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310A -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310A
KR20100036310A KR1020107000555A KR20107000555A KR20100036310A KR 20100036310 A KR20100036310 A KR 20100036310A KR 1020107000555 A KR1020107000555 A KR 1020107000555A KR 20107000555 A KR20107000555 A KR 20107000555A KR 20100036310 A KR20100036310 A KR 20100036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ject
invisible
ligh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1327B1 (ko
Inventor
노보루 가미조
도시타카 이마이
가즈마사 오치아이
고히치 가미조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3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a selected wavelength, e.g. to sense red marks and ignore blue 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2019/0621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 G06K2019/06225Aspects not covered by other subgroups using wavelength selection, e.g. colour 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18)의 조작에 의해, 피사체 상에 있어서 불가시 이미지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피사체 상에 있어서 불가시 이미지가 내재한 위치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체(12)와, 불가시 광선(블랙 라이트)을 발광하는 발광체(15)와, 주위 광을 도입하여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가시 이미지와 발광된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관측 창(13)과, 미러(16)와, 기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된 카메라(14)를 갖는다. 불가시 이미지가 미러(16)에 의해 반사되고, 맵핑된 이미지가 카메라(14)로 촬영되어, 원래의 불가시 이미지로의 재구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APPARATUS TO EASILY PHOTOGRAPH INVISIBLE IMAGE INHERENT ON SUBJECT WITH THE IMAGE OBSERVED AND METHOD OF MAKING USE OF SAME}
본 발명은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不可視)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스크탑 출판(desktop publishing)(DTP) 등 컴퓨터를 이용한 신문이나 잡지의 편집 출판 방식의 보급에 의해, 거기에 인쇄되는 기사나 사진은 디지털화된 오리지널 콘텐츠로서 서버에 축적되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이 콘텐츠를 퍼스널 컴퓨터(PC),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 전용 기기나 휴대 전화에 유료로 제공하는 것과 같은 비즈니스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미디어로서의 종이는 그 정보량이나 편리성에서 여전히 이용의 중심에 있고, 특히 출판 관계자는 이 종이와 디지털 콘텐츠를 어떠한 형태로 연결하여, 서버에 잠들어있는 데이터를 비즈니스로서 이용하고자 생각하고 있다.
예컨대, 휴대 전화에 탑재된 카메라를 사용해서, 광고나 잡지에 기재된 QR 코드(2차원(2D) 바코드의 일종으로서 주지되어 있으며, 특히, 일본에서 보급되어 있음)를 판독하여, 웹사이트에 액세스시키는 것도 일반적으로 이용되기에 이르고 있고, 신문이나 잡지로부터 음악의 시청을 행하게 하는 서비스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QR 코드를 신문이나 잡지에 인쇄하면, 아무래도 미관이 나빠지고, 지면 상의 구성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의 주위 광이나 환경 광만으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불가시 바코드 기술을 사용하여, 어디에나 자유롭게 불가시 QR 코드를 배치할 수 있는 전자 스크랩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9894호 공보(출원 공개일은 2006년 8월 31일)는, 종이, 플라스틱 혹은 천 등 물리적 매체의 인쇄물과 디지털 콘텐츠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발명된 「전자 스크랩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기술의 원리에서는, 종래의 인쇄물에 대하여, 육안으로는 투명하게 보이는 것과 같은 스텔스 잉크(stealth ink), 불가시 잉크가 이용된다. 이 잉크를 이용함으로써,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2차원(2D) 바코드로서 통상적으로 보이지 않는 상태로 부가 인쇄하여, 통상적으로는 인쇄물면 상에 정보가 내재된(숨겨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전자 스크랩 시스템에 대응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전화 등을 이용하고, 자외선이나 적외선이 추가적으로 이용됨으로써, 정보가 「발광되거나」 또는 「반응」하여 형광을 발광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성질에 따라, 그 존재를 분명하게 할 수 있다. 눈에 보이는 통상의 화상과 함께 이 정보나 이것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이 정보를 서버의 오리지널 디지털 콘텐츠와 연결함으로써,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인쇄물의 가시 정보 또는 가시 이미지의 미관이나 구성을 신경쓰지 않고 문자나 사진, 일러스트 등 어디에나 불가시 정보를 매립하여, 종래의 인쇄물에 새로운 부가 가치를 부여하는 하이브리드 서적을 만드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의 QR 코드의 리더로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전화에 의한 이용이 일반적이고, 휴대 전화의 화면(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한 표시가 보급되어 있음) 상에 있어서의 QR 코드를 간접적으로 표시시키면서 촬영하고, 이 화상을 내장되어 있는 QR 코드 리더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디코드하고 있다. 그 상태에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은 카메라가 부착된 거의 모든 휴대 전화에 표준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QR 코드를 직접적으로는 관측하지 않고,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간접적으로 관측하면서, QR 코드가 화면 내에 들어가도록 주의하며, 또한, 피사체와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핀트를 맞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손떨림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조작에 어느 정도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휴대 전화나 USB 카메라를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어댑터가 판매되고 있을 정도이다.
또한, 화면에 표시시키는 상태에서 간접적으로 관측해야 하는 경우, 신문 등의 지면이 넓은 인쇄물이 피사체가 되는 경우에 특히 그렇지만, 넓은 범위의 대체 어느 부분에 바코드 등의 정보가 내재되어(숨겨져) 인쇄되어 있는지를 직감적으로 확인하여 찾아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한편, 휴대 전화로 얻어진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PC)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채팅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USB 카메라가 일반적이며, 이것을 인쇄물의 QR 코드에 대고 촬영하여 PC에 인스톨되어 있는 QR 코드 리더의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게 된다.
종래의 USB 카메라에서는,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나 각도가 이용자의 잡는 방법에 의해 바뀌기 때문에, 촬영 화상에 변형이나 흐려짐이 일어나지 않도록, 영상을 보면서 피사체에 대하여 카메라 렌즈를 평행하게 하고 핀트가 맞는 높이로 조절해야 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9894호 공보(공개일은 2006년 8월 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를 갖지 않는 사용자, 휴대 전화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고 조작이 간단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가 내재한 위치를 관측하면서,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기체(基體)를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관측 창을 통하여, 주위 광을 도입하여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가시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가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에 의해 발광된 상태를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부품 갯수도 적어 매우 저렴하게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또는 휴대형 북 마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인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이용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인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또는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피사체 상에서 이용되어, 불가시 이미지가 발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피사체 상으로부터 미러에서 반사되어 카메라에 촬영되도록 이루어지는 발광된 QR 코드의 맵핑·이미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로 역연산을 행하여, 촬영된 맵핑·이미지로부터 피사체 상에 내재되어 있던 바람직한 이미지를 재구축하는 과정을 그린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의 동작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PC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의 동작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인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이용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인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는, 통상적으로는 단독으로 이용하여 인쇄물에 있는 QR 코드를 촬영하여 북 마크하고, 그 후, PC(30)의 USB 포트(32) 등에 접속하고 촬영 화상을 전송해서 처리하여, PC(30)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USB 케이블(24)을 통해,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 자체에 마련된 USB 커넥터(11)(출력 커넥터의 일례)를 통하여 PC(3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상태로 가시 이미지나 불가시 이미지를 취급할 수 있는 QR 코드 리더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PC(30)는, PDA 등 폭 넓은 외부 디바이스라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인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주요한 구성으로는, 기체(12)와 관측 창(13)을 갖고 있다.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는, 내부에 CMOS 센서 등을 이용한 촬영용 카메라(14)와 블랙 라이트 LED(15)를 갖고 있다. 블랙 라이트 LED(15)는, 불가시 이미지인 불가시 바코드를 발광시키는 불가시 광선(블랙 라이트는 자외선 광의 일종)을 발생시키는 발광체의 일례이며, 예컨대, 내장된 전지(19) 등에 의해 발광시키는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관측 창(13)은, 기체(12)로부터 연장시켜, 예컨대, 기체(12)에 접속된 상반부가 투명하고 직사각형인 루페와 같은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다만, 주위 광을 도입하여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가시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것이면, 반드시 투명한 실체가 있는 것으로서 마련할 필요는 없고, 또한 완전히 투명할 필요도 없이 반투명이라도 좋으며, 나아가서는, 관측할 수 있기 위한 단순한 개구로서 마련하더라도 좋다. 부분적으로 루페의 기능을 갖게 한다고 하는 응용도 가능하다.
카메라(14)는, 기체(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미러(16)가 관측 창(13)의 단부에 마련됨으로써, 발광체인 블랙 라이트 LED(15)로부터 발생된 광은, 미러(16)에 있어서 반사되어 각도를 바꾸며, 도 2(B)에 도식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면 상에 조사된다. 이에 따라, 피사체 상에 있어서 불가시 이미지가 내재되어(숨어) 있으면, 그 불가시 이미지를 조사시켜 발광시킬 수 있다.
미러(16)와 발광체인 블랙 라이트 LED(15)와의 공간적 위치는, 기체(12)가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여졌을 때에, 관측 창(13)이 피사체를 덮는 부분의 피사체 상에 균등하게 블랙 라이트의 광을 확산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블랙 라이트 LED(15)가 2개 설정된 예로서 나타나 있지만, 당업자라면 여러가지 수에 의한 개수·배치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여져」라고 하는 표현은, 기체(12)의 부분이 피사체 상에 접촉되어 놓이는 것과 같은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기체(12)로부터 연장되는 관측 창(13)의 부분이 피사체 상에 접촉되어 놓이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2(B)에서는, 피사체의 면이 기체(12)와 관측 창(13) 양쪽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피사체 상에 스페이서나 돌기와 같은 지그가 그 사이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요컨대, 사용자가 피사체에 대하여 핀트를 맞추는 등의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카메라와 피사체 상의 촬영 대상이 되는 부분의 위치 관계(상대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면, 「직접적으로」라고 하는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서,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여져」라고 하는 표현은, 본 발명의 사상 범위에 있어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카메라(14)가 기체(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는 의미도, 동일한 취지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블랙 라이트 LED(15)로부터 직접적으로는 미러를 향하지 않는 것과 같은 간접적인 광도, 피사체 위를 간접적으로 조사함으로써, 발광에 기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당업자라면, 이 도면과는 다른 양태에 따라, 예컨대, 블랙 라이트 LED의 점등에 의해 발생된 광을 미러의 방향으로 향하게 하지 않고,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향하게 하는 설정으로 조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각 구성 요소는, 당업자라면 가능한 한 일체 성형품으로서 작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또는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피사체 상에서 이용되어, 불가시 이미지가 발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사체인 신문 지면 상에 가시 이미지로서 존재하고 있는 기사 위에, 사용자가 스위치(18)를 길게 누름으로써 발생되는 광에 의해 발광되어 보이도록 이루어진 QR 코드의 이미지가 나타나 있다. QR 코드의 이미지는, 주변의 기사와의 관련성을 가지며 그 존재가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블랙 라이트 LED(15)가 소등되어 있을 때에 기체에 마련된 스위치부(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부분으로 도 2의 18)를 길게 누르면, 블랙 라이트 LED(15)가 점등되어 그대로 점등을 계속한다. 즉, 스위치(18)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발광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맡는다. 신문 등의 지면이 넓은 인쇄물이 피사체가 되는 경우 등에, 사용자가 최초로 행할 행동으로서는, 넓은 범위의 대체 어느 부분에 바코드 등의 정보가 내재되어(숨겨져) 인쇄되어 있는지를 직감적으로 확인하여 찾아내는 일일 것이다. 블랙 라이트 LED(15)가 점등 중일 때에 기체에 마련된 스위치부(손가락으로 누르고 있는 부분으로 도 2의 18)를 길게 누르면, 블랙 라이트 LED(15)가 소등된다. 스위치의 사용 방법을 포함하는 동작 플로우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도 6에 정리되어 있다.
스위치의 응용예로서는, 사용자가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만, 불가시 광선이 발생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알게 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사용자가 누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점등되고 누르는 것을 멈춘 후, 적당한 시간에 한해서 점등을 계속하여 소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러한 응용예에 따르면, 소등을 잊는 것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내장의 전지(19) 등을 소형·저용량의 것으로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의의가 클 것이다.
발광된 불가시 이미지인 불가시 바코드는, 관측 창(13)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관측 창(13)이 주위 광을 도입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 상의 문자나 사진 등의 가시 이미지는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주위 광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적절하게 보조 광원을 외부 장착하거나 내장시키는 등 하여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가시광에 대해서는 광원을 특별히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부품 갯수를 적게 하여 매우 저렴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공헌한다.
관측 창(13)은, 직접적으로 관측을 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좋고,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방향은, 바로 정면의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부터 관측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예컨대, 엿보기 방지 필터와 같은 것을 관측 창에 설정하여, 관측할 수 있는 방향을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관측 창(13)과의 관계에서 필터를 마련하고, 그 필터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가시 이미지의 강약, 불가시 이미지의 강약 등의 조절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도 2와의 관계에서 설명하면,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가시 이미지와, 발광된 불가시 이미지는, 미러(16)로 반사되어, 카메라의 앞면에 설정된 광학계(17)(전형적으로는, 렌즈)로 유도되고, 카메라(14)로 더 유도된다. 다만, 광학계(17)는, 카메라(14)의 일부에 포함된 양태로 존재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18)를 짧게 누르면, QR 코드는 피사체 상의 가시 이미지인 배경 화상과 함께 촬영된 QR 코드의 이미지는, 기체(12) 내의 기판(20) 중에 마련된 메모리에 파일로서 보존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스위치(18)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촬상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맡는다.
스위치(18)를 길게 누름으로써 QR 코드의 이미지가 내재한 위치를 관측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 스위치(18)를 짧게 누른다고 하는 별도의 조작에 의해 촬영을 간이하게 마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스위치(18)의 조작을 엄지 손가락만으로 끝낼 수 있는 것은 이용성에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또한, 누르는 시간의 길이 조절만에 의해 2가지로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은, 부품 갯수를 적게 하여 매우 염가로 하는 것에도 도움이 된다. 다만, 사용자에 의한 엄지 손가락의 위치를 바꾸는 조작이 허용되고, 그 쪽이 바람직하다고 한다면, 발광 스위치와 촬상 스위치를 별개로 구별한 위치에 따로따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피사체 상으로부터 미러에서 반사되어 카메라에 촬영되도록 이루어지는 발광된 QR 코드의 맵핑·이미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러(16)를 통하여 얻어지는 이미지는, 관측 창(13)으로부터 직접적으로 관측하고 있는 이미지와는 달리, 피사체의 면으로부터 맵핑된 이미지가 된다. 즉, 광학계(17)나 카메라(14)의 방향으로 광을 유도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관측 창(13)으로부터 관측할 수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이미지가 된다.
본 발명의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에서는, 인쇄물 등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QR 코드 위에, 북 마커가 직접적으로 놓여져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와 피사체 상의 촬영 대상이 되는 부분의 위치 관계(상대 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되는 이미지가 어떻게 맵핑되는 것인지, 어떻게 왜곡되어 취해지게 되는 것인지를 미리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공간적 위치 관계를 높은 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이 특성을 이용해서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로 역연산을 행하여,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바람직한 이미지를 재구축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로 역연산을 행하여, 촬영된 맵핑·이미지로부터 피사체 상에 내재되어 있던 바람직한 이미지를 재구축하는 과정을 그린 모식도이다.
처음에 도 4의 중앙에 있는 미러에 반영된 이미지를 추출하고(A), 이것에 가로 방향의 왜곡을 보정하며(B), 다음으로 세로 방향의 왜곡을 보정한 후, 미러 이미지의 보정으로 상하의 반전(C)을 행하고 있다.
선형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경우에는, 미리 카메라의 화소가 미러에 반영되기 전의 이미지의 어느 곳에 대응하는지에 관한 변환 테이블을 가짐으로써, 그것을 참조하여 이미지를 재구축해 나갈 수도 있다.
다시 도 1로 되돌아가면, 기판(20) 상에는 USB 포트가 있어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mass storage class)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USB 포트(11)로부터 PC(30)에 접속하면 탈착가능한(removable) 디스크로서 촬영한 이미지의 파일이 도 4와 같이 보인다. PC(30)에 인스톨되어 있는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는, 이 화상으로부터 전자 스크랩 시스템(일본 특허 공개 제2006-229894호 공보)의 방식을 이용하여, 가시 이미지와 불가시 이미지가 혼재된 내용으로부터 QR 코드의 이미지에 상당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QR 코드 디코더로 처리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할 수 있다.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로 역연산을 행하여, 촬영된 맵핑·이미지로부터 바람직한 화상을 재구축하는 기능은 PC(30)(도 1) 상에서 실현되기 때문에, 이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 측에서는, 단순히 왜곡된 채로 촬영된 화상을 메모리에 보존하는 것만으로 좋다.
미러(16)는, 발광시킨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으면 좋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그 각도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의 파인더와 같이, 관측 창(13)의 상면에 촬영 프레임을 마련하여, 그 테두리 내에 발광시킨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가 들어가 있는 범위에 있어서는, 불가시 이미지가 미러에 전부 반영되고 있는(반영될) 것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는, 신문이나 잡지의 마음에 드는 정보를 북 마크하기 위해 통상은 단체(單體)로 이용하지만, 이 USB 커넥터(11)에 USB 케이블(24)을 통해 PC(30)에 접속하면, 종래의 USB 카메라와 같이 하여 QR 코드를 읽을 수 있다. 또한, USB 포트 대신에 SD 메모리 등의 메모리 카드를 탑재하더라도 좋고, 이 경우는 메모리 카드를 통해 PC(30)에 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용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지만, 이 관측 창(13)을 기체(12)에 대하여 힌지로 장착하고, 관측 창(13)을 힌지에 의해 플립업(flip up)하는 것에 연동하여 광학계(17)의 핀트가 바뀌는 기구로 해 두는 등[미러(16)의 반사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 따라서, 미러(16)에 촛점을 맞추지 않고] 통상의 USB 카메라로서 이용할(겸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 광학계(17)는, 미러(16)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에 대해서도, 카메라(14)로 유도하는 것에 대응한다. 나아가서는, 광학계(17)에 대하여 변동 핀트 기구를 갖게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할 것이다.
피사체 위와의 사이의 모든 공간적 위치 관계는,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가 그 기체(12)가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이는 것이 상정되고,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기기 내부에 대해서도, 기체(12)에 대하여 촬영하는 카메라(14)의 개소가 고정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되고 있는(쵤영될) 이미지의 핀트 맞춤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부품 갯수도 적어 매우 저렴하게 북 마커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1GB의 USB 메모리 키에 35만 화소의 CMOS 센서 카메라를 탑재하여 패키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신문이나 잡지에 인쇄되어 있는 QR 코드를 가시, 불가시에 관계없이 북 마크하고, 그 후에 PC(30)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사나 정보, 관련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QR 코드의 이미지는, 주변의 기사와의 관계에서 위치 결정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함께 취득해 두는 것의 기술적 의의는 크다.
또한, USB 케이블(24)을 통해 PC(30) 등과 접속하여, 교육용 교재 서적으로부터 보다 상세한 정보나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나, 테마 파크 등에서의 티켓이나 팜플렛, 경우에 따라서는, 손등에 인쇄한 불가시 QR 코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의 동작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100에서, 사용자의 스위치(18) 조작에 의해, 스위치가 눌러진다. S102에서, 스위치가 2초(소정 시간의 일례) 이상 경과하여 눌러지고 있는 경우에는 길게 누르는 것으로 해서, S104로 진행하고, LED(15)가 소등 중이었던 경우에는 S110에서 LED(15)가 점등된 채인 상태로 유지된다. 처음부터 LED(15)가 점등 중이었던 경우에는 S112에서 LED(15)가 소등된다.
S102에서, 스위치가 눌러진 상태가 2초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짧게 눌러진 것으로 판단되어 S106으로 진행하고, 이미지가 촬영된다. LED(15)의 점등 중에 2초 미만으로 짧게 눌러지면 카메라의 셔터가 되어 몇 번이라도 셔터를 누를 수 있다. 셔터가 동작할 때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소리를 내도록 하더라도 좋다. S108로 진행하여, 촬영된 화상에 대해 (예컨대, 자동적으로 할당된) 파일명이 붙여져 메모리에 보존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가 PC에 접속되어 동작하는 북 마커용 소프트웨어의 동작 플로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S200에서,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기기가 PC(30)의 USB 포트(32) 등에 접속되면, S202에서 이미지가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가 인식된다. 이 점, 전회에 접속된 시점과 비교하여, 새로운 이미지가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만 Yes라고 판단시키더라도 좋다. S204에서 이미지가 메모리에 보존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기기로부터 이미지가 판독된다. S208에서 QR 코드가 추출된다. S210에서 추출된 QR 코드를 디코드할 수 있는 등, 촬영된 이미지가 불필요해지면,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10)의 기기 측에 있는 메모리로부터 해당하는 이미지를 소거함으로써 메모리의 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10: 휴대형 2D 바코드 북 마커
11: USB 커넥터(출력 커넥터의 일례)
12: 기체
13: 관측 창
14: 카메라
15: 블랙 라이트 LED
16: 미러
17: 광학계
18: 스위치
19: 전지
20: 기판
24: USB 케이블
30: PC(외부 디바이스의 일례)
32: USB 포트

Claims (10)

  1.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不可視) 이미지를 발광시킨 상태에서,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가 내재한 위치를 관측하면서,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일 수 있는 기체(基體)와,
    기체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주위 광을 도입하여 피사체 상에 존재하는 가시 이미지를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관측 창과,
    불가시 이미지를 발광시키는 불가시 광선을 발생하는 발광체와,
    미러와,
    광학계와,
    상기 기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정된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관측 창은,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가 상기 발광체로부터의 광에 의해 발광된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는, 상기 발광시킨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이미지를 반사하여, 맵핑된 이미지를 상기 광학계로 유도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광학계는 상기 미러로부터 유도되는 맵핑·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로 유도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와 상기 발광체 사이의 공간적 위치는, 상기 미러를 향해 상기 발광체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유도하고 반사시켜, 상기 기체가 피사체 상에 직접적으로 놓일 때에, 상기 관측 창이 상기 피사체를 덮는 부분에 광을 확산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맵핑·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하기 위한 출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촬영된 맵핑·이미지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보낼 수 있는 것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눌린 상태에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발광체를 계속하여 점등시키며, 눌린 상태에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하는 것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창을 상기 기체에 대하여 힌지로 장착하여,
    상기 관측 창이 상기 힌지에 의해 플립업(flip up)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광학계가 상기 미러로부터 유도되는 것이 아닌 이미지에 대해서도 상기 카메라로 유도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장치.
  7. 제1항에 기재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발광된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불가시광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발광되고 있는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맵핑·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촬영된 맵핑·이미지를 외부 디바이스에 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기재한 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발광된 불가시 이미지를 재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에 기재한 장치로부터 상기 발광시킨 상태의 불가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촬영된 맵핑·이미지를 수취하는 단계와,
    수취한 맵핑·이미지를 상기 피사체 상에 있어서의 불가시 이미지로 재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07000555A 2007-07-13 2008-07-10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KR101091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4194 2007-07-13
JPJP-P-2007-184194 2007-07-13
PCT/JP2008/062515 WO2009011286A1 (ja) 2007-07-13 2008-07-10 被写体上に内在する不可視イメージを観測しながら簡易に撮影ができる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す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310A true KR20100036310A (ko) 2010-04-07
KR101091327B1 KR101091327B1 (ko) 2011-12-07

Family

ID=4025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0555A KR101091327B1 (ko) 2007-07-13 2008-07-10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67217B2 (ko)
EP (1) EP2175394B1 (ko)
JP (1) JP4870815B2 (ko)
KR (1) KR101091327B1 (ko)
CN (1) CN101772773B (ko)
WO (1) WO2009011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4534A1 (ja) 2005-07-04 2007-01-11 Ibm Japan, Ltd. 不可視情報を印刷するためのデータ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不可視情報が印刷された物理的媒体を製造する方法
US7667217B2 (en) * 2007-07-13 2010-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observing and capturing latent images on object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8627420B2 (en) * 2010-04-22 2014-01-07 Cisco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associating a client device or service with a wireless network
EP2463801A1 (fr) * 2010-12-09 2012-06-13 Gemalto SA Dispositif portable de lecture optique de code 2D
WO2013032451A1 (en) * 2011-08-30 2013-03-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dentifying user-target relation
DE102012007195A1 (de) * 2012-04-12 2013-10-17 Irina Mkhitaryan Mobiles Informationssystem zur Erfassung, Verarbeitung, Anwendung von Indikatoren
US10303910B2 (en) * 2012-10-04 2019-05-28 The Code Corporation Apparatus comprising multiple sets of optics to facilitate capturing barcode and non-barcode images
US20140358669A1 (en) * 2013-06-03 2014-12-04 Cloudwear, Inc. Method for selecting and receiving primary and supplemental advertiser information using a wearable-computing device
JP5901680B2 (ja) * 2014-04-04 2016-04-13 株式会社デジタル 携帯端末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949888B1 (en) * 2014-09-10 2021-03-16 Square, Inc. Geographically targeted, time-based promotions
US10909563B1 (en) 2014-10-30 2021-02-02 Square, Inc. Generation and tracking of referrals in receipts
US10553088B2 (en) * 2015-01-12 2020-02-04 Jonathan Lee Security device for integration into a security system
US10929866B1 (en) 2016-06-27 2021-02-23 Square, Inc. Frictionless entry into combined merchant loyalty program
US11216933B2 (en) 2018-04-09 2022-01-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Mobile multi-feature product authentication
JP7362071B2 (ja) * 2019-03-01 2023-10-17 株式会社アスタリスク 携帯型読取装置、読取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
WO2021046173A1 (en) 2019-09-06 2021-03-11 Vitiprints, LLC Image and quick art response code system
MX2019014846A (es) * 2019-12-09 2020-02-12 Todito Pagos S A De C V Metodo y sistema para acreditar un premio en una cuenta de monedero electronic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2053A (en) * 1981-08-25 1983-07-05 Western Publishing Inc. Optical probe
JPH01292484A (ja) * 1988-05-19 1989-11-24 Tokyo Electric Co Ltd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3272600B2 (ja) * 1996-05-17 2002-04-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データシンボル読み取り装置
JPH11149517A (ja) * 1997-11-18 1999-06-02 Olympus Optical Co Ltd コードイメージ記録装置
US6184534B1 (en) 1998-08-04 2001-02-0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pulsing light emitting diodes for reading fluorescent indicia, data reader, and system
AUPQ439299A0 (en) * 1999-12-01 1999-12-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terface system
JP2002240387A (ja) * 2000-12-12 2002-08-2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情報管理システム
JP4013027B2 (ja) * 2001-04-19 2007-11-28 オムロン株式会社 2次元コード読取装置
US6827277B2 (en) * 2001-10-02 2004-12-07 Digimarc Corporation Use of pearlescent and other pigments to create a security document
JP2003162207A (ja) * 2001-11-28 2003-06-06 Victor Co Of Japan Ltd 光学情報読み取り装置及び光記録媒体
JP2004287808A (ja) *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3906200B2 (ja) * 2003-11-27 2007-04-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1708136A1 (en) * 2004-01-15 2006-10-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asuring method for optical transfer function, image restoring method, and digital imaging device
JP3833665B2 (ja) * 2004-03-16 2006-10-18 三井住友海上火災保険株式会社 記録物、記録方法、及び記録物の読み取り装置
JP2006097415A (ja) * 2004-09-30 2006-04-13 Denso Corp 定量止水装置
JP4593292B2 (ja) * 2005-01-05 2010-12-08 Hoya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810918B2 (ja) * 2005-08-01 2011-1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コードパターン画像生成装置及び方法、コードパターン画像読取装置及び方法、及びコードパターン画像媒体
JP2007081741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06377B2 (ja) * 2005-12-16 2008-06-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不可視情報を抽出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59719B2 (ja) * 2006-12-21 2012-06-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不可視コード印字支援システムにおけるシミュレーション用パラメータの取得方法とそのシステム
US7667217B2 (en) * 2007-07-13 2010-02-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observing and capturing latent images on objects,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090050700A1 (en) * 2007-08-26 2009-02-26 Noboru Kamijoh Adding and detecting bar code printed with ink invisible to human eye onto printed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2773A (zh) 2010-07-07
EP2175394A1 (en) 2010-04-14
JP4870815B2 (ja) 2012-02-08
US7667217B2 (en) 2010-02-23
US20090016568A1 (en) 2009-01-15
JPWO2009011286A1 (ja) 2010-09-24
KR101091327B1 (ko) 2011-12-07
WO2009011286A1 (ja) 2009-01-22
CN101772773B (zh) 2013-07-10
EP2175394B1 (en) 2013-02-13
EP2175394A4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327B1 (ko) 피사체 상에 내재한 불가시 이미지를 관측하면서 간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US7364077B2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US64419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inting and reading a sound message on a greeting card
US20110292078A1 (en) Handhel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rojected image of physical page
US20020131636A1 (en) Palm office assistants
JP6995272B2 (ja) 印刷用データの生成方法
US20110164292A1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US20020067520A1 (en) Hand-held image capture apparatus
JPH11167173A (ja) 不可視にエンコードされた対象上の音声データを読み取る方法及び装置
US20060119734A1 (en) Docking station for near-object digital photography
US8474720B2 (en) PDA compatible text scanner
JP2010117587A (ja) 工事用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用ストロボ装置
JP3867484B2 (ja)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2014103642A (ja) 携帯端末用装着具
JP3144146U (ja) バーコード読取対応携帯電話
KR200476471Y1 (ko) 카메라를 이용한 스캐너 장치
KR101460685B1 (ko) 초소형 스캐너
JP6035600B2 (ja) 媒体反射防止ケース
JP2010068317A (ja) 小型スタンプ式スキャナー
JP2004228806A (ja) 資料提示装置
JP2006338195A (ja) 画像入力機能付きマウス
JP2001189904A (ja) 画像読み取り撮影装置
JP2016220053A (ja) 撮影装置、撮影装置の画角変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277947A (ja) 写真撮影装置
JP2014149695A (ja) 注文端末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