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8889A -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8889A
KR20100048889A KR1020090100090A KR20090100090A KR20100048889A KR 20100048889 A KR20100048889 A KR 20100048889A KR 1020090100090 A KR1020090100090 A KR 1020090100090A KR 20090100090 A KR20090100090 A KR 20090100090A KR 20100048889 A KR20100048889 A KR 2010004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 definition
image data
unit
file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이치 타카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Storage of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customised instructions or different parameters for different user 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496Changing the task performed, e.g. reading and transmitting, receiving and reproducing, cop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 및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판독 유닛에게 상기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며,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시킨다.
화상처리, 판독처리, 송신처리, 프로세스 정의 파일, 화상 데이터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판독 처리 및 송신 처리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원고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기능과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기능을 포함하는 종래의 화상처리장치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처리 설정으로서 사용하는 판독 파라미터를 지정하고, 또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처리 설정으로서 사용하는 송신 프로토콜 및 송신지를 지정한다. 화상처리장치는, 유저에 의해 지정된 내용에 따라,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능의 조합을 이용해서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다수의 파라미터들을 지정해야 한다. 따라서, 유저가 복잡한 조작을 해 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87860호에는, 복수의 서비스를 서로 협력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실행해야 할 복수의 처리들을 정의한 미리 작성된 지시에 따라 문서를 처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8786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면, 유저가 이전에 작성된 지시를 반복하도록 지시를 행하는 것만으로, 이전의 지시에 따라 처리들을 순차 실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유저가 복잡한 조작을 반복해서 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287860호에 기재된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여기에 기술된 지시를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유저가 1개의 지시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1개의 지시의 실행을 지시하는 것만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종래의 방법은, 유저의 1개의 지시의 선택만을 수신하고, 유저가 선택된 1개의 지시의 실행을 지시했을 경우에, 선택된 1개의 지시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1개의 지시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일어난다.
좀더 구체적으로, 유저가 1개 이상의 지시를 실행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유저가 제1의 지시를 선택하여 그 제1의 지시를 실행하며, 제1의 지시에 따른 처리를 완료한 후에, 제2의 지시를 선택하고 그 제2의 지시를 실행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유저가 복잡한 조작을 해야 한다.
또,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처리가 지시에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가 보다 더 심각해질 수도 있다. 각 지시가 판독 처리를 정의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1개의 지시를 실행할 때에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지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반드시 복수회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그렇지만, 복수의 지시에 정의되어 있는 판독 처리가 동일한 것인 경우,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각각의 지시의 기술에 따라 같은 판독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복수개 생성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의 방법은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해서 판독 처리를 복수회 실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동작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유저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을 지시했을 경우에, 해당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을 지향하고, 또 상기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지향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 및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에게 상기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판독 제어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 유닛과,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국면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징 및 국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우선 유저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을 지시했을 경우에, 해당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기술된 정의에 따라 송신 서버(104)에게 화상 데이터를 송신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 화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LAN(local area network)(110)을 통해서 관리자 PC(101), 파일 관리 서버(102), MFP(103), 및 송신 서버(104)가 서로 통신하고 있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LAN(110) 상에는 전자 메일 서버와 FTP(file transfer protocol) 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송신 서버(104) 및 유저 PC(105)(도시하지 않았지만 LAN(11)에도 접속되어 있다)는 LAN(110)을 통해서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또 FTP 프로토콜을 이용해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가 있다.
도 2는, MFP(103)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211)를 포함한 제어부(210)는, MFP(103)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211)는, ROM(read-only memory)(21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해서, 판독 제어 및 송신 제어 등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AM(random access memory)(213)는, CPU(211)의 주메모리 또는 워크 에리어(work area) 등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HDD(hard disk drive)(214)는,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 테이블을 기억한다. 정보 테이블에 대해서는 이하에 자세히 설명한다.
조작부 I/F(interface)(215)는, 조작부(219)와 제어부(2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조작부(219)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표시(LCD)부와 키보드를 포함하고 있다.
프린터 I/F(216)는, 프린터(220)와 제어부(2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프린터(220)에 인쇄해야 할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 I/F(216)를 통해서 제어부(210)로부터 프린터(220)로 전송된다. 프린터(220)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기록 매체 상에 인쇄한다.
스캐너 I/F(217)는, 스캐너(221) 형태의 판독수단과 제어부(2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스캐너(221)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원고 화상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 스캐너(221)는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스캐너 I/F(217)를 통해서 제어부(210)에 입력한다.
네트워크 I/F(218)는, 제어부(210)(MFP(103))와 LAN(1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218)는, LAN(110) 상의 외부 장치(예를 들면,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LAN(110) 상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도 3은, 관리자 PC(101)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파일 관리 서버(102) 및 송신 서버(104)는, 관리자 PC(101)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우선, 이하에 관리자 PC(101)의 구성에 대해서 대표적인 컴퓨터로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CPU(311)를 포함한 제어부(310)는, 관리자 PC(10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311)는, ROM(312)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판독한 제어 프로그램에 근거해서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RAM(313)은, CPU(311)의 주메모리 또는 워크 에리어 등의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HDD(314)는,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정보 테이블을 기억한다. 정보 테이블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표시부 I/F(315)는, 표시부(318)와 제어부(3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키보드 I/F(316)는, 키보드(319)와 제어부(3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CPU(311)는, 키보드(319)를 통해서 입력된 유저 지시를 수신하고, 수신한 유 저 지시에 따라 표시부(318)에 표시하는 화면을 변경한다.
네트워크 I/F(317)는, (관리자 PC(101)의) 제어부(310)와 LAN(110) 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네트워크 I/F(317)는, LAN(110) 상의 다른 장치에 각종 정보를 송신하고, 이 LAN(110) 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해서, 화상 처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는 관리자 PC(101)를 조작해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작성한다.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은 각각 MFP(103)와 송신 서버(104)의 복수의 기능을 이용해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유저는 또한 관리자 PC(101)에 미리 생성되어 저장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부터 1개 이상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은 각각 MFP(103)에게 원고의 화상을 판독시키고 판독한 원고 화상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것과, 송신 서버(104)에게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송신지로 송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일련의 처리의 실행을 지시하는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유저가, 관리자 PC(101)에 표시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작성 화면을 통해서 다양한 처리 내용(예를 들면, 판독 파라미터 및 송신지)을 입력하여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작성하면, 도 4에 나타낸 처리의 플로우가 시작된다.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작성을 완료한 후에는, 스텝 S401에서, 관리자 PC(101)가 생성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LAN(110)를 통해서 파일 관리 서 버(102)에 송신한다. 관리자 PC(101)로부터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수신한 후에, 파일 관리 서버(102)는, 수신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유저 ID(identification)와 대응시켜서 등록 및 저장한다.
그 후에, MFP(103)에 유저가 로그인했을 경우에, 스텝 S402에서, MFP(103)는 로그인한 유저에 대응하는 유저 ID를 파일 관리 서버(102)에 송신한다. 또한, MFP(103)는 로그인한 유저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송신을 파일 관리 서버(102)에 요구한다.
스텝 S403에서, 파일 관리 서버(102)는, MFP(103)로부터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송신 요구를 수신한 후에, 수신한 유저 ID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판독하고, 판독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LAN(110)를 통해서 MFP(103)의 취득수단(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 218)에 송신한다.
스텝 S404에서, MFP(103)는, 파일 관리 서버(102)로부터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수신한 후에,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저에게 통지하고, 유저로부터의 1개 이상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선택을 수신한다. 또한, MFP(103)의 CPU(211)는, 유저가 선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스캐너(221)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킨다.
스텝 S405에서, MFP(1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420)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또한, MFP(103)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송신 서버(104)에 의뢰한다.
스텝 S406에서, 송신 서버(104)는, 관련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전자 메일이나 FTP 프로토콜을 통해서 화상 데이터(420)를 송신한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MFP(103)에게 원고를 판독시킬 때마다 판독 파라미터 및 송신지를 지정하기 위한 복잡한 조작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PC(101)에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작성할 때에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내용을 MFP(103)의 유저가 수정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금지시킴으로써, 유저가 실행하는 것을 시스템의 관리자가 허용하지 않은 처리가 MFP(103)의 유저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파일 관리 서버(102)에 등록되어 있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510)에 포함된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XML(eXtended Markup Language)의 형식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정의된 각 처리는 XML 태그로서 기술되어 있고,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기술의 순서로 처리가 실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태그 501은, 복수의 처리가 조합된 1개의 통합 프로세스이다. 태그 501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일하게 나타내는 프로세스 ID(도 5의 예에서는 "0001")와, 프로세스의 명칭(도 5의 예에서는 "스캔해서 전자 메일로 과장에게 송신")을 포함하고 있다.
태그 502는, 스캐너(221)를 이용해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한 원고 화상에 근거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정의하고 있다. 태그 503은, 스캐 너가 원고의 화상을 판독할 때에,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시를 정의하고 있다.
태그 504는, 화상 데이터를 전자 메일로 송신하는 지시를 정의하고 있다. 태그 505에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지의 전자 메일 어드레스(도 5의 예에서는 manager@xxxx.xxxx)가 기술되어 있다.
도 6은,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중의 하나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텝 S601에서는, CPU(211)가 MFP(103)의 유저를 인증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CPU(211)는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증 정보 입력 화면을 조작부(219)에 표시하다. 또한, CPU(211)는 이 인증 정보 입력 화면을 통해서 입력된 인증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유저를 인증한다.
유저를 인증하기 위해서, ID 카드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판독해서 입력하는 방법이나, 생체 정보를 이용해 유저를 인증하는 방법과 같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텝 S601에서 유저 인증이 행해졌을 경우, 처리는 스텝 S602로 진행된다. 스텝 S602에서, CPU(211)는 파일 관리 서버(102)에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하도록 의뢰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CPU(211)는 인증한 유저의 유저 ID를 파일 관리 서버(102)에 송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218)을 통해서 파일 관리 서버(102)로부터 송신된, 인증된 유저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수신한 후, 스텝 S603에서는, CPU(211)가 소망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파일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도 7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저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파일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텝 S603에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취득되었을 경우에는, CPU(211)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파일 선택 화면에 예를 들면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한다.
유저는, 파일 선택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따라 소망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의 터치 패널에 터치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할 수가 있다.
유저에 의해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 터치된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지 않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과 다른 표시 상태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는 선택된 파일(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화면의 예에서는, 프로세스 ID "0001"를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프로세스 ID "0026"을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어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세 정보" 버튼(701)은, 현재 선택되어 있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에 관 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지시를 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유저가 "상세 정보" 버튼(701)을 누르면,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에 관한 상세 정보(예를 들면,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에 기술되어 있는 판독 처리와 송신 처리의 구체적인 정의 내용)가 표시된다.
스텝 S604에서는, CPU(211)는 파일 선택 화면을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1개 이상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저가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개 이상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스텝 S604에서 YES)에는, 처리가 스텝 S605로 진행된다. 스텝 S605에서, CPU(211)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을 송신 대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영역(이하, 간단히 "송신용의 기억 영역"이라고 칭함)에 저장한다.
스텝 S605에서는,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전체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에 관한 정보를 송신용의 기억 영역에 저장해도 상관없다.
스텝 S606에서는, CPU(211)는 도 7에 나타낸 "시작" 버튼(702)을 유저가 눌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시작" 버튼(702)을 눌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7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07로 진행된다. 한편, 유저가 "시작" 버튼(702)을 누르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7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4로 되돌아간다. 스텝 S604에서는, CPU(211)는 유저가 다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한 상태에서 "시작"(송신 시작) 버튼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을 1회의 동작으로 한꺼번에 지시할 수가 있다. 유저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1개도 선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시작" 버튼(702)을 누를 수 없다.
스텝 S607에서, CPU(211)는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기술된 정의에 따라 스캐너(221)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이 경우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면,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동일한 판독 처리의 내용을 갖는 것으로 생각한다.
스텝 S608에서는, CPU(211)는 스텝 S605에서 송신용의 기억 영역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저장되었는지 아닌지(즉,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6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09로 진행된다. 스텝 S609에서, CPU(211)는 스텝 S607의 판독 처리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복제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해서,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같은 수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즉 각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대해서 화상 데이터가 복제된다.
스텝 S609의 복제 처리에서는, 복제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기술된 정의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와 사이즈를 변경해도 된다.
스텝 S610에서는, 제어부(210)는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 중 하나와 스 텝 S609에서의 복제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들 중의 하나의 화상 데이터를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 및 화상 데이터를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또한, CPU(211)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송신 서버(104)에 의뢰한다.
한편,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608에서 NO), 처리가 화상 데이터를 복제하지 않고 스텝 S610로 진행된다. 스텝 S610에서, CPU(211)는 1개의 화상 데이터와 선택된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화상 데이터 및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스텝 S611에서는, CPU(211)는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 중에 아직 송신 서버(104)에 송신되지 않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아직 송신 서버(104)에 송신되지 않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남아 있다고 판정되면(스텝 S610에서 YES), 처리는 스텝 S610로 되돌아가서, 모든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그들과 관련된 화상 데이터가 송신 서버에 송신될 때까지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렇게 해서, 처리 파일들 및 관련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 서버(104)에 개별적으로 송신한다.
송신 서버(104)에 송신되지 않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없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611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도 8은, MFP(103)가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했을 경우에 송신 서버(104)가 실행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송신 서버(104)의 CPU(3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스텝 S801에서, MFP(103)로부터 송신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 S802에서는, CPU(311)는 스텝 S801에서 화상 데이터와 함께 수신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기술을 해석한다. 또한, CPU(311)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내용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변환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가 화상 데이터를 전자 메일로 송신하는 처리를 정의하고 있는 경우, CPU(311)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형식을 전자 메일로 송신하는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가 화상 데이터를 팩시밀리로 송신하는 처리를 정의하는 경우에는, CPU(311)가 수신한 화상 데이터의 형식을 팩시밀리로 송신하는데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803에서는, CPU(311)는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송신 처리 정의의 내용에 따라 송신한다. 스텝 S801 내지 803을, 수반하는 화상 데이터와, 수신 서버(104)가 수신하는 각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대해서 반복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을 지시했을 경우에,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 서버(104)에게 송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 했을 경우에, 판독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 것 이외에, CPU(211)에 의한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복제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 복제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또는 1개씩 송신 서버(104)에게 송신시킨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 판독 처리를 복수회 실행하는 일없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동작으로 한꺼번에 실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동시에 선택되었을 경우에는, MFP(103)는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복제하고, 이 복제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제2의 실시예에서는, MFP(103)가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한꺼번에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도 9는,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 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9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스텝 S601~S607에서의 처리가,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텝 S901에서는, CPU(211)가 스텝 S607(도 6)에 있어서의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스텝 S604(도 6)에서 유저에 의해 선택된 1개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한꺼번에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도 10은, MFP(103)가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했을 경우에 송신 서버(10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각 처리는, 송신 서버(104)의 CPU(3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텝 S1001에서, CPU(311)가 MFP(103)로부터 송신 화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 S1002에서는, CPU(311)는 MFP(103)로부터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MFP(103)로부터 수신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3로 진행된다. 스텝 S1003에서는, CPU(311)는 스텝 S1001에서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복제하고, 스텝 S1002에서 수신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같은 수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텝 S1004에서는, CPU(311)는 수신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부터 1개 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추출한다. 스텝 S1005에서는, CPU(311)는 추출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기술을 해석하고,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내용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변환한다.
스텝 S1006에서는, CPU(31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단(317)을 통해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내용에 따라 변환된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한다. 스텝 S1007에서는, CPU(311)는 스텝 S1001에서 수신한 모든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대한 처리를 끝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스텝 S1007에서는, CPU(311)가 미처리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미처리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007에서 NO), CPU(311)는 스텝 S1004로 되돌아가서 스텝 S1004 및 다음 스텝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1001에서 수신한 모든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처리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007에서 YES),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유저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을 지시했을 경우에, 송신 서버(104)에게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해당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시킬 수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동시에 선택되었을 경우에, MFP(103)는 CPU(211)에 의한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한꺼번에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MFP(103)에게 동일한 화상 데이터를 복수회 판독하는 것을 요구하는 일없이 화상 데이터의 복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MFP(103)에 대한 처리 부하를 줄일 수가 있다. 또,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서는 MFP(103)로부터 송신 서버(104)로 송신하는 데이터의 총량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제1의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MFP(103)가,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복제하고, 이 복제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상술한 제2의 실시예에서는, MFP(103)가 1회의 판독 동작으로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동작으로 송신한다.
제3의 실시예에서는, MFP(103)가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따라, 제1의 실시예로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제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스텝 S601~S607에서의 처리는,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텝 S1101에서는, CPU(211)가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동작으로 한꺼번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송신 서버(104)가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능력을 갖는 경우에, CPU(211)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한편, 송신 서버(104)가 도 10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 않고 도 8에 나타낸 처리만 실행할 수 있는 경우에는, CPU(211)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한다.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YES), 처리가 (도 9의) 스텝 S901로 진행된다. 한편,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101에서 NO), 처리가 (도 6의) 스텝 S608로 진행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3)가 스텝 S1101에 있어서의 판정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실행한다. 스텝 S607(도 6)에서 판독 처리를 실행한 후, MFP(103)가 송신 서버(104)와 통신해서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MFP(103)가 취득한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스텝 S1101의 판정을 실행한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MFP(103)가 미리 송신 서버(104)와 통신해서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MFP(103)는 MFP(103)의 메모리에 취득한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도 6의) 스텝 S607에서 판독 처리를 실행한 후에, MFP(103)는 판독한 능력 정보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스텝 S1101의 판정을 실행하다.
또, 관리자 PC(101)에 대해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작성할 때에, 처리에 사용하는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기술해도 된다. 이 경우, MFP(103)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 내용을 해석함으로써 송신 서버(104)의 능력을 인식하고, 상술한 방법으로 취득된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관한 정보에 따라 스텝 S1101에서 판정을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동작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 결과에 따라,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MFP(103)는 송신 서버(104)의 능력에 따라 결정된 적절한 방법으로 화상 데이터 및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의 실시예에서는, MFP(103)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동작으로 송신 서버(104)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에 관한 판정 결과에 따라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방법을 선택할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을 하나의 파일로 합성하는 처리도 실행한다.
도 12는,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스텝 S601~S607의 처리는,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 도 12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스텝 S1101의 처리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1101에서 행해진 처리와 같은 것이다. 그 때문에, 여기에서 그것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텝 S1201에서는, CPU(211)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스텝 S605에서(도 6) 송신용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켰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1201에서, CPU(211)는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2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02로 진행된다.
스텝 S1202에서는, CPU(211)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가 같은 판독 처리의 내용을 갖는 경우에는, CPU(211)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03로 진행된다. 스텝 S1203에서, CPU(211)가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 합성한다.
이하,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한 개의 파일로 합성하는 처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에 포함된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CPU(211)가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도 5)과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을 합성한다.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은, 태그 1301을 제외하고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과 같은 내용을 갖는다.
상술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지로서 "manager@xxxx.xxxx"가 기술되어 있다.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송신지로서 "user_pc@xxxx.xxxx"이 기술되어 있다.
도 14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도 5)과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도 13)을 합성함으로써 생성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1400)의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과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을 합성했을 경우, 프로세스 정의 파일 1400에 포함된 태그 1402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 및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에 포함된 전자메일 어드레스를 모두 포함한다.
송신 서버(104)는, 이와 같이 기술된 내용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수신한 후에, 각각의 전자메일 어드레스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1400의 프로세스 ID로서, 태그 1401에 ("-")이 기술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스 정의 파일 410 및 프로세스 정의 파일 1300의 프로세스 ID 중의 어느 하나를 프로세스 정의 파일 1400의 프로세스 ID로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도 12로 돌아가서 참조하면, 스텝 S1204에서는, CPU(211)가 스텝 S607의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스텝 S1203의 합성 처리에 의해 생성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짓는다. 그 다음, CPU(211)는 서로 관련된 화상 데이터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한편,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1에서 NO), 상술한 합성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처리가 스텝 S1204로 진행된다.
이 경우, 스텝 S1204에서는, CPU(211)가 스텝 S607의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스텝 S604에서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짓는다. 그리고나서, CPU(211)는 서로 관련된 화상 데이터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2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8로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 CPU(211)는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하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더 판정한다.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CPU(211)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합성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 서버(104)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동작으로 송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MFP(103)가 화상 데이터를 복제할 필요가 없다.
또,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그 밖에도 복제시에 동일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CPU(211)가 이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마다 1회의 판독 동작을 실행한다.
도 15는,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5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5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텝 S601~S606의 처리가,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5를 참조하면, 스텝 S1501에서는, CPU(211)가 스텝 S605에서 송신용의 기억 영역에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기억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즉, 스텝 S1501에서, CPU(211)는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5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502로 진행된다. 스텝 S1502에서는, CPU(211)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눈다.
스텝 S1502에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1개의 그룹은 동일한 판독 처리의 내용을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포함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동일한 판독 처리를 실행하는 지시의 정의를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1개의 그룹으로 만들어지고 다른 내용의 판독 처리를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은 다른 그룹으로 만들어진다.
스텝 S1502에서의 그룹화 결과, 1개의 그룹만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선택된 모든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정의된 판독 처리의 내용이 동일한 것인 경우에는, CPU(211)가 선택된 모든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포함한 1개의 그룹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1개의 그룹만이 형성된다.
또, 스텝 S1502에서의 그룹화 결과, 1개의 그룹이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스텝 S1503에서는, CPU(211)가 스텝 S1502의 그룹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1개의 그룹을 추출한다. 스텝 S1504에서, CPU(211)가 스텝 S1503에서 추출된 그룹에 속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또는 파일들에 포함된 정의 내용에 따라 스캐너(221)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 CPU(211)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스캐너(221)에게 생성시킨다.
스텝 S1505에서는, CPU(211)는 스텝 S1504의 판독 처리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스텝 S1503에서 추출한 그룹에 속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 또는 파일들을 1회의 송신동작으로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MFP(103)로부터 화상 데이터 및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수신한 후에, 송신 서버(104)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일련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506에서는, CPU(211)가 스텝 S1502의 그룹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그룹들 중, 아직 스텝 S1503~S1505의 처리를 하지 않은 그룹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1개 이상의 미처리의 그룹이 있다고 판정되면(스텝 S1506에서 YES), 처리는 스텝 S1503로 되돌아가서 스텝 S1503 및 다음의 스텝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미처리의 그룹이 없다고 판정되면(즉, 모든 그룹이 처리되었다고 판정되면)(스텝 S1506에서 NO), 처리를 종료한다.
유저가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501에서 NO), 처리가 스텝 S1507로 진행된다.
스텝 S1507에서는, CPU(211)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 내용에 따라 스캐너(221)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킨다.
스텝 S1508에서는, CPU(211)가 스텝 S1507의 판독 처리로 생성된 화상 데이터와 스텝 S604에서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짓는다. 그리고나서, CPU(211)는 서로 관련된 화상 데이터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송신 서버(104)에 송신한다. 그 후에,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의 실시예에서는, CPU(211)가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의 각 그룹에 대해서 스캐너(221)를 이용해서 판독 처리를 실행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6의) 스텝 S609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 및 사이즈를 변환하는 기능을 MFP(103)가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또는 화상 처리에 의해 화질이 열화해 버리는 경우에도,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동작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6의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의해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CPU(211)가 해당 선택된 1개의 파일과 동시에 선택될 수가 없는 다른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금지(제한)한다.
도 16은, MFP(103)가,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따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송신 서버(104)에 화상 데이터의 송신을 의뢰하는 일련의 처리의 예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의 플로차트에 나타낸 각 처리는, MFP(103)의 CPU(211)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스텝 S601~S606의 처리가, 도 6의 플로차트를 참조해서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처리와 같다. 이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것의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6을 참조하면, 스텝 S1601에서는, CPU(211)가 스텝 S602(도 6)에서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로부터, 스텝 S604(도 6)에서 선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동시에 선택될 수 없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하, 간단히 "동시 선택 금지 프로세스 정의 파일"칭한다)을 특정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동시 선택 금지 프로세스 정의 파일"은 여기에 정의된 판독 처리의 내용이 스텝 S604(도 6)에서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정의된 판독 처리의 내용과 다른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가리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의를 포함하는 경우, 판독동작을 복수회 실행해야 한다. 이 때문에, 유저가 상이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의를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동시에 선택하는 것이 금지된다.
스텝 S1602에서는, CPU(211)가 스텝 S1601에서 특정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CPU(211)는 도 17의 파일 선택 화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 ID "0025"를 갖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을,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ID 0001)와 다른 상태로 표시한다. 비록 유저가 음영 또는 해칭이 있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화면의 부분에 터치했다고 해도, 유저가 음영 또는 해칭이 있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정의 파일(ID 0025)를 선택할 수 없다.
본 예시적인 실시에서는, 유저가 판독 처리의 내용이 서로 다른 프로세스 정의 파일들을 동시에 선택할 수 없다. 그렇지만, 이것은 (도 6의) 스텝 S609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복제할 때에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와 사이즈를 변환하는 기능을 MFP(103)가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MFP(103)가 1회의 판독 처리를 실시한 후에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와 사이즈를 변환함으로써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 판독 처리의 내용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유저가 동시에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의 실시예에서는, 복수회의 판독 동작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조합이 하나의 선택 동작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금지(방지)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복수회의 판독 동작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조합이 1 회의 선택 동작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금지한다. 그렇지만,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좀더 구체적으로, 복수회의 판독 동작의 실행을 필요로 하는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조합이 1회의 선택 동작으로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을 경우 CPU(211)가 유저에게 경고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만으로도 유용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 6의 실시예의 각각은, 개별적 및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상술한 복수의 실시예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 6의 실시예의 각각에서는, 화상처리장치는, 관리자 PC(101), 파일 관리 서버(102), MFP(103), 및 송신 서버(104)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관리자 PC(101), 파일 관리 서버(102), MFP(103), 및 송신 서버(104)의 기능을 개개의 장치에 구비할 필요는 없다.
좀더 구체적으로, 2개 이상의 장치의 기능(예를 들면, MFP(103) 및 송신 서버(104)의 기능)을 한 개의 장치에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국면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혹은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의 스텝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multifunction peripheral)의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리자 PC(personal computer)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 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구체적인 기술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MFP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5)

  1.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실행되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 및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에게 상기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판독 제어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 유닛과,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제어 유닛은,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상기 판독 유닛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제어 유닛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내용에 따라 상기 판독 유닛에게 복수회의 판독 처리를 실행시키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 유닛은,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하도록 상기 송신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송신 제어 유닛은,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하도록 상기 외부 장치에 의뢰하는 의뢰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 유닛은,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1회의 송신 동작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의뢰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를 복제해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제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의뢰 유닛은, 상기 복제 유닛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 하나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 중 하나를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외부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의뢰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 유닛이 상기 의뢰를 행하는 경우에,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하나의 송신동작으로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의뢰 방법이나 상기 복제 유닛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 하나와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 중 하나를 관련지어서, 상기 서로 관련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선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하는 또 다른 의뢰 방법을 선택하는 의뢰 방법 선택유닛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 방법 선택유닛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상기 외부 장치의 능력에 관한 정보에 근거해 상기 선택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합성해서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생성하는 합성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의뢰 유닛은,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상기 합성 유닛에 의해 생성된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관련지어서 서로 관련된 1개의 화상 데이터와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상기 외부 장치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의뢰를 행하는 화상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내용에 따라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한 유닛을 더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유닛은,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상기 선택된 1개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과 동시에 선택될 수 없는 다른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다른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상기 파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제한하는 화상처리장치.
  13.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이 실행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판독 유닛에게 상기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판독 제어 유닛과,
    상기 취득 유닛이 취득한 상기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는 파일 선택 유닛과,
    상기 파일 선택 유닛에 의해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 제어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하는 송신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
  14.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판독 유닛이 실행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유닛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 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15. 원고의 화상을 판독해서 상기 판독한 화상에 근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판독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판독 유닛이 실행해야 할 판독 처리의 내용과 상기 판독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처리의 내용을 정의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유닛에게 판독 처리를 실행시켜서, 상기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에 포함된 정의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취득한 프로세스 정의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실행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 처리에 의해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복수의 프로세스 정의 파일의 각각에 포함된 정의에 따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90100090A 2008-10-31 2009-10-21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 KR20100048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81856 2008-10-31
JP2008281856A JP5388541B2 (ja) 2008-10-31 2008-10-31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889A true KR20100048889A (ko) 2010-05-11

Family

ID=4160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090A KR20100048889A (ko) 2008-10-31 2009-10-21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411292B2 (ko)
EP (1) EP2182713B1 (ko)
JP (1) JP5388541B2 (ko)
KR (1) KR20100048889A (ko)
CN (1) CN101729726B (ko)
RU (1) RU243428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8639B2 (ja) * 2010-06-07 2014-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656481B2 (ja) * 2010-07-01 2015-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3568A (ja) * 2010-12-07 2012-06-28 Canon Inc ジョブ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823982B2 (en) * 2011-02-10 2014-09-02 Global Graphics Software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data storage and processing for use with printers
JP5888005B2 (ja) * 2012-02-29 2016-03-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通信方法
JP6112779B2 (ja) * 2012-05-21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038656B (zh) * 2013-03-06 2017-07-11 株式会社理光 分布式扫描系统中的元数据支持
US8867080B2 (en) * 2013-03-06 2014-10-21 Ricoh Company, Ltd. Metadata support in a distributed scan system
US8861006B2 (en) * 2013-03-06 2014-10-14 Ricoh Company, Ltd. Device management in a distributed scan system
US9092181B2 (en) * 2013-03-06 2015-07-28 Ricoh Company, Ltd. Distributed print management
US9007632B2 (en) * 2013-03-06 2015-04-14 Ricoh Company, Ltd. Rights management in a distributed scan system
US8873095B2 (en) * 2013-03-06 2014-10-28 Ricoh Company, Ltd. Delegate access in a distributed scan system
JP5482946B1 (ja) * 2013-08-09 2014-05-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出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648175B2 (en) 2013-10-30 2017-05-09 Ricoh Company, Ltd. Usage tracking in a distributed scan system
JP6405845B2 (ja) * 2014-09-30 2018-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機能実行装置、機能実行方法、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452B2 (ja) * 1994-04-20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複合画像処理装置
JP3175479B2 (ja) * 1994-05-24 2001-06-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4193378B2 (ja) * 2001-06-27 2008-1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
US6718339B2 (en) * 2001-08-31 2004-04-06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rofile's lifetime in a limited memory store device
JP2004280665A (ja) * 2003-03-18 2004-10-07 Fuji Xerox Co Ltd サービス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サービス処理プログラム
JP2004287860A (ja) * 2003-03-24 2004-10-14 Fuji Xerox Co Ltd サービス処理装置、サービス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937731B2 (en) * 2003-09-01 2015-01-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request relating to image processing from an external source and executing the received request
US20050080844A1 (en) * 2003-10-10 2005-04-14 Sridhar Dathathraya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can destination profiles
KR100574019B1 (ko) 2004-01-16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US20060061788A1 (en) * 2004-09-21 2006-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095639B2 (ja) * 2004-12-22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6261759A (ja) * 2005-03-15 2006-09-28 Toshiba Corp スキャナシステムおよびスキャンデータ保存方法
US20070038313A1 (en) * 2005-08-10 2007-02-15 Lexmark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multi-function device settings
US20070038946A1 (en) * 2005-08-15 2007-02-15 Grieshaber Charles E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a multifunctional product using a scriptable user interface
JP2007235921A (ja) * 2006-02-03 2007-09-13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70183002A1 (en) * 2006-02-07 2007-08-09 Fatima Corona System and method for user selectable scan settings on a scan capable device
JP4302710B2 (ja) * 2006-04-11 2009-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システム
EP3349065B1 (en) * 2006-05-02 2023-08-09 Ricoh Company, Ltd. Image handling apparatus
JP2008022107A (ja) * 2006-07-11 2008-01-31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69655B2 (ja) * 2006-07-28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スキャン装置及びデータ登録方法
JP4847260B2 (ja) * 2006-09-19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01827B1 (ko) 2006-09-29 201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92445A (ja) * 2006-10-04 2008-04-17 Ricoh Co Ltd 画像送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29768B2 (ja) * 2006-12-19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を管理する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4877013B2 (ja) * 2007-03-30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キャナ
JP2008256799A (ja) * 2007-04-02 2008-10-23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US8115951B2 (en) * 2007-04-20 2012-02-14 Ricoh Company, Ltd. Approach for implementing locked printing with unlock via a user input device
JP2008305155A (ja) * 2007-06-07 2008-12-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276328B2 (ja) * 2008-01-08 2013-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848213B2 (en) * 2008-03-18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Object-based network scanning
JP5164649B2 (ja) * 2008-04-11 2013-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処理フロー実行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414242B2 (ja) * 2008-10-31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293251B2 (ja) * 2009-02-17 2013-09-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生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34289C2 (ru) 2011-11-20
JP2010109885A (ja) 2010-05-13
RU2009140269A (ru) 2011-05-10
US8891097B2 (en) 2014-11-18
JP5388541B2 (ja) 2014-01-15
US20130176586A1 (en) 2013-07-11
CN101729726A (zh) 2010-06-09
US20100110486A1 (en) 2010-05-06
US8411292B2 (en) 2013-04-02
EP2182713A1 (en) 2010-05-05
EP2182713B1 (en) 2017-05-31
CN101729726B (zh)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8889A (ko) 화상처리장치, 화상 처리 시스템, 그 제어방법
US83689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450909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ジョブ出力方法
JP2010021896A (ja) 情報処理装置と画像入力装置、文書配信システムとそれらの制御方法
JP20060997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印刷管理サーバおよび印刷装置および原稿読み取り装置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および印刷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印刷管理方法および印刷方法およびプリンタドライバ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90199109A1 (en) Customization system for operation screen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866273A (zh) 打印系统和数据处理方法
US9930197B2 (e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converter, serv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70282974A1 (en) Distribution server, multifunction appratus and distribution server system
JP5524723B2 (ja) 画像読取システム、サーバ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2890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952400B2 (ja) 指示情報管理プログラム、指示情報管理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24050690A (ja) サーバシステム
JP2004259250A (ja) 多機能サーバ装置
US84295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8083984A (ja) 携帯端末、画像処理装置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06318098A (ja) サーバ装置、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098775A (ja) スキャンデータ処理システム、サーバ、スキャ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09277113A (ja) 文書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60087688A1 (en) Scan apparatus capable of identifying users
JP201125906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4115741A (ja) 管理サーバ、画像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05071B2 (ja) 履歴画像管理プログラム、指示装置、および処理装置
US20230085170A1 (en) Server, method of controlling the server, and storage medium
JP5369411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データ蓄積制御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