에 터치 이탈이 있으면(S75, 예), 스크롤을 정지시킨다(S76). 또한, 초기 위치 마크를 소거하고(S77), 스텝 S11로 복귀된다.
터치 이탈이 없는 동안에는,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는지의 여부를 끊임없이 체크하여(S78),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될 때까지는 스텝 S72로 복귀되어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을 때, 초기 위치 마크를 소거하고, 다시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하고(S79), 스텝 S14로 복귀된다.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스크롤 처리 (2)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를 소거하고, 초기 위치 마크(370)(도 7)를 표시한다(S81). 계속해서, 전 터치 위치로부터 현 터치 위치까지의 변위Δx, Δy를 산출한다(S82). 계속해서, 화상 전체를 변위 Δx, Δy분만큼 스크롤한다(S83). 그 스크롤 동작중에 터치 이탈이 있으면(S84, 예), 스텝 S11로 복귀된다. 터치 이탈이 없는 동안에는,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는지의 여부를 끊임없이 체크하여(S85),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될 때까지는 스텝 S82로 복귀되어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을 때, 다시 링크 유효 영역을 표시하고(S86), 스텝 S14로 복귀된다.
도 19는, 도 13에 나타낸 스텝 S16의 처리 예로서의 메뉴 선택 처리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초기 위치로부터 원래 터치 위치까지의 변위 Δx, Δy를 산출한다(S91). 거기서, 터치 이탈의 유무를 체크한다(S92). 터치 이탈이 있으면, 현 터치 위치가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94).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 영역 내에 있으면, 당해 메뉴 항목의 처리를 실행한다(S95). 어느 메뉴 항목 영역 내에도 없으면, 스텝 S11로 복귀된다.
터치 이탈이 없는 동안에는,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93).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될 때까지는 스텝 S91로 복귀되어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현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내로 복귀되었을 때, 스텝 S14로 복귀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외관 구성 및 내부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단말기(100)의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요소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였다.
제어부(101)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으로서,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 브라우저 처리부(132), 스크롤/링크 절환부(136), 및 스크롤 처리부(134)를 구비한다.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131), 브라우저 처리부(132) 및 스크롤 처리부(134)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스크롤/링크 절환부(136)는, 입력부(113)로부터의 터치 조작에 따라, 스크롤 관련 처리와 링크 관련 처리를 절환하는 부위이다.
이하, 구체적인 표시 화면 예를 나타내면서, 본 실시 형태의 주요한 동작예 및 부가적인 동작예나 변형예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21 내지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한 도이다.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300)의 기본적인 표시 예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주요한 동작예의 설명도이다. 상기 도의 화면(300a)은 도 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제, 표시된 Web 페이지의 우측 하방향에 가려진 위치에 있는 부분을 보기 위해서 스크롤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이 스크롤 조작은 손가락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만 손가락의 이동에 동기하여 표시 화상의 이동을 행하는 상기 동기 스크롤을 행하는 것이다.
도 21의 화면(30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350)을 브라우저 화면상의 1점에 터치하고, 이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화살표(341)의 방향으로 손가락(350)을 이동시켰을 때, 그 이동량만큼 그 이동 방향으로 화상이 스크롤된다. 화면(30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350)이 정지하면 스크롤도 정지한다. 터치가 이탈한 경우, 당해 스크롤 처리는 종료한다. 상기 스크롤 조작은 화상이 실린 종이를 손으로 비켜 놓는 것 같은 조작과 동일하며, 직감적으로 알기 쉽다. 이 조작은 몇 번이라도 반복해서 행할 수 있다.
이 1개의 손가락에 의한 스크롤 조작시에는, Web 페이지상의 링크 설정 개소에 손가락이 터치되어도 링크의 지시는 접수되지 않는, 즉, 링크 지시가 무효화되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화면(300b)의 상태에서, 도 22의 화면(30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가 또 1개의 손가락(351)으로 화면의 임의의 위치(여기서는 화면 좌측 하방)를 터치했다고 한다. 손가락(351)은, 전형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장치 하우징을 파지한 쪽의 손(동 도의 예에서는 왼쪽 손)의 엄지 손가락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350)에 의한 터치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 1개의 손가락(351)에 의한 제2의 터치가 행하여졌을 경우, 제1의 터치에 의한 스크롤 조작이 억제되는 동시에, 제1의 터치(이동 가능)에 의한 링크 지시가 유효화된다. 이에 따라, 제1 손가락(350)의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에 그 링크를 나타내는 정보(링크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제1의 터치」 또는 「제1 터치」 및 「제2의 터치」 또는 「제2 터치」의 「제1」 「제2」에 관해서, 동시에 2개의 손가락이 터치 패널을 터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먼저 터치 상태가 된 쪽이 「제1」이며, 나중에 터치 상태가 된 쪽이 「제2」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은 고정 위치(도의 예에서는 주요 영역(330)의 상변부)에 일시적으로 윈도우로서 표시하는 것이다.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의 위치는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터치 위치의 근방 위치 등,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의 위치는 다이내믹하게 변화하는 것이어도 좋다.
도 22의 화면(300c)의 예에서는, Web 페이지 중의 "Platform"이라는 문자열로 설정된 링크가 손가락(350)에 의해 지시되어, 그 문자열이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터치한 문자열이 손가락에 가려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유저는 터치한 링크가 원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에 표시되는 링크 정보로서, 링크가 설정된 문자열 그 자체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링크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1) Web 페이지 내의 링크가 설정되어 있는 문자열 그 자체. 상기의 예에서는 "Platform"이라는 문자열.
(2) 링크처의 타이틀 정보. 상기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Platform Information". 링크처의 타이틀 정보는 원래의 HTML 문서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링크처로부터 취득해도 좋다.
(3) 링크처의 URL.
(4) 상기의 (1) 내지(3)의 임의의 조합.
도 22의 화면(300c)의 상태로부터, 화면(300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손가락의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손가락(350)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이동시켰다고 한다. 이때, 스크롤 조작은 억지되어 있으므로, 화면이 스크롤되지 않고, 손가락(350)만이 화면상에서 이동한다. 제1의 터치에 관한 손가락(350)이 링크 설정 개소에 도달하면, 그 링크 정보가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에 표시된다. 도의 예에서는, 스크롤 처리에 의해 화면 내에 나타난 링크 설정 개소 "서포트"를 손가락(350)이 지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350)에 의해 링크가 지시된 상태에서 손가락(350)이 터치 패널로부터 이탈하면, 링크의 선택이 실행되었다고 판단되어, 도 23의 화면(30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크처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또한, 화면(300d) 내에 나타낸 화살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손가락(350)(제1의 터치)을 떼기 전에 손가락(351)(제2의 터치)을 떼면, 다시 링크 지시가 무효화되고, 스크롤 조작이 허용된다.
도 22에 나타낸 동작예(즉, 제1 동작예)에서는,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손가락과 링크를 지시하는 손가락은, 제1의 터치를 행한 동일한 손가락(350)인 경우를 설명하였다. 즉, 2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최초에 터치를 행한 쪽의 손가락(도의 예에서는 손가락(350))으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반해, 2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 나중에 터치(제2의 터치)를 행한 쪽의 손가락으로 링크를 지시하는 동작예(즉, 제2 동작예)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의 화면(300f)은, 도 21의 화면(300b)에 있어서 스크롤 조작을 행한 직후의 손가락(350)을 일단 화면에서 뗀 후, 손가락(351)으로 터치를 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어느 손가락이든지 1개만인 터치 상태에서는, 스크롤 조작만이 가능하며, 링크의 지시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화면(300f)의 상태에서 손가락(351)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스크롤을 행할 수 있다. 단, 이 예에서는 손가락(351)의 터치 상태는 그대로이고, 다시 손가락(350)을 임의의 위치에 터치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24의 화면(300g)에서는, 손가락(350)으로 제2 터치를 행하여 원하는 링크(도에서는 「서포트」)를 지시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2 터치는 원하는 링크를 갑자기 지시하지 않고, 다른 위치를 지시한 후, 손가락을 당해 링크 설정 개소까지 이동시키는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화면(300g)에서 손가락(350)에 의한 제2 터치가 이탈하면, 당해 링크로의 이행이 기동되어, 도 23의 화면(300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이행처의 Web 페이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제2 동작예에 따르면, 스크롤 조작을 행한 손가락을 일단 터치 패널로부터 뗄 수가 있으므로, 스크롤 조작을 행하지 않고 갑자기 링크의 지시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스크롤 조작을 행하고, 스크롤 조작 후의 손가락을 그대로 터치 패널에 올려놓은 채, 다른 쪽 손의 손가락으로 링크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화면예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3 동작예도 생각할 수 있다. 제1 동작예에서는 제1 터치에 의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고, 제2 동작예에서는 제2 터치에 의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으로 했는데, 제3 동작예에서는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은, 터치 상태에 있는 2개의 손가락 중 어느 터치이어도 좋은, 즉, 제1 터치든 제2 터치든 링크 설정 개소에 있는 쪽의 지시를 유효로 하는 것이다. 양쪽의 손가락이 동시에 서로 다른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한 어느 한쪽, 예를 들어 나중에 터치한 쪽을 우선시한다. 만약에 원하는 링크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원하는 링크를 다시 지시하여 고치면 된다.
도 25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제어부(101)(도 2)의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 후술하는 다른 흐름도의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5의 처리에 있어서, 우선, 제1 터치가 있을 때(S111, 예), 그 제1 터치 위치가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112). 제1 터치 위치가 이동하면, 그 이동에 동기하여 표시 화상을 스크롤시키는 스크롤 처리를 행한다(S113). 상기 스크롤은 상술한 「동기 스크롤」을 상정하고 있다. 제1 터치의 이동의 유무에 관계없이, 제1 터치가 이탈했을 때에는(S114, 예), 스크롤 처리를 억지하고(S115), 스텝 S111로 복귀된다.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 터치가 있는 경우에는(S116, 예), 스크롤 처리를 억지한다(S117). 또한, 초기적으로 무효화되어 있었던 링크 지시를 유효화한다(S118). 그 후, 제2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S119, 예), 링크 지시를 무효화하고(S124), 스텝 S111로 복귀된다. 어느 스텝에서 스텝 S124로 이행했는지에 따라, 스텝 S111로 복귀된 시점에서 제1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다르다. 스텝 S111에서는 새롭게 제1 터치가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제1 터치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도, 「제1 터치 있음」이라고 판단한다.
스텝 S119에 있어서 제2 터치의 이탈이 없는 경우,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20). 상기 제1 터치 위치는 유저의 손가락의 이동에 의해 차례로 변화할 수 있다.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되었을 때, 그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에 표시한다(S121).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120, 아니오), 그 시점에서 링크 정보가 표시중이면 그 표시를 소거하고(S125), 스텝 S119로 복귀된다. 단, 제1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S126, 예), 스텝 S111로 복귀된다. 제1 동작예에서는, 제1 터치가 이탈한 시점에서 지금까지 제2 터치이었던 터치(도 22의 손가락(351)에 의한 터치)는 제1 터치로 간주된다. 단, 제1 동작예에서는 이때 남겨진 제2 터치(새롭게 제1 터치로 간주된 터치)는 즉시 이탈되는 것이 상정된다.
링크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S122, 예), 링크의 선택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하고, 당해 링크처로 이행한다(S123). 계속해서, 링크 지시를 무효화하고(S124), 최초의 스텝 S111로 복귀된다. 이 경우에도 지금까지 제2 터치이었던 터치(도 22의 손가락(351)에 의한 터치)는 제1 터치로 간주된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의 처리가 도 25의 처리와 다른 점은, 도 25의 스텝 S120과 스텝 S122가 각각 스텝 S120a와 스텝 S122a로 변경된 점이다. 스텝 S120a에서는, 제1 터치 위치가 아니라 제2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122a에서는, 제1 터치가 아니라 제2 터치가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도 26의 처리에서는 제2 터치에 의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게 된다.
도 27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의 처리가 도 25의 처리와 다른 점은, 도 25의 스텝 S120과 스텝 S122가 각각 스텝 S120b와 스텝 S122b로 변경된 점이다. 스텝 S120b에서는, 제1 터치 위치가 아니라, 제1 터치 또는 제2 터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122a에서는, 스텝 S120b에서의 당해 터치가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도 27의 처리에서는 제1 또는 제2 터치 중 어느 것이어도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게 된다.
기타의 변형예로서, 2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터치 상태에 있는 경우에, 터치 면적의 작은 쪽의 손가락으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은, 예를 들어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으로 터치하고, 다른 쪽 손의 집게 손가락의 끝으로 링크의 지시를 행하는 조작 형태에 대응한다. 이 경우, 어느 쪽의 터치로 링크의 지시가 접수되는가는, 어느 쪽의 터치가 먼저 행하여졌는가와는 관계가 없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 장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8에, 주요한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 도 20에 나타낸 요소와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8에 있어서는, 도 20의 구성에 대하여,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 및 메뉴 처리부(135)를 추가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를 조합한 것에 상당한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주요한 동작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동작을 조합한 것이 된다.
이하,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종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처리 수순예를 흐름도에 의해 설명한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동작예의 처리 수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브라우저 화면상에 터치가 있는 경우(S131, 예), 그 터치 위치의 좌표를 초기 위치로서 기억한다(S132). 계속해서,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133)(도 28)에 의해,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를 행한다(S133). 이 구체적인 내부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2 터치가 이루어지기 전에 제1 터치가 이탈하면(S134, 예),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하고(S135), 스텝 S131로 복귀된다.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 터치가 있으면(S136, 예), 즉시 링크 유효 영역의 설정을 해제한다(S135). 이때, 링크 유효 영역의 표시도 소거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허용되었던 링크 지시를, 브라우저 화면상의 전체 영역에서 허용한다(S138). 제1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S139, 예), 스텝 S131로 복귀된다.
제2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가 감시된다(S140). 터치 위치의 변화는 끊임없이 체크되고 있다.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140, 아니오), 링크 정보의 표시(있으면)를 소거하고(S141), 제1 터치의 이탈이 없으면(S142, 아니오), 스텝 S139로 복귀된다. 제1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 스텝 S131로 복귀된다. 이때, 지금까지 제2 터치이었던 터치가 제1 터치로 간주된다.
스텝 S140에서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당해 링크의 링크 정보를 링크 정보 표시 영역(340) 내에 표시한다(S143). 이 상태에서 제1 터치의 이탈이 있으면(S144, 예), 당해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한다(S145).
링크처로 이행한 후에는 스텝 S131로 복귀된다. 이때, 지금까지 제2 터치이었던 터치가 제1 터치로 간주된다.
스텝 S136에서 제2 터치가 없는 경우, 현재의 제1 터치 위치가 링크 유효 영역 밖으로 나왔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46). 링크 유효 영역 밖으로 나와있지 않는 동안에는 링크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S147). 링크 유효 영역 밖으로 나온 경우에는 링크 선택 처리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한다(S148).
상기 스텝 S133에 대응하는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1), (2)는 도 14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텝 S113에 대응하는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 (3), (4)는 도 15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의 스텝 S147에 나타낸 링크 선택 처리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16에 있어서의 「터치」는 본 처리의 「제1 터치」에 상당한다.
상기 스텝 S148의 「미리 정해진 처리」는, 도 17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17에 있어서의 「터치」는 본 처리의 「제1 터치」에 상당한다.
도 29에 나타낸 스텝 S148의 미리 정해진 처리의 일례로서의 스크롤 처리 (2)는 도 18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18에 있어서의 「터치」는 본 처리의 「제1 터치」에 상당한다.
도 29에 나타낸 스텝 S148의 미리 정해진 처리의 다른 예로서의 「메뉴 선택 처리」는 도 19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도 19에 있어서의 「터치」는 본 처리의 「제1 터치」에 상당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 동작예의 처리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0의 처리가 도 29의 처리와 다른 점은, 도 25의 스텝 S240, S244가 각각 스텝 S240a, S244a로 변경된 점이다. 스텝 S240a에서는, 제1 터치 위치가 아니라 제2 터치 위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244a에서는, 제1 터치가 아니라 제2 터치가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도 30의 처리에서는 제2 터치에 의한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게 된다.
도 31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3 동작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9에 나타낸 흐름도와 마찬가지의 스텝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의 처리가 도 29의 처리와 다른 점은, 도 29의 스텝 S240과 스텝 S244가 각각 스텝 S240b와 스텝 S244b로 변경된 점이다. 스텝 S240b에서는, 제1 터치 위치가 아니라, 제1 터치 또는 제2 터치 위치 중 어느 하나가 링크 설정 개소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244a에서는, 스텝 S240b에서의 당해 터치가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에 의해, 도 31의 처리에서는 제1 또는 제2 터치 중 어느 것이라도 링크의 지시를 접수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상기에서 언급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형, 변경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단말 장치에서는 하드웨어의 키보드를 구비하지 않은 것을 나타냈지만, 하드웨어 키보드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화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표시 화면이 터치 입력을 접수하는 임의의 단말 장치이어도 좋으며, 반드시 휴대형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PC, PDA, 게임기, 카 네비게이션 장치, 가전 기기, 자동 판매기 등이어도 좋다.
또한, 손가락으로 터치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2개의 펜 또는 손가락과 함께 펜을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제1 스크롤 처리에서는, 이동 벡터의 길이(거리)에 따라서 스크롤 속도를 결정했지만, 거리에 의하지 않고 스크롤 속도를 일정하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설계,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스피커
15 : 표시 디바이스
16 : 마이크
17~19 : 조작 버튼
100 : 휴대 단말기
101 : 제어부
102 : 신호 처리부
103 : 화상 처리부
104 : 표시부
105 : 마이크
106 : 스피커
107 : 입력부
108 : 통신부
109 : RTC(Real Time Clock)부
110 : 기억부
113 : RAM
131 : 터치 위치 좌표 처리부
132 : 브라우저 처리부
133 : 링크 유효 영역 관련 처리부
134 : 스크롤 처리부
135 : 메뉴 처리부
321 : 타이틀 표시 영역
322 : 조작 영역

Claims (40)

  1. 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의 표시 영역에서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이 중복된 표시부와,
    링크가 설정된 문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기능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기능과,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유저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소정의 조건 하에서,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을 일시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소정의 조건 하에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건은,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속하는 링크의 개수 또는 터치의 면적에 따라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 터치된 링크의 링크 정보를 터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당해 링크 유효 영역을 무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상기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최초에 터치된 위치(이하, 초기 위치라고 함)의 방향으로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상기 터치가 이탈할 때까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처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스크롤 속도로 스크롤을 계속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소거하고, 상기 초기 위치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최초에 터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까지의 이동에 동기하여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에 관련된 메뉴 항목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는, 표시 화면을 절환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서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 방법이며,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선택 방법.
  17.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표시 프로그램이며,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의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상기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18. 터치 위치의 좌표를 검출하는 터치 패널과,
    적어도 일부의 표시 영역에서 터치 패널의 터치 영역이 중복된 표시부와,
    링크가 설정된 문서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기능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는, 상기 제1의 터치의 이동에 기초하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는, 제1의 터치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정하는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당해 링크 유효 영역을 무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처리는, 상기 제1의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유저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터치 상태를 계속한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링크 선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행하고,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롤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제2의 터치에 기초하여 링크 선택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고 있을 때에,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이 링크 설정 개소를 지시하고 있는 경우, 당해 링크의 링크 정보를 터치 위치 이외의 위치에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상의 스크롤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상기 제1의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최초에 터치된 위치(이하, 초기 위치라고 함)의 방향으로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상기 제1의 터치가 이탈할 때까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이동처 위치까지의 거리에 따른 스크롤 속도로 스크롤을 계속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의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을 소거하고, 상기 초기 위치에 소정의 마크를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처리는, 최초에 터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가 이동한 이동처 위치까지의 이동에 동기하여 스크롤을 행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는,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에 관련된 메뉴 항목의 표시 및 선택을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는, 표시 화면을 절환하는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5.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서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 방법이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선택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터치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선택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제1의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당해 링크 유효 영역을 무효화하는 스텝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 선택 방법.
  38. 터치 패널을 겸한 표시 화면상에 링크가 설정된 문서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표시 프로그램이며,
    문서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스텝과,
    링크 선택 처리에 있어서 터치 이탈시에 터치 상태에 있었던 링크의 링크처로 이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에 기초하여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과,
    제1의 터치의 터치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2의 터치가 이루어졌을 때, 상기 소정의 처리를 억제하는 동시에, 상기 문서 데이터의 표시 화면 전역에서 제1 및 제2의 터치의 적어도 한쪽에 기초하는 링크 선택 처리를 유효화하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터치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 범위를 링크 유효 영역으로서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서만 링크의 선택을 허용하는 스텝과,
    상기 제1의 터치가 그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로부터 그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 링크 선택 이외의 미리 정해진 처리를 실행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에 대한 제1의 터치가 행하여졌을 때, 상기 링크 유효 영역 내에 링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당해 링크 유효 영역을 무효화하는 스텝을 더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프로그램.
KR1020107007151A 2007-10-02 2008-10-01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85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9273 2007-10-02
JPJP-P-2007-259273 2007-10-02
JP2007281723 2007-10-30
JPJP-P-2007-281723 2007-10-30
PCT/JP2008/067826 WO2009044770A1 (ja) 2007-10-02 2008-10-01 端末装置、リンク選択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991A Division KR20120092686A (ko) 2007-10-02 2008-10-01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769A true KR20100063769A (ko) 2010-06-11
KR101185634B1 KR101185634B1 (ko) 2012-09-24

Family

ID=405261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151A KR101185634B1 (ko) 2007-10-02 2008-10-01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7016991A KR20120092686A (ko) 2007-10-02 2008-10-01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991A KR20120092686A (ko) 2007-10-02 2008-10-01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75150A1 (ko)
JP (1) JP5184545B2 (ko)
KR (2) KR101185634B1 (ko)
CN (1) CN101809531A (ko)
WO (1) WO20090447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966A2 (en) * 2011-09-27 2013-04-04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US9449356B2 (en) 2011-02-14 2016-09-20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KR20180102211A (ko) * 2011-05-27 2018-09-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타겟 명확화 및 보정 기법
US10503380B2 (en) 2010-12-29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5231B2 (en) 2005-08-30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of PC settings
US8904306B1 (en) * 2008-06-12 2014-12-0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Variable speed scrolling
JP5476790B2 (ja) * 2009-05-13 2014-04-2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3505505A (ja) * 2009-09-23 2013-02-14 ディンナン ハン タッチ操作環境におけるGUI(GraphicalUserInterface)構造方式と方法
JP5413111B2 (ja) * 2009-10-02 2014-02-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291590B2 (ja) * 2009-10-02 2013-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制御装置の端末装置
US20110138284A1 (en) * 2009-12-03 2011-06-09 Microsoft Corporation Three-state touch input system
KR101651926B1 (ko) * 2010-01-07 2016-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17787B2 (en) 2010-02-12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ortion effects to indicate location in a movable data collection
US20110199318A1 (en) * 2010-02-12 2011-08-18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user interface with flexible parallel movement
JP2011192173A (ja) * 2010-03-16 2011-09-29 Ntt Docomo Inc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JP5466993B2 (ja) * 2010-05-10 2014-04-09 株式会社 ミックウェア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088752A (ko) * 2010-05-24 2013-08-08 윌 존 템플 다방향 버튼, 키 및 키보드
EP2579140A1 (en) * 2010-05-31 2013-04-10 Ne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using touch panel input and method for receiving operation thereby
JP5494337B2 (ja) * 2010-07-3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971405B2 (en) * 2010-09-27 2018-05-15 Nokia Technologies Oy Touch sensitive input
CN103140825B (zh) * 2010-09-30 2016-03-30 乐天株式会社 阅览装置、阅览方法
JP2012093888A (ja) * 2010-10-26 2012-05-17 Fujifilm Corp 文書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KR101724000B1 (ko) * 2010-11-22 201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스크롤 방법 및 장치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KR101781852B1 (ko) * 2011-01-04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77613B1 (ko) * 2011-01-05 2019-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의 입력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2150566A (ja) * 2011-01-17 2012-08-09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38696B1 (ko) * 2011-01-24 2018-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기반 웹브라이저 환경에서 링크 개체 선택 방법 및 장치
CN102681746B (zh) * 2011-03-08 2016-08-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操作手持设备中列表的方法及装置
JP2012194794A (ja) * 2011-03-16 2012-10-11 Fujitsu Ltd 携帯端末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9146703B2 (en) * 2011-04-08 2015-09-29 Nintendo Co., Ltd.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20272144A1 (en) * 2011-04-20 2012-10-25 Microsoft Corporation Compact control menu for touch-enabled command execution
JP5774899B2 (ja) * 2011-04-26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JP5743847B2 (ja) * 2011-10-24 2015-07-0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JP2013137739A (ja) * 2011-11-29 2013-07-11 Nec Saitama Ltd 電子機器、動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72551B2 (ja) * 2011-12-02 2015-09-02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0024B2 (ja) * 2011-12-22 2016-03-0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US20130179844A1 (en) * 2012-01-06 2013-07-11 Mirko Mandic Input Pointer Delay
JP5797580B2 (ja) * 2012-02-16 2015-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制御装置、電子機器、入力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3132552A1 (ja) * 2012-03-06 2013-09-1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5925046B2 (ja) * 2012-05-09 2016-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45723B2 (en) * 2012-05-29 2017-05-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ow and column navigation
CN102841743B (zh) * 2012-06-28 2015-11-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控制方法及通信终端
CN102841745A (zh) * 2012-06-28 2012-12-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显示方法及通信终端
CN102841744B (zh) * 2012-06-28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页面控制方法及通信终端
CN102799368B (zh) * 2012-06-29 2016-10-26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在触控式浏览器上打开链接的方法及触控式浏览器系统
JP6010376B2 (ja) * 2012-07-25 2016-10-1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選択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5907270B2 (ja) * 2012-08-08 2016-04-26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2107550A1 (de) * 2012-08-17 2014-05-1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Anzeigenvorrichtung für Landmaschinen
DE102012107552A1 (de) * 2012-08-17 2014-05-1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Landmaschinen
TW201409339A (zh) * 2012-08-22 2014-03-01 Wistron Corp 觸控面板與應用於其上的顯示方法
JP2014071490A (ja) * 2012-09-27 2014-04-21 Fujitsu Ltd メール作成支援装置、メール作成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44707B2 (ja) 2012-09-28 2016-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CN103309908A (zh) * 2012-10-09 2013-09-18 三亚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链接显示方法及装置
JP5579244B2 (ja) * 2012-11-08 2014-08-27 ヤフー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2014099089A (ja) * 2012-11-15 2014-05-29 Ricoh Co Ltd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984722B2 (ja) * 2013-03-22 201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6131091B2 (ja) * 2013-04-22 2017-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093635B2 (ja) * 2013-04-23 2017-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15007949A (ja) 2013-06-26 2015-01-1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20731B2 (ja) 2013-08-28 2017-04-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CN104423782B (zh) * 2013-09-02 2017-12-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6221622B2 (ja) * 2013-10-23 2017-11-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99824B2 (ja) * 2013-10-29 2017-09-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6374155B2 (ja) * 2013-11-22 2018-08-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スクロール表示方法、および、スクロール表示プログラム
CN103616973B (zh) * 2013-12-04 2017-07-14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操作方法及触摸屏设备
CN103744589B (zh) * 2013-12-12 2018-07-13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页面内容的移动方法及装置
CN106068209B (zh) * 2014-04-03 2019-03-15 歌乐株式会社 车载信息装置
EP3126969A4 (en) 2014-04-04 2017-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pandable application representation
EP3128408A4 (en) * 2014-04-04 2018-02-28 Colopl Inc. User interface program and game program
EP3129847A4 (en) 2014-04-10 2017-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CN105378582B (zh) 2014-04-10 2019-07-23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计算设备的可折叠壳盖
US20150363101A1 (en) * 2014-06-13 2015-12-17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Video scrolling shortcuts for touchscreen display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FR3026865B1 (fr) * 2014-10-03 2016-12-09 Thales Sa Procede d'affichage et de gestion de symboles d'interaction et dispositif de visualisation a surface tactile associe
CN106662891B (zh) 2014-10-30 2019-10-1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多配置输入设备
KR102304305B1 (ko) 2015-01-21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991410B2 (ja) * 2015-07-02 2016-09-1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41976B2 (ja) * 2017-06-06 2021-09-29 株式会社コーエーテクモゲームス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プログラム、記録媒体、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処理方法
US10656780B2 (en) * 2018-01-12 2020-05-19 Mitutoyo Corporation Position specifying method and program
JP7119718B2 (ja) * 2018-07-30 2022-08-17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端末装置、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TWI724322B (zh) * 2018-08-27 2021-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游標控制方法及電子裝置
CN111112779B (zh) * 2018-10-30 2022-09-27 白光株式会社 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终端装置控制方法以及烙铁
EP4217843A1 (en) * 2020-09-25 2023-08-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 insertion marker
JP2022170504A (ja) * 2021-04-28 2022-11-10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05930A (ja) * 2021-06-30 2023-01-18 フォルシアクラリオン・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制御値設定装置及び制御値設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6503A (ja) * 1993-03-15 1994-09-22 Toshiba Corp 直接入力装置
JP3235480B2 (ja) * 1996-08-01 2001-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JP2001075989A (ja) * 1999-09-06 2001-03-23 Sharp Corp 情報提示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提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149679A (ja) * 2000-11-10 2002-05-24 Newcom:Kk 文書閲覧システム、文書閲覧方法及び情報記録媒体
US7308653B2 (en) * 2001-01-20 2007-12-11 Catherine Lin-Hendel Automated scrolling of browser content and automated activation of browser links
US7730401B2 (en) * 2001-05-16 2010-06-01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screen with user interface enhancement
JP2002366417A (ja) * 2001-06-12 2002-12-20 Fuji Xerox Co Ltd 文書処理装置
JP2002373057A (ja) * 2001-06-15 2002-12-26 Oki Electric Ind Co Ltd 入力操作方法と入力操作装置とプログラム
US6690387B2 (en) * 2001-12-28 2004-0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ouch-screen image scrolling system and method
GB0206090D0 (en) * 2002-03-15 2002-04-2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reviewing documents on a computer system
US7653883B2 (en) * 2004-07-30 2010-01-26 Apple Inc. Proximity detector in handheld device
JP2006139615A (ja) 2004-11-12 2006-06-01 Access Co Ltd 表示装置、メニュー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タブ表示プログラム
US7458038B2 (en) * 2004-12-20 2008-11-25 Microsoft Corporation Selection indication fields
US7761801B2 (en) * 2005-04-26 2010-07-2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method of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JP2007026356A (ja) * 2005-07-21 2007-02-0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こ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7889184B2 (en) * 2007-01-05 2011-02-15 Apple Inc.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hyperlink information
WO2008090902A1 (ja) * 2007-01-25 2008-07-31 Sharp Kabushiki Kaisha マルチウィンドウ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8358327B2 (en) * 2007-07-19 2013-01-22 Trinity Video Communications, Inc. CODEC-driven touch screen video conferencing control system
US8219936B2 (en) * 2007-08-30 2012-07-10 Lg Electronics Inc.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using a user's gesture in the proximity of an electronic device
JP4881442B2 (ja) * 2007-10-10 2012-02-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選択項目表示装置、選択項目表示方法、選択項目表示プログラム、及び選択項目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US8294669B2 (en) * 2007-11-19 2012-10-2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Link target accuracy in touch-screen mobile devices by layout adjustment
KR101548958B1 (ko) *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TW201035829A (en) * 2009-03-31 2010-10-0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screen
US9342226B2 (en) * 2009-07-22 2016-05-17 Synopsys, Inc. Cycle-tapping technique for selecting objects
KR101690786B1 (ko) * 2010-02-12 201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US20110209040A1 (en) * 2010-02-24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Explicit and non-explicit links in document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3380B2 (en) 2010-12-29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US10949072B2 (en) 2010-12-29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creen display in portable terminal
US9449356B2 (en) 2011-02-14 2016-09-20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9767256B2 (en) 2011-02-14 2017-09-19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0262113B2 (en) 2011-02-14 2019-04-16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1295842B2 (en) 2011-02-14 2022-04-05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US11763925B2 (en) 2011-02-14 2023-09-19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ess of delivery of a patient-specific medication in a healthcare facility
KR20180102211A (ko) * 2011-05-27 2018-09-14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타겟 명확화 및 보정 기법
WO2013048966A2 (en) * 2011-09-27 2013-04-04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WO2013048966A3 (en) * 2011-09-27 2013-06-27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US8803825B2 (en) 2011-09-27 2014-08-12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US9389714B2 (en) 2011-09-27 2016-07-12 Carefusion 303,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touch screen inp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9531A (zh) 2010-08-18
KR20120092686A (ko) 2012-08-21
KR101185634B1 (ko) 2012-09-24
JP5184545B2 (ja) 2013-04-17
US20100275150A1 (en) 2010-10-28
JPWO2009044770A1 (ja) 2011-02-10
WO2009044770A1 (ja)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634B1 (ko) 단말 장치, 링크 선택 방법 및 표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184528B2 (ja) 携帯情報端末
US9292161B2 (en) Pointer tool with touch-enabled precise placement
JP4734435B2 (ja) タッチパネル式ディスプレイを持った携帯型ゲーム装置
JP5721662B2 (ja) 入力受付方法、入力受付プログラム、及び入力装置
JP5001182B2 (ja) 表示制御装置、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597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e-handed user interface in mobile device having touch screen
US201300076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JP5739131B2 (ja) 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98385A (ja)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
JP2010067178A (ja) 複数点入力可能な入力装置及び複数点入力による入力方法
JP2011048538A (ja) コンテキスト配置方法、コンテキスト配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装置
JP201207927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86133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
US20120120021A1 (en) Input control apparatus
CN108595076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CN108459790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JP2008107865A (ja) タブブラウザ操作装置、タブブラウザ操作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19217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CN108595075A (zh) 一种电子设备触控交互方法
JP5670137B2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携帯型電子機器の表示制御方法
US20180173398A1 (en)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WO201200842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