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683A -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35683A KR20100035683A KR1020097025175A KR20097025175A KR20100035683A KR 20100035683 A KR20100035683 A KR 20100035683A KR 1020097025175 A KR1020097025175 A KR 1020097025175A KR 20097025175 A KR20097025175 A KR 20097025175A KR 20100035683 A KR20100035683 A KR 201000356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optical waveguide
- light source
- opening
- switch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01H2219/039—Selective or different modes of illumin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20), 작동 소자(30), 개폐 소자(40)를 포함하여, 자동차에서 부하 장치, 특히 엔진 등을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10)에 있어서, 개폐 소자(40)는 작동 소자(3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개폐 소자(40)에 의해서는 컨트롤 유닛을 위한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작동 소자(30)는 심볼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개폐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는, 심볼 소자(50)가 균일하게 조명되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6)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70)으로부터 제1 광(71)을 안내한다.
개폐 장치, 하우징, 작동 소자, 개폐 소자, 심볼 소자, 제1 광도파로 소자, 제1 광원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우징, 작동 소자 및 개폐 소자를 포함하여, 차량에서 부하 장치, 특히 엔진 등을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에 있어서, 개폐 소자는 작동 소자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개폐 소자에 의해서는 컨트롤 유닛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작동 소자는 심볼 소자를 포함하는, 상기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EP 1 468 884 A1에서는 차량 엔진을 시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는데 이용되는 점화 스위치가 개시된다. 점화 스위치는 조향 칼럼 근처에 배치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이동식 몸체를 포함한다. 그 외에도 점화 스위치 내에는 이동식 몸체의 변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개폐 몸체가 통합된다. 또한, 이동식 몸체상에는 심볼 소자가 위치한다. 이런 심볼 소자는 차량 엔진의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점화 스위치의 경우, 운전자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이동식 몸체에 접촉하여 그 몸체를 위치 변경하며, 그럼으로써 개폐 몸체는 엔진을 시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점화 스위치의 경우, 심볼 소자가 종종 명확하게 식별되지 못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의 상태에 대해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점이 단점으로서 입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하 장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단점이 방지되는 상기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 특히 용이하면서도 사용자 친화적인 제어를 보장하면서, 부하 장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콤팩트한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을 구비하여 부하 장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에는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들이 지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심볼 소자가 균일하게 조명되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광을 안내한다.
심볼 소자가 균일하게 조명됨으로써, 사용자는 분명하게 개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어 결함이 방지된다. 심볼 소자의 균일한 조명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는 제1 광도파로 소자가 제1 광을 안내한다. 제1 광도파로 소자의 목적은, 종종 평행화된 제1 광을 제어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분할하며, 그에 따라 심볼 소자의 균일한 조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제1 광을 반사한다.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자체 표면에서 제1 광을 심볼 소자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기계식 대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는 광 흐름의 균일한 분포를 달성할 수 있도록 확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산 반사는 특히 제1 광도파로 소자의 거침 처리된 표면에 의해 달성된다. 만일 제1 광이 거침 처리된 표면에 닿으면, 제1 광도파로 소자는 확률적인 각도 분포를 이용하여 제1 광을 반사한다.
향상된 사용자 친화성을 달성하기 위해, 심볼 소자는 작동 소자에 배치될 수 있고, 잠재적인 사용자에게 차량의 상태에 대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하우징 내부에, 그리고 작동 소자 후방에 배치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제1 광을 이용한 심볼 소자의 후면 조명이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작동 소자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런 실시예는 특히 작동 소자뿐 아니라 광도파로 소자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선호된다. 이런 이유에서 작동 소자 및 광도파로 소자는 단일의 구조 소자로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조합품은 사출 성형, 사출 중공 성형 또는 사출 주형으로 제조된다.
개폐 장치에 대한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1 광도파로 소자가 캡 및/또는 우산 모양으로 제1 광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형성되는 제1 광도파로 소자에 의해, 제1 광도파로 소자 및 제1 광원으로 이루어진 전조등 형태의 시스템이 제조된다. 심볼 소자가 작동 소자 내에 집적화된다고 하면, 제1 광원은 하우징 내로 광을 방사할 수 있다. 회전 포물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광도파로 소자는 평행화된 제1 광을 포착할 수 있으며, 작동 소자 내지 심볼 소자의 방향으로 그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한다. 이런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예컨대 조합되어 하나의 3중 거울을 형성하는 3개의 삼각형 반사면의 조합으로 제공된다. 상기 3중 거울은 특히 방사된 제1 광에 대해 목표에 맞추고 사전에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반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1 광도파로 소자의 개구부 측은 작동 소자로 향한다. 이와 관련하여 광도파로 소자의 영역 중 제1 광이 유출되는 그런 영역이 개구부 측을 나타낸다. 그 결과, 만일 광도파로 소자의 일측 구간에서 제1 광이 방사되고, 그런 다음 그 광이 타측 구간에서 유출된다면, 정의에 따라 뒤에 언급한 구간이 개구부 측이 된다. 만일 제1 광도파로 소자가 포물면 형태, 캡 모양 및/또는 우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반사판이라면, 개구부 측은 일반적으로 작동 소자로 향하게 된다.
높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반사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사층을 구비할 수 있되, 특히 반사층은 제1 광을 확산하는 방식으로 반사한다. 반사층에 의해 방사된 제1 광이 높은 비율로 심볼 소자의 방향으로 반사된다. 동시에 반사층은 제1 광 중 제1 광도파로 소자에 흡수되는 그런 비율을 감소시키며, 이는 제1 광도파로 소자의 가열을 억제한다. 각각의 적용 목적에 따라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으로서 백색 래커 코팅 또는 금속 입자와 혼합된 래커 코팅을 반사층으로서 이용한다. 이와 같은 래커 코팅은, 특히 제1 광도파로 소자가 플라스틱이나,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었을 때 이용된다. 그와 반대로 제1 광도파로 소자가 특수강으로 제조된 경우라면, 반사층은 또한 제1 광도파로 소자의 표면이 고광택 연마 처리됨으로써도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반사층은 발광성 및/또는 형광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 이용되는 제1 광원에 따라, 제1 광은 그 제1 광원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그처럼 평행화된 광빔은, 심볼 소자의 균일한 조명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하지 못하다. 그에 따라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산란 수단을 포함하고, 이 산란 수단은 평행화된 광빔을 확장시킨다.
그러나 광빔의 확장이 조명된 심볼 소자에 대한 광 흐름의 균일한 분포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에 따라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산란 수단 중 하나가 이용된다: 산란 디스크, 산란 벌지(scattering bulge), 또는 산란 렌즈. 열거한 산란 수단은, 평행화된 광빔이 균일하게 확산되고 넓은 심볼 소자의 균일한 조명이 보증되는 점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산란 렌즈는, 특히 유리 또는 플렉시 유리로 제조되어 적은 흡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1 광의 파장에 부합하게 조정된 부재이다. 산란 수단은 동일한 소재로 광도파로 소자와 연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종종 산란 수단은, 제1 광이 제1 광원으로부터 직접 심볼 소자에 도달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오히려 산란 수단은 그 제1 광을 제1 광도파로 소자로 반사시키고, 그런 다음 그 제1 광이 제1 광도파로 소자로부터 심볼 소자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이런 접근법은 조명 변동에 대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상기 조명 변동은, 심볼 소자의 소정의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욱 밝게 빛을 발하기 때문에 잠재적인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확인된 점에 따르면, 조명 변동은 사용자에게 오히려 불편을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방지되어야 한다.
개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개폐 장치는 기판을 포함한다. 기판은 전자 구조 부재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고 전기가 흐르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은 절연성 기초판으로 제조되며, 이 기판상에는 박층의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연결선들이 실장된다. 개폐 장치의 개폐 소자는 전자 구조 부재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에 따라, 기판상에 그 개폐 소자를 배열하고 기판을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한다. 그에 따라 기판은 제1 광원의 전기 공급을 보장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기판은 기초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광도파로 소자의 견고하고 영구적인 고정을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 외에도 기판에는 하우징 내 통합 전에 모든 소자들을 장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광원 및 제1 광도파로 소자는 기판상에 정밀하게 배향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때 하우징 하부에 복잡하게 통합하지 않아도 된다.
개폐 장치의 제1 광도파로 소자를 연결하는 것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래칭 수단(latching means)을 포함할 수 있되, 래칭 수단은 개폐 장치의 상대 래칭 수단과 상호 작용한다. 래칭 수단은 특히 마찰 및/또는 형태 고정 방식으로 수납 부재와 상호 작용하면서 반대 순서로 탈거할 수 있는 결합을 제공하는 클립 부재일 수 있다. 심볼 소자의 배열과 개폐 장치에 대한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 래칭 수단은 다음 부분들, 즉 기판, 하우징, 작동 소자 또는 제1 광원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배치된다. 개폐 장치와 광도파로 소자를 반대 순서로 탈거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 이외에도, 제1 광도파로 소자는 또한 개폐 장치 내에 접착하거나, 납땜하거나, 또는 증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체 물질 결합은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달성되며, 일반적으로 주변 조건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개폐 장치와 제1 광도파로 소자의 연결과 관련하여, 통상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광도파로 소자는 레이저를 투과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개폐 장치는 레이저를 흡수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두 부재의 결합을 레이저 용접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개폐 장치에 대해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는, 개폐 장치가 제2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광원은, 제1 광원이 고장 난 경우에 심볼 소자를 조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심볼 소자가 균일하게 조명되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광을 안내하고, 제2 광원으로부터는 제2 광을 안내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제1 및 제2 광원을 위해 그에 적합하게 형성된 반사 영역들을 포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광도파로 소자는 계단식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반사면을 보유할 수 있되, 각각의 반사단(reflective step)은 하나의 광원에 할당된다. 추가 실시예에 따라 두 광원의 제1 광 및 제2 광은 다양한 색상으로 심볼 소자를 조명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파장을 보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광원은 광원들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컴퓨터 유닛과 연결된다. 그에 따라 컴퓨터 유닛을 통해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 또는 두 광원 모두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심볼 소자의 색상 변화를 통해 복수의 개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폐 장치에 대해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2 광도파로 소자가 제2 광원의 제2 광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두 광원 각각에는 개별 광도파로 소자가 할당된다. 2개의 광원으로부터 광을 안내하는 제1 광도파로 소자와 달리,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도파로 소자의 기계적 규격이 감소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1 및 제2 광도파로 소자는 각각 제1 내지 제2 광의 파장에 적합하게 조정된 개별 반사층을 구비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심볼 소자의 균일한 조명이 보장된다.
제1 또는 제2 광원의 각각의 배열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광의 광방사는 본질적으로 작동 소자의 작동면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평행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에서 작동 소자는, 부하 장치를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적어도 손가락 크기로 형성되는 작동 소자의 작동면에 접촉한다. 종종 작동면은 촉각에 의한 이유에서 평면 또는 아치형 기하 구조를 보유한다. 작동 소자 내부에는 심볼 소자가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심볼 소자 후방에 제1 광원이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개폐 장치의 공간 구성이 제1 및/또는 제2 광원의 배열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1 및/또는 제2 광원은 작동 소자로부터 잎사귀 모양으로 이격되는 기판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및/또는 제2 광원의 광방사는 작동 소자의 작동면에 대해 평행하게, 다시 말하면 기판의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심볼 소자가 조명될 수 있도록 제1 및/또는 제2 광을 90°만큼 편향시켜야 한다. 마찬가지로, 광방사가 작동 소자의 작동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를 배치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및/또는 제2 광을 심볼 소자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포물면 광도파로 소자가 바람직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심볼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두 영역들은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용될 수 있다. 제1 광원의 제1 광은 제1 영역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고, 제2 광원의 제2 광은 제2 영역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개폐 장치의 상태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두 영역과 그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가 균일하게 조명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광원은 LED, OLED 및 형광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이용 분야에 따라, 상기 점등 소자들 중 하나 또는 복수가 광원에 통합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협폭의 스펙트럼을 보유하는 비간섭성 광(incoherent light)을 방사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방사된 광의 파장은 반도체 소자 및 가능한 도펀트에 따라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유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특수한 형식의 LED이며, 이런 LED 내에서는 유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발광층이 형성된다.
추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광도파로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가이드 소자를 포함한다. 가이드 소자는 제1 광원에 상대적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기계식 가이드 소자는 레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광도파로 소자의 분명한 위치 결정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1 광원의 옆 측면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광도파로 소자가 제1 광원으로 배향되는 식으로만 장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이드 소자가 형성된다.
각각의 적용 목적에 따라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에 따라, 심볼 소자는 작동 소자의 표면 및/또는 그 상부 및/또는 그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심볼 소자는 사용자에게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문자열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심볼 소자는 작동 소자 내로 압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심볼 소자는 작동 소자 내에 압입되는 소수의 발광 소자로 형성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볼 소자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 소자의 면 중 사용자의 반대편으로 향하는 후면을 적어도 일부분 덮는다. 그에 따라 작동 소자 내에 배치되는 심볼 소자의 개별 요소들에 직접 도달하지 않는 광이 그 요소들에까지 안내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작동 소자 및 심볼 소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 광원은 버스 시스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유닛과 연결되되, 버스 시스템은 제1 및/또는 제2 광원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상태를 단방향 및/또는 양방향으로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 상태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점으로서 입증된 점에 따라, 버스 시스템은 직렬 또는 병렬 아키텍처를 포함한다. 이때 병렬 아키텍처는, 복수의 비트가 동시에 (다시 말해 병렬로) 전송되는 디지털 전송을 나타낸다. 그와 반대로 직렬 데이터 전송에서는 정보가 비트 단위로 연속해서 데이터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버스 시스템은 다음 병렬 아키텍처 중 하나를 포함한다: ATA(고급 기술 결합), GPIB(범용 인터페이스 버스) 또는 HIPPI(고성능 병렬 인터페이스). 직렬 시스템 아키텍처가 이용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다음 아키텍처 중 하나가 이용된다: ACCESS.bus, ASI-Bus, ByteFlight,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CAN) 유럽형 설치 버스(EIP), ISYGLT(건물 중앙 제어 기술을 위한 혁신 시스템), KNX, 로컬 컨트롤 네트워크(LCN), FlexRay, 범용 직렬 버스(USB), FireWire, eSATA(외부 직렬 ATA), Profibus, MOST-Bus, 시간 트리거 프로토콜(TTP), LIN-Bus, ControlNet, INTERBUS, MIL-Bus, SafetyBUS p 또는 Spacewire.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는 (공간 절감형 구성을 바탕으로) 스티어링 휠 자체 내부 또는 그 표면에, 특히 엠블럼 영역에, 또는 디플렉터 표면이나, 또는 핸들 표면의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이런 개폐 장치로부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선(conductor)만이 개시되며, 그럼으로써 스티어링 휠 내 간단한 배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폐 장치는 시프트 레버에, 중앙 콘솔에, 계기판의 다기능 제어 유닛에, 도어의 내부 트림에, 헤드라이너에, 리어뷰 미러에, 또는 차실 내 스티어링 휠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엔진 등의 시동 시에 제어 쾌적성은 분명하게 증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운전자의 인체공학적인 관점이 고려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 특히 차량에서 스티어링 로크(이는 차량에서 본질적인 기능의 구조 부재로서 간주된다) 또는 엔진을 점화 키 없이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한 안전 시스템을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 안전 시스템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개폐 장치와 모바일 ID 전송기를 이용하여 구성하되, 개폐 장치와 ID 전송기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개시될 수 있다. 이에 추가로 안전 시스템 내에는, 적어도 개폐 장치와 모바일 ID 전송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컨트롤 유닛이 제공된다. 이런 안전 시스템의 경우, 시스템의 차단 해제 또는 활성화를 야기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비능동적으로 식별되어야 한다. 단지 개폐 장치, 특히 작동 소자의 작동에 의해서만 식별 과정이 자동으로 개시되되, 데이터 전송은 개폐 장치로부터 ID 전송기로 암호화된 웨이크업 신호(wake-up signal) 내지 활성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용된다. 모바일 ID 전송기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고 점검한 후에 식별 코드를 안전 시스템에 반송한다. 이런 과정은 한편으로 데이터 전송을 통해서도 개시될 수 있거나, 또는 무선을 통해 모바일 ID 전송기로부터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트롤 유닛으로 전송하는 추가의 수신 유닛을 통해서도 개시될 수 있다. 그런 후에 컨트롤 유닛은 사전 설정된 식별 코드와 수신된 식별 데이터를 비교하고, 식별 결과가 긍정적인 경우, 각각 개폐 장치의 개폐 위치 또는 개폐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개별 부하 또는 장치들에 대한 적합한 제어를 실시한다. 그로 인해 예컨대 차량 내 엔진을 시동할 수 있도록, 전기식 스티어링 로크가 잠금 해제되고, 엔진 관리 시스템이 차단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조치와 장점은 특허 청구 범위, 후속하는 실시예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지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1은 개폐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개폐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개폐 장치의 기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광도파로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은 차량에서 부하 장치를, 특히 엔진을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10)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개폐 장치(10)의 하우징은 작동 소자(30)를 원형으로 둘러싼다. 작동 소자(30)에 의해서는 미도시한 개폐 소자(40)가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는 예컨대 작동 소자(30)를 도면 평면의 방향으로 하우징(2) 내로 밀어 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개폐 장치(10)는 차량을 위한 스타트/스톱 스위치이다. 작동 소자(30) 상에는 "Start(시동)" 및 "Stop(중지)"을 형성하는 심볼 소자(50)가 배치된다.
공지된 개폐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종종 심볼 소자를 분명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서 증명되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의 상태에 대해 잘못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서는 심볼 소자(50)가 균일하게 조명되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으로부터 제1 광을 안내한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개폐 장치(10)의 구성은 도 2의 단면도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작동 소자(30)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하우징(20)을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후방 영역에서 작동 소자(30)의 프레임(32)과 횡방향 웨브 사이에는 개폐 소자(40)가 배치된다. 작동 소자(30)가 이동 화살표(31)의 방향으로 삽입되면, 미도시한 컨트롤 유닛을 위한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작동 소자(30)의 작동면(33)에는 하우징 안쪽으로 프레임(32)이 인접해 있다. 프레임(32) 내부에는 기판(25)이 배치된다. 이 기판(25)은 개폐 장치(10)에 내재되는 전자 장치를 위한 베이스로서 이용된다. 또한, 기판(25) 상에는 제1 광원(70) 및 2개의 추가 제2 광원(80, 80')이 배치된다. 광원들(70, 80, 80')로부터 방사되는 광은 도면 평면 안쪽으로 유입된다. 심볼 소자(50)를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10)는 제1 광도파로 소자(60) 및 제2 광도파로 소자(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10)의 작동 방법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도 3이 이용된다. 도 3에는 기판(25), 제1 광원(70) 및 제1 광도파로 소자(60)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광원(70)은 기판(25) 상에 배치되는 장방형 LED이다. 이 제1 광원(70)은 캡 모양의 제1 광도파로 소자(60)에 의해 덮인다. 이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수단에 의해 기판(25)과 체결된다. 미도시한 래칭 수단은 예컨대 클립일 수 있으며, 이 클립은 기판(25)에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상대 래칭 수단과 마찰 및/또는 형태 고정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복수의 반사면(61, 61')을 포함하고, 이 반사면들에서는 제1 광원(70)으로부터 방사된 제1 광(71)이 환산 방식으로 반사된다. 이를 위해 반사면들(61, 6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사층으로 덮일 수 있다. 따라서 반사층은, 높은 반사도를 보유하고 그에 따라 제1 광원(70)으로부터 방사된 제1 광(71) 대부분을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개구부(62)를 통해 방사하는 백색 래커 코팅일 수 있다. 개구부(62) 전방에는 본 발명에 따라 심볼 소자(50)가 배치된다.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성형과 반사면들(61, 61')에 대한 반사층의 코팅을 바탕으로, 개구부(62)를 통해 유출되면서 심볼 소자(50)를 균일하게 조명하는 균질한 광 흐름이 발생한다. 이런 과정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장치(10)의 사용자로 하여금 개폐 장치(10) 의 상태에 대해 더욱 명확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복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심볼 소자(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51)과 하나의 제2 영역(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52)의 균일한 조명을 위해, 기판(25) 상에는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2 광원(80)이 실장된다. 이 제2 광원(80)은 우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 광도파로 소자(90)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런 제2 광도파로 소자(90)는, 제2 광원(80)으로부터 방사된 제2 광(81)이 균질하면서도 균일하게 심볼 소자(50)의 제2 영역(52)을 조명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제2 광(81)은 제2 광원(80)의 광 유출구(82)로부터 유출되어 제2 광도파로 소자(90)의 반사면들(91)에서 반사된다. 심볼 소자(50)의 조명 시에 휘도 분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 광도파로 소자(90)는 산란 수단(65)을 포함한다. 제2 광(81)이 제2 광원(80)으로부터 직접 산란 소자(65)에 도달하면, 이 산란 소자는 제2 광(81)을 제2 광도파로 소자(90)의 반사면들(91)로 반사시킨다. 그렇게 함으로써 심볼 소자(50)의 직접적인 조명은 제2 광원(80)에 의해 방지된다. 오히려 제2 광원(80)의 제2 광(81)이 항상 우선적으로 제2 광도파로 소자(90)에 의해 반사되고, 그에 따라 균일한 조명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점이 보장된다.
또한, 제1 광도파로 소자(60)도 산란 수단(65')을 포함한다. 제2 광도파로 소자(90)의 산란 수단(65)과는 다르게, 산란 수단(65')은 캡 모양의 반사면(61) 내부의 만곡부이다. 제1 광원(70)의 광으로서 광 유출면(72)으로부터 방사되는 제1 광(71)은, 마찬가지로 심볼 소자(50)의 균일한 조명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산란 수 단(65')에서 확산 방식으로 반사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광도파로 소자(60)에 대한 가능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광도파로 소자(60)의 실시예에 대한 출발점은, 심볼 소자(50)가 2개의 영역(51, 52)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상기 두 영역(51, 52)은 사용자를 위해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 각각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기판(25) 상에 제1 광원(70) 및 제2 광원(80)이 연이어서 배치된다. 제1 광원(70)의 제1 광(71)은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반사면(61)에서 제2 영역(52)의 방향으로 편향된다. 반사면(61)의 대응하는 코팅층에 의해, 제1 광(71)의 환산 광 흐름이 생성되며, 이런 확산 광 흐름은, 제2 영역(52)이 완전히 균일하게 조명되도록 보장한다. 공간상 제1 광원(70)의 전방에는 제2 광원(80)이 배치된다. 상기 제2 광원(80)으로부터 방사되는 제2 광(81)은, 심볼 소자(50)의 제1 영역(51)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반사면(61')에서 반사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반사면(61)과 반사면(61') 사이에는 산란 수단(65)이 배치된다. 이런 산란 수단(65)은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제1 광(71) 및 제2 광(81)이 혼합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점은 두 영역(51, 52) 중 일측 영역에 할당되지 않은 광원(70, 80)에 의해 그 타측 영역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조명되는 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광도파로 소자(60)의 실시예는 특히 제1 광(71)과 제2 광(81)이 서로 다른 파장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것으로서 증명된다. 이처럼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 간의 색상 차이는 잠재적인 사용자로 하여금 개폐 장치(10)의 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부호 리스트>
10: 개폐 장치
20: 하우징
25: 기판
30; 작동 소자
31: 작동 소자의 운동
32: 프레임
33: 작동 표면
40: 개폐 소자
50: 심볼 소자
51: 제1 영역
52: 제2 영역
60: 제1 광도파로 소자
61,61': 반사면
62: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개구부
65,65': 산란 수단
70: 제1 광원
71: 제1 광
72: 제1 광원(70)의 광 유출구
80,80': 제2 광원
81: 제2 광
82: 제2 광원(80)의 광 유출구
90: 제2 광도파로 소자
91: 반사면
Claims (18)
- 차량에서 부하 장치를, 특히 엔진 등을 작동하거나, 또는 작동 중지하기 위한 개폐 장치(10)로서,하우징(20), 작동 소자(30) 및 개폐 소자(40)가 구비되되,상기 개폐 소자(40)는 상기 작동 소자(3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상기 개폐 소자(40)에 의해서는 컨트롤 유닛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폐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상기 작동 소자(30)는 심볼 소자(50)를 포함하는, 상기 개폐 장치(10)에 있어서,상기 심볼 소자(50)가 균일하게 조명되는 방식으로 제1 광도파로 소자(60)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70)으로부터 제1 광(71)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상기 제1 광(71)을 반사하는, 특히 확산 방식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작동 소자(30) 후방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상기 작동 소자(3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캡 및/또는 우산 모양으로 상기 제1 광원(7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특히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복수의 반사면(61, 61')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캡 및/또는 우산 모양의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개구부 측(62)은 상기 작동 소자(30)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들(61, 6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사층을 구비하되, 특히 상기 반사층은 상기 제1 광(71)을 확산 방식으로 반사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층은 발광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산란 수단(65, 65')을 포함하되, 특히 상기 산란 수단(65, 65')은 산란 디스크, 산란 벌지 및 산란 렌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10)는 기판(25) 을 포함하되, 특히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와 상기 제1 광원(70)은 상기 기판(25)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래칭 수단을 포함하되, 이 래칭 수단은 상기 개폐 장치(10)의 상대 래칭 수단과 상호 작용하며, 특히 상기 상대 래칭 수단은, 상기 기판(25), 상기 하우징(20), 상기 작동 소자(30) 및 상기 제1 광원(70)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10)는 제2 광원(80, 80')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는 상기 제1 광원(70)으로부터 상기 제1 광(71)을 안내하고, 상기 제2 광원(80, 80')으로부터는 제2 광(81)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71) 및 상기 제2 광(81)은 서로 다른 파장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광도파로 소자(90)가 상기 제2 광원(80, 80')으로부터 상기 제2 광(81)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71) 및/또는 상기 제2 광(81)의 광 방사는 본질적으로 상기 작동 소자(30)의 작동면(33)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평행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소자(5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51)과 하나의 제2 영역(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70)의 제1 광(71)은 상기 제1 영역(51)을 균일하게 조명하고, 상기 제2 광원(80)의 제2 광(81)은 상기 제2 영역(52)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70) 및/또는 상기 제2 광원(80)은 LED, OLED 및 형광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 소자(60)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식 가이드 소자를 포함하되, 이 가이드 소자는 제1 광원(70)에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광도파로 소자(60)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볼 소자(50)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고, 특히 상기 심볼 소자(50)는 상기 작동 소자(30)의 표면 및/또는 그 상부 및/또는 그 내부에 배치되며, 특히 상기 작동 소자(30) 및 상기 심볼 소자(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장치(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7035241.9 | 2007-07-25 | ||
DE102007035241.9A DE102007035241B4 (de) | 2007-07-25 | 2007-07-25 | Schaltvorrichtung |
PCT/EP2008/059211 WO2009013176A1 (de) | 2007-07-25 | 2008-07-15 | Schaltvorricht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5683A true KR20100035683A (ko) | 2010-04-06 |
KR101480203B1 KR101480203B1 (ko) | 2015-01-12 |
Family
ID=3994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7025175A KR101480203B1 (ko) | 2007-07-25 | 2008-07-15 | 개폐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164016B2 (ko) |
EP (1) | EP2183756B1 (ko) |
KR (1) | KR101480203B1 (ko) |
CN (1) | CN101779259B (ko) |
DE (1) | DE102007035241B4 (ko) |
WO (1) | WO200901317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080749B2 (en) * | 2009-03-04 | 2011-12-20 | Niles America Wintech, Inc. | Switch and welding method of same |
DE102009041542A1 (de) * | 2009-09-15 | 2011-03-24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Betätiger mit Signalanzeige |
TWM381117U (en) * | 2010-01-08 | 2010-05-21 | Darfon Electronics Corp | Key and keyboard with low light dispersion |
CN102064032A (zh) * | 2011-01-21 | 2011-05-18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按键模组及使用该按键模组的电子装置 |
CN104340138A (zh) * | 2013-08-06 | 2015-02-11 |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 一种具有装饰件的车辆开关装置及含有该开关装置的安全系统 |
USD814428S1 (en) | 2016-06-30 | 2018-04-03 | Lutron Electronics Co., Ltd. | Control device |
USD868009S1 (en) | 2016-06-03 | 2019-11-26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Illuminated control device |
USD808912S1 (en) | 2016-06-03 | 2018-01-30 | Lutron Electronics Co., Inc. | Control device |
USD868010S1 (en) | 2016-06-30 | 2019-11-26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Illuminated control device |
USD837168S1 (en) | 2017-02-16 | 2019-01-01 | Lutron Electronics Co., Inc. | Control device |
USD837169S1 (en) | 2017-02-16 | 2019-01-01 | Lutron Electronics Co., Inc. | Control device |
USD951211S1 (en) | 2017-03-16 | 2022-05-10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Illuminated control device |
USD863237S1 (en) | 2017-09-22 | 2019-10-15 | Whirlpool Corporation | Push button knob with illumination capabilities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
DE102019105285A1 (de) * | 2019-03-01 | 2020-09-03 |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 Bedienungskomponente für eine Vorrichtung mit einem hidden-to-lit-Muster |
DE102019203501B4 (de) | 2019-03-14 | 2024-08-01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Montageeinheit mit wenigstens einem Lichtleiter und wenigstens einer wenigstens ein Leuchtmittel aufweisenden Leiterplatte sowie Lichtleiter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Montageeinheit |
DE102019203502A1 (de) | 2019-03-14 | 2020-09-17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Beleuchtung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
USD935422S1 (en) | 2019-05-01 | 2021-11-09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ontrol device having illumination applied thereto |
USD921598S1 (en) | 2019-05-20 | 2021-06-08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ircular knob and faceplate applied to control device |
USD892751S1 (en) | 2019-07-12 | 2020-08-11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ontrol device |
USD892750S1 (en) | 2019-07-12 | 2020-08-11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ontrol device |
USD933615S1 (en) | 2019-10-15 | 2021-10-19 |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 Control device |
DE102021125442A1 (de) * | 2021-09-30 | 2023-03-30 | Preh Gmbh | Funktionsanzeige zur selektiven Anzeige von Schaltfunktionen und/oder Schaltzuständen repräsentierenden Symbolen mit reduziertem Falschlicht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67802A (en) * | 1968-06-21 | 1969-09-16 | Clare Pendar Co | Conductor apparatus for switch structure |
US3988557A (en) * | 1975-01-27 | 1976-10-26 | Illinois Tool Works Inc. | Lighted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assembly |
DE3019021A1 (de) * | 1980-05-19 | 1981-11-26 |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 Beleuchtungseinrichtung fuer einen drucktastenschalter |
US4749832A (en) * | 1985-05-13 | 1988-06-07 | Bell Industries, Inc. | Illuminated push button switch module |
US4683359A (en) * | 1986-03-13 | 1987-07-28 | Eaton Corporation | Illuminated switch assembly with combined light and light shield |
DE19647218C1 (de) * | 1996-11-15 | 1998-04-09 | Hella Kg Hueck & Co | Elektrischer Schalter |
FR2761792B1 (fr) * | 1997-04-04 | 1999-05-14 | Schneider Electric Sa | Organe de signalisation a diode electroluminescente |
DE29715873U1 (de) * | 1997-09-04 | 1997-10-23 | Hans & Jos. Kronenberg GmbH, 51427 Bergisch Gladbach | Schaltelement mit permanent beleuchtetem Lichtfeld |
JP4217520B2 (ja) | 2003-04-16 | 2009-02-0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スイッチ装置 |
DE102004056886B4 (de) * | 2004-11-25 | 2009-12-17 | Merten Gmbh & Co. Kg | Schaltelement mit einem beleuchteten Feld |
DE202005003663U1 (de) * | 2005-03-08 | 2005-07-21 |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 Elektrischer Tastschalter |
DE102007001703C5 (de) * | 2006-02-22 | 2012-08-09 | Preh Gmbh | Bedienelement |
CN201054309Y (zh) * | 2006-09-19 | 2008-04-30 | 宛东湖 | 电路开关按钮 |
-
2007
- 2007-07-25 DE DE102007035241.9A patent/DE102007035241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7-15 US US12/663,892 patent/US816401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7-15 CN CN200880025614.8A patent/CN10177925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7-15 KR KR1020097025175A patent/KR101480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8-07-15 WO PCT/EP2008/059211 patent/WO200901317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7-15 EP EP08775071.7A patent/EP2183756B1/de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779259A (zh) | 2010-07-14 |
KR101480203B1 (ko) | 2015-01-12 |
DE102007035241A1 (de) | 2009-01-29 |
US20100175971A1 (en) | 2010-07-15 |
CN101779259B (zh) | 2014-02-12 |
WO2009013176A1 (de) | 2009-01-29 |
US8164016B2 (en) | 2012-04-24 |
EP2183756A1 (de) | 2010-05-12 |
DE102007035241B4 (de) | 2017-01-19 |
EP2183756B1 (de) | 2018-0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035683A (ko) | 개폐 장치 | |
US7534017B2 (en) | System for providing illumination | |
US11840172B2 (en) | Vehic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 |
EP3009301B1 (en) | Automotive light | |
JP2006232092A (ja) | 照明装置 | |
CN109642441B (zh) | 把手装置 | |
JP2004319445A (ja) | 発光体および後視鏡装置 | |
KR101979570B1 (ko) | 차량용 램프 | |
CN112601678A (zh) |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 |
JP2006138129A (ja) |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 |
JP5091738B2 (ja) | 車両用灯具 | |
JP2008021613A (ja) | 照明装置 | |
CN107735284B (zh) | 用于车辆的侧面闪光信号灯 | |
JP3672195B2 (ja) | スライド式収納装置 | |
WO2012164696A1 (ja) | 照明装置 | |
CN108884693B (zh) | 机动车锁 | |
JP2003281908A (ja) | 照明装置 | |
KR101371762B1 (ko)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용 스위치의 조명장치 | |
JP2007186943A (ja) | ドアハンドル照光ユニット | |
JP4079154B2 (ja) | スライド式収納装置 | |
US20050135112A1 (en) | Lighting unit with light guidance body | |
KR101176509B1 (ko) | 간접조명 방식의 자동차 엘이디 실내등 | |
JP2004299611A (ja) | 後視鏡装置 | |
CN217978519U (zh) | 一种超薄侧发光双灯 | |
JP2009208631A (ja) | 車載用照明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6 |