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020A - 버킷형 죠 크러셔 - Google Patents

버킷형 죠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3020A
KR20100063020A KR1020107003571A KR20107003571A KR20100063020A KR 20100063020 A KR20100063020 A KR 20100063020A KR 1020107003571 A KR1020107003571 A KR 1020107003571A KR 20107003571 A KR20107003571 A KR 20107003571A KR 20100063020 A KR20100063020 A KR 20100063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value
bucket
toggle plate
jaw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하루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우에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286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000630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에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0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05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4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sing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05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apparatus; Aggregate screening, cleaning, drying or heating apparatus; Dust-collec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형 죠 크러셔에 있어서, 그 편심주축(40)의 일단부에 연결된 유압모터(60) 및 편심주축(40)의 타단에 연결된 플라이 휠(70)을 설치하는 동시에, 유압모터(60)와 플라이 휠(70) 사이에서의 편심주축(40)의 중간부에 밸런스 조정용의 카운터 웨이트(42)를 설치하고, 토글 플레이트(51)의 버킷측 하중받이부(53)보다 토글 플레이트(51)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를 상방 위치에 배치하며, 편심주축(40)의 회전에 의해 죠 가동치(30)를 왕복운동시키면서, 토글 플레이트(51)의 요동운동을 통해 죠 가동치(30)에 의해 피파쇄물을 죠 고정치에 밀어붙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버킷형 죠 크러셔{BUCKET TYPE JAW CRUSHER}
본 발명은, 폐콘크리트, 폐건재, 폐포장재 등의 폐재(廢材) 처리에 사용되는 버킷형 죠 크러셔(jaw crush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죠 크러셔에 있어서,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죠 가동치(movable jaw teeth : 20)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30)는, 죠 가동치에 대하여 앞쪽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며, 파쇄시에는 죠 가동치가 토글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이때 토글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의 하중받이부(21)에 의해 죠 가동치의 왕복운동이 지지된다.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상하의 하중면에 대해서는, 윤활유를 급유하여 끊임없이 윤활해야 하므로 급유펌프를 배치해 둔다.
죠 고정치(stationary jaw teeth)의 치판(齒板)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죠 가동치의 치판은,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인 것 또는 완만한 원호형상인 것이 사용된다. 텐션로드(22)는,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출구틈새(72)를 조정하여 죠 가동치를 왕복운동시켜도 텐션로드의 경사각이 크게 변동하지 않도록 텐션로드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다. 토글 플레이트는, 앞쪽이 내려가도록 경사진 상태로 죠 가동치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도 상기와 같은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H5(1993)-88636호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H8(1996)-150344호
종래 이러한 종류의 죠 크러셔에 있어서, 죠 가동치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는, 죠 가동치에 대하여 앞쪽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파쇄시, 죠 가동치가 토글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 때문에, 파쇄력이 약하여 잘게 파쇄하기가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 토글 플레이트의 상부 및 하부의 하중받이부는, 죠 가동치의 왕복운동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가 심하고 사용빈도에 따라 교체 회수가 많아지며, 그 하중받이부의 교체를 위해 죠 크러셔를 분해, 조립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어 수고가 많이 들고 휴지(休止)시간이 길어진다는 결점이 있다.
토글 플레이트의 상하의 하중(荷重)면은, 윤활유를 급유하여 끊임없이 윤활해야만 하기 때문에, 급유펌프를 배치해 둘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배관이나 보수관리에 수고가 많이 든다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죠 고정치의 치판으로는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인 것이 사용되고, 죠 가동치의 치판으로는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인 것 또는 완만한 원호형상인 것이 사용되는데, 죠 고정치와 죠 가동치를 V형이 되도록 배치하면, 물림각도가 크고 파쇄능력이 불량하여, 치판의 예비품이 개별적으로 필요하게 된다는 등의 결점이 있다.
종래의 텐션로드는,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출구틈새를 조정하여 죠 가동치를 왕복운동시켜도 텐션로드의 경사각이 크게 변동하지 않도록 텐션로드의 길이가 길게 되어 있지만, 이로 인해 텐션로드와 스프링이 차지하는 공간이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종래의 토글 플레이트는, 앞쪽이 내려가도록 경사진 상태에서 죠 가동치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被)파쇄물이 꽉 차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버킷을 세우거나 쓰러뜨려도, 토글 플레이트의 방해를 받아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를 충분히 벌릴 수 없어 피파쇄물이 꽉 차는 것을 충분히 해소할 수가 없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시간 내에 강력하게 잘게 파쇄할 수 있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글 플레이트의 하중받이부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토글 플레이트에 간단히 급유할 수 있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파쇄물의 물림, 연마(grinding)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치판의 예비품이 한 장으로 충분하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죠 가동치의 작동시 텐션로드의 경사의 변동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재빨리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파쇄물이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에 꽉 찼을 때,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모터와 플라이 휠(fly wheel)의 사이에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설치하여, 파쇄속도를 향상시킨 버킷형 죠 크러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는, 버킷의 바닥부 내면에 고정된 죠 고정치와, 상기 죠 고정치와 V형이 되도록 죠 고정치에 대향하는 죠 가동치와, 상기 죠 가동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toggle plate)와, 죠 가동치의 상부를 축지지하는 편심주축과, 상기 편심주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을 가지고,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편심주축을 통해 왕복구동되는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 유압 셔블(shovel)의 아암에 부착되는 버킷형 죠 크러셔로서, 상기 편심주축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기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모터 및 편심주축의 타단에 연결된 플라이 휠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압모터와 플라이 휠 사이에서의 편심주축의 중간부에 밸런스 조정용의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며,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보다 토글 플레이트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를 상방 위치에 배치하여, 상기 편심주축의 회전에 의해 죠 가동치를 왕복운동시키면서, 토글 플레이트의 요동운동을 통해 죠 가동치에 의해 피파쇄물을 죠 고정치에 밀어붙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는, 죠 가동치를 피파쇄물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서, 하부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를 종래와 달리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보다 토글 플레이트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가 상방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요동운동시의 토글 플레이트의 반력(反力)을 받아, 피파쇄물을 강력하게 잘게 파쇄할 수가 있다. 또한, 유압모터와 플라이 휠 사이의 편심주축에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죠 가동치의 왕복운동시에 편심주축에 작용하는 모멘트 및 관성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파쇄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다.
(1)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상단 하중면과 하단 하중면에 토글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중면으로 각각 연통된 복수의 역류방지밸브가 부착된 그리스 공급구멍을 형성하여, 이들 그리스 공급구멍으로부터 상하의 하중면으로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리스를 그리스 건(grease gun)에 의해 토글 플레이트에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나 배관이 불필요하고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2)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를 유지시키는 유지구(具)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를 유지시키는 유지구를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하고, 볼트체결을 해제함으로써 한 쌍의 유지구와 토글 플레이트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토글 플레이트의 죠 가동치측 및 버킷측 하중받이부를, 종래의 일체형과 달리, 분할하여 볼트를 통해 고정하기 때문에, 간단하고도 신속하며 용이하게 부품교환을 수행할 수가 있다.
(3) 죠 고정치의 파형치(wave teeth) 및 죠 가동치의 파형치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죠 고정치의 파형치 및 죠 가동치의 파형치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파형치를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고,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를 V형과 같이 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림각도를 작게 할 수 있어, 피파쇄물의 물림성능이 향상되고 연마되는 길이가 길어져 파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치판(齒板)의 예비품이 한 장으로 충분하도록 할 수가 있다.
(4)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가 각각, 토글 플레이트의 상하 양단의 하중면에 항상 밀착하도록 탄성가압하는, 텐션로드와 압축 스프링을 갖는 긴장(緊張)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때문에, 텐션로드의 경사의 증감을 자동적으로 추종할 수가 있다.
(5)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에 꽉 찬 피파쇄물을, 유압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를 벌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에 피파쇄물이 꽉 찼을 경우, 크러셔의 개구가 하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유압모터를 역회전시키면,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보다 토글 플레이트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가 상방 위치(크러싱상태일 때)에 설치된 토글 플레이트의 선단이 내려가,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틈새가 벌어지기 쉬워지며, 또한, 죠 가동치가 하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에 피파쇄물이 꽉 찼을 때 신속하게 제거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개구부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토글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방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하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버킷형 죠 크러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버킷형 죠 크러셔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관한 버킷형 죠 크러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버킷형 죠 크러셔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텐션로드와 오목형상 받이부와 D형 누름편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관한 버킷형 죠 크러셔(JC)에 대하여 도 1∼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형 죠 크러셔(JC)는, 죠 고정치(20)와, 죠 가동치(30)와, 편심주축(40)과, 토글 플레이트 기구(50)와, 전자석(90)을 구비하고, 편심주축(40)의 회전에 의해 죠 가동치(30)를 왕복운동시키면서, 토글 플레이트(51)의 요동운동을 통해 죠 가동치(30)에 의해 피파쇄물(80)을 죠 고정치(20)에 밀어붙여 파쇄하는 것이다.
죠 고정치(stationary jaw teeth : 20)는, 표측(表側)에 상하방향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산(山)부와 계곡부를 갖는 파형치(wave teeth : 21)가 형성되어 버킷(10)의 바닥부(11)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죠 가동치(movable jaw teeth : 30)는, 표측에 죠 고정치(20)의 파형치(21)에 맞물리도록 상하방향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산부와 계곡부를 갖는 파형치(31)가 형성되어 있다. 죠 고정치(20)와 죠 가동치(30)의 파형치(21, 31)는 옆쪽에서 본 형상이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죠 가동치(30)의 상부는 한 쌍의 편심 축받이(411)를 통해 편심주축(40)에 의해 축지지되고, 죠 가동치(30)의 하부는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를 통해 토글 플레이트(51)에 의해 지지되며, 죠 고정치(20)와 V형이 되도록 죠 고정치(20)에 대향하여 물림각도가 작게 7°∼8°이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주축(40)은, 버킷(10)의 좌우 측판(14, 14)을 관통하여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한쪽 측판(14)의 외측에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모터(60)가 설치되고, 상기 편심주축(40)의 일단부에 유압모터(60)가 연결되며, 다른 쪽 측판(14)의 외측에 있어서 편심주축(40)의 타단에 플라이 휠(70)이 연결되어 있다.
유압모터(60)와 플라이 휠(70) 사이에서의 편심주축(40)의 중간부에 밸런스 조정용의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 42)가 설치되어 있다. 죠 가동치(30)의 왕복운동시에 있어서, 죠 가동치(30)가 내려갔을 때에는 카운터 웨이트(42)의 중심(重心)이, 죠 가동치(30)와는 반대쪽인 편심주축(40)의 상방에 오도록, 또한, 죠 가동치(30)가 올라갔을 때에는 그 중심이 죠 가동치(30)쪽인 편심주축(40)의 하방에 오도록, 카운터 웨이트(42)가 편심주축(40)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42)는, 죠 가동치의 왕복운동시에 편심주축(40)에 작용하는 언밸런스 모멘트 및 관성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파쇄속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토글 플레이트 기구(50)는, 토글 플레이트(51)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와, 버킷측 하중받이부(53)와, 텐션로드(55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글 플레이트(51)는, 상하 단부에 단면이 볼록형 부분 원통형상인 상단 하중면(511)과 하단 하중면(512)을 가지고, 한쪽 표면으로부터 상단 하중면(511)과 하단 하중면(512)으로 연통된 역류방지밸브(5101)가 부착된 그리스 공급구멍(5102, 510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그리스 공급구멍(5102, 5103)으로부터 상하의 하중면(511, 512)으로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단 하중면(511)과 하단 하중면(512)에는, 공급된 그리스를 분산시킬 수 있도록 오일 홈(5111, 5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스는, 역류방지밸브(5101)를 통해 토글 플레이트(51)에 그리스 건(gun)에 의해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펌프나 배관이 불필요하고 보수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는, 하면이 오목형 부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토글 플레이트(51)의 상단 하중면(511)에 맞닿아, 죠 가동치(30)의 하단에 유지구(5201)를 통해 볼트(52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버킷측 하중받이부(53)는, 상면이 오목형 부분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토글 플레이트(51)의 하단 하중면(512)에 맞닿아, 조정판(54)을 사이에 끼우고 버킷(10)의 상판(16)에 유지구(5301)를 통해 볼트(531)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볼트(521, 531)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한 쌍의 유지구(5201, 5301)와 토글 플레이트(51)를 분리할 수 있다.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는 버킷측 하중받이부(53)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토글 플레이트(51)의 상단 하중면(511)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에 맞닿고, 하단 하중면(512)은 버킷측 하중받이부(53)에 맞닿으며, 후술하는 텐션로드(551)와 압축 스프링(56)을 통해, 맞닿음부가 이탈하지 않도록 밀착상태로 유지된다. 토글 플레이트(51)는, 죠 가동치(30)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으로부터 편심 주축(40)쪽으로 상향경사하도록 부착함으로써, 편심주축(40)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하로 왕복운동하는 죠 가동치(30)를, 토글 플레이트(51)의 요동운동을 통해 피파쇄물(80)을 끼우고 죠 고정치(20)에 밀어붙이도록 동작시키게 되어 있다.
하중받이부(53) 하면의 조정판(54)의 부착 매수(枚數)를 증감조절함으로써, 죠 가동치(30)의 하단부와 죠 고정치(20)의 하단부 사이의 틈새를 증감 조절하여, 피파쇄물(80)의 파쇄 사이즈를 조정할 수가 있다. 토글 플레이트(51)의 하중받이부(52) 또는 하중받이부(53)가 마모되었을 때에는, 하중받이부(52)는 유지구(5201)의 볼트(521)를 풂으로써, 또한, 하중받이부(53)는 유지구(5301)의 볼트(531)를 풂으로써, 각각 부품교환을 수행할 수가 있다.
텐션로드(551)는, 양단에 나사가 부착된 원형볼트로, 죠 가동치(30) 하단의 지지판(58)과 유지구(5301) 반대쪽의 지지판(57)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56)과, D형 누름편(572, 582)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56)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토글 플레이트(51)의 상단 하중면(511)과 하중받이부(52)의 사이, 그리고, 하단 하중면(512)과 하중받이부(53)의 사이를 항상 밀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죠 가동치(30)의 출구틈새에 대한 조정과 죠 가동치(30)의 왕복운동에 의해, 텐션로드(551)의 경사각이 증감하여도 자동적으로 추종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텐션로드(551)와 압축 스프링(56)과 D형 누름편(572, 582)은 긴장(緊張)장치(55)에 상당한다.
전자석(90)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버킷(10) 하부의 배출구(12) 옆에 설치되어, 배출구(12)로부터 흘러내리는 파쇄된 철 부스러기를 자착(磁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자석(90)을 사용할 때는, 버킷(10)을 동작시켜 전자석(90)이 피파쇄물(80)을 향하도록 하고 전자석(90)을 작동시켜 피파쇄물(80) 중의 철 부스러기를 흡착제거하면 된다.
이러한 버킷형 죠 크러셔(JC)는, 유압모터(60)에 의해 편심주축(40)을 통해 왕복구동되는 죠 가동치(30)와 죠 고정치(20)에 의해 피파쇄물(80)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 유압셔블(1)의 아암(2)에 부착된다.
버킷형 죠 크러셔를, 유압셔블(1)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10)의 브래킷(13)의 축구멍(131)을 유압셔블(1)의 아암(2) 선단의 핀 구멍(7)에 축부착하고, 다른 쪽의 축구멍(132)을 버킷 실린더(3)의 로드(4)에 H형 링크(6)를 통해 축부착한다. 우선, 버킷(10)의 개구부(15)가 피파쇄물(80)을 향하도록 하여 피파쇄물(80)을 퍼담고, 이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10)을 상방을 향하도록 동작시켜 잘게 파쇄한 피파쇄물(80)을 집적하는 장소로 이동하며, 유압모터(60)를 구동하여 죠 가동치(30)를 작동시켜 피파쇄물(80)을 잘게 부서진 파쇄물(801)로 파쇄하여, 버킷(10) 하단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한다.
죠 가동치(30)와 죠 고정치(20)의 사이에 피파쇄물(80)이 꽉 찼을 때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킷(10)의 개구부(15)를 아래로 향하게 하는 동시에 유압모터(60)를 역회전시켜 죠 가동치(30)와 고정치(20)의 사이를 벌리면, 앞쪽이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토글 플레이트(51)의 선단이 내려가, 죠 가동치(30)와 죠 고정치(20)의 하단의 틈새가 벌어지기 쉬워지며, 또한, 죠 가동치(30)가 하방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피파쇄물(80)이 꽉 차있는 것을 제거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버킷형 죠 크러셔(JC)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JC)는, 죠 가동치(30)를 피파쇄물(80)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서, 하부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51)를 종래와 달리 토글 플레이트(51)의 버킷측 하중받이부(53)보다 토글 플레이트(51)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가 상방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요동운동시의 토글 플레이트(51)의 반력을 받아 피파쇄물(80)을 강력하게 잘게 파쇄할 수가 있다. 또한, 유압모터(60)와 플라이 휠(70) 사이의 편심주축(40)에 카운터 웨이트(42)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편심회전에 의한 파쇄속도를 균형있게 향상시켜 속도를 늘릴 수가 있다.
죠 고정치(20)와 죠 가동치(30)의 파형치(21, 31)가,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V형으로 배치하여 사용함으로써, 물림각도를 작게 하였기 때문에, 피파쇄물(80)의 물림성능이 향상되고 연마되는 길이가 길어져 파쇄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치판(齒板)의 예비품이 한 장으로 충분하도록 할 수가 있다. 하중받이부(53)는 받이 유지구(5301)의 볼트(531)를 풂으로써 각각 부분교환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일체형과 달리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분교환할 수가 있다.
텐션로드(551)의 양단부에 적어도 부분 원통형상의 볼록면을 갖는 D형 누름편(572, 582)을 부착하여, 출구틈새에 대한 조정과 죠 가동치(30)의 왕복구동에 의해, 텐션로드(551)의 경사가 변동하여도 D형 누름편(572, 58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텐션로드(551)에 인장력만 가해지도록 하며, 짧은 텐션 로드(551)를 사용하여 공간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버킷형 죠 크러셔(JCB)에 대하여 도 10∼도 13에 근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단,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버킷형 죠 크러셔(JCB)는, 죠 고정치(20B)와, 죠 가동치(30B)와, 편심주축(40B)과, 토글 플레이트부(50B)와, 전자석(90B)을 구비하고 있다. 죠 고정치(20B)와 죠 가동치(30B)와 편심주축(40B)과 전자석(90B)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토글 플레이트부(50B)는, 토글 플레이트(51B)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B)와, 버킷측 하중받이부(53B)와, 텐션로드(551B)를 구비하고 있다. 토글 플레이트(51B)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52B)와, 버킷측 하중받이부(53B)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텐션로드(551B)는, 양단에 나사가 부착된 원형의 볼트로, 죠 가동치(30B) 하단의 지지판(58B)과 받이 유지구(5301B) 반대쪽의 지지판(57B)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56B)과,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률이 작은 오목형상 받이부(571B, 581B)와 곡률이 큰 D형 누름편(572B, 582B)을 조합시킨 복합 받이시트를 통해 나사고정되어, 토글 플레이트(51B)의 상단 하중면(511B)과 하중 받이부(52B)의 사이, 그리고 하단 하중면(512B)과 하중 받이부(53B)의 사이를 항상 밀착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쇄 사이즈의 조정을 위해, 죠 가동치(30B)와 죠 고정치(20B) 하단의 출구틈새를 조정할 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틈새(L1)가 작을 때의 텐션로드(551B)의 경사가, 출구틈새(L2)가 커지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동하여도 상기 복합 받이시트의 D형 누름편(572B, 582B)과 오목형상 받이부(571B, 581B) 내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추종할 수가 있다.
이러한 버킷형 죠 크러셔(JCB)를 유압셔블(1)에 부착하여 사용할 때에는, 버킷(10B)의 브래킷(13B)의 축구멍(132B)을 유압셔블(1)의 아암(2) 선단의 핀 구멍(7)에 축부착하고, 다른 쪽의 축구멍(131B)을 버킷 실린더(3)의 로드(4)에 H형 링크(6)를 통해 축부착하면, 전방에 건물, 벽 등이 있는 장소에서 버킷(10B)의 개구부(15B)를 피파쇄물(80)에 접근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편심주축(40B), 전자석(90B)의 작용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버킷형 죠 크러셔는, 소형 경량으로 양산(量産)이 가능하고, 또한, 유압셔블에 간단히 부착하여 산업상의 여러 용도에 사용할 수가 있다.
JC, JCB : 버킷형 죠 크러셔
10 : 버킷
11 : 버킷의 바닥부
20, 20B : 죠 고정치(stationary jaw teeth)
21, 21B : 죠 고정치의 파형치(wave teeth)
30, 30B : 죠 가동치(movable jaw teeth)
31, 31B : 죠 가동치의 파형치
40 : 편심주축
42 :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51, 51B : 토글 플레이트
511, 511B : 상단 하중면
512, 512B : 하단 하중면
5101 : 역류방지밸브
5102, 5103 : 그리스 공급구멍
52, 52B :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
53, 53B : 버킷측 하중받이부
521, 531 : 볼트
55, 55B : 긴장장치
551, 551B : 텐션로드
56, 56B : 압축 스프링
571B, 581B : 오목형상 받이부
572, 582, 572B, 582B : D형 누름편
60 : 유압모터(회전구동수단)
70 : 플라이 휠
80 : 피파쇄물

Claims (6)

  1. 버킷의 바닥부 내면에 고정된 죠 고정치와, 상기 죠 고정치와 V형이 되도록 죠 고정치에 대향하는 죠 가동치와, 상기 죠 가동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토글 플레이트와, 죠 가동치의 상부를 축지지하는 편심주축과, 상기 편심주축을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편심주축을 통해 왕복구동되는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에 의해 피파쇄물을 파쇄할 수 있도록 한 유압셔블의 아암에 부착되는 버킷형 죠 크러셔로서,
    상기 편심주축의 일단부에 연결된 상기 회전구동수단으로서의 유압모터 및 편심주축의 타단에 연결된 플라이 휠을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유압모터와 플라이 휠 사이에서의 편심주축의 중간부에 밸런스 조정용의 카운터 웨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보다 토글 플레이트의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를 상방 위치에 배치하며,
    상기 편심주축의 회전에 의해 죠 가동치를 왕복운동시키면서, 토글 플레이트의 요동운동을 통해 죠 가동치에 의해 피파쇄물을 죠 고정치에 밀어붙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상단 하중면과 하단 하중면에 토글 플레이트의 표면으로부터 각각 연통된 복수의 역류방지밸브가 부착된 그리스 공급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그리스 공급구멍으로부터 상하의 하중면으로 그리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를 유지시키는 유지구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를 유지시키는 유지구를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하고, 볼트체결을 해제함으로써 한 쌍의 유지구와 토글 플레이트를 분리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죠 고정치의 파형치 및 죠 가동치의 파형치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완만한 원호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죠 고정치의 파형치 및 죠 가동치의 파형치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 플레이트의 버킷측 하중받이부와 죠 가동치측 하중받이부가, 각각, 토글 플레이트의 상하 양단의 하중면에 항상 밀착하도록 탄성가압하는, 텐션로드와 압축 스프링을 갖는 긴장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에 꽉 찬 피파쇄물을, 유압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죠 가동치와 죠 고정치의 사이를 벌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형 죠 크러셔.
KR1020107003571A 2007-09-03 2008-09-03 버킷형 죠 크러셔 KR201000630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7404 2007-09-03
JP2007227404A JP5300230B2 (ja) 2007-09-03 2007-09-03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020A true KR20100063020A (ko) 2010-06-10

Family

ID=4042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571A KR20100063020A (ko) 2007-09-03 2008-09-03 버킷형 죠 크러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80501B2 (ko)
EP (1) EP2198969B1 (ko)
JP (1) JP5300230B2 (ko)
KR (1) KR20100063020A (ko)
CN (1) CN101790421B (ko)
ES (1) ES2478676T3 (ko)
WO (1) WO20090312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A20090036A1 (it) * 2009-09-04 2011-03-05 Osa Demolition Equipment S R L Benna da escavatore per lo scavo, la raccolta, il sollevamento e la frantumazione di materiale incoerente
WO2011145233A1 (ja) 2010-05-18 2011-11-24 株式会社伊藤商会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US8322643B2 (en) 2010-07-23 2012-12-04 Mining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Rock crusher attachment
ES2354672B1 (es) * 2010-12-27 2012-01-19 Talleres Betoño, S.A. Sistema triturador de piedras y similares.
KR101335239B1 (ko) 2011-09-20 2013-11-29 상진옥 크라샤용 버켓
ITPD20110308A1 (it) * 2011-09-30 2013-03-31 Meccanica Breganzese S P A Benna per la frantumazione di materiale inerte
ITCN20110014A1 (it) * 2011-11-23 2012-02-22 Simone Costamagna Frantoio mobile con deferizzatore per riciclaggio di materiale da demolizione con incremento della produttivita': trattasi di un deferizzatore che viene sistemato su un escavatore di qualsiasi modello, tale benna separa il ferro dal materiale inerte
KR101354210B1 (ko) * 2011-12-30 2014-01-22 조정래 굴삭기용 크러셔
CN103721780B (zh) * 2012-10-16 2015-12-16 义乌市黑白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共轴式破碎筛分一体机
US9976280B2 (en) * 2014-01-16 2018-05-22 Michael A. Honermann Skid loader attachment including a rotatable and extendable claw
CN104674875A (zh) * 2015-02-06 2015-06-03 柳州市奥火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破碎铲斗
EP3073019B1 (en) * 2015-03-26 2018-07-04 Javier Aracama Martinez De Lahidalga Bucket for crushing stones and the like
CN106429231A (zh) * 2016-11-08 2017-02-22 天奇自动化工程股份有限公司 油压配重张紧装置
CN107059549B (zh) * 2017-05-31 2019-04-16 河南高远公路养护设备股份有限公司 纤维剪切装置的剪切轮
GB2574444A (en) * 2018-06-06 2019-12-11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Face shovel and method of operation
CN109225401B (zh) * 2018-07-23 2021-06-11 安徽春谷食品健康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糯米山药粥制作用山药捣碎设备
US11795656B2 (en) * 2019-05-09 2023-10-24 Tomas Zuniga Specialty concrete remover
US11602755B2 (en) 2019-08-27 2023-03-14 Eagle Crusher Company, Inc. Crusher with resettable relief system
CN111111821A (zh) * 2020-02-11 2020-05-08 福建惠安新然石材有限公司 一种石材废料加工设备
CN112403563A (zh) * 2020-10-30 2021-02-26 重庆贻晨兴工业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双通道颚式破碎机及使用方法
CN115178325B (zh) * 2022-07-28 2024-01-05 萧县华恒静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液压破碎钳的防尘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039A (en) * 1924-03-11 1924-09-25 Harry August Stockman Improvements in machines or apparatus for crushing or reducing minerals and other materials
GB714240A (en) * 1952-12-22 1954-08-25 Parker Ltd Frederick Improvements relating to jaw crushers
US3075711A (en) * 1961-05-08 1963-01-29 Mine And Smelter Supply Co Counterbalance assembly for jaw crushers and the like
JPS50106172U (ko) * 1974-02-06 1975-09-01
JPS63275825A (ja) 1987-05-08 1988-11-14 Takenaka Komuten Co Ltd 吸振器
JPH0588636A (ja) 1991-09-30 1993-04-0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装置
JP3283554B2 (ja) * 1991-11-08 2002-05-20 メッツォ・ミネラルズ・ジャパン株式会社 ジョークラッシャ
JPH0821108A (ja) 1994-07-06 1996-01-23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の破砕機
JP2945287B2 (ja) * 1994-11-30 1999-09-06 ジャクティ・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ジョークラッシャ
JP3792328B2 (ja) * 1996-12-24 2006-07-05 株式会社中山鉄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ーの運転方法
JP3840359B2 (ja) * 2000-03-13 2006-11-01 日立建機株式会社 自走式破砕機
JP3616598B2 (ja) 2001-12-03 2005-02-02 広洋産業 株式会社 破砕選別装置
JP4101623B2 (ja) * 2002-11-22 2008-06-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ジョークラッシャの歯板吊り上げ構造
JP2005342610A (ja) * 2004-06-02 2005-12-15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
JP2006051453A (ja) * 2004-08-12 2006-02-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及びグリズリフィーダ
JP2007117931A (ja) * 2005-10-31 2007-05-17 Komatsu Ltd ジョークラッシャ用歯板、ジョークラッシャ、及び自走式破砕機
JP4988207B2 (ja) * 2006-01-11 2012-08-01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ジョークラッシャ
US7614573B1 (en) * 2008-06-20 2009-11-10 Chyi Meang Machinery Co., Ltd. Jaw cru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90421B (zh) 2012-05-23
US20100206975A1 (en) 2010-08-19
EP2198969A4 (en) 2011-06-15
EP2198969B1 (en) 2014-07-02
WO2009031296A1 (ja) 2009-03-12
JP5300230B2 (ja) 2013-09-25
US7980501B2 (en) 2011-07-19
EP2198969A1 (en) 2010-06-23
JP2009056423A (ja) 2009-03-19
ES2478676T3 (es) 2014-07-22
CN101790421A (zh)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3020A (ko) 버킷형 죠 크러셔
KR101659499B1 (ko) 버킷형 죠 크러셔
US8322643B2 (en) Rock crusher attachment
JP5350691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ー
KR100278063B1 (ko) 암석재의 파쇄 방법 및 장치
US5454522A (en) Apparatus for breaking solid objects
US3425639A (en) Jaw crushers
US4469592A (en) Power sieve with screen beaters
JP2006505728A (ja) 改良された装置
CA2849890C (en) A bucket for screening and crushing inert material
RU2674620C1 (ru) Вибрационная мельница
US2463631A (en) Reversible crusher with pivoted feed chute
US4382560A (en) Rock crushing machine with dual cam shaft jaw driving mechanism
CN2592272Y (zh) 细碎机
US2721036A (en) Jaw crusher
US2701107A (en) Rock crushing machine
JP3173125U (ja) バケット式ジョークラッシャ
JP2628688B2 (ja) フープ材カッタ
CN218689740U (zh) 一种矿山用复摆颚式破碎机
CN115450758A (zh) 一种顶伸式连杆曲轴
RU2818794C1 (ru) Дробилка для рудных и неруд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670520C1 (ru) Вибрационная мельница
RU2199393C1 (ru) Щековая дробилка сложного качания
US549263A (en) Samuel frank welch
JP2003334462A (ja) ロール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14

Effective date: 201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